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好’의 문법화 및 용법 간의 상관성 연구 - 조동사, 접속사, 관련부사 용법을 중심으로

        임소정 중국학연구회 2018 중국학연구 Vol.- No.85

        Modern Chinese ‘Hao’ is a commonly used vocabulary in various types of parts such as adjectives, degree adverbs, relative adverbs, and subordinates.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of ‘Hao’ in terms of grammaticalization and analyzes its correlation with other usages in order to clarify the origin of ‘Hao’. In additi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se is explained in light of the principle of grammaticalization which is a universal phenomenon. The main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when we look at the path of grammaticalization developed by ‘Hao’, ‘Hao’ was used as an idiom, a verb, and a predicate. In Six Dynasties, ‘好+V+O’ appeared in many forms, and the use of auxiliary verbs came into being. In the same way, there was a way to use conjunctive expressions that appeared during the Song Dynasty, and the relative adverb expressions appeared in the Ming Dynasty. Conjunctions and relative adverbs ‘Hao’ indicate such objective relations that the contents follows afterwards act as the purpose of the ones that precedes. Second, in the process of grammaticalization, the use of auxiliary verbs, which is the immediate stage of the conjunction ‘Hao’, is a result of reanalysis of the fact that ‘Hao’ was used as a predicate in the subject-predicate constructions. The auxiliary verb ‘Hao’ came about as a restructuring in the same way as [X好]Y → X [好Y]. Third, ‘Hao’ auxiliary verbs, conjunctions, and relative adverbs are closely related to resultative complement usage. They are quite similar in terms of the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eceding and the following. All the result states of the predecessor continue to influence and work until the next action occurs. 현대중국어 ‘好’는 형용사, 정도부사, 관련부사, 조동사 등 다양한 품사 유형으로 사용되는 상용 어휘로서 여러 가지 용법을 지니고 있다. 이 논문은 그 가운데 동사 앞에 사용되는 ‘好’의 조동사, 접속사, 관련부사 용법의 유래를 규명하기 위하여 문법화 관점에서 ‘好’가 발전해온 과정을 고찰하고 또 다른 용법들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好’가 발전해온 문법화 경로를 살펴보면, 한대 이전에 ‘好’는 형용사로서 주로 관형어, 빈어, 술어로 사용되었다. 육조시기에 ‘好+V+O’ 형식이 소수 발견되기 시작하였고, 당대에는 ‘好+V+O’ 형식이 다수 사용되었다. 또한 당대에는 ‘O+好+V’ 구조가 출현하기 시작하였으며, 조동사 용법이 생겨나게 되었다. 당말과 송대에 이르러 복문에 출현하는 접속사 용법이 생겼으며, 명대에 가서는 ‘好’가 후속절 중간에 출현하는 관련부사 용법이 탄생한다. 접속사, 관련부사 ‘好’는 후행절의 내용이 선행절 내용의 목적이 되는 그런 목적 관계를 나타내게 된다. 둘째, 문법화 과정 속에서 접속사 ‘好’의 직전 단계인 조동사 용법은 ‘好’가 주술구에서 술어로 사용되던 것이 재분석되면서 생겨난 용법이다. ‘好+V’ 형식 앞에 주어가 출현하여 ‘好’와 함께 주술구조를 이루면 ‘재분석’이 일어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조동사 ‘好’는 [X好술어]Y → X[好조동사Y]와 같은 방식으로 재구조화되면서 생겨났다. 셋째, ‘好’의 조동사, 접속사, 관련부사 용법은 ‘好’의 보어 용법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이들은 선행절과 후행절이 맺고 있는 논리적 관계에 있어서 상당히 유사하다. 모두 선행절의 결과상태가 후속동작이 발생할 때까지 지속되어 영향을 미치고 유리하게 작용한다.

