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돌봄서비스 수요 추정을 위한 장래가구추계

        이지혜,이철희 한국인구학회 2024 한국인구학 Vol.47 No.1

        본 연구는 사회서비스 중 돌봄서비스 수요 추계에 있어, 6세 이하 영유아 및 고령층 인구구조의 변화 및 개인 특성 뿐만 아니라 이들이 속한 가구의 특성 및 가구구조 변화 가능성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고려하여 영유아 및 고령층 장래가구추계 방법을 탐구하였다. 기존의 가구주 중심의 가구 추계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인구주택총조사 패널 자료를 기초 자료로 하여 가구원을 중심으로 가구유형별 전이확률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하는 방식의 가구 추계방법론을 적용하되, 영유아 및 고령층 가구 변화에 대한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하여 2035년까지의 가구수 및 가구구조를 예측하였다. 특히, 영유아의 경우 가구 내 여성의 노동시장참여 증가에 따른 맞벌이 비중 변화 가능성을 고려하여 가구 분포를 추계하였고, 고령층 가구의 경우에는 65세 이상 및 75세 이상으로 연령 구분, 성별 및 가구 내 고령자의 수 등을 구분하여 추계 결과를 제시하였다. 추계 결과, 6세 이하 영유아 수는 감소할 가능성이 크나 영유아 가구 중 부부+미혼자녀 가구 및 맞벌이 증가 등에 따라서 영유아 돌봄서비스의 수요가 인구수 변화만큼 감소하지 않을 가능성을 보였다. 또한, 고령자 수의 지속적인 증가와 함께 1인 가구 및 고령 부부 가구 비중의 확대, 그리고 변화 속도에 따라서 노인돌봄수요의 변화도 인구수 변화 양상과는 다를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돌봄 정책 마련에 있어, 돌봄 대상 인구수의 양적 변화 외에도 대상 인구의 가구 특성 및 가구구조 변화 속도 등에 따라 돌봄 대상자 규모 및 수요 변화 가능성을 고려해야 함을 보였다. This study projects future household structures to estimate care service demand, factoring in demographic shifts, traits of infants and the elderly, and potential changes in household characteristics. Utilizing panel data from the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the study employs transition probabilities focused on household members to estimate future households, considering various structural change scenarios until 2035. For infants, the estimation incorporates potential shifts in the proportion of dual-income households due to increased female labor market participation. The elderly analysis distinguishes age groups, gender, and the number of elderly individuals within households. Results suggest that the demand for childcare services may not decline as much as the changes in the population of children aged under 5 would indicate, attributed to an increase in dual-income households within the infant population.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elderly population, coupled with changes in household structure, raises questions about variations in demand for elderly care service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both quantitative changes in the target popul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ructural changes within households when formulating future care service policies.

      • KCI등재후보

        행정복합도시의 인구수 및 유형별 가구수 추정에 대한 연구: 1단계 사업성과를 기반으로

        남영우,권치흥,김종림,김용순,Nam, Young-Woo,Kwon, Chi-Hung,Kim, Jong-Lim,Kim, Yong-Soon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2016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ol.7 No.4

