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감마선 조사가 왕담배나방(Helicoverpa armigera (Hṻbner))의 발육과 생식에 미치는 영향

        정순오,김준헌,장신애,박정규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4 No.04

        왕담배나방은 파프리카 및 고추에 문제시 되는 해충이다. 농산물 수출입 검역 시 주로 메틸브로마이드(MB)를 훈증제로 사용하고 있으나, MB의 사용이 규제됨에 따라 대체요법이 시급한 실정이다. 국외에서는 방사선조사를 포함한 감마선 조사가 의료, 반도체 산업, 식품 제조업 뿐 만 아니라 농산물 검역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감마선 선량(0, 50, 100, 200, 300, 400Gy)에 따른 왕담배나방의 발육과 산란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여, 추후 감마선 사용에 대한 가이드 라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왕담배나방의 알에 감마선 조사를 했을 경우, 산란 후 시간 경과에 따라 방사선 감수성이 달라지며, 감마선 선량이 높아질수록 부화 및 성장이 억제되었다. 산란 후 24시간 이하의 알의 경우, 200Gy이상에서 부화가 완전히 억제되었다. 산란 후 28-48시간인 알의 경우, 400Gy에서 부화가 완전히 억제되었다. 100Gy에서는 부화한 유충의 일부가 번데기로 발육하였지만 전부 기형우화 했다. 유충에 감마선 조사를 했을 경우, 모든 선량에서 번데기로 발육은 진행되지만, 200Gy이상에서 우화가 억제되고 100Gy에서 성충은 전부 기형으로 우화 했다. 번데기에 감마선 조사를 했을 경우, 모든 선량에서 성충으로 우화가 진행되지만, 조사 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형율이 증가하여, 400Gy에서 전부 기형우화를 했으며, 100Gy 이상에서 산란된 알의 부화가 완전히 억제되었다. 성충에 감마선 조사를 했을 경우, 성충 수명과 산란수에는 통계상의 차이는 없었지만 산란된 알의 부화은 300Gy 이상에서 완전 억제되었다.

      • KCI등재

        이차원 양성자 선량 분포 확인을 위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 측정 장치 개발

        박종훈,이한림,김찬형,김성훈,김성훈,이세병,Park, Jong Hoon,Lee, Han Rim,Kim, Chan Hyeong,Kim, Sung Hun,Kim, Seonghoon,Lee, Se Byeong 한국의학물리학회 2015 의학물리 Vol.26 No.1

        양성자 치료 시 양성자 빔을 사용하여 정밀한 치료를 수행하고 환자의 안전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인체 내 양성자 빔의 선량 분포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1차원 배열형 검출기를 종형으로 배치하여 빔 진행방향으로 이동시켜가면서 2차원적인 즉발감마선 분포를 측정하여 양성자 선량 분포와 유사한 분포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바탕으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기 위해 이차원 평행다공형 집속 장치, 이차원 배열의 NaI(Tl) 섬광체와 MA-PMT로 이루어진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 측정 장치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즉 발감마선 이차원분포 측정 장치의 성능을 평가한 결과 $^{22}Na$ 감마선원의 에너지 분해능은 $10.9%{\pm}0.23p%$ (0.511 MeV)와 $6.4%{\pm}0.24p%$ (1.275 MeV)로 평가되었으며, $^{137}Cs$은 $9.8%{\pm}0.18p%$ (0.662 MeV)로 평가되었다. 고에너지 Am-Be 선원의 double escape 피크인 3.416 MeV의 에너지 분해능은 $11.4%{\pm}3.6p%$로 평가되었다. 본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45 MeV 양성자 빔을 PMMA에 조사하여 발생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를 측정한 결과 0.5 nA의 세기의 양성자 빔에서 $9{\times}10^9$ 양성자 조사 시 양성자 선량 분포와 유사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를 측정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측정한 즉발감마선 이차원분포의 프로파일 분포를 이용하여 양성자 빔의 비정을 평가해 본 결과 $17.0{\pm}0.4mm$로 평가되었고, 실제 비정인 17.4 mm과 굉장히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In proton therapy, verification of proton dose distribution is important to treat cancer precisely and to enhance patients' safety. To verify proton dose distribution, in a previous study, our team incorporated a vertically-aligned one-dimensional array detection system. We measured 2D prompt-gamma distribution moving the developed detection syste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verified similarity between 2D prompt-gamma distribution and 2D proton dose distribution. In the present, we have developed two-dimension prompt-gamma measurement system consisted of a 2D parallel-hole collimator, 2D array-type NaI(Tl) scintillators, and multi-anode PMT (MA-PMT) to measure 2D prompt-gamma distribution in real time. The developed measurement system was tested with $^{22}Na$ (0.511 and 1.275 MeV) and $^{137}Cs$ (0.662 MeV) gamma sources, and the energy resolutions of 0.511, 0.662 and 1.275 MeV were $10.9%{\pm}0.23p%$, $9.8%{\pm}0.18p%$ and $6.4%{\pm}0.24p%$, respectively. Further, the energy resolution of the high gamma energy (3.416 MeV) of double escape peak from Am-Be source was $11.4%{\pm}3.6p%$. To estimate the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measurement system, we measured 2D prompt-gamma distribution generated by PMMA phantom irradiated with 45 MeV proton beam of 0.5 nA. As a result of comparing a EBT film result, 2D prompt-gamma distribution measured for $9{\times}10^9$ protons is similar to 2D proton dose distribution. In addition, the 45 MeV estimated beam range by profile distribution of 2D prompt gamma distribution was $17.0{\pm}0.4mm$ and was intimately related with the proton beam range of 17.4 mm.

