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科體詩 飜譯에 대한 체제 모색과 제언

        이창희 근역한문학회 2022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62 No.-

        This paper explores how to translate Civil Service Examination Poetry (科體詩, Ketishi) written in Literary Sinitic into Korean, predicated on textual translational theory. This genre, because of its unique formal characteristics, has been analyzed with specific attention to textuality including its literary structure, or more specifically, number of characters and lines, parallel style, and rhyme. However, recent scholarship on this poetry suggested that these distinct formulas, if compulsory, had not been followed rigorously when literati composing Ketishi. What is ‘textness’, or ‘textuality’ of Ketishi? What characteristics make Ketishi a certain body of text? What textuality is, in particular, to be focused on by translators when this genre is translated? Placing Ketishi in the context of translational, textual methodologies, this paper examines and suggests the ways Ketishi should be translated. 이 글은 한문고전텍스트 중 科體詩의 번역 방안을 논한 것이다. 과체시는 이가 지닌 독특한 형식 때문에 이른 시기부터 제형식을 포함한 해당 장르의 텍스트성(textuality)을 파악하는 데에 많은 考究가 이루어졌다. 예컨대 과체시의 字數, 句數, 平仄, 押韻, 對偶를 포함하여 鋪置形式에 이르기까지 형식적 특수성이 규명되었으며, 이 정식 아래에서 신광수, 윤선도 등의 과시 작품에 대한 학술번역까지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 하지만 몇몇의 선행연구를 통해 입증되었듯이 과체시가 지닌 엄격한 정형성을 준수한 작품은 드물게 보일 뿐이며 이는 강제적인 구속력 또한 없었다. 그렇다면 ‘과체시만의 독특한 텍스트다움(textness), 즉 텍스트성은 어디에 있을까?’ 다시 말해, ‘과체시 텍스트가 하나의 텍스트로 간주되기 위해 지녀야 할 일단의 복합적 특성은 무엇일까?’ 특히 번역학적 관점에서 ‘이 텍스트가 언어 내적 번역을 통해 번역텍스트로 전이되는 과정에서 하나의 텍스트로서 존립할 수 있기 위해서는 번역자는 원천텍스트로부터 무엇을 이끌어내야 할까?’ 이 글은 이상의 질문에 대한 시론으로서 텍스트론적 번역접근방식을 통해 科體詩의 번역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 KCI등재

