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의 자유로부터 유래한 인간의 자유: 셸링의 자유론을 중심으로

        이진주 철학연구회 2022 哲學硏究 Vol.- No.138

        이 글은 셸링에게서 인간의 진정한 자유가 무엇인지를 신의 자유와 인간 자유의 연관성을 통해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셸링이 인간 자유의 실재적이고 생동적인 개념을 왜 ‘선과 악의 능력’으로 규정했는지 납득할 만한 설명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먼저 신의 자유는 신이 자신 안에 실존과 근거라는 두 계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부터 설명되는데, 이를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 자신을 계시하려는 신의 의지는 신의 실존과 그것의 근거라는 두 계기의 구분을 통해 드러나며, 이렇게 드러나는 의지의 현실화가 바로 신의 자유다. 이 글은 셸링이 신의 자유를 해명하는 과정에서 신의 자기계시를 통해 인간을 포함한 자연존재자의 생성을 설명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이때 인간은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신 즉 정신으로서 신과 마찬가지로 어두운 원리와 빛의 원리 사이에서 스스로로부터 자유롭게 행위 할 수 있는 정신이라는 점에서 다른 존재자들과 구분되며, 그러한 인간의 자유는 어두운 원리와 빛의 원리와의 연관관계 아래서 선에의 그리고 악에의 능력으로 설명 가능하다. 부정할 수 없이 악의 능력 역시 인간 자유의 가능성이며, 그러하기에 악의 현실화 또한 인간 자유의 한 발현이다. 그러나 우리는 이러한 악의 현실화로서의 삶이 자유의 한 양태이기는 할지언정 진정한 자유는 아니라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신이 그 자체로 순수한 사랑이고 선함이라는 점에서, 신의 자유인 신의 자기계시가 사랑의 자기계시라는 점에서, 그리고 이 신의 자기계시가 인간의 실존과 자유를 통해서 완성된다는 점에서, 진정한 자유는 신의 자기계시가 목표하는 사랑을 인간을 통해 이 땅에 실현하는 그 일이다.

      • KCI등재

        스피노자의 신의 사랑

        이현복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6 No.-

        본 논문은 스피노자에 있어서 “신의 사랑”을 주제로 삼고 있다. 이 주제는 스피노자의 자유의 윤리학이 마침표를 찍는 곳이다. 예속인에서 자유인으로, 수동인에서 능동인으로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모색하고 있는 스피노자의 윤리학은 결국 신을 사랑함으로써 모든 번뇌에서 벗어나 영혼의 평정에 이룰 수 있다는 것에 도달한다. 스피노자에 있어 사랑은 그 대상에 따라 구별된다. 소멸되는 사물에 대한 사랑과 불멸의 사물에 대한 사랑이다. 사랑이 사랑하는 주체와 사랑되는 대상과의 합일이라면, 전자의 사랑은 무상하고 부질없는 것인 반면, 후자의 사랑은 영원하고 불변하는 것이다. 바로 영원하고 불변한 대상, 즉 신에 대한 사랑이야 말로 스피노자에 있어서 최상의 행복일 수 있다. 신의 사랑을 스피노자는 두 가지로 나누어 고찰한다. 신에 대한 사랑과 신의 지적 사랑이 그것이다. 신에 대한 사랑은 직관지에 이르지 못한 정신이 정서의 예속에서 벗어날 수 있는 임시적 방편이다. 신체의 변용에 대한 명석 판명한 관념을 형성하고, 이것을 신의 관념과 결부해서 신을 사랑하는 것이다. 신체와 연관된 한에서의 이 사랑은 모든 정서 가운데 가장 항구적이긴 하지만 신체와 더불어 소멸된다. 반면에 신체와 무관한 한에서의 신의 지적 사랑은 직관지에서 생기며, 따라서 이 사랑은 영원하고, 어떠한 것도 이 사랑을 파괴할 수 없다. 정신의 영원한 부분인 지성이 신을 지적으로 사랑하는 것으로서, 이 사랑은 신이 자신을 사랑하는 무한한 사랑의 일부이다. 정신의 신에 대한 지적 사랑은 신의 자신에 대한 무한한 사랑의 일부이다. 바로 이 사랑에서 정신과 신을 합일을 이루고, 이것에 인간의 지복, 구원, 자유가 있다는 것이 스피노자 윤리학의 결론이다. Diese Areit versucht Spinozas Begriff Gottesliebe zu erklären. Es ist kein Zweilfel, daß dieser Begriff in der Spinosas ethica eine wichtigste Rolle spielt. Denn der Ziel von Spinozas ethica besteht in der humana liebertas, die letztlich in der Gottesliebe erm철glicht werden kann. In der Korte Verhandeling van God, de Mensch, en deszelvs Welstand und ethica stellt Spinoza die Bedeutung bzw. Wesenheit der Gottesliebe dar, und dabei untersucht er die Gottesliebe in zwei Aspekte: nämlich, amor erga deum und amor dei intellectualis. Die amor erga deum bezieht sich auf die Affektionen des K철rpers, die vom Geist klar und deutlich erkannt werden soll. Diese Liebe ist unter allen Affekten behärrlichste, dennoch kann sie mit dem K철rper selbst zerst철rt werden. Demgegenüber entspringt die amor dei intellctualis nur aus scientiva intuitiva und daher ist diese Liebe ewig, weil die scientiva intuitiva ewig ist. Nach Spinoza ist die amor dei intellectualis eben die Liebe Gottes, womit Gott sich selbst liebt; d. h. die amor dei intellectualis ist ein Teil der unendlichen Liebe, womit Gott sich selbst liebt. Durch diese intellctuelle Liebe wird der Geist mit Gott vereinigt, und Spinoza betont, daß die beatitudo, salus und liebertas in der amor dei intellectualis besteht.

