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삼국연의》 주요 인물의 정형성 연구

        이시찬 한국중문학회 2023 中國文學硏究 Vol.- No.93

        본 논문은 正史 《三國志》에서 소설 《三國演義》에 이르기까지 긴 시간 속에서 등장인물들의 정형성이 어떤 과정을 통해 이루어졌는가를 주로 고대의 문헌을 통해 살펴보고 분석 및 정리를 한 것으로 핵심 내용은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三國演義》의 주인공이자 긍정적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 劉備, 關羽, 張飛의 외적 이미지의 정형성과 관련하여 劉備는 이미 正史 《三國志》에서 기본적인 요소가 갖추어졌고, 關羽는 ‘멋진 수염’이라는 핵심적인 요소가 존재하지만 張飛에 대한 묘사는 찾을 수가 없다. 張飛는 唐代부터 언급되기 시작하면서 元代에 가장 개성이 강한 인물로 정형성이 확립되었다. 둘째, 曹操와 鄧艾는 실재했던 역사적 인물로 역사서나 문학사에서는 긍정적인 이미지로 서술됨에도 불구하고 민간 예술이나 소설에서는 악의 이미지로 정형성이 고착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살펴보았다. 특히 鄧艾는 역사에서 마지막으로 蜀나라를 무너뜨리고 張飛 집안의 대를 끊은 장본인이었기 때문에 《三國演義》에 드러난 그의 이미지도 부정적인 정형성을 지닐 수밖에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This paper mainly examines, analyzes, and organizes through ancient literature the formalities of characters in a long period of time, from the official history 《三國志》 to the novel 《三國演義》. In this paper, the formalities of two types of characters were intensively analyzed in relation to major characters. The first was to examine the formalities of the three characters, 劉備, 關羽, and 張飛, who can be said to be the main characters of 《三國演義》. As a result, the formality of 劉備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in the 《三國志》 stage, and 關羽 has also been confirmed to have the greatest external formality of ‘beautiful beard’. However, there is little description of 張飛’s image, and he confirmed that the image appeared in the private sector from the 唐 Dynasty and established the formality at the stage of the 《三國志平話》 published in the 元 Dynasty.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三國演義》 inherits most of the characters of the characters stereotyped in 《三國志平話》. Second, using 曹操 and 鄧艾 as examples, we looked at the problem of how the formality of negative characters is embodied in the novel. 曹操 is regarded as a positive person in Chinese literature history as well as in its official history, but in the novel, as a person who stands in opposition to 劉備, it has been stereotyped as an embodiment of evil such as “漢賊” and “奸雄.” In addition, the character “鄧艾,” a general in the 魏 Dynasty, had a very weak presence in the 《三國志平話》 stage, but in the 《三國演義》 stage, he was depicted as a very important person as the one who broke down the 蜀. Despite his great achievements, I noted that basic images have always been caricatured, and a preliminary analysis has led to the conclusion that he has no choice but to be structurally stereotyped as a negative person at the opposite point of the 張飛. Finally, the 《三國志平話》 stage of the original period can be of great significance to the emergence of text with a complete narrative structure hundreds of years after the history 《三國志》. In the meantime, it can be seen that it has evolved mainly into the art of ‘說話’ during the 唐宋 Dynasty and the art of performing in the form of a theater during the 金元 Dynasty. In particular, actors who mainly acted in costumes and costumes on stage in the 元 Dynasty secured one fixed image, that is, one fixed formality for each character, and this was inherited as the formality of the characters in the novel 《三國演義》.

      • KCI등재

        일반논문 : 향가(鄕歌) 기술(記述)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만엽화가(萬葉和歌)와 비교를 통해-