      • KCI등재후보

        統一新羅와 日本의 戶等 算定 비교 연구

        백영미 동국역사문화연구소 2010 동국사학 Vol.49 No.-

        통일신라 호등제 연구에 있어서 신라촌락문서뿐 아니라 唐, 日本 장적문서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일본의 경우 史書에 기록된 호등제 관련 법령을 살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법령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검토할 수 있는 장적문서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먼저 일본 사서에 나타난 호등 산정 기준을 살피고, 이러한 기준이 실제 장적문서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통일신라의 호등이 어떠한 기준과 방법으로 산정되었는지 비교 유추하였다. 일본의 호등제 기사는 『日本書紀』, 『續日本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養老令의 주석서인 『令義解』, 『令集解』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호등은 貸稅, 택지 사여, 桑漆의 부과, 의창곡 징수를 위해 구분되었고, 그 때의 기준은 貧富强弱, 資産이었다. 그렇지만 計口多少, 臨時量定, 或稱丁多少, 或以人富貧, 富賤爲品, 定上中下戶在別式 내용으로 보아 호등에 대한 항식이 존재하지 않았음을 검토할 수 있었다. 사서에서 본 호등 산정 기준이 실제 일본 7, 8세기 장적문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검토해 보았다. 大寶, 養老, 神龍 연간의 장적문서 중에서 大寶 2년 御野國의 味蜂間郡春部里戶籍, 本?郡栗栖太里戶籍, 肩縣郡肩肩里戶籍, 各牟郡中里戶籍, 山方郡三田里戶籍, 加毛郡半布里戶籍에 호등이 기재되어 있다. 上中下로 구분한 3등호제와 上上에서 下下까지의 9등호제가 함께 나타나는데 호등 산정 기준을 살펴보면 호구수, 정수, 노비가 호등과 상관이 있지만 모든 호적에서 동일한 기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호구수, 병사가 많아 호등이 높게 나타나기도 하고, 호구수, 男幷, 노비가 많아 호등이 높게 나타나기도 하여 일률적 기준으로 파악되지 않았다. 법령에서 확인한 호등 기준은 빈부강약, 재산으로 정해져 있지만 세부적인 호등 산정은 격, 별식, 조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통일신라의 호등 산정을 비교 유추하였다. 먼저 사서 기록을 통해 호등제는 과세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租, 賦稅의 차등 부과를 위한 것으로, 고구려, 백제에서 貧富, 豊儉을 헤아린 호등이 있었고, 나말여초에는 人丁에 따른 호등이 있었음을 검토하였다. 고려후기 호등제 기록은 단발적, 임시적으로 보이지만 호등 산정 기준으로 언급될 수 있는 것이 빈부, 지역, 가옥의 칸수 등이었

      • KCI등재

        18~19세기 호적 호의 가입 원리와 이를 통해 본 호의 모습 : 가옥의 소유권 및 임차권과 관련하여

        장경준 ( Jang Kyung-ju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0 No.29

        본고는 호의 가입이 가옥의 소유권 내지 임차권 보유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는 전제를 설정하고 18, 19세기 『단성호적』을 사례로 이를 확인해 보고자 하였다. 호 가입의 한 사유가 되는 호 분리는 분가 시에 이루어졌으며, 이때 분가는 본가와 분리된 개별 가옥의 소유권 내지 임차권을 보유하는 것이었다. 이는 호 분리의 조건이 본가와 분리된 개별 가옥의 소유권 내지 임차권 보유 여부에 있으며, 호 가입이 가옥의 소유권 내지 임차권을 보유하는 경우에 가능했음을 보여준다. 이처럼 호 가입이 가옥의 소유권 내지 임차권 보유 여부에 의해 결정됨에 따라 토지거래 빈도가 잦아 가옥의 소유권 내지 임차권 변화가 자주 일어난 1735년에는 호 가입율이 상승하였다. 반대로 토지 거래 빈도가 뜸해 가옥의 소유권 내지 임차권 변화가 적게 일어난 19세기 중엽 이후에는 호 가입율이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또 거주이동이 적어 가옥의 소유권 내지 임차권 변화가 적은 농촌은 그렇지 않은 도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호 가입율을 보이고 있었다. 그런가 하면 18세기 중엽 이후 토지 소유가 양반층에 집중되면서 가옥의 소유권 내지 임차권을 보유한 양반층이 증가함에 따라 19세기 들어 양반호의 가입율도 상승하였다. 한편, 19세기의 가중된 경제적 불안정성 속에 가옥의 소유권 내지 임차권 분리를 기피하고 결합하고자 하는 경향이 짙어짐에 따라 결합가족 호의 가입이 증가했으며, 가옥 규모가 다양함에 따라 가입호의 경제력도 부실호에서 빈잔호까지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호 가입에서 보이는 몇 가지 특징적 현상들은 호 가입이 가옥의 소유권 내지 임차권 보유 여부에 있다는 결론을 통해 설명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결론은 호가 가옥의 소유권 내지 임차권 단위로 묶여져 있음을 의미하는데, 이는 호가 자연가와 일치하거나 편제된 결과물이 아닌 『경국대전』 호구식에서 규정한 그대로의 모습을 하고 있었기 때문에 생긴 결과였다. 이런 점에서 호는 자연호나 편제호가 아닌 『경국대전』 호구식에서 규정한 그대로의 호인 법제호라고 하겠다. This paper tried to establish the premise that membership of households is decided by possession of ownership or the rights to lease of houses and check it through the examples of 『Danseong Family Register』 in the 18th and 19th centuries. Separation of households which is a reason of membership of households was done when they are moved out. At this moment, moving out is to possess the ownership or the rights to lease of individual houses which are separated from head families. This demonstrates that conditions about separation of households are possession of the ownership or the rights to lease about individual houses which are separated from head families and membership of households was possible when people possessed them. Like this, as membership of households is decided by possession of the ownership and the rights to lease about houses, the membership rate that the ownership or the rights to lease about houses were frequently changed in 1735 increased because of great frequency of land transaction. On the contrary, the membership rate of households kept the low level after the mid-nineteenth century that there was few change of the ownership or the rights to lease about houses as the frequency of land transaction was poor. And the farm villages that there were few changes of the ownership or the rights to lease about houses because they did not move well showed the relatively lower membership rate of households than that of the other cities which did not do. As land ownership concentrated on the Yangban classes(of noble birth) since the mid-nineteenth century, the membership rate of their houses increased in the nineteenth century because the ones who possessed the ownership or the rights to lease about houses did. Meanwhile, as there was the increased tendency to avoid separation of the ownership or the rights to lease about houses and combine them with each other in the unstable economy increased in the nineteenth century, membership of households by combined families increased and their economic power showed the various features ranging from Busilho to Binjanho as the sizes of houses diversified. Like this, the several characteristic phenomena which are shown in membership of households can be naturally explained through the conclusion that it depends on possession of the ownership or the rights to lease about houses. And it means that households were classified by unit of the ownership or the rights to lease about houses because they were based on the census type that 『Gyeonggukdaejeon』 defined, not the results that they accorded with natural households or organized ones. In this respect, the households can be the legislated ones that the census type of 『Gyeonggukdaejeon』 defined, not the natural or organized ones.