      • KCI등재

        女ㆍ男 山神과 호랑이 신격의 상관성 연구

        이지영(Lee Ji young)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07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Vol.0 No.15

        본고는 산신의 성의 변천과정에서 동물신격 특히 호랑이가 여산신 및 남산신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 살피기 위해서 집필되었다. 먼저, 원형적 표상으로서 대모신 신앙의 전통이 어떠한지 살펴서 그것이 여산신 신앙과 어떻게 연결되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창세신적 성격의 여성 거인신은 마고ㆍ노고할미 등으로 불리며, 이는 여산신의 형상으로도 나타나고 다시 성모ㆍ신모의 이름으로 시조모ㆍ생산신이 되고 있었다. 다음으로, 여산신 신앙이 후대로 갈수록 여러 형태로 변모되었으리라는 생각을 손진태의 견해를 통해 확인하면서도, 그의 주장이 지니는 몇 가지 문제점을 지적하여 여산신과 호랑이 신격의 관계가 새삼 설정되어야 함을 역설하였다. 그런 인식하에 우선 문헌에 나타나는 여산신과 동물신격의 관련성을 살핀 결과 선도산 성모, 영취산 변재천녀, 해변 동굴의 관음보살 등이 동물신격인 새를 사자로 부리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이런 전통은 <산해경>의 서왕모설화에도 나타났다. 여산신과 호랑이 신격의 상관성을 다루기 위해 호랑이가 산신으로 숭앙받았음을 알리는 문헌을 살폈다. 우선, 호랑이 산신에 대한 문헌기록에도 불구하고, 호랑이는 현실에서는 부정적이거나 퇴치의 대상이 되고 있었다. 그러나 <김현감호>에서 호랑이는 산신적 면모를 지녔고 남녀 양성을 구유하고 있었는데, 남성을 보호하는 희생성, 자애, 모성성 등은 여성성으로, 살생의 욕망과 같은 포악성은 남성성으로 표상된다고 보았다. 한편, <호경>이야기에서 평나산 여산신은 호랑이 형상을 가졌는데 후에 호경과 부부신이 되고 있어서, 여산신이 남성 산신화하는 과정을 알게 해준다. 여산신이 남성 산신화하면 모성성은 희박해지고 그 대신에 남성적 성격의 호랑이가 자주 등장할 것인데, 이를 <호승>이야기가 잘 보여주었다. 호랑이의 산신적 측면이 사라지는 대신에 살생의 욕망과 虎患의 포악성이 강조되면 호랑이는 퇴치될 수밖에 없는데, 이는 호랑이에게서 '사람잡아먹기'가 강조될수록 산신과 관계가 멀어짐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끝으로, 문헌과 구전설화를 통해, 호랑이가 남성화하면서 어떤 모습으로 그려지는지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먼저 호랑이가 산신이거나 혹은 산신의 사자 노릇을 하는 경우에는 포악성이 없고 자애와 모성애 등을 발휘하고 있었다. 그러나 <호랑이 보은담>에는 산신의 형상을 가진 자료와 순전한 호랑이의 모습만 나타나는 자료가 공존하고 있어서 포악성이 문제가 되었으며, 虎患譚 속의 호랑이는 그저 동물로서 사람들에게 퇴치되고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of sexuality of mountain deities to help understand how tigers in particular are related to them We first examine the tradition of the folk belief on Dae Mo deity(大母神) and then see how it is linked to the deity of the female mountain goddess. We have found that female Giants characterized as the Creative is called as Mago or Nogo-Halmi and it also appears as a female mountain goddess, which later becomes the originator mother or the earth mother named as Seong Mo(聖母) or Sin Mo(神母). We next assert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ale mountain goddess and tiger deity needs further investigations based on a review of the studies by Jin-tae Son. We agree with his view that the deity of a female mountain goddess has transformed into different formats. We however claim at the same time that there are a few fallacies in his arguments. Thus we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emale mountain goddess and animal deity and, discover that several of female mountain goddesses have birds as animal deity, which is observed in <Seowangmo(西王母)> tale of <San Hae Kyeong(山海經)>. We also analyze the records which show that tigers are revered as mountain deities. According to <Kimhyeon Gamho(金現感虎)> tale, tigers have the characteristics of a mountain deity with bi-sexuality. The Pyeong-Na Mt. female goddess in <Ho-gyeong(虎景)> tale has the appearance of a tiger who becomes a couple with Ho-gyeong. This allows one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a mountain goddess transforming to a male mountain god. If a goddess becomes a god, then her motherhood gets blurred and the tiger would become more aggressive as a male. A Tiger monk is an good example of this and shows the greed of killing and eating human. Because of this, the tiger is driven away and loses the dignity of a deity. Finally, we examine how tigers are described in the stories about them. In the stories of gratitude of tiger, tigers have deity and exhibit their nature as an animal. Tigers are described as an animal which eats human beings in other stories. Because of this, tigers can be viewed as beasts and therefore are eliminated by human beings.