        최정선 ( Jung Sun Choi ) 한민족문화학회 2010 한민족문화연구 Vol.32 No.-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 삼국은 6~7세기 문화의 황금기를 맞이한다. 한자, 불교와 유교를 공동기반으로 하면서 자의식의 각성과 개인의 발견에 착목하게 된다. 그 결과 향가와 만요와카로 대표되는 고유 서정시 문학을 기록하게 된다. 시가문학의 출발점으로 보편성 안에서 특수성을 구축하려 했던 문학의식의 발현이라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미가 심대하다. 자국어 문학의 가치를 인식했다는 점에서 고대의 근대라고 하겠다. 자의식은 향찰과 만요가나의 창안과 기록으로 표현되었다. 자국어문학은 외래 문자가 아닌 자국어를 가장 가깝게 기록할 수 있는 문자적 고안을 통해 기술되어야 말의 힘을 발휘할 수 있다고 믿었다. 문자 기술은 문학의 의미와 형태에도 영향을 미쳤다. 우선, 자국어 시가를 새로운 문자체계로 기술하면서 노래의 유래를 설명하는 부분은 기존의 한자를 활용하였다. 전통과 창신의 조화는 산문과 운문의 결합의 형태도 나타났다. 형태적인 측면에서 만요와카는 5.7.7의 일본어 어절에 가장 자연스러운 음수율로 정리되면서 정형화되었다. 한시문의 정형성과는 차별화된 정형성을 획득하게 되었다. 자국어를 읊조리는 방식으로 율격이 정비되면서 일본시가의 정형성을 갖추게 되었다. 반면 향가는 일음일자의 표기가 아닌, 음과 훈을 적절하게 조화하여 기록하는 방식이었기 때문에 음수율이 아닌 형태적인 정형성을 갖추게 되었다. 3단의 의미 단락으로 구성되며 마지막 단락에 차사를 얹는 방식으로 점차 정형화되었다. 이는 한시의 4단구성을 염두에 두고 의미적으로 접근하면서, 우리말다운 시가의 특성을 감탄사로 드러내고자 모색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고대 한국과 일본은 자국어 시가의 문학적 가치를 자각하고 이를 기록하려 하였다. 이러한 과정에서 산문과 운문의 결합. 형태적 정형성을 확보하게 되었다. 즉 구승문학의 다양성이 기록으로 정착되면서 문학적 정형성과 존재양상을 세련되게 조정해갔다고 하겠다. 이러한 문학정신과 존재 양상은 후대 시가로 이어지면서 시가문학의 원류를 형성하고 있다. East Asian three countries, namely China, Korea, and Japan, were having their culture blooming around 6-7C. Based on the same cultural background such as Chinese character, Buddhism. and confucianism. As a result of these cultural atmosphere, they keenly had been thinking about their own identity as a cultural beings so that they finally had made their own wrting system which had lead them to wrtie down their orally transmitted literature. It shows a great challenge in the respects of that they pursue uniqueness out of general ideas of culture and literature. It could be called as modern of ancient in terms of their consciousness of self being. It had expressed as Hyangchal and Manyogana which was created by the concept of that one`s own literature should be written it`s own language, because of the magic power of words. Description of song in their unique writing system had been affected to bring out from and meaning of literature. First of all, it was expressed as the combination of songs and stories which was describing origins or singer of the songs. Also, it could be regarded as a sprites of tradition and renovation. As a respects of form, Manyowaka had been gained standardization followed by natural stanza and follow of Japanese such as 5.7.7. However, Korean Hayangga was slightly different from Japanese waka in terms of writing rules and method. Therefore, Hyangga had gained unique pattern like three meaningful paragraph and exclamation words at the end. These process of finding distinct features of forms might be supporting the idea that even though two countries, Korea and Japan, had been existed under the umbrella of Chinese, they had an effort to build identity and specialty of culture.

      • KCI등재

        단시(短詩)의 정형성과 그 비교문학적 접근 — 하이쿠(俳句) ‧ 선시(禪詩) ‧ 한국 현대시

        김영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3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1 No.-

