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과관리 기반의 체계적 갈등관리평가 방안 모색

        윤수재,김지수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18 분쟁해결연구 Vol.16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imitations of the government’s ‘plan-monitoring-evaluation’ on conflict management and to find an alternative to build a systemat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based on performance management.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onflict management evaluation of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the performance plan of the central government, self-evaluation, and conducted the interview of public officials complementaril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annual conflict management evaluation conducted by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is in fact at ‘research’ and the evaluation results do not reach the level of suggesting timeliness of the conflict management plan for each central government. In addition, the performance plan and self-monitoring-evaluation of each central government has the same plan-monitoring-evaluation as the general policy on the Conflict Management Required Policy, and there is no performance management for ‘conflict management’ activit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1) assignment of Conflict Management Required Task, 2) Establish a plan-monitoring-evaluation system based on performance management for conflict management tasks, 3) reorganizing the role of the committee on conflict management, 4) reorganization of the role of Conflict Management Evaluation in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and (5) suggestions to build a systematic conflict management system consisting of revision of evaluation indicators for conflict management. 본 연구의 목적은 갈등관리에 대한 정부의 ‘계획-점검-평가’가 지니는 한계를 분석하고, 성과관리 기반의 체계적인 정부 갈등관리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국무조정실의 갈등관리평가 및 부처의 성과관리시행계획, 자체평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고, 공무원 면담을 보완적으로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국무조정실이 매년 실시하는 갈등관리평가는 사실상 ‘조사’에 머무르고 있으며, 평가결과를 통해 각 부처에 대한 적시성 있는 갈등관리 방안을 제시하는 수준에 이르지 못했다. 또한 각 부처의 성과관리시행계획 및 자체점검·평가는 갈등관리 필요정책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정책과 동일한 계획·점검·평가를 실시하고 있어, ‘갈등관리’ 활동에 대한 성과관리는 부재한 상황이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1) 갈등관리 필요과제의 지정, 2) 갈등관리 필요과제에 대한 성과관리 기반의 계획·점검·평가체계 구축, 3) 갈등관리심의위원회의 역할 재편, 4) 국무조정실 갈등관리평가의 역할 재편방안, 5) 갈등관리평가지표 개편안 등으로 구성된 체계적인 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부의 갈등관리 평가모형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동영 한국정책과학학회 2011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15 No.4

        본 연구는 중앙행정기관의 갈등관리업무평가의 체계와 모형, 그리고 평가 수행 시 고려 사항 등에 대해 선제적이고 탐색적으로 고찰해 보았다. 갈등해소시스템의 이론과 여러 갈등해소 기제들의 운영에 대한 평가 연구들을 바탕으로 광범위한 평가 항목과 평가 지표들을 구성해보았고, 갈등관리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각각의 항목과 지표들의 적절성, 그리고 평가에 있어서의 비중을 조정해 보았다. 흥미로운 것은 갈등관리 전문가들은 기존의 중앙행정기관의 정부업무평가와 달리, 갈등관리 절차적인 측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었고 갈등의 예방 측면을 상대적으로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기존의 정부 업무 평가와 달리, 이해당사자들의 정부에 대한 신뢰도, 당사자 간 관계 개선, 사회통합에의 효과, 정책 학습 효과와 같은 정성적 평가 지표들도 갈등관리 업무의 성과로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실질적으로 이러한 평가 모형이 정부 차원에서 운영되기 위해서 논의해야 할 많은 행정적, 기술적 문제들과 연구과제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tends to construct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valuation model of government performance in terms of conflict management. Based on the analysis of current governm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and current body of knowledge on evaluation criteria and method on conflict resolution, I suggest what should be evaluated and how they could be evaluated in detail so that formative evaluation could be made. For the purpose of summative evaluation, I also propose the relative valuation of each evaluation criteria. To test its appropriateness, I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for Korean experts in the field of conflict resolution and negotiation. The proposed system puts more value on the evaluation of the process of conflict management, in particular, conflict prevention, than its outcomes. Also it includes qualitative evaluation components, such as satisfaction surveys for stakeholders and ordinary citizen. Finally, this paper discuss future research topics to improve the validity, reliability, and usability of its evaluation.