      • KCI등재

        100-MeV 양성자 빔을 이용하여 169Tm(p,3n)167Yb 반응에 의해 생성된 167Yb 방사성동위원소에서 방출되는 감마선 스펙트럼 비교 연구

        이삼열 한국방사선학회 2022 한국방사선학회 논문지 Vol.16 No.7

        The measurement of branching ratio of 167Yb radioactive isotopes from gamma-ray spectrum of 169Tm(p,3n)167Yb reaction were performed by using a 100-MeV proton linear accelerator of the Korea Multi-purpose Accelerator Complex (KOMAC). The 167Yb isotope has a half-life of 17.5 minutes and decays to 169Tm. The gamma rays generated from the 167Yb isotope were measured using an HPGe detector gamma ray spectroscopy system. The energy calibration of the detector and the efficiency measurement of the detector were determined using a standard source. The gamma rays of known main energy (62.9, 106.2, 113.3, 143.5 and 176.3 keV) were measured. On the other hand, information about the intensity of the generated gamma rays is very inaccurate. Therefore, in this study, the decay strength of the main gamma rays was accurately measured. Overall, it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ly known results, and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the intensity of the main decay gamma ray, such as the 113.3 and 106.2 keV gamma ray, was overestimated, and it was found that the gamma ray, such as 62.9, 116.7 and 143.5 keV was underestimated. The present results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formation in the fields of nuclear fusion, astrophysics and nuclear physics in the future. 양성자과학연구단의 100-MeV 양성자선형가속기의 양성자를 사용하여 천연 169Tm과 핵반응을 일으켜 167Yb 방사성동위원소를 생성하였다. 생성된 동위원소는 17.5분의 반감기를 가지며 167Tm로 붕괴한다. 이때 발생하는 감마선을 HPGe 검출시스템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검출기의 에너지 교정 및 검출기의 효율 측정은 표준선원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Table of Isotopes의 주요 감마선 에너지는 모두 측정되었다. 한편, 현재까지 알려진 발생되는 감마선의 강도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정확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주요 감마선에 대한 붕괴 강도를 정확하게 측정하였다. 전체적으로 기존에 알려져 있던 결과들과 상이한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113.3 및 106.2 keV 감마선 같은 주 붕괴 감마선의 강도들이 과대평가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62.9, 116.7 및 143.56 keV의 감마선 들은 과소평가 된 감마선들임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핵융합 연구, 천체 물리학 및 핵물리 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정보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블랙홀과 감마선폭발