        Haiku is a one-line poem. The one-liner is often misconstrued as a three-linerby foreign language speakers because it is often divided into three lines by manytranslators. This is particularly true of English translations and is a result of overlookingthe essence of the haiku: the singular line represents one life(breath). The haikuis made up of 17 characters and 3 meters and is thought to be a byproduct ofdecisive old discourse. (I personally believe that 7 is the combination of the potential2 meters. The actual meter, therefore, is divided into 4.) In this vein, the haikuand the zen poem are in unison on fundamental grounds. The tightly woven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conspicuously seen in the works of the Basho(바쇼). Basho(바쇼) lived in the 17th century during the reign of the shoguns. Notwithstanding, however, Basho(바쇼) enjoyed a time of peace under the protectionof the shogun. Jungsoohaedan(정수혜단) of imjaejong(임제종) had great power atthe time. He was well known for his love of drink as well as for his mastery ofzen poetry. His pupil, Baekeunhahak(백은혜학), also contributed in the reviving ofimjaejong(임제종) and, in following the ways of his master, wrote zen poems. The roots of the Zen Buddhist-traditional poetry can be traced back to the periodof the Six Dynasties. In saryungwoon(사령운), his famous sans souci poem is integratedwith zen. Baekwoonposuk(백운포석), known to many as Hansan's(한산) work, isactually his poem. Early days of Yoo-hyup(유협) of Munsimjyoroyng (문심조룡) areunknown to us, however, in his latter years he decided to become a monk. Laterin the period of Tang and Sung, there was a golden age of zen poetry. Wang-yoo(왕유)of si-suh-hwa(시서화), referred to as si-bool(시불), and the text on the theory ofpoetry si-sik(시식) of Tang Dynasty's Sisueng gyoyun(시승 교연) established the basicprinciples of zen poetry. Songdae Uhmwoo(송대 엄우), in his theory of poetrychangrangsihwa(창랑시화) taught that "the path of the zen as well as of poetry canonly be found in mysterious enlightenment." Such a view was due to the notionthat poetry was mastered through zen and that zen were added in poetic art. Poems that are approached from aspects of understanding and intellectual processesform the majority of today's work. On the one hand, there is a prevalence ofgrammatically wrong articles that are on a totally different level of sensational postmodern writing. Higher worth is allotted to those that are written and understoodin pedantic logic or that which exude post-modern taste, treating them as mostup-to-date, hence, better. The advent of poetry that require intuition is the call ofthe age, and is rightly so, the inescapable demand of the time. This is an introspective penitence for the undoing of poetry as well as the return to the essence of it. 이 논문은 하이쿠와 선시, 한국 현대시를 중심으로 단시의 정형성 문제에 대하여 비교문학적 입장에서 접근하여 그 상관관계를 살피는 데에 목표를 둔다. 이를통하여 이들 단시가 공간의 접합면에서 가능해진 상호작용에 의해 형성된 것이란점에서 벗어나, 단시의 정형성이 시공을 넘어 시 본연의 응축성을 드러내는 동일한 점에서 배태되어진 것임을 밝히고자 하였다. 하이쿠는 한 행의 시이다. 17자 3음보(필자는 7음절을 잠재된 2음보의 결합으로 보아 실제의 음보는 넷으로 나뉠 수 있다고 본다.)의 고담(枯談)한 단호성의 산물이다. 이러한 점에서 선시와 근본적으로 상통한다. 그 긴밀한 상관성은 바쇼를통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바쇼가 살았던 때는 17세기이다. 막부시대이기는 하지만 막부의 보호 아래 태평성대의 평화를 누리고 있었다. 임제종의 정수혜단(正秀慧端)이 크게 세를 떨칠때였다. 그는 선시의 거장으로 이름이 나 있었다. 그의 제자 백은혜학(白隱慧鶴)도임제종을 부활시킨 스님이었으며 그의 스승처럼 선시를 남겼다. 이러한 불교 선종의 선시 전통은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있었다. 사령운(謝靈運)은 그의 유명한 산수시가 선과 융합되어 있었다. 당․송에 와서는 선시의 황금기를이루었다. 시불(詩佛)로 일컬어지는 왕유(王維), 선시 이론을 개척한 당의 시승 교연(皎然)의 시론서 시식(詩式)은 선시 이론의 기초를 열었다. 송대 엄우(嚴羽)는 그의 시론서 ‘창랑시화(滄浪詩話)’에서 ‘선의 길은 오직 오묘한 깨달음에 있고, 시의길 또한 오묘한 깨달음에 있다(禪道惟在妙悟 詩道亦在妙悟)’라고 설파했다. 선으로서 시를 깨우치고(以禪喩詩), 시로써 선을 부친다(以詩寓禪)는 그러한 견해의 산물이다. 하이쿠와 선시의 단형성은 지속적으로 산문화되어진 한국 현대시에서도 드러나는 한 현상이다. 그것은 고은, 서정주, 박용래, 강우식 등의 시에서 드러나는 한 양상이다. 요즈음의 시는 이해(理解)의 접근에 의해 비로소 수용되는 지적 과정의 것이 대종을 이룬다. 한편으로는 포스트모던풍의 사설이 범람하고 있다. 이럴수록 시의 직관력이 요구되는 시의 등장은 당연한 시대의 요청으로 보인다. 그것은 시의풀림에 대한 하나의 반성이요, 시본래로의 회귀로 설명될 수 있다.