        朝鮮時代 科體詩의 程式 考察

        金東錫(Kim Dong-Surk) 대동한문학회 2008 大東漢文學 Vol.28 No.-

          朝鮮時代의 科體詩는 크게 古體科詩와 行詩의 2종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 두 가지는 모두 漢詩의 일종이기는 하지만 중국 전통 漢詩古體詩 및 近體詩의 형식과는 전혀 다른, 우리 나라 特有의 詩體이다.<BR>  古體科詩와 行詩는 모두 ‘7言詩’이고 17,8聯 이상의 ‘長篇詩’이며, 近體詩보다는 ‘古體詩’의 性格을 농후하게 띠고 있는 詩라는 점에서 서로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古體科詩는 古體詩와 좀더 유사한 반면 行詩는 近體詩와 좀더 유사한 데서 서로 구별된다. 또 古體科詩는 조선시대의 전기와 후기에 걸쳐 모두 존재하였으되 후기에는 심히 쇠퇴하는 양상을 보이는데 비해, 行詩는 대개 18세기 초에 등장한 이래 19세기에 이르러 크게 성행하기 시작한 것으로 확인된다.<BR>  科體詩의 程式은 대개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다. ① 古體科詩의 경우에는 1구의 字數가 꼭 7言으로 고정되어 있지는 않으며, 17,8聯 이상의 長篇이다. 押韻을 함에는 換韻이 허용된다. 평측은 出句의 首2字에 平聲을, 對句의 首2字에 仄聲을 사용하되, 이러한 격식을 계속 반복한다. 對偶句의 강구에 대해서는 특별한 규식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② 行詩의 경우에는 1구의 字數가 7言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역시 17,8聯 이상의 長篇이다. 押韻을 함에는 도중에 換韻할 수 없다. 평측은 出句의 首5字에 ‘2平聲+3仄聲’을, 對句의 首5字에 ‘2仄聲+3平聲’을 사용하되, 이러한 격식을 계속 반복한다. 對偶句는 매 3聯을 1段으로 묶을 때 그 가운데 聯에 대해 모두 강구함이 원칙이다. 또 行詩의 경우에는 全篇의 構成ㆍ布置와 관련하여 入題ㆍ鋪敍ㆍ回題 등과 같은 章法의 理論도 발달하였다.<BR>  古體科詩이든 行詩이든 그 정식은 대체적인 윤곽만 지시하는 데 그칠 뿐, 강제적 구속력은 없었던 것으로 보이며, 또한 그 정식의 준수 여부가 성적의 고하에 적극적인 영향을 미치지도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성적의 고하는 오히려 詩題의 出典 및 意味 파악, 詩想의 전개, 典故의 인용 등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생각된다. 과체시의 정식이 왜 그와 같이 느슨하였는지에 대해서는 별도의 심층 연구가 요구된다.   Guachaesi(科體詩 abbr. as G.C.S.), the poetries composed at the State Examination in Joseon Dynasty, can be divided generally into two kinds, the Gochaeguasi(古體科詩 abbr. as G.S.) and the Haengsi(行詩 abbr. as H.S.). G.S. is the poetry with a modified style derived from the old form of classical Chinese poetry in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and H.S. is the poetry with an enhanced new style of modified G.S. prevalent in the later Joseon Dynasty. Although these two kinds are in the same categories of the classical Chinese poetry including Gochaesi (古體詩 the poetries with an old form) and Gumchaesi(今體詩 the poetries with a regulated form), being different from Chinese poetry in many aspects, they have a very unique form of poetry developed in Joseon Dynasty.<BR>  G.S. and H.S. have common appearances with each other. Both are composed of lines of seven-character, have a style of long verse which contains average of 36 lines in 18 couplets, and also have features of the old form of classical Chinese poetry. But G.S. is distinguished from H.S. for having more similarities to the old form of classical Chinese poetry than H.S. which is close to the regulated form of classical Chinese poetry. Viewed in their duration, G.S. existed in Joseon Dynasty from the early 15th century to the end of the 18th century. Whereas H.S. was born at the beginning of 18th century and existed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BR>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 analysis on twenty five poems composed at the State Examination in Joseon Dynasty, the basic form of G.C.S. is as follows.<BR>  ① G.S.:⒜ Each line is not always fixed with seven-character. Sometimes it has five-character or above seven-character. ⒝ G.S. contains irregular rhyme, being permitted to change rhyme scheme in one poem. ⒞ It should be composed with the first two-character of even tone in the upper line of a couplet, and with the first two-character of uneven tone in the lower line of a couplet. ⒟ There are no rules to make some ‘couplets with parallelism(對偶句)’ between the lines(‘couplet with parallelism’ means each counter-character in one couplet should have the same function in accidence.)<BR>  ② H.S.:⒜ Each line is always fixed with seven-character. ⒝ G.S. is made of perfect rhyme, being not permitted to change rhyme scheme in one poem. ⒞ It should be composed with the first two-character of even tone and the next three-character of uneven tone in the upper line of a couplet, and with the first two-character of uneven tone and the next three-character of even tone in the lower line of a couplet. ⒟ There are rules to make couplet with parallelism at every middle couplet in each stanza consisted of three couplets. ⒠ There are also some poetic structures such as ‘analysis on the title(thesis) of a poem’, ‘descriptive clause’, ‘demonstrative clause’, ‘conclusive clause’, etc.<BR>  The basic form of G.C.S. does not have strict rules governing the elements or structures of the poem. G.C.S. has flexible rules with guidelines to compose the poem, so as to confirm the composition ability of an examinee. It seems that the scoring points were mostly laid on the examinee’s poetic spirit and encyclopediac knowledge.

