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朱熹의 尙書文獻批評에 대한 정약용의 인식

        김만일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3 泰東古典硏究 Vol.31 No.-

        정약용이 저술한 『매씨서평(梅氏書平)』은 매색(梅賾)본 상서가 위작임을 고증하려는 것이 그 저술의 목적이다. 그중 에서도 「집전(集傳)」편은 위서고증의 시원이 된 주희의 상서문헌비평에 대해 정약용이 분석 평가한 것이다. 『매씨서평』에서 「집전」편이 차지하는 위치는 핵심적이며 주요한 부분이라고 볼 수 있다. 정약용은 주희가 상서 주석서를 저술하지 않은 것이 매색본 상서가 위작임을 파악하고 절필한 것이라고 규정하였다. 채침(蔡沈)의 『서집전(書集傳)』서문에서 주희가 노쇠하여 채침에게 상서 주석서 저술을 미루었다는 주장과는 다른 구 체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그는 또 금문․고문 분류에서 당대(唐代)의 오류를 주희가 답습하였다고 비판하였다. 상서의 위작 문제에 대해서는 매색이 한대(漢代) 공안국(孔安國)이 저술한 상서 주석서라고 바친 이른바 『고문상서공전(古文 尙書孔傳)』이 그 서문과 주석의 문장이 한대의 문장과는 다른 것임을 고증하고 위진(魏晉)시대 사람이 저술한 것을 공 안국 저술이라고 칭탁하였다고 고증하였다. 정약용은 주희의 이러한 고증을 ‘귀신처럼 밝은 혜안’이라고 극찬하였다. 주희의 서서(書序) 100편이 공자가 지은 것이 아니라는 주장에 대해, 정약용은 상서 판본의 분류와 연계하여 고증하지 못한 점과 매색의 위고문상서(僞古文尙書)를 자료로 사용한 점을 들어 그 한계와 오류를 지적하였다. 정약용은 주희의 상서문헌비평에 대해서 높이 평가한 일면 그 오류와 한계점에 대해서도 구체적으로 지적 비판하였다. 이러한 주희의 오류와 한계는 채침의 『서집전』에도 그대로 전승되었는데 이점은 채침의 『서집전』을 유일한 주석서 로 사용한 조선시대 상서학에도 심각한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었다. 주희의 상서문헌비평에 대한 정약용의 분석과 평가 는 조선의 상서학의 문제점을 제기하고 한 것이 그 저술의 또 다른 이유라고 보여진다. 이것은 뒷날 추사 김정희의 상서 저술에서 제기한 문제의식과도 유사하다. Review on Massie(梅氏書平) by Jeong Yak-yong(丁若鏞) is written in order to prove that the Old Text Shangshu(尙 書, Book of Documents) presented to the emperor by Mei Ze(梅賾) in Eastern Jin Dynasty was a forgery. In Review on Massie the chapter on Shujizhuan(書集傳), a.k.a. A Collection of Comments on the Shangshu of Cai Chen(蔡沈) who was a disciple of Zhu Xi(朱熹) is an essential part because it was analyzing and assessing the Shujizhuan of Zhu Xi that had been the first book to prove the forgery of Mei Ze’s Shangshu. Zhu Xi did not make the commentary of Shangshu, and Jeong thought that Zhu Xi figured out the forgery of Mei Ze’ s Shangshu to abandon the commentary project of Shangshu. Jeong’s analysis is different from Cai Chen’s remark in the preface of Shujizhuan that Zhu Xi was too old to write the commentary of Shangshu and that he asked Cai to write the commentary. Mei Ze insisted that his Shangshu be written by Han dynasty’s great commentariat Gong Anguo(孔安國). Zhu Xi proved that the grammar of the preface and commentary of Mei Ze’s Shangshu cannot be a Han dynasty’s. Zhu concluded that Mei’s version was written in Weijin(魏晉) period and that it was just attributed to Gong Anguo by Mei. Jeong spoke highly of Zhu’s analysis. Meanwhile, Jeong criticized Zhu for following the same erroneous method as before to classify the Old and New Text of Shangshu. Zhu insisted that the hundred brief prefaces of Shangshu chapters cannot be written by Confucius. Jeong pointed out Zhu’s defect in this insistence. According to Jeong, Zhu could not relate the problem of authenticity of prefaces to the authenticity of Old and New version of Shangshu, and he also used Mei’s Shangshu as the source material. Jeong highly appreciated Zhu’s text critic of Shangshu while he pointed out his errors and limit. Cai’s Shujizhuan followed Zhu’s erroneous method, and Chosun dynasty’s Shangshu study also followed the same way because Chosun’s scholars adopted Cai’s commentary as the authentic commentary of Shangshu. Jeong’s analysis and assessment of Zhu’s study on Shangshu also was targeted at Chosun dynasty’s Shangshu study. His critical mind would be inherited by Chusa(秋史) Kim Jeonghi(金正喜)’s Shangshu study.