      • KCI등재

        조선후기 호적작성과 활용을 통해 본 戶

        장경준(Jang, Kyung-Jun) 한국역사민속학회 2015 역사민속학 Vol.0 No.48

        호적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졌는지 파악해 보면 호적의 성격뿐만 아니라 호구조사의 과정과 성격까지 동시에 이해할 수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동래부를 사례로 호적이 어떤 과정을 거쳐 작성되고 보관 · 활용되었는지 살펴봄으로써 호적상의 호가 자연호인지, 편제호인지, 그리고 호적의 자료적 성격이 어떠한지 검토해 보았다. 동래부 호적자료를 중심으로 호적의 작성 과정과 이후의 활용 모습을 살펴본 결과 동래부의 경우 호적작성 과정에서 호구총을 맞추기 위한 편제의 움직임은 전혀 감지되지 않았다. 또 기존 연구에서 밝혀진 대로 호구문서 작성의 간소화는 동래부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지만 이는 호적의 자료적 성격이 변화했기 때문이 아닌 호구문서 작성 과정에서 다대하게 빚어졌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측면이 더 컸다. 더구나 동래부의 경우 여느 군현에 비해 호적을 철저하게 보관 ·관리해 나갔는데, 이 또한 호적이 인위적 호구수 조정을 거친 결과물이 아니라는 것을 방증한다. 기존 연구에서는 단성현 신등리, 남원 둔덕방, 거제 항리 등을 제외한 일부 지역의 호적중초, 예컨대 제주 사계리 ·하원리, 경주 양좌동의 자료를 근거로 호적이 중초 작성 단계에서 인위적 호구수 조정을 겪는 것으로 주장했다. 하지만 편제의 근거로 내세운 이 자료들에서의 수정 흔적도 주장처럼 호구총에 맞추기 위한 조정이라 단정할만한 근거는 희박하다. 또 호적을 굳이 호구총에 맞도록 작성해야만 할 이유가 있었는지, 그리고 이미 책정된 호구총은 어디에 근거하고 있는지도 의문이다. 호구총 책정에 긴요한 자료는 호적이 아닌 호적을 근거로 작성하는 여러 성책, 특히 남정성책, 이거성책, 이래성책, 물고성책, 별호성책, 신호성책, 협호성책 등이었다. 호구총은 이러한 성책들에 의해 얻어진 데이터와 현재의 호구총이 종합적으로 고려된 상태에서 책정된다. 따라서 호적을 호구총에 맞춰야만 하는 이유도 없을뿐더러 맞추기도 어렵다. 이러한 점들에서 기존 연구의 결과는 호적상 호가 때론 부자연스럽게 보이는 이유가 호구총에 맞추기 위한 편제의 결과라는 전제 아래 자료를 바라본 결과 빚어진 오류일 가능성이 크다. 물론 이 글에서 살펴본 동래부의 사례도 일반화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호구문서 작성 방식에 지역적 차이가 있었던 것처럼 조선후기 호적 작성 과정은 지역마다 약간씩의 차이를 띠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 차이는 방법론적인 차이, 즉 호적 작성 방식의 차이에 불과할 뿐 호적의 자료적 성격을 변화시킬 만큼의 차이라고는 보기 어렵다. 따라서 비록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적어도 동래부 호적상의 호는 편제호라고 보기 어려우며, 호적이 부세장부만의 성격을 갖는다던지 19세기 들어 虛籍化된다는 등의 주장도 설득력을 갖기 어렵다. 이는 호적상의 호가 가주 가옥내의 호구를 그 범위로 하고 있으므로 나타날 수 있는 부자연스러움을 간과한 결과일 뿐이다. A review on how a family register has been created allows you to understand the nature of a family register and the process and nature of a census at that time. Therefore, this article tried to look at whether ‘ho’(戶) in the family register is natural ‘ho’ or established ‘ho’ and to review how the nature as a material of the family register is by giving a dongraebu case as an example. An examination was made on the creation process and use of the family register centered around the family register material of the dongraebu. The results showed that for the dongraebu, there was no sign of the establishment to meet the conditions for the list of family registers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family register. In addition, the simplification of the family register documentation as identified in previous research was found the same as in the dongraebu; however. it was not because the nature as a material of the family register did not change but it was aimed to correct the evils that had occurred variously in the documentation process. Moreover, for the dongraebu, the family register was managed throughly, compared to other counties. This also supports the evidence that the family register is not the result after the artificial adjustment of the number of houses and inhabitants. The critical data to create the list of family registers included several wooden fences around the castle. The list of family registers is finally decided in consideration of the data obtained by these wooden fences around the castle and the contemporary list of family registers. Therefore, there was no need for the list of family registers to meet the wooden fences around the castle and it was difficult to match the data between them. In this regard, the results of the existing studies