        2012년 7월 1일에 세종특별자치시가 출범하게 되고 행정복합도시의 1단계 건설사업이 2015년 말에 완료되었다. 따라서 1단계 사업의 결과를 통해서 나타난 결과를 통해 2030년까지 계획하고 있는 인구 및 가구수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지 점검하고 향후 공급해야 할 주택의 수 및 유형을 결정하는데 활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단계 사업기간 중에 나타난 결과를 기반으로 2030년까지의 인구수 및 가구수를 예측하였다. 인구수의 예측은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에서 나타난 세종시의 인구증가율과 1단계에서 나타난 계획대비 실적을 활용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기존의 행정복합도시가 2030년까지 목표로 하고 있는 인구수 50만명과 가구수를 유치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 가구수에 대한 분석에서는 현재 행정복합도시는 공공기관의 대규모 이전으로 인해 3-4인 가구의 비중이 크고 소득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자가주택에 거주하는 주택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도시의 규모가 커지면서 1-2인 가구와 임차주택의 비중이 높아지고 소득수준이 조정될 가능성이 높아 향후 주택공급시 이를 반영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Sejong Metropolitan Autonomous City is launched on July 1, 2012, and Phase 1 of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Project was completed in late 2015. Therefore, it is necessary through the results of the first phase of the project to check whether Sejong city can achieve the target population and number of households by 2030 and to use to determine the number and type of housing to be supplied next. Based on the presented results of the Phase 1 project period, this study estimate the population and number of households in 2030. For forecasting future population the population growth rate seen in the future of Sejong City's population forecast publish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and the performance against plans Step 1 were used for forecasting future population.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s difficult to attract five hundred thousand people and two hundred thousand houses. In the analysis of households by type The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s The large proportion of 3-4 person households and high-income earners and Homeowners. But it increased the proportion of households with 1-2 people and rent house of the city grows in size and it is likely to change the level of income. Therefore, it is determined that there is a need to reflect these elements in next housing.

      • KCI등재후보

        가구수 변화가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최차순(Chasoon Choi) 한국부동산정책학회 2023 不動産政策硏究 Vol.24 No.2

        개요: 본 연구에서는 DOLS 모형을 이용해 가구수가 주택매매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장기적 관점에서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DOLS 모형에 포함된 대부분의 변수 추정값이 이론적 부호와 일치하며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주택가격과 가구수, 인구, 상용근로자 평균임금 및 주택담보대출 이자율 사이에는 공적분 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구수를 나타내는 가구수 증가율 계수가 양(+)의 값을 보이고 t값이 2보다 커서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는 가구수가 1% 증가하면 주택가격을 장기적으로 0.18% 증가시킨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주택정책이 주택가격을 안정화 시키는데 유의미한 실효성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가구수 증가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여 이에 기반한 예측 및 평가 시뮬레이션 모형을 개발하여 선제적으로 주택정책을 수행할 필요성이 있다.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the effect of the number of households on housing sales prices from a long-run perspective using the DOLS(Dynamic Ordinary Least Squares) model.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most of the variable estimators included in the DOLS model are consistent with the theoretical sign and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 significance level. First, it is found that a cointegration relationship exists between housing prices, the number of households, the population, the average wage of regular workers, and the interest rate of mortgage loans. Second, the growth rate coefficient of the number of households representing the number of households showed a positive(+) value, and the t-value was greater than 2, so i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1% significance level. This means that a 1% increase in the number of households will increase housing prices by 0.18% in the long run. Therefore, for housing policies to show significant effectiveness in stabilizing housing prices, It is necessary to proactively implement housing policies by developing a prediction and evaluation simulation model based on close monitoring of the trend of growth rate of households.

      • SWG 적용을 위한 상수도사용량과 가구수의 상관성 분석 (인천광역시를 대상으로)

        박현기 ( Hyunki Park ),박형순 ( Hyoungsoon Park ),이호선 ( Hoseon Lee ),한국헌 ( Kukheon Han ) 한국농공학회 2013 한국농공학회 학술대회초록집 Vol.2013 No.-

