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好’의 문법화 및 용법 간의 상관성 연구 - 조동사, 접속사, 관련부사 용법을 중심으로
임소정 중국학연구회 2018 중국학연구 Vol.- No.85
Modern Chinese ‘Hao’ is a commonly used vocabulary in various types of parts such as adjectives, degree adverbs, relative adverbs, and subordinates.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Hao’ in terms of grammaticalization and analyzes its correlation with other usages in order to clarify the origin of ‘Hao’. In additi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se is explained in light of the principle of grammaticalization which is a universal phenomenon.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when we look at the path of grammaticalization developed by ‘Hao’, ‘Hao’ was used as an idiom, a verb, and a predicate. In Six Dynasties, ‘好+V+O’ appeared in many forms, and the use of auxiliary verbs came into being. In the same way, there was a way to use conjunctive expressions that appeared during the Song Dynasty, and the relative adverb expressions appeared in the Ming Dynasty. Conjunctions and relative adverbs ‘Hao’ indicate such objective relations that the contents follows afterwards act as the purpose of the ones that precedes. Second, i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which is the immediate stage of the conjunction ‘Hao’, is a result of reanalysis of the fact that ‘Hao’ was used as a predicate in the subject-predicate constructions. The auxiliary verb ‘Hao’ came about as a restructuring in the same way as [X好]Y → X [好Y]. Third, ‘Hao’ auxiliary verbs, conjunctions, and relative adverbs are closely related to resultative complement usage. They are quite similar in terms of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All the result states of the predecessor continue to influence and work until the next action occurs. 현대중국어 ‘好’는 형용사, 정도부사, 관련부사, 조동사 등 다양한 품사 유형으로 사용되는 상용 어휘로서 여러 가지 용법을 지니고 있다. 이 논문은 그 가운데 동사 앞에 사용되는 ‘好’의 조동사, 접속사, 관련부사 용법의 유래를 규명하기 위하여 문법화 관점에서 ‘好’가 발전해온 과정을 고찰하고 또 다른 용법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好’가 발전해온 문법화 경로를 살펴보면, 한대 이전에 ‘好’는 형용사로서 주로 관형어, 빈어, 술어로 사용되었다. 육조시기에 ‘好+V+O’ 형식이 소수 발견되기 시작하였고, 당대에는 ‘好+V+O’ 형식이 다수 사용되었다. 또한 당대에는 ‘O+好+V’ 구조가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조동사 용법이 생겨나게 되었다. 당말과 송대에 이르러 복문에 출현하는 접속사 용법이 생겼으며, 명대에 가서는 ‘好’가 후속절 중간에 출현하는 관련부사 용법이 탄생한다. 접속사, 관련부사 ‘好’는 후행절의 내용이 선행절 내용의 목적이 되는 그런 목적 관계를 나타내게 된다. 둘째, 문법화 과정 속에서 접속사 ‘好’의 직전 단계인 조동사 용법은 ‘好’가 주술구에서 술어로 사용되던 것이 재분석되면서 생겨난 용법이다. ‘好+V’ 형식 앞에 주어가 출현하여 ‘好’와 함께 주술구조를 이루면 ‘재분석’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조동사 ‘好’는 [X好술어]Y → X[好조동사Y]와 같은 방식으로 재구조화되면서 생겨났다. 셋째, ‘好’의 조동사, 접속사, 관련부사 용법은 ‘好’의 보어 용법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이들은 선행절과 후행절이 맺고 있는 논리적 관계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하다. 모두 선행절의 결과상태가 후속동작이 발생할 때까지 지속되어 영향을 미치고 유리하게 작용한다.
