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강점 활용 피드백 유형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윤정,김민정 한국교육방법학회 2015 교육방법연구 Vol.2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 order to present a strategy for enabling and examining the effect of strengths use feedback on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 project-based learning. Strengths use feedback of this study is composed of behavioral indicators in regards to focusing on learner's positive factors for performing project-based learning The Subjects were treated with strengths use feedback while performing tasks. The type of strengths use feedback were divided into peer-feedback and self-feedback. The three groups were provided with strengths use peer-feedback, self-feedback in project-based learning. Test group Class performed both strengths use peer-feedback and self-feedback; test group Class performed strengths used peer-feedback; and test group Class performed strengths used self-feedback; and control group did not perform any feedback. The experiment involved 95 university students in this study.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trengths use feedback and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proved that strengths use feedback is effective for improving project-based learning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between strengths use peer-feedback and strengths use self-feedback. This peer-feedback without self-feedback was more effective in terms of academic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stregnths use feedback let learners make the most of necessity of learning and thereby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teamwork between peers during team-based task.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젝트 기반 학습에서 강점 활용 피드백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강점 활용 피드백은 프로젝트의 협업과 관련된 학습자의 강점 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피드백이다. 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동안 강점 활용 피드백은 동료피드백과 자기피드백 유형으로 구분하여 제공되었다. 이에 따라 강점 활용 동료피드백과 자기피드백을 함께 실시하는 집단, 강점 활용 동료피드백만 실시하는 집단, 강점 활용 자기피드백만을 실시하는 집단, 아무런 피드백도 실시하지 않는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95명의 대학생들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강점 활용 동료피드백이나 강점 활용 자기피드백을 수행한 학습자들이 그렇지 않은 학습자들보다 학업성취도나 학습만족도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강점 활용 동료피드백의 유·무와 강점 활용 자기 피드백의 유·무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강점 활용 동료피드백이 학습에 필요한 강점을 활용하게 하고 팀 프로젝트 과제 수행에서 동료 간의 팀워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자기수용, 강점인식, 강점활용의 구조적 관계

        조영아,이재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8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0 No.2

        This study carried out for ve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self-acceptance,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and career adapt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survey was conducted for students who were studying at four-year university via purposive sampling. A total of 309 surveys us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SEM).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elf-acceptance of university student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the strength use of university students fully med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trength knowledge and career adaptability. Third, the strength knowledge and strength use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elf-acceptance and career adaptability. In other words, self-acceptance could effect on the career adaptability to cope with current and anticipated career related change by recognizing and utilizing one’s strength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trength use is an important mediator to positively affect career adaptabil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demonstrating the positive role of self-acceptance in the field of career development and reveal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variables influences career adaptability, especially through mediation of strength knowledge and strength use.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contained the suggestions for the utilization of the important variables such as self-acceptance, strength knowledge, and strength use to develop career adaptability which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field of career education for the university students.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진로적응력과 자기수용, 강점인식, 강점활용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을 유의표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309개의 설문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자기수용은 강점인식, 강점활용, 진로적응력에 유의미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진로적응력 간 관계를 강점활용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의 자기수용과 진로적응력 간 관계를 강점인식과 강점활용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의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받아들이는 것은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고 활용하게 하여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직업과 관련된 변화를 준비하고 대처하는 진로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강점인식이 진로적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강점활용이 중요한 매개변수가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개발에서 자기수용이 갖는 긍정적인 역할을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특히 강점인식과 강점활용을 매개하여 진로적응력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진로개발에 있어 중요한 변인이라 할 수 있는 진로적응력을 발달시키기 위해 자기수용, 강점인식, 강점활용의 개념을 진로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의 매개효과

        이정희 동북아관광학회 2016 동북아관광연구 Vol.12 No.3

        본 연구는 관광계열 전공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의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부산지역 4개 대학교의 관광관련전공학과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강점, 강점활용, 진로적응성에 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관광계열 전공 대학생 376명의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변인들 간의 관계와 매개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관광전공 대학생의 성격강점, 강점활용, 진로적응성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성격강점은 강점활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초월성, 용기 하위변인이 유의미한 영향을 끼친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관광전공 대학생들의 성격강점은 진로적응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쳤으며,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요인은 용기, 열린마음으로서의 지혜, 진실성으로 드러났다. 넷째, 관광전공 대학생의 성격강점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은 부분매개효과를가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계열 전공 대학생이 자신의 성격강점을파악하고 이를 활용하는 것을 통해 이들의 진로적응성을 효과적으로 증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을 위한 성격강점 인식과 활용에 관한 교육적 개입을통해 이들의 진로적응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evaluate the mediating effect of strengths use on the relation of Tourism Related Students’ character strength on career adaptability.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376 students from Tourism Related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Korea-Adapted Virtue Inventory of Strength(K-AVIS), Korean version of Strength Use Scale(K-SUS) and Career Adapt-Ability Scale(CAAS).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multiple–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haracter streng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rengths use and career adaptability. Second, sub-factors of character strength which were wisdom, courageousness and integrity had significantly effected on career adaptability. Finally, strengths use moderated partially on the relation between character strength and career adaptability. Limitations of current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s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강점활용과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

