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라사 補正을 위한 당 金石文 기초 연구

        권덕영(Kwon, Deok-young) 신라사학회 2016 新羅史學報 Vol.0 No.38

        최근 중국의 국토개발 과정에서 당나라 금석문을 포함한 수많은 역사자료가 새롭게 발견되었다. 그런데 비록 빈도가 높지 않으나 고대 한반도 삼국과 발해 관련 당 금석문도 가끔 발견된다. 이런 점에서 중국금석문은 한국고대사 연구 자료에 대한 갈증을 다소나마 해소시켜준다고 할 수 있다. 현재 중국에는 1만여 점의 당대 금석문이 공식적으로 조사, 보고되었다. 그 가운데 신라 관련 금석문 38점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한 금석문은 크게 在唐 新羅人 관련 자료와 唐人의 신라 내왕자료로 대별되고, 자료의 내용은 신라와 당 사이의 사절 왕래와 전쟁, 求法과 문화교류가 중심이 된다. 사실 신라 관련 당 금석문이 신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을 광범위하게 補正 할 수 있을 정도로 풍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그럼에도 이러한 자료를 효과적으로 활용한다면, 당 금석문은 신라사의 일부를 보완하는데 충분히 유익하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당 금석문을 활용한 신라사 복원’이라는 구상을 실현하기 위해 설정한 기초 연구 작업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특정한 결론을 이끌어내기 보다 신라와 관련한 당 금석문을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정리, 분석하는 것으로 만족할 수밖에 없다. 추후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신라사 補正 작업을 본격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Recently a lot of historical materials including T’ang epigraphy have been excavated and found in China. Although the frequency is not high, sometimes T’ang epigraphy related to Silla history are found. This situation supplement somewhat the lack of Korea ancient historical resources. More than ten thousands of T’ang epigraphy officially have been investigated and reported until now. Among them, 38 items of T’ang epigraphy related to Silla are included. We can classify them into two broad categories in terms of content. That is to say, one is politics and foreign affairs, the other society and cultural exchange. Although they are not quantitative enough for research, they can not be denied that it is useful. This article is a basic research to realize such a T’ang epigraphy to supplement the Silla history. So rather than draw specific conclusions here, I would like to be satisfied with broadly investigating and organizing T’ang epigraphy related to Silla. Based on these data, I plan to work on supplementing Silla history in earnest.

      • KCI등재

        한국고대사 관련 中國 金石文 조사 연구

        권덕영(?悳永) 한국사학회 2010 史學硏究 Vol.- No.97

        중국에는 다양한 형태의 한국고대사 관련 금석문이 산재해 있다. 그럼에도 종래 한국에서는 중국 금석문 자료의 조사와 수집을 등한시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대사 관련 중국 금석문, 그 중에서도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사료적 가치가 높은 唐代 금석문을 종합적으로 조사, 정리하였다. 현재 중국에는 약 1만 점에 가까운 당나라 금석문이 존재한다. 그 중에서 276점의 금석문이 한국고대사와 관련된 자료이다. 비록 그것은 전체의 3% 미만에 불과하나, 사료 부족에 허덕이는 한국고대사 연구에 활력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자료를 국가별로 나누면, 고구려 관련 자료는 총 200점으로 신라나 백제 등에 비하여 압도적 다수를 차지한다. 그 가운데 고구려 遺民 자료는 18점에 불과하고 대부분이 중국인 來往 자료로 모두 182점에 이른다. 그리고 신라의 경우는 재당신라인을 포함한 신라인 관련 자료가 13점, 당인의 신라 내왕자료가 25점으로 총 38점이 확인되고, 백제는 유민자료가 9점, 중국인 내왕 자료가 9점, 발해는 유민 자료가 2점 중국인 내왕자료가 6점, 그리고 기타 자료가 12점 확인된다. 여타 금석문도 그렇겠지만, 한국고대사 관련 중국 금석문은 대부분 단편적인 사실을 전하는 경우가 많다. 그럼에도 이들 자료는 문헌자료에 보이지 않는 귀중한 정보들을 싣고 있다. 재당 이주민 자료를 통해 한반도 삼국 유민의 생생한 생활상과 數代로 이어지는 가계 그리고 그들이 中國化 되어가는 모습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당대 중국인의 한반도 내왕 자료는 7세기 중엽 한반도 내왕 자료는 7세기 중엽 한반도 패권을 둘러싸고 벌어진 전쟁의 규모와 실상을 보여주고, 8·9세기 당 사신의 신라 및 발해 내왕을 통한 정치교섭과 문화교류의 일면을 확인시켜 준다.