중국어 응답표현의 응답 기제 - 응답표현 ‘(호(好)(파(?), 적(的), 아(?)))’를 중심으로 -
진준화 한국중국언어학회 2018 중국언어연구 Vol.0 No.75
本文討論了現代漢語作爲應答語‘好,好?,好的,好?’的情態語義功能。本文的主要討論內容如下。 第一,引發語和應答語的互動聯系就是對話。 第二,應答語‘好’用于表示引發者和應答者的相互中性的情態功能。 第三,應答語‘好?’用于表示引發者中心的情態功能。 第四,應答語‘好的’用于表示引發者和應答者相互中心的情態功能。 第五,應答語‘好?’用于表示應答者相互中心的情態功能。 This paper discusses the ‘hao, haoba, haode, haoa’ which is used as a response expression in Modern Chinese. In order to discuss what ‘response’ is, we first grasped the pragmatic relationship of ‘utterance - response’, and based on this. A series of discussions of this artic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whole conversation ‘C’ creates each conversation set (CS) through a sequence shift (T) called ‘Suggest(S)’, ‘Acceptance(A)- (SA)’, and a series of these organic interactions is their conversation. Second, ‘hao’ in the positive type unmarked responds to the ‘pre-utterance context’ and ‘antecedent speaker’ and ‘utterance·respondent inter-neutrality’ to the utterance proposition. In order to express the ‘speaker-oriented’ modality in which the respondent’s psychological state weighted the respondent’s own feelings and attitudes rather than the weight of the respondents’ courtesy to the utterance proposition, And ‘favorable’ is to express the respondent’s response psychology as ‘spoken / respondent-oriented’ in terms of the antecedent context and antecedent speaker and expressions related to the positive and positive favor of the respondent to the utterance proposition, And that the respondent’s strong positive emotions or attitudes toward the proactive utterance context and proactive utterance proposition It expressed as can be understood to have been used to indicate the ‘respondent-oriented’ aspect Province.
김창회(Kim Chang Hoi)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3
조선의 戶等制는 태조 대 처음 제정되었으나 그것이 본격적으로 공물 분정에 적용된 것은 태종 6년의 4등호제였다. 4등호제는 태종 말년에서 세종 초년에 田結을 기준으로 하는 5등호제로 발전하였고 이를 통하여 세종 17년의 5등호제가 제정되었다. 호등은 호의 경제력에 따라 다양하게 분등되었지만 그것이 실제로 운영될 때는 3등호의 외양을 취하였다. 당시의 호는 국역을 담당하는 동시에 부세를 부담하였다. 국가는 大戶․中戶․小戶까지는 국역과 부세를 부담하여도 자립할 수 있다고 보았지만 그 이하는 자립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여러 호를 하나로 묶어 소호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호등제를 운영하였다. 소호는 국역과 부세를 부담하면서도 유지될 수 있는 자립적인 호의 계선으로 상정되었는데, 태종대에는 그 기준이 전결 5결이었고 세종 대에는 10결이었다. 군현에 분정되는 공액은 군현의 殘盛에 의하여 부과되었는데, 잔성은 土地의 넓이와 호구수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잔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지표는 군현 명호가 있었는데, 태종대 활발하게 이루어진 군현 명호의 개정은 군현의 大小와 군현의 잔성을 일치시켰다. 그 결과 16세기에는 관호의 고하에 따라 공물을 거둔다고 인식할 정도로 성공적이었다. 이러한 군현 명호의 개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戶數였다. 토지의 넓이는 호의 거주지를 통하여 인식하였고 군현의 경제력은 분등된 호등 내의 호수를 통하여 세밀하게 판단하였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고정된 수치인 호수는 고정된 공액을 분정하는 기준이 되었다. 이러한 공액 분정 방식은 호등제의 제정과 함께 태종 대에 이루어진 것이었다. 당시 각 호에 공물을 부과하는 방식은 같은 호등이라면 같은 부담 능력을 가졌다고 전제한 가운데 공평한 분정을 위하여 1호에 다양한 本色을 조합하여 분정하는 것이었다. 대납이 이루어지더라도 각 호에는 본색으로 분정되었기 때문에 양보다 분정되는 본색의 가치가 중요했다. 이러한 이유로 공물 분정은 호등이 높을수록 가치가 높은 물종을, 호등이 낮을수록 가치가 낮은 물종을 분배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분정 방식을 포함하여 물가 상승, 불안정한 농업 생산, 높은 세율은 공물을 부담하는 호에 부세 압력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한 부세 압력을 상쇄시키는 것이 분등 기준의 지속적인 상향 조정이었다. 즉, 부담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호를 세밀하게 분류하여 공물을 분정함으로써 낮은 호등의 부세 부담을 좀 더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전국에 동일한 호등제를 적용시키는 데 장애가 되는 지역 간격차를 해소함과 동시에 공액이 고정되어 1호라도 면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호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분등 기준의 격차를 점차 크게 설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성인근(Sung, In-geun)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7 No.-
