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유사『(三國遺事)』인용『향전(鄕傳)』과『수이전(殊異傳)』의 관련성 검토

        차광호 ( Kwang Ho Cha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5 嶺南學 Vol.0 No.27

        『鄕傳』은 신라를 배경으로 한 설화적 특징을 갖고 있다는 점에서『三國遺事』의 성격과 가장 부합되는 典據 중 하나라고 평가 될 수 있다. 그러나 書名의 모호성 등으로 인하여 그에 대한 정확한 실체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 글에서는『三國遺事』찬술자의『鄕傳』인용태도에 주목해 그에 대한 특성을 검토하였는데, 그 결과『新羅古傳』,『鄕諺』,『古本殊異傳』,『鄕中古傳』,『古傳』이란 명칭들이『鄕傳』과 동의어적 입장에서 사용되고 있음을 살필수 있었다. 그런데 이들 동의어들은 ‘新羅’와 ‘古傳’이라는 개념을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성을 갖고 있는데, 이러한 관점에서 볼 때『鄕傳』보다는『新羅古傳』이 그러한 개념성을 보다 직접적으로 표현해주는 전거명이라 할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鄕傳』이『古本殊異傳』이란 명칭으로도 언급되고 있다는 점인데,『殊異傳』은 구체적인 書名을 지칭하는 용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 책은 신라시대에 찬술되었지만, 이후 고려시대를 거치면서 여러 차례 개찬된 설화집으로 이해되고 있는데,『三國遺事』에서는『殊異傳』이란 서명 대신『古本殊異傳』이나『新羅異傳』이란 명칭을 사용하였다. 여기에서의 ‘古本’이나 ‘新羅’라는 표현은 고려시대의 개찬본과 구분하기 위해서 찬자가 부여한 명칭으로 신라시대를 시공간적 배경으로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殊異傳은 ‘傳’의 형식을 취하고 있다는 점에서『古傳』이란 용어와 竝稱될 수 있는 개연성을 갖는다. 따라서『古本殊異傳』은『鄕傳』과 그 동의어적 표현들이 갖고 있는 ‘新羅’와 ‘古傳’이라는 개념을 동시에 충족시켜줄 수 있는 명칭이라 할 수 있다. 이처럼『三國遺事』에서『鄕傳』과 그 동의어들이 ‘新羅’와 ‘古傳’이라는 개념적 성격을 공유하고 있고, 아울러 또 다른 동의어라 할 수 있는『古本殊異傳』역시 그러한 점을 충족하고 있다면『鄕傳』은 신라시대에 찬술된『殊異傳』을 지칭하는 용어일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여기서『古傳』이란 명칭은『鄕傳』외의 다른 조목에서도 사용되고 있기에 주의를 요한다. 그러나 일부의 예외적 경우를 제외하면, 전반적으로『殊異傳』을 지칭하는 표현으로서 사용되었음을 살필 수 있었다. 결국『三國遺事』에 인용된『鄕傳』이『殊異傳』을 지칭하는 것이라면,『三國遺事』에 수용된『殊異傳』의 내용과 의미는 보다 확장적으로 이해될 필요성을 갖는다. 그리고 두 서적의 이러한 관계는『三國遺事』의 史書的 성격을 이해하는데 있어서 뿐만 아니라 원본이 유실된『殊異傳』의 실체를 파악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점들을 새롭게 시사해 줄 수 있을 것이다. Hyangjeon is an important reference book of Samguk-yusa. The book contains the tales of the Silla period, but it is difficult to figure out its accurate and true nature.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its true nature by focusing on the attitudes that the author of Samguk-yusa took when citing i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various names used to convey the same meaning as Hyangjeon in Samguk-yusa such as Sillagojeon, GobonSuijeon, Hyangjunggojeon, and Gojeon. The materials titled Sillagojeon, Hyangjunggojeon, or Gojeon all connote the "old records of the Silla period." GobonSuijeon is particularly important because Suijeon is a term for certain book titles. It was a book of tales made during the Silla period, but its transmission has not continued up to today. Hyangjeon is considered as an expression to refer to Suijeon published during the Silla period in that materials titled Hyangjeon, Sillagojeon, Hyangjunggojeon, or Gojeon mean the "old records of Silla period" and that Hyangjeon was designated as GobonSuijeon.