      • KCI등재

        일반논문 : 주희(朱熹)의 소목론(昭穆論)과 종묘제(宗廟制) 개혁론(改革論)

        김정신 ( Jeong Shin Kim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2 No.-

        廟制에 있어 位次論과 歲次論의 논쟁은 소목에 의한 세대구분과 제위계승의 현실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즉 계통과 계사가 불일치하는 변칙적 승계의 문제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전개되었다. 이러한 경우 종묘에서 소목 배열을 둘러싼 典禮問題가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며, 그에 대한 해결은 경학상의 중요한 과제가 되었다. 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漢代 이래 종묘에서의 소목 배열은 세차가 관행처럼 행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주희(1130~1200)가 생존하였던 송대에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이에 대해 주희는 한대의 同堂異室 제도와 陸佃(1042~1102)의 昭穆歲次說을 비판하는 한편 태조·태종의 소목배열 문제, 영종의 사친 추숭 문제 등 구체적인 전례문제에서 자신의 의견을 피력함으로써 昭穆位次說을 중심으로 하는 묘제론을 완성하였다. 그렇다면 종묘제도 및 왕실의 전례문제에서 주희가 일관되게 주장해 온 소목위 차설의 정치적 함의는 무엇일까? 먼저 주희가 천리를 매개로 계통과 계사의 연속적측면을 강조하고 군신의리와 부자의리를 동일시하는 臣子一體論을 주장하였음이 주목된다. 주희는 계통의 정당성을 부자 의리로 지칭되는 천리에서 찾았고, 나아가 부자 의리에 기반하지 않는 군신 의리 그 자체의 독자성을 부정하였다. 둘째, 주희는 위차설을 통하여 제왕가에도 예외 없이 종법상 ‘一統’의 원칙을 관철시키고자 하였다. 주희는 위차설에 기반하여 계통이 이루어진 모든 경우에 부자의리를 적용함으로써 계통과 계사가 일치하는 종법상의 일통을 구현하고자 하였다. 주희는 종법의 일통을 실현함에 있어서 공가가 갖는 특수성을 인정하지 않았다. 종법의 일통을 실현할 때 公家든 私家든 관통하는 의리·명분의 내용은 근본적으로 동일하다고 본 것이다. 주희가 군신상하의 공적 질서를 부자관계의 사적 질서와 같은 연장선상에서 거론하였던 것은 이 때문이었다. 이러한 주희에게 세차설이 내포하는 혈통 중심의 논리는 종법의 ‘一統’과 천리에 대한 도전으로 인식되었다. 결국 주희의 위차설은 ‘臣子一體’의 논리로써 계통의 정통성을 천리에 두었던 한편, 궁극에서는 이를 통하여 ‘비종법’적이고 ‘비정통’적인 승계를 방지하고자 하였던 정치적 의도를 내포한 것이라 하겠다. Representing the arrangement of Zhao and Mu, shici(世次) began to be implemented in ancestral shrines during the Han dynasty of China. It was also employed during the days of Zhu Xi and the Song dynasty. However, criticism of the shici enshrinement system designed to enshrine the tablets of brothers who successively acceded to the throne in one room in the ancestral shrine continuously arose from the onset of the Song dynasty onwards. Zhu Xi called for the arrangement of Zhao and Mu in accordance with the concept of weici(位次, succession of legitimacy of the imperial throne based on the proper order of ascension) when dealing with issues such as the arrangement of tablets for Emperors Taizu and the Taizong brothers, and the posthumous designation of Emperor Yingzong’s father. The following can be regarded as the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weici theory which Zhu Xi consistently asserted in terms of the ancestral shrine system. Above all, based on the notion of the heavenly principle(天理), Zhu Xi emphasized consistency in terms of the succession of legitimacy and blood and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loyalty between king and subjects and between father and son. Zhu Xi introduced the notion of the legitimacy of lineages based on heavenly principle, or what he referred to as loyalty between father and son. Furthermore, Zhu Xi refused to accept the notion of the independence of king and subjects if such independence was not based on the loyalty between father and son. In addition, Zhu Xi did not accept the uniqueness of the royal family when it came to the actualization of the ‘unification’ of the patriarchal clan system. He regarded the notions of loyalty and justification that lay at the heart of the actualization of the unification of the patriarchal clan system, and this regardless of whether one was dealing with the royal family or commoners’ family, as being fundamentally the same. As such, for Zhu Xi, succession to the imperial throne based on the notion of shici.

      • KCI등재

        朱熹的主敬說:會通直覺主義和理性主義的工夫論

        주원협 ( Yuan Xia Zhou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4 율곡학연구 Vol.29 No.-

