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 거주, 집: 거주하는 인간

        홍경완(Hong, Kyungwan)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20 神學展望 Vol.- No.211

        본고는 ‘집 없는 인간’(der unbehauste Mensch)이라는 현대인에 대한 진단에서 출발한다. 여기서 말하는 집은 건축물로서의 집, 사고파는 일이 가능한 상품으로서의 집을 말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여기서의 집은 아늑함, 편안함, 안정감 등의 ‘내 집 같은’ 기분을 만들어 주는 거주하는 공간, 한 곳에 일정 기간 머무는 정주(定住)의 자리를 말한다. 이런 점에서 여기서의 집은 고향과 맥을 같이하고, ‘집 없는 인간’은 ‘고향을 잃어버린 인간’과 같은 말로 이해된다. 이런 출발점 위에서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던지며 답을 찾아보고자 한다. 거주의 의미를 잃어버릴 위협에 처한 것이 실은 공간에 대한 시선을 잘못두고 있어 그런 것은 아닐까? 공간을 잘못 봄으로 인해, 집이 ‘사는 곳’이 아니라 ‘사는 것’이 되어 버린 것은 아닐까? 우리 사회에서 끊임없이 문제가 되고 있는 부동산 투기도 어떤 의미에서는 자신의 삶의 공간을 무한대로 확장시키고자 하는 공간에 대한 ‘욕망’이 만들어 낸 병리 현상이 아닐까? 결국 이런 거주와 공간에 대한 잘못된 의미 부여가 고향 상실, 인간상실로 이어지는 것은 아닌가? 우리는 이미 수학적·물리학적 공간에 익숙해져 있다. 이 공간은 인간의 삶과 유리된 추상적 공간에 불과하다. 우리는 이러한 공간관에 젖어 있어, 일상의 삶과 긴밀히 이어진 다른 공간이 있음을 보지 못한다. 우리 삶과 직접 관련되어 있는 생활 세계에서 이해하는 공간, 근본 기분을 만들어내는 현실로 이해되는 공간이 우리에게 절박하다. 제대로 된 공간 이해 위에 진정한 의미의 거주가 들어갈 수 있기 때문이다. 거주는 집이라는 안정성의 영역, 인간이 위협적인 외부 세계 앞에서 되돌아 갈 수 있는 고유한 ‘공간’을 가지는 것이기 때문이기도 하거니와, 공간적 존재인 인간 전체의 본질이 ‘거주’에 의해 규정되기 때문이다. 어쩌면 실존보다 더 우선되어야 할 것이 거주일지도 모른다. 인간이 거주하는 고유 공간으로서 집은 세계의 중심이고 뿌리이며, 모든 것과 관련된 중심점이다. 거주성(Wohnlichkeit)을 갖춘 집에서 안정을 누리도록 하는 것이 ‘거주하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해야 할 과제이다. This article begins with a diagnosis of modern people, as ‘der unbehauste Mensch’. The home we are talking about here is of course not as an architecture, nor as a product for sale. The meaning of home here is a dwelling space that makes me feel ‘hominess’, which gives coziness, comfortableness, and stability to us. The home indicates the domiciled place where we are stay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In this respect, the home here and homeland have the same context. ‘Homeless man’ and ‘a person who loses his or her homeland’ are understood as the same word. On the basis of this starting point, this article is an attempt to find the answer, and raise the following questions. Isn’t it true that because of focusing our gaze on the wrong direction of space, we are facing the danger of losing the meaning of dwelling? Isn’t it true that the home becomes ‘what to buy’ instead of ‘space to live’ by viewing space from the wrong point of view? Isn’t it true that real estate speculation, which has become a chronic problem in South Korea, is a pathological phenomenon caused by the space-desire of expanding one’s own living space to infinity, in a sense? Finally, isn’t it true that granting the false meaning of dwelling and space leads us to the loss of our hometown and humanity? We are already familiar with the mathematical or physical space. It is just an abstract space unrelated to human life. Because of getting used to see the space in this way, we are not able to see the existence of other understandings of space. We desperately need the space understood as a living world directly relevant to our life, as a reality that makes our grounding-attunement. Based on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space, the authentic meaning of dwelling can be established. Because a dwelling home means “having a stable space, having an original space where one can come back to in the face of the threatening world.” Due to the fact that the whole nature of human is seen as a spatial existence, dwelling is defined as meaning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human nature and space. The priority part might be dwelling rather than existence. Home as an original living space of human being is the center of the world and its roots, and it is the center of everything in relation to it. It is the assignment of the ‘dwelling person’ during his or her life to let the people stay at home with ‘Wohnlichkeit’.