      • KCI등재

        『수이전』지은이에 대한 남북의 관점과 제3의 시각

        김종군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통일인문학 Vol.91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author of Suijeon, which occupies the forefront of the history of narrative literature in Korea. To this end, I would like to compare and review the author's debates that have been discussed in the inter-Korean academia, and approach the reality of Kim Cheok-myung from a third perspective on the author. Regarding the author of Suijeon, South Korean academics recognize that the author of Shilla Suijeon is Choi Chi-won, while Suijeon in Goryeo was edited by Park In-ryang, and it is posited that Kim Cheok-myung reworked some works. In contrast, North Korean academia recognizes Choi Chi-won as only the author of “The Tomb of Two Women” among Shilla Suijeon, and holds that many works were newly created and compiled while Park In-ryang reworked and supplemented Shilla Suijeon. In the North Korean academic circle, Kim Cheok-myung was mentioned only in one kind of literary history, In later descriptions, many writers participated in the rewriting of Suijeon, and Kim Cheok-myung was excluded from the description. The discussion on the author of Suijeon in the South and North Korean academia is the result of strictly observing the literature records. Nevertheless, the reason that North Korean academics exclude Kim Cheok-myung, who is mentioned in the Samguk Yusa as a prospective author and categorize it as having been written by “many writers” seems to be that no evidence of Kim Cheok-myung’s authorship can be found even while comparing historical documents with one another. In order to find a new answer to these doubts, among the articles of Lu In-ryang included in the Cheongpa Jabji of Juwhi of the Song Dynasty in China, I tried to suggest a third perspective that he could be Park In-ryang = Kim Cheok-myung, focusing on the fact that his courtesy name was Cheok-myung. In order for this reasoning to gain strength, the fact that Cheongpa Jabji was introduced to Goryeo before the compilation of Samguk Yusa and the circumstance in which Ilyeon encountered it must be studied.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우리 서사문학사 벽두를 차지하는 수이전 의 지은이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 남북 학계에서 논의된 지은이 논쟁을 비교 검토하고, 지은이에 대한 제3의 시각으로 김척명의 실체에 대해 접근해 보고자 한다. 수이전 지은이에 대해 남한 학계에서는 신라수이전 의 지은이는 최치원으로 인정하고, 고려의 수이전 은 박인량이 편찬하였는데, 김척명이 일부 작품을 개작하였다고 보는 입장이다. 이에 비해 북한의 학계에서는 신라수이전 가운데 <쌍녀분(두 녀자의 무덤)>에 대해서만 지은이를 최치원으로 규정하고, 박인량이 신라수이전 을 개작 증보하면서 많은 작품들은 새롭게 창작해 편찬했다고 보는 시각이다. 북한 학계에서는 김척명에 대해서는 문학사 한 편에서만 언급하였고, 이후의 서술에서는 다수의 작가들이 수이전 개작에 참여하였다 하면서 김척명을 서술에서 배제하는 입장이다. 남북 학계의 수이전 지은이에 대한 논의는 문헌 기록을 철저히 준수하면서 도출한 결과들이다. 그럼에도 북한 학계에서는 삼국유사 에 언급된 김척명을 지은이에서 배제하고 ‘다수의 작가’로 범주화하는 이유는 기록 문헌을 서로 비교하는 가운데서도 그 근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의구심을 새롭게 구명하고자 중국 송대 주휘의 청파잡지 에 수록된 루인량의 기사 가운데, 그의 자가 척명이라는 데 착안하여 박인량=김척명일 수 있다는 제3의 시각을 제시해 보았다. 이 추론이 힘을 얻기 위해서는 청파잡지 가 삼국유사 편찬 전에 고려에 유입된 사실과 일연이 이를 접했다는 정황이 포착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수이전(殊異傳)』 소재 선덕왕 설화의 형성 배경

        김선주 한국여성사학회 2023 여성과 역사 Vol.- No.38

        This paper analyzes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King Seondeok’s Narative in ‘Suijeon(殊異傳)’. ‘Suijeon’ contains two accounts of King Seondeok, which were utilized as historical sources in works like ‘Samguksagi(三國史記)’ and ‘Samgukyusa(三國遺事)’. However,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narrative of King Seondeok in ‘Suijeon’ has no direct relation to the actual King Seondeok.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is account was fabricated around the 9th century, towards the end of the Silla Dynasty, following the demise of King Seondeok. It was during this time that the third queen, King Jinseong, emerged in the Silla Dynasty. The reason for ‘Suijeon’ author’s interest in King Seondeok stems from her role as the first queen of Silla. The purpose of writing was likely intended to highlight King Jinseong, who ascended to the throne as a woman in the 9th century. In ‘Suijeon’, King Seondeok is depicted as an alluring ‘woman’ who captivates the admiration of men, as well as a competent ‘king’ with exceptional abilities. It can be seen that the author of ‘Suijeon’ had a friendly attitude towards King Jinseong, who was the queen at the time of the 9th century, and this article focused on Choe Chi-won, who acted as King Jinseong’s closest aide. 이 논문은 『수이전』에 실려 있는 선덕왕 설화의 형성 배경을 분석한 것이다. 일문으로 남아 있는 『수이전』에는 선덕왕 설화가 2편 전해지고 있는데, 후대 역사서 편찬에 사료로 활용되었다. 그렇지만 『수이전』에 실려 있는 선덕왕 설화는 선덕왕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으며, 선덕왕 사후 신라말 9C경에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컸다. 9C는 신라에서 세 번째 여왕인 진성왕이 등장했던 시기이다. 『수이전』 찬자가 선덕왕을 주목했던 이유는 신라의 첫 여왕이었기 때문이었으며, 찬술 의도는 9C대 여왕인 진성왕에 있었다. 『수이전』에서 선덕왕은 남성에게 연모의 대상이 될 정도의 아름다운 ‘여성’이면서, ‘왕’으로서 뛰어난 능력을 갖춘 긍정적인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수이전』 찬자는 도당유학생 출신으로 9C 진성왕대에 활동했던 최치원으로, 당시 여왕이었던 진성왕에 대해 정치적으로 우호적인 입장을 가졌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殊異傳의 撰述本과 傳承 연구

