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례연구를 통해서 본 하늘반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교사의 상호작용

        고여훈 ( Yeo Hum Koh ),엄정애 ( Jung Ae Ohm ) 한국유아교육학회 2014 유아교육연구 Vol.34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해 교사가 긍정적이고 적극적으로 상호작용을 잘하고 있는 한 학급의 사례를 탐구해 봄으로써 교사가 어떻게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해 상호작용하고 있는지,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서울에 위치한 초록유치원 하늘반 교사 2명과 유아 28명을 대상으로 하여 질적 사례 연구방법으로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하늘반 교사들은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해 상호작용을 할 때 우선 주의깊게 거친 신체 놀이 관찰하기, 시기와 유아 개인차를 고려하여 거친 신체 놀이 상호작용하기, 두 교사 간 일관성 유지하기라는 원칙을 바탕으로 하여 거친 신체 놀이 상황을 유지하며 개입하기,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해 유아들과 함께 토의하기, 여러 가지 방법으로 거친 신체 놀이에서의 약속 상기시키기, 친구의 몸과 마음을 배려하지 않거나 하늘반 약속을 지키지 않았을 경우 거친 신체 놀이를 단호하게 제지하기의 상호작용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유아들의 거친 신체 놀이가 보다 안전하고 교육적인 놀이가 될 수 있도록 하늘반 교사가 적절하게 상호작용하는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긍정적 인식, 모든 유아들을 존중하는 태도, 거친 신체 놀이 상호작용에 대한 반성적 사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Though early childhood education principles recognize rough-and-tumble play as healthy and linked to positive cognitive and emotional development, many teachers misunderstand it and prohibit it. In an effort to discern how to promote and maintain positive teacher interactions with children during rough-and-tumble play, this qualitative study explores two teachers` interactions and the factors informing those interactions with 28 five-year old Chorok kindergarten in Seoul. Study results reveal 1) that the teachers used several intervention strategies to maintain the play, discuss the play with children, remind them of agreed upon rules and/or restrain them from breaking the rules. 2) These strategies were predicated on observations of the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and took into account developmental stages and individual children`s developmental gaps. Most importantly, successful strategies were informed by the teachers` positive perceptions about the nature and value of rough-and-tumble play, their respectful attitude toward young children, and reflective thinking. These findings have useful implication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training in fostering healthy rough-and-tumble play in early childhood settings.

