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선시대 風雲雷雨(풍운뇌우) 제례와 음악

        이정희 ( Lee Jung-hee ) 한국음악사학회 2021 한국음악사학보 Vol.67 No.-

        풍운뇌우(風雲雷雨)는 기후와 연계된 바람[風], 구름[雲], 우레[雷], 비[雨]를 주관하는 네 신(神)을 모아 통칭한 것으로, 천하의 근본[天下之大本]으로 여겨지던 농사에 기상(氣象) 상태가 큰 영향을 끼쳤기 때문에 예로부터 경배의 대상이 되었다. 조선초기에는 유교식으로 국가 사전(祀典)을 정비하는 가운데 중사(中祀)의 하나로 규정되었으니, 이는 풍작(豐作)과 긴밀성을 지녔기 때문에 ‘먹거리’ 생산과 직결된 기상여건을 중요하게 인식했던 당시 분위기가 반영된 것이다. 또한 풍운뇌우는 기우제의 대상으로도 선정되기도 하였다. 그리하여 중사의 하나로 시행되던 정기제와 가뭄 해소를 위한 임시제라는 두 가지 방식으로 풍운뇌우 제례가 운용되었다. 의례절차는 태종대에 형성된 기틀과 세종대에 보완된 제도를 기반으로 『세종실록』 「오례의」에 등재되었다. 그리고 세조대 이후 원구제가 시행되지 않으면서 비록 중사이지만 신격으로는 위상이 가장 높아지게 되어 더욱 주목받았고 그러한 변화가 『국조오례의』에 반영되었다. 아울러 음악에 관한 상세한 내용, 즉 악현을 구성하는 악기의 종류와 수량, 악작·악지의 절주방식 등의 음악적 변화 양상은 『악학궤범』에 기록되어 있었다. 한편, 조선후기에는 『춘관통고』에 친행기우(親行祈雨)까지 추가되어 풍운뇌우제 관련 의주가 늘어났다. 친행의 경우 거가출궁에 고취가 추가되었는데 진이부작(陳而不作)했으며, 의례절차와 악무는 정기제처럼 행례된 데에다 진찬례가 추가되기까지 하여, 악대의 종류, 제례절차, 음악의 내용이 국왕의 친행으로 인해 격이 상향되는 방식으로 달라졌다. 나아가 정조는 풍운뇌우단을 원구단과 동일시 할 정도로 매우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이는 조선중화주의와 연계되는 지점이기도 했다. 이렇듯 풍운뇌우단에서 이행한 제례는 풍농(豐農)을 위한 가뭄 해소에 일차적인 목적을 둔 것이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세조대 이후 원구제(圜丘祭)가 폐지되면서 천신(天神) 중 가장 높은 신격을 향한 의식이기도 했다. 제후국에서 시행 가능한 천제(天祭)였다는 상징성과도 연계되어, 중사(中祀)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중요하게 여겨지던 국가 사전(祀典)의 하나였다는 측면에서 일정한 의미가 있다. Pungwunnoewoo(風雲雷雨) is a collective name for the four deities who are in charge of wind, cloud, thunder, and rain related to climate. It has been worshiped since ancient times because weather conditions had a great influence on farming that was considered to be.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it was defined as one of the Jungsa(中祀) during the maintenance of the court rites(國家祀典) in the Confucian style, and it was important to recognize the meteorological conditions directly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food' because it was closely related to a bountiful harvest. It was a reflection of the atmosphere at the time. The ceremonial procedures were registered in the Sejong Sillok(世宗實錄) Oryeui(五禮儀) based on the framework formed during the King Taejong 太宗 and the system supplemented by the King Sejong(世宗). And as the Wonguje(圜丘祭) was not implemented after the King Sejo(世祖), his status as a god became the highest and attracted more attention, and such a change was reflected in Gukjo Oryeui(國朝五禮儀). However, since Gukjo Oryeui(國朝五禮儀) is a book of five rites, it was written mainly about rituals, so it was necessary to refer to Akhak Gwebeom(樂學軌範) for detailed information about music. In Akhak Gwebeom(樂學軌範), the musical changes such as the type and quantity of instruments, and the method of the musical performance were reflected. On the other hand, in the late Joseon dynasty, Chinhaenggiwoo(親行祈雨) was also added to Chungwantonggo(春官通考). In the case, Gochi(鼓吹) was added to the Geoga Chugung(車駕出宮), but it was not played. The ceremonial procedures and musical dances were performed like regular rituals and even Jinchanrye(進饌禮) was added. It changed in a way that the rank was raised due to the king's authority. Furthermore, King Jeongjo(正祖) regarded Pungwunnoewoo(風雲雷雨) as very important to the point of equating it with Wongudan(圜丘壇), which was also a point of connection with Joseon Joonghwajooeui(朝鮮中華主義). As such, the ritual performed by the Pungwunnoewoo(風雲雷雨) had the primary purpose of relieving the drought for the sake of abundance, but on the other hand, as the Wonguje(圜丘祭) was abolished after the King Sejo(世祖), it was the most It was also a ritual towards a higher deity. Therefore, it is also connected with the symbolism that it was a heavenly system that can be implemented in the dynasty, and it has a certain meaning in that it was one of the important royal ceremonies despite belonging to the Jungsa(中祀).

