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 초등학교 학생들의 거꾸로 학습 사례 분석: 가정에서의 학습 양상을 중심으로

        이은영(Eun Young Lee),옥현진(Hyounjin Ok)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1 교과교육학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미래사회를 대비한 교육방법의 하나로서 거꾸로 학습의 가능성에 주목하였다. 거꾸로 학습은 가정에서의개별 학습과 교실에서의 심화 학습으로 구성되므로 성공적인 거꾸로 학습을 위해서는 가정 학습에 대해서도 상당한 관심을기울일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소재 한 초등학교 교사와 학부모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초등학생들이 교실과 가정에서 거꾸로 학습을 수행하는 양상, 거꾸로 학습 과정에서 학부모의 지원 양상, 거꾸로 학습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 거꾸로 학습 개선을 위한 학부모의 요구 등에 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들은 거꾸로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녀의 거꾸로 학습에 대한 학부모의 지원 양상 및 지원 수준은 가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는데, 여기에는 부모의 양육 태도나 자녀의 수 등이 영향을 미쳤다. 학부모들이 자녀들의 거꾸로 학습을 지원하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은 정보 접근의 어려움, 자녀와 부모 간에 학습이나 과제의 충실도에 대한 인식 차, 시간의 제약, 다자녀 가정의 어려움 등으로 요약되었다. 학부모들은 거꾸로 학습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면서도 거꾸로 학습의 개선을 위해 필요한 부분들을 여러 측면에서 제안해 주었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학교현장에서 거꾸로 학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부분과 거꾸로 학습의 개선을위해 필요한 학술 논의의 주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possibility of flipped learning as one of the educational methods for the future society. Since flipped learning consists of individual learning at home and deep learning in the classroom, it is necessary to pay considerable attention to learning at home for more successful flipped learning. In this study,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teachers and parent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data was collected and analyzed on the aspec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forming flipp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nd at home, parental support patterns in the flipped learning process, parents perceptions of flipped learning, and parental demands for learning improvemen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experienced various difficulties in the process of performing flipped learning, parents support patterns and levels of support for their children s flipped learning differed depending on parenting attitudes and the number of children. The difficulties that parents faced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their children s flipped learning were summarized as difficulties in accessing information,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children and parents about the fidelity of learning or tasks, time constraints, and difficulties in families with multiple children. Parents evaluated the flipped learning positively in general but they suggested room for improvement in flipped learning from various aspec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last part of the study looked into the parts to consider in the process of planning and implementing flipped learning at school and the topics of academic discussion necessary for the improvement of flipped learning.

      • 영어 말하기 수업에 적용한 거꾸로 학습: 학습자 내적 변인을 고려한 효과 검증

        최문홍,김수진 전남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41 No.2

        거꾸로 학습은 최근 들어 다양한 교과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영어교육 분야에서도 그동안 거꾸로 학습의 이론적 배경과 현장 적용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는데, 대부분은 초중등학생의 읽기 능력에 초점을 둔 나머지 여타 학습자 집단과 언어기술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 연구는 거꾸로 학습을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말하기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전통적인 방식에 비해 더 효과적인지를 검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관련 변인들을 조사하여, 학습 환경적 변인인 거꾸로 교실이 학습자 내적 변인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열 두 명의 성인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이 총 24차시 12주 동안의 연구수업에 참여하였다. 이들 중여섯 명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교실에서 면대면 강의를 수강하였고, 다른 여섯명은 강의 자료는 수업 전에 시청한 다음 수업 시간은 주로 다른 동료 학생들과 강의 관련 활동이나 과업을 수행하는 거꾸로 교실에 배정되었다. 두 집단에서 유사한 학습자 변인을 가진 학생들의 사전평가, 직후평가, 사후지연평가 성적을 비교하였으며, 관찰일지를 통해 수업 중 행동에 있어서 두 집단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 변인과 큰 상관관계 없이 거꾸로 학습이 면대면 강의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으며, 거꾸로 학습 집단의 경우 면대면 강의를 받은 학생들과는 달리 학습한 내용 연결 짓기, 응용/확장성 질문하기, 자기 주도적으로 교실활동 제안하기 등과 같은 행동을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 KCI등재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versus traditional lecture in Victimology course