        이창환,조희석,박성찬 한국물리학회 2012 새물리 Vol.62 No.8

        현대 천체물리학에서 가장 중요한 연구 주제의 일부로감마선폭발(Gamma-Ray Bursts)과 중력파방출(Gravitational-Wave Radiation)을 꼽을 수 있다. 감마선폭발은 초신성폭발 때 수반되는 총에너지와 비슷한 양의 에너지를 감마선으로 수 초에서 수 분 이내에방출하는 천체 현상으로서 빅뱅 이후 가장 강력한 우주 폭발 현상이다. 감마선폭발은 크게 지속시간 2초를 기준으로 LGRB(Long Soft Gamma Ray Bursts)와 SHB(Short Hard Gamma-Ray Burst)로 분류된다. %LGRB의 원인으로서 빠르게 회전하는 블랙홀이 주목을 받고 있다. 빛조차흡수하는 블랙홀이지만, 상대론적으로 회전하는 블랙홀 주위에서는블랙홀로 빨려들어가는 물질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의 일부를 블랙홀계외부로 방출할 수 있다. 이 에너지가 감마선폭발의 원인이 되는 것이다. 반면, 우리 은하 내부에서는 SXT(Soft X-ray Transient) 관측을 통하여블랙홀의 존재 뿐 아니라, 그 회전속도까지 확인이 되고 있다. Lee \emph{et al.} (2002)은 블랙홀 쌍성계에서 블랙홀의 질량과 공전주기가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혔고, 이를 바탕으로 블랙홀의 자전 각운동량을예측하였다. 블랙홀 쌍성계 GRO J1655-40과 4U 1543-47의 블랙홀 자전각운동량 관측 결과는 Lee \emph{et al.} (2002)의 예측과 일치한다. 이는 은하 내부에서 관측되는 블랙홀 쌍성계 SXT가 LGRB의 잔재물이라는연구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다. %SHB는 중성자별-중성자별 또는 중성자별-블랙홀 쌍성계의 병합에서방출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 과정에서 강력한 중력파가 방출되며최종적으로 블랙홀이 형성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총설논문에서는 블랙홀 쌍성계 SXT의 진화 및 블랙홀과 감마선폭발의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결과를 논의한다. Gamma-ray bursts (GRB) and gravitational waves are the most important research topics in modern astrophysics. The total emitted energies in gamma-rays in GRBs are similar to the total energies involved in supernovae. Due to the very short duration of GRB, GRB is believed to be one of the most energetic explosions in the Universe after Big Bang. GRBs with duration longer than 2 sec are classified as LGRB. As an origin of LGRB, black holes are suggested. Black hole binaries in our Galaxy have been observed in Soft X-ray transients (SXTs), and the black hole spins in several SXTs have been measured. Lee \emph{et al.} (2002) found the mass-period relation in SXTs and predicted the spin of black holes in SXTs. Observations on two SXTs, GRO 1655-40 and 4U 1543-47, are consistent with the prediction of Lee \emph{et al.} Short-hard gamma-ray bursts (SHB) whose durations are less than 2 sec are expected to be generated in the merger process of neutron star-neutron star or neutron star-black hole binaries, finally forming a black hole. In this review article, we discuss the evolution of SXTs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spin of black holes and gamma-ray bursts.

      • KCI등재

        감마선을 이용한 수용액상의 CdS 양자점 제조 및 광학적 특성

        정은희,이재훈,임상엽,이창열,최영수,최중길,박승한,Jeang, Eun-Hee,Lee, Jae-Hoon,Yim, Sang-Youp,Lee, Chang-Youl,Choi, Young-Soo,Choi, Joong-Gill,Park, Seung-Han 대한화학회 2004 대한화학회지 Vol.48 No.3

        감마선을 이용하여 수용액상에서 안정화 된 CdS 반도체 양자점을 제조하고, 제조된 양자점의 광학적 흡수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CdS 양자점 제조시 카드뮴을 제공하는 물질로는 cadmium sulfate를 사용하였고, 황을 제공하는 물질로는 2-mercaptoethanol을 사용하였으며, 매개체로는 감마선이 조사된 물에 존재하는 환원제 $e^{-}_{aq}$을 이용하였다. 감마선 조사 전과 후에 제조된 CdS 양자점의 흡수스펙트럼을 비교한 결과, 감마선 조사 후에는 300 nm~400 nm 사이에서 CdS 양자점 형성에 의한 엑시톤 흡수 봉우리가 명확히 관측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감마선의 조사 시간을 5분, 10분, 15분으로 증가시켜 감마선의 양을 다르게 조사시킨 결과 엑시톤 흡수 파장이 338 nm, 347 nm, 367 nm로 장파장 쪽으로 이동함을 확인함으로써, 감마선의 조사량을 조절하면 CdS 양자점의 크기를 변화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dS semiconductor quantum dot (QD) structures in aqueous solution are fabricated by using a gamma-ray irradiation technique and their optical absorption spectra are investigated. Cadmium sulfate solution, 2-mercaptoethanol solution, and reducing agent $e^{-}_{aq}$ are employed to produce CdS molecules, leading to CdS quantum dots. The measured linear absorption spectra before and after g-ray irradiation clearly show exciton peaks between 300 nm and 400 nm, which indicate the formation of CdS QD's. It is also observed that the exciton peaks are red-shifted with increasing the g-ray irradiation time from 5 min to 15 min.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mean QD sizes can be systematically controlled with the dosage of the g-ray irradiation.