        곽승훈 진단학회 2011 진단학보 Vol.- No.111

        There are two compilations of Suijeon(殊異傳) remaining today; one is Gobon Suijeon(古本 殊異傳) written in the 9th century during Silla(新羅) and the other Suijeon compiled by Park In-ryang(朴寅亮) during Goryeo(高麗). The former was read by Il Yeon(一然), who made lots of quotations of some of its content in his Samgukyusa(三國遺事). The latter added stories about the Gaya(伽倻) region to the former and seems to have been part of Park In-ryang's Gogeumrok(古今錄), which is considered to have been stored in a secret storage. It was read by Gak Hun(覺訓) and Lee Seung-hyu(李承休) during Goryeo and Seo Geo-jeong(徐居正) and Seong Im(成任)during Joseon(朝鮮). Gwon Mun-hae(權文海) seems to have re-quoted Suijeon instead of personally reading it. It was Confucian scholars and Buddhist priests that compiled or quoted Suijeon. They wrote history books as historiographers or figures related to history. Thus Suijeon contains two distinct parts; one is historical facts different from authentic history, and the other strange stories. It reflects the intention of historians that wanted to collect what was left out of authentic history and record it. They added strange stories too in order to warn themselves of an inclination toward Neo-Confucianism and accordingly loss of the ruler's qualifications. 고본 수이전은 9C 신라 때 편찬되었으며, 고려시대에는 박인량이 이를 증보한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박인량의 수이전은 秘府에 간직하였다는 고금록의 한 부분이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그리고이것이 계속 전해져 고려시대에는 각훈과 이승휴가, 조선시대에는 서거정과 성임이 열람하였다. 권문해는 수이전을 직접 열람한 것이 아니라 서거정과 성임의 저술에 반영된 내용을 재인용한 것으로여겨진다. 수이전을 찬술하고 또 인용한 사람들은 유학자와 승려들이었다. 또한 그들은 史官으로서 혹은관련된 사람으로서 역사서를 편찬하였다. 이런 때문에 수이전은 正史와 다른 역사적 사실과 奇異한이야기의 두 가지 성격이 담겨있었다. 이는 역사가들이 正史에서 빠진 것을 모으고 버리지 않으려는의도에서였다. 기이한 이야기를 담은 것은 성리학에 편중되면 통치자로서의 자격을 잃게 되는 것에대한 경계였다. 수이전은 이후 여러 책에 인용되면서 사학사상으로 볼 때 많은 영향을 주었다. 삼국유사가 많은 내용을 반영한 것에서 보아 큰 영향을 받았는데, 그것은 遺事가 逸事를 모은 것이라는 점에서 그성격을 사실상 계승하고 있기 때문이다. 제왕운기와 해동고승전에도 많이 참고되었다. 고려시대에는 정치사는 물론 불교사 서술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조선시대에는 삼국사절요에 정사와 다른 경우로서 역사적 사실이 존중되어 역사편찬에 남을 수있었다. 또 이 시기에는 불교적 영험 요소가 대체로 배제되었지만, 다른 내용들이 전기문학의 잡기편찬에 반영되어 유학자들의 편벽성을 극복하는 요소로서 활용되었다.

