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가로시설물의 조형 요소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

        강규범,조세환,Kang, Gui-Bum,Cho, Se-Hwan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4

        본 연구는 가로 시설물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 가로경관 선호도 간의 상관성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으며, 일산 신도시의 가로 공간 내 입지하고 있는 휴식, 위생, 조명, 정보, 판매, 교통, 조경 관련 다양한 가로시설물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는 가로시설물 관련 문헌조사를 기반으로 이론을 고찰하고,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해 결과를 고찰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로경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한 분석에서 '휴식시설'과 '정보시설', '조경시설' 등 3개 요소가 가로경관에 주요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나타났다. 특히 이들은 '휴식', '조경', '정보' 시설 순으로 경관 선호도에 큰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으며, 휴식시설에는 각종 '의자 요소'가, 정보시설'에는 '사인보드'가, 조경시설에는 '조형물', '분수', '문주'등의 시설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주된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형태, 색채, 질감, 스케일 등 조형요소가 가로시설물의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휴식시설인 의자는 '질감', '형태', '스케일', '색채'의 순으로 조형디자인 요소가 경관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색채' 요소가 다른 3개 요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관 선호도에 적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통계적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것은 의자 등 편의시설에서는 질감, 형태, 스케일 등 기능적인 사항이 색채 등 시각적 것보다 선호도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것이었다. 조경시설 중 모뉴먼트와 관련된 시설은 경관 선호도에 있어 '색채', '형태', '질감', '스케일' 등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의자 등 편의시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색채, 형태등 시각적 요소가 오히려 경관 선호도에 중요한 영향을 준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셋째, 특히, 사인보드 등 정보시설에 있어 경관 선호도와 디자인의 조형 요소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부(否)의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인보드가 경관 선호도에 매우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것을 의미하고 있음인데, 디자인 조형요소와의 상관성은 '스케일', '색채', '질감'의 순으로 나타남으로써 '스케일' 즉 광고물의 '크기'와 '색채'가 경관 선호도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의미하였다. 이상의 결과는 가로 경관 요소로서 가로 시설물을 디자인하고자 할 경우, 시설물의 종류에 따라서 상이한 조형 요소에 상대적으로 집중적 관심을 쏟아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로시설물을 분류함에 있어서 지금까지 교과서적으로 분류해 온 '기능' 중심의 '계' 차원의 분류체계는 경관성과 관련하여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경관과 관련한 연구를 수행할 경우, '계'보다는 '시설 종류' 차원으로 분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analysis correlations between street furniture design elements and preference of street furniture. This research analyzed the various street furniture set on Ilsan new town street, which are rest, hygiene, light, information, sale, traffic, and landscape. This study has processed by analysing street furnitur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consideration of theory. First, for analysed effect of street furniture element, has been appear as element 'relaxation facilities', 'information facilities', landscape facilities' mainly effect on street. Specially, 'rest', 'landscape', 'information' in order had a major influence on scenery. Each kind of 'chair elements' in rest facilities, 'sign board' in information facilities, 'sculpture', 'fountain' in 'landscape facilities' has analyzed as the main elements in the landscape affinity property affecting factor. Second, the results of analyzed landscape elements (shape, colour, texture, scale) affect to the affinity of street furniture. chair which are included in rest facilities affect "texture", "form", "scale", "color" in the order of preference of the molding design elements that influence landscape. Particularl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colour' element affecting the landscape preference than the other three elements. It means as the chair element which is rest facilities mainly affect on preferences, rather than texture, form, scale, colour. Monument in the landscape associated with a preference 'colour', 'shape', 'texture' 'scale' and appears to be in order of impact so we could get the consequence like chair and rest facilities show different aspects of the respectively. It means, visual element which are colour and shape significantly impact on landscape preferences. Third, information facilities such as signboard formative elements of landscape design preferences and correlation with negative showed that the correlation. That mean if the sign board is very negative influence on landscape preferences and the correlations of the design formative elements appear in order of 'scale', 'colour', 'texture'. It also means that the 'scale' namely the size of advertising material and colour are adversely affected in terms of landscape. As these results, when design street furniture as the street scenery, facilities according to the kind of the shape element and need to focus on relative shape element according to the kind of facilities difference. Finally, so far as to clarify the street furniture, mainly 'function' and 'system' classification shows undesirable in outdoor scape. Thus, performed studies in relationship with landscape, classify 'kind of facilities' is more desirable than 'system'.