      • KCI등재

        감마선이 무당벌레의 생존과 발육에 미치는 영향

        서미자,이희진,강은진,강시용,유용만,윤영남,Seo, Mi-Ja,Lee, Hee-Jin,Kang, Eun-Jin,Kang, Si-Yong,Yu, Yong-Man,Youn, Young-Nam 한국응용곤충학회 2011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0 No.4

        감마선을 조사하였을 경우에 무당벌레의 생존 및 발육, 산란, 부화와 같은 생식작용 및 이들 자손들의 성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무당벌레 알은 조사선량 50 Gy 이상에서는 부화하지 못했으며, 1령과 3령 유충은 40 Gy 이상에서는 대부분 사망하였다. 번데기와 성충도 70 Gy 이상의 감마선 조사선량에 대해 조금씩 영향을 받기 시작하였다. 일정량의 감마선에 노출된 후에 정상적으로 생존하였다 하더라도, 유충과 번데기의 발육기간이 정상개체에 비해 길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감마선에 노출된 성충의 자손들은 일부 처리구에서 암컷이 편중적으로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세대가 진행될수록 성비가 안정되어 가는 것도 확인되었다. 대체적으로 F1과 F2세대에서 감마선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감마선에 조사된 후 생존한 개체의 세포를 코멧분석한 결과, DNA손상에 의한 코멧꼬리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n the survival, development, fecundity, and sex ratio of the multicolored Asian ladybird beetle (Harmonia axyridis) were investigated. A dose of more than 50 Gy dose of irradiation on eggs completely inhibited hatch, and 1st and 3rd instar larva irradiated with over 40 Gy almost died. Adverse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over 70 Gy were also observed in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pupae and adults. Although irradiated individuals usually survived, they had longer periods of larval and pupal development than untreated individuals. Slight female-biased sex ratios were observed in some treatments. However, sex ratio differences soon equilibrated. Generally, inherited harmful effects of gamma irradiation were observed in F1 and F2 generations. Comet tail indicating DNA damage was showed in survival individuals exposed to gamma irradiation.

      • KCI등재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Biobeam8000 감마선 조사장치의 선량평가

        신상훈,이성현,손기홍,이현호,김금배,정해조,지영훈,Shin, Sang-Hun,Lee, Sung-Hyun,Son, Ki-Hong,Lee, Hyun-Ho,Kim, Kum-Bae,Jung, Hai-Jo,Ji, Young-Hoon 한국의학물리학회 2011 의학물리 Vol.22 No.4

        감마선조사장치는 세포실험, 동물실험, 혈액방사선 조사, 선량측정 실험 및 교육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국원자력의 학원에서 보유하고 있는 Biobeam8000 (STS Steuerungstechnik &. Strahlenschutz GmbH, Braunschweig, Germany, Cs-137, 81.4 TBq) 감마선 조사장치는 7.5 L의 대용량과 넓은 영역에 사용이 가능한 감마선 조사장치이다. 비커 내부에 균일한 방사선조사를 위해 Cs-137 선원이 위아래 24 cm 범위를 일정한 주기로 왕복 이동하며, 기존의 다른 감마선 조사기와 같이 시료를 넣는 비커는 방사선 조사동안 360도 회전한다. 기존의 감마선 조사기와 달리 비교적 균일한 선량이 조사되는 반면에 방사선원이 이동하므로 위치에 따른 구체적인 선량정보도 필요로 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유리 선량계를 이용하여 Biobeam8000 감마선 조사장치의 비커 내부 선량을 측정하였고, 측정결과를 바탕으로 선량선형성과 선량재현성에 대한 평가 및 선량분포의 정보를 도출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실험 및 방사선 조사 시 효율적인 조사장치 사용을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Gamma irradiator is widely used for cell, animal experiment, irradiation for blood, dose measurement, and education. Biobeam8000 gamma irradiator (STS Steuerungstechnik &. Strahlenschutz GmbH, Braunschweig, Germany, Cs137, 81.4 TBq) that KIRAMS (Korea Institute of Radiological and Medical Science) has is a irradiation device that enables to be used in large-capacity of 7.5 L and extensive area. Cs-137 source moves range of 24 cm back-and-forth in a regular cycle in beaker for uniform irradiation and a beaker that puts a specimen like existing radiation irradiator such as Gammacell3000 rotates $360^{\circ}$ during irradiation. Precise dos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radiation source would be needed because of the movement of radiation source, whereas radiation could be uniformly irradiated in comparison with existing gamma irradiator. In this study, dose distribution of the inside beaker located in Biomeam8000 gamma irradiator was measured using glass dosimeter, and dose evaluation and distribution regarding dose linearity and dose reproducibility were implemented based on measurement results. This aims to show guideline for efficient use of irradiator based on measurement result when doing experiment or radiation exposure.

