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농촌지역 초등학생의 인지된 가족환경 수준에 따른 건강 행위 실천 비교

        박경민,배연숙 대한보건협회 1998 대한보건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농촌 초등학생의 인지된 가족환경 수준에 따른 건강행위 실천을 비교 분석하여 아동의 자기 건강관리 능력 향상을 위해, 양호교사가 가족환경과 연계한 보건교육을 실시하도록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경북지역에 소재 하는 13개군 241개 초등학교를 12학급 이하인 50개 초등학교에서 17개 초등학교를 다단계 표출법으로 표출하여 6학년 전수인 583명이 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자료수집은 설문지에 의해 1998년 2월 2일에서 2월 20일까지 가족환경과 건강행위 실천을 조사하였다. 연구 도구로 가족환경은 Moos(1974)가 제작한 Family Environment Scale 중 R Form을 박(1992)이 수정한 것이고(Cronbach's Alpha=0.80), 건강행위는 WHO 유럽지역 Health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Aaro et al., 1986)에서 이용한 설문도구와 서태평양 지역의 건강증진위원회에서 개발한 설문지를 정영숙과 문영희(1996)가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여 x^2-test, t-test, Odds Ratlo, 95% Confidence Interval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인지된 가족환경 수준별 건강행위 실천에 대한 Odds Ratio에서, 식사관련 행위는 '아침식사' 여부(p=0.000), '3회/일식사' 여부(p=0.011), '영양제 복용'(p=0.043), 사고 예방 관련 행위는 '자동차 승차시 안전벨트 항상 착용' 여부(p=0,000), '흡연상태'(p=0.018), 개인 위생관련 행위는 '식사 전 손씻기'(p=0.000), '귀가 후 손씻기'(p=0.000) '취침 전 양치질'(p=0,000), 양치질 빈도'(p=0.000), '목욕 빈도'(p=0.000), '끓인 물 섭취'(p=0.000), 운동 관련 행위는 '같은 또래 친구들에 비하여 운동 능력의 평가'(p=0.000), 환경 관련 행위는 '가정에서 쓰레기 분리 수거'(p=0.000), '학교에서 쓰레기 분리 수거'(p=0.000)가 인지된 가족환경 수준이 낮은군에 비해 높은군의 초등학생이 바람직한 건강행위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보면, 가족환경은 질병을 예방하고 건강을 유지·증진시키는 초등학생의 건강행위 실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므로, 학생들의 바람직한 건강행위를 위한 보건 교육시에도 반드시 고려되어져야 한다(김 등 1997). 그러므로 인지된 가족환경 수준이 낮은군의 초등학생을 위하여 올바른 식습관 형성, 사고 예방 관련 고육, 흡연 예방(약물 오·남용 포함). 개인 위생 실천, 지속적인 운동 프로그램, 환경 보전을 강조하는 보건교육 프로그램은 가족환경을 고려한 개발이 필요하고, 양호교사는 가족환경을 반드시 사정하여 건강행위 실천에 관한 보건 교육을 실시하여 학교 보건 교육의 목표인 아동의 자기 건강 관리 능력 향상(김 및 윤 1995)을 도모하는 적극적인 건강증신 전략자로서 양호교사의 역할 수행이 요구된다. This research intended to survey health-related behavior of the students by perceived level of family environment in rural elementary schools, analyze those factors comparatively, and use the result as the basic material for a school health teacher to teach health education connected with family environment. It also intended to improve pupil's self-abilities of health care. The subjects involve 583 students of rural elementary schools, who are selected by means of multi-stage probability sampling. Using the questionnaires, I collected data on family environment, health behaviors for 19 days, Feb. 2nd, 1998 through Feb. 20th, 1998. R-from of Family Environment Scale(Moos, 1974) is used as the instrument of family environment(Cronbach's Alpha=0.80), and questionnaires of Health Behavior in School-aged children used in WHO Europe area and the ones developed by Health Promotion Committee of the Western Pacific area(adapted by Jong Young-suk and Moon Young-hee(1996)), as the instrument of health behavior. Next step, I used them to get x^2-test, t-test. Odds Ratio, 95% Confidence Interval. Referring to the Odds Ratio of the health related behavior of the students by perceived level of family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higher group children in the level set up more desirable behavior than lower group children in having breakfast(p=0.000), having three meals a day(p=0.011), and taking vitamin compounds(p=0.043) as meal-related behavior, wearing safety belts(p=0.000) as accident prevention-related behavior, smoking(p=0.015), washing hands after meals(p=0.000), washing hands after home-coming(p=0.000), brushing teeth before sleeping(p=0.000), the frequency of brushing teeth more than once a day(p=0.000), the frequency of bathing(p=0.000) and intaking boiled water(p=0.000) as individual hygiene-related behavior, the estimation of physical-exercise ability compared with their peers(p=0.000) as exercise-related behavior, collecting garbage at home(p=0.000) and in the school(p=0.000) as environment-related behavior, which led to significant difference. Considering the results referred above, we could recognize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lth related behaviors by perceived level of family environment of rural children. These results also made us some suggestions for the coming health education. What I would like to suggest for the health program of elementary school is that, we, school health teachers, should play an active role to recognize the need and importance of health education, and incorporate them into the real school to improve children's self-abilities of health management.

