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망우집(忘憂集)』, 년보(年譜)의 자료적 성격

        김해영 ( Hae Young Kim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1 남명학연구 Vol.32 No.-

        이 글은 임란 의병장 郭再祐(1552-1617)의 문집 중에 수록된 ``年譜``의 자료적 성격을 살핀 글이다. 곽재우의 문집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초간본이 아닌 간행 시기가 불분명한 간본과 영조 때 간행된 중간본의 두 간본이 전하고 있다. 두 책에 수록된 연보는 인조 15년(16317)을 전후해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것으로, 이 두 연보에 나타나는 곽재우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갖는다. 임란전 행적에 관한 연보의 기록은 곽재우의 성품이나 자질, 그의 학구적 자세나 장래의 촉망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대체로 곽재우는 인물됨이 비범하였으며, 學文에 힘쓰고 儒行을 닦고 실천했던 인물로서 기록하였다. 六褻를 익히거나 兵書를 읽는 등 다방면에 관심을 가지긴 했으나 이는 학문하는 여가에 이루어진 것이고, 武人이나 將帥로서 보다는 儒生 혹은 文士의 길을 충실히 닦았던 인물임을 드러내려 하였다. 임란 이후 곽재우의 행적에 관한 연보의 기록은 경상감사 김수의 처단을 주장한 격서 사건의 전말에 대해 상세히 기록하였다. 격서 사건의 전말에 대해서는 초기 간본과 중간본 간에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중간본에서 이를 보다 자세히 기록하여 격서 사건의 전말을 밝히는 일에 신중을 기했다. 연보의 기록은 격서 사건이 곽재우의 충성심과 의분의 발로로 말미암은 것이며, 그의 의병 활동에 대한 조정의 격려와 포상, 관직의 제수는 이러한 사실을 공적으로 인정한 것임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격서 사건 이후 망우당의 행적에 대한 연보의 기록은 목사, 조방, 방어사 등의 관직을 거치면서 주로 산성의 수축과 방어 임무를 수행하는 등의 공적 활동에 충실하였다는 것과 계모상을 당한 이후 벼슬을 버리고 상제를 엄수하는 데 오로지 정성을 쏟았던 사실을 중점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 동안 수차례의 관직 제수와 소명에 응하지 않은 것은 그가 효성이 지극한 인물임을 드러내어 유교 윤리에 철저한 인물임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상제를 마친 이후 영암 유배에 이르기까지 곽재우의 행적에 대한 연보의 기록은 그가 出處에 분명한 태도와 입장을 보인 인물임을 나타내려 하였다. 즉 상제를 마친 후 그는 벼슬 길에 나아가나 자신의 직무와 관련된 건의가 조정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귀향하게 되며 이 때문에 영암에 유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는 것이다. 연보에서는 그의 벽곡 생활이 영암 유배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기록하여 그가 원래부터 도가적 취향의 인물이 아님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보에서는 곽재우가 영암 유배에서 풀려난 이후 부터 화식을 끊고 솔잎을 먹는 생활을 상당 기간 계속하였다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광해군 즉위 이후 타계하기 까지 곽재우의 행적에 대한 연보의 기록은 그가 국정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국정이 잘못될 때에는 소신있는 주장을 펼쳤던 인물임을 부각시킴으로써 그가 현실 문제를 외면하는 ``方外之士`` 가 아님을 드러내려 하였다. 그리고 이 동안 주로 非北人系 인물과의 교유 사실을 드러냄으로써 그의 정치적 언동이 당쟁에 편승한 당파적 소행과는 무관함을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s a document of the chronological records of the activities of Gwak Jae Woo, the leader of the records of the activities of Gwak Jae Woo, the leader of the ``righteous armies``. Two kinds of books of Gwak Jae Woo(郭再祐)(1552-1617)`s works have been passed down: the earlier published one which is not clear when it came out and the later published one which was released in the period of King Young Jo. Though the books were respectively published in different times, the chronological statements in the two books were recorded in similar periods, around before or after 1630`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are as follows: The records before the war against Japan in 1592 depicted him as trying to be a Confucian scholar or a literary writer rather than a military leader. The records after the war went into the whole story of Gwak`s Declaration where Gwak Jae Woo insisted on punishing Kim Sue, Gyeong Sang Province Governor. The statements showed that Declaration case was caused by Gwak`s loyalty to his country as well as his righteous wrath and that encouragements, prizes, and government positions offered to him by the King Sun Jo`s administration were all the results of the official recognition of his achievements. The records after Declaration stated that Gwak had faithfully served his office work going through several kinds of government positions, especially pursuing his policy of having people put into practice the spirit of filial piety. The records about Gwak`s activities between the time when he finished his three year mourning to his step-mother and the time when he was banished to Young Am tried to clarify that he stuck to his principles in deciding when to take an official job and when to resign it. The records during his life in Young Am tried to make it clear that he was not interested in Taoism until then, stating the fact that he began to stop eating crops there in Young Am. The records written in the period between the coronation of the King Gwang Hae and the death of Gwak tried to clarify that he was never an escapist by highlighting the fack that he took a deep and consistent interest in government affairs and took a firm stand against political injustice. The records also said that his political speech and behavior were not from his bad intention that he would take advantage of the disputes between politic1 factions, adding the fact that he kept social contact with the politicians outside the Northerners.