        공부론에 있어서 직관주의와 이성주의는 기본적인 양대 경향이다. 주희는 정이의 이성주의적 경향을 계승하여 격물 궁리를 주장하면서도, 동시에 주경 함양을 주장함으로써 밖으로 지식을 구하는 태도가 가져올 수 있는 도덕 수양의 결핍에 대한 간과를 보충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후대의 성리학자들이 점차 독서 공부를 중시함에 따라, 주경 함양은 상대적으로 위축되었다. 이에 따라 원명시기의 성리학자들은 이러한 경향을 바로잡기 위해 점차로 주희의 주경설을 중시하게 되었다. 그래서 주경이 격물보다 우선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게 되었으며, 더 나아가 주경으로 격물을 대체하는 ‘치량지’ 학설이 출현하기에 이르렀다. 이렇게 지식과 도덕의 목적을 하나로 통일한 것이다. 주희가 아무리 “함양에는 경을 써야 하고, 학문이 진전하기 위해서는 치지해야 한다”라고 함으로써 직관주의와 이성주의의 장점을 융합하고자 했다 하더라도, 이러한 이론적 융합은 ‘성즉리’ 혹은 ‘심통성정’의 이론적 구조 하에서 그 애초의 모습을 벗어나기 마련이었다. 결국은 양명의 ‘마음 밖에 이치란 없다’라는 구조 하에서의 ‘치량지’설이 출현하게 된 것이다. 이 글에서는 이하의 세 가지 측면에서 논의를 전개하고자 한다. 첫째, 주희 사상 자체의 변화 과정에서 보았을 때, 주경설은 주희가 도남학파의 주정적 직관주의로부터 정이의 이성주의로 전향한 것임을 의미한다. 정이는 “함양에는 경을 써야 하고, 학문이 진전하기 위해서는 치지해야 한다”는 공부론을 제시했다. 즉 ‘주정(主靜)’설이 ‘주경(主敬)’설로 바뀐 것이다. 그러나 정이 문하에서 ‘주경설’이 완전히 ‘주정설’을 대체한 것은 아니다. 양시는 “미발의 때에 희노애락의 기상을 체험해야 한다”라고 주장하기도 했고, 나종언과 이동은 일생동안 ‘미발체험’에 주력했다. 도남학 계열의 공부론은 본질적으로 여전히 ‘주정설’에 입각한 직관주의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태도는 장구와 훈고에 열중한 주희와 온전히 맞을 수는 없었다. 왜냐하면 주희는 시종 ‘고요함 속에서의 미발에 대한 체험’의 경지를 체험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는 이로부터 출발하여 미발과 이발의 관계에 대해 지속적으로 숙고하였으며 결국 두 번에 걸친 중화(中和)에 대한 깨달음을 거쳐 ‘주경함양, 진학치지’의 공부론을 확립하였다. 즉 도남학파의 직관주의로부터 정이의 이성주의 공부론으로 전향한 것이다. 둘째, 주희 사상 체계 자체의 논리로 보았을 때, 주경설은 직관주의와 이성주의의 특징을 겸비하고 있다. 이는 주희 심성론의 필연적 발전이며 격물치지설의 이론적 수요에 대한 보완이라고 할 수 있다. 주희의 주경설은 미발과 이발 두 층위의 함의를 지니고 있다. 미발 단계의 ‘주경’은 정(靜)을 위주로 한 것으로서 이동의 ‘미발체험’의 직관주의적 공부론에 상당히 근접해 있다. 미발과 이발을 관통하는 ‘주경’은 반드시 ‘활동’하고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주희의 학술 체계에서 주경함양과 격물치지는 결코 선후의 관계 혹은 경중의 관계라고 할 수 없다. 오히려 이 둘은 ‘함께 나아가고 서로 돕는’ 관계라고 할 수 있다. 즉 주경함양과 격물치지라는 두 가지 공부방법은 서로 연결되고 서로 돕는 관계이다. 주희가 반복해서 주경을 강조한 것은 심성 공부 자체의 논리적 발전의 필연적 귀결이라고 하겠다. 주희의 체계에서 마음은 지각능동성을 지니고 있으면서 동시에 이성인지와 직관적 감지 능력을 지니고 있다. 때문에 반드시 공부의 과정을 거쳐야 심의 주재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그래야만 ‘본성’이 ‘감정’을 주도하고 ‘이치’가 ‘감정’과 ‘욕망’을 다스린다는 목적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주희가 제시한 주경론의 애초의 의도는 좀 더 효과적으로 격물 궁리를 전개하고자 한 것이다. 이론적 측면에서 주경의 태도는 외부에서 지식을 구하는 격물의 결함을 보완할 수 있다. 외부의 대상이나 사태를 향하는 격물 궁리와는 달리 주경은 내면을 향한다. 몸과 마음에 대한 수렴과 정신의 집중은 격물 궁리에게 결핍되어 있는 심신 수양을 제공해준다. 하지만 심학가들에게서 정주(程朱)식의 주경으로 격물 궁리 공부를 보조하려는 태도는 여전히 주경과 궁리를 둘로 나눈다는 혐의를 벗어날 수 없었다. 셋째, 성리학의 역사는 후세의 유자들이 갈수록 독서 궁리를 중시하고 주경 공부를 상대적으로 간과하는 경향으로 흘러갔음을 보여준다. 원명 시기의 성리학자들은 주희 성리학 체계 내부를 조정하고자 하였다. 주경설이 심의 주재 작용의 발휘를 강조한 것은, 후대의 주륙회통설에 이론적 가능성을 제공해주었고 양명의 치량지설에 일정정도의 계기를 제공했다. 원명 시기의 성리학자들은 여전히 격물치지와 주경함양의 병행이라는 수양 방법을 주장하기는 했지만, 어디까지나 주경 공부를 격물 궁리보다 더 중요하고 더 우선적인 위치에 두었다. 오징 같은 원대 유자나 호거인 같은 명대 유자들은 모두 격물과 주경 중에서 주경 공부를 좀 더 강조하였다. 호거인은 ‘마음과 이치는 본래 하나다’라는 관점을 제기하여 본체로서의 리와 인식으로서의 심을 하나로 합치려고 시도함으로써 주경과 궁리를 둘로 만들지 않으려고 하였다. 이러한 추세는 점점 발전하여, 왕양명에 이르러서는 ‘치량지’설을 제시함으로써 거경과 궁리를 완전히 하나로 합일하는 단계에 이르렀다. 중국과는 달리 양명학이 흥기했던 그 무렵에 한국의 성리학자들은 주희의 주경설을 계승 발전시켰다. 그래서 이퇴계나 이율곡 등은 모두 ‘경은 성학의 처음이자 끝이다’라는 공통된 인식을 지녔으며 이러한 태도는 한국 유학의 기본적인 핵심이 되었다. 한국 유학은 경을 중시함으로써 거경과 궁리를 둘로 나누지 않게 되었으니 이는 주희 공부론의 이론적 보완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양명의 ‘치량지설’이 한국에서 일정정도 발전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정주 성리학을 주도로 하는 한국 유학만의 독특한 현상을 조성하게 되었다. In terms of method of spiritual cultivation, there are two basic tendencies: intuitionalism, rationalism. ZhuXi inherited and developed ChengYi’s rationalism tendency. On one hand, he proposed gewu (investigating things) qiongli(investigating li),on the other hand, he proposed scholars must cultivate their morality by zhujing(attentiveness) to make up for the defect of gewu(investigating things) that emphasizing on investigating the outer world and ignoring cultivation of the inner heart. However, gewu especially reading classics was paid more and more attention and spiritual cultivation by zhujing was more and more neglected in the later period. So the Confucians in Yuan and Ming dynasty began to correct the tendency and laid increasing emphasis on ZhuXi’s theory of zhujing. They argued that zhujing took precedence over gewu, and with the developing of this tendency WangYangming proposed the theory of zhiliangzhi(extention of intuitive knowledge) and integrated the knowledge and morality goal of study. The thesis will be discussed in the following section: firstly from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Zhuxi’s thought, the theory of jing(attentiveness) marked ZhuXi’s change of thought from the intuitionalism of jing(quiescence) to ChengYi’s rationalism. Secondly from the logical development of ZhuXi’s ideology, the theory of jing combined intuitionalism with rationalism, which was the development of ZhuXi’s theory of xin(mind) and xing(nature), and also complemented his theory of gewu. Finally the theory of jing(attentiveness) emphasized on the predominate role of xin in the spiritual cultivation, which provided the challenge for Yanming’s theory of zhiliangzhi.