      • KCI등재

        감마선을 이용한 궐련벌레(Lasioderma serricorne F) 방제에 관한 연구

        오명희,정규화 한국응용곤충학회 199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3 No.4

        궐련벌레(Lasioderma serricorne F)가 제품담배내 오염되었을때의 방제방법으로 감마선 이용법을 선전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Gelatin capsules에 공시충을 넣은 다음 감마선을 조사해 본 결과 0.8kGy이상의 선량에서 난태는 모두 살충되었고 용태나 성충때 및 유충태는 0~30%가 살충되었다. 몇가지 제품담배값내에 공시충을 함유한 gelatin capsules이 삽입된 궐련을 넣은후 감마선 조사시의 궐련벌레 충태별 방제효과도 동일한 결과를 얻었다. 감마선의 영향을 받은 궐련벌레의 성충 및 유충태를 인공먹이로 사육해 본 결과 차세대 개체군 증식이 확인되지 않았다. 감마선에 노출된 궐련벌레의 각 충태는 선량이 높아질수록 생존기간이 짧아졌으며 4령 유충이 처리 공시충중 가장 오래 생존하였다. 감마선에 노출된 제품담배의 고유향기나 맛은 선량 증가에도 영향을 받지 않았다. 감마선이 처리된 제품담배의 포갑지나 궐련지 및 은박지 등은 고유의 색도 또한 변화하지 않았다. A method to control the cigarette beetle. Losioderma serricorne F, m cigarettes by using gamma ray irradiation was evaluated When all stages of cigarette beetle were placed in gelatin capsules and irradiated wlth gamma ray. no eggs survived, but mortalities of pupae, larvae and adults exposed to above 0.8 kGy of gamma ray were only from 0 to 30%. Similar results were also obtained in the control efficacy of the beetle when seuqal kinds ot currently produced ngarettes containing m gelatin capsules were inadhated with gamma ray The cigarette beetle adults and larvae surviving gamma ray inadiatlon were reared on artificial d~etsto show that there were no reproduc. tions was observed in the second generation. The survival periods for each growth stage became shoter with increase gamma ray dosage. The fouirh instar larvae had the longest sulvlvai periods No sign~ficant changes of cigarette flavor and taste were noticed alter gamma ray inadiation. The cigarette packet, metal fotl for packet and cigarette paper by the inad~atlon were not discolored by irradiation.