      • KCI등재

        계절별 가로 경관이미지 및 선호도 평가 - 벚나무류 가로를 대상으로 -

        신재윤,정성관,김경태,이우성,Shin, Jae-Yun,Jung, Sung-Gwan,Kim, Kyung-Tae,Lee, Woo-Sung 한국조경학회 2011 韓國造景學會誌 Vol.39 No.3

        본 연구는 3차원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가로경관 평가를 위해 경관 재현 정도를 높여 줄 수 있는 시뮬레이션 제작기법을 선정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사성 검증 및 계절별 가로경관의 이용자 심리변화를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경관시뮬레이션의 자연물 중 수목은 근 중경의 경우 normal map 기법을 적용한 Low 기법을 사용하고, 원경은 Plane 기법을 활용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나타났다. 형태적 유사성은 모든 지표가 4.50점 이상으로 평가되었으며, 심리적 유사성은 '질서없는-질서있는', '지저분한-깨끗한' 등의 지표를 제외한 대부분의 심리지표에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계절별 경관시뮬레이션을 분석한 결과, 봄의 가로경관은 '밝은', '이름다운', '정적인' 등의 지표가 높게 평가되었다. 여름의 가로경관은 '시원한', '상쾌한', '생기 있는'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을은 '따뜻한', '어두운' 등이 높게 분석되었다. 겨울은 '질서 있는'을 제외한 모든 형용사가 중간 값 보다 낮게 평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별 가로경관에 대한 선호도는 여름과 봄의 선호도가 5.01, 4.98로 높게 나타났으며, 겨울이 3.48로 가장 낮았다. 계절별 선호요인을 분석한 결과, 봄의 가로경관은 심미성이 0.540으로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름의 경우 정연성이 0.417로 영향력이 높게 분석되었으며, 가을은 다양성과 심미성이, 겨울은 다양성, 심미성, 정연성의 순서로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경관시뮬레이션 기법을 적용해 다양한 도시가로를 비교분석 한다면, 각각의 가로에 적합한 수목으로 공간계획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a landscape image that considers the selection of techniques that can enhance landscape reproduction in streetscape evaluation using 3 dimensional simulations and to evaluate ways to verify similarities and the psychological changes on the part of users by season. In the comparison of technique, the Low(apply normal map) technique was selected for the natural representation of trees in a near and middle view and the Plane technique was selected for the distant view. As the result of the verification, all indicators of physical similarity were evaluated over 4.50 points and most indicators of psychological similarity were found to have no difference except for indicators of 'disordered orderly' and 'dirty - clean'.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landscape simulation by season, images of 'bright', 'beautiful', and 'static', etc., were evaluated high for the spring streetscape. The images of 'open', 'refresh', and 'animate' appeared high in summer and images of 'warm' and 'dark' were found to be high in fall. On the other hand, all images were evaluated as low except for the 'orderly' image. In the preference of streetscape by season, summer and spring were highly preferred at 5.01 and 4.98 with winter as the lowest at 3.48.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preference factor, the spring streetscape was found to be a major influence in preference by 0.540 in 'aesthetics'. In the case of summer, 'order' was found to be high at 0.417 while influences in preference included 'variety' and 'aesthetics' in fall and 'variety', 'aesthetics', and 'order' in winter. A determination of suitable spatial planning us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various city streets will be enabled through the methods of this study.

      • KCI등재후보

        운전자와 비운전자의 가로경관 선호도 분석- 남태령 가로경관을 사례로 -

        허한결,김호걸,길승호 (재) 인천연구원 2017 도시연구 Vol.- No.11

        Despite the fact that many studies on the street landscape have been made, there was insufficient researches on the preference of street landscape viewed from the driver 's point of view. We analyzed the preference of driver and non-driver for street landscape of road edge and the trees in the center of the road.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ed the method of a basic measure for constructing and improving street landscape considering different preference between driver and non-driver. The photographs were taken while driving the vehicle in order to take the driver 's viewpoint.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31 drivers and 34 non-drivers. The photos used in the questionnaire were selected to include various landscape. For each photograph components, the naturalness, openness, safety, aesthetics, complexity, and preference were asked from respondents whether to be good or not for each landscape adjective. The categorical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to find landscape factors that affect street landscape preferenc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andscape adjectives was derived by linear regression analysis. Also, the differences in the preference between driver and non-driver were found through the paired t-test, a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safety and complexity. Furthermore, as a result of linear regression analysis, driver prefer safe and low-complexity scenes. Therefore, in the later landscape composition, it is considered that safety and complexity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reflect driver's viewpoint. 가로경관에 대한 연구가 다수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운전자의 시각에서 바라본 가로경관 선호도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로 중앙의 조경 수목과 도로 가장자리의 가로경관에 대한 선호도를운전자와 비운전자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운전자와 비운전자의 경관선호도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고, 운전자의 선호도를 고려한 가로경관 조성 및 개선을 위한 기초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진은 운전자의 시각을고려하기 위해 차량을 타고 운행하면서 촬영하였으며, 설문은 운전자 31 명, 비운전자 34명을 대상으로 촬영한 사진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시 사용된 사진은 다양한 경관구성요소를 포함하도록 선정하였으며, 각 사진별로 자연성, 개방감, 안전성, 심미성, 복잡성, 선호성을 조사하였다. 설문결과에 대하여 범주형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관구성요소를 도출하였고, 경관형용사와 선호도 간의 관계를 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도출하였다. 또한 운전자와 비운전자 간의 선호도에 있어서의 차이를 대응표본검정을 통해 파악한 결과, 안전성과 복잡성에 대하여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확인을 위하여 경관형용사와 경관선호도에 대한 선형 회귀분석을 재실시한 결과, 운전자가 비운전자에 비하여 안전성이 높고 복잡성이 낮은 경관에 대하여 선호도가 높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따라서 추후 가로경관 조성에 있어서 운전자의 시각을 고려하기 위해서는 안전성과 복잡성에 대한 고려가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서울북촌 가로경관의 시각적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삼청동 35번지,가회동 31,11번지를 중심으로-