      • KCI등재

        고산 윤선도 東詩 「문인폐육아(門人廢蓼莪)」 고찰

        임귀남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7

        Dongshi (東詩) is called Gwacheshi (科体詩), Haengshi (行詩), Gongryeongshi (功令詩), or Donginshi (東人詩). It is the unique poem style that was originally created as an answer for the National Test [Gwageo] but soon used as a concept encompassing Gwachesh (科體詩). This dissertation aims to examine Muninpyeyuga (門人廢蓼莪), a Dongshi by Gosan Yun Seondo (1587-1671), a representative writer of Shijo Shiga Dongshi literature in the first half of the 17th century. To this end, the researcher divided works that accepted 「Yuga」in『Shigyeong (The Book of Odes, 詩經)』 published in the literature anthologies according to the times they were written such as the first half and the second half of Joseon Dynasty. And then the acceptance pattern of that period was reviewed. Next, it was reviewed how 'Yuga' in "Shigyeong" was implemented in Hanshi by Yun Seondo through the expression technique of 『Sikyung』realized in his work and the antithesis technique of Hanshi. In particular, it was analyzed how the old story of "Pyeyuga' of Wangbu reflected in his Dongshi was shaped as a poem in his Dongshi and confimred the degree with the content analysis. Through this, the internal and ex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 were synthesized and summarized, and the significance of Yun Seon-do's works in the history of filial piety literature was demonstrated. 東詩는 科體詩, 行詩, 功令詩, 東人詩 등으로 불리는데 애초 과거시험용 답안으로 창작되다가 과체시를 포괄한 개념으로 사용한 우리나라만의 특유의 詩體이다. 본 논문은 17세기 전반 시조 시가 東詩 문학의 대표적 작가인 고산 윤선도(尹善道, 1587∼1671)의 東詩 「문인폐육아(門人廢蓼莪)」를 살피는 데 목적을 둔다. 이를 위해서 먼저 조선 시대 문집에 실린 시경 「육아」를 수용한 작품들을 조선 전기와 조선 후기로 나눈다. 그리고 각각 그 시기의 수용 양상을 고찰한다. 이어 윤선도의 한시 속에는 시경 「육아」 편이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었는지, 그의 작품에 실현된 시경 의 표현기법과 한시의 대구 기법을 위주로 살펴본다. 특히 그의 東詩 「문인폐육아」 속에 투영된 왕부의 ‘폐육아(廢蓼莪)’ 고사가 어떻게 시로 형상화가 되었으며 그 정도를 내용 분석과 함께 확인하고 이를 통해 작품의 내외적인 특징을 종합·정리하여 효행 문학사에서 윤선도 작품은 어떠한 의의를 점하는지 논증한다.