      • KCI등재

        환경친화적 신 · 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를 위한 법 · 정책적 개선방안

        김세규(Kim, Se-Kyu) 한국비교공법학회 2017 공법학연구 Vol.18 No.1

        파리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1) 이후 온실가스 감축 공감대 확산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가속화 시키는 계기로 작용하고 있으며, 국제에너지기구(IEA) 등 국제 주요기관에서도 최근 신재생에너지를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가장 핵심적인 수단으로 평가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는 기후변화와 에너지안보, 미래 국가 성장동력으로서 그 중요성이 날로 높아져 가고 있다. 신 · 재생에너지(New & Renewable Energy)는 해, 바람, 비, 조류 등과 같이 고갈되지 않는 다양한 자연에너지의 특성과 이용기술을 활용하여 화석연료(석탄, 석유, 천연가스)와 원자력을 사용하는 기존 에너지를 대체하는 재생 가능한 에너지이다는 것이다. 이 글월은 에너지관련법 특히 신 · 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enewable Portfolio Standard: RPS)의 근거를 두고 있는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 이용 · 보급 촉진법」(이하 신 · 재생에너지법으로 약칭.)을 중심으로, 환경친화적인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를 법 정책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물론 학제적으로 이미 많은 선행연구가 축적되어 있다. 따라서 이를 다시 원용하여 법 정책적면에서 정리한 것이다. 헌법에서 에너지를 직접적으로 규정하고 있는 것은 아니지만, 헌법 제120조제1항 ‘자원’에는 헌법 규정상 자원의 성격을 갖는 에너지도 포함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따라서 이를 구체화한 에너지관련법의 하나로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 이용 · 보급 촉진법」을 들 수 있다.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 · 이용 · 보급 촉진법」은 신 · 재생에너지의 보급촉진 등을 통해 에너지원을 다양화하고, 에너지의 안정적인 공급, 에너지 구조의 환경친화적 전환 및 온실가스 배출의 감소를 추진함으로서 환경의 보전과 국민복지의 증진을 목적으로 제정되었다는 점에서 국가가 헌법상의 의무를 이행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맺음에 갈음하여, 공급의무화제도는 신 · 재생에너지법 제12조의5에 따라 일정규모(500㎿) 이상의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공급의무자)에게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공급하도록 의무화한 제도로서 2012년 1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공급의무화제도는 의무할당을 통해 정책목표량 달성이 용이하고 발전사업자간 경쟁을 촉진함으로써 발전비용을 절감할 수 있기 때문에, 발전차액지원제도가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인식되었다. 한편 국회의원 11인이 지난 2016년 7월 18일 발전차액지원제도(FIT) 재도입을 골자로 한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개발 · 이용 · 보급촉진법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 관심을 모으고 있다. 발전차액지원제도는 신 · 재생에너지 보급을 활성화하기 위해 발전사업자에게 생산단가와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정하여 고시하는 기준가격과 차이가 나는 경우 차액을 지원해 주던 제도인바, 2012년 RPS(신 · 재생공급의무화제도)의 시행과 동시에 폐지됐다. 개정안을 대표발의한 의원에 따르면, 발전용량 100㎾ 이하의 소규모 신 ·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의 경우 발전차액 지원금의 폐지에 따라 수익성이 심각하게 악화됐다. 이에 따라 소규모 분산 전원 형식의 신 · 재생에너지 생산이 확산되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운영하는 시민발전소, 마을에너지 사업, 시민출자형 태양광 협동조합 등 신 · 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사업이 위축돼 정부가 추진하는 신 · 재생에너지 활성화 정책에도 역행하는 결과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따라서 발전차액지원제도(FIT)를 중단하고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RPS)만 진행할 경우 소규모 신 · 재생에너지사업자가 생존할 확률이 낮아질 우려가 있으므로 신 · 재생에너지공급의 다원화를 위해서도 소규모 신 · 재생에너지공급자가 공존할 수 있는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하겠다는 견해에 전적으로 공감한다.