      • KCI등재후보

        특별기고(特別寄稿) : 주희의 직업사상

        정영근 ( Yeong Keun Ju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5 韓國思想과 文化 Vol.80 No.-

        주희가 직업적 활동에 대해 직접적으로 논의한 내용은 극히 드물다. 하지만 주희는 개인의 도덕적 수양만 중시한 것이 아니라 사회적 실천을 통해 현실을 개혁하려는 노력 또한 중시하였다. 사회적 실천의 중심은 직업활동이라고 말할 수 있기 때문에, 주희의 사상 속에서 직업과 관련된 내용을 읽어 내는 것이 어려운 것은 아니다. 본 논문은 일과 직업이라는 관점을 가지고 주희의 사상내용을 재구성하고 재해석해 봄으로써 주희가 가지고 있는 직업사상의 대강과 특징을 찾아본 것이다. 주희는 개인의 도덕적 덕성을 완성하는 것을 누구보다 강조하고, 이에 기초한 사회적 실천만이 현실적인 문제들을 올바르게 처리하여 사회전체의 질서와 조화를 이루어낼 수 있다고 주장한다. 주희는 현실의 이익이나 결과의 실용성만을 추구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개인의 도덕적 타락 및 사회적 갈등과 무질서를 경계하였다. 이상에 의해 지도되고 이상적으로 질서 잡히지 않는 현실은 불안정하고 무의미하다는 것이 주희의 생각이다. 주희는 자신이 처한 사회적인 위치와 역할에 대한 자각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자신에게 요구되는 구체적인 역할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그 일을 왜 해야 하는 것이고 또한 어떻게 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바른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주희는 구체적인 사물이나 일에 대해서 전심전력으로 다가감으로써 그 것을 대하는 올바른 도리를 깨우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의 일에 대해서 공경을 다하는 것은 도덕적 수양과 인격의 완성으로부터 비롯하는 기본적인 태도이기도 하고 인격완성에 이르는 핵심이기도 하다. 주희는 개인의 인격수양이나 현실적인 일을 처리함에 있어서 가장 유의해야 할 점은 부당하게 자신의 이익을 도모하는 사심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기적인 사심을 제거하고 공적인 이익과 질서에 합치하려는 마음을 회복하는 것을 무엇보다 강조한다. 주희는 개인적 삶이나 사회적 실천에 있어서 올바름을 추구하는 것이 가치가 있는 삶이라고 보고 있고, 그 올바름을 판단하는 핵심에 공정성이 자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Max Weber는 공정성을 중시하는 유교의 직업에 대한 생각을 유기적직업윤리라고 규정하고 개인의 자아실현이 저해될 수 있다고 비판한다. 그러나 항상 공적 질서와의 관계 속에서 일을 생각하고 공적 질서와의 조화를 모색하면서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개인의 성숙한 인격 및 행복한 삶을 위해서도 이상적인 사회의 건설을 위해서도 긍정적인 의미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Zhuxi emphasized social practice as well as moral cultivation as a means of reforming reality. Work being the central part of social practice, it is not difficult to read work-related arguments in his philosophy. This thesis examines the broad characteristics of Zhuxi`s philosophy on work through reconsidering and reconstructing his thoughts with particular focus on work and occupation. The foremost emphasis in Zhuxi`s argument lies on individual`s moral cultivation, and he contends that only the social practices based on that virtue could create harmony with social order by properly dealing with practical issues. He was vigilant on social conflict and chaos along with individuals` moral corruption, which could be brought about by selfish pursuit of profit or single-minded chase after practical results. According to Zhuxi`s theory, reality that is not structured according to an ideal is precarious and meaningless. Zhuxi strongly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acknowledge one`s place and role in the society. He believes that in order to perform one`s specific role required by the society, it is crucial to thoroughly understand why and how that work should be done. Zhuxi also maintains that approaching concrete object or work with wholehearted sincerity allows one to realize what the proper way to fulfill one`s duty. Zhuxi suggests selfish motive that seeks unfair profit as the most perilous factor in cultivating oneself as a person or in handling practical work. Thus, he puts emphasis on recovering the wish to maintain in accordance with the public good and the system while eliminating selfish purposes. Zhuxi believes that worthy life pursues righteousness both in private life and social practice; and public justice lies at the center of determining righteousness. Max Weber defines Confucian thought on occupation that emphasizes public justice as an organic ethics of work and criticizes it for its risking individual self-realization. However, fulfilling one`s duty in balance with the public system and considering one`s work in relation to the public system has its merits both in terms of cultivating mature self and leading a happy life as well as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of an ideal society.