      • KCI등재

        ≪三國史記≫ 신라본기 역주 後記

        권덕영(權悳永) 신라사학회 2013 新羅史學報 Vol.0 No.27

        한국학중앙연구원은 두 차례에 걸쳐 ≪삼국사기≫를 번역, 주석하였다. 이때 필자는 ≪삼국사기≫ 신라본기를 담당하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역주 작업은 필자에게 힘들고 고된 훈련과정이었다. 그런 만큼 얻은 것도 많았다. 漢籍 사료에 대한 해독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었고, 한국고대사 연구 성과를 두루 섭렵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으며, 한국은 물론 중국과 일본의 다양한 사료를 탐색하고 활용할 수 있는 안목을 기를 수 있었다. 또한 이 작업을 통하여 역사 탐구에 필요한 인내심을 배우게 되었다. ≪삼국사기≫ 신라본기를 번역, 주석하면서 많은 것을 느꼈다. 첫째는 ≪삼국사기≫ 신라본기를 명실상부한 `본기`라 할 수 있을까 하는 점이고, 둘째는 신라 무열왕과 문무왕 본기의 서술이 매우 상세하면서도 주체적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셋째는 신라본기의 金春秋 입당기사에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넷째는 신라본기를 정확하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신라시대 금석문뿐만 아니라 중국 당나라 금석문까지 널리 섭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절감하였다. 뿐만 아니라 ≪삼국사기≫에 수록된 다양한 천변지이 기사를 과학적이고 합리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으나, 이번 신라본기 역주에서는 그러지 못한 점이 있어 아쉽게 생각된다.

      • KCI등재

        금석문ㆍ목간 자료를 활용한 국어학계의 연구동향과 과제

        權仁瀚(Kwon In-Han)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7

        이 글은 지난 30년 동안(1979~2009)에 국어학계에서 이룩한 고대의 금석문 및 목간 자료에 대한 연구사를 정리한 것인 바, 대체로 삼국~통일신라 시대의 자료들을 대상으로 가장 최근까지의 연구 업적들을 고구려, 백제, 신라, 통일신라로 나누어 자료별 시대순으로 정리한 것이다. 2장에서는 고구려 금석문 4종, 백제 금석문 4종, 신라 금석문 8종, 통일신라 금석문 20종에 대한 국어학계의 논의들을, 3장에서는 백제 목간 2종, 신라 목간 2종에 대한 국어학계의 논의들을 정리하였다. 논의 결과, 국어학계의 논의들은 일부 사학계의 논의에 뒤쳐져 있는 경우들도 없지 않으나, 최근에 올수록 젊은 학자들을 중심으로 사학계의 논의들까지를 종합하여 각 자료들이 이두 발달사에서 차지하고 있는 위치 구명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4장 결론에서는 신출토 문자 자료의 영역에서는 그 해독 과정에서 어학적, 역사적, 서체적, 고고학적 지식을 두루 갖출 것을 요구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제적 연구 및 학문 간 소통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후보