      • KCI등재

        유식 논서에 나타난 ‘신(信)’심소에 관한 고찰

        김명우 ( Kim Myung-woo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0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41

        본 논문은 11개의 선(善)심소 중에서 ‘신(信, śraddhā)’의 본질과 작용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유식삼십송석』을 비롯한 유식 논서에 나타난 신에 대한 정의와 구체적인 주석 내용을 살펴보았다. 유식에서 신(信)은 절대자를 믿고 따르는 신앙이나 인간관계에서 누구를 신뢰한다 등의 단순한 의미가 아니다. 유식 논서에서 신의 본질적인 성질은 ‘진리의 본체가 실유하는 것을 확실하게 아는 것’, ‘삼보[불법승]에 대해 청정한 마음을 일으키는 것’, ‘능력에 대해 희망하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서양철학의 용어로 설명하자면 진리를 이성으로 아는 것[지성], 삼보를 좋아하고 구하는 것[감성], 자신의 능력을 믿고 실천하는 것[의지]을 신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또한 신의 부수적인 작용[성질]이 ‘욕의 의지처’라는 점에서 신(信)심소는 독자적으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다른 심소와의 관계 속에서 생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신심소는 별경인 승해(勝解)에 의지하여 생기며, 동시에 신은 욕(欲) 심소의 의지처가 되는 것이다. 나아가 욕은 근[정진]의 의지처가 되는데, 본고에서 필자는 신심소를 중심으로 승해, 신, 욕, 정진의 심소가 생기는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nature and function of śraddhā(faith) among eleven kuśala-caitta. To clarify this, I looked at the definition and commentary on śraddhā in the Literature of Vijñaptimātra. In Vijñaptimātra, śraddhā is not simply a means of trusting someone in faith or human relations that believe and follow the Absolute. The intrinsic nature of śraddhā in the Literature of Vijñaptimātra is defined as “the body of truth knows astitva with certainty,” “to raise a pure mind for tri-ratna,” and “abhilāsa for śakyatva.” In terms of Western philosophy, śraddhā can be defined as knowing truth as reason[intelligence], like and seek tri-ratna[emotion], and believing and practicing one's own abilities[will]. And by defining the secondary nature of śraddhā as “the will of the chanda,” śraddhā-caitta does not arise on its own, but in relation to other caitta. In other words, śraddhā-caitta comes from adhimokṣa(勝解), a vinayata, while śraddhā becomes the will of chanda-caitta. And chanda becomes the will of vīrya. In other words, this study attempted to elucidate the mechanism of caitta of adhimokṣa, śraddhā, chanda, and vīrya centered on śraddhā-caitta. Also, in the Literature of Vijñaptimātra, I looked at the details of what kind of mind the adhimokṣa-caitta, the cause of śraddhā-caitta, and chanda, the result of śraddhā.

