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조의 탕평 소통 리더십과 민주 시대의 사이-소통 리더십

        안효성(Ahn, Hyo-soung) 원광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열린정신 인문학연구 Vol.18 No.2

        본고는 정조 임금의 탕평정치를 리더십의 관점에서 조명함으로써 한국의 정치 사회에서 소통과 공공성을 최대한 온전하게 회복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바람직한 통치 리더십의 원리와 방식을 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정조는 지금의 한국이 처한 상황과 너무도 유사했던 18세기 조선의 위기를 돌파하고 소통과 공공성의 수준을 크게 높일 수 있었던 통치 리더십의 소유자였다. 초당파적으로 인재를 등용하는 인사정책을 단행하고, 엄준한 도덕적 태도와 합리적인 정치 논리를 견지하는 준론(峻論)들을 중용하여 막힘없는 의견의 개진과 토론을 허용한 정조의 ‘준론탕평’은 이념적으로 경직된 조선 사회의 한계 속에서도 다양성을 공존시키고 적극적인 소통과 화합을 실현함으로써 조선에 르네상스를 가져왔다. 이는 소위 ‘의견의 정치’를 열어주는 소통의 통치 리더십이 좋은 정치와 국가 발전의 핵심 동력이 된다는 것을 확인시켜 준다. 그러나 정조의 탕평정치에는 진리적 표준을 세우는 권능적인 군주가 탕평의 주체로 설정되는 ‘황극탕평’의 이념이 준론탕평의 원칙과 공존한다는 모순이 있다. 이 때문에 정조는 진리의 심판자를 자처하면서 자유롭고 창발적인 의견의 정치를 억압하는 반소통적이고 독단적인 ‘독재적 리더십’을 발휘하기도 한다. 이것은 정치 시스템을 무용하게 만들었고 정조 사후 조선의 몰락을 앞당기기도 한 하나의 원인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은 우리가 회피해야 할 정치 리더십이 무엇인지를 가르쳐 준다. 정조의 리더십이 보여준 준론탕평의 긍정적 측면과 황극탕평의 부정적 측면은, 민주적이고 공화적인 ‘의견의 정치’를 열고 사회적으로 ‘공공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는 통치 리더십이란 ‘토론하고 논쟁하는’ 소통을 허용하며 구성원들 간에 소통이 막힘없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사이-소통’의 리더십임을 지시한다. This paper aims to seek the principle and methods of desirable governing leadership that could recover the communication and publicness as wholly as possible and develop in Korean political society by examining the King Jôngjo"s Tangpyông politics from leadership point of view. Jôngjo was the king with governing leadership who broke through the crisis in 18th century Chosôn which is quiet similar to current situation in Korea and improved communication and publicness level. Jôngjo"s Junlon Tangpyông which carried out unpartisan personnel management policy, selected Junlons who held strict ethical attitude and rational political logics to approve free statement of opinion and discussion has led to diversity in stiffened limits in Chosôn society, realization of aggressive communication and harmony and brought about the renaissance of Chosôn. This confirms that leadership of communication activating "politics of opinion" is the core motivation of good politics and development of state. However, in Jôngjo’s Tangpyông politics, it has contradiction between ideas of "Whangkûk Tangpyông" which sets charismatic king who establishes truth based standard as the subject and "Junlon Tangpyông". Thus, Jôngjo consider himself as the judge of truth while sometimes show "autocratic leadership", the counter-communicational and dogmatic leadership suppressing politics of free and critical opinion. This caused futility of political system and it could be one of the causes leading to fall of Chosôn after the death of Jôngjo. This tells us what political leadership should we try to avoid. Positive aspect of Junlon Tangpyông and negative aspect of Whangkûk Tangpyông displayed by Jôngjo’s leadership indicates that democratic "politics of opinion" and governing leadership which could enhance the "publicness" of society refers to leadership of "inter-communication" allowing "discussing and arguing" communication, and helping the fluent communication among the members of the society.