        Young Lim Lee(이영림),Kwon Cheol Lee(이권철)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본 연구는 피해자학이라는 사회과학의 교과목에서 거꾸로 학습 방법의 효과성과 학생 특성에 따른 차별적 영향의 검증에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2017년 봄 학기에 실시한 피해자학 강의에서 거꾸로 학습과 전통적 강의방식, 두 형태로 수업이 나뉘었고, 일주일에 3시간 강의로 15주 동안 진행되었다. 거꾸로 학습 수업은 2시간 비디오 강의와 1시간의 교실 수업으로, 전통적 강의 수업은 3시간의 교실 수업으로 이루어졌다. 두 수업은 형태만 다를 뿐 배우는 내용은 같았고, 3번의 퀴즈와 1번의 기말고사로 학업성취도를 측정했다. 거꾸로 학습을 수강한 학생들 (N=55)과 전통적 강의방식을 수강한 학생들 (N=34)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를 비교하였다. 거꾸로 학습과 전통적 강의방식에서의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를 비교하기 위해, 그리고 학생의 특성에 따른 거꾸로 학습의 차별적 영향을 검증하기 위해 ANCOVA와 t-test를 사용하였다. 피해자학을 수강한 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를 거꾸로 학습과 전통적 강의방식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진행된 본 연구는 거꾸로 학습이 전통 학습보다 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만족도 모두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학생, 저학년 학생 및 학업성취도 부족학생에게 더 효과적임을 나타내고 있다. 거꾸로 학습은 사회과학 분야의 수업에서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 교수법은 각각의 차별적 특성을 가진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방식으로 적절하게 변형되어 적용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classroom in social science courses and whether, and how,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is effectiveness. We applied flipped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to a victimology course taught in the spring semester of 2017. The victimology course consisted of 3 hours per week and lasted for 15 weeks. The flipped classroom consisted of 2 hours video lecture and 1 hour face-to-face lecture, whereas the traditional classroom consisted of only 3 hours face-to-face lecture. In both classrooms, teaching materials were identical and students were tested 3 quizzes and 1 final exam. We compared the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flipped classroom (N=55) to those of students in a traditional classroom environment (N=34). ANCOVA and t-test were performed to compare academic performances and students satisfaction between flipped and traditional classroom as well as the effect of students characteristics in flipped learning.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in the flipped classroom performed better and were more satisfied relative to those taught in a traditional classroom. Moreover,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lipped classroom was more effective for male students, lower academic year students, and individuals who are poor in academic performance. We concluded that the flipped classroom can improve student performance even for social science courses, and this model should be applied appropriately in ways that are most beneficial for studen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 KCI등재