호(號)는 두 개 이상의 이름을 가지는 풍속과,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일을 피하는 인식에 근원을 두고 있다. 중국의 경우 호의 사용은 전국시대로부터 시작하여 당대(唐代)에 보편화되었고, 한국에서는 문헌기록을 통해 주로 삼국시대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근대기만 하더라도 호는 학자는 물론 시인, 문필가, 서예가, 화가 등 인문·예술 분야의 다양한 사람들이 짓고 불렀지만, 현재는 주로 서예가들의 전유물이 된 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몇 가지로 추론해 볼 수 있는데, 우선 호라는 호칭이 전근대의 유산으로 현대인의 인식과 거리감이 있는 경향이 있을 테고, 설령 짓고자 해도 한문에 익숙하지 않은 시대에 작호의 유형이나 방식을 알지 못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 논문은 한국인이 써온 여러 호칭 가운데 호(號)에 집중하여 작호의 연원과 유형을 주로 문헌기록을 통해 정리하고, 그 의미를 재고(再考)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전근대 개인에게는 생애주기마다 여러 호칭을 바꾸어 주는 관례가 있었고, 대부분 타인에 의해 지어졌다. 그러나 아호나 당호만큼은 자기 자신이 자신의 명칭을 지을 수 있는 유일한 호칭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호는 한 개인의 인생관이나 지향점이 더욱 적극적으로 드러나는 호칭이라 할 수 있다. 호는 사람의 인격을 대신하는 호칭으로, 직접적이기보다는 간접적이고, 노골적이기보다는 암시적이며, 과시보다는 소박함과 은유의 정신이 녹아있다. 호는 시적 메타포를 함유한 동아시아의 아름다운 호칭문화라 하겠다. “号” 具有两个以上名字的风俗和避免随便叫名字的认识. 在中国, 号的使用始于战国时代, 在唐代得到普及, 在韩国文献记录可以从三国时代得到确认. 在近代时期,雅号是由学者、诗人、文笔家、书法家、画家等人文、艺术领域的各种人士领有,但在现代,号似乎成为书法家的专有物. 这种现象可以推论出几种. 首先,号是前近代的遗产, 与现代人的认识有距离感,即使想作,由于是汉文不熟的时代,所以不了解作号类型和方式. 这篇论文的目的是集中于韩国人用过的各种称呼中号,翻翻文献记录整理渊源和源型,并重新思考其意义。 近代以前, 每个生命周期都有不同的称呼, 大部分由他人所作. 但是雅号或堂号是自己能作自己名字的唯一方法. 从这一点看,号可以说是更加积极体现个人人生观和志向的称呼. 号是代替人格的称呼, 不是直接的而是间接的,不是露骨的而是暗示的,不是炫耀而是朴素和隐喻的精神. “号” 是含有诗意的‘metaphor’的东亚美丽的称呼文化.
호태후(胡太后)의 임조칭제(臨朝稱制)와 권력기반 ― 문(文)·무(武) 관료집단(官僚集團)과 측근집단의 분석을 중심으로
최진열 ( Choi Jin-yeoul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9 No.-
北魏 皇室의 `子貴母死` 전통에 따라 죽을 뻔했던 胡充華는 于忠·崔光 등의 도움으로 살아서 北魏 역사상 최초로 皇帝의 生母로서 皇太后가 되어 臨朝稱制를 시작하였다. 胡太后의 권력기반은 宗室諸王과 胡·漢 관료집단, 領軍府 將領, 情人(섹스파트너), 宦官과 女官이었다. 胡太后는 신임하는 소수의 관료들에게 권력을 나누어 주었고 정사에 관심 없는 宗室 일족과 漢人官僚를 高官으로 임명하고 그들을 정점으로 한 관료체제를 유지하였다. 胡太后의 또 다른 권력 기반은 宦官과 女官이었다. 胡太后는 각종 將軍, 九寺, 領軍府, 지방관(刺史와 太守)처럼 다른 왕조에서 宦官들이 임명되지 않았던 관직을 제수하였다. 이를 통해 관료기구를 감시하였고, 특히 領軍府의 將領에 寵臣과 宦官들을 임명하여 친위부대를 지휘하는 권력의 중추인 領軍府를 통제·감시하였다. 北魏後期 女官은 宮女와 婦女들이 임명된 女侍中으로 나눌 수 있다. 史書에서는 胡太后의 臨朝稱制 시기 胡太后의 여동생 胡氏를 비롯하여 지배층의 여성들이 女侍中에 임명되어 胡太后의 수족으로 활동하며 자신의 이해관계를 관철시켰다. 墓誌銘에서는 內司·作司·大監(太監)·女尙書 등에 임명된 여성들의 사례가 빈출하였고, 일부는 국정에 참여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女官이 胡太后의 臨朝稱制 시기에 많이 보이는 것은 이들이 胡太后의 권력 유지에 이바지한 조연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The Empress Dowager Hu, survived from the death after the birth of son, became the Empress Dowager, governed as regency and maintained her regency for ten years or so. Her ten-year-old regency was due to her political basis of the support of the ruling class and nomad or pastoral customs of a female-dominated society. She ruled the government of BeiWei dynasty on the political basis of the the Imperial Princes, the barbarian and Chinese officials, the officers of Imperial Garrison Command, her lover or sexpartner, the eunuchs, the Wemen officials, etc. She shared her power with her favorite retainers and maintained the power with the support of powerless high-level officials such as imperial princes and Chinese officials. Espeically, the eunuchs and the Wemen officials gave their helping hands to Hu, Empress Dowager Hu`s regency. Empress Dowager Hu used the eunuchs as the inspectors of government and military, specially he Imperial Garrison Command. Wemen Palace Attendants, from the ruling class were served as the attendents of Empress Dowager Hu, and took the adventage of her power. The court lady officials helped Empress Dowager Hu`s regency and participated in politics and policy-makings.
