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과학영재 학생들을 위한 사사과정 입문 교육의 효과

        손정우 ( Jeongwoo Son )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교사교육연구 Vol.54 No.4

        사사과정은 대학부설 영재교육원에서 실시되는 장기 과학연구프로그램이다. 사사과정에 진입한 학생들은 준비상태가 다르므로, 기본적인 능력이 동일하지 않다. 그래서 이들의 평균적인 과학 탐구능력을 함양하기 위해 입문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고, 그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입문교육 프로그램 내용은 과학의 본성, 과학의 탐구과정, 의사소통을 기본 성취기준으로 하는 ‘과제연구’ 교과의 내용과 유사하게 구성하였다. 연구는 G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의 과학영재 중학생 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입문교육은 2일간 총 16시간이 진행되었다. 전체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사전과 사후에는 과학의 본성, 의사소통능력 검사를 실시하여 그 변화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사과정 입문교육에서 학생들의 선호도와 만족도가 가장 높은 수업 형태는 실험활동과 팀활동이었다. 둘째, 사사과정 입문교육을 통한 과학의 본성과 의사소통 능력은 유의수준 5%에서 향상 효과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단기 집중교육으로 이뤄지는 사사과정 입문교육은 과학의 본성, 의사소통 능력에는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아울러 사사과정 입문교육은 과학의 본성이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기대하기보다는 학생들에게 팀별 활동에 대한 경험과 기회를 제공하여 협업 능력을 높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래서 향후 사사과정 입문교육 프로그램의 세부 수업 내용은 실험활동 등과 같은 팀활동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rough its well established mentorship program, the gifted science education institute has come to recognize that the state of student readiness for mentorship are not the same based on their differences in their basic abilities. Therefore,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n introductory program to cultivate students’ average scientific processing skills and to evaluate the program’s educational effectiveness. The content of the introduction program was a subject research with basic achievement standards based on the nature of science, science inquiry process, and communication. In the study, it is intended for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40 people in G university science gifted education institute, introduction program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16 hours over 2 days.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gram,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using a pre-post test model to measure the nature of science, the communication abilities performed, and we analyzed the chang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preference and satisfaction was highest during classes which included experimental activities and team activities. Second, the nature of sc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y in mentorship-introduction program did not have the effect of improving at the 5% significance leve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mentorship-introduction program’s short-term intensive courses do not greatly help students’ nature of sc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ies. In addition, it is more important in a mentorship-introduction program to provide experience and opportunities for team activities to increase collaboration rather than to expect the improvement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communication abilities. Therefore, in the future, sub-class content for the mentorship-introduction program is desirable to configure the team activities such experimental activities.

      • 개정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

        박형민,김남일,임채성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9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학술대회 Vol.76 No.-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의 활동에 수반되는 뇌 영역과 과학의 진화적 속성을 바탕으로 개발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실제적 과학(authentic science)을 기반으로 한모둠 자유탐구 활동에 적합하게 개정하고, 이 개정된 모형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개정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에서는 기존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의 각 단계 사이에서 느끼는 학생들의 곤란을 줄이고자, 진화적 요소를 적용한 세 단계(다양화, 비교ㆍ선택ㆍ실행, 적용ㆍ확장) 사이에 선택 기준 선정과 적절성에 대한 피드백이라는 두 가지 비계를 추가로 설정하였다. 서울 소재 N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학생 8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비교반 학생들은 교과서 중심의 자유탐구 수업에 참여하였고, 실험반 학생들은 개정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에 참여하였다(각각 2주간 6차시). 수업 전과 후에 TOSRA(Fraser, 1981)와 과학 탐구 능력 검사지(권재술과 김범기, 1994)를 통해 초등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와 과학 탐구 능력에 대한 정량적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관찰지 분석, 면담 등 정성적 방법을 병행하여 정량적 검사지로 명확하게 드러나지 않는 변화나 특성들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개정된 뇌기반 진화적 과학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자유탐구 수업의 과학과 관련한 정의적ㆍ행동적 영역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하고, 뇌기반 교육 연구와 초등학생들의 과학 교수학습에 관한 함의들을 논의한다.