      • KCI등재

        설화 속 곽재우의 인물형상에 나타난 전승주체의 역사적 상상력- <호랑이 물리친 곽재우> 유형을 중심으로 -

        한상효 한국구비문학회 2017 口碑文學硏究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orms of Kwak Jaewoo as shown in the tale <Kwak Jaewoo Defeats a Tiger>, a notable work among folk tales related to Kwak Jaewoo, and examine the historical imagination of the transferers of the story.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ause established in a fictitious world leads to an effect in an empirical world, this study hypothesized that the victory in war led by Kwak Jaewoo drove the fictional narrative of the tale. Here, the relationship between Kwak and unnamed character were defined as a mutually-beneficial alliance, and, to examine it more specifically, the tale in question was compared to <A Man Who Got Into Dragons’Figh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Kwak Jaewoo and the unnamed is based on ‘Gife’ like that between dragon and human, and that this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victory of Kwak. Also,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tale does not simply end as fiction but concerns problems in the reality and history, as the historical imagination of the transferers found in the tale in question correspond to the real world. Especially, in <Kwak Jaewoo Defeats a Tiger>, an unnamed character who is much better than Kwak Jaewoo appears and it is assumed that he was very close to the transferers. And, he suggests the possibility of transferers who have not been known. In this tale, the unnamed character joins forces with Kwak Jaewoo and turns the ‘potential victory’ into reality. 이 논문은 곽재우에 관한 구비설화 가운데 주목할 만한 유형인 <호랑이 물리친 곽재우> 설화에 나타난 곽재우의 형상과 전승주체의 역사적 상상력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허구적 세계를 통해 구성한 원인이 경험적 세계의 결과를 도출한다는 전제를 바탕으로, 곽재우의 전쟁 승리라는 결과가 이 설화의 허구적 서사를 추동한다고 보았다. 이때 곽재우와 무명인물의 관계를 호혜적 연대관계로 규정하였으며, 이를 구체적으로 확인하기 위해 <용 싸움에 끼어든 남자> 설화와 비교하여 세부적인 분석을 시도하였다. 이를 통해 곽재우-무명 인물 사이에는 용-인간 사이와 마찬가지로 ‘증여’를 통한 연대관계가 형성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러한 인관관계의 논리가 곽재우의 전쟁 승리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이러한 설화가 단순히 허구적 설화로만 종결되는 것이 아니고 현실과 역사에 대한 인식 문제와 서로 맞물려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 설화 속에 나타나는 전승주체들의 역사적 상상력이 현실세계와 정합한다는 것이다. 특히 <호랑이 물리친 곽재우>에는 곽재우보다 훨씬 뛰어난 무명인물이 등장하는데 이 인물은 전승주체들과 매우 밀접한 거리에 있다고 추측된다. 그리고 무명인물은 역사 이면에 드러나지 않은 전승주체들의 가능성을 내포하는데, 이 설화에서는 무명인물과 곽재우의 연대관계를 통해 드러나지 않은 힘을 결집하여 ‘가능성 있던 승리’가 표면으로 드러내 실현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實錄을 통해 본 郭再祐(1552~1617)의 義兵 활동