백영미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0 동국사학 Vol.49 No.-
통일신라 호등제 연구에 있어서 신라촌락문서뿐 아니라 唐, 日本 장적문서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일본의 경우 史書에 기록된 호등제 관련 법령을 살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법령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검토할 수 있는 장적문서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먼저 일본 사서에 나타난 호등 산정 기준을 살피고, 이러한 기준이 실제 장적문서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통일신라의 호등이 어떠한 기준과 방법으로 산정되었는지 비교 유추하였다. 일본의 호등제 기사는 『日本書紀』, 『續日本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養老令의 주석서인 『令義解』, 『令集解』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호등은 貸稅, 택지 사여, 桑漆의 부과, 의창곡 징수를 위해 구분되었고, 그 때의 기준은 貧富强弱, 資産이었다. 그렇지만 計口多少, 臨時量定, 或稱丁多少, 或以人富貧, 富賤爲品, 定上中下戶在別式 내용으로 보아 호등에 대한 항식이 존재하지 않았음을 검토할 수 있었다. 사서에서 본 호등 산정 기준이 실제 일본 7, 8세기 장적문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검토해 보았다. 大寶, 養老, 神龍 연간의 장적문서 중에서 大寶 2년 御野國의 味蜂間郡春部里戶籍, 本?郡栗栖太里戶籍, 肩縣郡肩肩里戶籍, 各牟郡中里戶籍, 山方郡三田里戶籍, 加毛郡半布里戶籍에 호등이 기재되어 있다. 上中下로 구분한 3등호제와 上上에서 下下까지의 9등호제가 함께 나타나는데 호등 산정 기준을 살펴보면 호구수, 정수, 노비가 호등과 상관이 있지만 모든 호적에서 동일한 기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호구수, 병사가 많아 호등이 높게 나타나기도 하고, 호구수, 男幷, 노비가 많아 호등이 높게 나타나기도 하여 일률적 기준으로 파악되지 않았다. 법령에서 확인한 호등 기준은 빈부강약, 재산으로 정해져 있지만 세부적인 호등 산정은 격, 별식, 조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통일신라의 호등 산정을 비교 유추하였다. 먼저 사서 기록을 통해 호등제는 과세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租, 賦稅의 차등 부과를 위한 것으로, 고구려, 백제에서 貧富, 豊儉을 헤아린 호등이 있었고, 나말여초에는 人丁에 따른 호등이 있었음을 검토하였다. 고려후기 호등제 기록은 단발적, 임시적으로 보이지만 호등 산정 기준으로 언급될 수 있는 것이 빈부, 지역, 가옥의 칸수 등이었
장경준(Jang, Kyung-J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8
호적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는지 파악해 보면 호적의 성격뿐만 아니라 호구조사의 과정과 성격까지 동시에 이해할 수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동래부를 사례로 호적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작성되고 보관 · 활용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호적상의 호가 자연호인지, 편제호인지, 그리고 호적의 자료적 성격이 어떠한지 검토해 보았다. 동래부 호적자료를 중심으로 호적의 작성 과정과 이후의 활용 모습을 살펴본 결과 동래부의 경우 호적작성 과정에서 호구총을 맞추기 위한 편제의 움직임은 전혀 감지되지 않았다. 또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대로 호구문서 작성의 간소화는 동래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지만 이는 호적의 자료적 성격이 변화했기 때문이 아닌 호구문서 작성 과정에서 다대하게 빚어졌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측면이 더 컸다. 더구나 동래부의 경우 여느 군현에 비해 호적을 철저하게 보관 ·관리해 나갔는데, 이 또한 호적이 인위적 호구수 조정을 거친 결과물이 아니라는 것을 방증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단성현 신등리, 남원 둔덕방, 거제 항리 등을 제외한 일부 지역의 호적중초, 예컨대 제주 사계리 ·하원리, 경주 양좌동의 자료를 근거로 호적이 중초 작성 단계에서 인위적 호구수 조정을 겪는 것으로 주장했다. 하지만 편제의 근거로 내세운 이 자료들에서의 수정 흔적도 주장처럼 호구총에 맞추기 위한 조정이라 단정할만한 근거는 희박하다. 또 호적을 굳이 호구총에 맞도록 작성해야만 할 이유가 있었는지, 그리고 이미 책정된 호구총은 어디에 근거하고 있는지도 의문이다. 호구총 책정에 긴요한 자료는 호적이 아닌 호적을 근거로 작성하는 여러 성책, 특히 남정성책, 이거성책, 이래성책, 물고성책, 별호성책, 신호성책, 협호성책 등이었다. 호구총은 이러한 성책들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와 현재의 호구총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상태에서 책정된다. 따라서 호적을 호구총에 맞춰야만 하는 이유도 없을뿐더러 맞추기도 어렵다. 