        新羅의 變格漢文

        최연식(Choe, Yeon-shik) 한국목간학회 2016 목간과 문자 Vol.0 No.17

        신라는 중국의 漢字와 漢文을 수용하여 문자생활을 시작하였지만 본래 中國語와 다른 자신들의 언어를 한자와 한문으로 자연스럽게 표현할 수는 없었다. 따라서 자신들의 한자와 한문을 언어현상에 맞추어 사용하였는데, 이를 新羅式 漢文이라고 할 수 있다. 신라식 한문은 語順을 비롯한 여러 모습에 있어서 중국의 문법에 맞는 漢文, 이른 바 正格漢文과는 다른 원칙에서 벗어난 변형된 變格漢文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신라 변격한문 자료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것은 6세기의 금석문들이다. 한문을 수용하는 초기에 한문 혹은 문자의 사용에 익숙하지 못하여 변형된 형태의 문장들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6세기의 금석문들에는 명령(혹은 판결)의 전달 및 집행과 관련하여 敎와 白 등의 한자가 신라의 상황을 반영하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고, 또한 서로 연결되는 두 문장을 연결하는 접속사로서 尒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함께 신라의 어순이 반영된 목적어와 동사의 도치, 사역동사의 후치, 부사 위치의 착오 등의 모습도 보이고 있으며, 또한 節, 事, 耶, 之, 在 등의 한자가 본래의 의미와 달리 신라적 맥락에서 사용되고 있다. 9세기의 금석문들에도 동사를 목적어의 뒤에 두고, 여러 사항을 나열하면서도 전치사나 접속사를 전혀 사용하지 않는 변격한문의 모습이 보이고 있다. 하지만 평이한 한자들을 사용하고 있고, 이상한 문법적 요소들이 없어 6세기의 금석문들과 달리 쉽게 읽히고 있다. 이미 기초 한자와 한문에 익숙해진 시대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의상의 강의를 제자가 기록한 『화엄경문답』은 통일신라시기 변격한문의 다양한 사례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여기에는 동사 및 전치사의 後置, 유사한 한자의 混同, 副詞語 위치의 착오, 동일한 한자의 불필요한 중복사용, 접속사의 생략 등 다양한 변격한문의 사례가 풍부하게 보이고 있다. 지금까지 변격한문은 이두의 초보적 형태로서 검토되어 왔지만, 변격한문은 이두한문의 발전과는 별개로 후대에도 지속적으로 사용되어 왔으므로 한국 변격한문 자체의 특성과 변화과정을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The literary life of Shilla began with the acceptance of Chinese characters but as the language of Shilla was much different from Chinese it was not easy to express in normal Chinese. They often expressed themselves in a little distorted Chinese, the abnormal Chinese. The Shilla abnormal Chinese reflects the language traits of their language. Most of the Shilla abnormal Chinese we can read are preserved in the stone inscriptions of the 6th and 9the centuries. The inversion of the order between verb and objective, placing the causative verb after the main verb, the false position of the adverb, the absence of the conjunctions and prepositions, and the change of the meaning of the characters such as 敎(teaching→edict), 白(speak→repeat of the order), 節(section→contemporary) are the important abnormal Chinese expressions found during the 6th century stone inscriptions. Also the characters such as 爾, 節, 事, 在, 之, and 耶 were used to denote the specific traits of Shilla language far from their original meaning. The inversion of the order between verb and objective and the absence of the conjunctions and prepositions are also found in the abnormal Chinese sentences in the 9th century stone inscriptions. But most of the characters represent their original meaning except for 節, which makes the sentences easy to read. The writers of the 9th century inscriptions must have been well acquainted with normal Chinese. The Wha’eom gyeong mundap(Questions and Answers on Huayan Sutra), the note of on the lectures of Uisang, contains plenty of abnormal Chinese expressions. The abnormal Chinese expressions must have been appeared in the situation when the master Uisang gave the lecture in Korean while the disciples tried to record it in Chinese. The abnormal Chinese expressions found in the book are as follows; the inversion of the verb and the object, the postposition of the preposition ‘以’ and predeterminer ‘每,’ the addition of meaningless ‘是’ and ‘爲,’ the locative and dative use of ‘中,’ juxtaposition of verbs without the conjunction, and the confusion of the Chinese characters which can be translated into the same Korean word(有/在, 餘/殘, 與/同, 及/至, 共/竝).

      • KCI등재후보

        일반논문 : 「삼국사기」 「신라본기」상고기 부분 지명관련기사의 기년고찰

        강문석 ( Moon Seok Kang )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 Vol.0 No.54