      •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강영훈(Young-Hun Kang),이한석(Han-Seok Lee),도근영(Geun-Young Doe) 한국항해항만학회 2011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1 No.춘계

        본 연구는 해양플랜트 지원선 중 작업자들에게 전용거주시설을 제공하는 생활바지선 거주구공간계획에 관한 연구이다. 생활바지선의 거주구는 '작업자영역', '서비스영역', '승무원영역', '업무영역'으로 공간을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사용되고 있는 10척의 생활바지선 일반배치도(GA)를 조사하여 거주공간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해양플랜트 거주구 설계시 가장 많이 참조되는 ABS, NORSOK 등 해외선급협회에서 제시하는 해양플랜트 거주구 공간설계지침을 분석하여 생활바지선에서 거주구 공간계획에 적용하기위한 설계지침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생활 바지선 거주구 설계모델을 설정하고 모델을 대상으로 데크별 공간배치와 동선을 계획하였다. 마지막으로 거주구 설계모델의 객실, 식당, 주방, 휴게공간 그리고 위생시설 등 주요공간을 대상으로 공간계획을 실시하고 계획안을 제시하였다. 최근 국내 조선업계에서도 생활바지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거주구 공간설계기술의 부족으로 외국 설계업체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우선 한국선급협회에서 본 연구결과를 기초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계획을 위한 설계지침을 시급히 만들어야만 한다.

      • KCI등재

        알도 반 아이크의 건축에서 존재론적 공간의 성격에 관한 연구

        정세영,장용순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9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6

        Modern urban people live in a residential area that does not meet the purpose of residence. This is a loss of living space and loss of identity of urban people. Modern residential spaces are functional and economical, but we are forced to live a uniform life in them. However, even in such a change, architecture must exist so that the residents can establish relationships with the city with their identities. This study criticizes the residence problem of modern city based on Heidegger 's idea to examine the meaning of architecture through the reason of human existence. Aldo van Eyck 's architectural philosophy begins with remarks about the existence of human beings in architecture. Based on Heidegger's thinking, I linked the architectural concept of van Eyck. He formed an existential space and allowed modern people to live in the city. I analyze through examples how the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of his existence is represented by spatial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relation of space is formed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man and place, human being and others. The living space should have the identity of the resident and suggest a way to solve the modern residence problem. It is the architectural characteristic of van Eyck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space, and to create an existential space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 and architecture. This attempts to consider the purpose of living space through ontological thinking about architecture. 현대 도시에서 주택은 과잉 공급되고 있지만, 정작 도시인들은 개인의 정체성을 가진 거주공간을 찾지 못하고 있다‘ 현대의 거대도시가 정착하지 못한 유목민의 장소라고 할지라도 현대인들은 거주공간을 통해 존재를 확인한다 현대 사회가 복잡한 특성을 가지고 빠른 속도를 내며 번화하고 있다 . 하지만 이런 불안정한 삶 속에서도 각자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감으로써 존재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거주의 목적을 가지는 것은 변함이 없다 . 본 연구는 인간의 존재에 대한 사유를 통해 건축의 의미를 고찰하고자 했던 하이데거의 사상을 바탕으로 한다- 그의 거주 칠학이 건축과 어떤 상관성이 있는지 분석하고 건축적 공간에서는 어떻게 존재론적 관계가 형성되는지 알아보았다‘ 인간과 장소(대지), 인간과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공간의 관계성을 어떻게 형성되는지 분석의 틀로 삼아, 건축가 알도 반 아이크가 거주에 대한 사유를 어떻게 재해석하여 건축공간에 표현하 였는지 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그가 실현했던 공간의 관계형성으로 거주의 문제를 해결 할 수 있을지 새로운 방법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사람들이 살아가는 거주의 공간에서 대지와 주변 환경과의 장소성을 찾고, 공간과 공간간의 관계에 대해 이해하면서, 대지와 건축의 관계 안에서 거주하는 존재의 자아를 구축하고자 합을 알도 반 아이크의 건축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 거주는 곧 건축이고, 인간이 거주 하는 목적 그 자체로서 인간의 존재는 정체성을 가지고 거주해야 한다. 이 논문은 건축에 대한 하이데거의 절학적 사유로 거주공간에 대한 목적에 더욱 근본적으로 접근 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 KCI등재