이러한 점들에서 기존 연구의 결과는 호적상 호가 때론 부자연스럽게 보이는 이유가 호구총에 맞추기 위한 편제의 결과라는 전제 아래 자료를 바라본 결과 빚어진 오류일 가능성이 크다. 물론 이 글에서 살펴본 동래부의 사례도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호구문서 작성 방식에 지역적 차이가 있었던 것처럼 조선후기 호적 작성 과정은 지역마다 약간씩의 차이를 띠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차이는 방법론적인 차이, 즉 호적 작성 방식의 차이에 불과할 뿐 호적의 자료적 성격을 변화시킬 만큼의 차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따라서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동래부 호적상의 호는 편제호라고 보기 어려우며, 호적이 부세장부만의 성격을 갖는다던지 19세기 들어 虛籍化된다는 등의 주장도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이는 호적상의 호가 가주 가옥내의 호구를 그 범위로 하고 있으므로 나타날 수 있는 부자연스러움을 간과한 결과일 뿐이다. A review on how a family register has been created allows you to understand the nature of a family register and the process and nature of a census at that time. Therefore, this article tried to look at whether ‘ho’(戶) in the family register is natural ‘ho’ or established ‘ho’ and to review how the nature as a material of the family register is by giving a dongraebu case as an example. An examination was made on the creation process and use of the family register centered around the family register material of the dongraebu. The results showed that for the dongraebu, there was no sign of the establishment to meet the conditions for the list of family registers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family register. In addition, the simplification of the family register documentation as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was found the same as in the dongraebu; however. it was not because the nature as a material of the family register did not change but it was aimed to correct the evils that had occurred variously in the documentation process. Moreover, for the dongraebu, the family register was managed throughly, compared to other counties. This also supports the evidence that the family register is not the result after the artificial adjustment of the number of houses and inhabitants. The critical data to create the list of family registers included several wooden fences around the castle. The list of family registers is finally decided in consideration of the data obtained by these wooden fences around the castle and the contemporary list of family registers. Therefore, there was no need for the list of family registers to meet the wooden fences around the castle and it was difficult to match the data between them. In this regard, the results of the existing studies might be the ones obtained through the establishment to meet the list of family registers and thus the ‘ho’ (戶) in the family register seems to be unnatural. Of course, it may be hard to generalize the case of the dongraebu discussed in this article. As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way of creating population documents, the process of creating the family regist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also made a sligh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gion. Therefore, although limited, the ‘ho’(戶) in the family register of at least the dongraebu was difficult to regard as an established one. In addition, it is hard to consider the family register as a taxation book or it is not persuasive to see that the family register became invalid in the 19th century. This suggests the results that ignored the unnaturalness accordingly since the ‘ho’(戶) in the family register covers the inhabitants in the house.