      • 동아시아 환상의 지표와 한국 초기서사의 환상성 -지괴,영험서사의 경우-

        정환국 ( Hwan Kuk Jung ) 우리한문학회 2015 漢文學報 Vol.32 No.-

        이 글은 한국 환상문학의 성격을 그 역사적 소종래를 통해 자기 정체성의 산물로써 위치 짓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초기서사의 환상 지표와 환상성에 주목한 것이다 이는 그동안 서구 환상이론에 입각하여 논의되던연구 환경을 넘어 고전문학의 고유한 환상 성격을 정립하기 위한 첫 도정 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먼저 동아시아 환상의 지표들을 일괄하였다. 가장 이른 시기부터 관심을 두었던 대상은 귀신과 요괴 따위였는데, 이런 비일상적인 소재들은 차제에 구체적인 환상서사를 구현해낸다는 점에서 주요 지표가 아닐 수 없다. 이에 대한 초창기 논란은 이것들의 실재성 여부였으며, 이런 대상에 대한 인간 인식의 문제에까지 확장하는 경향을 띠었다. 그러다가 육조시대에 정착한 도교와 불교는 ``神仙``과 ``觀音``이라는 새로운 을 창안하기에 이른다 이런 소재가 꿈 과 변신 모티프와 어울림으로써 仙界``와 ``冥界``라는 이계의 변주가 정립되었다. 이것이 육조의 지괴 서사로, 동아시아 환상문학의 서막이기도 했다. 이 환상 지표들은 우리의 초기서사, 즉 『殊異傳』과『三國遺事』 등에 그대로 이어져 초기 한국 환상문학을 형성하였다. 『수이전』 일문의 경우 ``神術``, ``暴死``, ``變身`` 등의 변괴 소재가 개별 작품들에 산포되는 형식으로 나타나는데, 다만 기속적 무속적 생사관이 불교적 영험세계와 함께 뒤섞인채 미분화한 상태를 보여준다. 이런 소재는 『삼국유사』 에 와서 좀 더 정련된 서사체계 속에서 구조화되는 경향을 보인다. 불가의 영험담이 전편에 구축된 삼국유사 는 승려는 물론 일반 민인들의 불가의 영험 주체들에 의한 환상적 체험을 근간으로 하고 있다. 이 골격 안에 특정한 소재-변신이나 꿈, 또는 이계와 이물, 귀신 소재 등-가 『수이전』 처럼 즉자적으로 구현된 것이 아니라 좀 더 복잡한 단계를 거쳐서 집적된 양태를 띤다. 이를 요약하 자면, 환상 소재들이 『수이전』 에선 스틸컷(still cut)처럼 각인되는 반면, 삼국유사 에선 파노라마(panorama)의 형태로 구축되는 형국이다. 당연히 그에 따른 환상적 이미지와 미감의 차이를 예감할 수 있다. 이 점에서 우리의 경우 초기 환상담은 불교 영험류가 압도적이고 도교 쪽의 것은 거의 없는 편이다. 말하자면 불교 영험서사와 그 환상적 세계를 통해서 당대인의 욕망이 집적되었음을 확인케 한다. 그러나 이런 소재와 관련 작품들은 불가의 수혜성이 강조된 나머지 진정한 일반 민인들의 환상적 욕망의 결과물로 이해되지 않는다. 이것이 어쩌면 불교사회였던 시대의 至難했던 현실에 대한 집단적, 개인적 위무일 수도 있었겠지만, 반대로 하층의 욕망이 거세된 지배 욕망이 만들어낸 허상일 수도 있다는 점을 간과 해서는 안 될 것이다. 앞으로 초기서사와 그 환상성의 문제는 같은 시기에 출현한 유가 문인지식인들의 인식의 총화라고 할 수 있는 『崔致遠』같은 傳奇敍事까지 함께 다뤄진다면 좀 더 뚜렷한 상을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indicator of fantasy and the aspect of fantasy in Korean early narrative. This is a part of research to understand that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fantasy literature has been continued from the historical root as a product of self identity. This attempt is also a first journey to establish the unique fantasy character of our classical literature by going beyond the research environment that had been discussed based on western fantasy theory. For this, this research firstly bundled up the indicators of East Asian illusion. The objects that were paid attention to since the earliest period were ghost, monster, etc., which materials were the major indicators in respect that they gradually realized concrete fantasy narration. At first, there was a dispute from whether of substantiality of these fantasy indicators to the problem of human awareness on the objects. While doing so, Taoism and Buddhism that were established during Six Dynasties created a new fantasy objects(幻物), i.e. ``Taoist hermit(神仙)`` and ``Avalokitesvara (觀音)``. These were reestablished as the variation of different world(異界), namely ``Taoist hermit``s world(仙界)`` and ``afterlife(冥界)``, being harmonized with the motif of ``dream`` and ``transformation``. This was the short strange narrative of Six Dynasties, the prelude of East Asian fantasy literature. These fantasy indicators also have formed early Korean fantasy literature by being continued to Korean early narrative, i.e. Suijeon and Samgukyusa. In the case of Suijeon, extraordinary materials such as ``Taoist magic(神術)``, ``Tragical sudden death(暴死)``, ``Transformation(變身)``, etc. appear sporadically in each work. However, The view of life and death of shamanism is showing undifferentiated state by being mixed with Buddhist miracle world. This material shows a structured tendency in a more refined narrative system in Samgukyusa. This is established the whole story with Buddhist divine effect tale and enables common people as well as Buddhist monks to experience fantasy by the miracle subjects of Buddhism, e.g. Avalokitesvara and God(天帝). In this framework, specific materials -transformation, dream, different world, other material, and ghost, etc.- show integrated aspect through more complex stages. To sum up, fantasy materials were carved as a still cut in Suijeon by literally realizing fantasy materials, they were established in a panorama shape in Samgukyusa. Naturally, The differences of fantasy image and sense of beauty along with it could be expected. However, in case of Korean early fantasy story,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 is prevalent, with almost no Taoism narrative. In other words, the researcher considers that desires of people of that time were integrated through Buddhist divine effect narrative and its fantasy world. but these works are not always the output of fantastic desire of common people, as the result of emphasizing the benefit of Buddhism. This could be probably the collective and personal expression of comfort against very hard reality of that time, which was a Buddhist society, on the contrary, a point should not be overlooked, either, that it could be an illusion that the desire of upper class created by eliminating the desire of the lower class. The fantasy of early Korean narrative could be established with more distinct image when it is treated along with jeongiseosa (傳奇敍事) such as Choichiwon(崔致遠) appeared in the same period which can be said to be an unity of Confucian literary intellectuals`` awareness.