      • KCI등재

        동물의 움직임을 활용한 거친 신체놀이 활동이 도서지역 유아의 공격성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서현,박미자,박서연 한국도서(섬)학회 2019 韓國島嶼硏究 Vol.31 No.4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influence rough-and-tumble play activities potentially have on reducing children's aggression and daily levels of stress. Located at H count and at Y count on the islands in Jeolla Province, the research group randomly assigned 25 students from one class in the sky class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from one class in the sea class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applied rough -and -tumble play activities related to animal movements, and the control group applied outdoor activities related to the Nuri program life theme. In order to verify the educational effects of rough -and -tumble play activities using animal movements, the observation measurement tool of infant aggression for teachers developed by Han, Mi-ok (2000) and a daily stress scale of Korean infants developed by Yeom Hyun-kyung (1998), KPDSS(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which was composed of the contents suitable for the reality of Korean infants, were used. The rough -and -tumble activities associated with animals’ movements can be contributed to a decrease in the aggressiveness of infants As a result, the study suggested that this is the effective way to reduce the aggressiveness of an infant by sharing with peers the idea that object- attacks, such as throwing objects after participating in rough physical activities, and verbal attacks like bullying, interpersonal attacks, irritation, and gossiping, could be negative for a peer relationship and play a role in reducing the quality of peer-to-peer relationships (2017, a positive role for infant behavior). In addition, the play activity served as a play treatment to improve the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indirectly suggesting that it could play a positive role in reducing the problematic behavior of infants (Jung Shom, Han Yu-jin, 2017). Second, the average score in the daily stress of a group of infants applying rough -and -tumble activities related to animal movements has been shown to have decreased significantly overall over the average score of the daily stress of the control group infants, which can be seen as causing the daily stress reduction of the infants. For boys sons, rough -and -tumble play has the meaning of various experiments and explorations of the body, expressions of joyous emotions, expressions of intimacy and friendship, expressions of superiority, and expressions of creative thought. Through studies on rough -and -tumble play, infants have been able to explore and experiment with their bodies, enhance their physical development, and express joyful emotions as much as they like (Ko Yeo-hoon, Um Jung-ae, 2014). This suggests that rough -and -tumble activitie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reducing the daily stress of infants.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s who engaged in rough -and -tumble activities related to animal movements had positive effects on reducing levels of aggression and daily stress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s who engaged in outdoor activities related to Nuri program life subjects. Since one of the most familiar and accessible things that infants love and share with their families around us is animals, the rough -and -tumble activity teaching and learning models associated with animal movements was created to attract infants' interest by taking advantage of the interest in these animals in rough -and -tumble play situations. Infants imitated animals, and even discussed rough -and -tumble play related to the sounds and shapes of animals. In doing so, infants looked for fun and exciting activities in playing with their peers and physical activities that are harmful and aggressive to others. Also, infants have experienced situations for attacking and chasing teams as they change their roles. In the process, infants have identified whether these activities can harm others or not by experiencing a variety of harmful and aggressive activities related to animals' movemen... 본 연구는 동물의 움직임을 활용한 거친 신체놀이 활동이 전남지역 소재 도서지역 유아의 공격성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전남 지역 도서 지역 중 H군과 Y군에 소재한 L유치원 만 5세 유아 50명으로 하늘반 1개 학급 25명을 실험집단으로, 바다반 1개 학급 25명을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에는 동물의 움직임과 관련된 거친 신체놀이 활동을 적용하였고, 통제집단에는 누리과정 생활주제와 관련된 바깥놀이 활동을 적용하였다. 동물의 움직임을 활용한 거친 신체놀이 활동의 교육적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한미옥(2000)이 개발한 교사용 유아 공격성 관찰척도와 염현경(1998)이 우리나라 유아의 실정에 적합한 내용으로 구성하여 제작한 한국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척도 KPDSS(Korean preschool Daily Stress Scale)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동물의 움직임과 관련된 거친 신체놀이 활동을 적용하였던 실험집단 유아의 공격성 점수가 통제집단 유아의 공격성 점수보다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 동물의 움직임과 관련된 거친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공격성 감소를 초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유아들이 거친 신체놀이 활동에 참여한 후 물건을 던지는 대물 공격, 친구들을 괴롭히는 대인 공격, 짜증내기, 고자질하기 등 언어적 공격이 또래관계에 부정적일 수 있다는 생각을 이야기 나눔을 통해 또래친구들과 공유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유아의 공격성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시사 받을 수 있으며, 또한 놀이 활동이 또래관계의 질을 개선하는 놀이 치료로서 역할을 해 유아의 문제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역할(정솜이, 한유진, 2017)을 할 수 있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동물의 움직임과 관련된 거친 신체놀이 활동을 적용하였던 실험집단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평균 점수가 통제집단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평균 점수보다 전체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나 동물의 움직임과 관련된 거친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 감소를 초래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아들에게 거친 신체 놀이는 자신의 신체에 대한 다양한 실험과 탐색, 즐거운 감정의 표현, 친밀감과 우정의 표현, 우월감의 표현, 창의적인 생각의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거친 신체 놀이를 통해 유아들은 자신의 신체에 대해서 탐색하고 실험을 해나가며 신체적 발달을 높일 수 있었고, 즐거운 감정을 마음껏 표출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고여훈, 엄정애, 2014)는 거친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결론적으로, 동물의 움직임과 관련된 거친 신체놀이 활동을 한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누리과정 생활주제와 관련된 바깥놀이 활동을 했던 통제집단의 유아들보다 공격성 및 일상적 스트레스 수준이 감소되는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동물의 움직임과 관련된 거친 신체놀이 활동 교수·학습 모형은 유아들이 동물을 좋아하고 우리 주변에서 가족으로 함께 공유하고 있을 만큼 친숙하고 접근하기 쉬운 것 중 하나가 동물이기 때문에, 이러한 동물이라는 매체를 활용하여 흥미를 유발하였고, 거친 신체놀이 상황에 유아의 관심이 생길 수 있도록 해주었다. 유아들은 동물이 되어보기도 하고, 동...

      • KCI등재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지원과정에서 나타난 신체놀이의 변화와 의미