      • KCI등재

        조선초기 풍운뢰우산천성황제(風雲雷雨山川城隍祭)의 수용·지속과 그 인식적 기반

        최종석 ( Choi Jong-suk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6 한국학연구 Vol.0 No.42

        본고에서는 태종대에 수용된 풍운뢰우산천성황제가 조선시대에, 구체적으로는 조선초기에 지속적이면서도 비중 있게 거행될 수 있었던 인식적 기반을 탐색하여 당시의 종교적 심성을 한층 깊이 있게 이해해 보고자 했다. 풍운뢰우산천성황제에서의 대상 신들인 風雲雷雨, 國內山川之神, 國內城隍之神은 이전에는 전혀 존재하지 않다가 여말선초 시기에 이르러서야 새로이 등장한 것으로 개별성을 상실한 채 합체화되고 일반·추상화된 존재라는 특징을 공유하고 있었다. 신은 영험을 지니고 있는 인격신적 존재로, 신에 대한 제사는 그의 영험에 의지하여 원하는 바를 얻고자 하는 행위로 보는 고려시대 사람들의 감각에서 보자면, 풍운뢰우산천성황을 구성하는 이들 신에게서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영험을 기대할 수 없다. 고려시대에서라면 풍운뢰우산천성황제 식의 제사는 수용되기 어려웠을 뿐만 아니라 설령 수용되었다고 할지라도 유명무실화되기 십상이었을 테지만, 조선시대 동안에는 風雲雷雨山川城隍을 대상으로 한 치제가 지속적이면서도 비중 있게 설행되었다. 정례적인 제사는 물론이요 한발 시에 기우 차원에서 시행되는 비정기적인 것에서도 그러하였다. 고려말기, 특히 조선에 들어서는, 신에 있어서 영험 대신 공덕이 중시되었고 제사는 영험 있는 신에게의 기복 행위가 아니라 국가와 민인에게 공덕을 베푼 존재에 대한 마땅한 보답이라는 전대와 달라진 인식적 환경 하에서, 각각의 작용(직분)을 토대로 국가와 민인에게 공덕이 있어 온 존재인 風雲雷雨, 國內山川之神, 國內城隍之神을 대상으로 하여 보답 차원의 치제가 거행되는 것은 당연하다고까지 할 수 있었다. 다만 한발 시에 기우 차원에서 시행되는 비정기적인 풍운뢰우산천성황제는 제사에 대한 생각이 공덕이 있어 온 신에 대한 치제 정도로 그치지 않았다. 가뭄이라는 당면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염원에서 거행되었을 것이기 때문이다. 風雲雷雨, 國內山川之神, 國內城隍之神을 대상으로 가뭄 문제의 해결을 염원해서 기우제를 거행한다고 해도, 그것은 이를 통해서 가뭄이 해결될 수 있다는 믿음에서가 아니라 가뭄으로 인해 민인들이 고통 받는 상황에서 위정자가 해야 할 바를 하는 차원에서였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what enabled to launch and implement the Pungunnoe-u Sancheon Seonghwang ritual in significant manners in the early Choson period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igious mindset prevalent in that period. To contrast, the Koryo dynasty reveals that religious rituals such as the Pungunnoe-u Sancheon Seonghwang ritual had not been accepted or rarely instantiated, if any. The Chosun Dynasty, however, witnessed rituals including the Pungunnoe-u Sancheon Seonghwang ritual enacted in regular and significant manners. They include non-periodic rituals for rain in the time of severe drought as well as regular rituals. The emphasis shifted from miraculous deity[靈驗] to meritorious virtues[功德], which happened at the transitional period from the late Koryo dynasty into the early Choson. It had been widely granted that rituals ought to be observed for meritorious virtues as appropriate rewards, not praying good lucks for miraculous deity. Such change enabled rituals for Wind·Cloud·Thunder·Rain god(Pungunnoe-u風雲雷雨), Mountain·River god(Sancheon國內山川之神), and City god (Seonghwang國內城隍之神) possible as rewarding for meritorious service on their own. The Pungunnoe-u Sancheon Seonghwang ritual, as non-periodic one for rain, means more than a ritual for meritorious virtues. In spite of aiming to solve upcoming problems such as current severe drought, these rituals had served for governing classes that did what they were supposed to do for the need of people who suffered from drought.

