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객체지향프로그래밍 언어 교육방법에 관한 연구

        최세일(Se Ill Choi) 한국전자통신학회 2016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1 No.8

        자바를 비롯한 객체지향 언어를 쉽게 배우기 위해서는 그 언어가 제공하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기능만을 습득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먼저 프로그래머 자신이 객체지향적 사고를 해야 한다. 그러나 객체지향 개념이 없는 한국어에 길들여진 한국 학생들이 객체지향적 사고를 한다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따라서 한국인 학생들에게 객체지향 언어를 교육할 때는 객체지향적 사고에 기반 한 프로그래밍 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언어를 교육할 때, 먼저 객체지향적 사고 전개 방법을 설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그렇게 전개한 사고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프로그래밍 언어를 교육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Object Oriented Programming Languages including Java require Object-oriented thinking first for programming. However, for Korean students it is not easy since they are fully accustomed to Korean language which does not have the Object-oriented concept. This paper proposes a way of teaching the Object Oriented Languages to Korean students. It explains first how to organize our thoughts in Object-oriented way, and then how to express the thoughts with the languages.

      •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객체지향 모델링 : OMOS(Object-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Method for Object-oriented software System)

        최성운,Choi, Sung-Woon 한국정보처리학회 2001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8 No.4

        객체지향 모델은 구조적 모델에 비해 모듈성, 재사용성, 유지보수성, 확장성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유로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들을 정보 시스템 개발에 광범위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의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들은 목적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객체지향 모델링을 지원할 뿐, 방법론 그 자체는 구조적 및 절차적 체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을 객체지향적으로 모델링한 OMOS(Object-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Method for Object-oriented software System)를 제시한다. OMOS에서는 개발 산출물과 관련된 활동이 객체로써 모델링 되며, 개발 생명주기 프로세스가 객체간의 상호작용으로 모델링 된다.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의 객체지향적 모델링은 방법론 자체의 재사용성, 유연성, 확장성, 유지보수성의 용이성 등의 장점을 제공한다. Object-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methods are used to develop object-oriented software systems. Object-oriented systems are believed to habe better modularity, reusability, maintainability, and extensibility than systems modeled in conventional methods. Current object-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methods, however, are modeled in terms of procedural, functional, and structural models. There models cause problems such as tight coupling among activities, and uncontrolled access to global artifacts. In this paper, were introduce OMOS(Object-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Method for Object-oriented software System), an object-oriented modeling of object-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methods. Artifacts and their related activities are modeled as classes and objects. Development lifecycles are modeled as interactions among the objects. By modeling the software development method in an object-oriented way, OMOS achieves better reusability, flexibility, extensibility, and maintainability.

      • KCI등재

        객체지향 시스템에서 SOA서비스로의 전이 기법

        김지원,라현정,김수동,Kim, Ji-Won,La, Hyun-Jung,Kim, Soo-Dong 한국정보처리학회 2010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7 No.1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OA)는 독립적으로 실행가능하며, 외부 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접근 가능한 서비스를 재사용하는 개발 패러다임이다. 서비스는 기존의 객체 또는 컴포넌트와 다른 특성을 보유하고 있고, 다수의 서비스 소비자들이 재사용할 수 있는 공통적인 기능을 제공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런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기법 연구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SOA 방법론은 서비스 요구사항에서부터 서비스를 새롭게 개발하는 기법인 Top-down 접근법을 제안하고 있어 서비스 개발에 비교적 많은 비용과 노력이 요구된다. 그리고, 많은 기업들은 객체 지향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기존의 객체지향 시스템에서 SOA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도출하는 기법에 대한 수요가 크다. 객체 지향 시스템은 단일/특정 요구사항을 고려하여 개발되는 반면에, SOA 서비스는 다수의 소비자들의 공통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하기 때문에. 간단한 매핑 과정을 통하여 객체 지향 시스템을 SOA 서비스로 전이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체지향 시스템의 다양한 산출물과 SOA 서비스의 주요 산출물간의 매핑 관계를 정의하고, 재사용성을 고려하여 객체지향 시스템을 구성하는 다양한 모델들이 서비스의 주요 산출물로 전이되는 체계적인 기법을 제안한다. 각 기법은 입/출력 산출물 간의 관계와 순서화된 상세 절차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보다 쉽게 객체지향 시스템을 서비스로 전이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Service-Oriented Architecture (SOA) is a development paradigm for reusing services as an independent reuse unit. A service delivers a cohesive functionality through its external interface. Since services have unique characteristics which are not typically presented in conventional development approaches, there is a demand for effective approaches to developing services. Most of the current SOA methodologies presenta process where services are designed and developed from the requirements rather than reusing existing assets, which demands high cost and effort. Hence, a desirable approach is to be able to develop services by migrating from their existing legacy systems such as object-oriented system. A difficulty in this migration is that objects in object-oriented systems reveal characteristics which differ considerably from those of services. That is, objects are designed without considering commonalities among several consumers. In this paper, we first define mapping relationships between key artifacts in object-oriented system and those in SOA services. By these relationships and considering commonalities among several applications in a domain, we propose three systematic methods to migrate from object-oriented system to SOA services. Each method consists of a list of input and output artifacts and detailed guidelines which are performed in order. Through these methods, service developers can easily develop services with less effort.