        강문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규장각 Vol.33 No.-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에 수록된 곽재우의 의병 관련 기사들을 보면, 비록 실제 전투에 참여한 관군 장수나 의병장들이 작성한 기록만큼 세밀하지는 않지만, 김성일을 비롯한 지방관들의 보고에 기초하여 곽재우 의병 활동의 전반적인 상황이 비교적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실록에는 곽재우에 대한 선조와 정부 관료들의 인식과 평가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다른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그의 의병 활동 및 임난 중반 이후의 행적을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갖는다. 곽재우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들 중에서 가장 극적인 평가를 받았던 인물이었다. 임진왜란 발발한 지 불과 10여 일 만에 사재를 털어 가장 먼저 의병을 일으켰던 곽재우는 여러 전투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우면서 장수로서의 능력에 있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을 만큼 확실한 인정을 받았다. 하지만 그는 전쟁 수행 과정에서 관군 장수들과 잦은 갈등과 의견 충돌을 일으켰고, 이는 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근본 원인이 되었다. 특히 선조는 곽재우가 관군 장수 및 조정 대신들과 대립했던 것을 왕명에 대한 거부·부정으로 인식하였다. 그 결과 선조는 곽재우를 크게 불신하였고, 그에게 병권을 맡기는 것이나 그를 공신으로 책봉하는 것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이에 곽재우는 전란이 끝난 후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여 辟穀餐松으로 생의 마지막을 보냈다. 임진왜란 이후 많은 의병장들이 전공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였고 일부는 억울한 죽음을 당하기도 하였는데, 곽재우의 벽곡찬송은 당시 의병장들의 불우한 삶을 대변해 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忘憂集』, 年譜의 자료적 성격

        김해영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1 남명학연구 Vol.32 No.-

        이 글은 임란 의병장 郭再祐(1552-1617)의 문집 중에 수록된 ‘年譜’의 자료적 성격을 살핀 글이다. 곽재우의 문집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달리 초간본이 아닌 간행 시기가 불분명한 간본과 영조 때 간행된 중간본의 두 간본이 전하고 있으며 두 책에 수록된 연보는 인조 15년(1637)을 전후해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것으로, 이 두 연보에 나타나는 곽재우의 행적에 대한 기록은 다음과 같은 성격을 갖는다. 임란전 행적에 관한 연보의 기록은 곽재우의 성품이나 자질, 그의 학구적 자세나 장래의 촉망에 관한 내용이 주를 이룬다. 대체로 곽재우는 인물됨이 비범하였으며, 學文에 힘쓰고 儒行을 닦고 실천했던 인물로서 기록하였다. 六藝를 익히거나 兵書를 읽는 등 다방면에 관심을 관심을 가지긴 했으나 이는 학문하는 여가에 이루어진 것이고, 武人이나 將帥로서 보다는 儒生 혹은 文士의 길을 충실히 닦았던 인물임을 드러내려 하였다. 임란 이후 곽재우의 행적에 관한 연보의 기록은 경상감사 김수의 처단을 주장한 격서 사건의 전말에 대해 상세히 기록하였다. 격서 사건의 전말에 대해서는 초기 간본과 중간본 간에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중간본에서 이를 보다 자세히 기록하여 격서 사건의 전말을 밝히는 일에 신중을 기했다. 연보의 기록은 격서 사건이 곽재우의 충성심과 의분의 발로로 말미암은 것이며, 그의 의병 활동에 대한 조정의 격려와 포상, 관직의 제수는 이러한 사실을 공적으로 인정한 것임을 드러내려 한 것이다. 격서 사건 이후 망우당의 행적에 대한 연보의 기록은 목사, 조방장, 방어사 등의 관직을 거치면서 주로 산성의 수축과 방어 임무를 수행하는 등의 공적 활동에 충실하였다는 것과 계모상을 당한 이후 벼슬을 버리고 상제를 엄수하는 데 오로지 정성을 쏟았던 사실을 중점적으로 기록하고 있다. 이 동안 수차례의 관직 제수와 소명에 응하지 않은 것은 그가 효성이 지극한 인물임을 드러내어 유교 윤리에 철저한 인물임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상제를 마친 이후 영암 유배에 이르기까지 곽재우의 행적에 대한 연보의 기록은 그가 出處에 분명한 태도와 입장을 보인 인물임을 나타내려 하였다. 즉 상제를 마친 후 그는 벼슬 길에 나아가나 자신의 직무와 관련된 건의가 조정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자 벼슬을 버리고 귀향하게 되며 이 때문에 영암에 유배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는 것이다. 연보에서는 그의 벽곡 생활이 영암 유배에서 연유하는 것으로 기록하여 그가 원래부터 도가적 취향의 인물이 아님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보에서는 곽재우가 영암 유배에서 풀려난 이후 부터 화식을 끊고 솔잎을 먹는 생활을 상당 기간 계속하였다는 사실을 기록하고 있다. 광해군 즉위 이후 타계하기 까지 곽재우의 행적에 대한 연보의 기록은 그가 국정에 깊은 관심을 가졌으며, 국정이 잘못될 때에는 소신있는 주장을 펼쳤던 인물임을 부각시킴으로써 그가 현실 문제를 외면하는 ‘方外之士’가 아님을 드러내려 하였다. 그리고 이 동안 주로 非北人系 인물과의 교유 사실을 드러냄으로써 그의 정치적 언동이 당쟁에 편승한 당파적 소행과는 무관함을 밝히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as a document of the chronological records of the activities of Gwak Jae Woo, the leader of the 'righteous armies'. Two kinds of books of Gwak Jae Woo(郭再祐)(1552-1617)'s works have been passed down: the earlier published one which is not clear when it came out and the later published one which was released in the period of King Young Jo. Though the books were respectively published in different times, the chronological statements in the two books were recorded in similar periods, around before or after 1630's.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cords are as follows:The records before the war against Japan in 1592 depicted him as trying to be a Confucian scholar or a literary writer rather than a military leader. The records after the war went into the whole story of Gwak's Declaration where Gwak Jae Woo insisted on punishing Kim Sue, Gyeong Sang Province Governor. The statements showed that Declaration case was caused by Gwak's loyalty to his country as well as his righteous wrath and that encouragements, prizes, and government positions offered to him by the King Sun Jo's administration were all the results of the official recognition of his achievements. The records after Declaration stated that Gwak had faithfully served his office work going through several kinds of government positions, especially pursuing his policy of having people put into practice the spirit of filial piety. The records about Gwak's activities between the time when he finished his three year mourning to his step-mother and the time when he was banished to Young Am tried to clarify that he stuck to his principles in deciding when to take an official job and when to resign it. The records during his life in Young Am tried to make it clear that he was not interested in Taoism until then, stating the fact that he began to stop eating crops there in Young Am. The records written in the period between the coronation of the King Gwang Hae and the death of Gwak tried to clarify that he was never an escapist by highlighting the fact that he took a deep and consistent interest in government affairs and took a firm stand against political injustice. The records also said that his political speech and behavior were not from his bad intention that he would take advantage of the disputes between political factions, adding the fact that he kept social contact with the politicians outside the Northerners.