      • KCI등재

        농어촌 복합 섬지역 노인의 감염예방행위 건강신념과 감염예방행위 실천의 영향요인

        윤치양,전미양,김향숙 한국도서(섬)학회 2023 韓國島嶼硏究 Vol.3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농어촌 복합 섬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감염예방행위 건강신념과 감염예방행위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농어촌 복합 섬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감염예방행위 증진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본 연구는 G도 N군에 거주하는 60∼95세 노인 212명을 대상으로 2020년 11월∼2021년 2월까지 설문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감염예방행위 건강신념과 감염예방행위 실천과 관련된 요인으로 선정된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질병관련 특성, 감염예방행위 관련 특성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한 자료는 SPSS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대상자는 여성이 64.6%으로 남성보다 많았으며, 연령 범위는 60세에서 95세이고, 평균 연령은 76.93±6.45세이며, 70대가 44.3%로 가장 많았다. 대상자의 학력은 초등학교 졸업 이하가 66.1%로 가장 많으며, 가족 동거형태는 배우자와만 거주하는 부부군이 53.3%로 가장 많았으며, 독거군은 27.4%이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의사로부터 진단받은 질환의 수는 2.46개이었고, 의사로부터 처방받아 복용하는 약물의 수는 2.23개이었다. 본 연구 대상자가 감염예방행위와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는 경로는 TV 100.0%로 가장 높았으며 그 외 SNS 31.6%, 신문 7.5%, 인터넷 4.2% 순이었다. 본 연구 대상자의 감염예방행위 건강신념은 5점 만점에 지각된 민감성 4.31점, 지각된 심각성 4.66점, 지각된 유익성 4.68점, 지각된 장애성 3.57점, 행동 계기는 4.74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 일반적 특성에 따른 건강신념을 비교한 결과, 건강신념은 80세 이상군이 60∼79세군보다, 초졸이하군이 중졸이상군 보다, 배우자 이외 가족가 동거하는 군이 다른 군보다 높았다. 건강신념 중 지각된 장애성은 의사로부터 진단받은 질환 수가 3~5개군이 1∼2개군 보다 높았다. 감염예방교육을 받은 군이 받지 않은 군보다 높았다. 본 연구 대상자의 감염예방행위 실천의 총점은 2.11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점수는 마스크 실천 2.36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은 손씻기 실천 2.12점, 생활방역 실천 2.11점, 건강생활 실천 1.87점 순이었다.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예방행위 실천을 비교한 결과, 80세 이상군이 60∼79세군보다, 초졸이하군이 중졸이상군보다, 배우자 이외 가족군이랑 동거하는 군이 다른 군보다 높았다. 그리고 의사로부터 진단받은 질환의 수가 3~5개인 군이 1∼2개군보다, 감염예방교육을 받지 않은 노인이 감염예방 교육을 받은 군보다 감염예방행위 실천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는 감염예방 관련 건강신념과 감염예방행위 실천은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추후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농어촌 복합 섬지역에 거주하는 노인의 예방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근거로 중재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할 것을 제언한다.

      • KCI등재

        노인의 TV 건강프로그램 시청과 건강행위 실천과의 관련성

        이현정(Hyun-Jung Lee),박재용(Jae-Young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1