      • KCI등재

        감마선 조사에 의한 이온교환수지의 열화 및 방사성 핵종 침출 특성

        최왕규(Wang Kyu Choi),임승주(Seung Joo Lim) 대한환경공학회 2022 대한환경공학회지 Vol.44 No.10

        목적 : 원자력발전소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온교환수지에 대하여 감마선 노출에 의한 방사성 핵종 및 유기착화제의 침출 가능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 원자력발전소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양이온교환수지(IRN 77) 및 음이온교환수지(IRN78)를 구입하고 흡착 핵종 및 유기착화제를 모사하기 위해 감마선 핵종인 코발트 이온 및 EDTA를 흡착시켰다. 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된 코발트 핵종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코발트 선원을 이용하여 감마선 조사선량 0, 300, 500, 700 kGy에 대한 이온교환수지의 열적 특성 변화와 이온교환수지에 흡착된 코발트 및 유기착화제의 침출 여부를 실험하였다. 결과 및 토의 : 이온교환수지에 감마선을 조사하는 경우 흡착기인 술폰기 및 4차 암모늄기가 분해되어 이온교환수지 흡착기에 흡착된 핵종 및 유기착화제의 침출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온교환수지의 감마선 손상은 양이온교환수지에 비해 음이온교환수지에서 더 심각하게 발생하였다. 양이온교환수지의 경우 침출된 코발트 이온 및 유기물의 농도가 미미하였으나, 음이온교환수지의 경우 감마선 손상에 의해 고농도의 코발트 이온 및 유기물 농도가 검출되었다. 한편 양이온교환수지와 음이온교환수지가 혼합된 혼성이온교환수지를 사용한 경우, 양이온교환수지 및 음이온교환수지를 각각 사용한 경우에 비해 코발트 이온 및 유기물의 침출 농도가 저감되었다. 따라서 방사성 폐기물 처리시설에 양이온교환수지와 음이온교환수지를 혼합하여 보관하게 되면 핵종의 침출 가능성을 낮추어 보다 안전한 처분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 이온교환수지에 감마선이 조사되면 이온교환수지가 열화되어 방사성 핵종 및 유기착화제가 침출될 가능성이 있으나, 양이온교환수지 및 음이온교환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하여는 경우 침출 농도가 저감되어 이온교환수지의 처분 안정성이 향상되었다. Objectives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gamma radiation induced degradation and leaching behavior of nuclide and/or organic complexing agent adsorbed ion exchange resin. Methods : Cation exchange resin (IRN 77) and anion exchange resin (IRN 78) widely used in nuclear power plants were purchased. Cobalt ion and EDTA were used to represent nuclide and organic complexing agent adsorbed to ion exchange resins. Cation and anion exchange resin adsorbed cobalt ion and/or EDTA were radiated by 60Co nuclide. The radiation dose rate was 10 kGy/hr and total doses were 0, 300, 500, and 700 kGy. Results and Discussion : The sulfone and quaternary ammonium functional groups of gamma radiated ion exchange resin were degraded, indicating nuclide/organic complexing agent would be leached from ion exchange resin. It was shown that degradation of anion exchange resin was worse than that of cation exchange resin. While the high concentrations of cobalt ion and organic matter were observed in leachate from anion exchange resin, those in leachate from cation exchange resin were very low. For mixed cation and anion exchange resin, the leaching behavior of mixed resin was improved. This shows that disposal in the form of a mixed ion exchange resin was evaluated as a safer method than that of a cation or anion exchange resin alone. Conclusion : The adsorbed nuclide and organic complexing agent were leached from ion exchange resin by gamma irradiation. The leaching behavior of cation and anion exchange resin was improved by using mixed ion exchange resin.

      • KCI등재

        축산폐기물에서 분리된 항생제 내성균 Escherichia coli와 Brevibacterium sp.의 내성 특성 및 감마선 살균 효능

        장은희(Eun Hee Jang),정상혁(Sang Hyuk Jung),남윤구(Youn Ku Nam),박우신(Woo Shin Park),이면주(Myun Joo Lee),김탁현(Tak Hyun Kim) 大韓環境工學會 2010 대한환경공학회지 Vol.32 No.7

        축산 폐기물에서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가지는 균주을 분리하여, 다양한 항생제에 대한 내성특성을 확인하고, 감마선의 조사에 따른 내성균의 항생제 내성 특성변화와 살균효능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돈분과 돈분퇴비에서 분리된 균주중 Escherichia coli와 Brevibacterium sp.이 다제내정균으로 확인되었다. E. coli는 13종의 항생제 중 9종의 항생제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었으며, Brevibacterium sp.는 7종의 항생제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었다. 이 두 가지 대표 다제내성균에 대해 감마선을 이용한 살균실험을 시행한 결과,Escherichia coli는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돌연변이적으로 발생하기 쉬운 균주이나 감마선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에 반해 Brevibacterium sp.는 저선량에서 감마선에 대한 내성을 나타내어 상대적으로 감마선을 이용한 제어가 용이하지 않았다. Brevibacterium sp.는 2.0 kGy의 조사량에 대해 Escherichia coli에 비해 약 100배 정도 낮은 살균 효율을 보임으로써, 감마선에 대한 내성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were isolated from livestock wastes and the resistance patterns were investigated using various antibiotic agents. Also, a gamma ray was tested regarding the aspects of the effect on resistance pattern and the efficiency of disinfection. Among the isolates, Esherichia coli and Brevibacterium sp. showed the most serious resistance patterns. Esherichia coli had resistance against 9 agents whereas Brevibacterium sp. against 7 agents. It can be suggested from these results that the abuse of antibiotic agents will cause a serious mutation problem even to Esherichia coli which is ubiquitous in the ecosystem. Esherichia coli could be easily controlled but Brevibacterium sp. had a moderate resistance to the gamma ray under low doses. In the case of Brevibacterium sp, more than 2.0 kGy of a radiation dose will be required in order to achieve an enhanced efficiency of disinf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