      • KCI등재

        북한의 ‘수이전체 산문’의 연구 동향과 남북의 소통지점

        김종군(Kim, Jong Kun)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통일인문학 Vol.84 No.-

        이 연구의 목적은 현재 그 전모가 전하지 않는 『신라수이전』과 고려의 『수이전』에 대한 북한의 연구 동향을 살피고, 남북의 소통지점을 찾는 데 있다. 북한문학사에서 그 발생과 양식적 특성, 작가에 대해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시대별로 고찰하고, 남한의 연구 성과와 비교하여 남북의 서사문학사 서술 시각을 대비해 보고, 통일시대를 대비한 문학 교재로서 통일문학사 서술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먼저 북한의 고전문학 연구 기반과 『조선문학사』 편찬 현황을 고찰하고, 1950년대부터 2012년까지 출판된 북한 문학사에서 ‘수이전체 산문’의 개념과 발생, 양식적 특성, 작가 논의 등을 역사적으로 고찰하였다. 북한에서는 1977년에 출판된 『조선문학사』 고대·중세편에서 『수이전』에 대한 시각을 다음과 같이 확정한 후 큰 변화 없이 지속하고 있다. ① 7~9세기 사이에 특색 있는 산문 형식으로 출현했다. ② 작품들은 구전설화적 요소를 가지면서도 개별 작가들의 예술적 창작이다. ③ 작품의 주인공 설정은 살아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을 등장시켜서 이야기를 전개하는 환상적 수법을 사용하므로 ‘수이전체’라는 명칭이 연유했다. ④ 작품의 분위기가 낭만적 색채를 가지는데, 당대 사회현실의 문제를 해결할 방도를 찾을 수 없는 한계와 당대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대하는 작가의 사상미학적 이상에서 기인한다. ⑤ 작가는 신라 말의 최치원과 고려 전기의 박인량이며, 대표 작품은 <쌍녀분>과 <수삽석남>이다. 북한의 이러한 연구 동향을 남한의 논쟁들과 비교하여 그 소통지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① 서사 양식의 명칭에서 남한 학계에서 합의를 이룬 ‘전기(傳奇)’보다는 북한에서 확정한 ‘수이전(殊異傳)’으로 나아가는 방향이 우리 문학사의 독자성을 정립하는 데 유효할 듯하다. ② 그 발생과 계통에 대해서도 중국 문학의 일방적 수용이라는 시각보다는 구전설화의 소재를 원용하여 개인 창작자의 창작 역량이 발휘된 작품이 발생한 것으로 보고, 고소설의 전 단계나 본격적 고소설 작품으로서 위상을 갖는다고 진단하는 것이 지금까지의 남북문학사의 성과를 포섭하는 견해가 될 것이다. ③ 작가나 편저자에 대한 시각 역시 서사 양식의 발생과 연동하여 최치원, 박인량, 김척명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현재 발굴되지 않은 다수의 작가가 존재할 수 있다는 열린 시각이 남북 학계의 공통된 지지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of North Korea on the Silla Suijeon and Goryeo’s Suijeon and to find a point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We consider the origin,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definition of writers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by period. In a comparison with South Korea"s research results, we contrast the narrative perspectives on the narrative literature history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further, with an eye to the era of unification, we prepare the basis for a narrative of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in textbooks. First, we examined the foundation of research on classical literature in North Korea and the current state of compilation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We also examine the concept and occurrence, stylistic characteristics, and discussions about writers of “Suijeon-form Prose” in the history of North Korean literature published from the 1950s to 2012. North Korea has confirmed its perspective on Suijeon in the ancient and medieval editions of the Joseon literature history published in 1977 as follows. And keep it going without much change. ① It appeared as a distinctive prose form between the seventh and ninth centuries. ② The works have oral mythological elements, but they are artistic creations of individual artists. ③ Because it uses the fantastic technique of developing stories by setting up a living person and a dead person as the main character of the work, it was named “Suijeon form.” ④ The atmosphere of the work has a romantic color, which that originates from the limitation of not being able to find a way to solve the problems of social reality of the time and from the writer"s ideological and aesthetic ideal of dealing critically with the reality of the time. ⑤ The authors are Choi Chi-won(최치원) of the late Silla Period and Park In-ryang(박인량) of the early Goryeo Period, and their representative works are “The tomb of two women(<쌍녀분>)” and “The plum blossom tree branch on the head(<수삽석남>).” Comparing the North"s research trends with the South"s disputes, the point of communication is as follows. ① When naming the narrative form, to decide “Suijeon”(수이전殊異傳) which is confirmed in North Korea rather than “Jeongi”(전기傳奇), was agreed upon by the South Korean academic community as it is likely to be effective in establishing the independence of Korean literary history. ② It would be right to regard the “occurrence” and “lineage” as producing a work that shows the creative ability of individual creators by using the material of oral legend rather than the view that Chinese literature was unilaterally accepted. and to diagnose as having the status as the previous stage of a classic novel or as the work of a full-fledged classic novel will be a view that embraces the achievements of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so far. ③ In connection with the occurrence of narrative form, rather than to restrict your views on writers and editors to Choi Chi-won, Park In-ryang and Kim Chok-myung, to have the open view that there may be a number of writers who have not been discovered at present will receive common support from South and North Korean academic circles.