        최근 발생되어지는 기상이변으로 인해 수자원의 변동성이 증가함으로 물 관리의 어려움을 격고 있으며, 이는 우리사회의 물 부족 문제로 작용되고 있다. 이 문제를 대처하기 위해 먹는 물의 생산과 공급을 보다 경제적이고 효율성 있게 수자원을 관리하는 기술인 스마트워터그리드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워터그리드(Smart Water Grid, SWG)란 기존 수자원 관리 시스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첨단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ICT)을 이용하는 고효율의 차세대 물관리 인프라 시스템으로, 다양한 수원을 활용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배분, 관리 및 운송하여 수자원의 불균형을 해소하는 지능형 물관리 시스템이다. 본 연구는 수자원 자립율이 저조한 인천광역시를 대상으로 SWG도입을 위한 기초 데이터 분석을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 하였다. 인천광역시는 지리학적으로 한강의 하구에 위치하였으며 해안에 인접한 도시로 수원으로 활용 할 수 있는 수자원이 부족하여 멀리 떨어져 있는 팔당과 풍납취수장 으로부터 인천시 상수도 공급을 위한 원수를 공급받는 실정으로 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지역이다. 이와 같이 물 문제에 직면한 인천광역시에 수자원 자립율을 높일 수 있는 기술인 SGW 기술을 도입하여 물 문제를 해결하고자 SWG기술 적용 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한 가구수의 증감에 따른 상수도 사용량 변화에 대한 상관관계를 확인하고자 최근 10년간의 자료를 수집하여 단순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한 가구에서 사용되는 물 사용량 산정을 위해 가구의 구성원수×1인평균 물 사용량으로 산정을 한다면 과대산정이 될 가능성이 크다. 4인이 거주하는 세대와 같이 1인이 거주하는 세대 또한 청소, 세탁, 설거지와 같은 기본적으로 사용할 수밖에 없는 기초 생활용수가 필요하며 가구당 구성원이 많다면 이를 공동 활용하여 물 사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다. 본 연구를 통해 인천광역시의 물 사용량 예측 시 인구 증감뿐만 아니라 가구수의 변화까지 고려하여 물 사용량을 예측하여야 한다고 판단되며, 이는 핵가족 사회로 변화됨에 있어 가구당 구성원의 수가 점점 줄어드는 현 시대에 맞는 물 사용량 예측을 보다 정확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인천광역시의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SWG 기술 도입 시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라 판단된다.

      • KCI등재

        보건의료 가책소비지출 추계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노상윤,Rho, Sang-Youn 한국통계학회 2010 응용통계연구 Vol.23 No.1

        본 연구는 보건의료 가계소비지출 추계에 있어 가구원수별 가구 수 추계의 신뢰성과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연구결과를 제시하였다. 첫째, 기존 국민의료비 추계과정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가구 원수별 가구 수의 추계는 우리나라 인구사회학적 변화추이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다. 그래서 그 결과의 신뢰성과 정책적 유용성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가 발생하고 었다. 둘째, 이에 대한 실증적 근거로 기존 보건의료 가계소비지출 규모의 추계결과가 실제적인 규모에 비해 과소추계 되었음을 제시했다. 셋째, 보다 신뢰할 수 있고 효울적인 보건의료 가계소비지출 규모를 추계하기 위해서는 우리나라 인구사회학적 변화추이가 반영된 가구원수별 가구 수의 장래 추계결과를 활용해야 할 것이다. 그 대안으로 통계청에서 매 5 년 마다 주기적으로 조사하여 발표하고 있는 인구주택 총조사 가구 수 통계와 장래 추계가구 수의 증가율을 활용해야 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more confident and efficient projection method that is to estimate the Number of Household per Family scales(NHF) in projecting the Household Heath care Expenditure(HHE). For this purpose, this paper suggested thre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because projecting the NHF does not reflect the recent socio-demographic trends in the process of projecting the National Health Expenditure(NHE),the prior projection results have serious problem in the confidence and political availability. Second, the projection results about the HHE might be underestimated relative to the real one. Third, in order to estimate the more confident and efficient estimates of the HHE, the estimated NHF reflecting the socio-demographic trend must be used to project the one. There is an alternative method that the NHF and the increasing or decreasing rate of them which are regularly surveyed and suggested by the KOSIS should be used to project the process.