      • KCI등재

        기술가치평가 과제관리의 갈등관리에 관한 사례연구

        이윤희(Yun Hee LEE),손영환(Young Hwan Sohn),유명관(Myoung Kwan Yo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1

        기술가치평가(Technology Valuation)는 특정 기술이나 기술을 기반으로 사업화 하는 데 있어 해당 기술과 사업화 가치를 평가하는 행위, 절차 및 기법 등을 일컫는다. 기술의 가치와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사업화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데 있어서는 기술가치의 기술거래, 투자 및 융자, 현물출자, 전략수립, 등의 다양한 평가목적에 따라 평가 기한과 프로세스 계획이 수립된다. 기술가치평가의 전체 프로세스는 특정 기술에 대한 기술성, 권리성, 시장성, 사업성 분석 및 평가와 이의 결과를 근거로 한 기술가치의 화폐적 가치산출 모듈로 구성되며, 각 모듈의 분석과 평가 수행에 있어서는 특정 기술에 대한 지식보유자인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평가팀을 구성하여 평가가 수행된다. 특정 개별 기술에 대한 평가수행은 하나의 독립된 과제(project)로서 다뤄지며 각 모듈들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과제관리자(project manager, PM)에 의해서 관리된다. 기술가치평가의 PM은 평가의 객관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서 과제 수행지원과 관리에 있어서의 체계적인 수행에 대한 전문성 확보가 필요하다. 또한 기술가치평가 수행의 특성 상 평가팀은 각각의 모듈별로 상이한 지식을 보유한 전문가들로 이루어진 이해관계자들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들 간에 기술과 기술가치평가 전체 절차에 대한 지식공유가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이들의 평가 수행을 지원하고 관리하는 PM의 의사소통 능력과 역할이 중요하다. PM의 역할 중 무엇보다도 서로 상이한 지식으로 과제에 참여하게 되는 평가자들 간, 평가자들과 피평가자들, 기술보유자와 기술이전대상자들 간에 빈번하게 발생되는 갈등에 따른 문제해결 방안을 확보하고 있어야 한다. 본 연구는 기술가치평가 PM들의 기술가치평가 수행 지원에 있어서 다양한 이해관계자들 간에 빈번하게 발생되는 4개의 갈등과 해결사례에 관해서 실제 수행되었던 기술가치평가 사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PM들의 갈등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향후, 본 연구를 통해 논의된 갈등사례와 해결방안을 근거로 기술가치평가 과제관리에 있어서 보다 전문적인 PM의 역할과 체계화된 기술가치평가 수행지원 및 관리방안이 마련되는 실증적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echnology valuation refers to the act, procedures, or techniques in evaluating certain technology and its value for commercialization. For this purpose, deadlines and process plans are established based on valuation goals such as technology transfer, investment and financing, investment in kind, and strategy establishment. The technology valuation process involves analyzing and evaluating technology performance, rights, marketability, and business value technology, as well as calculating the monetary value of technology modules based on the results. Analysis and evaluation of each module is performed by a team of experts having knowledge of specific technology. Valuation of technologies is conducted as independent projects by project managers (PM) who integrate and manage modules; they must have expertise in systematic performance of task support and management to ensur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Furthermore, the valuation team comprises expert stakeholders having knowledge about each module due to the nature of technology valuation. For smooth knowledge sharing in technology and valuation procedures, communication skills and roles of PMs supporting and managing the valuation are important. Primarily, PMs must resolve conflicts between evaluators participating in different tasks, evaluators and evaluatees, and technology holders and receivers. This study examines technology valuation for four conflicts occurring frequently among stakeholders providing valuation support to PMs, and seeks resolutions. The conflicts and resolutions discussed in this study may lead to more specialized roles of PMs in technology valuation and project management, as well as systemized valuation support and management plans.