        부산시 거주공간분화의 시대사적 함의

        배미애(Mi Ae Bae) 한국지역지리학회 2007 한국지역지리학회지 Vol.13 No.5

        본 논문은 부산시를 대상으로 1900년대 초(구한말)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거주지역의 불평등한 현상을 거주분화의 개념을 중심으로 사회공간적으로 분석한다. 부산은 1900년대 초 조선 전통사회의 성격을 이어받아 신분사회의 계층질서에 의한 거주선택의 제한으로 불평등한 거주공간이 형성되었다. 이후 일제에 의한 신시가지의 형성으로 기존의 한국인 거주지와 분리되는 현상을 경험하였으며 일본인과 한국인, 그리고 중국인 거주지역으로 구분되는 민족별 분화현상도 나타났다. 해방과 한국전쟁 이후 급속하게 인구가 증가함으로써 새로운 빈민거주지역이 등장하였고 이는 이후에 전개될 거주지 분화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빈민지역의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1960년대부터 실시한 정책이주는 제도상의 결점으로 인하여 큰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1990년 이후 주민의 사회경제적 지위는 주택선택에 영향을 주어 주택계층에 의한 거주지역분화를 가능하게 하였다. 중간주택계층보다는 상ㆍ하위 주택계층이 거주공간의 불평등한 분포에 큰 영향을 주었다. 맥락적이고 시계열적인 접근방법을 시도하여 거주공간의 사회공간적 불평등에 관한 인과성을 파악하려고 시도한 본 연구는 미래에 전개될 거주공간패턴을 예측하고 다른 도시들의 거주공간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This paper offers a brief overview of the historical implications of residential segregation in Busan, Korea. It first reviews the history of residence from the early 1900s to the present and the transition of residential boundary of the City of Busan. It then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segregation and the important factors in it. The social class of pre-industrial society led the inequality of residential areas around the Eubchee. The existed Korean residential areas were separated by newly built-up residential areas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fter the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and Korean War, rapid population growth made considerable slums across the City of Busan. These slums were an important factor to segregate residential areas from prosperous areas ever afterward. The socio-economic status has related to residential segrega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differential housing classes since 1990s. The historial analysis of these periods will offer an insight into how the dominant factors lead residential segregation in a specific period by promoting a more socio-economically integrated society.

      • KCI등재

        장애인거주시설 거주기준의 대안적 고찰 -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을 중심으로 -