      • KCI등재

        신의 의미에 대한 종교철학적 이해

        김형수(Kim, Hyoung Soo) 광주가톨릭대학교 신학연구소 2014 神學展望 Vol.- No.184

        본고는 신의 초월성을 이성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으로서 ‘의미’라는 용어를 통해서 종교언어에서 가장 핵심인 ‘신의 의미’를 이해함으로써, 이성의 사유에 대한 한계와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진리의 최종적 근거로서 신에 대한 사유는 의미(Sinn)의 차원을 지닌다. 최종적인 의미근거이며 절대적 타자로서의 신의 의미는 그 의미가 표현되는 언어의 의미를 통해 해명되며 밝혀진다고 할 수 있다. 종교언어의 의미 문제에 있어서 신의 개념에 관련해서는 논리적으로, 사실적으로 분석될 수 없는 한계를 지닌다. 종교언어는 단순히 믿는 이들의 주관적인 신앙 체험만을 담고 있어서 이들의 언어놀이 안에서만 의미를 지니는 것이 아니라, 근본적으로 신의 현존을 실제의 사실로 서술하는 것이다. 하지만 인간존재의 의미와 최종 근거에 대한 최종 물음을 제기하지 않으며 단편적이고 잠정적인 진리에 만족하는 경향은 의미에 대한 물음을 의미 없는 것으로 만들어 버렸다. 이에 대해 로베르트 쉬페만(Robert Spaemann)은 이성적 탐구 대상으로서의 신과 신앙의 대상으로서의 신에 대한 불가피한 연관성을 신 증명을 통해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신의 의미에 대한 이성적 사유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시한다. 쉬페만은 안셀무스와 토마스의 신 증명의 분석을 통해 신을 엄밀하게 사유하는 것이 최종적으로는 불가능하며 신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우리의 경험과 이성을 통해 추적함으로써 그 ‘흔적’을 찾아낼 수는 있지만 그것이 참으로 의미하는 바에 대해서는 이성의 능력을 벗어난다는 것을 보여준다. 쉬페만이 추적하는 신의 의미 개념과 인간이 맺는 관계는 궁극적인 전제에 대한 진지한 반성이다. 이 전제로서의 진리는 언어로 표현된 것이 드러내는 다양한 의미 차원을 통해, 특별히 신앙 안에서는 총체적으로 드러나는 신이라는 의미 차원에서 해명될 수 있다. 결국 언어를 통한 신에 대한 진술의 의미는 인간에게는 끊임없이 한계로 남아있고 이렇게 직면하는 한계를 넘어서서 또 다른 한계로 나아가는 것이 철학적 추구라고 할 수 있겠다. This paper looks at the limitations as well as the possibilities of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God’ as an essential term in religious language. Through the term ‘meaning,’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in a rational way the transcendence of God. Thinking about God as a final basis in the search for truth has a dimension of meaning(Sinn). The meaning of God as a final basis of all meaning and of the absolute Other is unraveled and explained through the meaning of language, by which meaning is expressed. In the area of the meaning of religious language, the concept of God has a limit which logically and realistically cannot be analyzed. Religious language does not contain meaning only within its structure. This is because religious language contains not only the subjective religious experiences of the believers, but also expresses the reality of God’s presence. However, there is a tendency to not raise the final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humanity and its eventual purpose and just be satisfied with fragments of the potential truth. Questions about meaning, therefore, become meaningless. Robert Spaemann, however, speaks of the necessity and the possibility of rational thinking about the meaning of God by interpreting through the proofs of God. In other words, God as the object of rational inquiry is associated inevitably with God as the object of faith. He shows through an analysis of Anselm’s and Thomas’ proofs of God that we cannot think about God precisely once and for all, and that we can find a ‘sign’ of the meaning of God by tracking the meaning of God through our experience and reason. Therefore, meaning diverges from the ability to reason. The concept that God’s meaning is related to human experience leads to a serious reflection on the ultimate premise. The truth, as this premise is explained in various meanings, shows that the meaning of God unfolds in faith. The meaning of statements about God through language remains constant and limited for the human person, yet a philosophical search consists in proceeding beyond this limit until one is faced with another limit.

      • KCI등재

        한 · 몽 신화에서의 영웅의 형상과 성격 일고찰

        이선아(Lee Suna)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5 외국문학연구 Vol.- No.59