      • The Effects Of Structured Methods On Object Orientation : A Knowledge Interference Prospective

        김인재,정덕훈,Kim, In-Jai,Jeong, Duke-Hoon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2002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9 No.5

        새로운 정보기술의 생명주기는 점점 작아지고 그 기술이 점차 복잡해짐에 따라 그 기술을 이해하기가 어려워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객체 지향 기술의 채택에 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객체지향 기술이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프로세스 기술과는 다른 패러다임의 기술이기 때문에 프로세스 중심의 구조지향 기술로부터 영향을 받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구조지향 방법이 객체지향 방법론에 미치는 지식간섭 현상을 일종의 2$\times$2 팩토리얼 유사 실험계획법을 사용하여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조지향 방법론과 객체지향 방법론을 사용한 기간을 2개의 독려변수로 선택하였고 객체지향 방법론에 대한 사용 편의성을 1개의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자료는 현재 활동중인 구조지향 및 객체지향 방법론에 모두 경험이 있는 자료처리와 관리협회(DPMA : Data Processing and Management Association) 회원으로부터 수집하였다 최종 결과는 구조지향 방법론의 경험이 객체지향 방법론의 사용편의성에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연구과제로 문화가 다른 국가에서 유사한 연구 수행한 후에 그 결과를 비교하는 것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The life cycle of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is getting shorter, and the technologies are becoming more complex and difficult to understand. The need to better understand adoption of object orientation motivates this paper. Adoption of object orientation should certainly be influenced by prior software process technologies, such as the process-oriented structured methods, because object orientation is considered to be a paradigm shift from conventional software process technologies.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knowledge interference of the structured methods with object orientation. A two factorial quasi-experimental design is set forth. The period of experience using the structured methods and the period of experience using object orientation are selected as two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perceived ease of use is chosen as one dependent variable. Data are gathered from active members of Data Processing Management Association (DPMA), who have experiences in using both the structured methods and object orientation. The final results empirically show that previous experience using the structured methods negatively influences the perception of using object orientation that is one of critical factors to technology adoption. It is suggested here that a future study dealing with the same research topic in other countries will provide new insights about comparative studies.

      • KCI등재

        팬데믹 이후 메타버스에 재현된 자율성에 관한 소고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을 중심으로-