      • KCI등재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과 교수방법이 학생들의 과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정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20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3 No.1

        본 연구에서는 국가 발전을 위한 기초 학문 중 하나인 과학 교과와 관련하여 학교교육의 중요한 성과로 인식되는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과 인지적 성취 간 관계성을 파악하고, 학교교육의 핵심인 교수방법의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과학 관련 정의적 특성과 교수방법이 과학 하위수준 집단에 속할 확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학습부진학생의 지도를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PISA 2015 데이터를 활용하여 위계선형모형과 일반화 위계선형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에 대한 도구적 동기, 자아효능감, 흥미는 모두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업 성취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과학 하위수준 집단 학생의 성취수준 향상에는 과학에 대한 흥미와 자아효능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학에 대한 도구적 동기의 영향은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과학 교수방법 중 맞춤형 학습은 전반적인 학업 성취나 과학 하위수준 집단 학생의 성취수준 향상에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교사의 피드백과 탐구 기반 수업은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교사 주도형 수업은 학생들의 전반적인 학업 성취 향상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과학 하위수준 집단 학생의 성취수준 향상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effects of science-related affective characteristics and teaching methods on science achievement of the Korean students in PISA 2015, and to examine the effects on science achievement level. In order to carry out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analysis was performed with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and Hierarchical Generalized Linear Model (HGLM).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Self-efficacy in science, interest in science,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 among science teaching methods have positive effects on students’ overall science achievement and achievement level of science low achievers. In contrast, teacher’s feedback and inquiry-based instruction have negative effects on improving overall science achievement and achievement level of science low achievers. Instrumental motivation in science and teacher-directed instruction have positive effects only on improving students’ overall science achievement. cuses on the influence of the teacher's instructional behaviors on the feedback practice. T herefore, the teacher self-disclosure is assumed that the instructional behavior perceived b y the learner and find out it`s effects on Feedback acceptance, emotions, and participation behaviors by feedback types. To do this, 350 students from 5th to 6th grade in elementary school were experimented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was analyzed through st 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eacher self-dis closur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eedback acceptance in all experimental con ditions. Second, teacher self-disclosure had a positive influence on feedback acceptance an d participation behavior. Finally, we discussed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s and feedback for effective feedback.

      • KCI등재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Nature of Science)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 과학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경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2 교육연구 Vol.85 No.-

        이 연구는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 학습 프로그램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예비 과학교사의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원카드게임, 빙고게임 등을 활용한 보드게임을 구성해 12차시 동안 실시하였다. 또한 예비 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인식 조사는 VNOS-C를 활용하였다. NOS 학습 활동은 과학의 정의, 전통적 과학철학과 현대적과학철학, 과학 지식의 구성 요소, 과학의 과정과 방법, 과학자와 과학 관련 태도, STS와 과학적 소양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사전검사에서 대부분의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 지식의 잠정성과 과학자들의 창의성과 상상력 활용에 대해서 전문가적관점을 나타냈다. 반면에 과학 지식의 경험적 본성과 과학적 방법의 다양성, 과학적모델 등의 영역에서는 초보자적 관점을 나타내는 예비 과학교사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사후검사에서 다수의 예비 과학교사들은 과학 지식의 경험적 본성을 제외한 모든영역에서 전문가적 관점으로 변화된 양상을 보였다. 특히 과학 지식의 잠정성, 과학의사회문화적 내재성, 과학자의 창의성과 상상력 활용에 대해서는 모든 응답자들이 전문가적 관점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보드게임을 활용한 NOS 학습 활동이 예비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데 효과적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 대개도국 과학기술협력체제 구축 및 의제발굴