      • KCI등재

        주희(朱熹) 철학에서 이순(耳順)의 형이상학적 의미 - 『논어(論語)』 ‘지우학(志于學)’장에 대한 주희의 해석을 중심으로

        신상후 대동철학회 2018 大同哲學 Vol.85 No.-

        『논어』 「위정(爲政)」 ‘지우학(志于學)’장은 공자(孔子)가 자신의 인생을 회고하며 스스로 거쳐 온 삶의 과정을 6단계로 서술한 내용이다. 공자는 유학에서 인간의 이상이자 목표로 제시되는 성인(聖人)의 현현이기에, 공자의 삶의 과정에 대한 직접적 서술은 유학자들의 많은 주목을 끌었다. 그러나 그 구체적 해석에 있어서는 견해의 차이를 보이는데, 그 차이는 특히 ‘이순(耳順)’에 대한 이해에서 분명히 드러난다. 주희(朱熹)는 이순을 ‘앎이 지극해져 생각하지 않아도 아는 것[知之之至 不思而得也]’으로 해석하였다. 불혹(不惑)-지천명(知天命)-이순(耳順)의 단계를 앎[知]의 심화과정으로 본 것이다. 이러한 해석은 후대의 학자, 예컨대 다산(茶山)ㆍ이토 진사이[伊藤仁齊]ㆍ초순(焦循) 등에게 거부되었다. 이들은 ‘이순’을 ‘이치에 어긋나는 말이나 자신을 비방하는 말을 들었을 때 귀에 거슬리지 않음’의 의미로 해석하였으며, 주희의 해석에 대해서는 ‘공자를 신성화하려 했던 무리한 시도에서 발생한 오역’이란 평가를 내렸다. 그러나 주희의 해석은 그의 존재론과 심성론에 입각해있는 것으로서, 다산 등의 지적과 반대로 주희는 이순을 포함한 6단계의 과정에 대해 ‘신성한 성인’에게 적합한 것이 아니라 보통사람에게 알맞은 점진화 과정이라고 보았다. 말하자면, 주희에 해석에 대하여 공자의 신성화를 문제 삼는 것은 실상 주희가 계획한 인간의 신성화를 거부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지우학’장에 대한 주희의 해석은 그의 존재론과 심성론의 전체 문맥 하에서 이해하여야 오독을 피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주희가 ‘불혹-지천명-이순’을 앎[知]의 심화 과정으로 이해한 것에 주목하되, 그 이해의 토대로서 그의 ‘본체-현상의 일원적 존재론(체용일원(體用一源)의 존재론)’을 먼저 검토하였다. 그 존재론을 검토하여야 불혹, 지천명, 이순 사이의 의미 차이가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주희는 불혹을 사(事)의 측면에서 아는 것, 지천명을 리(理)의 측면에서 아는 것, 이순을 사(事)와 리(理)에 모두 통달한 것이라고 하여 구분한다. ‘사(事)-리(理)-리사(理事)’의 진전은, 화엄(華嚴)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현상적 앎-본체적 앎-본체와 현상을 통일하는 앎’이라는 말로 설명할 수 있다. 천리가 본체적 측면과 현상적 측면의 두 층위를 갖는 만큼, 앎의 극치에 도달한 성인은 천리의 두 측면에 대한 앎을 모두 획득하여 둘을 통일하는 인격이며, 이러한 성인의 경지를 『논어』 ‘지우학’장의 용어로 하면 ‘이순’이 되는 것이다. 'Jiwoohak' in Confucian Analects is described as one stage of the six-process of life written by Confucius after he recalls his own life. Since Confucius is suggested as a incarnation of sage and also as a being of ideal living, many Confucian scholars have paid attention to this direct description of Confucius's life. Nevertheless, the Confucian scholars show different opinions on a detailed interpretation, especially on the interpretation on 'Isoon(耳順)'. Zhu Xi interprets 'Isoon' as a stage of getting to know without thinking because of that one's Ji(知) reached the most. He thinks that the three-process of 'Boolhok(不惑)' - 'Jicheonmyeong(知天命)' - 'Isoon' is an intensive course of 'Ji'. But, this Zhu Xi's interpretation is rejected by some of the later scholars such as Dasan Chong Yak-Yong, Ito Jinsai and Jiao Xun etc. These later scholars interpret that 'Isoon' is a stage of being not offensive when someone hears of something against the process of nature or slander on oneself. And they regard Zhu Xi's interpretation as a mistranslation by his impractical attempt to sanctify Confucius. However, Zhu Xi's interpretation is based on his Theory of Mind-Nature and the six-process is applied not to a sage but to an ordinary human. Therefore, to raise a question on Zhu Xi's interpretation means to disagree the sanctification of human designated by Zhu Xi and Dasan Chong Yak-Yong and Ito Jinsai stand on that position. Then, Zhu Xi's interpretation on ‘Jiwoohak’ should be read in the context of his Mind-Nature Theory not to misread it. In addition, to analyze his interpretation on the six-process of life can help Zhu Xi's Theory of Mind-Nature and understanding of human. This paper focuses on that the three-process of 'Boolhok' - 'Jicheonmyeong' - 'Isoon' is an intensive course of 'Ji'. Zhu Xi accounts that 'Boolhok' is to know in terms of Sa(事, affair), 'Jicheonmyeong' is to know in terms of Li(理, principle) and 'Isoon' is to be well versed in terms of both Sa and Li. The progress of 'Sa - Li - Li and Sa' can be explained as 'phenomenalistic knowing - substantialistic knowing - knowing the unit of phenomenon and substance' as Avatamsaka shows. The development of this three-process means not an increase or extend of the knowledge but a leap and qualitative transformation of a subject and object.