      • 건축형태에 있어서의 비정형성에 대한 이미지특성 분석 연구

        김형태(Kim, Hyung-Tae),박찬일(Park, Chan-Il)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5 한국실내디자인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10

        In this research, formrelated characteristics of digital architecture which is currently debated is regarded as Informal and this research try to consider the meaning of informal architecture form proposed in digital architecture through comparing with formal which is the traditional method based on geometry using image evaluation and analysis. In program, 3DSMAX of 3D computer graphic software which can help to make the process of form change created conditions. The research was progressed step by step observing these conditions which are connected each other and these were used with two Principles form as Axis transformation, Form transformation. As a result of that, 9 Step-by-step analysis form models are appeared, an image survey was done with 50 people. The most favored model was an 8 level result model. this model created a new, dynamic and innovative image, and scored high point above average. In contrast, the model of first level had an old fashioned, customed image, and it means an image of architecture model with informal can be specialized an innovative image. After that time, architecture form using these images with Informal approach can be much useful in comparison with formal approach.

      • KCI등재

        일반논문 : 서울굿의 연행방식 -앉은굿과 선굿-

        염원희 ( Won Hee Youm ) 한국공연문화학회 (구,한국고전희곡학회) 2010 공연문화연구 Vol.0 No.21

        본 논문은 서울굿에 대한 연행론적 차원의 연구이다. 굿을 구성하는 가무악희(歌舞樂戱)의 연행요소를 고려하면서, 서울굿의 연행방식을 `앉은굿`과 `선굿`으로 구분하였다. 노래와 공수라는 언어적 표현, 장단이라는 음악적 표현, 춤과 의례행위라는 행위적 표현과 결합한 연행방식은 굿이라는 종합예술을 이룬다. 앉은굿과 선굿의 연행방식은 서울굿의 정형성을 유지하는 필수적 요건으로, 서울굿이 변화하고 있는 현 상황에서도 절대 변하지 않는 틀이다. 서울굿은 강신한 신이 공수를 준다는 선굿 중심의 굿이면서, 종교 의례적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 앉은굿이 고정적으로 연행되면서 균형을 이루며 유지되고 있다. 또 예전에는 연행방식에 의해 담당층이 분화되었는데, 강신무권이면서도 기대라는 세습집단이 있어 앉은굿의 연행을 담당했다면, 이 집단이 소멸된 지금에는 기술적으로 발달한 청송만신이 앉은굿을 전적으로 담당하고 있다. 무엇보다 서울굿은 재가집의 적극적 참여가 필요한 굿이다. 앉은굿에서는 재가집의 참여가 요구되지 않지만, 선굿에서는 <뒷전>을 제외한 매 굿거리마다 재가집이 해야 할 역할이 있다. 서울굿은 그 어느 지역보다 재가집의 역할이 의례의 과정 안에 깊숙이 들어가 있다. 서울굿은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면서 어떤 부분은 축소되기도 하고 아예 생략되기도 한다. 그러면서도 다양한 종류와 양상 안에서 절대 변하지 않는 체계를 간직하고 있다. 이 체계가 서울굿의 정형성을 유지하는 힘이 되는데, 바로 앉은굿과 선굿의 연행방식이야말로 이 정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This paper deals with Seoul-gut (Korean shamanist rituals played in Seoul region, often with a physical or psychological healing effect), adopting performance-centered approach. Considering the performance elements of song, dance, music and play which constitute a gut, the researcher divided the performance method