        신태영,김기국,김은주,강주연,유하영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0 정책연구 Vol.- No.-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한국은 2009년말 OECD DAC에 가입함으로써 향후 ODA 규모가 크게 늘어날 전망임. · 본격적인 ODA 사업을 전개함에 있어서 과학기술분야의 ODA 기반 협력에 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 과학기술 ODA의 개념, 사업의 추진체계, 그리고 개도국의 수요를 반영하는 의제 발굴 등이 중요한 이슈임. 주요 연구내용· 개도국의 현황을 파악하고 과학기술협력 대상국을 redefine 함. · 국내 과학기술협력 capacity에 대해 논의하고 · 개도국의 과학기술협력 수요를 파악하기 위해 동남아 전문가를 초빙하여 워크숍을 개최하고 그 결과를 보고서에 포함함. · 그리고 과학기술 ODA에 대한 개념에 대해 논의하고 과학기술협력사업의 추진체계에 대해 방안을 구상함. 결론· 과학기술협력은 MDGs의 목적에도 부합하고, · 2010년 G20 정상회의에서 한국이 제안한 개발협력(development cooperation) 이슈에도 부합함. · 즉, 과거의 전통선진국이 인도적 차원에서 “고기를 주는 것”과 같은 협력이 아니라 “고기잡는 방법을 전수하는 것”이 중요한 이슈로 등장하고 이러한 정신과 성격에 가장 부합하는 것잉야말로 과학기술협력이라 할 수 있음. · 한국적 ODA 협력 모델을 모색함에 있어서 과학기술협력은 그 핵심이 될 수 있는 것으로 이에 대한 심층연구가 지속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것임. 정책제언· 과학기술 ODA에 대한 개념 정립 · 과학기술 ODA 추진을 위한 중장기계획 수립 · 과학기술 ODA 수요 파악을 위한 체계적인 정책활동

      • KCI등재

        근대 일본의 서양학문 수용과 ‘학역(學域)’의 형성 ─자연과학과 인문ㆍ사회과학의 분리를 중심으로─

        김성근 ( Kim Sung-khun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99

        본 연구는 19세기 무렵 세계적인 추세로 진행 중이던 학문의 분과화가 메이지(1868-1912) 일본의 근대학문에 어떻게 파급되었으며, 그러한 일본 근대학문의 형성 과정에 나타난 특징은 무엇이었는가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메이지 유신(1868) 이후, 일본은 유학, 일본학 등 종래의 전통학문을 대신하여 서양의 학문을 수입함으로써 근대학문을 신속하게 제도화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일본이 당시 수입한 학문은 서양에서 막 전문 분화를 시작한 직후의 학문이었다. 메이지 전후의 일본인들이 ‘과학’을 ‘분과학문’의 뜻으로 이해했음은 그러한 사정을 잘 보여준다. 아울러 그 같은 분과학문의 수용이라는 역사적 경위는 그 후 일본 근대학문의 성격에 큰 영향을 미쳤다. 서양의 경우, 과학 혁명 이후, 학문들 간의 세분화는 자연과학이 인문ㆍ사회과학에 영향을 미치며 진행된 반면, 메이지 일본이 수용한 서양학문은 종합학문이 아니라 개별과학들이었고, 그것은 학문들 간의 연계성을 사실상 잃어버린 것이었다. 예를 들어, 서양에서 사회과학은 자연과학의 바탕 위에서 성장했다면, 일본에서 그것은 사실상 자연과학과 거의 무관하게 수입되었다. 이 같은 서양학문 수용의 문제점은 결국 고등교육의 제도화를 통해 해결되어야만 했다. 그러나, 이토 히로부미, 모리 아리노리 등 메이지 정부의 핵심 관료들은 도쿄대학, 제국대학 등 관립 대학들을 철저하게 ‘국가적 수요’를 위한 기관으로 인식했다. 따라서 도쿄대학, 제국대학은 국가적 긴급함, 즉 산업화에 도움이 되는 과학기술과 공학 분야, 그리고 근대국가의 새로운 관료 양성을 위한 법학 등을 중시했지만, 그 밖의 인문ㆍ사회과학은 20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도 사실상 큰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 같은 일본의 서양학문 수용은 제 학문 영역의 카테고리화에서도 중요한 특징을 보여주었다. 일본에서 자연과학, 사회과학, 인문과학의 카테고리, 아울러 문과와 이과의 구분은 19세기말부터 20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 수입된 서양학문을 재편성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studies how the division of scholarship, which was underway as a global trend around the 19th century, had an effect on the formation of modern scholarship in Meiji Japan, and what characteristics appeared as a result of the formation of such a modern Japanese intellectual system. The formation of modern studies in Meiji Japan was achieved by accepting Western modern studies as entirely replacing traditional studie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studies Japan accepted in the West at that time had been already divided into specialized areas. It tells why Meiji Japanese scholars understood the word ‘science’ as the meaning of ‘disciplinary science’.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modern Japanese scholarship, which was completely dependent on the acceptance of Western sub-disciplinary sciences, shows a unique feature different from that of the West. In the case of the West, the subdivision between disciplines after the scientific revolution proceeded relatively naturally as the natural sciences influenced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hereas in Japan, which was completely dependent on the acceptance of Western disciplines, the chain between disciplines had almost disappeared. Such unplanned acceptance of Western studies had to be resolved through institutionalization of higher education. However, key officials of the Meiji government, such as Hirobumi Ito and Arinori Mori, recognized government universities such as Tokyo University and Imperial University as institutions for ‘national demand’. Therefore, the University of Tokyo and Imperial University placed great importance on the national urgency, which was, the fields of science and engineering necessary for industrialization, and the law required to cultivate new bureaucrats in the modern state. On the other hand, other fields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not considered very attractive until the mid-20th century. The acceptance of Western studies in Japan also displayed an important feature in the categorization of academic fields. In Japan, the categories of natural science,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seem to have been formed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y accepting Western studies in each field.