      • KCI등재

        주희의 도연명의 시가 수용과 인격 비평 -주희에 의한 도연명의 충신으로서의 전범화-

        노우정 ( Woo Jeung Roh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5

        도연명은 중국문학사와 문화사의 특수한 인물로, 송대 이후는 물론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에서도 ‘충신의 전범’으로 인식되었는데, 이는 성리학의 집대성자로서 중국사상사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주희의 영향이 크다. 주희는 도연명의 인격을 유교적 인격을 가진 인물로 규범화하였다. 주희는 도연명을 유교에서 이상적으로 여기는 현인과 군자로 인식하였고, 나아가 충신의 전범으로 평가하였다. 주희의 도연명의 인격에 대한 평가는 시인 도연명을 이상화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쳤다. 주희는 心性學의 관점에서 도연명의 작품을 그의 인격과 연관 지어 비평함으로써, 도연명의 自然과 超脫은 배우려 해도 배울 수 없다고 평가하였다. 주희가 도연명을 유교적 인격의 전범이자 후천적인 노력으로는 따라갈 수 없는 경지의 시인으로 규범화 한 것은 신유학으로써 중화적 정통사상과 주체성을 확립하려는 주희의 시대적 사명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주희는 군신관계가 와해되고 정치적으로 위기에 처한 남송 시기의 지식인으로서, 정통유학을 계승한 성리학을 시대사상으로 확립하고, ‘天理’로 이루어진 군신관계를 정립하여 왕조의 통치를 정당화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기치 아래 주희는 유교적 인격의 모델을 모색하는 체계를 진행하였다. 주희는 도연명의 인격을 유교적인 인물의 범위 안에서 규정화하였고, 도연명의 시문에 대해서도 유가의 덕목인 충심, 정절, 의리가 반영된 작품에 특별히 주목하고 <귀거래사>를 정전으로 평가하였다. 주희는 도연명을 성인의 경지라고는 받들지 않았는데, 이를 통해 주희가 특별히 도연명의 시문에 드러난 유가사상과 ‘충’의 덕목을 주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주희에 의한 도연명의 유교적 인격으로의 규범화는 남송의 정치현실에서 유학적 이념으로 중국의 정체성을 회복하고 왕조의 통치를 정당화하여 이를 중국 문화의 표준으로 삼고자 한 체계로서 진행된 것이며, 그 영향은 주희의 성리학을 지식권력으로 수용한 조선에까지 미쳤다. Song Dynasty, after the course, Taoyuanming has got enduring prestige that is "Idolization of the personality" in East Asian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 which was greatly influenced by Sushi in the Northern Song and Zhuxi in Southern Song. Zhuxi had played thinkers, as well as actively as a literary critic. He accepted Taoyuanmingg`s archaism poem and criticized the retreat, lineage, personality, philosophy of lif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etry of Taoyuanming. In this process, Zhuxi standardized Taoyuanming`s personality into sage, gentleman, and loyalist, which is progressed to recover the identity of confucianism as system to seek to confucian model of personality. Highly rated Taoyuanming`s personality by Zhuxi affected the idealized poet Taoyuanming. Zhuxi suggested and imitated Taoyuanming`s archaism poem which has no rhetorical embellishments and reflect rich philosophy as the rules of the poetry. And Zhuxi as Song Dynasty scientist idealized that Taoyuanming`s nature and detachment from the point of view crane plutonic is best stage which can be reached after the holy Spirit and the moral training you need to combine and future generation can not even learn to. However, Zhuxi did not evaluate Taoyuanming`s personality as the state of a saint. Zhuxi regulated Taoyuanming`s personality within the scope of the confucian figures, and also evaluated his poetry and prose like "Guiqulaici(Homecoming Song)" as canon while paying attention to his poetry and prose to reflect loyalty, fidelity and sincerest. With this point in view, we can know that Zhuxi pay attention to virtues like confucianism and loyalty especially.

      • KCI등재

        朱熹 理本論의 서예관 적용에 관한 연구

        왕 소유 한국동양예술학회 2022 동양예술 Vol.56 No.-

        유가의 학설은 송대 이후 성리학자들의 재해석을 거쳐 새로운 모습으로 많은 사회문화와 예술활동 속에 스며들었다. 성리학은 의리(義理)에 대해 상세한 해석을 중시하며, 간결하고 명확한 도덕 윤리와 사변(思辨)적인 특징으로 정치·사회·문학·예술 등의 분야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 주희 미학 사상에서 리(理) 자체는 진(眞)·선(善)·미(美)가 하나로 어우러진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 속에는 선(善)을 전제로 하는 미(美)도 포함된다. 주희는 '리본론'(理本論) 사상의 영향 아래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서예관(書藝觀)을 구축하여 후세에 깊은 영향을 주었다. 주희의 서예이론은 ‘천하의 일을 자신의 임무로 삼는다(天下爲己任)’는 도덕적 자율을 갖춘 서예 이론이다. 주희의 서예는 그의 학문적 성취만큼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서예사(書藝史)에서도 분명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글의 질문은 주희의 서예관이 주로 어떤 이론에 근거하여 설명되는가 하는 데서 시작된다. 필자는 이 질문에 대해 주희의 서예관은  주로 그 리본론에 기초하여 설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 근거는 理가 주희의 철학과 서예 미학의 최고 범주라고 볼 수 있고, 현존하는 주희의 문집에도 理로 서예와 문자를 논하는 문헌 자료가 많다는 점이다. 주희의 서예관도 주희의 학술사상을 보여주는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성리학·경학과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였다. 본 논문은 주희의 '리본론' 사상이 서예관에 미치는 영향을 접점으로 주희의 성리학과 서예미학의 적합성, 그리고 주희 철학 사상이 서예 품평(品評)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이러한 작업을 통해 理를 궁극의 준칙으로 삼는 문예관이 서예의 예술적 가치를 드높인다는 점을 확인한다. 주희의 '리본론'은 후대의 문예미학사상의 발전, 특히 서예이론의 사상적 기초를 놓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였다. 또한 문인사대부가 서예라는 예술적 실천을 통해 자기 수양과 도덕성 함양에 적극적 관심을 갖도록 유도하였다. 이 연구는 주희의 理 본체론 관점으로 서예관의 학술적 가치를 탐색하고, 그 이론의 가치와 사상적 특징을 발견할 수 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儒 · 佛의 修養 · 修行의 윤리적 의미에 대한 비교분석 -知訥과 朱熹를 中心으로-