      • KCI등재

        곽재우 장군에 대한 전쟁 서사와 인물 평가, 그리고 의병사의 재구성

        박균섭 한국인격교육학회 2024 인격교육 Vol.18 No.1

        대한민국 정부는 2010년부터 매년 호국보훈의 달의 첫째 날인 6월 1일을 ‘의병의 날’로 지정하여 국가기념일로 삼고 있다. 이는 의병장 곽재우가 1592년 4월 22일에 처음으로 의병을 조직한 날을 양력으로 환산하여 기념일로 삼은 것이다. 그만큼 곽재우 장군은 임진왜란 당시 의병을 조직하여 왜적을 물리치는 큰일을 해냈다. 곽재우 장군은 임진왜란 초기에는 의병장의 자격으로 정암진 전투를 비롯한 여러 전투에서 전공을 세웠다. 그리고 정유재란 당시에는 방어사의 자격으로 화왕산성을 방어하는 임무를 수행하였다. 곽재우 장군에 대한 전쟁 서사를 통해 장군 본인은 물론 여러 주변 인물에 대한 이런저런 인물 평가를 접하게 된다. 이는 전쟁 활약상에 대한 이야기이면서도 전쟁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근원적인 성찰의 근거로 작용할 수 있다. 곽재우 장군에 대한 인식의 지도는 역사적 논의가 빈약한 상태에서 그려진 것도 많으며, 그만큼 그에 대한 기록과 기억은 울퉁불퉁한 성격을 띠고 있다. 이는 곽재우 장군에 대한 기록과 기억을 보정하는 작업, 그리고 한국 의병사를 재구성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Since 2010, June 1 has been designated as ‘Righteous Army Day’, observed as a national memorial day. This date commemorates April 22, 1592, the first day of organizing the righteous army, converted to the solar calendar. Kwak Jae-Woo played a major role in defeating the Japanese enemy by organizing the righteous army during the Imjin War. In the early days of the Imjin War, General Kwak Jae-Woo defeated the enemy in various battles, including the Battle of Jeongamjin, in his capacity as the righteous army commander. Furthermore, at the time of the JeongyooJaeran, he defended Hwawangsanseong Fortress. It can be seen that the war narrative about General Kwak Jae-Woo contains a character evaluation discussing the identity of existence in a war situation. In the process of referring to General Kwak Jae-Woo’s historical position, attention needs to be paid to the roles of Kim Seong-Il, Yi Won-Ik, and Yoo Seong-Ryong. The perception of General Kwak Jae-Woo has been shaped by limited historical discussion, resulting in inconsistent records and memories. Thus, Tthrough further reflection on General Kwak Jae-Woo, it is possible to properly discuss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righteous army that emerged in a national crisis.