      • KCI등재

        공공갈등관리제도의 운영평가 및 갈등해결 방안연구

        임동진 ( Dong Jin Lim ) 한국정책학회 2011 韓國政策學會報 Vol.2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공무원과 전문가 설문조사를 통해 우리나라 중앙행정기관들이 관리하고 있는 공공갈등의 발생수준, 공공갈등관리제도의 운영평가, 공공갈등해결의 영향요인 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갈등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갈등유형별 분석결과(5점 척도 기준) 입지갈등 4.01, 환경갈등, 이념갈등 각각 3.98, 교육갈등 3.93, 노사갈등 3.75, 계층갈등이 3.68의 순으로 심각하다고 인식하였다. 갈등성격별로는 이해갈등 3.98, 복합갈등 3.78, 가치갈등 3.58 순으로 나타났고, 현재보다 미래에는 갈등범위, 갈등강도, 갈등횟수 측면에서 확대, 강화,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둘째, 공공갈등의 예방과 해결을 위해 정부가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공갈등관리제도는 전반적으로 운영이 잘 되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현 공공갈등관리제도는 갈등예방과 해결에 기여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갈등관리 규정의 강제성이 없는 선언적 규정 21.4%, 실질적인 갈등예방과 해결에 대한 구체성 결여 20.7%, 갈등관리 중요성에 대한 인식부족 20.0%, 갈등관리 현실을 반영하지 못해서 17.9%, 부처에서 갈등업무를 부가적인 업무로 인식해서 11.7%,갈등규정 외에 개별법령에서 갈등관리 가능이 8.3%의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에 따른 정책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갈등관리에 있어서 선택과 집중을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공갈등의 예방과 해결을 위해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 셋째, 현재의 공공갈등관리제도 운영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넷째, 현재의 공공갈등관리제도의 법 개정이나 제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공공갈등 해결을 위한 각종 인프라 및 여러 방안들을 장·단기로 구분하여 점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frequency of the public conflicts which the Korean central government is managing, to evaluate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government, to figure out the factors of conflict resolutions, and to suggest to effective conflict resolutions based upon civil servants and experts'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onflict type, public conflicts are seriously recognized by civil servants and conflict experts in the following order(Likert 5-point scales): locational conflict 4.01, environmental conflict 3.98, ideological conflict 3.98, educational conflict 3.93, labor-management conflict 3.75, social class conflict 3.68. In view of the character of conflict interest conflict 3.98, mixed conflict 3.78, value conflict 3.58 are listed in order. Both civil servants and experts expect that the scope, intensity, and frequency of conflict will be expanded, enlarged and increased in the future rather than the present. Second, the government should play a positive role in conflict management in order to prevent and resolve public conflicts. Third,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in government does not work well generally. Fourth, the contribution of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is lower in terms of the prevention and resolution of conflict. The reasons of lower contribution of the system are as following: the symbolic code of the conflict law 21.4%, the lack of concreteness 20.7%, the lower recognition of conflict management 20.0%, the lower application of conflict resolution 17.9%, the unimportant recognition in the work of conflict management 11.7%, higher application of other laws rather than the conflict law 8.3%.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overnment should manage public conflicts choosingly and intensively. Second, the government has to involve in the prevention and resolution of conflicts pushfully. Third, the government shoul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the conflict management system. Fourth, the revision and enactment of the conflict law are needed. Finally, the government should gradually establish the infrastructures of conflict prevention and the resolutions based upon long-term and short-term targets.