might be the ones obtained through the establishment to meet the list of family registers and thus the ‘ho’ (戶) in the family register seems to be unnatural. Of course, it may be hard to generalize the case of the dongraebu discussed in this article. As there were regional differences in the way of creating population documents, the process of creating the family register in the late Chosun dynasty also made a sligh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region. Therefore, although limited, the ‘ho’(戶) in the family register of at least the dongraebu was difficult to regard as an established one. In addition, it is hard to consider the family register as a taxation book or it is not persuasive to see that the family register became invalid in the 19th century. This suggests the results that ignored the unnaturalness accordingly since the ‘ho’(戶) in the family register covers the inhabitants in the house.

      • KCI등재

        호서 지명고(湖西 地名攷) - 상징 지명의 의미와 영역 정체성 -

        김 순 배(Sun-Bae Kim) 한국문화역사지리학회 2020 문화 역사 지리 Vol.3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충청도의 별칭으로 사용되고 있는 ‘호서(湖西)’라는 지명의 명명 및 의미 구성의 과정과 기능들을 분석하고, ‘호서’의 지명 영역과 변천, 그리고 그 이름에 담긴 영역 정체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첫째, ‘호 서 지명의 의미 구성’과 관련하여 자크 라캉의 상상계, 상징계, 실재계 개념을 확장시켜 ‘호서’라는 이름이 상상 지명에서 상징 지명으로 질적인 변화를 경험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둘째, ‘호서 지명의 영역 정체성’에서는 행정 지명 ‘호서’가 가리키는 구체적인 지명 영역과 그 변천 과정을 확인한 후, 상징 지명 ‘호서’가 함축하고 있는 영역 정체성을 문헌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결국 ‘호서’라는 이름은 16세기 전반 ‘호남(湖南)’을 모방하여 명명한 상상 지명에서 시작하여 17세기 이후 충청도를 대체하는 행정 지명으로 쓰이고, 18세기 이후부터는 영역 정체성을 재현하는 상징 지명으로 진화하였다. 그러나 1896년 지명 영역의 분할로 인하여 상징 지명으로서의 물질적 기초가 분열되면서 쇠퇴의 길을 걷게 되는데, 일제 강점기와 현대를 거치면서 ‘호서’라는 이름은 상징 지명으로서의 기능이 크게 위축되었고, 젊은 세대의 지명 인식과 기억으로부터 점차 멀어져 가고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cess of naming and constructing meaning on the symbolic toponym Hoseo(湖西) which is another name of Chungcheong-do Province (忠淸道), and its functions as well as the changes of toponymic territory and territorial identities on it. In the first chapter related to ‘the constructing meanings of Hoseo’, I explore the concrete process of the name Hoseowhich is to transform qualitatively the imaginary toponym into the symbolic one, extending the three Lacanian concepts, the Imaginary, the Symbolic, and the Real. In the second chapter based upon ‘the territorial identities of Hoseo’, focusing on the literature review, I examine not only the toponymic territory which the name Hoseo as an administrative toponym denoted, and its change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but also the territorial identities which the name Hoseo as a symbolic toponym connoted. In brief, the imaginary toponym Hoseo had started naming imitatively after the name Honam (湖南) in the early 16th century, and it has been used as an administrative toponym replacing the name Chungcheong-do ever since the late 17th century. Eventually it had been evolved as a symbolic toponym representing the territorial identity of the people of Chungcheong-do Province. Yet, soon after that the administrative district of Chungcheong-do has been officially divided into two parts, Chungcheongbuk-do and Chucheongnam-do in 1896, the physical basis of the symbolic name Hoseo was also split up as well as continued to decline. As a result, from the Japanese colonial era up to the present, the symbolic function of the name Hoseo has been noticeably weakened, while it has been gradually fading from their memory and awareness of the young generation.