      • KCI등재

        朝鮮後期 南人系 科體詩集 近藝雋選 硏究

        김경 한국고전번역원 2021 民族文化 Vol.57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time, intention and the purpose of publishing of GeunYeJunSeon( 近藝雋選 ), compiled in the 18th century when poetry for the civil examination prevailed. The first GeunYeJunSeon( 近藝雋選 ) was compiled by GwonSeong(1736~?) before 1771. There are approximately seven types of extant GeunYeJunSeon and they are all copied works and not originals. Among them, a version of Korea University, which was transcribed after 1774, is valuable in that it contains various information ranging from passing of the examination to the lineage of successful applicants for the civil examination. Since most of the works in GeunYeJunSeon( 近藝雋選 ) were written when applicants were not able to pass the exam, this book does not belong to collections of poetry masterpieces compiled for the civil examination. However, since those works cannot be seen in the previous collection of poetry masterpieces for the civil examination,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a glimpse of the learning process and the criteria for evaluation of poetry for the civil examination. In addition, the compiler and selected writers of the GeunYeJunSeon( 近藝雋選 ) are all from Namin pedigree, and the time of compiling this book is intertwined with their political success. Considering these points, it can be said that the GeunYeJunSeon( 近藝雋選 ) is a result of showing the ability of Namin pedigree or the intention to highlight their underprivileged condition. Moreover, since there is no extant book of poetry for the civil examination of Namin pedigree, this book can be used to estimate their literary activities before an offshoot of Namin took place in the 1780s. 이 논문은 科體詩가 성행하던 18세기에 편찬된 近藝雋選 의 편찬 시기 및 의도와 목적을 究明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최초 근예준선 은 權偗(1736∼?)에 의해 1771년 이전에 편찬되었다. 현전하는 근예준선 은 대략 7종으로 모두 필사본이며 원본이 아니다. 이 중에서 고려대본은 1774년 이후 필사되었고, 入格에서부터 世系까지 다양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를 지닌다. 근예준선 에 수록된 작품은 대부분 등제하지 못한 詩이기에, 이 책은 조선후기 과체시 명편선집에 해당하지 않다고 할 수 있지만, 기존 과체시선집에서 볼 수 없는 작품들로 당대 유생들의 과체시 학습 과정 및 과체시에 대한 평가 기준의 등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아울러 근예준선 의 편찬자 및 선정 작가들이 모두 南人系 인물이며, 이 책의 편찬 시기가 이들의 정치적 도약기와 맞물려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했을 때, 근예준선 은 남인세력의 능력 과시이거나 불우함을 부각하기 위한 의도가 내재된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더욱이 현전하는 남인계 과체시집이 확인되지 않는 만큼, 이 책을 통해 1780년대 남인이 분파하기 이전의 문학적 활동을 가늠할 수 있다.

      • KCI등재

        <東湖別曲>의 문학적 관습과 그 의미

        박경우 한국시가학회 2023 韓國 詩歌硏究 Vol.59 No.-

        This paper analyzed the existence and aspects of literary conventions found in creative Gasa(歌辭) work, using “Dongho Byeokgok(東湖別曲)” as the subject. Firstly, from a formal perspective, conventional patterns were detected by utilizing all texts from Collection of Korean Gasa Literature(韓國歷代歌辭文學集成) and (Revision) Collection of Korean Sijo Literature((校本) 歷代時調全書). A custom search program was created using PYTHON 3.7.9 to enable analysis at the character level. By comparing and searching the vocabulary and grammatical structures of "Dongho Byeolgok" with lyrics from around 2,600 Gasa works and 3,335 Sijo works, results were derived. This allowed for the identification and analysis of aspects such as the phenomenon of the initial three-syllable restriction due to prosodic awareness and the utilization of conventional pattern phrases. Next, from a content perspective, apart from the strong individuality of Gugang(具康)'s work and the free expression methods highlighted in previous studies, conventional factors were examined in terms of the continuation of the art of "trip to mountains and waters", the acceptance of literary conventions, and the utilization of conventional themes in poetry. The aspects of the art of "trip to mountains and waters" depicted in "Dongho Byeolgok" reflected the trend of 17th and 18th-century mountain and water travel, while presenting unique characteristics. This was because the author's literary conventions followed a different direction, not solely reflecting the art of "trip to mountains and waters" but also incorporating common attributes of works referred to as "00 Byeolgok." Additionally, the author embodied Jeomgyeonginmul(點景人物: figure in a landscape painting who adds artistic effects to the painting) from "JingyeongSanSuHwa(眞景山水畵: True-View Landscape Painting)" in the work and introduced the method of storytelling learned through "Gwa-Che-Si(科體詩: poetry for the civil service examination) Training," both of which were representative of contemporary literary conventions. Furthermore, this work imitated conventionally used themes in the genre, which were organized and presented through SNA analysis. 이 논문은 <東湖別曲>을 대상으로 독창적 가사 작품에서 발견되는 문학적 관습의 존재 양상을 분석하였다. 먼저, 형식적인 측면에서 <<韓國歷代歌辭文學集成>>과<<(校本) 歷代時調全書>>의 모든 텍스트를 활용하여 관습적인 패턴구를 검출하였다. 패턴구 검출을 위해 자소 단위로 분석이 가능하도록 PYTHON 3.7.9를 이용하여 자체 검색 프로그램을 만들어 사용했으며, <동호별곡>의 모든 어휘와 문법 구조에 대해 가사 2,600여편과 시조 3,335편과 비교 검색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운율 의식으로 인한 첫음보 3음절 제약 현상과 관습적인 패턴구 활용의 양상을 정리하고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내용적 측면에서는 기왕의 연구들에서 밝힌 구강 가사의 강한 개성과 자유로운 표현법과는 별도로, 산수기행 예술의 계승, 문예적 관습의 수용, 시가의 관습적 소재의 활용의 측면에서 관습적인 요인을 살펴보았다. <동호별곡>에 나타난 산수 기행의 양상은 17,8세기의 산수유람의 유행을 반영하면서도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는 구강이 따르고 있는 문학적 관습이 산수유람만을 전면적으로 반영하기보다는 ‘00별곡’으로 일컬어지는 작품군의 공통적 속성을 다른 방향에서 답습하기 때문이었다. 또한 진경산수화의 점경인물을 가사에 구현하기도 하고 과체시 수련으로 익힌 代言하기 방식을 도입하기도 하였다. 이는 모두 당대의 문예 관습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가사에서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소재를 답습하였는데 이는 SNA분석으로 통해 정리하였다.