of Seoul-gut into sitting ritual (Anzon-gut) and standing ritual (Seon-gut). The performance method, which has been combined with linguistic expressions such as song and Gongsu (shaman`s possessed speech believed as messages from death), and musical expressions in terms of Jangdan (repeating rhythmic cycle) and behavioral expressions such as dance and ritual behavior, forms comprehensive art, which is a gut. The performance methods of sitting ritual and standing ritual are essential elements that maintain the regularity of Seoul-gut, and so, even under the present situation where Seoul-gut has been changing, these are the frames which are absolutely not to be changed. Seoul-gut is a Korean shamanist ritual on the basis of a standing ritual which has been known that the god or spirit which has been invoked delivers the messages from the dead, and at the same time, sitting ritual which includes the meaning of religious rituals is to be performed steadily. Therefore, these two shamanist rituals maintain good balance in Seoul-gut. In the past, the performers` roles in the rituals were divided according to the performance method. That is to say, even though the shamanist ritual was originated from the region where Gangshinmu (destined shaman) plays the role of god or spirit in the rituals, meanwhile, however, there was a hereditary group, called Gidae, musicians who also participated in the rituals taking charge of a performance as in sitting ritual. However, this musician group had been vanished. At the present time, female shaman called Cheongsong Mansin who has prowess in performing the rituals takes full charge of sitting ritual. More than anything else, Seoul-gut is Korean shamanist ritual where active participation of the ritual organizer (called Jaegajip) who has invited the shaman and is overall responsible for the ritual is greatly required. Sitting ritual does not require Jaegajip to participate in the rituals, in the meantime, however, in standing-gut, there are some roles which should be performed by Jaegajip at each shaman song performed during the rituals except Dwitjeon (exorcism of hungry ghosts, evil spirits, and demons from the ritual area). In Seoul-gut, the role of Jaegajip has penetrated into the procedures of the shamanist rituals deeper than any other regions. Having adapted to the changes of time, some part of Seoul-gut has been reduced in size, and some performance has been skipped completely. Nevertheless it keeps a system that is absolutely not to change, while featuring diversified kinds and modes of performance. This system is the energy to maintain regularity of Seoul-gut, and the performance method of both sitting-gut and standing-gut truly make contribution to form such regularity.