      • KCI등재

        근대 이전 작호(作號) 방식과 의미 연구

        성인근(Sung, In-geun)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7 No.-

        호(號)는 두 개 이상의 이름을 가지는 풍속과, 이름을 함부로 부르는 일을 피하는 인식에 근원을 두고 있다. 중국의 경우 호의 사용은 전국시대로부터 시작하여 당대(唐代)에 보편화되었고, 한국에서는 문헌기록을 통해 주로 삼국시대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근대기만 하더라도 호는 학자는 물론 시인, 문필가, 서예가, 화가 등 인문·예술 분야의 다양한 사람들이 짓고 불렀지만, 현재는 주로 서예가들의 전유물이 된 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몇 가지로 추론해 볼 수 있는데, 우선 호라는 호칭이 전근대의 유산으로 현대인의 인식과 거리감이 있는 경향이 있을 테고, 설령 짓고자 해도 한문에 익숙하지 않은 시대에 작호의 유형이나 방식을 알지 못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이 논문은 한국인이 써온 여러 호칭 가운데 호(號)에 집중하여 작호의 연원과 유형을 주로 문헌기록을 통해 정리하고, 그 의미를 재고(再考)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전근대 개인에게는 생애주기마다 여러 호칭을 바꾸어 주는 관례가 있었고, 대부분 타인에 의해 지어졌다. 그러나 아호나 당호만큼은 자기 자신이 자신의 명칭을 지을 수 있는 유일한 호칭이었다. 이러한 점에서 호는 한 개인의 인생관이나 지향점이 더욱 적극적으로 드러나는 호칭이라 할 수 있다. 호는 사람의 인격을 대신하는 호칭으로, 직접적이기보다는 간접적이고, 노골적이기보다는 암시적이며, 과시보다는 소박함과 은유의 정신이 녹아있다. 호는 시적 메타포를 함유한 동아시아의 아름다운 호칭문화라 하겠다. “号” 具有两个以上名字的风俗和避免随便叫名字的认识. 在中国, 号的使用始于战国时代, 在唐代得到普及, 在韩国文献记录可以从三国时代得到确认. 在近代时期,雅号是由学者、诗人、文笔家、书法家、画家等人文、艺术领域的各种人士领有,但在现代,号似乎成为书法家的专有物. 这种现象可以推论出几种. 首先,号是前近代的遗产, 与现代人的认识有距离感,即使想作,由于是汉文不熟的时代,所以不了解作号类型和方式. 这篇论文的目的是集中于韩国人用过的各种称呼中号,翻翻文献记录整理渊源和源型,并重新思考其意义。 近代以前, 每个生命周期都有不同的称呼, 大部分由他人所作. 但是雅号或堂号是自己能作自己名字的唯一方法. 从这一点看,号可以说是更加积极体现个人人生观和志向的称呼. 号是代替人格的称呼, 不是直接的而是间接的,不是露骨的而是暗示的,不是炫耀而是朴素和隐喻的精神. “号” 是含有诗意的‘metaphor’的东亚美丽的称呼文化.