      • KCI등재

        조선 후기 제주도 풍운뇌우단의 폐치와 복설

        송문기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원 2023 탐라문화 Vol.- No.74

        제주 풍운뇌우단은 탐라국 시기 성주⋅왕자가 칠성단을 쌓고 북두칠성에 제사를 지냈던 遺制를 이어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즉 여말선초 탐라지배층은 풍⋅운⋅ 뇌⋅우 가운데 風師와 雨師가 각각 箕와 畢의 별자리에 해당하므로 북두칠성과노인성에 대한 신앙을 전승하여 그들의 재지적 권위를 정당화하고 신성화하기 위해 풍운뇌우단을 만들고 제사를 지냈던 것이다. 더욱이 18세기 초반 탐라지배층은 석전제의 제물도 國學과 동일한 희생을 쓰고, 사직단 기우제에서 삼을나의 위판을 배위로 진설함으로써 조선시대에도 제후국으로서의 면모를 갖추고자 했는데 풍운뇌우단 역시 그 가운데 하나였다. 이형상목사가 “節目에 관한 일은 오직 스스로의 典禮만을 쫓아 지키려 한다.”고 했듯이탐라지배층은 탐라의 舊例로써 국가제사의 儀를 변용하여 그들의 재지적 권위를높이고 있었다. 이형상 목사는 풍운뇌우제가 지방관으로서 감히 행제할 수 없는제사이기 때문에 철폐했지만 그것이 갖는 본질적 의미는 ‘탐라의 舊例로써 국가제사의 儀를 변용’하는 舊習의 철폐에 있었다. 제주 풍운뇌우단은 정동후 목사의 복설 명분과 영의정 김창집의 근거 마련으로복설된다. 풍운뇌우단과 그에 따른 제사의 복설은 主祭者가 탐라지배층이 아닌국왕이 됨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또한 탐라지배층의 제사권이 소멸하고 그에 따라재지적 권위가 약화되는 계기가 되었다. 그럼에도 “本島에는 본래 풍운뇌우단이있어 1천여 년 동안 삼가 香祀를 받들어 왔다.”라는 복설 명분을 정동후 목사 이후, 제주목사들이 祭文에서 지속적으로 언급함으로써 제주 ‘풍운뇌우단’은 탐라의 遺 制로서 관념상 존중되었다고 하겠다.