      • KCI등재

        디자인과 수요가 융합된 중국 어린이 가구 소비 선호 및 디자인 트렌드 연구

        주단(Zhou, Dan),이성원(Lee, Sung W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4

        본 연구는 중국의 14세 이하의 어린이 인구는 약 2.3억여 명으로 전체 인구의 1/4를 차지하고 있으므로 중국 어린이 가구 시장의 잠재력이 매우 크다는 것에서 시작한다. 2015년에 중국의 알타이정책(二胎政策) 실행 이후 어린이 인구가 해마다 증가하면서 중국 어린이층의 수요가 갈수록 중요시되어 가고 있다. 따라서 어린이의 성장에 맞는 어린이 중심으로 한 가구디자인은 어린이 가구 디자인의 새로운 트렌드가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어린이 가구 구매 시 선택 선호 요인과 소비에 따른 수요를 분석하여 중국 내 어린이 가구 디자인 개발에 기초 자료로 참고할 수 있도록 가이드를 마련하는 것이다. 우선, 중국 어린이 가구의 소비 수요와 구매 행위를 분석하였고 둘째, 어린이 가구의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고 정리하였다. 셋째, 중국 어린이 가구의 브랜드 현황 및 시장 규모, 그리고 미래 트렌드에 대한 분석을 통해 중국 어린이 가구 브랜드의 디자인 요소를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중국 어린이 가구 소비자 149명을 대상으로 구매 특성과 가구 구매 시의 선택 선호 요인을 조사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통해 재료 선택에서 소비자가 가장 중요시하는 것은 재질이고 원목 가구에 대한 선호도가 비교적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가격에 있어서 소비자가 가장 받아들이기 쉬운 가격대는 중간급의 가격대이다. 사용 만족도의 경우 가구를 구매한 2년 안에 어린이 가구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디자인에서 어린이 가구의 오락성을 중요시하며 어린이에게 즐거움을 주는 스마트 어린이 가구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Since there are more than 300 million children in China, accounting for a quarter of the country’s total population, the children furniture market of China has huge potential. 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two-child policy in China in 2015, the number of children has been increasing year by year, and the needs of children in China have been gaining more attention. It is a new design trend to design the humanized furniture that meets the needs of children’s growth. This thesis aims to provide basic materials and advice for the design of China’s children furniture based on the consumption demand and choice preference of Chinese children. Firstly, analyze the consumption demand and purchasing behavior of China’s children furniture. Secondly, analyze and conclude the design features of children furniture. Thirdly, make an analysis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rend of China’s children furniture, and understand the design elements of Chinese brand children furniture. Finally, make a survey of 149 China’s children furniture consumers in terms of purchasing features and choice preferenc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urvey data of consumers, the following findings are obtained: in terms of the material selection, consumers pay attention to the materials of children furniture, and have a high preference for solid wood furniture; in terms of the consumer price, they can accept the middle-priced children furniture; with regard to the product satisfaction, the satisfaction of children furniture is the highest within two years after the purchase; in terms of design style, they attach importance to the children innocence of children furniture, preferring the smart children furniture that can bring happiness to children.