        이완희(Lee Wahn-Hi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0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어린이집 현장에서 만 5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를 안내하고 지원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신체놀이의 변화를 탐색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참여자들은 경기도 G시 국공립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유아 32명(강반 16명, 산반 16)과 교사 2명(강교사, 산교사)이다. 본 연구는 교사와 유아들이 거친 신체놀이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 교육현장의 상황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고, 현장에서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를 안내하고 지원해 줄 수 있는 방안으로 실내에 신체영역을 제공한 후 신체놀이의 변화와 의미를 탐색해보는데 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들이 거친 신체놀이를 어떻게 안내하고 지원해주어야 하는지에 대한 일종의 전략과 지침을 마련해 줌으로써, 유아교육 현장에서 교사들로 하여금 거친 신체놀이의 교육적 가치를 인식하게 해주고, 거친 신체놀이의 지원 방향을 제시하는데 시사점을 줄 수 있다. This research is a-qualitative case study to support rough and tumble play in early childhood setting. Participants included 2 educators and 32 children (5 years old). The study focused on gaining an understanding of how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young children interprete rough and tumble play. The design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physical play center in a classroom in early childhood setting. The change of physical play in physical play center would gain the educational value, by educators and young children, over the role of rough and tumble play in early childhood setting. The result of this study contributed to develop strategies to manage and guide rough and tumble play in early childhood setting.

      • KCI등재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과 교수전략

        서정아,엄정애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3 유아교육학논집 Vol.17 No.3

        We investigated kindergarten teacher perceptions and strategies about rough and tumble play. We recruited 15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We examined teacher perceptions and teaching strategies throug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 First, kindergarten teacher perceptions about rough and tumble play are receptive perspectives, restrictive perspectives, and mixed perspectives. Second, teaching strategies toward that play are watching plays, making rules in the class, transition of other play activity, and participating and enlarging children's play. These results provide developing teacher training program, including importance, value, and significance of rough and tough play. In addition, we observed the teaching strategies of individual teachers, which are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to child develop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teaching supervision for sharing the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and introspecting the inappropriate ones about the rough and tumble play is needed. 본 연구는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생각과 거친 신체놀이와 관련한 교수전략을 알아보고자 한다. 유치원 현장에서 교사들은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허용 여부 및 지도방법을 궁금해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서울시내 7곳의 초등학교병설유치원 15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교사의 생각과 교수전략을 알아보았다. 연구는 2회차로 나뉘어 진행되었으며, 1회차 연구에서는 면담의 방법을, 2회차 연구에서는 참여관찰 및 면담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면담은 1인당 2~3회 진행되었으며, 참여관찰은 7명 교사의 학급을 대상으로 각각 3회씩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치원 교사들은 거친 신체놀이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기도 하지만, 금지하기도 하였으며, 부분적으로 허용하기도 하였다. 이를 통해 볼 때 거친 신체 놀이와 관련하여 유치원 교사를 대상으로 한 보다 구체적인 연수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이 거친 신체놀이와 관련하여 사용하는 교수전략은 유아들의 거친 신체놀이를 바라보기, 학급내의 규칙 정하기, 다른 놀이로 전환하기, 놀이를 확장하고 놀이에 참여하기로 나타났다. 거친 신체놀이에 대한 다양한 교수전략 중 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교수전략은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 현장에 보급되어야 할 것이며, 유아발달 원리에 적합하지 않은 교수전략은 교사들이 유아들의 반응을 조심스럽게 살펴보면서 재고해볼 수 있도록 장학이 필요함을 시사해준다.

      • KCI등재후보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 정도에 따른 정서지능 및 친사회적 행동 차이

        정나영,정계숙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교사교육연구 Vol.5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of the rough-and-tumble play among preschoolers according to their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0 preschoolers aged four to five years old. A questionnaire which are rough-and-tumble play, emotion intelligence, pro-social behavior, and a coping checklist was given to the teachers. From the 350 questionnaires returned 300 were finally analyzed based on sufficient data.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according to a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chooler``s rough-and-tumble play most frequently displayed was running and chasing in which boy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than girl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preschoolers emotion intelligence according to their level of rough-and-tumble play. Preschoolers who participated in more rough-and-tumble play showed more emotion intelligence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less rough-and-tumble play. These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included: more appraisal and expression of self emotion, more developed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and more developed relationship with their peers.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the preschooler’s pro-social behavior according to their level of rough-and-tumble play. Preschoolers who participated in more rough-and-tumble play showed better pro-social behavior than those who participated in less rough-and-tumble play. These differences in pro-social behaviors included: a higher likelihood to help others, active communication, a higher willingness to help, higher comfort levels of proximity, more willing to share, and a deeper display of empathy. 본 연구는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 정도에 따라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경상도와 경기도에 소개하고 있는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300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정서지능, 친사회적 행동의 측정은 거친 신체놀이 11문항, 정서지능 50문항, 친사회적 행동 42문항으로 구성된 교사용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 빈도를 알아 본 결과, 유아들은 거친 신체놀이에서 도망가기와 쫓기를 가장 많이 하였고, 몰래 다가가 놀래키기를 가장 적게 하였다. 또한 거친 신체놀이에 따라 대한 유아 성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남아가 여아보다 거친 신체놀이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 정도에 따라 정서지능을 알아본 결과, 거친 신체놀이 참여도가 높은 집단의 정서지능의 점수가 더 높았다. 셋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 참여 정도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거친 신체놀이 참여도가 높은 집단의 친사회적 행동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 KCI등재