      • KCI등재

        「관산융마(關山戎馬)」의 작품세계와 두시수용(杜詩受容)의 미의식

        신두환 근역한문학회 2015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Vol.40 No.-

        이 논문은 石北 申光洙(1712~1775)의 『關山戎馬』에 나타난 작품세계와 두시수용의 미의식을 연구한 것이다. 이 시는 두보의 『登岳陽樓』 시에서 추출한 과거시험의 제목 『登岳陽樓歎關山戎馬』에 의거 과거시험장에서 지어진 칠언 44구 22연의 과시 이다. 그런데도 몇 세기동안 騷人과 唱客들이 가장 애송하는 시였고, 평양 紅樓界의 가장 인기 높은 작품이었다. 이 시는 조선 전시대의 科詩를 통틀어 가장 정통적 위치에 놓여 있는 과체시의 전범이기도 했다. 이것은 석북이 평소에 과거의 준비로 두시를 충실히 연마했고, 또 타고난 시인의 자질과 두보의 우국애민적인 시를 숭배하였음 에 기인한다. 이 논문은 『關山戎馬』에 수용된 두보의 시어들을 분석하고 원시에 충실한 감상과 이해에 중점을 두고 새롭게 비평을 가하여 석북 신광수의 『關山戎馬』의 작품에 대한 문학적 위상을 정립하고 두시수용의 미의식을 파악하여 작품의 진면목을 찾는데 중 점을 두고 연구한 것이다. 두보와 신광수는 약 1000여 년 차이가 난다. 석북은 일천년 전의 이미지로 두보를 생생하게 전달하고 있다. 이 시의 형식은 과체시로서 행시체 악부이다. 석북은 두보의 시를 섭렵하고 두시에 대한 해박한 지식으로 관산융마를 창작하였다. 그 결과 한성시에 2등을 하였다. 이 시의 주제는 처음부터 끝까지 <등악양루>의주제의식인 우국의 정과 향수로 일관되게 견지하고 있으며 구구절절이 두보의 시에서 의경을 추구하고 전고를 찾아 시구를 구성하고 있어서 한 편의 두보 시사를 보는 것 같다. 시 전반에 흐르는 憂愁의 비장미는 독자로 하여금 심금을 울리게 하고 있다. 두시 전체를 요약하는 우국과 향수의 이면 짜기는 독특한 정감을 자아내고 있어서 일반적 인 모방을 넘어서 점철성금된 미감이 넘친다. 각 구절마다 예술성 넘치는 시어들의 조합은 비장미의 극치였다. 이 시는 홍루계의 인기 있는 곡조로 시창으로 불러지고 시조의 악보에 얹혀서 한 시대를 풍미하였던 걸작이다. 이 시가 영정조대에 최고조에 이른 과시체의 정종으로서 문학사적의의를 가지며, 과시가 대중가요로 발전하는 속화의 과정에서 그 당시 예 술의 사회상을 엿 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다. 석북의 『關山戎馬』는 시창과 음악과 무용이 어우러지는 한편의 퍼포먼스 (performance)로써 과시의 악부체시가 드러낼 수 있는 최고의 예술성을 함의한 문 학적 위상을 볼 수 있는 작품이라고 규정하고 싶다. 本文是一篇召于石北申光洙(1712-1775)的<召山戎馬>在杜甫的詩受容羊相硏究. 科體詩是如此的美麗碼石北 申光洙的 <召山戎馬>,這首詩是朝鮮科體詩的最 高杰作. 杜甫詩最能接受的作品. 這是從杜甫的詩被崇拜 這首詩是朝鮮王朝的科詩 考試標題: 「登岳洋樓嘆召山戎馬」. 這句話選自從杜甫的詩<登岳洋樓>. 他 是第二于朝鮮王朝汗城試 石北申光洙(1712-1775)的<召山戎馬>是大約兩個世紀 他是從詩人詩的最愛. 朝鮮王朝紅樓界妓女是最受歡迎的從這首詩是這個學科的一個例子。這首詩是杜甫的詩歌語言硏究中引用, 這篇論文中心硏究的<召山戎 馬> 石北申光洙的汗詩出現在杜甫的詩受容羊相硏究. 說,這件作品的文學價値. 詩是用形象思維的這首詩從杜甫的這首詩是作圍合成. 這首圍字字句句都是杜甫 的詩話 他是一位學者精通杜甫的詩. 他這首詩盡意地抒發了更憂國之情, 他這首 詩盡意地抒發了更思香之情, 他這首詩意地抒發了更悲創之情 這首詩讀起來音 調悲創, 朝鮮時代詩人把這首詩朗聲地讀了又讀 這首詩是科試的典范 這首詩的 主題是憂國之情和思香之情. <登岳洋樓>的作品的主題思想一直從開始到結束. 當時的張安處于戰亂之中杜甫患了嚴重的香思病吟玲一篇壯麗的史詩. 這首詩 是一篇的杜甫詩史. 感受到了詩歌中溫含的悲狀美. 一首描寫悲創的美麗詩歌. 科 體詩是如此的美麗瑪? 杜甫詩最能接受的作品.