        이 발표문은 한민족의 대표적인 건국신화인 <단군신화>와 몽골의 대표적인 서사시 중 하나인 <게세르칸> 서사시를 중심으로 한국과 몽골 신화에서 형상화된 영웅(바타르)의 신화적 형상과 성격의 전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단군신화>와 몽골의 <게세르칸>서사시의 주인공 영웅인 단군과 게세르는 하늘신의 계보를 전략적으로 내세우며 천신의 아들이자 하늘의 영웅으로서의 면모를 신화 전면에 제시하였다. 그러면서도 영웅의 형상과 성격은 다양한 층위의 신화 서사 안에서 ‘체겐 체브덱’, ‘하이르항’과 같은 산신으로 대표되는 토착신의 신격을 일관되게 지향하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몽골 무속에서 영웅신의 원형이라 인식되는 산신은 인간의 수호신으로 삼계관의 관점에서 인간을 표상하는 중계의 대표 신격이라 할 수 있는데 게세르는 천신의 층위에서부터 ‘천신의 가운데 아들’로 대표되는 영웅 형상과 함께 이미 중계적 성격을 나타낸다. 이러한 양상은 단군신화에서도 서자 환웅에서 아사달 산신에 이르기까지 각 서사 단계에서 유사하게 인지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영웅의 형상과 성격은 여러 신화 층위와 전개 과정에서 전략적으로 변모하며 지속적으로 생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단군과 게세르는 천신에서 시작하여 역사적 제왕으로까지 그 형상과 성격이 변모되었지만 신화 서사의 마지막 부분에서 신화 서두에 고시된 천신이 아닌 본래의 토착신 신격으로 회귀된다. 결국 이들 영웅의 형상은 인간의 수호신으로 인간과의 끊임없는 소통을 추구한 신격으로 오늘날까지도 가장 강력하고 사랑받는 신격으로 유연하게 적응해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comparing and examining the development in the mythical character and nature of the embodied hero(Baatar) in Korean and Mongolian myths, focused on <Geser Khan>, one of the Mongolia’s representative epics and <Dangun myth>, Korea’s representative birth myth of a nation. In Dangun and Geser, a hero in <Dangun myth> and Mongolia’s <Geser Khan> epic, tout genealogy as a heavenly god strategically and that the character as heavenly god’s son and heavenly hero is presented in every facet of the myth.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 and nature of the hero show, consistently, the deity of native god represented in ‘Tsegeen Tsevdeg’, ‘Khairhan’ in the mythical epic in various spectrums. In particular, a mountain god considered as the prototype of heroic divinity in the shamanism can be said to be the representative diety symbolizing humans from the perspective of Samgyegwan(three world view) as the protective god of humans with hero standing for the middle world along with the heroic character represented as ‘the middle son of heavenly god’ from the status of heavenly god. Dangun and Geser has changed in terms of image and character from heavenly god and historic emperor, however return to its own native diety not heavenly god suggest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myth in the last part. Eventually these heroes’ character is shown to adapt to the most powerful and loved diety flexibly until now. 이 발표문은 한민족의 대표적인 건국신화인 <단군신화>와 몽골의 대표적인 서사시 중 하나인 <게세르칸> 서사시를 중심으로 한국과 몽골 신화에서 형상화된 영웅(바타르)의 신화적 형상과 성격의 전개 양상을 고찰한 것이다. <단군신화>와 몽골의 <게세르칸>서사시의 주인공 영웅인 단군과 게세르는 하늘신의 계보를 전략적으로 내세우며 천신의 아들이자 하늘의 영웅으로서의 면모를 신화 전면에 제시하였다. 그러면서도 영웅의 형상과 성격은 다양한 층위의 신화 서사 안에서 ‘체겐 체브덱’, ‘하이르항’과 같은 산신으로 대표되는 토착신의 신격을 일관되게 지향하는 특징을 보인다. 특히 몽골 무속에서 영웅신의 원형이라 인식되는 산신은 인간의 수호신으로 삼계관의 관점에서 인간을 표상하는 중계의 대표 신격이라 할 수 있는데 게세르는 천신의 층위에서부터 ‘천신의 가운데 아들’로 대표되는 영웅 형상과 함께 이미 중계적 성격을 나타낸다. 이러한 양상은 단군신화에서도 서자 환웅에서 아사달 산신에 이르기까지 각 서사 단계에서 유사하게 인지된다고 할 수 있다. 이때 영웅의 형상과 성격은 여러 신화 층위와 전개 과정에서 전략적으로 변모하며 지속적으로 생존하는 양상을 보인다. 단군과 게세르는 천신에서 시작하여 역사적 제왕으로까지 그 형상과 성격이 변모되었지만 신화 서사의 마지막 부분에서 신화 서두에 고시된 천신이 아닌 본래의 토착신 신격으로 회귀된다. 결국 이들 영웅의 형상은 인간의 수호신으로 인간과의 끊임없는 소통을 추구한 신격으로 오늘날까지도 가장 강력하고 사랑받는 신격으로 유연하게 적응해 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This research is aimed at comparing and examining the development in the mythical character and nature of the embodied hero(Baatar) in Korean and Mongolian myths, focused on <Geser Khan>, one of the Mongolia’s representative epics and <Dangun myth>, Korea’s representative birth myth of a nation. In Dangun and Geser, a hero in <Dangun myth> and Mongolia’s <Geser Khan> epic, tout genealogy as a heavenly god strategically and that the character as heavenly god’s son and heavenly hero is presented in every facet of the myth. At the same time, the character and nature of the hero show, consistently, the deity of native god represented in ‘Tsegeen Tsevdeg’, ‘Khairhan’ in the mythical epic in various spectrums. In particular, a mountain god considered as the prototype of heroic divinity in the shamanism can be said to be the representative diety symbolizing humans from the perspective of Samgyegwan(three world view) as the protective god of humans with hero standing for the middle world along with the heroic character represented as ‘the middle son of heavenly god’ from the status of heavenly god. Dangun and Geser has changed in terms of image and character from heavenly god and historic emperor, however return to its own native diety not heavenly god suggest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myth in the last part. Eventually these heroes’ character is shown to adapt to the most powerful and loved diety flexibly until now.

      • 신은 참되게 의미하는가?