        사회과 거꾸로 교실 수업 모형 개발

        전희옥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4 사회과교육연구 Vol.21 No.4

        Using method of flipped classroom model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has been studied in this pape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to use method of flipped classroom model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for making all student best learner. In order to get my purpose of this study, firstly, definition of flipped class and needs of utilization of flipped classroom strategy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was discussed. Secondly, student-centered learning as a logical basis of flipped classroom model was described in detail. Thirdly, Using case of flipped classroom model case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was developed and introduced in this article. Fourthly, implications of using flipped classroom strategy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were suggested. Finally, I suggest that systematic agencies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members of public schools have to make and spread ‘video lectures’ for the purpose of use effective flipped class strategies in the social studies instruction. 이 연구의 목적은, 사회과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을 활용하는 방법을 탐색하여 제시함으로써 오늘날 사회과 수업이 안고 있는 표준화·획일화에 따른 학습자 간 학습 격차문제를 극복하고 모든 학습자들의 학습효과를 증진하도록 돕는데 있다. 거꾸로 교실은 토론·탐구 등의 과제 활동을 교실에서 주로 하고, 개념·이론은 온라인 강의 시청을 통하여 습득함으로써 교실 수업을 더욱 학습자중심 수업이 되게 하는 데 기여하는 미래형 수업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사회과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 수업 사례 개발의 일환으로 ‘거꾸로 교실’ 개념 정의 및 사회과교육에서 거꾸로 교실 활용의 필요성, 거꾸로 교실의 논리적 기초로서 학습자-중심 학습 이론, 사회과 거꾸로 교실 활용 사례 개발, 사회과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 활용의 의의 등이 제시되었다. 거꾸로 교실의 활용은 적은 수업 배당 시수에 비하여 ‘학습내용이 과다하고 어려운’ 사회과 수업의 문제를 해결하고 학습자의 학습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대안적 수업 모델이다. 사회과 수업에서 거꾸로 교실의 원활한 적용을 위한 선결 조건은 관련 기관과 학교 단위 교사 학습 공동체의 동영상 강의 개발·보급, 거꾸로 교실을 운영할 수 있는 교사 전문성 육성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한 계속적인 이론·실천 연구와 이에 대한 제도적 장치 마련이 요청된다.

      • KCI등재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Model in an EFL Speaking Class for Adult Learners

        김수진(Sujin Kim),최문홍(Mun-Hong Cho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4

        거꾸로 학습은 최근 들어 다양한 교과 영역에 적용되고 있다. 영어교육 분야에서도 그동안 거꾸로 학습의 이론적 배경과 현장 적용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는데, 대부분은 초중등학생의 읽기 능력에 초점을 둔 나머지 다른 학습자 집단과 언어기술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 연구는 거꾸로 학습을 성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말하기 수업에 적용하였을 때 전통적인 방식에 비해 더 효과적인지 알아볼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특히 학습자 개개인의 학습 관련 변인들을 조사하여, 학습 환경적 변인인 거꾸로 교실이 학습자 내적 변인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 살펴보고자 했다. 열두 명의 성인 한국어 모국어 화자들이 총 24차시 12주 동안의 연구수업에 참여하였다. 이들 중 여섯 명은 전통적인 방식으로 교실에서 면대면 강의를 수강하였고, 다른 여섯 명은 수업 전에 강의 자료를 시청한 다음 수업 시간은 주로 다른 동료 학생들과 강의 관련 활동이나 과업을 수행하는 거꾸로 교실에 배정되었다. 두 집단에서 유사한 학습자 변인을 가진 학생들의 사전평가, 직후평가, 사후지연평가 성적을 비교하였으며, 관찰일지를 통해 수업 중 행동에 있어서 두 집단이 서로 어떻게 다른지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학습자 변인에 상관없이 거꾸로 학습이 면대면 강의에 비해 더 효과적이었으며, 거꾸로 학습 집단의 경우 면대면 강의를 받은 학생들과는 달리 학습한 내용 연결 짓기, 응용/확장성 질문하기, 자기주도적으로 교실활동 제안하기 등과 같은 행동을 보였다. In line with the growing interest in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as an alternative pedagogy to the traditional present-practice-produce model of English language teaching, this study investigated its effects on adult learners’ development in oral proficiency. Twelve intermediate-level Korean learners of L2 English participated in an intensive language course comprised of 24 sessions for a three-month period; six of them were assigned to a traditional group where they learned in a typical teacher-centered classroom setting while the other six participated in flipped learning. Learners with similar backgrounds and attitudinal profiles were chosen as a focus group and their achievements and classroom behaviors were compared in pair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students in the flipped class outperformed their counterparts in the traditional class on both immediate and delayed post-tests. The flipped class also demonstrated some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at were not observed in the traditional class, such as connecting prior and current discussions, formulating more elaborated and personalized questions, and exercising autonomy by proposing discussion topics.