      • KCI등재

        망우당 곽재우의 한시를 통해 본 한수초(閒酬酢)의 정취(情趣)와 그 의미

        김종구 ( Kim Jong-gu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0 嶺南學 Vol.0 No.74

        紅衣將軍 망우당 곽재우는 임진왜란 의병장으로 활약하여 큰 공을 세웠지만, 정계에 진출하지 않고 處士로서의 삶을 살았다. 그의 한시는 대개 임진왜란 이후 망우정 은거 시절에 지어진 것이 대부분이다. 기존에 우리는 곽재우를 의병 활동과 관련해서만 살펴보았다. 하지만 본고는 의병장 곽재우의 일상과 풍류, 한수작의 정취를 살펴보았다. 곽재우의 한시에 나타난 정취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는 낭만적 서정 및 자연과 합일하는 정서를 지녔다. 곽재우는 歸去來하여 뱃놀이를 즐기거나, 산수를 통해 조화와 합일하는 정취를 한시에 드러내고 있었다. 둘째, 곽재우는 자유로운 일상을 즐겼고, 고요한 삶을 통해 깨달음에 나아가고 있었다. 그는 전쟁을 경험했기에 그 누구보다 자유로운 일상에 대한 희망이 컸다. 이러한 삶속에서 그는 지극한 고요를 선택했던 것이다. 이를 통해 성인의 경지에 나아가는 깨달음으로 승화시켰다. 셋째, 그는 당대의 불우한 정국과 세상을 벗어나, 신선처럼 노니는 즐거움을 한시에 드러냈다. 그는 당대의 의병장들이 모두 불우한 終局을 맞이하는 모습을 지켜봤기에, 더욱 세상의 혼란함을 벗어나고자 하였다. 곽재우의 이러한 정취는 전쟁 경험의 고통에서 벗어나고자 한 것이다. 그가 일상에서는 성리학에 중심을 두었고, 나아가서는 老莊의 수양을 했던 것도 이와 크게 벗어나지 않는다. 그의 한수작은 아름다운 산수, 망우정에서 경험할 수 있는 풍류의 최고의 경지를 소박하게 향유하고 있었다. 곽재우의 한시에 나타난 한수작의 정취는 낭만 · 서정 · 자연 합일 · 자유 · 일상 · 고요 · 超世 · 仙遊가 융합된 정서라고 할 수 있다. The General, Hong Ui, named "Gwak Jae-woo" with the pen name of Mangwoodang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protecting the country from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s a leader of the voluntary civilian army. However, he did not move forward into politics, remaining as a classical scholar without a governmental post. Most of his poems were created during the time of retreating in MangWoojung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Existing studies have only examined Gwak Jae-woo in connection with his activity of the voluntary civilian army. However, this study examined his poems through his daily life, refined taste, and the artistic effect of Hansujak. The artistic effect of Gwak Jae-woo's poetry is as follows: First, his Chinese poems have romantic lyrics and emotions that are united with nature. Gwak Jae-woo reveal his refined taste of harmony and unity through observing landscape and enjoying boating with home-returning in his Chinese poems. Second, Gwak Jae-woo enjoyed a liberal daily life, advancing into enlightenment through the serene life. Since he had experienced war, he had a more hope or aspiration for a liberal life than anyone else. In the life of this kind, he chose silence. This was sublimated with the enlightenment of a sage. Third, his Chinese poems reveal that he wanted to escape from the unfortunate political situation of those days and enjoy a life of the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Since he saw that all leaders of voluntary civilian army met an ill fated ending, he truly desired to escape himself from the chaos of the world. This kind of Gwak Jae-woo's artistic effect was intended to get away himself from the pain of the war experience. That's the reason that he cultivated himself with the life of Lao Zi, based on Neo-Confucianism in his daily life. His Hansujak was to practice the ultimate state of tastes for the art, which can be experienced in a beautiful scenary of Mangwoojung in a simple way. The artistic effect of Hansujak is the sentiment that combines romance, lyricism, natural unity, freedom, daily life, silence, keeping aloof from the world and sightseeing.