      • KCI등재

        하곡 정제두의 준론탕평론

        이남옥(Yi, Nam-ok) 한국양명학회 2017 陽明學 Vol.0 No.47

        본고는 정제두가 주장한 탕평론에 대해서 살펴보기 위해 작성되었다. 鄭齊斗가 생존했던 17~18세기 조선은 당쟁이 가장 심한 시기였다. 그는 스승 朴世采의 皇極蕩平論을 계승하여, 1728년 경연 석상에서 戊申亂을 수습하는 방편으로 中과 平을 강조하는 峻論蕩平論을 주장하였다. 그는 丙申處分이후 당론이 심해졌지만, 국왕 영조가 탕평을 시급하게 생각하므로 다행이라 여겼다. 그리고 임금이 極을 바로 세운다면[建極] 탕평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하였다. 나아가 제갈량이 『출사표』에서 제기한 ‘宮中府中一體’를 통해 임금과 대신이 한 몸임을 역설하였는데, 임금이 마음을 바로 하고 이 바른 마음으로 대신을 임명하여 임금의 마음을 대변케한다면 백성에게까지 혜택이 갈 것이라고 하였다. 다만, 임금이 지극히 공평하고 사사로움이 없는 마음을 지니고 상벌을 공평히 하여[平] 죄진 사람은 죄주고 현자는 등용하여 시비와 곡직에서 中을 얻어야 한다고 하였다. 이는 피차를 구분하지 않고 화평한 정치를 목적으로하는 조제보합적 탕평을 반대한 것으로 이전의 탕평론과는 차이를 둔 것이다. In the 17-18th century of Joseon(朝鮮) when Jeong Je-du(鄭齊斗, 1649~1736) lived, party strife was the most severe. He inherited Park Se-chae‘s theory of impartiality and claimed the Stern political harmony(峻論蕩平) that emphasizes harmony(平) and equilibrium(中). In the Royal Lecture(經筵) of 1728, when Yi In-jwa’s rebellion took place, Jeong Je-du insisted on his theory of impartiality. After the political decision of King Sukjong in 1719, Jeong Je-du thought that political disputes had become more serious. However, he felt lucky that King Youngjo considered political harmony as an urgent problem. His agument is as follows. First, If the King establishes the principle, the political harmony will be possible. Secondly, Through Zhuge Liang(諸葛亮)’s theory that the royal clan and the government are one can prove that the King and King’s servant are one. Therefore, if the king has the right mind and appoints his servant with the right mind, if he represents the king’s heart, the political benefits will come to the people. Third, The King must fairly grant punishment with a fair heart, and the wise shall rise up and the sinner to sin. This is against the theory of impartiality in the previous era aimed at peaceful politics without discrimination.

      • KCI등재

        정조의 평화사상 : 탕평과 활법을 중심으로

        안효성 ( Ahn Hyo Soung )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8 통일과 평화 Vol.10 No.1

        조선의 왕 정조(正祖, 1752~1800)에게서 현대 평화학에서 다루는 수준의 평화사상을 찾는 것은 무리일 것이다. 그럼에도 정조에게 평화에 대한 관념이 없지는 않았고, 그러한 관념은 정조의 사상과 정치에 반영되었다. 정조의 평화사상은 관용과 통합의 사상으로서의 탕평과 내면의 활기 있는 평안을 추구하는 활법에서 찾아볼 수 있다. 첫째, 의견의 다양성을 존중하고 토론과 소통의 활력을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임으로써 폭력 없는 공존과 갈등의 완화를 추구하는 준론탕평(峻論蕩平)은 소극적 평화(negative peace)의 사상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구조적 폭력이 제거된 화합과 대통합의 정치사회체제를 추구함으로써 관용 없는 분쟁과 폭력의 여지를 없애려는 대동탕평(大同蕩平)은 적극적 평화 (positive peace)의 사상으로 볼 수 있다. 셋째, 성리학적 마음공부의 연장선상에 있으면 서도 정조 자신만의 독특한 깨달음을 가미한 정조의 활법(活法) 공부론(工夫論)은 내적인 평화, 인간 마음의 평화를 위한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 세 가지 측면에서 정조의 평화사상을 조명한다. It will be challenging to look for thoughts of peace from King Jôngjo(正 祖, 1752-1800) of Joseon, from the same level of the modern Peace Studies. However, it was true that King Jôngjo did have the notion of peace, and this notion was considerably reflected in his thoughts and politics. Thought of Peace of King Jôngjo can be found from Tangpyông(蕩平) as an ideology of tolerance and integration and Hwalbup(活法) pursuing internal vivacity. Firstly, his “Junlon Tangpyông(峻論蕩平)” can be considered negative peace thoughts in the sense that this ideology aims at coexistence without violence and minimization of conflicts by increasing the understanding of others through respect of diverse opinions and dynamism of discussions and communications. Secondly, his “Daedong Tangpyông(大同蕩平)” is considered positive peace thoughts in the sense that this notion intends to remove the possibility of dispute without tolerance and violence by seeking socio-political system of harmony and great integration void of structural violence. Thirdly, Jôngjo’s “Theory of Hwalbup learning” can be considered internal peace, namely, thoughts for peace of mind of humanity, in the sense that this theory is an extension of mind learning of Neo-Confucianism but is added by unique awakening of Jôngjo of his own. This study aims to illuminate the thoughts of peace in King Jôngjo from these three perspectives.