      • KCI우수등재

        <風雲雷雨樂章>과 동아시아 중세생태주의 담론

        조규익 국어국문학회 2018 국어국문학 Vol.0 No.185

        The Joseon Dynasty’s Pungulloeu Akjang, which belonged to the Joongsa(中祀: middle class of rites) of Gilye(吉禮: national ritual ceremonies), was used for the national rites in conjunction with the Sancheon(山川: gods who govern mountains and rivers) and the Seonghwang(城隍: gods who govern lives of the village people) according to the Ming Dynasty Hong wu li zhi(洪武禮制). Wind, cloud, thunder, and rain are gods that have been worshiped together with the Seonghwang who was believed to protect the village, because they were meteorological factors with great significance in the comfort and richness of the people. In the Middle Age dynasties, the people regarded the grain as heaven, and the king regarded the people as heaven. Woosoonpoongjo(雨順風調: timely rain and moderate wind) was the absolute condition for the growth and fruition of grains, and good growth and the fruition of grains were directly connected with the lives of the people, so the king who wanted to do the benevolent royal politics put more emphasis on comfort and abundance of the people. The harmony of ecology, that is, nature and meteorology, was the premise of the benevolent royal politics. Two concepts are fused into the discourse of medieval ecology. Those are medieval universality and ecological forms of life. Choheon Pungulloeu Akjang(初獻風雲雷雨樂章) is composed of two parts. The structure and function of ecosystem based on the principle such as 'balance of yin and yang', 'samjaejido'(三才之道: law of heaven, earth, and man), and 'mutual symbiosis' were analyzed in the front part. And the ecological viewpoint of the Zhouyi, which is the organic view of nature that enables people to realize the mutual connection of ecology, mutual constraints, harmony and life liberation is suggested in the front part. The latter is a part of the people's request for the richness based on the ecological view of the Zhouyi presented in the front part. Thus, a diagram about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that "the observance of ecological conditions → the enjoyment of richness→ the implementation of ideal politics" is implied in the Choheon Pungulloeu Akjang. The theoretical basis of the Pungulloeu Akjang is indeed an ecological political view designed in Confucian scriptures such as the Zhouyi, Shangshu, and Mencius. And, for a considerable period of time, as the medieval political ecological discourse lasted, spread and settled, the civilization of the East Asian region converged into the category of universality. 조선조 풍운뇌우 제례는 명나라 『洪武禮制』에 따라 山川 및 城隍과 합사된 형태로 『國朝五禮儀』(吉禮 中祀)에 실려 있는데, 그 제례에서 풍운뇌우 신에게 올리던 악장이 <풍운뇌우악장>이다. 바람․구름․우레․비 등은 백성들의 안위나 豐饒에 결정적인 의미를 지닌 기상 요인들이었으므로, 마을을 지켜 준다고 믿었던 성황신과 함께 숭배되어 온 신들이다. 중세왕조에서 백성들은 곡식을 하늘로 여겼고, 제왕은 백성을 하늘로 여겼다. 우순풍조는 곡식의 생장과 결실에 절대적 조건이었고 곡식의 충실한 생장과 결실은 백성들의 삶과 직결되었기 때문에, 왕도정치를 행하고자 하던 제왕은 백성의 풍요를 무엇보다 중시하지 않을 수 없었다. 생태 즉 자연과 기상의 조화는 왕도정치 수행의 필수 요건이었다. 중세왕조의 제례나 악장에서 ‘자연의 조화에 순응하려는 인간의 의지, 제사 절차나 제도를 중국의 그것과 조화시키려는 정치․외교적 의도, 악장 제작에 사용된 述而不作의 결구 방법’ 등 단순한 자연생태 이외에 ‘중세 보편주의’를 지향하던 지배층의 역사의식과 현실인식도 함께 읽어낼 수 있다. 따라서 중세생태주의 담론에는 중세적 보편성과 생태적 삶의 양식 등 두 가지 개념들이 융합되어 있는 셈이다. <초헌풍운뇌우악장>의 전단에는 음양의 평형, 三才之道, 상호공생 등 易理를 바탕으로 생태계의 상호연계․상호제약․조화와 생명해방을 구현할 수 있게 하는 유기체적 자연관으로서의 『주역』 생태관이 제시되어 있다. 후단은 전단에 제시한 『주역』 생태관을 근거로 백성들의 풍요를 간구한 부분이다. 이처럼 <초헌풍운뇌우악장>에는 ‘생태 조건의 준수→풍요의 향유→이상 정치의 구현’이라는 圖式이 내포되어 있다. 자연의 생태적 법칙에 따라 영위되는 것이 농업이고, 농업은 당시 백성들이 먹고 살아야 하는 문제의 유일한 해결책이었음을 감안한다면, 자연의 신호를 읽고 대처할 수 있는 제왕의 능력은 善政의 최우선 조건이었다. 따라서 <풍운뇌우악장>의 이론적 바탕은 『주역』․『상서』․『맹자』 등 유교 경전에서 마련한 생태주의적 정치관이며, 그것은 상당기간 중세의 정치생태학적 담론으로 지속․확산․정착되면서 동아시아 지역의 문명에서 또 하나의 보편적 범주로 자리잡게 되었다.

      • KCI등재

        조선조 풍운뇌우(風雲雷雨) 악장 연구

        조규익 ( Kyu Ick Cho ) 한국고시가문학회 2012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0