      • KCI등재

        가구 구성원 특성과 가전제품 사용에 따른 가정용 전력 수요의 예측

        노정녀(Joung Yeo Angela No) 한국경제연구학회 2014 한국경제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2008년 한국 내 가정용 전력 사용 통계 자료를 활용하여 가구 구성원 및 거주 주택의 특성이 가정용 전력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가계단위에서 실증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가구 내 가전제품의 보유 현황과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량 등 여러 가지의 전력수요 결정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양한 가구 특성이 가정용 전력 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가구 소득이 높아지면 가정의 전력 사용량이 증가하지만, 소득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시점에서는 소득이 늘어나도 전력 사용량은 증가하지 않는다. ② 5세 미만의 영유아나 65세 이상 노인이 가구에 포함된 경우 전력 사용량이 줄어드나, 가전제품의 보유 여부와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량을 통제하면 가구 내의 영유아와 노인의 유무는 가정의 전력 사용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③ 남성이나 여성으로만 구성된 가구는 남녀 혼성으로 구성된 가구보다 전력 사용량이 적다. ④ 주택의 방 개수, 크기, 건축연도, 형태는 전력 사용량에 영향을 미치나, 가전제품의 보유 여부와 난방용 도시가스 사용량을 통제하였을 때는 방 개수만이 전력 사요량에 전력 사용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 This paper analyzed the effects of household demographics on electricity demand using data from household electricity consumption in 2008. This paper focuses on the effect of various household degographics on electricity consumption after controlling for the usage of various household appliances and durable goods as well as traditional factors affecting electricity consumption. The results of the paper are as follows : (1) there is a non-linear relationship between income and electricity consumption. Specifically, electricity consumption increases as household income increases at a decreasing rate ; (2) the presence of toddlers under age 5 or elders over age 65 in a household decreases the electricity consumption. These effects however disappear when the usage of household appliances and natural gas consumption are controlled for ; (3) Various house characteristics such as house size, number of rooms, age and type of house affect electricity consumption while only the effect of number of rooms remain robust to controlling household appliances and natural gas consumption.

      • KCI등재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의료사회복지 활동 수가 개발 연구: 직무실태조사를 기반으로

        장수미,임정원,권용진,김현희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건강정책학회 2024 비판사회정책 Vol.0 No.83

        우리 사회의 위기가구 지원을 위한 여러 정책에도 불구하고, 위기가구는 계속 발생하 고 있다. 최근 정부는 위기가구 지원을 위해 병원에 근무하는 의료사회복지사와 지역사 회 간 연계 시스템 강화 및 건강보험 활동 수가 개발 계획을 발표하였다. 의료사회복지 사는 의료현장의 복지 전문가로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질병을 지닌 위기가구를 지원하는 의료사회복지 활동 수가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한의료사회복지사협회에 소속 된 전국의 회원 병원(n=115)을 대상으로 의료사회복지사의 위기가구 지원 현황 및 직무 실태를 조사하고, 직무별 소요 시간 산출 및 사례 유형화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활동 수가를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병원과 지역사회의 접점에서 위기가구를 지원하는 의료 사회복지사 역할의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근거로 활용될 것이다. 결론에서는 직무 실 태에 기반한 위기가구 개입 사례, 활동 수가 등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하고, 인력 확대, 원내 지원 시스템 구축, 시범사업의 실시 등 의료사회복지서비스 활성화에 필요한 제언을 하였다. Despite various policies to support households in crisis in our society, households in crisis continue to occur. Recently, the government announced a plan to strengthen the linkage system between social workers working in hospitals and community agencies and to develop health insurance fees to support households in crisis. Medical social workers are welfare experts in the health field,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insurance fees to support crisis households with diseases. To this end, member hospitals belonging to the Korean Association of Medical Social Workers (n=115) were investigated on the current status and job of medical social workers' support for crisis households, and insurance fe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job performance level, time required, and case categoriz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an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the role of medical social workers who support households in crisis at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hospitals and communities. In the conclusion, discussions were made based on the major results(ex. intervention in crisis households based on job survey, insurance fees) and suggestions necessary for effective implementation of medical social welfare services(ex. manpower expansion, support system in the hospital, pilot projects) in the process of supporting households in crisis were made.