        김종용(金鍾龍)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21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7 No.-

        동양철학의 윤리학에서 유 · 불(儒 · 佛)의 수양(修養) 또는 수행(修行)은 자기완성의 방법론임과 동시에 윤리적 인간을 양성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론이다. 동양철학에 있어서 두 철학은 몇 천년에 걸쳐 서로에게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두 철학 및 사상의 수양 또는 수행론의 이론적 근간(根幹)과 종지(宗旨)가 다른 만큼 방법론에 있어서도 상이(相異)한 부분 또한 적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양철학, 나아가 한국 유 · 불 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준 지눌과 주희를 중심으로 이를 살펴보았다. 두 인물의 수양 또는 수행에 있어서 전제는 모든 인간은 보편적으로 윤리적 가능태를 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에 두 인물 모두 만인(萬人)은 윤리적 기준을 태생적으로 내재하고 있으며, 이를 수양 또는 수행을 통해 발현할 수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들이 주장하는 윤리적 기준, 즉 주희에게 있어 성리(性理), 지눌에게 있어 공적영지(空寂靈知)를 밝히기 위한 방법론과 이론적 설명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지눌은 큰 자비[大悲] 서원 전제로 한 정혜(定慧) 수행과 더불어 간화선을 통한 깨달음으로 말미암아 드러나는 공적영지 또는 무심(無心)이 윤리적 기준이 된다고 말하는데, 이는 수행을 통해 선정(禪定)에 들게 되면 곧 영지(靈知)가 드러남으로 깨달음[定]과 지혜[慧]에 대한 시간적 또는 개념적 간극(間隙) 없이 실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공적영지에 기인한 윤리적 행위는 무위적인 것으로 직관적 판단에 가깝다. 이에 반해 주희는 심(心)의 주재성(主宰性)을 강조하고 이러한 심은 모든 수양의 과정에서 경(敬)으로써 내적을 긴장 상태를 유지한다. 주희는 윤리적 판단 및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먼저 거경함양(居敬涵養)으로써 자신의 인욕을 절제함과 동시에 격물치지(格物致知)를 통해 성리를 활연관통(豁然貫通)하여 성리(性理)가 온전할 수 있도록 함양해야 하고[先涵養], 이후에 이러한 함양 공부를 기반으로 한 앎으로써[先知後行] 모든 언행에 앞서 자신을 찰식하여[後察識] 중절(中節)을 유지토록 하였다. 따라서 주희의 윤리적 인간 완성은 단계적이며 이성주의적 판단에 기반한다고 할 수 있다. In the ethics of East Asian philosophy, Xiu-Yang[修養] or Xiu-Xing[修行]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s a methodology of self-completion and a representative methodology for cultivating ethical human beings. In Eastern philosophy, the two philosophies had a profound influence on each other for thousands of years. However, the theoretical logic and ultimate goal of Xiu-Yang[修養] or Xiu-Xing[修行] of these two philosophies are still different. Therefore, in this thesis, we have looked into the oriental philosophy, focusing on Ji-Nul[知訥] and Zhu-Xi[朱熹], which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philosophy of Confucianism and Buddhism in Korea. In the two philosophies Xiu-Yang[修養] or Xiu-Xing[修行], the premise is that all human beings have universal ethical possibilities. Both philosophies considered that human ethical possibilities could be realized through Xiu-Yang[修養] or Xiu-Xing[修行]. However, the methodology and theoretical for realizing the ethical standards they argue, namely, Xing-Li[性理] of Zhu-Xi[朱熹], Kong-Ji-Ling-Zhi[空寂靈知] of Ji-Nul[知訥]. The explanation was different. Ji-Nul [知訥] asserts that Ding-Hui-Xiu-Xing[定慧修行] and Kan-Hua-Chan[看話禪] should be practiced on the premise of a vow of great mercy. Kong-Ji-Ling-Zhi[空寂靈知] or Wu-Xin[無心] is said to be an ethical standard. Wisdom based on these ethical standards is realized through ethical conduct. There is no temporal or semantic gap between wisdom and action. In addition, the ethical behavior caused by Kong-Ji-Ling-Zhi [空寂靈知] is unconsciously close to intuitive judgment. On the other hand, Zhu-Xi[朱熹] emphasizes the subjectivity of Xin[心], and this Xin[心] maintains a state of psychological tension as Jing[敬] in the process of all Xiu-Yang[修養]. Zhu-Xi [朱熹], in order to conduct ethical judgment and conduct, first restrained his human desire with Ju-Jing-Han-Yang [居敬涵養]. In addition, it emphasizes the need to realize Xing-Li[性理] through Ge-Wu-Zhi-Zhi[格物致知]. Afterwards, you must observe yourself and maintain Zhong-Jie[中節] before all words and actions by knowing based on disciplin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Zhu-Xi[朱熹]"s ethical human perfection is step-by-step and based on rationalistic judgment.