      • KCI등재

        郭再祐 宜寧 倡義의 含意

        최재호(Choi Jae-ho)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5 군사 Vol.- No.96

        Kwak Jae-Woo(郭再祐) was the first person to raise Righteous Army during Im-Jin-Wae-Ran(壬辰倭亂), and in this paper I intend to analyze and research into the significance and background of his raising righteous army in Ui-Ryeong(宜寧). Firstly, I have given insight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e raising in Ui-Ryeong. as discussed in previous researches, the reasons why the continuous defeats of Cho-Seon in the early stages of Im-Jin-Wae-Ran were due to disorder in military administration and slackened discipline in national defence; however this paper puts emphasis on the necessity of looking into the exterior influential factor of the Japan, the world’s strongest military powerhouse at that time. In addition, I have discussed how his competence as a commander of the Righteous Army was possible to be formed, since Kwak was also a general who has outstanding realistic judgment and a sense of neutrality; and also the solidarity of the Ui-Ryeong troops. Secondly, I argued that Kwak’s raising of the Righteous Army in Ui-Ryeong contains more significance than just being the first, since he was able to raise the Army albeit the deficient conditions, especially centered around his relationship with Seon-Jo(宣祖). Moreover, I have examined the fact that Kwak’s raising gave peace to the unstable public at that time, and served as a catalyst for other raising of righteous armies to occur. Thirdly, I have confirmed that the strategic effects of the raising army in Ui-Ryeong is not just limited to local defence of Kyeong-Sang-Woo-Do(慶尙右道) beyond that it provides a turning point to the Choseon government to protect Ho-Nam(湖南) and the naval forces bases, restrain the exile of Seon-Jo and lead the participation of Myung(明) troops into war. In the thesis I have examined the defense strategies that Kwak adopted to fight against the Japanese troops three major skills, bird-rifle(鳥銃), swordwielding, charging at enemies and defense strategies adopted when positioned in a river. Among recent researches on the history of Im-Jin-Wae-Ran Righteous Army are at standstill. I proudly present this paper, as I wish this paper serves as a catalyst of more academic endeavors on the Im-Jin-Wae-Ran Righteous Army.