      • KCI등재

        정책네트워크와 갈등관리가 교원평가정책 추진과정에 미치는 영향

        류민영,신상명 한국교육행정학회 2010 敎育行政學硏究 Vol.28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vent probable conflicts by analyzing the impacts of Policy Network and Conflict Management on Teacher Evaluation Policy propulsive process. This study is based on an analysis framework constructed from Marsh & Rhodes's Policy Network and Gibson et al.' s Intergroup Conflict theories. To Conclude, over the last decade Teacher Evaluation Policy have been divided into four conflict periods; 2000-2002, 2003-2006, 2007-2010.4 and potential conflict period. In the first conflict period, policy was cast away because the type of network was Policy Community and the level of conflict was too low to raise interest and participation needed to formulate policy. On the other hand, policy was promoted insufficiently within the second conflict period, as the type of network was Issue Network, conflict had built up and reaching an agreement had failed. Teacher Evaluation Policy was fully implemented in the third conflict period; for being the type of center, keeping adequate degree of conflict and making an agreement which reflects the policy interests of policy participants. Lastly, there will be the potential issues concerned about the criteria and the way for evaluation and the connection with personnel in the potential conflict period. So we have to prevent conflict from intensifying by conducting continuous policy studies and conflict management. 본 연구는 정책네트워크와 갈등관리가 교원평가정책 추진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앞으로의 갈등을 예방하고자 한다. Marsh와 Rhodes의 정책네트워크의 네 가지 차원과 Gibson et al.의 갈등 수준, 갈등종합모델을 수정 및 결합하여 분석의 틀로 삼았다. 결론적으로 지난 10년간의 교원평가정책은 제1갈등기(2000-2002), 제2갈등기(2003-2006), 제3갈등기(2007-2010.4), 갈등잠재기로 구분되는데, 제1갈등기는 정책공동체형이면서 정책형성에 필요한 관섬과 참여를 유도하지 못하여 갈등의 수준이 낮았고 정책이 표류했다. 반면 제2갈등기는 이슈네트워크형으로 갈등이 고조되고, 합의회의는 해도 합의안 마련에 실패해 정책 추진이 미흡했다. 그리고 제3갈등기는 중심형으로 갈등의 수준이 적정했으며, 정책참여자의 정책이익을 반영한 합의 도출은 전면 시행에 영향을 주었다. 갈등잠재기에는 평가기준 및 방법과 인사연계에 관한 잠재적 쟁점이 존재할 것으로 예측되므로, 지속적인 정책연구와 갈등관리를 통해 갈등이 고조되지 않도록 예방해야 한다.