      • KCI등재

        知訥과 朱熹의 倫理思想에 대한 比較分析 -心性論을 中心으로-

        김종용 한국불교연구원 2021 불교연구 Vol.54 No.-

        한국 윤리사상의 근간에는 儒·佛의 사상이 복합적으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한국 철학의 중심에는 단연 지눌(知訥, 1158-1210)과 주희(朱熹, 1130-1200)의 사상이 至大的이다. 그들의 사상은 한국 철학의 전반에 영향을 주었으며, 윤리학 또한 그중 하나이다. 이들의 윤리학적 논리는 ‘인간을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서 출발한다. 이러한 물음의 해답은 心性論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심성론의 해석 위에서 윤리학의 이론과 방법론이 구축되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은 한국의 윤리학적 근거를 추적하기 위해 두 인물의 윤리학을 심성론을 중심으로 비교분석 하였다. 그 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분류되었다. 첫째, 두 이론 모두 인간은 선험적으로 윤리적 기준을 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지눌은 眞心이 곧 空心임을 깨달아 이에 혼연히 드러나는 空寂靈知로 말미암는 윤리적 판단을, 주희는 마음[心]의 主宰로 말미암는 性=理가 윤리적 판단의 기준이 된다고 보았다. 둘째, 두 인물 모두 순수한 인간 그 자체로는 윤리적 행위가 불가하다고 보았다. 지눌은 진정한 윤리적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解悟를 전제로 하였고, 주희는 정당한 공부의 과정 없이 곧장 도덕적 自覺 또는 도덕적 知覺에 이르려는 것은 불가하다 말하고 이에 居敬涵養의 공부가 전제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셋째, 지눌의 윤리적 행위의 논리는 자신과 타인 그리고 만물과의 경계를 허무는 것에서 온다. 이에 지눌의 윤리적 행위는 타인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본질로 들어간다면 곧 자신을 돕는 것이며[自利利他], 만물을 모두 소중히 여기는 것 또한 같은 논리이다. 하지만 주희는 이러한 物我爲一의 개념에 의한 윤리적 행동을 비판한다. 주희는 만물과 내가 하나인 경지에 이르게 되면 仁을 구하고자 하는 이는 공부를 어디로부터 시작해야 할지 모르게 되며, 仁은 自心의 이치인데 남과 나의 구분이 없게 되면 누가 주체가 되어 누구를 사랑하는 것인지 알 수 없다고 하였다. 넷째, 지눌의 윤리적 판단은 공적영지에 의한 판단으로 이러한 판단은 무위적인 것으로 이성적 판단이 아닌 직관적 판단에 해당한다. 반면 주희의 윤리적 판단은 心에 의한 자율적 행위로, 심의 주재에 의한 이성주의적 판단에 해당한다. Confucianism and Buddhism are in a complex harmony at the basis of Korean ethical thoughts. At the center of this Korean philosophy, the ideas of Ji-Nul(知訥, 1158-1210) and Zhu-Xi(朱熹, 1130-1200) occupy a large part. Their thoughts influenced the whole of Korean philosophy, and ethics was one of them. Their ethics start from 'how to interpret humans?'. The answer to these questions can be found in Xin-Xing-Lun[心性論]. The theory and methodology of ethics are constructed on the basis of this interpretation of Xin-Xing-Lun[心性論]. This thesis compared and analyzed the ethics of the two characters, focusing on Xin-Xing-Lun[心性論] to trace the ethical basis of Korea. The results were largely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both theories say that humans have inherent ethical standards. Ji-Nul[知訥] refers to an ethical judgment based on Kong-Ji-Ling-Zhi[空寂靈知] that is revealed by realizing the original emptiness of Zhen-Xin[眞心]. However, Zhu-xi[朱熹] regarded the Li[理] of Xing[性] presiding with Xin[心] as the standard for ethical judgment. Second, both figures considered that pure humans themselves were not capable of ethical behavior. Ji-Nul[知訥] presupposes Jie-Wu[解悟] in order to conduct a genuine ethical act. And Zhu-xi[朱熹] said that it is impossible to achieve moral awareness directly without a proper course of study, and he saw that the study of Ju-Jing-Hamg-Yang[居敬涵養] should be premised. Third, the logic of the ethical behavior of Ji-nul[知訥] comes from breaking the boundaries between oneself, others, and all things. Therefore, Ji-Nul[知訥] ethical behavior is for himself, not for others. It is also the same logic to value all things. However, Zhu-Xi[朱熹] criticizes the ethical behavior of the concept of Wu-Wo-Wei-Yi[物我爲一]. Zhu-xi[朱熹] said that when all things and I reach the level of being one, those who want to save Ren[仁] do not know where to start their studies. ‘Ren[仁] is the reason of one’s own heart, but if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me and others, it is said that it is impossible to know who is the subject and loves whom. Fourth, Jinul's ethical judgment is a judgment based on Kong-Ji-Ling-Zhi[空寂靈知], which is a judgment of Wu-Wei[無爲]. Therefore, it is an intuitive judgment, not a rational judgment. On the other hand, the ethical judgment of ‘chuu’ is an autonomous ethical act by the mind, which corresponds to a rational judg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