        바깥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과의 관계

        주보라(Bo-Ra Joo),김은심(Eun-Shim Kim),유지안(Ji-An Yoo) 중앙대학교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015 한국교육문제연구 Vol.33 No.4

        본 연구는 유아의 바깥놀이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신체 활동의 경향과 거친 신체 놀이 유형을 성별에 따라 나누어 살펴보고,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만 5세 27명의 바깥놀이를 8주간 관찰하여 신체 활동의 경향성의 빈도를 산출하였고,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 및 자기조절력의 관계는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유아 바깥놀이의 일반적인 신체 활동경향은 거친 신체 놀이가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거친 신체 놀이는 도망가기와 잡기의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또한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리더십과 자기조절력은 정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유아교육현장에서 그동안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던 거친 신체 놀이가 유아들에게 의미 있고 교육적 가치가 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따라서 유아 교사는 유아의 놀이상황을 교사가 깊게 관찰하여 거친 신체 놀이가 단순한 공격적인 행동인지, 교육적 가치가 있는 거친 신체 놀이인지 올바르게 판단할 수 있는 인식이 필요하다. This study observed young children’s outdoor play behaviors and analyzed their general behavior tendencies and the rough-and-tumble play types seen in their outdoor plays. In additi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rough-tumble play, young children’s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general tendencies of outdoor plays, the rough-and-tumble play type was seen the most frequently. Second, this study foun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young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frequency and leadership. In conclusion, the rough-and-tumble of outdoor play shows some positive correlation with leadership and self-regulation ability, so teachers are encouraged to recognize the educational values of rough-and-tumble play and to appropriately guide and observe young children so that rough-and-tumble play can be actively done in an outdoor play environment.

      • KCI등재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의 관계

        강영식(Kang, Young-Sik),마지순(Ma, Ji-Sun),안라리(Ahn, Ra-Ri)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5

        본 연구는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의 관계 및 거친 신체놀이가 대인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인문제해결력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둘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는 대인문제해결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대상은 충청남도 H어린이집 4, 5세 유아 73명이었다.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는 바깥놀이에서 이루어지는 놀이상황을 캠코더로 기록하고 분석하였으며, 대인문제해결력은 유아와 개별적인 면담을 통해 기록되고 유아들이 반응한 것은 분석범주에 의해 점수화 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유아의 거친 신체놀이와 대안적 해결사고의 하위요인인 부정적 해결방안과 결과예측 사고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거친 신체놀이의 잡기는 긍정적 해결방안의 예측변인이었으며, 부정적 해결방안은 팔 휘두르기, 넘어지기는 정적영향력이 있는 반면 도망가기는 부적영향력이 있는 예측변인으로 나타났다. 결과예측 사고의 예측변인은 거친 신체놀이 중 팔 휘두르기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유아의 대인문제해결력을 증진시키기 위해서 거친 신체놀이를 활용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 of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on the interpersonal cognitive problem solving ability. The subjects were 73 boys and girls who were 4, 5 years old in Chungchungnamdo.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and alternative solutions thought negatively and consequential thought. Second, the alternative solutions thought positively was affected by children"s rough-and-tumble play what the “pretending to catch”. The alternative solutions of thought negatively was affected by the “pretending to collapse”, “pretending to running”, “pretending to swing an arm. The consequential thought was affected by the pretending to brandish arms.