      • KCI등재

        호태후(胡太后)의 임조칭제(臨朝稱制)와 권력기반 ― 문(文)·무(武) 관료집단(官僚集團)과 측근집단의 분석을 중심으로

        최진열 ( Choi Jin-yeoul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7 大東文化硏究 Vol.99 No.-

        北魏 皇室의 `子貴母死` 전통에 따라 죽을 뻔했던 胡充華는 于忠·崔光 등의 도움으로 살아서 北魏 역사상 최초로 皇帝의 生母로서 皇太后가 되어 臨朝稱制를 시작하였다. 胡太后의 권력기반은 宗室諸王과 胡·漢 관료집단, 領軍府 將領, 情人(섹스파트너), 宦官과 女官이었다. 胡太后는 신임하는 소수의 관료들에게 권력을 나누어 주었고 정사에 관심 없는 宗室 일족과 漢人官僚를 高官으로 임명하고 그들을 정점으로 한 관료체제를 유지하였다. 胡太后의 또 다른 권력 기반은 宦官과 女官이었다. 胡太后는 각종 將軍, 九寺, 領軍府, 지방관(刺史와 太守)처럼 다른 왕조에서 宦官들이 임명되지 않았던 관직을 제수하였다. 이를 통해 관료기구를 감시하였고, 특히 領軍府의 將領에 寵臣과 宦官들을 임명하여 친위부대를 지휘하는 권력의 중추인 領軍府를 통제·감시하였다. 北魏後期 女官은 宮女와 婦女들이 임명된 女侍中으로 나눌 수 있다. 史書에서는 胡太后의 臨朝稱制 시기 胡太后의 여동생 胡氏를 비롯하여 지배층의 여성들이 女侍中에 임명되어 胡太后의 수족으로 활동하며 자신의 이해관계를 관철시켰다. 墓誌銘에서는 內司·作司·大監(太監)·女尙書 등에 임명된 여성들의 사례가 빈출하였고, 일부는 국정에 참여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 女官이 胡太后의 臨朝稱制 시기에 많이 보이는 것은 이들이 胡太后의 권력 유지에 이바지한 조연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The Empress Dowager Hu, survived from the death after the birth of son, became the Empress Dowager, governed as regency and maintained her regency for ten years or so. Her ten-year-old regency was due to her political basis of the support of the ruling class and nomad or pastoral customs of a female-dominated society. She ruled the government of BeiWei dynasty on the political basis of the the Imperial Princes, the barbarian and Chinese officials, the officers of Imperial Garrison Command, her lover or sexpartner, the eunuchs, the Wemen officials, etc. She shared her power with her favorite retainers and maintained the power with the support of powerless high-level officials such as imperial princes and Chinese officials. Espeically, the eunuchs and the Wemen officials gave their helping hands to Hu, Empress Dowager Hu`s regency. Empress Dowager Hu used the eunuchs as the inspectors of government and military, specially he Imperial Garrison Command. Wemen Palace Attendants, from the ruling class were served as the attendents of Empress Dowager Hu, and took the adventage of her power. The court lady officials helped Empress Dowager Hu`s regency and participated in politics and policy-makings.

      • KCI등재

        태조~세종대 호등제의 변천과 공물 분정

        김창회(Kim Chang Hoi) 한국사학회 2016 史學硏究 Vol.0 No.123

        조선의 戶等制는 태조 대 처음 제정되었으나 그것이 본격적으로 공물 분정에 적용된 것은 태종 6년의 4등호제였다. 4등호제는 태종 말년에서 세종 초년에 田結을 기준으로 하는 5등호제로 발전하였고 이를 통하여 세종 17년의 5등호제가 제정되었다. 호등은 호의 경제력에 따라 다양하게 분등되었지만 그것이 실제로 운영될 때는 3등호의 외양을 취하였다. 당시의 호는 국역을 담당하는 동시에 부세를 부담하였다. 국가는 大戶․中戶․小戶까지는 국역과 부세를 부담하여도 자립할 수 있다고 보았지만 그 이하는 자립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여러 호를 하나로 묶어 소호로 구성하는 방식으로 호등제를 운영하였다. 소호는 국역과 부세를 부담하면서도 유지될 수 있는 자립적인 호의 계선으로 상정되었는데, 태종대에는 그 기준이 전결 5결이었고 세종 대에는 10결이었다. 군현에 분정되는 공액은 군현의 殘盛에 의하여 부과되었는데, 잔성은 土地의 넓이와 호구수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잔성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지표는 군현 명호가 있었는데, 태종대 활발하게 이루어진 군현 명호의 개정은 군현의 大小와 군현의 잔성을 일치시켰다. 그 결과 16세기에는 관호의 고하에 따라 공물을 거둔다고 인식할 정도로 성공적이었다. 이러한 군현 명호의 개정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戶數였다. 토지의 넓이는 호의 거주지를 통하여 인식하였고 군현의 경제력은 분등된 호등 내의 호수를 통하여 세밀하게 판단하였다. 그리고 장기적으로 고정된 수치인 호수는 고정된 공액을 분정하는 기준이 되었다. 이러한 공액 분정 방식은 호등제의 제정과 함께 태종 대에 이루어진 것이었다. 당시 각 호에 공물을 부과하는 방식은 같은 호등이라면 같은 부담 능력을 가졌다고 전제한 가운데 공평한 분정을 위하여 1호에 다양한 本色을 조합하여 분정하는 것이었다. 대납이 이루어지더라도 각 호에는 본색으로 분정되었기 때문에 양보다 분정되는 본색의 가치가 중요했다. 이러한 이유로 공물 분정은 호등이 높을수록 가치가 높은 물종을, 호등이 낮을수록 가치가 낮은 물종을 분배하였을 것으로 추측된다. 이러한 분정 방식을 포함하여 물가 상승, 불안정한 농업 생산, 높은 세율은 공물을 부담하는 호에 부세 압력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이러한 부세 압력을 상쇄시키는 것이 분등 기준의 지속적인 상향 조정이었다. 즉, 부담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호를 세밀하게 분류하여 공물을 분정함으로써 낮은 호등의 부세 부담을 좀 더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었다. 또한, 전국에 동일한 호등제를 적용시키는 데 장애가 되는 지역 간격차를 해소함과 동시에 공액이 고정되어 1호라도 면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호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분등 기준의 격차를 점차 크게 설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중국어 응답표현의 응답 기제 - 응답표현 ‘(호(好)(파(?), 적(的), 아(?)))’를 중심으로 -