        이승기 ( Seung Ki Lee ),서동명 ( Dong Myung Seo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集 Vol.2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거주시설 거주기준의 대안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다. 거주 기준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 장애인복지법 시행규칙에 규정되어 있으므로 동 규칙의 개선 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거주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기준을 검토하였으며, 이를 위해 1인당 시설 면적, 1실당 적정한 거주인원 및 거주 공간 및 설비에 관한 사항을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동안 장애인거주시설의 기준 상 부지를 포함한 총면적이 주요한 기준이어서, 총 공간은 넓지만 거주를 위한 공간은 협소하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와 더불어, 전통적으로 장애인 거주시설 설치에 집단적 형태의 모델을 택하면서 직접적인 거주 공간에 대한 고려가 미흡하여 개선은 요원한 상황이었다. 이러한 공간 설정은 장애인거주시설에서 생활하는 장애인이 인간적인 삶을 영위하는 데 상당한 제약요소로 작용하는 등 비인간적 기준이라는 비판이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문제 인식아래 이번 연구에서는 개별적이고 인간적인 삶이 가능한 대안을 모색하였으며, 종래 장애인거주시설의 1인당 면적 산출방식과 총면적 기준에서 벗어나, 주거의 기본 공간을 계획하고 제도화하는 방안에 초점을 두었으며, 현실적인 삶에 있어서의 주거의 쾌적성을 담보하고자 하였다. 집단적 수용형태의 거주시설이 가지고 있는 관련 공간 규정을 정비하고 거주설비에 관한 사항을 보다 발전적으로 검토하는 것도 본 연구의 주제였다. 장애인거주시설과 거주 장애인의 개별적이고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획일적인 설비기준을 요구하는 것을 지양하고,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거주 공간 외에는 시설의 목적과 방향에 따라 장애인거주시설의 관련 공간을 탄력적으로 배치하고 운영할 수 있도록 새로운 설비규정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living environments of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revision of act on the welfare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For this, it suggests that adequate floor spaces per person and living conditions need to be established for the people. It is said that the spaces for them is not sufficient to enjoy decent life as the facilities to be set models of housing for big groups do not give a decent life. To overcome this problem, this study tries to produce adequate living conditions, Furthermor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evision of the Act regarding spaces and convenient facilities regarding minimum standards for living facilities. Thus, It suggests that it needs to run related spaces by self-control of the organizations except for the must living spaces. It means that the Act will be enacted to consider people’s environments, rather than the uniformity for all facilities. It will contribute to developing the living conditions of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helping independent living in a given community they belong to.

      • KCI등재

        실내거주공간의 적용색채에 따른 감성어휘와 뇌파의 상관관계 분석

        류지선(JiSeon Ryu),이진숙(JinSook Lee) 한국색채학회 2015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9 No.3

        본 연구는 실내 거주공간의 적용 색채에 따라 거주자의 감성과 인체 반응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실내 거주공간별 적용색채에 따라 거주자의 감성평가와 뇌파측정을 실시하여 상관분석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연구배경과 목적에 따라 연구목표를 설정 후,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연구계획 방향을 모색하였다. 2) 평가대상에 적용할 색채를 선정하고 각 거주공간을 CG제작하여 평가대상을 작성하고, 감성평가어휘와 뇌파측정 지표를 선정하였다. 3) 평가대상을 통해 감성평가와 뇌파 측정을 실시하여 측정된 데이터 결과는 SPSS를 통해 감성어휘와 뇌파와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각 거주공간의 적용 색채에 따른 감성과 인체반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각 공간별 적용색채에 따라 상관성이 가장 높은 뇌파 지표와 어휘들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주방공간의 Yellow색채 적용 시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적용색채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Blue, Green, White, Yellow는 주방이며, Red는 침실로 나타났다. 공간을 기준 보았을 때는 거실과 주방은 Yellow, 공부방과 침실은 White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각 공간별 적용색채에 따라 느끼는 감성과 인체의 반응이 대체적으로 서로 비슷한 반응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성과 인체 반응이 적용공간별 적용색채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내 거주공간에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공간과 다양한 색상을 대상으로 심리·생리 평가와 분석을 실시할 것이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인체의 생리·심리의 적합성을 고려한 실내 거주공간 색채 디자인에 중요한 데이터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ith the aim of looking into the correlation between an occupant’s emotion and human body response according to the applied color to indoor living space, did correlation analysis of them by implementing an occupant’s affective evaluation and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according to applied color by indoor living space, and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First, after setting up the research objective according to research background & purpose , this study sought the direction of the research plan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e analysis of the preceding researches. 1) After selecting the color to be applied to the target of evaluation, and preparing the target of evaluation by producing each living space through CG, this study selected the words for affective evaluation and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index. 2) This study used the data result measured by conducting affective evaluation and electroencephalogram measurement through the target of evaluation for doing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affective words and electroencephalogram through SPSS, through which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 and human body response consequent on the applied color to each living space. 3)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electroencephalogram index and words, whose correlation was the highest according to the applied color to each space, taken altogether, there was the highest correlation in time of application of Yellow to the kitchen space. Taken on the basis of the applied color, Blue, Green, White, Yellow were found to be dominant in the kitchen while Red was dominant in the bedroom. Taken on the basis of space, the living room and kitchen were found to be featured by Yellow and the study room and bedroom were featured by White. This research result indicates that the emotion and human body response according to the applied color to each space were showing a mutually similar reaction on the whole.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learn that emotion and human body response varied according to the applied color by applied space. This study, on the basis of this research result, will carry out psycho-physiological evaluation & analysis targeting diverse spaces & colors instead of limiting its research scope to indoor living space, and in that case, it is thought that such research results will be used as the vital data for indoor living space color design in the light of suitability of human physiology and psychology for the time to come.