      • KCI등재

        한국어와 중국어 수여 동사의 어휘 체계 대조 연구

        최용범 ( Yongfan Cui ),도재학 ( Jae Hak Doh ),이향원 ( Hyang Won Lee ) 민족어문학회 2015 어문논집 Vol.- No.73

        본 논문은 한국어와 중국어 수여 동사의 어휘 체계를 살피고 대조한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먼저 원형적인 수여 사건을 나타내는 단어들을 목록을 선별하였다. 그 후 [공식성], [선의성], [공손성], [의무성], [자선성], [상달성], [하달성], [금전성], [물품성] 등 아홉 가지 변별적 의미 자질을 설정하여, 이를 바탕으로 각 수여 동사의 특성을 보였다. 이 내용을 종합하여 한국어와 중국어 수여 동사들을 자질값에 따라 대조해 보였고, 자질과 관계된 입체 공간 속에서 각 수여 동사가 어느 위치를 점유하고 있는지 시각적으로 나타내 보였다. 기존의 낱말밭 연구들에서 다양한 자질값에 따른 평면적 영역 구획을 보였다면, 본 논문에서는 더 나아가 일종의 입체적 조감도를 보이고자 하였다. 이는 한언어의 어휘 체계가 일정한 의미 자질에 따라 균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기보다는 오히려 비균질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기에 적합한 방식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즉, 보다 실제에 부합하는 결과를 보인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러한 작업은 수여 사건의 여러 양상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하는 수여 동사들에 대해서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기반이 된다.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a lexical field of ‘Dative Verbs’ whose meaning indicates an event of [GIVING], and to contrast those verbs of Korean and Chinese. First of all, we excluded various untypical examples and selected canonical ones, then showed properties of each of them with nine distinctive features; [Officialty], [Goodwill], [Politeness], [Obligation], [Charity], [Move-up], [Move-down], [Money], [Goods]. Taking these results, each verb of Korean and Chinese was contrasted mutually. Finally, we presented a stereovisional picture to show that each of verbs occupies a particular domain which is related to distinctive features. While previous studies for a lexical field displayed a simple flat structure, this article rendered a three dimensional bird´s-eye-view. Because lexical(vocabulary) systems of languages are not in perfectly good order with reference to feature values, but in an asymmetric and imbalanced way, this is a more suitable method for giving an overview of such lexical systems. That is, we demonstrated the effective product that corresponds with reality. This elaboration could be a base for understanding and establishing our knowledge of a cluster of words.