        『삼국사기』 「신라본기」상고기 기사 중 마립간기 이전 기록에서 지명을 근거로 후대의 사실이 소급되었다는 논의가 있었다. 상고기 기사의 지명을 여러 지리지를 참고하여 특정지역에 비정하고 후대에 「신라본기」에 기록된 그 지역에서 일어났던 사건을 「신라본기」찬자가 마립간기 이전시기로 소급하였다는 것이다. 그러나 「신라본기」상고기 기록에서 동일지명이 반복해서 나오는 점은 「신라본기」상고기 지명관련기사에서 지명비정을 하는 것이 추론에 불과함을 보여준다. 나아가 동일지명이 반복되는 현상은 신라 중고기 금석문에서도 보인다. 금석문상의 반복되는 지명은 고유어지명인데 고유어지명임에도 다른 지역에 동일지명으로 반복되는 예가 있는 것이다. 지명이 보수성이 강한점에서 중고기 금석문에 나오는 다른 지역임에도 동일지명이 병존하는 예는 신라 상고기 당대에 이미 이러했을 것을 의미한다. 신라와 백제간에도 다른 지역이지만 같은 지명을 공유하는 경우가 있다. 같은 국가안에서 혹은 다른 국가사이에 이렇게 동일지명이 반복되는 원인은 자연형세의 특징을 지명으로 삼았기 때문이다. 이 경우 「신라본기」와 「백제본기」의 원전에는 지명이 고유어로 적혀있었는데 경덕왕 16년 지명을 한식으로 개정하는 조치 이후 한역된 것으로 생각된다. There have been discussions about place names in the ancient period section articles of “Silla-bongi (新羅本紀, Records of Silla)” in Samguk-Sagi (三國史記,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Those studies on place names in the book argued that later facts were dealt with retroactively. The studies proceeded as follows. At first, the debaters selected a place name in “Silla-bongi” as a certain place name on the basis of various pre-modern period geography books. And then they argued that a writer of “Silla-bongi” recorded retroactively later accidents happening in a certain place. But there are some repetitions of the same place names in various regions in the ancient period section articles of “Silla-bongi.” These show that the debates’ arguments are not academically proven but are mere inferences. Repetitions of the same place names in various regions were also shown in the epigraphs of the ancient Silla period. Even though those repeated names in the epigraphs are mostly the native words and tend to be highly conservative, the repetitions of the same place names in ancient Silla region lasted for a long time. There are some cases that Silla and Baekje share the same place names. The reasons for repetitions of the same place names within the same country or among countries ar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they had been made in consideration of the topographical aspects. In this case, those names of regions were written in the native words in the original texts of “Silla-bongi” and “Baekje-bongi” but were presumed to have been translated into Chinese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measures to change the names of regions into classical Chinese letters in the 16th year during the reign of King Gyeongdeok, the 35th monarch of Silla.

      • KCI등재

        6세기 신라금석문의 서풍

        정현숙(Jung Hyun-sook) 한국목간학회 2010 목간과 문자 Vol.6 No.-

        현재까지 발견된 6세기의 신라금석문은 20여 종이 넘어 고구려나 백제에 비하여 그 수량이 많고 따라서 그 내용도 풍부하여 신라사와 신라서예사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 지금까지의 고신라 서풍의 연구는 단순히 문자 自體의 연구에 근거를 두고 고구려의 웅건함이나 백제의 유려함과 비교되어 상대적인 치졸함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이 연구는 고구려나 백제의 글씨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비의 형태 즉 글씨를 쓸 수 있는 서사공간을 고려한 서풍의 연구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본고가 6세기의 신라서풍이 다양한 공간에 어울리는 장법과 자형 그리고 거기에 적합한 필법을 구사하고 있다는 것을 밝힘으로 써 신라글씨의 졸박함이 서법의 미성숙 때문이 아니라 서법을 체득한 후 표현되는 신라글씨의 특징으로 규정 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6세기 신라금석문의 가장 큰 특징은 다양한 형태의 자연석을 선택한 것이고, 그 서체는 예서 기운이 농후한 원필의 과도기적 해서다. 진흥왕의 순행을 기록한 세 비의 형태가 비의 전형인 碑蓋, 碑身, 碑趺로 만들어진 것을 보면, 그 후에 세워진 비에서의 자연석의 사용이 비를 다듬는 기술이 부족하기 때 문이 아니라 자연을 즐기는 신라인들의 선택이었을 것이라고 유추해 볼 수 있다. 진흥왕순수비 이전과 이후의 100년 이상에 걸쳐 세워진 자연석비에 어우러지는 고박한 글씨의 연속성은 역대 중국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한국 신라만의 독특함이다. 6세기 신라글씨의 이 특이함은 인위보다는 무위를 택한 신라인의 성정이 바로 無爲之爲의 세계를 품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는 것이고, 그것이 곧 신라인들의 심성의 표현이라는 점에서 그 고유의 글씨를 감히 “신라성”이라고 불러도 무방할 듯하다. 書如其人, 즉 글씨는 곧 그 사람의 품성을 그대로 나타내기 때문이다. The number of so far discovered Silla stone inscriptions in the 6th century are more than 20. Compared to those of Goguryeo and Baeje, the quantity is larger and, their contents are more various so that deserves to the studies of Silla history and Silla calligraphy history. Previous studies of Silla calligraphic style were only focused on character itself, but this study will mainly concentrat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ing space and the composition of inscriptions and structure of characters, which does not exist in the calligraphy of Goguryeo and Baeje. By proofing the relationship in this paper, the naturalness and naiveness of the Silla calligraphy considered as the lack of writing technique so far is fixed as the characteristic of Silla calligraphic style.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Silla stone inscriptions in the 6th century is to choose natural stone, and they were written in the round Regular script in the taste of the Official script. The three steles erected by Jingheungwang are equipped with the typical form of stele in a cover, a body, and a base.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natural form of steles afterward is because of not the lack of stone cutting skill but Silla people’s choice enjoying nature. The continuity of natural calligraphic style appeared for more than 100 years before and after Jinheungwang’s steles is uniqueness of the Silla, which cannot be found in any dynasties in China. This own calligraphic style of Silla shows the spirit of Silla people who chose non-doing rather than doing and is the description of Silla people’s mind. It can be, accordingly, called “Sillaness” because calligraphy exactly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 of the calligrapher.