        장의준(Chang, Eui-Joon) 감리교신학대학교 2016 신학과세계 Vol.- No.85

        신이라는 ‘말’의 의미는 죽었는가? 니체는 신이 죽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에게서 신의 죽음이란 곧 초월적 원리의 죽음을 뜻한다. 신의 죽음 이래로 감각 세계를 초월하는 궁극적 원리로서 이해되는 신은 더 이상 사람들의 삶에 의미있는 영향력을 행사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런데 신과의 만남이란 이미 언제나 사물들의 경험과는 구별되는 관계가 아니었던가? 신과의 만남에 있어서 지각적 경험은 부재한다. 아마도 바로 이것이야말로 deus absconditus가 근원적으로 뜻하는 바이리라. 요컨대, 신에 대한 지각불가능성은 우리의 경험 영역 속에서의 신의 부재를, 지각적 층위에서의 신의 죽음을 지시한다. 그리고 만일 우리가 신을 직접 볼 수 없다면, 이것은 결국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이란 ‘신’이라는 말이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관해서 묻는 것 외에는 달리 없을 것이며, 아마도 이념들을 탐구하면서 칸트가 수행한 것이 바로 이 과제이리라. 그런데 칸트에 의하면 이념은 결코 감각 경험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이것은 곧 단지 신(신의 존재)뿐만 아니라 신의 의미(신의 이념적 존재)도 역시 우리의 지각적 층위에서는 부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이러한 이중적 부재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니체의 신 죽음 선포 이전에는 보이지 않는 신의 의미가 사람들의 삶에 실제적인 영향을 미쳐 왔다. 왜냐하면 그것은 적어도 신앙인들에게 있어서는 삶을 살아가기 위해 눈에 보이는 것들보다 더 본질적인 어떤 것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상황은 바뀐다. 니체의 신 죽음 선언 이후 신의 의미와 우리의 구체적 삶 간의 관계가 이미 오래전부터 해소되었다는 사실이 드러나기 시작했던 것이다. 이 논문에서 우리는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신이라는 말이 여전히 유의미한 방식으로 의미할 수 있는지의 여부에 대하여 아벨라르의 보편자에 대한 사유를 매개로 해서 묻고자 한다. 경험론의 선구자라 할 수 있을 중세 유명론자들 중의 하나인 아벨라르는 경험 속에서 나타나지 않는 의미의 실증성을 주장했다. 바로 여기에서 우리는 신의 의미에 대해 말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 칸트 철학에서 신 존재 증명

        김정민(Jeongmin Kim) 전남대학교 종교문화연구소 2021 종교문화학보 Vol.18 No.2

        이 논문의 목적은 칸트의 이론철학에서 신 존재 증명을 정립하고 인간의 도덕적 삶의 근간이 신에 대한 신앙과 희망임을 밝히는 데 있다. 칸트가 형이상학을 학문으로서 재정립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신 존재 증명의 문제는 무엇인가? 특히 전통적 신 존재 증명을 거부한 칸트 주장의 근거는 무엇인가? 이 논문은 칸트가 전통 형이상학과는 다르게 제시하고자 하는 신 존재 증명과 그 근거, 전통 형이상학자들의 주장에 대한 태도를 검토하고, 그리고 결론에서 그 유용성을 규명할 것이다. 이를 위해 『순수이성비판』을 텍스트로 삼고 칸트 비판서 이전의 『신의 현존을 입증하기 위한 유일하게 가능한 증명 근거』 등의 자료들을 참고하여 신 존재 증명의 문제를 구명할 것이다. 칸트는 신 존재 문제의 토대를 마련하면서 『순수이성비판』 [B판] 서론에서 「철학은 모든 선험적(a priori) 인식의 가능성과 원리들과 범위를 규정해 주는 학문을 필요로 한다.」는 주제로 우리의 어떤 인식들은 모든 가능한 경험(Erfahrung)의 영역을 벗어나서, 경험 중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대상이 주어질 수 없는 개념들에 의거해 우리의 판단의 범위를 경험의 모든 한계를 넘어 초월적(transzendental)세계까지 확장하려는 모습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 대해 설명하고 그 대안의 필요성을 강조 제기한다. 따라서 우리는 칸트의 이론철학에서 신 존재 증명이라는 주제 아래 ‘신의 실재성(die Realität Gottes)’ 증명 여부를 탐구할 수 있겠다. 칸트에 의하면 신 존재 증명 여부는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형이상학의 대상들은 감성세계의 현상학적 대상들처럼 지성개념의 원리와 방식에 따라 인식할 수 있도록 증명이 가능하지 않기 때문이다. 초월세계의 형이상학적 대상들은 사고할 수는 있으나 경험적으로 증명 여부는 불가능하다는 것이 ‘칸트의 신관’이다. 칸트의 논의에 따라 먼저 추론 가능한 형이상학적 대상인 신의 현존에 대한 유일한 증명 근거를 검토하고, 신 존재 증명에 대한 논증을 정리한 후, 신의 존재를 존재론적, 우주론적, 물리 신학적으로 증명하려는 사변적 시도들의 불가능성을 검토하고 칸트의 입장에서 비판한다. 결국 형이상학적 대상인 신 존재는 이념(Idee)적 가상(Schein)일뿐이어서 증명의 대상이 아니라, 신앙(Glaube)과 희망(Hoffnung)의 대상이라는 사실을 규명함으로써 인간의 도덕적 삶의 근간을 규명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proof of divine existence in Kant's theoretical philosophy and to reveal that the basis of human moral life is faith and hope in God. What is the problem of proving the existence of God in Kant's process of re-establishing metaphysics as a discipline? In particular, what is the basis for Kant's argument that rejected the traditional proof of existence of God? This paper will examine Kant's Proof of God's existence, its basis, and attitudes toward the arguments of traditional metaphysics, and clarify its usefulness in conclusions. To this end, the problem of proving God's existence will be investigated by using Pure Reason Criticism as a text and referring to data such as “the only possible basis for proving the existence of God's before Kant's criticism. Kant laid the foundation for the problem of God's existence and under the theme of “Philosophy requires learning that defines the possibility, principles and scope of all a priori perceptions,” some of our perceptions go beyond the limits of all possible experiences, based on concepts that cannot be given corresponding to them. Therefore, we can explore whether or not to prove 'The reality of God's under the theme of proof of God's existence in Kant's theoretical philosophy. According to Kant, it is impossible to prove the existence of God. This is because metaphysics objects cannot be proved so that they can be recognized according to the principles and methods of intellectual concepts like phenomenological objects in the emotional world. Kant's God's belief is that metaphysical objects in the transcendental world can be thought about, but empirically it is impossible to prove. Based on Kant's discussion, we first review the sole basis for proof of God's existence of God, a metaphysical object that can be inferred, organize arguments for proof of divine existence, then review the impossibility of speculative attempts to prove God's existence ontologically, cosmologically, and physically. In the end, we will clarify the basis of human moral life by finding out that the metaphysical object of God is not only an ideological virtual and is not an object of proof, but an object of faith and hope.