        이지원,이기학 한국상담학회 2017 상담학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strengths use and career identity on the association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undergraduate student’s adaptation. For this, a total of 201 undergraduates(114 males, 87 females) were asked to complete the questionnaires measuring strengths knowledge, strengths use, career identity, undergraduate student’s adaptation.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ronbach's reliability coefficient, frequency, and descriptive statistics using SPSS 23.0, and two-step approach was adopted in order to analyz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rough AMOS 20.0. In addition, the mediation effect was tested with a bootstrap procedure.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 First, the findings in a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all variabl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Second, as a result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engths knowledge showed positive effects on strengths use and career identity, strengths use showed positive effects on career identity and undergraduate student’s adaptation, and career identity showed positive effects on undergraduate student’s adaptation significantly. There were mediation effects of strengths use and career identity on the relation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undergraduate student’s adaptation. And the indirect effect was significant. These findings contribute to the understanding of the path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undergraduate student’s adaptation and highlight the important role of strengths use and career identity. Finally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for counseling practice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 수준의 관계에서 강점활용 및 진로정체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201명(남 114명, 여 87명)을 대상으로 강점인식, 강점활용,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는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 결과에 대해 SPSS 23.0을 활용하여 신뢰도 분석, 기초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0.0을 활용하여 2단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Bootstrap 방법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강점인식은 강점활용,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강점인식 수준이 높을수록 강점활용, 진로정체감, 대학생활적응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결과, 강점인식은 강점활용과 진로정체감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강점활용은 진로정체감 및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며, 진로정체감이 대학생활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즉, 대학생의 강점인식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는 강점활용 및 진로정체감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Bootstrap 분석을 통해 매개효과의 유의성이 검증되었다. 이어 본 연구 결과의 함의 및 대학생 상담 실제에서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하였다.

      • KCI등재

        기업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과 강점인식, 강점활용, 대인관계능력의 관계

        김영아,이재은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22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5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 초기경력자의 조직적응과 강점인식, 강점활용, 대인관계능력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기업 초기경력자 251명의 강점인식, 강점활용, 대인관계능력, 조직적응의 측정자료를 분석하였다. IBM SPSS AMOS 27.0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기술통계, 신뢰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인식이 조직적응과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강점인식과 대인관계능력 간 정(+)적 관계를 강점활용이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강점인식과 조직적응 간 정(+)적 관계를 강점활용이 완전매개하였다. 넷째, 강점인식과 조직적응의 정(+)적 관계에서 강점활용과 대인관계능력이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초기경력자의 강점인식이 강점활용과 대인관계능력을 매개하여 조직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즉, 초기경력자들이 자신의 강점을 인식하는 것을 통해 조직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강점활용과 대인관계능력이 중요한 매개변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초기경력자들의 조직적응을 돕기 위한 기업교육 및 경력상담 장면에서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adjustment, strength knowledge, strength us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of early-career employees.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targeting 251 people with early careers employees in companies. We analyzed 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using IBM SPSS AMOS 27.0 to reveal the hypothesi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direct effect of the strength knowledge on organizational adjustment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were not significant. Second, strength use completely medi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 knowledg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Third, the significant connection between strength knowledge and organizational adjustment is totally mediated by strength use. Fourth, strength us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had double medi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 knowledge and organizational adjustment.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empirically reveal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in which the strength knowledge of early-career employees mediates strength us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ies to influence organizational adjustment. In other words, it was confirmed that the use of strengths and improvement of interpersonal skills could be an essential mediator in order for early-career workers' strength perception to affect organizational adaptation positively. The research results presented implications and future research in training new employees and career counseling to help those with early careers to adapt to the organization.