      • KCI등재

        일반논문 : 임진왜란 시기 창녕 지역의 대응과 후대의 기억

        김강식 ( Kang Sik Kim ) 한국사상사학회 2014 韓國思想史學 Vol.0 No.46

        임진왜란 시기에 창녕 지역은 낙동강 유역에 위치하여 일본군의 진격로와 운송로였으므로 침입과 약탈을 일찍부터 당했으며, 전쟁이 끝날 때까지 지속되었다. 하지만 창녕 지역의 재지사족(在地士族)과 토성(土姓)들은 전쟁 초기부터 의병을 조직·활동했으며, 초유사(招諭使) 김성일(金誠一)은 재지사족을 규합하여 의병운동을 지원했다. 이런 모습은 창녕 지역 의병운동의 한 특징이다. 임진왜란 개전기에 있었던 창녕과 영산전투는 경상우도의 의병장 곽재우(郭再祐)와 인근 지역의 의병들의 지원, 창녕과 영산 지역 의병들의 참여로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 창녕에서는 성씨(成氏)와 조씨(曺氏), 영산에서는 신씨(辛氏) 가문을 중심으로 자발적으로 의병을 규합하여 곽재우의 의병과 연합해 싸웠다. 지역의 지리에 밝은 의병들은 박진, 박곡 등에서 전공을 세울 수 있었다. 정유재란 시기에는 청야책(淸野策)에 따라 인근 고을 민을 동원하여 화왕산성을 쌓아 대비했는데, 농성전(籠城戰)으로 큰 전투 없이 수성(守城)할 수 있었다. 임진왜란 시기에 창녕 지역에서의 피난과 포로의 모습은 전쟁 상황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로 주목된다. 일본군에 적극적으로 부역(附逆)한 영산인 공휘겸(孔□謙)이 있었다. 포로가 된 이진영(李眞榮)은 아사노 나가마사(淺野長政) 군에 끌려가 일본의 와가야마(和歌山)에서 살았다. 또 영산(靈山)에서 포로가 되어 인신매매를 당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 피난의 경우 영산의 이석경(李碩慶)은 영산이 요충지에 위치하므로 난을 면할 수 없는 곳이라고 여겨 거창으로 피난했다가 친구 정구(鄭逑)가 부사로 있던 강릉(江陵)으로 들어가 지내다가 1596년 고향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명(明)의 군사가 왕래하여 마을이 소란하자 현풍현 가태산(嘉泰山)에 셋집을 얻어 살았다. 1597년에는 곽재우와 군사 일을 의논하다 아버지의 상을 당한 후 다시 관동(關東)으로 갔다. 1599년 봄에 고향으로 돌아와 냉천정(冷泉亭) 아래로 이주하였다. 한편 창녕으로 피난 온 경우는 양산의 정승우(鄭承雨)가 일본군에 잡혀서 히젠(肥前)으로 팔려갔다가 돌아와 어머니를 모시고 영산현에 와서 살았다. 조선왕조는 임진왜란에 대한 평가와 기억의 재생을 국가 유지에 이용하였다. 창녕에서는 많은 인물이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에 올랐으며, 열녀에 선정되어 정문(旌門)을 받은 여인들이 있었다. 숙종 연간에는 임진왜란 때 활동한 인물을 배향하기 위해서 연암서원(燕巖書院)과 물계서원(勿溪書院)이 건립되었다. 정유재란 시기에 있었던 화왕산성의 수성은 조선후기 경상도의 남인에게는 이념적 구심점이 되었으므로 영조 연간에 『화왕입성동고록(火旺入城同苦錄)』이 간행될 수 있었다. 그러나 창녕 지역의 인사로 명단이 올라 있는 인물들은 화왕산성과 가까운 지역이었기 때문에 실제 임진왜란 때 참전하여 활약한 인물들이었다. 한편 창녕 지역의 열녀수는 영산 1건, 창녕 9건으로 영산보다 창녕 지역에서 많았다. From the beginning of the Japanese invasions of 1592~1598(壬辰倭亂) the region around Changnyeong(昌寧) was under attack and plundered by the Japanese troops for its strategic point of both attacking and transportation route. In response to that, however, sooner or later, the voluntary corps which were led by Jaejisajok(在地士族) and Toseong(土姓) who were made up of Changnyeong Seong(成氏), Jo(曺氏), and Yeongsan Sin(辛氏) clans by and large were established and brought into practice. Moreover, thanks to support and assault of a group of militias led by Gwak Jaewoo(郭再祐) who stood up against the Japanese army and entered into the war in the western Gyeongsang province, especially Uiryeong(宜寧), they came to succeed in defeating the invaders. On the other hand, Kim Seongil(金誠一) who was appointed the Choyusa(招諭使) at that time supported their resistance by gathering a party of rest of Jaejisajoks around this region, and that is the characteristic of campaign of voluntary corps in this region.