      • KCI등재

        빈곤층 거주지의 공간적 집중에 대한 연구

        박윤환(Park, Yoonhwan) 한국도시행정학회 2013 도시 행정 학보 Vol.26 No.4

        본 연구는 빈곤의 공간적 집중을 다루었던 국내 관련 선행연구들이 주목하지 않았던 기초생활수급자 인구 자료를 활용하여 빈곤의 공간적 패턴을 살펴보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정확한 소득자료를 공간적으로 미시적 수준의 분석단위에서 획득할 수 없기 때문에 빈곤층의 공간적 패턴을 분석하는 연구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본질적인 한계를 갖고 있다. 하지만 절대 빈곤에 시달리고 있는 정부의 공적부조의 대상인 기초생활수급자 집단은 제한적이나마 빈곤의 공간적 집중을 측정하고 그 현황을 살펴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별 단순히 빈곤층 인구의 비율로 지역의 빈곤 집중 현상을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 맥락을 최대한 반영한 보다 구체적이고 분석적인 거주지 분리 지표들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초생활수급자 집단을 소수집단으로, 비수급자 집단을 주류집단으로 각 각 설정한 후 거주지분리의 4가지 주요소인 균일성(evenness), 고립성(isolation), 군집성(clustering), 집중성(concentration)의 차원에서 개발된 4가지 거주지분리 지표들을 통해서 경제적 거주지분리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바탕으로 전국 251개 시군구의 빈곤층 거주지분리 정도를 탐색적으로 도표와 지도를 통해서 보여주었는데 특히 지도그리기를 통한 시각적 비교 분석을 통해서 어느 지역에서 빈곤의 공간적 집중현상이 심각한지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기초생활수급인구의 비율은 지방의 농촌지역들이 압도적으로 수도권 및 주요 광역 도시권보다 높았지만 거주지분리의 패턴은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보편적으로 가장 강력한 거주지분리 지수로 평가되는 균일성을 측정한 수정된 상이지수는 물론 노출성을 측정한 고립성 지수나 집중성을 측정한 상대적 집중성 지수에 대한 측정결과들이 모두 농촌지역들에 비해서 수도권 및 일부 광역권 도시들이 훨씬 더 심각한 빈곤층 거주지분리 수준을 보여주고 있었다. 이에 비해서 군집성을 측정한 공간적 군집성 지수는 비교적 뚜렷한 공간적 패턴을 보여주지는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residential pattern of the poor has emerged an important topic in urban research domain because of strong and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urban problems. However, prior urban literature in Korea has failed to pay scholarly attention to analysis for spatial concentration of poverty. This research aims to measure the poverty concentration at the county level(Si-Gun-Gu) and investigate how spatial pattern of the poor residence varies by the region. Given the limitation of insufficient data that fails to provide geographically micro-level poverty-related variables,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utilize the official data for the basic livelihood security recipients and measure 4 major segregation indices across the entire 251 counties in the nation with respect to spatial dimensions of evenness, exposure, clustering, and concentration.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overty rate appears to be higher in rural areas than in the metropolitan urban areas. Meanwhile, the segregation for the poor at urban areas(particularly in Seoul metropolitan region) tends to be more serious than rural areas although the spatial pattern for clustering index does not display similar regional variation that other segregation types commonly illustrate. Therefore, this paper tries to not only arouse the necessity of measuring the spatial concentration of poverty but confirm the possibility of applying major segregation indices in terms of capturing spatial dynamics of poverty.