        바람·구름·우레·비 등 기상의 요인들은 마을마다 존재하던 성황신과 함께 산천단에 배향되어 큰 규모로 치제(致祭) 되었는데, 그것들은 모두 백성들의 안위(安危)나 풍요에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었다. 우순풍조(雨順風調)는 곡식의 생장과 결실에 절대적인 조건이었고, 곡식의 충실한 생장은 백성들의 삶과 직결되었다. 그래서 백성들은 식량을 하늘로 여겼고, 왕도정치를 행하고자 하던 임금은 백성을 하늘로 여겼다. 사실 풍운뇌우의 신과 산천신, 성황신 등에 대한 제사는 유교이념 사회에서 음사(淫祀)로 지목 받을 가능성이 컸던 민간신앙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것들을 국가의 제례로 흡수하여 제도화 시키고 중앙에서 관장하려 한 것은 중앙집권적 통치 구조의 구현과 동시에 민심을 국가의 발전에 동참시키고자 한 왕조의 철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는다. 그런 생각을 담으려 했던 「풍운뇌우악장」은 여타 아악악장들과 마찬가지로 고전들로부터 의미 있는 구절들을 따다가 모아놓는 수준의 제작 관행을 벗어나지 못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즉 작자는 당대의 문형(文衡)으로서 국가 제의 관련 논의의 핵심에 위치하던 변계량이었지만, 아악악장 제작의 관행이나 관습에 매여 악장의 상투 성만을 심화시키는 데 그쳤던 것이다. 제사절차를 갖추고 신령에게 강복(降福)을 기원한 것이 <전폐악장>이고, 풍운뇌우의 덕을 찬양하고 강복을 기원한 것이 <초헌풍운뇌우악장>이며, 산천의 덕을 찬양하고 강복을 기원한 것이 <초헌산천악장>이다. 또한 성황신의 덕을 찬양하고 임금의 수복과 왕조영속을 기원한 것이 <초헌성황악장>이고, 예의를 갖추어 제사를 마치고 강복을 기원한 것이 <철변두악장>이다. 원래 변계량이 제작한 이 악장들은 그 후 祭次를 수정하거나 변경하면서 순서와 내용에 약간의 변화가 생겼다. 변계량이 구절들의 대부분을 각종 고전으로부터 적구(摘句) 해왔고, 부분적으로는 선행 악장들의 모티프를 차용하거나 창안을 보태어 작품을 이루어냈는데, 이것이 당대 아악악장들을 제작하던 관행이었다. 변계량은 「풍운뇌우악장」과 함께 「선잠악장」도 제작한 것으로 보이는데, 제작방법이 비슷한 점으로 미루어 여타 아악악장들도 변계량의 제작일 가능성이 농후하나 아직 속단할 수는 없다. From traditional ear, factors of weather like wind, cloud, thunder, and rain have been performed enshrinement in Sancheondan on a large scale with the God of village shrine, those had an important meaning in people`s comfort and safety or richness, Favorable weather was an absolute condition, grain`s enough growth was connected directly with people`s life. Therefore, people thought grain as their Heaven, King who wished to do the rule of virtue thought people as his Heaven. As a matter of fact, the rite for the God of Poong`un`roi`oo, God of Sancheon, God of village shrine was a popular belief which was possible to be pointed out as a rite for vicious God in the Confucian society. Nevertheless, the measure that they absorbed them as ceremonies of national rites and took charge of them in central government is related with the dynasty`s philosophy that they wanted to establish a system of power centralization, at the same time, let the people`s mind concentrate to national development. We can make ascertain Poong`un`roi`oo akjang not getting out of tradition making akjang with the level capturing the phrases from old books like the other a-ak akjangs. Byeon, Gye-Ryang, the maker of Poong`un`roi`oo Akjang kept a key position in the discussion about the ceremonies of national rites as the greatest civil service, nevertheless, he simply widened akjang`s conventionality, He made Jeonpye akjang for praising the virtue of Poong`un`roi`oo and praying benediction, Choheonsancheon akjang for praising the virtue of mountains and streams, and praying benediction, Choheonseonghwang akjang for praising the virtue of village shrine`s God and praying benediction, Cheolbyeondoo akjang for praying benediction after performing enshrinement politely. There were some changes in the order and contents right after revising or shifting the processes of enshrinement in the akjang works made by Byeon, Gye-Ryang. He composed the akjang works with assembling the phrases from the old books, or motifs borrowed from the other akjangs ahead, or created by himself, It is a convention making a-ak akjang at that time. He composed Seonjam akjang with the Poong`un`roi`oo akjang, it is very possible that he made Seonjam akjang, guessing the similar technique, we can not conclude hastily yet.

      • KCI등재

        한국전쟁 서사시집『세기의 풍운』연구

        정영진(Jeong, Young-jin) 한국현대문학회 2015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47

        이 글의 목적은 한국시사(詩史)에서 거의 다루어지지 않은 시집인『세기의 풍운』의 특성과 의의를 밝히는 데 있다.『세기의 풍운』은 김소민이 쓴 것으로, 1962년 백조사에서발행되었다. 이시집에는한국전쟁을소재로한서사시『세기의 풍운』이 수록되어 있으며, 월남인의 경험과 내면이 드러난 장시『나의 비가』, 한국전쟁 이후 남한 사회를 비판하고 있는 장시『전후상』등이 포함되어 있다. 김소민은 이 시집에서 월남인으로서의 자기정체성을 전면화하면서 분단현실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통일에의 갈망을 드러낸다. 서사시『세기의 풍운』은 한국전쟁을 본격적으로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 현대 서사시 계보 연구에 있어 중요한 텍스트라 하겠다. 김소민은 이 서사시를 통해 한국전쟁에서 희생된 수많은 세계의 젊은이들을 기억하고자 했는데, 이는 그것이 한반도 통일에 바쳐진 희생이었음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이 서사시는 매우 독특한 성격을 보여준다. 서사시 형식에서 기록문학적 성격이 강화되어 있고, 서사시의 영웅이 민족영웅이 아니라 세계의 젊은이들이기 때문이다. 또한 영웅들의 성격 변화와 성장담으로이루어지지 않고 한국전쟁의 전개 과정을 그대로 끌어와, 극적인 전개와 비극적인 마무리로 서사시의 감흥을 연출해내고 있는 점도 이채롭다. 김소민에게 한국전쟁은 ‘통일의 실패’를 의미한다. 휴전은 전쟁을 멈출 수 있게 된 반가운 소식이 아니라, 허탈하고 한스러운 민족의 비극적 사건이었다. 이 시집은 전후사회의 허무주의적 경향이 휴전/분단의 과정과 분리될 수 없음을 시사한다. 또한 이 시집은 4.19혁명 이후 분출된 통일론과 그것의 제한적 영향력을 보여준다. The objective of this article is to reveal the features and meaning of Segieui Pungun, which is a poetry book that had hardly been addressed in the history of poetry in Korea. Segieui Pungun was written by Kim, So-min and published by Baekjosa in 1962. This poetry book includes ‘Segieui Pungun,’ which is an epic poem using the Korean War as the subject matter, and also includes ‘Naeui Biga, long-form poetry showing the experience and inner impact on South Korea, and ‘Jeonhusang,’ long-form poetry criticizing South Korean society after the Korean War. Kim, So-min reveals the yearning for national unification by directly dealing with the reality of national division by putting forward the author’s self-identity as a problem for South Korea. The epic poem, ‘Segiui Pungun,’ is an important text in the study of the tradition of contemporary epic poetry in Korea, based on the fact that it truly deals with the Korean War. Kim, So-min sought to remember the numerous youths around the world that were sacrificed during the Korean War through this epic poem, in order to emphasize that such sacrifices were made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epic poem displays extremely unique features. The features are that, the aspects of archival culture is strengthened in the form of the epic poem and the heroes of the epic poem are not national heroes, but are youths that can be found throughout the world. In addition, the fact that the poem is not composed of tales of growth or characteristic changes of the heroes, but that it presents inspiration through a dramatic development and tragic closing by cast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Korean War itself in an interesting light. To Kim, So-min, the Korean War meant ‘failure of national unification.’ A ceasefire was not considered to be welcome news of stopping the war, but was a tragic incident for the nation that was regretful and despondent. This poetry book implies that the nihilistic trend during the post-war society cannot be distinguished from the ceasefire or national division process. In addition, this poetry book shows sentiment surrounding the theory of unification erupting after the 4.19 Revolution, and its limited effects.