      • KCI등재

        1635년(인조 13) 현풍현감 김세렴의 『포산지』 편찬

        이재두 ( Jae Doo Lee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8 No.-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하고 있는 『苞山志』(古2758-1)는 조선 중기 현풍현의 읍지이다. 이 읍지는 표지까지 합쳐 69장 137면의 필사본이며 모두 45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책의 표지에 찍힌 붉은 색 印記는 1741년부터 1745년까지 현풍현감이었던 朴致文 소장본이었음을 보여준다. 『동명집』과 현풍면에 남아 있는 김세렴 인정비에는 金世濂이 『포산지』를 편찬했다는 기록이 나온다. 『포산지』에 실린 기록의 하한인 풍영대 제명 석각이 1634년 5월 16일이고, 제영 뒤의 遺事들은 원문을 많게는 2/7까지 줄였는데, 이 과정에서 학식과 덕망이 뛰어난 김세렴의 역할이 컸을 것이다. 따라서 『포산지』는 현풍현감 김세렴이 중심이 되어 1634년 시작하여 1635년경에 편찬하였음이 분명하다. 자료의 수집과 편찬 과정에서는 풍영대에 함께 이름을 새겼던 제자들의 도움을 받았을 것이다. 인조반정과 북인의 몰락이라는 정국의 위협 속에서, 과거 현풍 지역 인물들이 조식과의 학문적 연원이 깊음에도 불구하고, 김세렴과 현풍 사족들은 현양할 인물과 지리 정보들을 김굉필, 이황, 정구로 연결 짓고자 하였다. 그러나 『포산지』 곳곳에는 현풍 사회를 주도해온 북인계의 흔적이 보인다. 조식의 제자이며, 박성·곽준의 스승인 裵紳을 높이려는 지역 사회의 노력은 조정에서 받아들이지 않았다. 곽율은 조식의 제자로 배신·김부륜·김우옹과 서로 학문과 덕을 닦았으며 박성·곽준과 종유하였다. 정구 신도비와 박성 행장에서는 정구와 박성이 정인홍과 관계를 단절한 내용을 부각시켰다. 곽준 신도비에는 증조부인 곽승화가 김굉필과 더불어 김종직의 문하에서 종유한 사실은 나오나, 스승인 배신이나 조식에 대한 기록은 없다. 곽율, 박성, 곽준, 곽재우는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켰으며, 특히 곽준은 황석산성의 영웅으로 국가로부터 포상 받은 인물이다. 곽재우전은 한 면이 떨어져 나갔지만 배대유가 지은 것이다. 배대유는 조식의 再傳弟子로 광해군 때 폐모론을 주도하였다. 곽재우전 뒤에 협주로 곽재우가 영창대군을 주살하려는데 반대하여 올린 상소가 실려 있는데 이것은 역모 사건이 빈번했던 인조 정권 아래서 비판 세력의 예봉을 피하기 위한 장치였다. 요컨대 『포산지』는 북인계 남인이라는 공통분모를 지닌 김세렴과 현풍 지역의 사족들이 중앙 정계의 주요 남인 세력들과 연결하여 지역 인물을 현양을 하고, 이를 통해 역모에 희생되지 않기 위한 생존 투쟁의 결과물로 여겨진다. Posanji(古2758-1), which is kept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is a record of Hyeonpung Hyun, in the mid-Joseon dynasty. This record comprises 69 sheets of paper with 137 pages of manuscript with 45 items. The red stamp on the cover of the book shows that its owner was Park Chimun, who was the mayor of the Hyeonpung Hyun from 1741 to 1745. According to Posanji, Pungyeongdae Stone Monument was named on May 16, 1634. The historic records after the poetry recital section of the book shows that the poems were shortened from the original ones. In the Appreciation Monument of Kim Seryeom, which remained in Hyeonpung Myeon, was recorded that it was he who compiled Posanji. From these records, it seems Kim Seryeom was indeed the main compiler of Posanji. He possessed such excellent writing skills that he was sent to Japan as a diplomat less than a year after he left his post as Hyeonpung Hyeon mayor. Posanji was compiled around 1635(the 13th Year of King Injo) but begun sometime in 1634. We can see traces of the Northerners who were leading Hyeonpung society. The local community`s effort to promote Bae Shin, Jo Sik`s disciple, was not accepted. Bae Shin was a teacher of Park Seoung, Kwak Yul and Kwak Jun. Despite the fact that local figures in Hyeonpung in the past were deeply connected academically to Jo Sik, Kim Seryeom and certain Hyeonpung gentries connected local famous people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to Kim Goengpil, Lee Hwang and Jeong Gu. Kwak Yul, Park Seong, Kwak Jun and Kwak Jaewoo raised volunteer armi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Kwak Jun was rewarded by the government as a hero of the Hwangseok Wall battle. A piece of the Kwak Jaewoo biography section in the Posanji was lost, but it was written by Bae Daeyu who was Jo Sik`s disciple and led the Decrowning of the Queen Movement during the Prince Gwanghae period. The commentary at the back of the Kwak Jaewoo biography recorded that Kwak Jaewoo wrote the opposing appeal to put Prince Yeongchang to death. This was their plan to avoid the impetuously harsh charge from the critical forces under King Injo`s rule when treason was prevalent. In summary Posanji was the result of Kim Seryum and Hyeonpung gentry`s struggle to survive who were pro-Northerner Southerners. They made a connection with the major Southerners in the central government and promoted local scholars so that they would not become a scapegoat of treas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