      • KCI등재

        인종별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의 공간분포 특성

        민성희,안용진,박정호 국토연구원 2015 국토연구 Vol.8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patial distribution of multicultural family in Korea. This study focused on ethnic enclaves which are identified spatial clusters at the level of eup-myeon-dong by LISA analysis and binary logit regression.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patial distribution of ethnic enclaves significantly vary by their home country. Second, Chinese enclaves are generally locat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SMA) showing high residential ratio of Chinese multicultural family. Third, while Vietnamese enclaves are considerably concentrated in Daegyeong or Dongnam region, Philippine enclaves are along the west side of Korea, especially, ChungCheong and Jeolla region. Lastly, Japanese enclaves are concentrated in SMA and its surrounding areas in Gangwon or Chungnam region revealing relatively high residential ratio of Japanese multicultural family. These results are supported by binary logit analysi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establishing future policies to support social assimilatio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nhance their living conditions centered on ethnic enclaves in Korea. 본 논문은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의 출신 국가별 공간분포 특성과 밀집거주지 이주 결정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 관련 지역 공간정책수립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원시자료를 이용하여 전국 광역적 시 · 도 단위로 다문화가족의 분포 현황을 파악한 후 LISA분석을 활용해 미시적 공간단위(읍 · 면 · 동)에서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의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였고 이항 로짓모형을 이용하여 밀집거주지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광역적 수준에서 다문화가족이 형성하고 있는 밀집거주지는 출신 국가별(중국 조선족, 중국 한족 등 기타 민족, 베트남, 필리핀, 일본)로 차별화된 공간적 입지 특성을 보였다. 구체적으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형성된 중국인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는 높은 밀집 거주율을 보인 반면, 베트남 다문화가족은 대경 · 동남권에 높은 밀집 거주율을 보였다. 이외에 필리핀 다문화가족의 경우 충청권 및 전라권에 밀집거주지 분포패턴을, 일본 다문화가족의 경우 중국 다문화가족과 유사하게 주로 수도권과 인접 지역에 높은 밀집 거주율을 확인하였다. 이항 로짓모형에서의 분석도 동일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다문화사회의 진전과 다문화가족 정주화 현상의 가속화 추세를 감안했을 때, 본 연구 결과에서 제시된 다양한 다문화가족 밀집거주지 공간분포 특성과 거주지 결정요인은 향후 다문화가족의 주요 정주공간으로서 밀집거주지 관련 공간 · 지역 정책을 마련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자율주행 자동차와 거주 공간의 결합에 의한 사용성 확장에 관한 연구