      • KCI등재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양도되는 경우 특정승계인에 의한 등기신청 제도에 대한 재조명 ― 캐나다 온타리오주 부동산등기에서 ‘등기명의에 관한 지시서(direction regarding title)’ 제도의 시사점 ―

        이재명 ( Lee¸ Jae-myung ),최예린 ( Choi¸ Lianne Ye-rin ),김제완 ( Kim¸ Je-wan )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법학논총 Vol.38 No.1

        우리 법제는 소유권이전등기청구권이 양도되는 경우 순차등기를 원칙으로, 포괄승계인에 의한 등기신청을 예외적으로 인정하고 있다. 이는 부동산등기법 제27조에서 상속이나 법인의 합병과 같은 등기원인 발생 이후의 포괄승계를 규정하고 있는 것과는 반대로 매매와 교환, 증여와 같은 특정승계의 경우 그러한 허용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한편 계약인수에 해당하는 수분양권 양도에는 대표적으로 미등기 전매와 복등기가 있다. 그리고 ‘양도세 매수자부담’이라는 탈세행위도 있다. 이러한 수분양권 전매는 수분양자의 명의를 변경하면, 등기는 변경된 수분양자 앞으로 직접 경료되기 때문에 오히려 특조법의 취지를 크게 훼손할 수 있다. 따라서 수분양권에 대한 전면적 불법전매금지와 이에 기한 매매계약의 효력을 원천 무효하는 규정의 신설이 필요하다. 우리 법제에서 포괄승계인에 의한 등기신청 뿐만 아닌 직접등기가 필요한 사례로 먼저 부부간 공동명의 등기를 들 수 있다. 매매계약 당시에는 미혼이었던 매수인이 매매계약 후 등기 전에 혼인을 하여 매수 부동산을 부부공동명의로 등기하는 경우가 그것이다. 그리고 이혼의 경우 부부가 공동매수인으로서 부동산 매매계약을 체결한 후 등기 전에 이혼을 하면서, 일방이 매수 부동산을 보유하기로 재산분할이 될 때에도 직접등기의 필요성이 있다. 이에 대해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부동산 등기제도는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온타리오주의 ‘등기명의에 관한 지시서(direction regarding title)’ 제도는 매도인이 자신이 받을 대금의 납부방식에 대해 매수인에게 지시하고, 매수인은 매도인에게 부동산의 등기부상 명의를 어떻게 등재할 것인지에 대해 지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매매계약 후 명의변경이 필요한 상황에서 ‘등기명의에 관한 지시서’ 이외에 정정(amendment) 제도와 양도(assignment) 제도가 활용된다. 온타리오주의 ‘등기명의에 관한 지시서’ 제도는 매매계약 후 등기 전에 매매목적물을 특정승계하는 경우 순차등기의 필요없이 직접등기를 함으로써,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추후 직접등기의 원인을 투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최종적인 등재내용상으로 직접등기인지의 여부와 그 경위를 알 수 없다는 한계점도 분명 존재한다. 이러한 시사점에 비추어 볼 때 우리의 포괄승계인에 의한 등기신청제도는 특정승계인이라고 하여 특별히 달리 취급하여야 할 이유가 없으며, 그렇기에 부동산등기법에 특정승계인에 의한 등기신청규정을 신설할 필요가 있다. 민법 제539조에 규정된 제3자를 위한 계약은, 중간절차를 생략하고 등기신청을 한다는 점에서 특정승계인에 의한 등기신청과 유사하지만 제3자를 위한 계약은 하나의 계약이고, 특정승계인에 의한 등기신청은 두 개의 매매계약과 하나의 등기신청으로 구성된다는 점, 제3자인 수익자는 수익의 주체일 뿐 계약당사자는 아니지만 특정승계인은 계약당사자가 된다는 점 등에서 엄연히 구조상의 차이가 있다. 그리고 3자간 명의신탁과 관련해서는, 엄격한 효력규정을 둔 부동산실명법의 취지와 기술법과 절차법에 해당하는 부동산등기법의 그것은 그 목적과 내용이 다르기에 동일선상에서 비교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Our law system exceptionally admits general successor’s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in case the title transfer claim has been assigned, while the principle of the sequential registration is observed. On the other hand, Article 2 of our Special Real Estate Registration Act stipulates about the obligated application for the title transfer registration. On the other hand, the assignments of the purchase right or the assumptions of contract include unregistered resale and double registration. The re-selling of the purchase right would well lead to a direct transfer of the title to a third party, omitting the first buyer’s registration of the title, which must ruin the purpose of the Special Real Estate Registration Act much. S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provisions prohibiting the illegal re-transfer and nullify the effects of the sales contract thereof. Within our legal system, not only the general successor’s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but also the direct registration are required in some cases. One of them is the registration under the couple’s joint names. When the sales contract was made, the buyer was unmarried. But after the sales contract, he or she would marry his/her partner and thus, the real estate would be registered under the couple’s joint names. On the other hand, if a couple should execute a real estate contract as the joint buyer and then, they should be divorced before the registration of their title, either partner of them would apply for a direct registration of his or her title. Besides, there may well exist a case where a special successor like ‘an incorporation due to a general transfer’ in the tax code could well apply for the direct registration. The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of Ontario, Canada give us much suggestions. According to the Direction Regarding Title system of Ontario, Canada, the seller directs the buyer about the ways of payment, while the buyer directs the seller about the registration of the title owner. When the name of the title holder should be changed after the sale contract, the Amendment system and Assignment system apply in addition to such a situation. Our system may well check out any illegal application for registration. Hence, our Real Estate Registration Act needs to contain the provision that allows certain successors to apply for the registration. Then, it would be desirable to specify the first buyer and the certain successor as joint applicants for registration. When both of them applies jointly for registration, it would not be necessary for them to prepare such documents as specified in Direction regarding Title. Then, the limits of the Ontario system not allowing for confirmation of the actual transaction would well be surmounted.