      • KCI등재

        立法過程에서의 葛藤解決 : 韓國의 狀況과 問題點

        金裕煥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0 法學論集 Vol.14 No.3

        한국에서 입법갈등이 실질적으로 현실적인 문제로 대두된 것은 1987년 6월 항쟁이라고 지칭되는 민주화의 변혁 이후의 일이라고 할 수 있다. 1987년 이전에도 입법을 둘러싼 갈등이 없지 않았으나 그것은 권위주의적 억제기제에 의해 통제되고 있었으므로 수면 위의 문제로 떠오르기는 어려웠다. 그러나 1987년의 민주화를 핵심적인 계기로 하여 한국사회는 정보혁명, 시민사회의 성장, 사회의 다원화와 분화 등의 변화과정을 겪었고 이것은 오늘날 한국사회에서 다른 공공갈등과 아울러 입법갈등을 현실적인 문제로 부상하게 하고 있다. 입법갈등도 공공갈등의 일종이므로 공공갈등에 대한 대응을 위한 사회적 Infra의 지대한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공공갈등에 대한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는 국가적 하부구조를 갖추고 있는가 하는 것이 입법갈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도 매우 본질적인 문제가 된다. 이러한 하부구조는 대체로 ① 공동체 구성원의 기본적 욕구의 충족, ② 사회자본, ③ 합리적 정책결정과정과 참여구조. ④ ADR을 포함한 전문적 분쟁해결기제의 형성 등의 요소가 핵심을 이룬다. 민주국가에서 입법과정은 여러 이익단체 간의 이해를 조정하는 과정으로 이해된다. 이처럼 입법과정을 입법과 관련된 제이익을 조정하는 것으로 이해하게 되면 입법과정은 관계 제이익(諸利益)이 충분히 이익대변을 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관계 제이익의 반영을 구현하기 위한 제도화모델로 행정청의 감독(Agency Oversight)모델과 행정청의 참여(Agency Participation) 모델이 거론되고 있는데, 어떠한 모델이든, 관계되는 이익대변활동에 대해 합리적인 검토를 행한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입법정책이 어떤 특정한 계층이나 이익집단의 관점에서만 고려되는 것이 아니라 문제되는 법안에 대해 다른 의견을 가진 사람의 의견을 합리적으로 검토하는 가운데 형성되는 것이 갈등의 예방을 위해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다. 입법과정에서의 이해조정 및 갈등의 조정은 ① 법령안이 성안되는 과정에서 자문기구나 정부기관 상호간의 협의조정기구, ② 법령안의 심사과정에서 입법예고와 공청회 등의 의견수렴절차, ③ 규제영향평가를 포함한 규제심사, ④ 갈등영향평가, ⑤당정협의나 국회에서의 정치협상 등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전반적으로 입법과정에서의 갈등조정기제는 정책조정기제로서의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국민참여기제로서의 성격을 가지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의 경우 정책조정의 관점이나 국민참여의 관점이 모두 제도와 관행에 충분히 반영되어 있지 않은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된다. 입법과정에서의 이해조정 및 갈등조정에서 획기적인 것은 참여적 의사결정방법을 통한 조정이다. 노무현 정부시대에 이러한 시도가 몇 차례 있었고 『공공기관의 갈등 예방 및 해결에 관한 규정』이 이를 반영하고 있으며 이명박정부가 성립된 이후에도 국회에서 미디어법 갈등 해결을 위해 미디어법발전위원회를 통하여 이러한 시도를 한 바 있다. 문제는 이러한 참여적 의사결정방법을 여하히 설계하느냐 하는 것인데 지금까지의 성패는 전문성을 살린 의사결정방법의 설계의 적합여부에 달려있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향후 참여적 의사결정방법이라는 새로운 방법으로 입법갈등을 해결하고자 한다면 의사소통 및 합의과정의 설계과정을 포함하여 갈등관리 전과정에 대한 합리적이고 전문적인 설계를 위한 제도 및 사회적 갈등관리시스템이 절실히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Public Conflict in the legislative process in the Republic of Korea started in the 90s as Korean society was undergoing an array of changes. Such changes have been taking place in various ways and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the following factors: democratization, emergence of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pluralism, emergence of NGOs and NPOs and several historical incidents related to public disputes. Under such circumstances, Korea has developed several mechanisms to manage difficulties when they arise from public conflict in the legislative process. These include Regulatory Impact Analysis and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Processes. However, these mechanisms have not worked well recently. There were big conflicts surrounding media legislation in the national assembly even though the national assembly generated a new mechanism for conflict resolution in the legislative process. That mechanism was The Public Committee for Media Development which consists of academics and professionals in the private sector. New methods and trials should be continuously introduced in conflict resolution in the legislative process in spite of above-mentioned failures. However, conflict resolution should be well designed and detailed according to the goals and situations of the legislation. This study proposes new directions for establishing new policy-making paradigms for conflict resolution in the legislative process in light of the above-mentioned points of view. Firstly, we should strengt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Government and political parties, between the Government and NGOs or stake-holders, and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stake-holders. For this purpose we should introduce new and aggressive methods for public consultation. Secondly, the practices and culture around public conflict should be transformed. Legislators and administrators need to respect public opinion and comments and establish new job guidelines in favor of decision-making throughout public participation and active communication.

      • KCI등재

        검도·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하는 변혁적 리더십과 운동 수행평가 간의 관계: 갈등관리의 매개효과 검증