        본 연구는 현재 방송되고 있는 TV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 시청행태 및 만족도를 파악하여 건강행위 실천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2008년 3월 17일부터 3월 28일까지 경상북도 포항시에 거주하는 노인 29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V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최근 1개월간의 시청경험은 86.3%이었고, 학력, 비만도, 병력이 시청빈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대상자의 건강행위 실천도는 62.1%가 높다고 하였고, 17.7%가 낮다고 하였다. 건강행위 실천확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성별, 건강관심도, 시청경험이었으며, 남자가 여자보다 1.78배, 건강관심도가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3.3배, 시청경험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6.1배 건강행위 실천도가 높았다. 노인들의 TV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은 긍정적이었으며, 시청빈도가 높을수록 건강행위 실천이 높았다. 또한 노인들의 건강프로그램에 대한 높은 시청률은 건강프로그램 내의 정보에 노출될 기회가 많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TV 건강프로그램은 노인들의 요구에 충족할 수 있는 올바른 건강정보를 제공하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influence of current TV health programs on old people's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through analyzing their recognition, watching behaviors and satisfaction. The study conducted 293 old people living in Pohang City, North Gyeongsang Province from March 17, 2008 to March 28, 2008.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86.3% of the respondents has watching experience of TV health programs in a month while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frequency of watching by education, obesity and a clinical history. The degree of health behavior practice, 62.1% answered high while 17.7% said low. Factors that influence the degree of health behavior practice were sex, interest in health and experience of watching. In addition, men practiced 1.78 times more than women, those with more interest in health practiced 3.3 times of those with no interest, and those with watching experience presented 6.1 times higher practice degree than those with no experience. It was found that old people's recognition for TV health programs was positive, and the more frequently they watch the programs, the higher their practice of health behaviors was. In addition, old people's popularity rate of TV health programs means that they have a lot of opportunities to be exposed to information provided in health programs. Accordingly, it is thought that TV health programs should try to provide correct health information that can meet old people's needs.

      • KCI등재
      •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건강 실천행위 및 구강건강행위가 비만에 미치는 영향

        박희정(Hee-Jung Park),이문재(Mun-Jae Lee),김석환(Seo-khwan Kim),정미애(Mi-Ae 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11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1 No.9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비만과 건강실천행위 및 구강건강행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고 비만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해 전국대학건강조사 및 대학생 건강증진 서비스 개발구축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9년 12월 1일부터 31일 동안 서울 및 경기도에 소재하는 대학에 재학 중인 177명의 자료를 조사하였고, 조사결과는 아래와 같다. 1. 조사대상자 전체의 비만 유병률은 27.7%이었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비만의 차이는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24세 미만군에 비해 24세 이상군의 비만율이 높게 나타났다. 2. 건강실천행위 및 구강건강행위에 따른 비만의 차이는 식사 시 짠맛을 선호하는 경우와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7시간 미만인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쁘다고 인지하는 경우 그리고 최근 1년간 치과 방문을 했던 경우에 비해 치과방문을 하지 않는 경우가 비만율이 높았다. 3. 성별과 연령의 영향력을 통제하였을 때 대학생들의 비만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짜게 먹는 경우, 하루 평균 수면시간이 7시간 미만인 경우 그리고 최근 1년간 치과방문이 없는 경우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대학생들의 비만은 식사 시 선호맛, 하루 평균수면시간 및 치과방문에 유의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 눈높이에 맞추는 정규적인 보건교육실시 뿐만 아니라 비만을 예방하고 관리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경우에 식생활 습관과 정신건강 및 구강건강습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함께 운영하면 그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obesity(BMI), health practices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healthy campus communities. Total 177 students filled out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Data were analyzed for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and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to evaluate the effects of health practice and oral behaviors on obesity. This study shows that the prevalence of obesity was 27.7%. Univarate analysis demonstrated that gender, age, the preference of salt, sleep in every day, self-perceived general health, the visiting the dentist during the past yea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BMI. In multivariable regression, preference of salt, sleep in every day, the visiting the dentist during the past year were independent predictors of BMI, after adjustment of gender and age. The finding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obesity prevention program in overall, eating habit, mental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 in student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요양보호사의 가족기능과 건강행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U시를 중심으로)

        김미정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is study was designed to verify the the effects of care workers’ family functuin and health behavior on their happiness. The data was collect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for 136 care workers living in U City from June 4, 2019 to July 10, 2019. As a result, differences in family fun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care workers were significant in gender, but not in age and final education level. Age and final educational attainment were significant in health behaviors and happiness, but not significant at 5% of gender. Correlation between family function, health behavior and happi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cohesiveness (r=.356, p<.001) and adaptability (r=.168, p<.05). Happiness has positive correlation with health practice behavior (R=.366, p<.001) and disease prevention behavior (r=.365, p<.001), but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health hazard behavior (r=-.309, p<.001). The higher the cohesiveness of family function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and the lower the adaptability of family function and health hazard behavior, the higher the happiness. Therefore, social efforts are required for the continuous health practice behavior of care workers.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가족기능과 건강행위가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자료 수집은 2019년 6월 4일부터 2019년 7월 10일까지 U시에 거주하는 요양보호사 136명을 대상으로 SPS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기능의 차이는 성별에서 유의미하였고, 연령, 최종학력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건강행위와 행복감에서 연령과 최종학력은 유의미하였고, 성별에서 유의수준 5%에서 유의미하지 않았다. 가족기능, 건강행위와 행복감과의 상관관계는 행복감은 가족기능의 응집성(r=.356, p<.001), 적응성(r=.168, p<.05) 순으로 정의 상관이 높았다. 행복감은 건강행위의 건강실천 행위(r=.366, p<.001), 질병예방 행위(r=.365, p<.001)와는 정의 상관이, 건강위해 행위(r=-.309, p<.001)와는 유의미한 부의 상관이 있었다. 가족기능의 응집성과 건강실천 행위가 높을수록, 건강위해 행위와 가족기능의 적응성이 낮을수록 행복감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요양보호사의 지속적인 건강실천행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사회적 노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웰빙인식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실천행위의 매개효과 분석