강여울(Kang, Yoe-wool) 대한철학회 2016 哲學硏究 Vol.140 No.-
우리의 도덕성 형성과 도덕적 실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 중 하나는 정서적, 인지적 작용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감정적 기제이다. 인간의 감정이란 어떠한 대상에 대한 좋아함과 싫어함, 즉 ‘호오(好惡)’의 반응을 기본으로 전개된다. 따라서 ‘호오(好惡)’에 대한 바른 이해는 도덕적 형성을 위해 어떠한 감정적, 인지적 요소에 주목해야 하는가를 제시할 수 있다. 유가와 불교는 모두 인간의 도덕성과 관련하여 ‘호오(好惡)’의 감정기제를 중요한 요소로 여긴다. 이 글에서는 ‘호오(好惡)’의 감정이 우리의 정서와 심리 작용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살펴 본 후, ‘호오(好惡)’에 대한 유가와 초기불교의 관점을 ‘앎’의 문제와 연결시켜 설명하고, ‘호오(好惡)’와 ‘앎’이 도덕적 실천에서 갖는 중요성을 논의한다. 이 과정을 통해 덕윤리 실천의 방법론을 위해 유교와 불교로부터 얻을 수 있는 도덕적 가치들에 대해 고찰해 볼 수 있다. One of the most significant elements in the formation of morality and the practice of moral acts is the mechanism of emotion in which sentimental and cognitive processes take place simultaneously. Human emotions are fundamentally based on ‘desire-aversion,’ the feeling of liking or disliking something. Therefore, understanding the mechanism of ‘desire-aversion’ might suggest us which emotional and cognitive aspects are essential in the formation of morality. Confucianism and Buddhism both consider the emotional mechanism of ‘desire-aversion’ as critical to understanding human morality. This essay examines the role of ‘desire-aversion’ in our psychological processes, while it investigates the Confucian and Buddhist perspectives on ‘desire-aversion’ in relation to ‘knowledge’ and discusses the significance of the emotion of ‘desire-aversion’ and ‘knowledge’ in moral practice. Through these discussions, it suggests moral values that can be learned from both Confucianism and Buddhism for the practice of virtue ethics.
崔光範 한국한문교육학회 2002 한문교육논집 Vol.18 No.-
고려 중기 氣를 강조하는 문풍과 더불어 호방의 풍격이 중시되었으나, 성리학이 정착되면서 점차로 이러한 경향이 약화되었다. 이것을 전대엔 미미했다가 성리학 정착과 더불어 평담의 풍격이 강화되는 것과는 반대 현상이다. 고려중기에 비해 호방 풍격이 다소 약화되고 평담 풍격이 새롭게 부상한 고려말기에 李穡·鄭道傳과 더불어 雄·豪의 풍격을 대표하는 圃隱 鄭夢周는 여타 시인과 달리 시종 豪放의 풍격으로 일관하고 있다 해도 과언은 아니다. 이 점은 李穡이 다양한 풍격을 두루 갖춘 것이나 鄭道傳이 "豪"는 있으나 "放"은 거의 보이지 않는 것과는 매우 다른 점이다. 포은 시의 豪放 풍격은 내적으로 충일한 자신감과 얽매임 없는 호탕한 선천적 기질에서 연유한 것인데, 그것은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해 볼 수 있다. 가장 핵심적이며 근간이 되는 것은 강한 經世意志가 담긴 豪邁峻壯한 시들이다. 본고에서는 이를 주로 사행시와 변새시를 통해 살펴보았다. 다른 하나는 이러한 憂國 愛君의 의지가 혼란한 시대적 환경으로 인해 굴절되면서 불의한 세력에 대한 대립 자세를 보인 것으로 節義精神의 悲憤慷慨가 담긴 시들이 그것이다. 자신의 座主 金得培의 억울한 죽음을 祭하는 시를 통해 젊어서부터 의리정신이 투철했음을 알 수 있었고, 國運과 道가 점점 쇠하여 가는 것을 한탄하며 靑蛇劍을 한번 휘둘러 세상을 평정하려는 壯士의 비장한 기개를 엿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不羈的 風流를 보여주는 豪宕 豪暢의 시들인데, 이것은 특히 포은과 더불어 동시대 豪·雄의 풍격을 대표하는 李穡이나 鄭道傳에게서도 찾기 어려운 포은의 특징적인 면이다. 험난한 사행 중 지은 시에서도 근심이나 조바심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유람하는 듯한 태도로 시와 술을 즐기고 심지어 女色에 깊은 관심과 애정을 보이는 것에서 不羈的 성품과 자신감을 바탕으로 한 낙천성과 풍류정신을 엿볼 수 있었다. 悲慨는 포은의 경세의지가 모순된 현실과 접하면서 굴절되어 나타난 豪放 풍격의 變奏이고, 風流는 豪放의 "放"의 특징 가운데 핵심적인 것으로 시로 표출될 때는 豪宕 豪暢의 풍격으로 나타난다. 표현상 특징으로는 우선 광활하고 웅장한 공간적 배경 묘사와 유구한 역사적 배경의 설정, 그리고 빠른 시공간적 추이를 들 수 있다. 스케일이 큰 이러한 시공간적 배경과 간극으로 인해 세세한 경로의 추보적 기술이나 정밀한 배경 묘사는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또한 시상이 머뭇거림이 없이 빠르게 전개되고, 과장법과 돈좌를 통해 기세와 감정의 기복을 느끼게 한다. 다음으로 산문적 문투나 시어의 반복도 불사하는 조탁없는 자연스러운 표현을 들 수 있는데, 애써 화려한 수식이나 미려한 표현을 구사하지 않았고 험벽한 전고도 거의 없는 자연스런 시어를 구사하면서도 결구나 시상전개가 절로 공교하고 치밀하다. 또한 심후한 홍취와 격렬한 감정, 다양한 정서를 진솔하게 표현하였다. 이러한 표현상 특징은 豪放 풍격의 일반적 특징을 두루 지니고 있는 것이다. 