        김정준 ( Jeong-joon Kim ),오영택 ( Young-taek Oh ) 대한무도학회 2022 대한무도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검도·태권도 선수들이 지각하는 변혁적 리더십과 운동 수행평가 간의 관계에서 갈등관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21년 12월 Google 설문조사를 통하여 검도·태권도 선수 269명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은 변혁적 리더십, 갈등관리, 운동 수행평가 측정지에 응답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4.0, AMOS 24.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수행성취 만족·노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갈등관리에는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갈등관리는 수행성취 노력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쳤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은 갈등관리를 경유하여 수행성취 노력에 유의한 간접효과를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리더십유형이 운동선수들의 팀 내부 갈등관리 및 경기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nflict manageme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kumdo·taekwondo athletic and exercise performance assessment. 269 kumdo and taekwondo athletic were selected as research subjects through a Google survey in December 2021. They responded to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conflict management, and athletic performance assessment. In order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4.0 and AMOS 24.0 statistical program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performance achievement satisfaction and effort, conflict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Second, conflict management had a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performance achievement efforts. Thir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a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performance achievement efforts through conflict manag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leadership style athlete an important role in team conflict management and performance of athletes.

      • KCI등재
      • KCI등재

        한,중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상호 인지평가를 통한 갈등관리 방안 연구: 한,중 대학생의 문화가치유형을 중심으로

        이노미 ( No Mi Lee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비교 문화적 관점에서 한국과중국 문화가치유형의 상호인지능력을 측정, 평가함으로써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요인과 갈등관리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과 중국은 지리적인 근접성으로 인해 서로의 문화적 유사성을 가정한 상태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진다. 때문에 실제 의사소통에서 부딪치는 문화적 갈등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와 관련해 한·중 대학생들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상호인지평가를 측정한 결과 한국은 개인주의의 ‘서구적 가치관’이 지배적인 반면 중국은 집단주의와 권위주의의 ‘전통적 가치’를 고수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한국 학생들의 문화 간커뮤니케이션 인지불일치 갈등요인이 중국유학생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즉 중국유학생들이 한국 문화가치유형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아울러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갈등은 ‘문화적 차이’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갈등해결방식에서는 ‘협력형’을 선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문화가치유형에 대한 한·중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 인지능력향상을 도모하고 이문화 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factors of conflicts i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and explore solutions for conflict management by measuring and evaluating mutual cognitive abilities of Korean and Chinese, particularly focusing on their cultural values in cross-cultural situations. There are problems that cultural conflicts in actual communic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re aggravated because communication happens under the assumption that their cultures are similar as two countries are geographically close. Concerning to this,Intercultural communication mutually cognitive evalu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llege students were conduc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Western values of individualism were dominant in Korea whereas traditional values of groupism and authoritarianism stayed in China. Moreover, conflict factor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cognitive discord among Korean students were relatively higher than Chinese students which implied that Chinese students understood Korean cultural value orientation more accurately. Korean and Chinese students pointed out conflict factors of intercommunication as “cultural differences”, and preferred cooperation style as a method to ‘resolve conflicts’. The author expects that the present study to promote cognitive ability of communication between Korean and Chinese culture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cross-cultural training.

      • KCI등재

        환경갈등관리의 제도적 접근방안 -사회영향평가를 중심으로

        정주철 ( Ju Chul Jung ),임재영 ( Jae Young Lim ) 한국환경정책학회 2009 環境政策 Vol.17 No.1

        Wrongly pursued national projects have caused environmental conflicts, producing tax payers` money squandered, environment polluted, and cultural values disregarded. Many reasons contributed to environmental conflicts. First, civic participation was constrained by government. It had not been consulted enough before the projects started, and, even after its importance was recognized, it was mainly considered a procedural nuisance. Second, negotiations and mutual consensus-building were ignored. Rather, government has shown tendencies to rely on the court, resulting in social and economic loss. Third, there is lack of institutions to mediate environmental conflicts. As a consequence, local communities suffer from them, for they are disadvantaged in terms of resources and expertise against government. Fourth, environmental and cultural aspects on impacted local communities are rarely investigated in full. Social impact assessment has been widely used in developed countries as an institutional means to prevent adverse impacts of projects on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ies. And it has proved effective in building consensus among stakeholder because it mediates multiple stakeholder. Moreover, it brings much needed expertise on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impacts that projects may make on environment and local communities. Thus, the study demonstrates that social impact assessment can be a strong tool for conflict resolu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