      • KCI등재

        宋代愛情詞的現代意義

        鍾振振 중국어문학회 2003 中國語文學誌 Vol.14 No.-

        예로부터 "남녀간의 정이 많으며, 풍운의 기개(혹은 영웅의 기개)가 적다(兒女情多, 風雲氣少)"라는 評語는 애정을 다룬 문학작품 및 그 작가에 대한 총평으로 자리잡았다. 심지어 "남녀간의 정이 많다는 것"은 '영웅의 기개가 적은 것'의 원인으로 간주되기에 이르렀다. 그러나 '남녀간의 사랑'과 '영웅의 기개'는 모순된 개념이라고 볼 수 없다. 남녀간의 애정이 주요 소재인 宋詞의 작가들을 살펴보면, 이 두 개의 개념이 밀접한 연관성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宋代의 유명한 詞人 歐陽修, 王安石, 范成大, 陸游, 辛棄疾, 蘇軾, 柳永, 賀鑄 등은 모두가 뛰어난 정치가, 애국자, 그리고 나라와 백성을 진심으로 걱정하는 관리들로, 이른바 '英雄豪傑'이라고 칭할 만한 인물들이다. 그러나 그들이 남긴 작품들 중에는 주옥같은 愛情詞가 다수 포함되어있다. 이는 남녀간의 사랑이 국가와 민족, 나아가 전 인류에 대한 사랑의 바탕이 됨을 보여주는 예이다. 옛 聖賢 孔子는 '仁'은 '남을 사랑하는 것(愛人)'이라고 말했다. 사실 孔子의 '사랑'은 남녀간의 사랑이 아니라, 인류애를 말하는 것이다. 그러나 남녀간의 사랑은 인간으 본성으로서 모든 사랑의 기초가 되는 것이다. 요컨대 기초를 갖춘 인물만이 국가와 민족, 나아가 전 인류를 사랑할 수 있다. 오늘날의 세계에는 인간과 인간, 민족과 민족, 국가와 국가 간의 갖가지 충돌과 대립이 존재한다. 만약 모든 사람이 이 '사랑'이라는 기본 정신을 갖추고 있다면, 현재 세계에 존재한 많은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이 곧 愛情詞의 현대적 의의이다.