      • KCI등재

        ‘과학동아’ 지구과학 기사의 언어적 특성으로 본 과학 잡지의 과학 대중화 기제

        함석진,맹승호,김찬종 한국지구과학회 2010 한국지구과학회지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a science magazine played a role in filling the gap between scientists and the general public, and how it contributed to science popularization. We analyzed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texts used in a science magazine. We used 12 articles (six written by journalists, and six written by scientists) from the Science Donga. Register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define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texts in terms of ideational meaning, interpersonal meaning and, textual meaning.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articles written by journalists used a higher mental and verbal processes in which the conversations and thoughts of scientists were expressed. (2) Human agents were relatively explicit in the journalists’ articles. However, they were implicit or omitted in the articles of scientists. (3) Interrogative sentences and inclusive imperative sentences, and even omissions were frequently found in the journalists’ articles whereas scientists’ articles mainly used declarative statements. (4) The clause density of journalist’ articles and scientists’ were similarly lower than that of science textbooks. (5) The information structure revealed by the patterns of Theme and Rheme that the journalists’ articles used in science magazines was simpler than that of science textbooks, while the structure of scientists’ articles was more complex than that of journalists’. Based on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texts used in science magazines, we found that a science magazine contributes to science popularization in two faces: One is in that the articles of journalists present science contents in a way that the readers can follow with ease and feel well-acquainted. The other is that the modified articles of scientists help the general public get familiar with the culuture of science in terms of use of science language. 과학 잡지가 과학자와 일반인 사이의 접점 역할을 수행하며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할 수 있게 해 주는 기제를과학 잡지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에서 찾기 위하여 과학 동아에 수록된 지구과학 관련 기사 12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과학 잡지 텍스트의 언어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레지스터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1) 기자가 쓴 글은 과학자의 사유와 대화를 표현하는 인식적 술어와 발화적 술어의 비율이 높았다. 2) 기자의 글에는 문장의 주체가 사람으로드러나는 비율이 높지만 과학자의 글에는 사람은 거의 드러나지 않으며 주체가 생략된 경우도 많았다. 3) 과학자의 글은 대부분 평서형 서법을 사용하지만, 기자가 쓴 글에서는 의문형과 청유형 서법, 생략 등의 비평서형 문장이 많았다. 4) 문장 속에 포함된 절의 밀도는 기자의 글이나 과학자의 글 모두 비슷하였다. 5) 정보의 구조 또한, 기자의 글은 단순한 정보의 발전 형태를 띠었고, 과학자의 글은 그에 비해 다소 복잡한 정보 구조를 나타내었다. 과학 잡지 텍스트의언어적 특징을 통해 과학 잡지는 기자의 글을 통해 어려운 과학 내용을 쉽고 친숙한 텍스트로 제시함으로써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할 뿐 아니라, 과학자가 쓴 순화된 과학 텍스트를 통해 일반인들을 과학의 언어라는 과학의 문화에 친숙하게 함으로써 과학의 대중화에 기여하게 됨을 밝혀 내었다.