      • KCI등재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유아의 생각

        유승현,엄정애 이화여자대학교 이화어린이연구원 2023 영유아교육: 이론과 실천 Vol.8 No.1

        In this study, episodes were organized for each type of Rough and Tumble play(R&T play) tofind out what children thoughts of R&T play, and one-on-one interviews were conducted usingvideo data for 90, 5-year-old children.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although there wasa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young children's thoughts about R&T play, the percentage ofpositive responses was higher in all types. Children explained that they thought positively aboutthe R&T play because it was fun and drew their interest to play. Specifically, there were threecriteria for children's positive or negative perception of R&T play: space size, the physical andsocial risks of play, and the teacher's response. First, children decided their thoughts on playbased on the size of the space. Second, the children determined their thoughts on R&T Playaccording to physical and social risks. Third, the children decided their thoughts according tothe teacher's response and attitude toward pla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learnedabout R&T play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and it has implications that it has providedhelp so that children's play can be respected in itself. 본 연구는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해 유아가 어떠한 생각을 갖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거친 신체 놀이의 유형별로 에피소드를 구성하여 만 5세 유아 90명을 대상으로 영상자료를 활용한 일대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한 유아의 생각은 유형별로 답변 비율의 차이는 있었으나, 모든 유형에서 긍정적인 응답의 비율이 높았으며, 싸움 놀이 보다 일반적인 거친 신체 놀이를 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유아들은 거친 신체 놀이를 재미있는, 하고 싶은 놀이라고 표현하였다. 유아들이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해 긍정 또는 부정으로 생각하는 기준은 놀이 공간의 크기, 놀이의 물리적·사회적 위험성, 교사의 반응 3가지가 있었다. 첫째, 유아들은 놀이가 일어나기에 공간의 크기가 적합한지에 따라서 생각을 결정하였고, 둘째, 물리적·사회적 위험성에 따라 놀이 환경에 위험한 요소가 있는지, 거친 신체 놀이 행동이 상대 유아에게 해를 가하려는 의도가 있는지에 근거하여 판단하였다. 셋째, 교사의 반응에 따라 자신의 생각을 결정하는 것으로 유아들은 교사가 놀이에 대해 보이는 태도에 따라서 자신의 생각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는 유아의 관점에서 거친 신체 놀이에 대해 알아보았다는 의의가 있고, 유아의 놀이가 그 자체로 존중받을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했다는 데 시사점이 있다.

      • KCI등재

        남녀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또래유능성 및 또래인기도와의 관계

        이지영(Lee Ji-Young),이경옥(Lee Yung-Ok)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8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3 No.3

        바깥놀이에서 발생하는 남녀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의 양상을 분석하여 거친 신체놀이와 또래 관계와의 관계를 살펴보기 위하여 경기도에 소재하고 있는 유치원의 만 5세 2학급 55명의 유아를 대상으로 바깥놀이를 관찰하였다. 연구결과 만 5세 유아들의 바깥놀이에서 대상물 놀이(29.1%)와 더불어 거친 신체 놀이(23.8%)가 가장 빈번하게 관찰되었다. 이러한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는 또래유능성과 또래인기도와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남아의 거친 신체 놀이는 또래유능성 중 사교성 및 주도성뿐만 아니라 또래인기도와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유아의 바깥놀이에서 나타난 거친 신체 놀이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추적 놀이가 유사 싸움보다 빈번하게 일어났으나 성별에 따라 매우 다른 특성을 보였다. 나아는 여아들보다 팔이나 발을 휘두르거나 태권도ㆍ권투 흉내내기 소리치기 장난으로 싸우기 쫓고 쫓기기 장난으로 끌어당기기 등과 같은 도구적 놀이가 많이 관찰된 반면 여아들은 장난으로 놀리거나 찝쩍거리기 장난으로 밀기 장난으로 때리거나 찌르기 등과 같은 관계적 놀이가 주로 관찰되어 친구에게 친근한 표시로 거친 신체 놀이가 발생됨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young children's rough and tumble play in kindergarten outdoor plays and examined the relationship of rough and tumble play with children's peer competence and peer popularity. The results sho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is concluded that rough and tumble play is a play that frequently occurs during children's outdoor play. Boys are more involved in rough and tumble plays than Rough and tumble play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eer competence and peer popularity, especially for boys. Children's rough and tumble play is recognizedas a natural it not a negative play. Rough and tumble play is a play type in which children try to improve their harmonious peer relationships. In order to advance young children's rough and tumble play as a better play, appropriate understanding and guidance from the teachers or adults are needed.

      • KCI등재

        거친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미숙 ( Choi Misook ),정유진 ( Jung Yuji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거친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 I유치원 만 5세 두 학급의 유아 45명을 선정하였으며, 한 학급 유아 23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 유아 22명을 비교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거친 신체놀이 활동은 2016년 4월 6일~5월 31일까지 8주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거친 신체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정서조절능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거친 신체놀이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 결과는 거친 신체놀이 활동이 유아의 정서조절능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주므로 유아교육현장에서 의미 있는 교수활동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research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rough and tumble play on children`s ability to control emotion and to interact with peers in play. The subject was 45 five-year-old children from I kindergarten in G city, from which one class of 23 children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of 22 children for the comparative group.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rough and tumble play activities has shown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emotional regulation.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rough play and tumble play activities has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in peer-play interaction.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rough and tumble play does have a positive effect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nd peer-play interaction, thus making it a useful teaching method in the education fi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