      • KCI우수등재

        『근예준선(近藝雋選)』의 서지적 연구

        마위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201

        본고에서 연구한 『근예준선』은 18세기에 편찬된 과체시(科體詩) 선집이다. 『근예준선』에 대한 연구는 금세기 초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선행 학자들은 선집의 편찬 시기와 편찬목적을 모두 언급하고 분석하였으나 선집 원본에 대한 추정은 언급되어 있지 않았다. 더구나 추정한 편찬 시기는 넓은 시간적 범위이기 때문에 후속연구, 특히 편찬목적의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모호하거나 확실하지 않은 점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11종 판본의 비교‧분석하여 선집의 기본적 짜임새를 구명하고 편찬 시기와 편찬목적을 추론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선집 원본의 기본적 짜임새는 표제‧서문‧작자목록‧본문으로 구성된 것을 추정하고, 11종 판본 중에서 장서각본이 원본에 가장 가까운 판본임을 밝혔다. 그리고 선집은 영조(英祖) 연간의 “나주괘서사건(羅州掛書事件)” 이후, 1755년에 열린 상시(庠試)와 1756년에 열린 도회시(都會試) 사이에 편찬된 것으로 추정된다. ‘나주괘서사건’의 발생은 남인에게 조선 조당에 다시 등장할 수 있는 정치적인 계기가 되었고, 정치적 지위를 다시 취득함으로서 규제의 완화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과체시의 실력이 수험생의 과거 입사(入仕) 능력을 어느 정도 대표할 수 있었던 당시에 남인 소장파는 이를 통해 조선 권력자나 정쟁 파벌에게 그들의 과거 능력을 보여주는 것은 순리적인 일이다. 나아가 이 선집은 당시 젊은 남인들의 정치적 포부가 반영된 과체시 명편 선집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孤山遺稿』 卷六 所載 東詩 「冒雪訪孤山」 考察

        김대현 우리한문학회 2008 漢文學報 Vol.18 No.-

        This paper analyses Dong-Si(東詩) in volume six of Gosanyugo<『孤山遺稿』> that was written by Gosan Youn sun do. I especially focused on mosulbanggosan(「冒雪訪孤山」) of Dong-Si. Gosan Youn sun-do is often said to be the most talented writerof Si-jo(時調) literature. He was also a notable writer in Dong-Si literature so that wrote many works of Dong-Si during the first half of the seventeenth century. Such types of works have been called as Gwa-Che-Si(科體詩) up to now. However I provisionally tried to call them as Dong-Si in this paper. I think that Gosanyugo(『孤山遺稿』) was the first work in which Dong-Si was independently published. The volume six of Gosanyugo has all the 8 works of Dong-Si. I classify 8 works from volume six of Gosanyugo into four different categories. Firstly, it is about loyalty and filial piety from a historic event. Secondly, it is about an ancient happening concern with 杭州 in China. Especially, Youn sun do wrote two works belong to this second category when he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Thirdly, it is about works that describe an intellectual of great integrity and elegance. Finally, it is about human’s mind that follows the natural course of life. I also focused on mosulbanggosan of 25 un(韻) 50 gu(句)which was written in 1612. The title means that someone visits Gosan despite heavy snow. This work was composed