        권아람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3

        코로나19 팬데믹의 영향으로 메타버스의 기술적·유형적 분석을 시도하는 연구들이 제시되었으나 보다 본질적인 정의를 도출하는 인식론적 관점의 연구 결과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팬데믹 이후 메타버스에 나타난 현상들을 그레이엄 하먼의 객체지향존재론을 통해 살펴보며 예술의 자율성을 논의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은 객체지향존재론의 이론적 틀에 입각해 메타버스와 사용자가 관계하는 양상에 대한분석을 시도하는 것이다. 본문에서는 사변적 실제론이 인간중심주의를 탈피하고자 주장한 평평한 존재론과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주체가 가지는 비위계성이 맞닿는 지점을 서술한다. 객체지향존재론은 인간중심주의적인 이원론적 사고를 기피하고 인간과 비인간을 동등한 존재자인 ‘객체’로 간주한다. 그리고 객체와 성질의관계로 이루어진 네 겹 객체를 통해 세계를 파악하는 틀을 제시한다. 그의 이론에 의하면 메타버스는 정의에 닿을 수 없는 ‘실재 객체’이며 또 다른 ‘실재 객체’인 사용자가 로블록스, 제페토, NFT와 같은 ‘감각 객체’ 에서 ‘즐거움’, ‘흥미로움’과 같은 ‘감각 성질’을 겪음으로써 미적 경험이 이루어지고 예술로서 자율성을 얻게된다. 즉, 사용자는 네트워크에 접속하며 플랫폼 서비스와 아바타를 이용하고, 그 과정에서 경험하는 감각적성질들은 메타버스라는 실재 객체를 이해하기 위한 단서로 작용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유물론적 작품과달리 메타버스는 사용자가 접속하거나 개입하지 않아도 네트워크에 상시 존재하며 하나의 생태계로 증식하며 존재한다. 플랫폼 알고리즘에 의해 NFT 작품이 창작자의 의도와 손을 떠나 자율적으로 존재하듯이 메타버스 내의 감각 객체들은 다른 비인간 객체 및 성질들과 혼성 관계하며 미적 경험을 일으킬 존재로서 지속된다. 결론적으로 하먼의 이론에 있어서 감상자는 메타버스의 감각 객체인 플랫폼에 능동적인 개입자로 접촉하고 이때 발생하는 긴장 관계로 인해 미적 경험을 얻게 됨으로써 예술의 자율성은 성립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객체지향 기반의 ITS 시스템 아키텍쳐 구축방안

        Byoungjo Yoon 한국재난정보학회 2016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2 No.1

        본 연구는 객체지향 기반의 ITS 아키텍쳐를 구축하는데 있어서 객체를 생성하는 새로운 방 법을 제시하고 있다. 우리는 객체 지향적 접근방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찾고 이를 해결 하기 위하여 작업의뢰기술도 라는 새로운 객체 생성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를 토대로 차량 내 동적경로안내 시스템에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을 적용하여 객체지향적 기반의 시스템 아키텍쳐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in-vehicle dynamic route guidance systems based upon object-oriented ITS LSA. We expect to apply efficiently for connection and expansion of systems what is more to present systems based upon object-oriented of the other ITS LSA

      • 소프트웨어 공학 : 객체 지향 설계를 위한 모듈 분해방법

        허계범(Heu Guai Bum),최영근(Choi Young Keun) 한국정보처리학회 1995 정보처리학회논문지 Vol.2 No.3

        객체 지향 설계 방법은 프로그램을 객체로 분해하고, 그들 사이의 관계를 설정하는 과정으로 기존의 시스템이 수행하는 기능 중심 방법과 달리 취급하는 객체를 중심으로 모듈을 분해하는 기법이다. 그러나 기존의 객체 지향 설계 방법은 모듈 설계 방법과 분해 기준이 모호하고 미흡하기 때문에 객체 지향 소프트웨어를 전체 시스템 단위로 구현해야 하고, 하나의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체적인 객체 설계 모델 및 응용 프로그램을 분석해야 하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객체 지향 설계를 위한 모듈 분해 기준을 정형화 하고, 이를 이용한 객체 모듈 설계 절차를 제시하여, 규모가 크고 복잡한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있어 실용성과 시스템 개발 후 유지보수를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본 논문의 모듈 분해 기준을 실 시스템에 적용한 사례를 통하여 설계 모델과 구현 모델간의 일치성을 보이고자 한다. Object-Oriented design method decomposes the program into object that establish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s. It is the technique of object centered decomposition unlike function oriented legacy system. Since existing Object-Oriented design method doesn't fully explain of the design method of module and decomposition, and need to implement the Object-Oriented software as a total system unit. It has many problems that whole object design method and application programs should be analyzed for the understanding an Object-Oriented software component.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a procedure for Object-Oriented module design and criteria of decomposition to practically support the complex and large system development. Futhermore, it shows a consistency between design model and implementation through a case study applying these module decomposition criteria to the real system.

      • 객체 지향 데이터 모델링

        김인식 慶北專門大學(영주경상전문대학) 2000 慶北專門大學 論文集 Vol.18 No.-

        Basically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 must an offered following function. Most applications are managed a considerable amount data in main memory. Consequently, DBMS must managed auxiliary memory and buffer Also supported durability of datum with application program. That is after execution of application program as it is preservation. Most active researches are Extended Relational Database System, Logic Database System and Object Oriented Database System in 5th generation Data base system. Object Oriented Database System is attention and coincide with real world. This paper analyze Object Oriented Database System Modeling, also propose a direction for progress data base modeling technique and using DBMS.