      • KCI등재

        신라시대 불교금석문에 나타난 변체한문의 성격과 그 의미

        김기종(Kim, Ki-jong) 불교학연구회 2012 불교학연구 Vol.32 No.-

        본고는 고대 한국인의 말하기ㆍ글쓰기에 미친 불교의 영향에 관한 논의의 일환으로, 신라시대 불교금석문에 나타난 변체한문의 성격과 그 의미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예비적 고찰로, 삼국시대 변체한문의 내용 및 성격을 검토하였다. ‘변체한문’은 한국식 한문으로, 어순의 재배치와 한자의 한국어 문법 형태화로 요약된다. 삼국시대의 변체한문은 우리말의 문법적 요소가 보이지 않고, 하나의 銘文 안에 한문의 어순과 국어의 어순이 섞여 있다. 이들은 대체로 국가의 위업이나 율령의 시행 등 어떤 특정한 사실을 기록한 공적인 事蹟碑에 한정되어 있으며, 사건ㆍ사실에 대한 단순한 기술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통일신라 변체한문의 전개양상과 특징적인 국면을 고찰하였다. 이 시기의 변체한문은 불교 관련 자료의 비중이 매우 큰데, 전체 28종의 자료 중 23종이 이에 해당한다. 불교금석문의 변체한문은 우리말의 어순으로, 또한 비교적 다양한 문법형태 표기로 서술되어 있다. 특히 발원문이 포함된 변체한문의 경우는 ‘금석’이라는 제한적 공간을 염두에 둔다면, 한국어의 전면적 표기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끝으로, 불교 관련 변체한문의 성격과 의의를 글쓰기라는 측면에 주목하여 살펴보았다. 불교 관련 변체한문, 그 중에서도 발원이 있는 변체한문은 한국어의 문장으로 개인의 심성이라는 영역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그 이전 및 동시대의 변체한문과 구별되는 것으로, 신라인의 말과 글로 종교적ㆍ개인적 심성을 표현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미 내지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말로 된 최초의 기록문학’이자 ‘민족어문학의 탄생’으로 평가받고 있는 『삼국유사』 소재 향가작품에 비해 그 제작 연대가 확실하다는 점은, 신라인의 모국어 글쓰기, 더 나아가 민족어문학의 첫 출발로 볼 여지가 있고, 이러한 확장된 시야 또한 필요하리라 여겨진다. This paper, as a way of the discussion of the influence of Buddhism on writing,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Byeonche Hanmun ‘text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in epigraphs of the Silla period and their implications. Byeonche Hanmun refers to Korean style texts written in Chinese characters, which consist of word order rearrangement and the formation of Korean grammatical morphemes in Chinese characters. The weight of Buddhism related data is very great in Byeonche Hanmun in the United Silla period, which account for 22 out of a total 27 pieces of data. Byeonche Hanmun, as can be seen from Buddhist epigraphs, is written in the Korean word order and in relatively diverse notations of grammatical forms. In particular, those Byeonche Hanmun texts involving wishes show almost exact notations of the Korean language and expresses religious and individual personalities. Such characteristics, distinguished from those of previous and cont emporary Byeonche Hanmun texts, have great implications or significance in that they express Silla people’s religious and individual personalities in speech and texts. Also, the fact that the chronology of their production is more accurate than that of Hyang-ga ‘Korean song’works in Samgukyusa ‘Inherited History of the Three Nations’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sider these Byeonche Hanmun texts to be the first beginning of writing in mother tongue by Silla people, and furthermore, of Korean national literature.