      • KCI등재

        농식품 수요체계에 있어 가구원 수 변화가 소비지출에 미친 영향

        권오상,심지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2022 농촌경제 Vol.45 No.4

        We estimated an EASI (Exact Affine Stone Index) food demand system in Korea using the quarterly data of the period 2006-2021 to investigate the impacts of the family structure on food expenditures. Family structure variables of the model include family size, household head age, and income sources (wage vs. non-wage). The marginal impacts of these household characteristics as well as those of family income and food preference changes over time were estimated. We identified food preference differences among families with a single member, two members, three members, four members, and five and more members. It is shown that both single-member families and two-member families prefer more fishery products and fruits but less grain, meat, and dairy products than large-sized families. However, those two types of small-sized families revealed preferences on processed foods differen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estimation results, we simulated the changes in food expenditures caused by the simultaneous changes in family size, age, and the proportion of wage earners for the last 15 years. It is shown that the family structure change affected fresh food expenditures more than processed food expenditures. We found that the observed trend of increasing shares of meat and processed foods would have been even strengthened if there had been no changes in the family structure. 본고는 2006~2021년 분기별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이용해 소비자들의 농식품 소비지출 비중이 어떤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아 결정되는지를 분석하였고, 가구원 수 감소로 대표되는 가족구조 변화가 미치는 영향을 계량분석 하였다. 분석을 위해 신축적인 소비행위를 허용하는 EASI(Exact Affine Stone Index) 수요체계를 추정하였다. 1인과 2인 가구의 구성비 증가는 곡물, 육류, 낙농의 지출 비중을 줄이고 수산물, 과일의 비중을 늘리는 등의 변화를 유발했지만, 두 가구 유형은 일부 품목에서는 서로 반대 방향의 선호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또한 가구 소득, 가구주 연령, 임금 소득자로의 전환, 식품 선호도 변화 등이 식품 소비에 미치는 영향의 방향과 크기도 가족 수에 따라 다르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지난 15년 동안 가족 수, 연령, 소득원 등 여러 특성의 동시적 변화에 의해 발생한 가족구조 변화는 유의한 소비행태변화를 품목별로 초래하였는데, 지속적으로 지출비중이 증가하는 가공식품류 보다는 조리과정을 필요로 하는 곡물, 육류, 수산물, 낙농, 과일, 채소에 미치는 영향이 더 컸다. 그리고 가족구조의 동시적 변화는 육류와 가공식품 소비 비중이 커지는 경향성을 어느 정도 낮추는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중국 전통 문양 분석 및 현대가구의 응용에 관한 연구

        김가우,이성원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2 한국디자인리서치 Vol.7 No.2

        In this study, the most typical plant pattern among traditional patterns was used as a decorative element of modern furniture as a detailed expression el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nterpret the artistic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lant patterns in a modern sense and to develop furniture designs in which plant patterns are reflected in a modern image. If you inherit the art culture of ancient traditional patterns and refer to them, you will be able to better express the spirit and traditional cultural features of your home country in modern furniture design. This provides a rationale for making good 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plant patterns in modern furniture design. In this study, the application method of traditional plant patterns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furniture design was studied through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various aspects such as pattern style, decorative parts, number of patterns, and processing technology according to the aesthetic demands of modern peopl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targeting 200 participants. In terms of pattern style, decorative parts, number of patterns, and processing technology according to aesthetic demand, it was found that traditional plant patterns fit the trend and have a correct influence. Through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find out the problems faced by modern furniture using traditional plant patterns and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of traditional plant patterns in modern furniture design. 본 연구는 전통 문양 중 가장 전형적인 식물 문양을 세부 표현 요소로 하여 현대 가구의 장식 요소로 활용하였다. 전통 식물 문양의 예술 특징을 현대적 감각으로 재해석하여 식물 문양이 현대적 이미지로 반영된 가구 디자인 개발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고대 전통 문양의 예술 문화를 계승하고 그것을 참고로 하면 현대 가구 디자인에서 중국의 정신 및 전통문화 특징을 더 잘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현대 가구 디자인에서 전통 식물 문양의 특징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이론적 근거를 제공해 준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인의 심미적 수요에 따른 문양 양식, 장식 부위, 문양 개수, 가공 기술 등 여러 방면의 조사와 분석을 통해 현대 가구 디자인 개발에 전통 식물 문양의 응용 방식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200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심미적 수요에 따른 문양 양식, 장식 부위, 문양 개수, 가공 기술 등은 전통 식물 문양은 트렌드에 맞고 올바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통 식물 문양을 활용한 현대 가구들이 직면한 문제점 및 현대 가구 디자인에서의 전통 식물 문양의 발전 방향을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