      • KCI등재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현황과 지식구조 분석

        김은미(EunMi Kim),이찬구(Yi, Chan-Goo)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1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정체성 파악과 개념 정립을 위해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무엇을 연구하는 학문인가에 대한 해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그 동안의 과학기술정책 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졌는가에 대한 내용분석을 통한 연구현황과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지식구조 및 지식흐름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93년부터 2016년까지의 기술혁신학회지 및 기술혁신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의 데이터셋을 구축하고 실증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지금까지의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서울・대전 지역, 대학・출연(연)에서 대부분의 연구가 수행되어, 특정 지역이나 연구수행 주체에 편중되기보다는 다양화된 형태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연구범위별로는 연구관리 및 기술혁신 분야에서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향후 ‘과학기술 공공관리’ 및 ‘과학기술 정책과정’ 등에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균형 있는 학문 분야로 성장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한편 과학기술정책 연구의 지식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주제어를 활용한 네트워크 분석결과, 연구관리, 기술혁신, 과학기술 공공관리 및 정책과정 등으로 군집화되어 이찬구・김은미・오현정(2016)이 제시한 지식구조와 크게 다르지 않았음을 재확인할 수 있었다. 지식흐름을 파악하기 위해 정권별로 구분하여 시기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초기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연구자, 연구개발투자 등 일반적인 주제로부터 시작하여 최근 기술혁신체제, 연구성과 활용 등 다양화되고 세분화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과학기술정책 연구는 과학기술 정책과정, 과학기술 공공관리, 연구관리, 기술혁신 측면에서 더욱 확대되어야 하며 체계적인 지식구조를 형성해 나아가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rends and to analyze knowledge structure and knowledge flow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dopting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For analysis, we established a data set of published papers in the Journal of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and Journal of Technology Innovation from 1993 to 2016. As a result of analysis, a great part of existing researches have been carried out in Seoul and Daejeon area, universities and public research institute. So it should be carried out in diversified form rather than being concentrated on specific regions or research performing subjects in the future. By research scope, more than 70% of research were carried out in ‘R&D manage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In the future, more research must be carried out in ‘public 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public manag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On the other hand, we performed the keyword network analysis to identify the knowledge structure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As a result of analysis, it was clustered into ‘public 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public manag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R&D manage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So It has not been different from research scope proposed by Yi, Kim and Oh(2016). And also, in earlier stage, research topics were general such as researchers and R&D investment. But as time goes by, topics were more diversified and subdivided. Therefore, in future, the research scope of studies on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should be further expanded in terms of ‘public 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public manage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R&D management’ and ‘technology innovation’, and systematic knowledge structure should be formed.

      • KCI등재

        21세기 과학적 소양 평가기준 개발 및 교과서 내용 분석에의 적용

        문공주 ( Kong Ju Mun ),문지영 ( Ji Yeong Mun ),조미영 ( Mi Young Cho ),정윤숙 ( Yoon Sook Chung ),김성원 ( Sung Won Kim ),( Joseph Krajcik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5