      • KCI등재

        『殊異傳』 逸文의 분류와 장르적 성격 : 志怪敍事 전통의 맥락을 중심으로 Focused on the Context of Jigwe tradition

        유정일 한국어문학회 2004 語文學 Vol.0 No.85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classification of 『Suijeon』 Ilmuns and their genre characteristics. It purposed to prove that the basic characteristic of tales is in their supplementation of authentic history and to maintain that the basic characteristic of『Suijeon』 Ilmuns is also in its supplementation of authentic history. 『Suijeon』 Ilmuns dealt with surrealistic and unrealistic historical affairs that were not adequate to be included in authentic history. 『Suijeon 』 Ilmun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tales and romances, and tales were sub-divided again into mythological tales, Buddhist tales, historical figure tales and miscellaneous tales. Mythological tales include <Talhae>, a mythological tale about the foundation of a nation, and <Yeongoseo>, a tale explaining the origin of things. Buddhist tales include <Ado>, 「Wongwang」, 「Bogae」 and 「Howon」, which took the form of monks' biographies or Buddhist miracles. Historical figure tales present episodes related to historical figures. 「Seondeokyeowang」, 「J uktongminyeo」, 「Noonghwagu」, etc. belong to this type of tales. Miscellaneous tales include 「Jigwi」, 「Susapseoknam」 and 「Simhwayotap」, which describe various stories in the secular world. In addition, 「Choi, chiwon」 was classified as a romance novel. The significance of『Suijeon』.Ilmuns in the history of novels, which shows the transitional form in the transformation from semi-historical narrations to romance novels, is that they provide a lead to the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Korean romance novels. It is also remarkable that the tradition of narrating unrealistic contents originated from 『Suijeon』, a literature supplementary to authentic history. In addition, it was found true that Buddhism influenced the establishment of early romance novels.

      • KCI등재

        기관 분산에 따른 중앙공무원의 인식 분화 및 원인 탐색

        허준영(Hur, Joon-Young),이건(Lee, Geon),윤건(Yoon, Kun) 서울행정학회 2015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6 No.2

        중앙행정기관의 세종시 이전으로 정부조직이 분산되면서 세종시 이전 부처와 서울 잔류 부처 공무원들 사이에 인식 분화가 나타나고 있다. 이는 조직의 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에 대한 세심한 검토와 적절한 대처가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세종시 이전으로 인한 공무원집단 간 인식 분화 현상을 분석하고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세종시 이전과 공무원 인식 분화에 관련된 이론적 논의를 통해 분석틀을 설정하고 세종시 이전 부처 공무원들과 서울 잔류 부처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여 공무원 집단 간 인식 분화의 실제와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설문분석 결과, 세종시 이전과 관련된 문항들에 대하여 이전 부처 공무원 집단과 잔류 부처 공무원 집단 간 인식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나 인식 분화의 실제를 확인하였다. 인터뷰분석 결과, 이러한 인식 분화의 직접적 원인으로 공무원 집단 간 소통 약화와 이해관계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부조직 차원의 인적 통합관리 계획의 마련, 소통 활성화를 위한 물리적 인프라의 개선, 부처 간 협력 및 조정 기제 활성화, 세종시의 생활기반 확충 등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With the relocation of a number of government agencies to Sejong City, perceptual discrepancies between public managers remaining in Seoul and those in Sejong City have begun to emerge. These discrepancies may result in negative consequences such as a lack of human integration 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This study attempts to empirically examine whether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exist, explore the reasons why the differences occur, and draw ou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In order to do so, both survey and in-depth interview data is utilized. Based on mixed methods data, our analytical results clearly show perceptual discrepancies to exist in terms of administrative inefficiencies, bureaucratic and organizational behaviors, and policy alternatives. Drawing on in-depth interviews, we speculate the reasons for the perceptual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suggest a variety of managerial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associated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