        고민석 ( Minseok Ko ),박희선 ( Heeseon Park ) (사)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6

        본 연구는 대학생의 웰빙인식, 건강실천행위, 주관적 건강수준과의 관련요인을 파악하고, 웰빙인식이 주관적 건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건강실천행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소재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15명을 대상으로 2018년 10월 10일부터 3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23.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웰빙인식은 경제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건강실천행위는 거주형태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주관적 건강수준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웰빙인식은 주관적 건강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웰빙인식과 주관적 건강수준 간의 관계에서 건강실천행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부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웰빙프로그램과 맞춤형 건강증진프로그램의 개발 및 제공을 통한 캠퍼스 건강증진 실천문화 조성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well-being awareness on self-rated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practi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ell-being awareness and self-rated health. Data collected from 215 college students of 4 college in Jeonbuk region were analyzed with SPSS 23.0. As a result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well-being awareness depending on economic status, in health practice depending on residences, and in self-rated health depending on gender of college students. Well-being aware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ir self-rated health, the health practic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well-being awareness and self-rated health. This results suggests that the well-being programs and customized health promotion programs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health of college students and that they should strive to foster a culture of practicing health promotion on campus.

      • KCI등재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허성은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5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and health practice behavior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in adults, a survey was conducted in adults living in Busan and analyzed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better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brushing-related self-efficacy and oral health management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 better the health practice behavior, brushing-related self-efficacy and oral health management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higher. The better the subjective oral health status, the more positively it affected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The implementation of health practice behavior in order of exercise, health responsibility implementation, and smoking showed a positive effect on oral health-related self-efficacy. Therefore,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used as fundamental data for development of continued oral health programs converging systemic and oral health and contribute to the promotion of comprehensive and oral health in adults. 본 연구는 성인의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와 건강 실천행위가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한 후,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관적 구강 건강 상태가 좋을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고,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칫솔질 관련 자기효능감(p<.001)과 구강 건강관리 자기효능감(p<.0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주관적 구강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며(p<.001), 운동, 건강 책임이행, 흡연 순으로 건강 실천 행위를 이행할수록 구강 건강 관련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따라서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의 상호 융합적 계속 구강 보건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어 성인의 포괄적 건강 및 구강건강 증진에 기여하고자한다.

      • KCI등재

        30, 40대 남성 근로자의 심뇌혈관질환 인식, 태도, 건강행위실천에 관한 연구

        공정현(Jeong-Hyeon Kong),최혜옥(Hye-Ok Choi),오은진(Eun-Jin Oh)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7

        본 연구는 30, 40대 남성 근로자의 심뇌혈관질환 인식, 태도, 건강행위실천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건강행위실천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30, 40대 남성 근로자의 건강행위실천을 증진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자는 G도 J, S시에 소재한 회사에 근무하는 30, 40대 남성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심뇌혈관질환 인식, 태도, 건강행위실천 도구를 통하여 설문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 대상자의 심뇌혈관질환 인식, 태도는 건강행위실천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건강행위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심혈관질환 인식, 뇌혈관질환 인식, 근무부서, 결혼상태 순이었으며, 전체 설명력은 14.8%이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심뇌혈관질환 예방을 위한 건강행위실천의 교육적 시사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enhancement of health behaviors by examining relations among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knowledge, attitude, health behaviors among male workers in their 30, 40s, and then understanding factors having influence on health behaviors. Targeting male workers in their 30, 40s working for companies in J & S cities, a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tools for the knowledge, attitude, and health behavior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21.0 program. In the results, Knowledge and attitude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health behaviors. As factors having influence on targets health behaviors, there were the knowledge of cardiovascular, department, marital status in the order while the overall explanatory power was 14.8%. Based on this study,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ealth behaviors for the prevention of cardiocerebrovascular diseases, and suggestions for the follow up research were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