        진준화 한국중국언어학회 2018 중국언어연구 Vol.0 No.75

        本文討論了現代漢語作爲應答語‘好,好?,好的,好?’的情態語義功能。本文的主要討論內容如下。 第一,引發語和應答語的互動聯系就是對話。 第二,應答語‘好’用于表示引發者和應答者的相互中性的情態功能。 第三,應答語‘好?’用于表示引發者中心的情態功能。 第四,應答語‘好的’用于表示引發者和應答者相互中心的情態功能。 第五,應答語‘好?’用于表示應答者相互中心的情態功能。 This paper discusses the ‘hao, haoba, haode, haoa’ which is used as a response expression in Modern Chinese. In order to discuss what ‘response’ is, we first grasped the pragmatic relationship of ‘utterance - response’, and based on this. A series of discussions of this articl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whole conversation ‘C’ creates each conversation set (CS) through a sequence shift (T) called ‘Suggest(S)’, ‘Acceptance(A)- (SA)’, and a series of these organic interactions is their conversation. Second, ‘hao’ in the positive type unmarked responds to the ‘pre-utterance context’ and ‘antecedent speaker’ and ‘utterance·respondent inter-neutrality’ to the utterance proposition. In order to express the ‘speaker-oriented’ modality in which the respondent’s psychological state weighted the respondent’s own feelings and attitudes rather than the weight of the respondents’ courtesy to the utterance proposition, And ‘favorable’ is to express the respondent’s response psychology as ‘spoken / respondent-oriented’ in terms of the antecedent context and antecedent speaker and expressions related to the positive and positive favor of the respondent to the utterance proposition, And that the respondent’s strong positive emotions or attitudes toward the proactive utterance context and proactive utterance proposition It expressed as can be understood to have been used to indicate the ‘respondent-oriented’ aspect Province.