      • KCI등재

        병와 이형상의 제주지방 의례정비와 음사철폐에 대한 소고

        김새미오(Kim, Saemio) 대동한문학회 2020 大東漢文學 Vol.63 No.-

        본고는 병와 이형상이 제주목사 시기에 있었던 무속철폐의 논리를 살핀 글이다. 제주에서 이형상은 무속의례를 철폐하고 제주풍속을 바꾼 상징적인 인물이다. 이형상은 ‘어떻게 기존의 무속의례를 깨뜨리고, 교화시키려했을까?’하는 것이 본고의 시작점이다. 이어서 제주 관련 지리지를 통해서 조선시대 제주의례를 정리하고, 음사에 관한 이형상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제주에 음사가 적지 않았고, 이에 대한 당시 관점이 매우 부정적이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어 본격적으로 이형상이 올린 장계를 중심으로 제주의례에 관련한 사항을 정리하였다. 이는 무속철폐의 논리를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이형상의 장계는 ‘풍운뇌우단, 산천제, 삼성묘’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풍운뇌우단은 이형상 재임기에 철폐되었다. 이형상은 국왕이 지내는 의례를 제주에서 진행되는 것에 대해 의심을 품었고, 예조에 품의한 후에 이를 철폐하였다. 산천제는 한라산신제에 관련한 사항이다. 이에 대해서는 조정에 향과 축문을 청하여 공식의례로 전환하였다. 삼성묘 건립은 제주시조와 직접 관련된 장소이기에 신중하게 접근하였다. 이형상은 모흥혈이 있는 곳에 삼성묘를 세우지 않고, 제주성안 옛 제주향교 터 옆에 삼성묘를 세웠다. 이는 무속의례가 행해지던 광양당을 벗어나 이 곳을 유교화 하려던 의도였다. 이형상의 제주지역 의례에 대한 제반조치에는 많은 반발이 있었다. 풍운뇌우단은 이형상이 떠난 후에 다시 공식의례로 복원되었다. 제주무속철폐에 대해 이형상 자신은 제주의 민폐를 없애준 것에 대한 지역사람들의 고마움으로 표현했지만, 민중들은 강제적인 조치로 인식하였다. 제주설화에서는 이형상의 조치에 대해 결국은 그의 아들이 죽는 것으로 표현되었다. 이형상의 제주지역 의례정비 방향은 먼저 기존의례에서 어긋난 사항을 정리하고, 철폐할 것은 철폐하고 남겨야할 것은 국가 공식의례로 전환시키는 것이었다. 이를 통해 음사를 철폐할 수 있는 논리와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형상은 이런 과정을 통해 무속에 젖은 제주풍속을 유교화 하려고 했다. 이를 통해 제주문화에 있어 많은 부분이 유교화 된 측면은 있다. 하지만 이후에도 제주 무속의례는 사라지지 않고 그 명맥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logics of Byungwha Lee Hyung- Sang for abolishing shamanism in Jeju Island during his term as a Jejumoksa(a government job comparable to the current Jeju city mayor). In the island, Byungwha is known as a symbolic figure who abolishes shamanistic rituals and transforms the island’s customs into a confucius way. This paper starts with a question how Byungwha breaks the longstanding shamanistic rituals and reforms it with a confucius teaching. To respond to the question, I first identified the forms of Jeju island’s rituals during Chosun dynasty period and Byungwha’s perception of the island’s shamanistic rituals by reviewing the island’s geographical literature. I found out that shamanistic rituals were then commonly practiced in the island and social perception towards such practices was very negative. I further identified Jeju Island’s rituals focusing upon Byungwha’s administrative documents submitted to the King. This work was done to clarify his logics that were adopted in order to abolish shamanistic rituals in Jeju Island. His documents covered three main subjects: Poongwunneoudan, Sancheonje, Samgsungmyo. Poongwunneoudan was abolished during his term of office. Byungwha did not believe that Poongwunneoudan, the King’s ritual, could take place in Jeju; accordingly, he consulted the ministry of culture and abolished it. Sancheonje concerns the ritual services of Halla Mt’s gods. Regarding this, he turned it to the official ritual by asking the royal court for incense and congratulatory messages. For the erection of Samgsungmyo, he carefully approached it because it related directly to the founders of Jeju Island. Byungwha did not erect Samgsungmyo at a place of Moheunghyoul. Instead, he constructed it next to the site of the former Jejuhyangkyo (national school in Jeju) inside the fortress of Jeju (seongahn). The intention behind this action was to move away from Gwangyangdang where shamanistic rituals were practiced and to transform that seongahnarea in a confucius way. Byungwha’s transformative actions for Jeju rituals confronted significant backlash. Poongwunneoudan was recovered after Byungwha left Jeju. Byungwha himself considered that local people of Jeju island appreciated his abolishment of the shamanistic rituals. On the contrary, ordinary people perceived it as forcefully undertaken actions. In Jeju island’s folk tales, Byungwha’s son was described to have a fateful death due to his father’s severe abolishment manners. Byungwha’s reestablishment policy of Jeju island’s rituals was oriented to correct their inconsistent components to the previous; and further to formally put an end improper rituals and to transform those rituals that deserve to remain into national, formal, rituals. Through this reformative process, Byungwha aimed to change Jeju island’s folk ways that were deeply influenced by shamanism drawing upon confucius ideas. It is true that extensive aspects of Jeju island society turned to be shaped by Confucianism. However, Jeju island’s shamanism has still remained in existence.