살펴본 바대로 포은의 시는 거의가 豪放 내지는 이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풍격으로 일관하고 있는데, 이것은 고려시대 豪·雄의 풍격을 대표하면서도 많은 작품을 통해 다양한 풍격을 보여준 李奎報나 李穡과도 다른 점이고, 호탕한 풍류가 돋보인다는 점에서 동시대 李穡이나 鄭道傳과도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In the middle period of the Koryo Empire the literary atmosphere emphasizing vigor was spotlighted together with broad gusto. But as Sung Confucianism began to take root, such trend was dwindled by degrees. On the other hand the gusto of ordinary and simple style which had been meager before was gaining ground according as Sung Confucianism started to take root. The last period of the Koyro Empire where the broad gusto waned and the ordinary and simple gusto waxed, compared with the middle period, while in the same period Poun Jung Mongju who represents the broad and majestic gusto together with Lee Saek can be safely said to have been holding on to the broad gusto differently from other poets. The broad and unrestrained gusto of Poun's poems resulted from his overflowing self-confidence and his unbridled large-minded nature. It can be roughly categorized into three kinds. His valiant and broad-minded poems soaked in his will to govern the world form the basis and the kernel of his entire poems. Another kind is his poems expressing his indignation erupted by his longing for righteousness. These poems show his attitude opposing the unrighteous power of those times. This attitude flows out of his will to care about his home country and love his king, which is refracted in the confusing environment of that times. The last kind is his unbridled and large-minded poems which show the taste of a unfettered soul. Such aspect is so unique that it cannot be easily traced out in the works of Lee Saek and Jung Dojun who represent the contemporary broad and majestic gusto along with Poun. One of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first of all, is the vast and grand description of spatial background, the establishment of an everlasting historical background, and rapid changes of time and space. Because of such large-scale backgrounds and gaps of time and space, descriptions concerning detailed passage in the order of time or precise descriptions of backgrounds are hardly seen. In addition poetic images are rapidly spread out without hesitation, while hyperboles and refractions reveal to us the fluctuations of flows of vigor and emotion. The second stylistic characteristic of his poems is that his poems have artless and natural expressions not caring about prose style and repetition of poetic diction. He didn't squeeze flamboyant or elegant expressions out of his mind. On the contrary he adopted natural dictions bearing no relation to ancient episodes while using really elaborate and accurate constructions and development of poetic sentiments. Besides profound gusto, tumultuous passions and various sentiments are revealed as they are. As illuminated above, most of Poun's poems steadily stick to the broad gusto or other gusto closely related with it. In this respect his poem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Lee Gyubo or Lee Saek, which had showed various tastes in lots of works standing for the broad and majestic gusto in the Koyro Empire era, and they are different from the contemporary works of Lee Saek or Jung Dojun in that magnanimous tastes are prominent in his poems.