      • KCI등재

        연구논문 : 통일신라(統一新羅)와 일본(日本)의 호등(戶等) 산정(算定) 비교 연구

        백영미 ( Young Me Back ) 동국사학회 2010 동국사학 Vol.49 No.-

        통일신라 호등제 연구에 있어서 신라촌락문서뿐 아니라 唐, 日本 장적문서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일본의 경우 史書에 기록된 호등제 관련 법령을 살필 수 있을 뿐 아니라 이러한 법령이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검토할 수 있는 장적문서도 존재한다. 이에 따라 먼저 일본 사서에 나타난 호등 산정 기준을 살피고, 이러한 기준이 실제 장적문서에서는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통일신라의 호등이 어떠한 기준과 방법으로 산정되었는지 비교 유추하였다. 일본의 호등제 기사는 『日本書紀』, 『續日本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養老令의 주석서인 『令義解』, 『令集解』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호등은 貸稅, 택지 사여, 桑漆의 부과, 의창곡 징수를 위해 구분되었고, 그 때의 기준은 貧富强弱, 資産이었다. 그렇지만 計口多少, 臨時量定, 或稱丁多少, 或以人富貧, 富賤爲品, 定上中下戶在別式 내용으로 보아 호등에 대한 항식이 존재하지 않았음을 검토할 수 있었다. 사서에서 본 호등 산정 기준이 실제 일본 7, 8세기 장적문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검토해 보았다. 大寶, 養老, 神龍 연간의 장적문서 중에서 大寶 2년 御野國의 味蜂間郡春部里戶籍, 本?郡栗栖太里戶籍, 肩縣郡肩肩里戶籍, 各牟郡中里戶籍, 山方郡三田里戶籍, 加毛郡半布里戶籍에 호등이 기재되어 있다. 上中下로 구분한 3등호제와 上上에서 下下까지의 9등호제가 함께 나타나는데 호등 산정 기준을 살펴보면 호구수, 정수, 노비가 호등과 상관이 있지만 모든 호적에서 동일한 기준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호구수, 병사가 많아 호등이 높게 나타나기도 하고, 호구수, 男幷, 노비가 많아 호등이 높게 나타나기도 하여 일률적 기준으로 파악되지 않았다. 법령에서 확인한 호등 기준은 빈부강약, 재산으로 정해져 있지만 세부적인 호등 산정은 격, 별식, 조에 따라 각기 다르게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검토를 바탕으로 통일신라의 호등 산정을 비교 유추하였다. 먼저 사서 기록을 통해 호등제는 과세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租, 賦稅의 차등 부과를 위한 것으로, 고구려, 백제에서 貧富, 豊儉을 헤아린 호등이 있었고, 나말여초에는 人丁에 따른 호등이 있었음을 검토하였다. 고려후기 호등제 기록은 단발적, 임시적으로 보이지만 호등 산정 기준으로 언급될 수 있는 것이 빈부, 지역, 가옥의 칸수 등이었다. 그리고 호등에 따른 군인 차출이 지역, 시기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적용된 것도 확인하였다. 일본의 호등 산정이 각각 별식이 있어 그에 따라 산정된 것처럼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호등의 세부적인 산정 방법도 각각 조목을 만들어 시기와 지역에 따라 다르게 운영되었다고 추정하였다. 이러한 기준이 신라촌락문서에 어떠한 방법으로 적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신라촌락문서는 각 촌별 집계문서로 촌별 합계만 알 수 있을 뿐 각 가호별 인정, 토지구성은 알 수 없는 집계문서이므로 공연의 합과 그 구성으로 “호등 평균”을 구해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호등과 人丁, 馬, 牛, 畓이 호등과 상관관계를 보여 이러한 항목이 호등 산정 기준이라고 유추할 수 있었다. 그리고 신라촌락문서의 형식과 기재내용 순서를 고려하여 각 항목의 비중을 달리하여 호등과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 인정이 7할 이상으로 높은 경우만이 호등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호등 산정의 요소는 人丁, 馬, 牛, 畓이며, ‘인정 항목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기재항목 순으로 비중이 다르다’는 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7세기말 통일신라 사회는 노동력의 파악과 확보가 중요시되는 사회였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인정의 노동력과 노동력을 증대시킬 수 있는 항목이 호등 산정을 위한 빈부, 자산으로 중요하게 인식되었다고 보았다. It is also needed to examine what were standards of classified Hodeung(戶等) and how the system managed in Unified Silla Period, although enough studied on Hodeung in Silla chollak munseo(新羅村落文書).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andards and the means classified Hodeung(戶等) of Unified Silla by comparing of those of Japan in Jangjeok(帳籍) papers. Considered how the rule about Hodeung applied to Jangjeok papers. Hodeung was mearsured by the rich-poor, strong-weak, and the number of men to charge taxes of household. Analyzed what were standards of classified Hodeung shown in 6 villiges including 118 households, in Uyagok(御野國), Japan the results were diverse. Some households had more people, others had more men to charge taxes, others had more slaves so, the means classified Hodeung were flexible at the case. It seemed that the system of Hodeung in Unified Silla was similar to those of Japan. Hodeung was classifed by rich-poor, good-bad harvest, the number of men to charge taxes in Three Kingdoms Period. It was provisionally classified by wealth-poor to impose provisions for the army, relieve to the poor in Koryo Period. Reviewed the standards to classified Hodeung in Silla chollak munseo, it was found Hodeung were directly proportional to people, horse-cow and land. The standards of Hodeung were clear but, the means of Hodeung were diverse and their applications broad. People were most important, beside given preference over 70%, horse-cow were more important, land was inversely proportional. It was found that Gyeyeon(計烟) were calculated, people was most important, significance was various according to order and volume in Silla chollak munseo. It was reasonable to assume the means of classified Hodeung was flexible in dealing with a situation at the time and the reg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