        김동찬 ( Dong Chan Kim ),김신원 ( Shin Won Kim ),김미래 ( Mi Rae Kim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2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0 No.2

        본 연구는 북촌의 가로 중에서도 특히 한옥밀집지역인 가회동을 중심으로 가로경관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북촌 가로경관의 대한 시각적 특성에 따른 선호도의 상관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에 북촌의 가장 대표적인 경관 삼청동 35번지, 가회동 31번지, 11번지를 대상으로 가로경관의 시각량과 선호도의 관계를 기술분석하였다. 또한 요인분석을 통하여 북촌가로경관의 이미지 특성의 공통요인을 추출하였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이미지평가와 선호도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로는 첫째, 시각량과 선호도 관계에서 가회동 31번지의 가로경관이 가장 선호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북촌가로경관의 천장면과 식재의 시각량이 높을수록 높은 선호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심리적인 측면에서는 북촌의 가로경관은 ``심미성``, ``쾌적성``, ``정연성``의 특성으로 설명되었으며, 가장 선호가 높게 나온 가회동 31번지와 낮게 나온 삼청동 35번지는 ``심미성`` 항목에서 많은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심리변수 요인에 대한 요인점수와 선호도에 대해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심미성``을 설명하는 인자가 선호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전체 경관과 조화를 이루어 지역적인 특성을 잘 살린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북촌의 가로 정비 방안이 체계적으로 발전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ed to research theoretical reviews of streetscape and to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properties and preference of streetscape in Bukchon around Gahoe-dong which is a dense Hanok area. Therefore we analyzed a relation between visual quantities and preference intended Samcheong-dong 35 street, Gahoe-dong 31 street and Gahoe-dong 11 street the representative streetscape in Bukchon. Also we extracted common factors of images of the streetscape in Bukchon and figured out a relation between the visual image evaluation and the preference by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follows. First, it was the streetscape of Gahoe-dong 31street which get more scores than any other streetscape in preference. And we figured out that the higher the ceiling and the visual quantities of planting the more preference. Second, streetscape in Bukchon was explained by ``aesthetics``, ``amenity`` and ``orderliness`` in psychological view. And there was noticeable difference in aesthetics aspect between Gahoe-dong 31 street the highest preferred place and the Samcheong-dong 35 street the lowest preferred place. Third,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on preference and factor scores about psychological variables, we figured out that the factor which explains aesthetics effects most on the preference.

      • KCI등재

        상업가로경관의 시각적 정보량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컴퓨터 비전 기법을 활용하여

        이지윤,박진아 한국도시설계학회 2020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21 No.4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visual complexity perception of the streetscape and preferences from street users an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uter-measured visual complexity to see if a computer can represent a person’s perception. Previous studies about visual complexity have the problem of being arbitrary in defining ‘visual complexity’, so this study attemp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using computer-based mechanical measur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measurement methods was found to be consistent. As a result, we saw the possibility that computers could represent human perception. Second, as the complexity of the streetscape has increased, people’s preferences have risen and then peaked at medium complexity and then lowered again. Therefore, in order to derive the highest preference of street users, it is important to plan the elevation of the building by selecting the appropriate complexity. 본 연구의 목적은 가로 이용자의 입장에서 경관에 대한 시각적 복잡성 인식과 그에 따른 선호도에 대해 알아보고, 컴퓨터로 측정한 시각적 정보량과의 비교를 통해 컴퓨터가 사람의 인식을 대변할 수 있는지를 알아봄에 있다. 기존의 시각적 복잡성과 관련한 연구들은 ‘시각적 복잡성’을 정의함에 있어 자의적이라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 본 연구는 컴퓨터를 이용한 기계측정방식을 사용함으로써 선행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설문을 통한 선호도-복잡성의 관계와 기계측정을 통한 선호도-정보량의 관계가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통해 컴퓨터 비전 방법론이 사람의 인식을 대변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았다. 둘째, 가로경관의 정보량이 올라감에 따라 사람들의 선호도가 높아졌다가 중간 정보량에서 정점을 찍고다시 낮아지는 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가로 이용자의 가장 높은 선호도를 이끌어내기 위해서는경관계획을 함에 있어 적절한 시각적 정보량을 선정해 건물 입면계획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심리적 인지특성을 고려한 교량하부 녹화유형별 선호요인 분석