      • KCI등재

        조선시기 城隍祠 입지를 둘러싼 양상과 그 배경

        최종석(Choi Jong-Suk) 한국사연구회 2008 한국사연구 Vol.143 No.-

        During the Joseon dynasty period, most of the Gun and Hyeon units were equipped with a Sajik-dan/社稷壇 altar, a Yeo-dan/?壇 altar, a Seonghwang-sa/城隍祠 shrine, and a Munmyo/文廟 shrine. In most of the regions Sajik-dan and Yeo-dan were located respectively in the Seogyo/西郊(Western outskirt) and Bukgyo/北郊(Northern outskirt) areas, and even with the passage of time such location virtually never changed. In the meantime, the location of Seonghwang-sa units significantly varied from region to region, and from period to period. The Seonghwang-sa shrines in the early days of Joseon showed even distribution in terms of direction, and the trend of placing the shrine at an obligatory spot, the Namgyo/南郊(Southern outskirt) area, was simply weak or not existent. Yet《Yeoji Doseo/輿地圖書》, published in the 18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ndicates that such trend came to existence during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Such trend was vivid in the Gyeongsang-do region, while being relatively weaker in other regions. This trend, just like the trend of placing Sajik-dan and Yeo-dan in the Seogyo and Bukgyo areas, had something to do with embracing the Hongmu-era ceremonial protocols. In terms of local Seonghwang services, Joseon dynasty completely denounced the Goryeo era practices, and tried to observe local Seonghwang ceremonies based upon the Hongmu-era ceremonial protocols, and after a series of enhancing and reasserting, the Joseon society and government finally completed the local Seonghwang memorial service institution, based upon Hongmu protocols,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Inspired by the Seonghwang-dan altar of wind, cloud, thunder, rain, mountain and streams(風雲雷雨山川城隍壇), the Joseon people came to place Seonghwangdan units in the obligatory spots, Namgyo areas. Unlike Sajik-dan and Yeo-dan, which had not existed before, Seonghwang-sa shrines which housed local Seonghwang figures were already established in most of the regions during the early days of Joseon, and most of them had been there since the Goryeo dynasty period. In structural terms they were not altars(祭壇) but shrines(祠廟), and were not located in Namgyo areas. So in order to observe and abide by Hongmu protocols and establish Seonghwang- dan altars, the existing Seonghwang-sa shrines had to be brought down and abolished('廢祠設壇'). Yet such practices were not being done by the government in a unilateral fashion, and were only being conducted inside local areas in a random fashion. And to the Hyangri clerks and ordinary people the existing Seonghwang-sa shrines were still very important. So in the Joseon dynasty's early days, only few regions showed such changes, and in most of the regions the Seonghwang-sa shrines continued to exist and be respected. This situation remained the same for quite some time. But as the people's understanding of Neo-Confucianism grew, a new world perspective that considered the Sino-centric order based upon ceremonial protocols & teaching to be universal values and source of obligation spreaded throughout the local regions. Such practices started to occur in a concentrated fashion everywhere in the country, roughly around the 1670s. And that was the reason that the 'Namgyo' trend became vivid in this period, the latter half period of Joseon. In the meantime, because the practice of 'abolishing shrines and establishing altars(廢祠設壇)' happened everywhere inside local communities at the time, conflicts between local administrators & local Sajok influentials and local Hyangri clerks and ordinary civilians continued to occur over the issue, reflecting various situations that existed inside local regions. They displayed both a general trend and also regional characteristics, while some regions did not display such practice at all. That resulted in the 'Namgyo trend' and other various kinds of activities in local regions.

      • KCI등재

        문학,문화 : 서사시에 나타난 "민족" 형상화에 관한 비교 연구 -고은의 『백두산』과 리욱의 『고향 사람들』, 『풍운기』를 중심으로

        장은영 ( Jang Eun You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1 비교문화연구 Vol.25 No.-

        This study focused on difference of the nation`s concept between Ko un`s Baekdusan and Lee uk`s Gohyangsaramdul, Pungungi. These works are epics restructure nation`s history. A epic`s story provides framework of recognition to social members. An individual and community accept their story and then stories construct pesonal identity and community`s identity. So we can say a epic configurates national identity by story nation history and nation territory. The nation`s concept is understood steadfast and very pure as like a blood relationship in Korea. This is aspects of Korean nationalism. But the Nation is modern, social and historical concept. That is different from ethnic identity. This way throws open the door to analyze nation identity. Ko un`s Baekdusan narrates permanence and sacralization of the nation for emphasizing the unification of North Korea and South Korea. Baekdusan expresses the social desire of Korea in the 1980s. In comparison, Lee uk`s Gohyangsaramdul representate ambivalent attitude. One is a position as a settler and the other is a new master of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So Gohyangsaramdul narrates and remembers their motherland Chosun. But Pungungi exclude recognition of Chosun as motherland. This work`s narration focuses on association with struggle of classes and anti-Japanes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cause these events are able to unity Korean and Chines. Three works deal with same history and same background, but those show defferent recognition about the Nation. Because each society has different social desire and expect different future. The present desire and future prospect construct nation ident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