      • KCI등재

        유아기 자녀 어머니 변인에 따른 강점활용 분석

        김선형(Kim, Sun H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10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개인 변인들과 개인강점에 따라 일상생활속에서 강점활용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부산지역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자녀를 둔 어머니 150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10일부터 일주 일간 설문조사를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최종 119명을 선정하였다. 어머니의 개인변인은 연령, 학력, 취업여부, 그리고 자녀 수를 중심으로 강점활용 정도를 살펴보았고, 어머니의 개인강점은 긍정심리학의 강점 개념을 바탕으로 범주화된 자료를 사용하였다. 강점활용정도는 한국판 강점활용척도(K-SUS)를 사용하여 강점활용노력과 강점활용맥락 측면에서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학력과 취업여부에 따라 강점활용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나, 어머니의 연령과 자녀수 변인은 강점활용정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개인강점에 따라 강점활용정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나, 집단 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를 위한 구체적 행복 지원 및 강점개발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re different in the extent of using strengths in their lives according to their social-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19 mothers having at least one child aged 0 to 5.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mothers were using their strengths in accordance with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like age, educational background, employment and the number of children. Here, those strengths were categorized based on the definition of strengths from the positive psychology. For the examination, the study used a Korean version of the strengths use scale(K-SUS) to measure how much participants were using their strengths, especially in terms of individual efforts to use those strengths and situations or contexts in which the strengths are used(Park Boo-keum & Lee Hee-kyung, 2012).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al background and employment made a difference in the extent of using strengths between mothers with young children, but age and the number of children didn t make such difference. Second, mothers with young children were individually different in the extent of using strengths, but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when those mothers were divided into groups.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re different in the extent of using strengths in their lives in accordance with thei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roviding basic information for creating programs that support the happiness and strength development of those mothers.

      • KCI등재

        강점인식이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조남근,권정희,정미예 한국청소년학회 2016 청소년학연구 Vol.23 No.3

        The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ngths use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 of strengths knowledg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 adaptability. A sample of 486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completed the Strengths Knowledge Scale, Korean version of Strengths Use Scale(K-SUS), Self-efficacy ,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PWBS), and Career Adapt-Ability Scale(CAAS). This study us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of study question established.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strengths use and self-efficacy partially du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Strengths knowledge had a direct effects on psychological well-being, also by strengths use and self-efficacy in regular sequence. Second, strengths use and self-efficacy partially dual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ngths knowledge and career adaptability. Strengths knowledge had a direct effects on career adaptability, also by strengths use and self-efficacy in regular sequence. The currant study contributed to examine psychological path of strengths knowledg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areer adaptability. Limitations of the currant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대학생의 강점인식이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적응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486명을 대상으로 강점인식, 강점활용, 자기효능감, 심리적 안녕감, 진로적응성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각 변인간의 관계와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인식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이 이중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점인식은 심리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강점인식과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이 이중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강점인식은 진로적응성에 직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강점활용과 자기효능감을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영향을 미쳤다. 즉, 강점인식의 심리적 안녕감 및 진로적응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 및 자기효능감의 이중 부분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강점인식이 심리적 안녕감과 진로적응성에 이르는 심리적 경로를 확인하는 데 기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 KCI우수등재

        우수 양궁선수의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

        박재영(JaeyoungPark),김병준(ByoungjunKim),김영숙(YoungsookKim) 한국체육학회 2018 한국체육학회지 Vol.57 No.3

        본 연구는 우수 양궁선수의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우수 양궁선수와 비우수 양궁선수의 차이를 검증하고, 우수 양궁선수의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에 대한 심층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대한양궁협회에 등록이 되어 있는 고등부, 대학부, 실업팀 양궁선수 233명이 설문에 응답하였으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양궁선수 5명이 심층면담에 참여하였다.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 질문지를 활용하여 수집된 양적 자료는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t-test와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심층면담 자료는 귀납적 내용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분석 결과는 다각도검증에 의하여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성별과 소속팀별 강점 인식 및 강점 활용수준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전과 단체전 입상경력이 있는 선수들이 입상경력이 없는 선수들에 비해 강점 인식과 강점 활용을 더욱 높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올림픽 금메달리스트들은 긍정적 경기 운영 능력 및 긍정적 심리 요인과 같은 자신의 강점을 명확하게 인식하였으며, 이를 활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경기력 향상에 도움이 되는 스포츠심리상담 프로그램 개발에 기반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여 선수 및 지도자뿐만 아니라 스포츠심리상 담사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 판단된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engths knowledge and strengths use of elite archers. Research participants for survey were 233 archers of high-school, college, and professional levels. 5 archery Olympic medalists participated in in-depth interview.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SPSS 18.0 program. In-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by inductive content analysis and the validity of results were examined by triangul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strengths knowledge and strengths use according to gender and level. Secondly, elite archers, who experienced in achieving medals at individual and team competitions, illustrated higher level of strengths knowledge and strengths use compared to non-elite archers. Thirdly, Olympic medalists perceived their strengths, such as positive competition management and positive psychological factors. Furthermore, Olympic medalists used their strengths in competitions. In conclusion, these results will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sport psychology counseling program of strength approach for athletes, coaches, and sport psychologists.