        정성관,최철현,신재윤,Jung, Sung-Gwan,Choi, Chul-Hyun,Shin, Jae-Yun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2013 慶北大農學誌 Vol.31 No.4

        본 논문은 경전철 건설로 인한 도심의 경관훼손 저감 및 쾌적한 가로경관을 위한 교량하부녹화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는 대구광역시 도시철도 3호선이 건설되는 구간이며, 고층아파트 및 상업시설이 밀집된 지역을 사례지로선정하였다. 교량하부 녹화방식을 유형화한 뒤, 유형별 선호도의 차이와 시각적 이미지를 평가하고자 3차원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각 장면을 제작하였으며, 경관형용사를 이용하여 설문평가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화목열식유형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으며, 교량경관에 대한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화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량하부의 효율적인 녹화계획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resents a greening plan for the under space of elevated rail tracks to reducing landscape impairment and improve the streetscape. This study focuses on a section of the Daegu Metro line number 3 that includes a concentration of high-rise apartments and commercial areas. First, different types of planting were categorized for the under space of the elevated rail track, and then images of each planting type were created using a 3D simulation tool to evaluate the visual characteristics. The landscape images and related adjectives were assessed using a survey. As a result, rows of flower trees received the highest evaluation, and 'harmony'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railscape preference. These results can be important data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greening plan for the under space of elevated rail tracks.

      • 심리적 인지특성을 고려한 교량하부 녹화유형별 선호요인 분석

        정성관,최철현,신재윤 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2013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Vol.31 No.4

        본 논문은 경전철 건설로 인한 도심의 경관훼손 저감 및 쾌적한 가로경관을 위한 교량하부녹화방안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의 대상지는 대구광역시 도시철도 3호선이 건설되는 구간이며, 고층아파트 및 상업시설이 밀집된 지역을 사례지로선정하였다. 교량하부 녹화방식 을 유형화한 뒤, 유형별 선호도의 차이와 시각적 이미지를 평가하고자 3차원 시뮬레이션을 사용하여 각 장면을 제작 하였으며, 경관형용사를 이용하여 설문평가를 실시하였 다. 분석결과, 화목열식유형의 선호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 었으며, 교량경관에 대한 선호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조화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량하부의 효율 적인 녹화계획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는데 중요한 기초자 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resents a greening plan for the under space of elevated rail tracks to reducing landscape impairment and improve the streetscape. This study focuses on a section of the Daegu Metro line number 3 that includes a concentration of high-rise apartments and commercial areas. First, different types of planting were categorized for the under space of the elevated rail track, and then images of each planting type were created using a 3D simulation tool to evaluate the visual characteristics. The landscape images and related adjectives were assessed using a survey. As a result, rows of flower trees received the highest evaluation, and ‘harmony’ was identifi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ffecting the railscape preference. These results can be important data for establishing an efficient greening plan for the under space of elevated rail track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중소도시 가로경관의 선호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가로공간과 가로변건축물의 계획요소를 중심으로 Focused on the planning elements of roadside space and building

        조홍정,박춘근 대한건축학회 2004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0 No.9

        This study is about find ing out the preferred urban road landscape and suggest a way to plan it the result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cal characters must be regarded during urban development and expansion Especially, undeveloped areas with high potential or open space need systematic management Second, the unvarying shape of roof like the flat-type roof and simple repetition of horizontal and vertical openings are the most serious problems concerning the building shapes Third, design elements concerning the planing of street area are space structure, street type and building shape, what pedestrians considered most important was street type, next was building shape and last was space structure Finally, the trends of road landscape preference is that once the space had been obtained roadside trees and a green environment was properly planted and also continuous building lines were preferred the most by pedestrians

      • 가상현실(VR)을 활용한 시민참여형 가로공간설계

        이슬비(Lee, Seul-Bee),김솔미(Kim, Sol-Mi),박선화(Park, Seon-Hwa),신수양(Shin, Su-Yang),성사라(Seong, Sa-Ra),김영환(Kim, Young-Hwan) 대한건축학회 2017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7 No.2

        Worldwide, the 4th industry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and policy directions focus on opening the spatial information. Thus, utilizing spatial data is utilized to promote the fourth industry in urban planning areas. It is necessary to seek ways to attract participation as citizen participation becomes important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us, the design of each road type is presented in this study. The proposed design was implemented as a virtual reality (VR), and the residents of Cheongju directly experienced it. Afterwards, they conducted a survey of the design preference and virtual reality utilization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we derived limitation, impl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the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