      • KCI등재

        기계학습과 품질 메트릭을 활용한 객체간 링크결합강도 분류에 관한 연구

        정성균 ( Sung Kyun Jung ),안재균 ( Jae Gyoon Ahn ),여윤구 ( Yun Ku Yeu ),박상현 ( Sang Hyun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3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2 No.10

        객체지향 설계는 상속 및 은닉과 같은 개념이 도입되어 소프트웨어 개발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가져다 주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의 크기 가 커지게 되면 이를 구성하는 객체의 수가 증가하고 이에 비례하여 상속 또는 호출과 같은 객체간 결합관계가 증가한다. 또한 이러한 객체간 결합관계는 객체지향 소프트웨어의 복잡도와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는데 다수의 결합관계는 소프트웨어의 복잡도를 높이어 결국에는 소프트웨어 품질저하로 이어지게 된다. 그래서 소프트웨어 개발 분야에서는 컴포넌트 기반의 설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객체간 결합관계를 명확히 함으로써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높이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객체 품질 메트릭을 정의, 산출하여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측정하고 이를 활 용하여 높은 품질의 소프트웨어가 될 수 있는 방법들을 찾는 연구가 함께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컴포넌트와 같은 시스템 분해 관점에서 객체 상호간 결합링크 속성의 분석을 통하여 서브시스템 분해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전까지의 연구들이 개별객체를 평가하고 수치화하여 이를 누적하는 방식이었다면 이번 연구는 소프트웨어 복잡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객체간 상호간의 링크결합관계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고 객체간 링크의 속성분석 및 결합강도 예측에 기계학습을 활용한 새로운 관점에서의 소프트웨어 분석 방법을 제안한다. Object oriented design brought up improvement of productivity and software quality by adopting some concepts such as inheritance and encapsulation. However, both the number of software`s classes and object couplings are increasing as the software volume is becoming larger. The object coupling between classes is closely related with software complexity, and high complexity causes decreasing software quality. In order to solve the object coupling issue, IT-field researchers adopt a component based development and software quality metrics. The component based development requires explicit representation of dependencies between classes and the software quality metrics evaluates quality of software. As part of the research, we intend to gain a basic data that will be used on decomposing software. We focused on properties of the linkage between classes rather than previous studies evaluated and accumulated the qualities of individual classes. Our method exploits machine learning technique to analyze the properties of linkage and predict the strength of dependency between classes, as a new perspective on analyzing software property.

      • KCI등재후보

        객체-지향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한 새만금 수자원 관리 시스템의 홍수방어 시뮬레이션 구현

        이홍로 한국지리정보학회 2003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6 No.2

        이 연구는 객체지향 지리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지리-객체와 지리-필드를 연결하는 지리-객체필드 방법을 규정하고, 수계-객체필드를 이용하여 새만금호 수량과 배수갑문수위를 조작하는 새만금수자원관리시스템의 홍수 시뮬레이션을 구현하고자 한다. 그리고 새만금 수계 수자원에 발생하는 자연현상과 인공현상을 조합하여 하나의 전체 수계-객체필드로 구성되는 객체지향 클래스 계층구조를 설계함으로써 홍수통제 알고리즘 기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동시에 UML을 이용하여 전체적인 지리-객체필드와 단계적인 부분 지리-객체필드의 클래스계층구조를 가시화하고자 하며, 각 클래스의 속성과 메소드는 ZEUS/COM과 Win32 API을 이용한 Visual Basic 6.0을 사용함으로써 각각 호환성과 재사용성 기능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 논문은 새만금수자원관리시스템을 구현함으로써 효율적인 물관리를 하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defines the prototype of the geographic-object field that links the geographic-object and the geographic-field using an object-orient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and then implements the flood simulation in the saemangeurn water resources management system that manipulates the water quantity of saemangeum lake and the height of gate using the watershed-object field. This paper combines the natural phenomena with the artificial phenomena that occurs on the water resources of the saemangeum, and designs the object oriented class hierarchy that is composed of the total watershed-object field, and then presents the algorithm for flood control. To visualize the class hierarchy of the whole geographic-object field and the partial geographic-object field, I use the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Attributes and methods of each class acquire the functional reusability and compatibility using the COM of the ZEUS and the Visual Basic 6.0 of Win32 APLs. By means of implementing the flood simulation in the Saemangeum water resources management system, finally, this paper contributes on the efficient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