        허현우,조택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2

        The current society way of living began to change according to lifestyle. Due to high cost of living space, concentration of the city and social awareness, most people do not have their own residential space. In addition, as using automobiles to transfer increases, it is necessary not only driving but to utilize leisure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on the possibility of a movable living space and to expand the usability of various spaces through combining living space with autonomous vehicle which is a technology of present and near future. As a research method published literature data and web sites of automakers were referred in order to research the concept of autonomous vehicle. Automakers are investigating behaviors other than driving and presenting concepts for long-distance travel. They show the possibility of indoor activities when driving through the interior change of autonomous vehicles. The interior of autonomous vehicle is attempting to change into a living space. Furthermore, the concept of space can be expanded by combining living space and autonomous vehicle. It seems that the concept of cars and current living space will change and combine with each other due to the spatialization of autonomous vehicles. Confined space of a car was combined with the concept of compact-but-effective houses to apply as a living space, and also it can be used as accommodation, work space, and bathroom. It can be formed as users own expanded space by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living space and the living space of an autonomous vehicle.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no longer stay in one place and live their lives but change into a nomadic life. It can be a way to use residential spac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and utilization of living space will be diversified due to autonomous driving, making possible for unconstrained living. With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spaces, it can be created anywhere according to persons lifestyle, therefore it is expected cities that becoming overdensed will become more diverse and environmental friendly. 현재 사회의 거주 방식은 삶의 방식에 따라 변하기 시작하였다. 주거공간의 높은 비용과 도시의 밀집, 사회적 인식 등으로 인해 자신의 주거공간을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 대부분이다. 또한 자동차의 이동이 많아지면서 운전만이 아닌 여가 시간의 활용을 필요로 한다. 이 연구는 현재 과학 기술 및 근 미래의 기술인 자율주행 자동차와 거주 공간의 결합을 통해 이동이 가능한 거주 공간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이를 통해 다양한 공간의 사용성 확장에 관한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발표된문헌 자료와 자동차 회사들의 자율주행 자동차 개념을 조사하기 위해 자동차 회사 인터넷 사이트들을참고하였다. 자동차 회사들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운전 외의 행위들을 연구하고 있으며 장거리 이동을위한 콘셉트들을 선보이고 있고, 이들은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 변화를 통해 이동 시 실내 활동 가능성을 보여준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실내공간은 생활 공간으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거주공간과 자율주행 자동차가 결합하여 공간의 개념이 확장 가능해 질 것이다. 자율주행 자동차의 공간화로 인해 자동차의 개념과 현재의 거주 공간의 개념이 변하고 서로 결합할 것으로 보인다. 자동차의 협소한 공간을 강소 주택의 개념과 결합하여 생활 공간으로 적용하였고 숙식, 업무, 욕실 등 자신이 원하는 공간으로 사용이 가능하므로 기존의 거주 공간과 자율주행 자동차의 생활 가능한 공간의 결합가능성으로 확장된 자신의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더는 한 군데에 머물며 삶을 사는 것이 아닌 자유롭게 노마드적인 삶으로 변할 것으로 예상한다.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거주 공간을 사용할 방안이 될수 있으며 자율주행으로 인해 거주 공간의 활용성이 다양해지고 자유로운 거주 생활이 가능할 것이다. 공간의 결합 가능성으로 어디든 자신만의 공간이 생겨나며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생활하여 과밀도화되고 있던 도시도 더욱 다양하고 환경친화적인 도시로 변할 것으로 예상한다.

      • KCI등재

        해양플랜트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구성 연구

        이한석(Han-Seok Lee),강영훈(Young-Hun Kang),도근영(Geun-Young Doe),허동윤(Dong-Yun Heo) 한국항해항만학회 2010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4 No.10

        본 논문은 해양플랜트 전용거주시설로 사용되고 있는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구성특성에 관한 연구이다. 생활바지선은 Accommodation Work Barge, Accommodation Pipe Lay Barge, Multi-purpose Accommodation Barge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Accommodation Work Barge를 대상으로 실적선 GA도면 분석을 통해 거주구 공간구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거주구 공간구성은 거주자의 생활 편리함과 쾌적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구성특성은 수평적 공간배치 보다는 수직방향에 따른 층별 공간배치에 있다. 생활바지선 거주구 공간구성은‘거주공간’,‘서비스공간’,‘업무공간’이 층별로 집중되어 나타나는‘집중형'과 각 공간이 층별로 분산되어 나타나는‘분산형'으로 구분된다. This study is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accommodation area in accommodation barge. The accommodation barge which is used as living facilities for offshore plants' workers can be classified into Accommodation Work Barge, Accommodation Pipe Lay Barge and Multi-purpose Accommodation Barge. We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accommodation area in Accommodation Work Barge, most frequently used, through analyzing G.A drawings of the barges. The spatial composition has great influences into the convenience and amenity for workers' daily life in the accommodation area of accommodation barge. The spatial composition of accommodation area shows many characteristics not in horizontal arrangement on any deck but in vertical space arrangement on layers of decks. The particular types of vertical space composition can be classified into 'Centralized Type' and 'Dispersive Type'. These two types will be the basis of space planning for new accommodation bar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