      • KCI우수등재

        구문 개념의 정립을 위한 시론

        김진웅 국어학회 2019 국어학 Vol.0 No.89

        문법 연구의 과정에서 “구문”은 매우 빈번하고 편리하게 사용하는 용어이나 그것의 정의나 성격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된 적은 드물다. 이 연구에서는 구문의 개념을 언어 형식과 기능의 기호적 결합으로 규정하고 구문이 내포하는 이론적 함의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한국어 문법 연구에서 구문의 쓰임새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이론 중립적 입장에서 통사적 구문의 개념을 먼저 소개하고 구문문법에 기반을 둔 구문의 개념을 소개했다. 또한 전통문법 이래로 이론적 변천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 구문을 이해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생성문법의 구조 개념과 구문의 개념을 구분하고 구문문법의 연구 방법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를 기준으로 국내의 구문문법 연구의 경향을 확인했다. 4장에서는 정형표현의 정의와 하위 유형들을 소개하고, 정형표현이 일종의 구문으로서 고빈도로 화자에게 노출되는 과정을 거쳐 기억되는 일련의 과정을 밝혔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이 논문의 논의 내용을 정리하고 정형성과 관련된 국어학의 연구 방향에 대해 제안했다.

      • KCI등재
      • KCI등재

        대여용 패션한복의 스타일 특성 분석

        이재영 ( Lee Jae You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5

        2010년 중반 무렵부터 고궁에 방문하는 이용자들의 한복 체험이 증가하고 이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에 공유하면서 한복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그 유행의 중심에 있는 대여용 패션한복의 스타일을 분석하여 한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 관련 산업의 활성화를 꾀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복궁과 인근 지역의 관광객들이 착용한 대여용 패션한복이며 이 한복의 형태와 색채, 소재, 장식 및 소품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 대여용 패션한복은 첫째, 한복의 유동적인 아름다움을 제한하고 일정한 형태로 고정하여 정형성을 띤다. 둘째, 한복의 고유색인 오방색에서 벗어나 일상복의 다양한 색을 도입하여 다양성을 보인다. 셋째, 서양 드레스에서 사용되는 화려하고 장식적인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시각적으로 과시성을 나타낸다. 넷째, 전통과 현대 스타일의 장식과 소품을 함께 착용하여 혼합성을 보인다. 이와 같은 스타일 특성을 가진 대여용 패션한복은 전통한복에 화려함을 더해 젊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하며, 디테일에 시각적 효과를 주어 다채롭고 장식적인 이미지를 부여하였다. 한편 한복의 스타일을 지나치게 변형하여 한복에 대한 왜곡된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저가에 국한된 상품을 통해 한복이 저가의 패션이라는 인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러나 한복을 한국 대중문화의 콘텐츠로서 보다 널리 홍보하기 위해 대중적으로 선호되는 패션한복의 스타일을 선별적으로 수용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한복 패션을 확대하고 착용 인구를 늘리며, 현대적 감성을 더하여 올바른 한복 스타일을 정착시키기 위하여 본 연구가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More and more visitors have been trying Hanbok when visiting old palaces since mid-2010. As they share their photos with Hanbok on social networks, the interest on Hanbok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ccordingly,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Fashion-Hanbok styles for rental leading such a trend, propose the further direction of Hanbok and activate the relevant industries. The subject of the analysis is the Fashion-Hanbok for rental which tourists visiting Gyeongbokgung palace and neighboring areas put on. The forms, colors, materials, ornaments and accessories were analyzed.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the Fashion-Hanbok for rental was stereotyped by restricting the flexible beauty of Hanbok and fixing a certain form. Next, the Fashion-Hanbok for rental showed diversity using diverse colors of a daily clothing beyond five colors, the unique colors of Hanbok. The next feature is the visual ostentation by using splendid and decorative materials for western dresses. Finally, the Fashion-Hanbok for rental mixed the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styles for ornaments and accessories. The Fashion-Hanbok for rental with the stylistic features above expresses young and dynamic image by adding splendor to the traditional Hanbok and created varied and decorative image by applying the visual effects to details. Meanwhile, the Fashion-Hanbok for rental demonstrated several problems. First, the Fashion-Hanbok for rental could create the distorted imaged on Hanbok by excessively transforming the traditional Hanbok style. Next, the Fashion-Hanbok for rental could form the image that Hanbok is cheap fashion style because it is not expensive. Nevertheless, it is required to selectively accept the Fashion-Hanbok style preferred by the public for acknowledging Hanbok as the contents of Korean popular culture more widely. Accordingly,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building the proper Hanbok style by expanding Hanbok fashion styles, increasing the number of people who put on Hanbok and adding contemporary sensitivity.