from the historical event of 林和靖 who was in a secluded life at 西湖, 杭州 of China. I studied this work from three parts. The first part is an opening. The second part is the story that demonstrates an appearance of Gosan and visitors. The third part is an ending that illustrates visitor’s will. I think that the Gosan of 임포 who was illustrated in this works was related to Gosan Youn sun do. Gosan Youn sun do created beautiful Korean Dong-si with the historical event of Gosan in 杭州, and then showed a secluded thought by the story. 이 논문은 『孤山遺稿』 卷六 上에 실린 고산 윤선도의 東詩 作品과 그 類型을 살펴보고, 나아가 東詩 「冒雪訪孤山」의 내용을 고찰 한 것이다. 孤山 尹善道는 흔히 시조문학의 일인자로 알려져 있지만, 여기에서 다루고자 하는 東詩에 있어서도 많은 작품을 남기고 있는 17세기 전반 東詩 文學의 주요 작가였다. 이러한 형식의 작품은 지금까지 주로 科體詩라는 이름으로 불리고 있었는데, 필자는 이를 잠정적으로 東詩라고 부르고자 한다. 현재 시대가 가장 이른 작가의 문집에 東詩가 별도로 편집되어 실린 경우는 아마 『孤山遺稿』 가 처음이 아닐까 생각 된다. 여기서 『孤山遺稿』 권 6 상에 실린 동시 작품들은 모두 8수인데 작품들의 이름을 문집에 실린 차례로 들면 다음과 같다. 1) 「人間讀史各君臣」 2) 「門人廢蓼莪」 3) 「愁」 4) 「錢塘春望」 5) 「淸風明月不用一錢買」 6) 「冒雪訪孤山」 7) 「家具小於車」 8) 「客心洗流水」이다. 『孤山遺稿』 에 실린 위의 몇 수를 보아서도 고산은 20세부터 62세에까지 계속하여 東詩를 남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의 나이 60세가 넘어 戊子年에 지은 東詩는 과거 응시와는 관련 없는 시를 지은 것이다. 고산은 이러한 유형의 동시를 평생 동안 창작을 하였으리라 생각된다. 이는 이미 17세기부터 東詩가 科擧 答案과는 무관하게 하나의 우리나라 고유한 한시 유형으로 정착되어 가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이다. 『孤山遺稿』 에 실린 8수의 동시 작품은 모두 네 유형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는 역사 고사를 통한 忠孝인물을 다룬 경우이다. 둘째는 중국 杭州, 錢塘江 등의 고사를 다룬 작품들이다. 특히 이들 유형의 작품 두 수가 모두 과거에 급제할 당시의 작품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당시 과거의 시제가 중국의 역사 인물고사에 근거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기 때문이다. 세 번째 작품군은 문인 선비의 청빈하고 풍류적인 삶을 다룬 작품들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네 번째는, 마음의 그리는 작품으로 작자 자신의 서정적 정서를 나타내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孤山遺稿』 소재 8수의 작품 가운데, 1612년 임자년 작인 25운 50구로 된 「冒雪訪孤山」을 좀더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동시는 조선후기에 이르면 흔히 36구의 정형으로 되어 있다고 하지만, 17세기 전반에는 이처럼 50구에 이르는 작품도 과시에 선발되었다. 제목으로 삼은 「冒雪訪孤山」(눈을 무릅쓰고 고산을 방문하다.)은 유명한 杭州 西湖 孤山의 은일시인 林和靖의 고사를 주제로 창작한 작품이다. 이 작품은 도입부, 고산의 모습과 고산을 찾아가는 전개부, 작자의 뜻을 다루는 마지막의 결말부 등으로 나누어서 살펴 볼 수 있다. 이는 전통적인 과시 형식인 入題, 鋪敍, 回題라는 형식과 연관이 있다. 작품의 전체적인 경향은 宋代 문인들의 은일 풍류를 수용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 작품에 드러낸 隱逸高士 林逋의 孤山은 물론 고산 윤선도의 隱逸思想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하겠다. 이 작품은 17세기 전반 科詩作品이므로, 당시 과시의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는 데도 중요한 작품이 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연민선생과 과체시(科體詩) 연구