      • KCI등재

        전문대학 예비 영유아교사들의 거꾸로 학습 수업경험에 대한 탐색

        강경아(Kang, Kyung-A)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22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전문대학 예비 영유아교사들의 거꾸로 학습 수업경험에 대해 탐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대전시에 위치한 전문대학에서 2021년 1학기에 총 15주 중 9주 동안 거꾸로 학습 방식이 적용된 ‘영유아발달’ 교과목을 수강한 학생 38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서술형 질문지, 성찰 저널, 면담, 교수 저널 등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여 분석했다. 연구결과 첫째, 학생들은 거꾸로 학습을 접하며 기대감과 걱정을 나타냈다. 둘째, 학생들은 거꾸로 학습의 수업전 활동 과정에서 미리 학습해야 한다는 부담, 수업전 학습량에 대한 부담, 온라인 환경의 문제, 집중의 어려움, 즉각적인 소통의 어려움 등 다양한 부담과 어려움을 경험했다. 셋째, 학생들은 시간을 관리하고, 나만의 노트 정리법을 개발하고, 온라인 환경에 적응하고, 집중력 향상을 위한 환경을 조성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등 나만의 학습전략을 만들어 가는 경험을 했다. 넷째, 학생들은 수업을 부담스럽게 느끼지 않고, 공부에 재미를 느끼고,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만족감과 뿌듯함을 느끼고, 자신에 대한 반성을 하는 등 능동적으로 학습하는 경험을 했다. 본 연구는 거꾸로 학습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능하게 하고, 전문대학에서 거꾸로 학습을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기초자료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flipped learning class experience in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38 students who took the‘Infant and child Development’subject course where flipped learning method was applied, for 9 weeks out of total 15 weeks, in the 1st semester of 2021 in junior colleges located in Daejeon. The collected data included descriptive questionnaires, reflection journals, interviews, and teaching and learning journals, which were encoded for analysis. As a result, first, students showed expectation and worry while encountering flipped learning. Second, students experienced various burdens and difficulties including burden of having to learn in advance in the process of pre-class activities of flipped learning, burden with pre-class learning amount, online environment problems, concentration difficulties, and difficulties in instant communication. Third, students experienced making their own learning strategies: managing time, developing their own note taking method, applying into online environment, creating an environment for improving concentration, asking for help, etc. Fourth, students experienced active learning. They felt no burden with taking classes, felt fun with studying, participated very actively, felt satisfaction and pride, and reflected on themselves.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nabled us to have deep understanding of flipped learning and prepare primary data for applying flipped learning effectively.

      • KCI등재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에 따른 온-오프라인 융합 학습활동을 통한 학습 효과 분석

        신명희 한국융합학회 2018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strategy, which is an online offline convergence learning strategy becoming a hot issue, on students' learning styles..Ultimately, the goal is to analyze the academic achievements and learning attitudes by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strategy considering the preferred learning styles of Korean students. By assuming that Korean students are accustomed to traditional lecture class, it is assumed that the students would have difficulty in applying the flipped learning strategy which involves information gathering and problem solving through discussion. In order to analyze whether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strategy is effective, it is necessary to identify students' preferred learning style and to develop appropriate teaching strategies accordingly. 본 연구는 최근 핫이슈가 되고 있는 온라인 오프라인 융합 학습전략인 거꾸로 학습 전략이 학습자들에게 학습의 효과가 있을 것이라는 가정 하에 거꾸로 학습 전략을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 적용하여 대학 교양 영어 학습자들의 학습 스타일 및 학업수준에 따른 학업 성취도와 태도의 차이를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학업 성취도 분석을 위해 실험 전 진단 평가와 실험 후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여 비교 분석하였고, 학습태도는 크게 동기, 선호, 가치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학습자의 학습 스타일을 고려한 거꾸로 학습 전략 적용은 학습자들의 학업 성취도에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지 않았지만 학습 태도에는 의미 있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대학 교양 영어 수업에 있어서의 거꾸로 학습 적용은 학습자들에게 학습에 대한 동기 부여를 줄 수 있고 수업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학습 전략임을 시사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적합한 수업 구성 및 전략을 제고하는데 연구의 가치가 있다.