      • KCI등재

        신고전주의 시대에 발원한 반(反)-생명적인 ‘틀’로서의 플롯 - 장 라신의 <페드르>를 중심으로

        이예은 ( Lee Ye Eun ) 한국연극학회 2024 한국연극학 Vol.1 No.86

        본고는 프랑스 신고전주의 연극에서부터 발원하는 정형적인 극 계보의 원천이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이라는 기성의 견해에 근원적인 문제를 제기하는 것으로 논의를 시작한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시학』에서 밝힌 최초의 플롯 개념의 초점은 후대에 계승된 대로 정형성에 있기보다 인물로 하여금 스스로를 실제로 움직이게 하는 행위의 동력에 있으며, 이 행위의 동력은 당사자성, 나아가 움베르또 마뚜라나와 프란시스코 바렐라가 생명의 원리로 밝힌 자기생성성으로 고찰할 수 있다. 그런데 로마 시대를 거쳐 프랑스 신고전주의 시대에 이르면 그리스 시대의 연극은 모방의 대상이 되면서 애초에 연극의 관건이었던 자기생성성(당사자성)과는 본성적으로 상반되는 재현 논리가 연극의 주(主)가 된다. 본고는 자기생성성과 태생적으로 대립각을 내포한 재현 논리의 한계를 비교 고찰하며 우선 2장에서는 그리스 시대와 신고전주의 시대 극장 구조를 비교한다. 타자와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여 생명을 지속케 하고 삶을 성찰케 하는 것을 유도했던 ‘막’으로서의 그리스 시대 극장은 신고 전주의 시대로 오면서 타자와의 분리를 전제로 재현 논리를 강요하는 ‘틀’로서의 극장으로 변형된다. 3장에서는 신고전주의 시대의 문제작인 장 라신의 <페드르>를 텍스트로 삼아 재현의 ‘틀’에 갇힌 플롯이 출현하게 되는 과정을 분석한다. 먼저 이 작품에서의 행위를 분석하며 당사자성으로써 추동되었던 그리스 연극에서의 행위와는 달리 외부 계기에 압도된 채 수동적으로 행해지는 비(非)-행위적 행위의 성질을 고찰한다. 이렇게 진정한 의미에서 행위의 자리를 빼앗긴 연극이 대안적으로 의존하게 되는 것은 말인데, 이 말은 역설적이고 고립적인 권력의 민낯을 드러내는 기제가 된다. 결국 이 시대 연극은 비-행위적인 행위와 말의 역설적 권력을 따른 채 반(反)-생명적인 형식으로서의 정형적인 플롯을 창안, 제시한다. The main point of this thesis is to raise fundamental issues concerning the origin of the conventional dramatic linearity, stemming from French neoclassical theater. The primary focus of Aristotle’s plot lies not in its formalism but rather in the impetus for characters to act autonomously, a concept later inherited, particularly by Umberto Eco and Francisco Varela, as the principle of autopoiesis in life. However, as we transit from the Greek era through the Roman period to the French neoclassical era, the essence of Greek drama which originally emphasized self-creation has been inherited to the logic of conventional drama as a model for imitation. This thesis critically examines the limitations of the logic of representation, inherently in opposition to self-creation, and first compares the theatrical structures of the Greek and French neoclassical eras in Chapter 2. The Greek theater, as a stage that enabled connection with others, fostering continuity of life and reflection on life, transformed into a framework imposing the logic of representation by presupposing separation from others as we transition to the neoclassical era. Chapter 3 analyzes the emergence of plots trapped within the framework of representation, analyzing Jean Racine's < Phaedra >. Initially analyzing the actions in this work and examining the nature of non-actuated actions passively performed under overwhelming external circumstances, contrasting with the actions in Greek theater driven by autonomy, this thesis reveals the paradoxical and isolating nature of the language in this era. Ultimately, in the theater of this era, plots are formulated as anti-life forms following non-actuated actions and the paradoxical language. Thus, the plot of the neoclassical era presented here forms the basis of the conventional dramatic linearity up to the contemporary era.

      • KCI등재

        ‘-다고 하는’과 ‘-다는’에 대한 고찰 -관형사절의 정형성을 중심으로-

        박형진 ( Park Hyoung-jin ) 한말연구학회 2023 한말연구 Vol.64 No.5

        This paper aims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non-finite adnominal clause ‘-da-go ha-nun’ and finite adnominal clause ‘-da-nun’ in Korean. There exists finite adnominal clause and non-finite adnominal clause. Finite adnominal clause represents proposition and non-finite adnominal clause represents event. Finite adnominal clause used only as ‘content’ semantic role of noun, but non-finite adnominal clause used as all semantic role of noun. ‘-da-go ha-nun’ represents event as non-finite adnominal clause and it can be reduced ‘-da-nun’ in relative clause. The meaning of the quotative verb ‘ha-’ in ‘-da-go ha-nun’ can be backgrounded when it used as ‘content’ semantic role. However if there is a specific context, the meaning of the quotative verb ‘ha-’ can be foregrounded again. ‘-Da-nun’ can be divided into ‘-da-nun1’ which is synchronically reduced form of ‘-da-go ha-nun’ and ‘-da-nun2’ which is adnomil ending. ‘-Da-nun1’ represents event. ‘-Da-nun2’ can be set because there are a lot of evidence that ‘-da-nun’ and ‘-da-go ha-nun’ are different in the place of the ‘content’ semantic role of noun. ‘-Da-nun’ in noun complment clause is understood as ‘-da-nun2’. ‘-Da-nun2’ represents proposition as a ending of finite adnominal clause and always it used as ‘content’ semantic role of nou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