      • KCI등재후보

        신-없는(gott-los) 신적인 신(der göttliche Gott)

        김완종 한국기독교철학회 2023 기독교철학 Vol.37 No.-

        This paper does not deal with the meaning of God by clearly dividing the before and after periods of Heidegger’s thought. I describe the concept of God understood by Heidegger in the broad framework of his life and the flow of his thought. Heidegger did not discuss the content of God discourse in a specific book. The content of his discourse on God is sporadically scattered here and there. This paper selects his books dealing with the discourse on God and discusses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on God by correlating the contents of the discourse on God. Then I examine what the concept of God revealed through his works has in relation to the meaning of the divine god (der g ö ttliche Gott) who is godless (gott-los). Through the thought of Being, 1) the meaning of God as causa sui or foundation-laying (builder), paradoxical God of presence and absence (god-forsakenness), age of privation, unknown God (hidden God), last (ultimate) God (der letzte Gott), the divine in the fourfold(das Geviert), God to come, god of holy divinity, and savior god are revealed. And I will reveal that the reverse is also possible. In revealing the meaning of these things, I examine 2) Heidegger’s criticism of Onto-Theo-Logie, the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and theology, and the meaning of atheistische. 3) Finally, Heidegger’s godless-divine discourse provides a horizon of thought and practice for non-Christians (natural people) and Christians in the post-human era who newly define humans with the development of AI. 본 논문은 하이데거의 사상의 전후기를 명확하게 구분하여 신에 대한 의 미를 다루지는 않는다. 논자는 하이데거가 이해한 신 개념을 그의 생애와 사 상의 흐름이라는 큰 틀 속에서 기술한다. 하이데거는 신 담론에 대한 내용 을 특정한 책을 정하여 논의하지 않았다. 그의 신 담론의 내용은 여기저기 산 발적으로 분산되어 있다. 본 논문은 신 담론을 다룬 그의 책을 선정해 신 담 론의 내용들을 상호 연관시켜 그 의미가 무엇인지를 논의하고 그의 작품 통 해 드러난 신 개념이 신-없는( gott - los ) 신성한 신( der g ö ttliche Gott )의 의미 와 관련하여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고찰한다. 논자는 하이데거 사유의 흐름 을 따라 1 )자기원인( causa sui )이나 토대 놓는(짓는) 자로서의 신, 현존과 부 재(떠남)의 역설적 신, 궁핍의 시대, 미지의 신(은닉된 신), 마지막(궁극적) 신( der letzte Gott ), 사방( das Geviert ) 안의 신적인 것들( die G ö ttliche ), 도래 할 신, 성스러운 혹은 거룩한 신성의 신, 그리고 구원자 신의 의미가 존재 사 유를 통해 가능하며 그 역도 가능하다는 점을 밝힌다. 논자는 이러한 것들의 의미를 드러내는 가운데 하이데거의 2 )존재-신-론( Onto - Theo - Logie ) 비판, 철학과 신학의 관계성, 탈-신론적( atheistisch ) 의미를 고찰한다. 3 )마지막으 로 하이데거의 신-없는 신성한 신 담론이 AI 의 발전으로 인간을 새롭게 정 의하는 포스트휴먼 시대의 비그리스도인(자연인)이나 그리스도교인에게 사유와 실천의 지평을 제공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