        본 연구는 21세기 과학적 소양을 탐색하기 위한 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교과서 내용 분석에 적용하였다. 21세기 과학적 소양의 하위 영역으로 과학적 사고습관(habits of mind), 과학에서의 가치관(character and value), 과학 본성의 이해(science as human endeavor)를 설정하고, 각 하위 영역에 대한 평가 요소와 평가 기준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평가 기준은 21세기 과학적 소양이 교육 상황에서 실제 실현되고 있는가를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개발된 평가 도구를 사용하여 2009 개정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과학 교과서 내용에서 21세기 과학적 소양의 3개 영역에 관련 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중 과학적 사고 습관에 관련된 내용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과학에서의 가치관과 과학본성의 이해에 관련 된 내용은 상대적으로 부족한 것을 알 수 있었다. 개발된 21세기 과학적 소양 평가 기준은 교과서 내용 분석 외에도 교실 수업 평가, 교사 평가, 교수-학습 자료의 평가에 활용하여 현장 과학 수업 실행에 대한 실질적인 이해를 가져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We developed 21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assessment instrument and applied it to explore the contents of seven Korean science textbooks. The 21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assessment instrument involved three dimensions (habits of mind, character and values, science as human endeavor). Each dimension consists of three sub-dimensions. Five science education experts assessed the content of textbook using criteria. We discussed issues in which the examiners responses did not match and reached an agreement on initial disagreement. As a result, we found that most Korean textbook contained contents on habits of mind, especially, communication, collaboration, and information management. We also found that most materials lacked information about character and values and science as human endeavor. Based on the result, we suggest that researchers and science educators need to consider all dimensions of the 21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when they develop curriculum and teaching materials. In addition, the rubric for 21st century scientific literacy can be adopted as an assessment tool for examining curriculum, teaching materials.

      • KCI등재

        과학자의 생활시간에 대한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학생 간의 인식 비교

        김태천(Tae Chun Kim),장명덕(Myoung-Duk Jang) 한국영재교육학회 2012 영재와 영재교육 Vol.11 No.2

        이 연구의 목적은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이 작성한 과학자와 회사원의 하루일과표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영재학생들의 직업인으로서 그리고 가족 구성원으로서의 과학자의 생활모습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인 시사점을 얻는 것이다. 이를 위해 5~6학년 영재학생 30명과 비교집단으로 일반학생 57명이 이 연구에 참가하였다. 이 연구 결과로부터 얻은 결론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영재학생들은 과학자를 회사원보다 항상 바쁘고 연구를 위해서 잠을 덜 자야 하는 고된 직업인으로서 심지어 일부 학생들의 경우 경제적으로 어려워 생계유지를 위해 부업을 가져야 하는 직업인으로서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었다. 둘째, 일반학생들에 비해 영재학생들은 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해 보다 다양하고 상세하게 표현하고, 발명가로서의 과학자의 이미지가 덜한 것으로 보아, 과학자가 하는 일에 대해 보다 정교화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다만 일반학생과 마찬가지로 영재학생의 약 17%가 과학자의 작업 공간을 집이라고 표현하였고 그 외 나머지 영재학생들도 과학자의 작업 공간을 실내로 표현한 점을 고려할 때, 과학자의 작업 공간의 다양성에 대한 인식은 제한적임을 보였다. 셋째, 일반학생들과 마찬가지로 영재학생들은 과학자가 가족과 함께 하는 여가 활동에 대한 응답 비율이 회사원이 가족과 함께 하는 여가활동에 대한 응답자의 비율이 낮았을 뿐 아니라 기혼 남성 과학자의 집안일 참여 비율이 기혼 남성 회사원의 집안일 참여 비율보다 낮았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과학자는 회사원보다 가 족 구성원으로서 덜 가정적일 것이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론은 영재학생들과 일반학생들을 위한 직업인으로서,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서, 여가 생활을 즐기는 평범한 생활인으로서의 과학자의 진솔한 생활 모습을 소개하는 교육 자료나 과학자 체험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compare science gifted children's conceptions and ordinary children's conceptions on a scientist's time use. To do those, 30 science gifted children and 57 ordinary childr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required to draw about a scientist's daily schedule and a company employee's daily schedule in a weekday and on Sunday. The children's drawings in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in conjunction with individual interviews. Several significant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like the ordinary children, the gifted children have a scientist's image as a hard and economically disadvantaged worker who is always busy and has a by-work. Second, the gifted children have more specific and elaborated conceptions on a scientist's work than ordinary children. however, like the ordinary children, the gifted children show the lack of awareness on the variety of a scientist's work place. Third, like the ordinary children, the gifted children have the conception that a scientist is less domesticated than a company employee. This study suggests that it is needed to develop and apply educational materials or scientist experience programs about scientists' lifestyles as common workers, members of family, and individuals who enjoy leisure activities, for science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