        이상욱 ( Sang Wook Lee ) 연민학회 2013 연민학지 Vol.20 No.-

        From the beginning of the twenty first century, the civil examination system which had long been existed in pre-modern China, Korea and Vietnam, and its cultures have newly drawn attention from East Asian studies` scholars. However, the civil examination poetry in Choson dynasty has not been noted up to recently as the academic material although it has great potential to reveal unique characteristics of civil examination cultures. Before receiving modern education Yonmin learned Choson way of Hanmun writing in his childhood and left 8 civil examination poems in his Complete works of Yi Ga Won 李家源 全集. It is proof that the civil examination poetry had been learned and practiced apart from the institutional examination itself since the civil examination had already been abolished at that time. Yonmin had incessantly studied the civil examination even after his being a scholars in modern academic system. Although many scholars had neglected the civil examination poetry in a sense that it lacks modern literary features, Yonmin had paid attention to its values as an educational means and as a popular literary genre. And Yonmin had finally inserted the civil examination poetry as a mainstream in his literary history Choson Literary History 朝鮮文學史 in 1997. To date his studies on the civil examination poetry have not been fairly understood because his explanation on the civil examination poetry was based on his own writing experiences of which most of modern scholars was completely ignorant. However he had sharply pointed out the importance and its considerable influence of the civil examination poetry in the Choson culture of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