      • KCI등재

        6세기 신라 금석문들의 고유명사 표기자 분석

        權仁瀚 ( Kwon In-h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1 大東文化硏究 Vol.113 No.-

        본고는 6세기 신라 금석문 9종 11건을 대상으로 이들에 쓰인 고유명사 표기자들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성모·운모·성조 등의 분포적인 측면에서 이들이 지닐 수 있는 음운사적 의의, 특히 고대 한국한자음 연구에 이바지할 수 있는 바들에 대한 고찰을 시도함에 목표를 둔 것이다. 2장에서는 기존에 발굴된 6세기 신라 금석문들 중에서 훼손이 심하거나, 고유명사 표기례의 숫자가 충분치 않아 본고의 논의 자료로는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북한산·황초령 진흥왕순수비 및 경주 남산신성 3·4·5·6·7·8·10비”를 제외한 “포항 중성리비(501)~경주 남산신성 1·2·9비(591)”에 이르는 11종의 금석문들에 대한 원문 구조 분석, 고유명사 표기례 수집 및 표기자 정리 등 일련의 과정을 상세히 보인 것이다. 3장에서는 2장에서 수집·정리된 각 비문별 고유명사 표기자의 성모 분포도, 운모 분포도, 성조 분포도 및 疑·來母字 분포도 등을 바탕으로 ①무기음(전청) vs. 유기음(차청)의 비율, ②무성음(전청+차청) vs. 유성음(전탁+차탁)의 비율, ③설두음 vs. 설상음의 비율, ④치두음 vs. 정치음의 비율(이상 성모편), ⑤음성운 vs. 양성운 vs. 입성운의 비율 및 개음절 vs. 폐음절의 비율, ⑥성조의 분포(이상 운모편), ⑦음소 분포 제약 등의 지표들에 대하여 고유명사 표기자의 분포적 특징 및 흐름을 살펴본 것이다. 논의 결과 신라한자음은 6세기 전반에는 광개토왕비문으로 대표되는 5세기 고구려 한자음과의 공통성을 유지해오다가 6세기 후반에 들어 몇 가지 차이점들이 나타나면서 점차 신라화의 길을 걸어온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Based on the analysis of sinographs for proper nouns used in 11 kinds of Silla epigraphs in the 6th century,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such as of initials, finals, and tones, this paper aims to study their phonological historical significance, and especially to examine what can contribute to research on Ancient Sino-Korean. In Chapter 2, I have analyzed the original text structure of 11 kinds of epigraphs in "Jungseong-ri, Pohang, stele(501) to Gyeongju Nam-san Sinseong Fortress 1·2·9 steles (591)", collected proper noun notations, and arranged sinographs, except for "Bukhan-san and Hwangcho-ryeong King Jingheung's commemoration steles and Gyeongju Nam-san Sinseong Fortress 3·4·5·6·7·8·10<sup>th</sup> steles", because of their be severely damaged or poor in in the number of proper noun examples than those. In Chapter 3, based on individual epitaphs' sionographs for proper nouns' initials, finals and tones distribution and yimu and laimu characters(疑·來母字) distribution, as collected and arranged in Chapter 2, I have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flow of the distribution of sinographs for proper nouns in terms of the same indicators and methodologies as in Part 2 of Kwon(2015), such as ①the ratio of unaspirated sounds vs. aspirated sounds, ②the ratio of voiceless sounds(voiceless unaspirated sounds+ voiceless aspirated sounds) vs. voiced sounds(voiced obstruents+voiced sonorants), ③the ratio of apico-alveolar plosives(舌頭音) vs. dorso-prepalatal plosives(舌上音), ④the ratio of dental sounds vs. post-alveolar sounds, ⑤the ratio of open syllable sounds vs. nasal-ending sounds vs. stop-ending sounds, and the ratio of open syllables vs. closed syllables, ⑥the distribution of tones, and ⑦phoneme distribution constraints. In Chapter 4, I have concluded as follows: the first half of the 6<sup>th</sup> century Sino-Silla system maintained commonality with that of 5<sup>th</sup> century Sino-Goguryeo represented by King Gwanggaeto's stele before they were gradually assimilated into Sino-Silla with some differences in the late 6th centu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