      • KCI등재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실행에 대한 비평적 분석

        홍기칠(Hong KiChil) 한국교육방법학회 2016 교육방법연구 Vol.28 No.1

        This study suggests effective improvement strategies based on critical analysis on implementing the ‘flipped classro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n-line instruction outside of classroom should not only contain the key contents or information that students will learn through the off-line instruction, but also contain cues from which students can make constructive questions and critical thinking. Second, teachers for the ‘in-classroom’ learning should make model, coach, and scaffold learning activities to individuals or small groups of students based on the key contents and constructive questions made from the on-line learning ‘outside of the classroom’ in order for the students to be able to constitute advanced construction of knowledge and logical thinking. Third,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suggest effective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as well as guidelines of learning assessment and support necessary finance. Fourth,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revitalize the formation of leaning communities and networks in which teachers can voluntarily participate and share informations on the application of the ‘flipped classroom’. Fifth,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improve classroom environments and upgrade on-line systems of the ‘flipped classroom’ and provide such system from which students and teachers can use smart devices and make videos effectively. Sixth,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provide the teachers standard videos for the ‘flipped classroom’ such as videos or documents files through EBS or EDUNET. Seventh, teachers should develop strategies, such as quiz, online discussion, project learning, and discussion of the key contents, to motivat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learning through watching the on-line video lecture of the ‘flipped classroom’. Finally,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develop activities, such as broadcast program, demonstration classes, and formation of network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so that parents can get various knowledges and experiences on the ‘flipped classroom’. 본 연구의 목적은 지금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거꾸로 교실에 관한 선행연구를 비평적으로 분석하여 실행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거꾸로 교실 실행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실 밖’ 온라인 강의내용은 ‘교실 안’의 오프라인 심화학습활동과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학습에 필수적인 핵심개념이나 정보를 제공할 뿐 아니라 수준별 탐구질문과 논리적 사고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단서가 포함되어야 한다. 둘째, ‘교실 안’의 학습활동은 ‘교실 밖’의 온라인 동영상 내용의 핵심개념과 탐구질문을 기반으로, 논리적 사고와 심화된 지식구성이 가능하도록 교사가 개별적으로 혹은 소집단별로 수행활동을 모델링, 코칭, 스케폴딩 해야 한다. 셋째, 교육당국은 거꾸로 교실 적용을 위한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사연수 프로그램과 학습평가기준을 마련하고 필요한 재정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육당국은 교사들이 자발적으로 거꾸로 교실 적용을 위한 학습 커뮤니티나 네트워크를 조직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야 한다. 다섯째, 교사와 학생들이 동영상 제작과 스마트 기기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과 장비를 지원해야 한다. 여섯째, 교사가 수업동영상을 직접 제작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다른 교사들이 만든 수업동영상이나 EBS 강의 동영상 혹은 에듀넷의 사이버가정학습용 동영상이나 문서파일 등 표준화된 동영상을 제공하고 스마트러닝과의 연계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학생들이 동영상 강의를 흥미 있게 시청하도록 퀴즈풀이, 개별적 모임활용, 개별화된 수업시간관리, 온라인 토론방 활용, 프로젝트 학습, 주요 개념의 설명 등의 동기유발 방안을 개발해야 한다. 여덟째, 거꾸로 교실 실행 전에 학생들에게 거꾸로 수업방법의 장단점, 수업절차, 학습자 역할, 유의점 등을 충분히 안내해주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학부모를 대상으로 거꾸로 교실에 관련된 지식과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 수업공개, 교사-학부모 네트워크 구성 등 다양한 활동을 연계해야 한다.