      • KCI등재

        관광전공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진로장벽과 삶의 만족에서 강점활용의 조절효과

        이정희 동북아관광학회 2018 동북아관광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관광전공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의 조절효과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강점활용의 조절효과가 성별에 따라 차이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부산지역 4개 대학교의 관광관련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장벽, 강점활용, 삶의 만족에 관한 자기보고식 설문을 실시하였다. 관광전공 대학생 376명의 결과를 바탕으로 차이분석, 상관분석,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하여 성별에 따라 조절효과가 달리 나타나는지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관광전공 남학생과 여학생은 진로장벽, 강점활용, 삶의 만족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단지,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외적장애’요인을 높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남학생은 진로장벽과삶의 만족의 관계에서 강점활용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하지 않았고, 여학생은 강점활용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나 성별에 따라 조절효과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관광전공 남학생과 여학생의 진로지도에 각기 다른 교육적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남학생의 경우는 대학생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해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을 직접적으로 낮추는 것이 효과적인데, 외적장애를 구체화하는 진로지도가 이루어질 때, 현재 삶에 대한 만족이 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여학생의 경우 강점활용의 조절효과가 확인되었으므로 교과과정과 대학생활에서 자신의 강점을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 기회들을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study was to identified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ngths-Use in the influence of tourism related students’ Career Barrier on Life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the subjects were 376 students from tourism related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Instruments used in the study were as follows: Korean version of Career Decision Scale(K-CDS), Korean version of Strengths-Use Scale(K-SUS) and Korean version of Satisfaction with Life Scale(K-SWLS).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using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Career Barrier, Strengths-Use, and Life Satisfaction by gender. Second, For males, effect of Strengths-Use did not influence the relation between level of Career Barrier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low level of Strengths-Use performed a significant role between level of Career Barrier and Life Satisfaction for females. This study is meaningful to find the role of Strengths-U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ourism related students’ Career Barrier and Life Satisfact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investigations are included in the discussion.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강점활용에 따른 양육효능감, 부모만족, 부모동기 간 차이 연구

        김선형(Kim Sun H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self-efficacy, parental satisfaction, and parent s motivation variables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strengths of th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197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o achieve the above purpose, the utilization of strength scale measures how much participants were using their strengths, especially in terms of individual efforts to use those strengths and situations or contexts in which the strengths are used. The parenting self-efficacy scale has five sub-factors; affection, everyday system organization, discipline, play, and education. The parenting satisfaction scale is single factor and the parent s motivation scale has two sub-factor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ings; First, there were analyzed with the three types of clusters according to the mother s strength utilization; low-level, middle-level, and high level group for utilization of strengths. Second, according to the mother s strength utilization cluster typ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ing self-efficacy and all five sub-factors of parenting self-efficacy; affection, everyday system organization, discipline, play, and education. Lastly, according to the mother s strength utilization cluster type,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other s satisfaction,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actors of internal motivation among the parent s motivation.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강점활용 군집유형에 따른 양육효능감, 부모만족, 부모동기 변인 간 관계를 알아보는 연구이다. 이를 위해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에게 설문을 실시하였고, 설문에 충실한 응답 197명을 최종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강점활용 정도는 강점활용노력과 강점활용맥락 측면에서 살펴보았고, 양육효능감은 애정, 일상체계조직, 훈육, 놀이, 교육 요인을 측정하였다. 부모역할만족감은 단일요인으로 측정하였고, 부모동기는 외적동기와 내적동기 요인으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첫째, 유아기 자녀 어머니의 강점활용 정도에 따라 세 그룹의 군집유형이 도출되었고, 군집유형의 특징을 고려하여 ‘강점활용 상위집단’, ‘강점활용 노력집단‘, ’강점활용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어머니의 강점활용 군집유형에 따른 양육효능감의 하위요인별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애정, 일상체계조직, 훈육, 놀이, 교육의 다섯 요인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강점활용 군집유형에 따라 어머니의 부모만족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부모동기 중에는 내적동기 요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