김상영 동국대학교 역사교과서연구소 2017 역사와 교육 Vol.25 No.-
이 논문은 서울시 금천구 호암산에 자리하고 있는 호압사의 역사와 사격을 정리하기 위한 목적을 지니고 작성되었으며, 본문에서는 먼저 호압사의 창건과 관계된 내용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호압사는 호암이라고 하는 특정 바위(산)와 직결된 창건연기를 지니고 있다는 점, 호압사는 조선건국 초기 한양 궁궐을 수호하는 裨補道場의 하나로 창건되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 그리고 비교적 이른 시기부터 무학대사는 호압사의 창건주로 인식되고 있었을 것이라는 점 등을 확인하게 되었다. 계속해서 호압사의 다양한 寺名과 관계된 내용을 검토하였는데, 여러 가지 정황상 18세기 이후부터 호압사는 현행 ‘虎壓寺’로 통칭되었을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창건 이후 조선시대 호압사 역사와 관계된 자료로 각종 지리지와 사찰지, 그리고 조선시대 문인들이 남긴 일부 시문들을 살펴보았는데,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16-18세기의 호압사는 꾸준하게 寺勢를 유지하고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본문에서는 1841년 작성된 것으로 보이는 義敏의 「三聖山 虎壓寺 法堂新造 懸板文」이라는 자료의 전문을 소개하면서 이 시기 호압사의 실상과 중창불사의 구체적 내용도 검토해 보았다. 한편, 일제강점기 관보 자료를 통해 이 시기 호압사는 모두 네 명의 승려가 주지직을 역임한 것으로 파악하였으며, 1941년 법당 단청불사도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찰의 사격은 과거-현재-미래의 모습을 함께 아우르는 방향에서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 따라 이 논문의 맺음말에서는 호압사의 ‘현재’와 관련한 부분을 포함시키면서 호압사의 사격을 크게 네 가지의 측면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이 글이 향후 사찰사 연구 분야의 발전에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urvey Hoapsa Temple, which is located in Hoamsan in Geumcheon-gu, Seoul. This study focuses on its history and value as a temple. The contents related to its establishment were considered with special concern. From the result, we confirm that Hoapsa has an establishment story related directly to a specific rock (mountain) named Hoam, that it was possibly established as one of the complementary temples (裨補道場) that protect the palace in Hanyang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at Muhak had been considered as the founder of the temple from the early period. Also considered in this study is the different titles that this temple held. Under the circumstantial evidence, we suggest that this temple has been called Hoapsa (虎壓寺) as currently since the 18th century. We considered different data related to the history of Hoapsa such as various geographic and temple-related documents and some poems written by scholars during Joseon dynasty since its establishment. Based on the survey, we confirmed that this temple had powerful influence between the 16 to 18 centuries. Besides, we present the situation of the temple and the substantial contents of the Buddhist Renovation in the 19th century, by introducing the whole sentences of ‘Newly-written Signboard for Hoapsa at Samseongsan Mountain’ (三聖山 虎壓寺 法堂新造 懸板文) in which sentences were possibly written by Uimin (義敏) in 1841. Moreover, through the Official Gazette publish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we fathomed that four monks in total had served as the head of the temple and that a project of paintwork on the sanctuary was conducted in 1941. A temple’s value should be understood in the direction of considering all of its historical facts together with a future expectation.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concludes as presenting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temple and providing four aspects of values that Hoamsa shows as a templ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literature in the study of the temple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