      • KCI등재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학습지도에 관한 연구

        김환철,강순자 한국학교수학회 2017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Vol.20 No.4

        교사가 수업에서 느끼는 큰 어려운 점 중의 하나는 배우고자 하는 의욕과 동기를 상실한 학습부진아를 수업에 참여시키는 것이다. 수학학습부진아는 평균 혹은 평균 이상의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교사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학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느낀 학생들이다. 이 학생들에 대한 수학학습지도 전략은 수학학습에 대한 동기를 부여하고 수학에서의 학업 성취도의 향상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수학학습 부진아들의 기초수학 학습지도 전략방안으로 거꾸로 교실 수업을 선택하고 이를 수학학습부진아 수업에 적용한 후 이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서의 변화를 분석함으로써 수학학습 부진아에 대한 거꾸로 교실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기초수학 학습 지도 후 수학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유의미한 변화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거꾸로 교실을 활용한 수학학습부진아의 기초수학 학습 지도 후 수학에 대한 자신감, 융통성, 의지력, 호기심, 반성, 수학적 가치의식 등 수학적 성향에서도 유의미한 긍정적 변화가 있었다. 특히, 수학의 가치에 대한 생각과 수학문제 풀이에 대한 의지 부분에서 가장 두드러진 변화를 보였다.

      • KCI등재

        국어과 거꾸로 교실(Flipped Classroom)의 적용 가능성 탐색

        진용성,김병수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7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Classroom to the Korean language classroom. First, the concept of Flipped Classroom and attributes, dealing with the specific context of the Flipped Classroom, and discussed the need for Flipped Classroom in language classes. And discuss ways to overcome dilemmas for the classroom, and to explore the significance. Flipped Classroom is a teaching strategy to enhance the learning of individual learners. Its main characteristic is the learner learning through the media outside of the classroom, inside the classroom interaction through discussion and debate. The learner and the teacher's role are different with traditional teaching. Flipped Classroom in korean language classroom emphasizes the students' individuality and mutual negotiations and, learner-centered language teaching. However, many of the ambiguous of teacher roles, relationships neglected by emphasis on education Engineering, such as difficulties in activities of Korean language class. To compensate for this, the principal language of instruction is learner-centered educational philosophy must first internalize and practice, and teacher should enhance the expertise that can be deployed in a variety of roles in the classroom. Second, take advantage of the classic literature, children's literature such as actively as a media for learning outside the classroom, and learning about the critical reading of the media should also be supplemented. Third, it combines the Havruta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teaching. 본고의 목적은 국어과 거꾸로 교실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먼저 거꾸로 교실의 개념과 특성, 거꾸로 교실의 구체적인 맥락을 다루고, 국어수업에 거꾸로 교실 수업의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거꾸로 교실에 대한 논쟁점과 국어수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딜레마의 극복방안 등을 논의하고, 국어과 거꾸로 교실의 의의를 탐구하여 국어 수업에서의 적용가능성을 탐구 했다. 거꾸로 교실은 개별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수업 전략이다. 그 주된 특성은 교사중심의 교과내용의 전달을 교실 수업 바깥에서 학습자가 매체를 통해 학습을 하고, 교실 안에서는 학습자간 혹은 교사와 상호작용하며 배움의 내용을 토론과 토의 등을 통해서 정교화 하는 학습을 하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학습자와 교사의 역할 등은 기존 전통적 수업과 다른 양상도 보이게 된다. 국어 수업에서도 거꾸로 교실을 통해서 학생들의 개별성을 강조하고, 상호교섭적이고, 언어의 총체성와 창조성이 나타나는 학습자 중심 국어수업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가르침의 본질과 관련된 교사 역할의 불분명성, 교육공학의 강조로 인한 관계의 소홀, 학교 급에 맞는 국어과 수업 내 활동 구성의 어려움 등이 거꾸로 교실을 실제 국어 수업에 적용할 때 도출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난제들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첫째, 학습자 중심의 국어교육 철학을 수업 주체가 먼저 내면화하고 실천해야 하며, 수업 속에서 다양한 교사 역할을 전개할 수 있는 전문성을 고양해야 한다. 둘째, 인문고전과 아동문학작품 등을 교실 바깥 배움을 위한 매체로 적극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매체의 비판적 읽기에 대한 학습도 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하브루타식 교육법을 국어수업에 융합해서 국어과 수업 내 활동 구성을 적합하게 전개할 수 있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