      • KCI등재

        영조대 노론 준론 이재의 신임의리 탕평론과 그 실현

        최성환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0 東洋學 Vol.0 No.79

        This study is on a new Sinim-Euli arguement and Euli-Tangpyeong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Lee-jae who had produced numerous Gyeong-hwa-ja-je(a youngman of noble birth in Seoul), as the leader of Yeong-jo reign’s Noron Junron(principled faction). In the process of King Yeongjo’s ascension, a argument of Sinim-Euli(辛壬義理) was in contrast to Noron and Soron. The key to determining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Tangpyeong politics is how King Yeong-jo organizes them well and leads to an agreement between the literati officials. Political justness is a crucial factor in determining the leading forces of Tangpyeong politics, as it is the basis for the proper allocation of talented persons belonging to the parties. Until now, the Tang-pyeong politics of Yeong-jo reign was being studied based on the politics of compromise, which was based on the justification suggested by the Tangpyeong faction. It means Noron and Soron was recognized by half the justness of loyalty and rebel Sinim-Euli. By this standard, a argument of the Noron Junron represented by Lee-Jae was explained as a narrow-minded justification. Because Lee-Jae claimed that Noron is loyalty and Soron is rebel. This understanding is based only on “Dang-ui-tong-lyag(黨議通略)”, but it does not reflect the political realities of the Yeong-jo reign. This study deviates from the conventional view and evaluates the political justification of Noron and Lee Jae’s Sinim-euli based on credentials as national policy of the later Yeongjo’s period, which had been strengthened. Lee did not oppose Tangpyeong, though he clearly declared Yeongjo’s rightful succession and the loyalty of the Noron officials who were unjustly sacrificed. In fact, the Tang-pyeong political situation was maintained even after 31 years of King Yeongjo, when Noron’s loyalty was almost fully realized. As seen in the case of Lee-jae, It is asked to explain more strictly the political justification and political trends in Youngjo’s period so that we reflect the view point of the time. 본 논문은 영조대 노론 준론 산림의 영수로서 수많은 경화 자제들을 교육·배출한 도암 이재가 확립한 신임의리와 그에 기반한 의리탕평의 실현 양상을 분석한 것이다. 영조의 즉위 과정에서 발생한 충·역 의리를 가리키는 신임의리는 노론과 소론의 주장이 대립적이었다. 이를 영조가 어떻게 정리하여 사대부 공론의 합의를 이끌어내느냐가 탕평정치의 성패를 가름하는 핵심이다. 정치의리는 붕당에 속한 인재를 적절히 배분하여 등용하는 기준이 되기 때문에 탕평정치의 주도세력을 결정하는 데 매우 결정적인 요소이다. 지금까지 영조대 전반의 탕평정치는 소론 탕평파가 제시한 의리론, 즉 신임의리에서 노론과 소론의 충·역을 절반씩 인정해서 절충한 정치의리를 기준으로 연구되고 있었다. 이런 기준에서 보면 이재가 대변한 노론 준론은 신축년과 임인년에 노론들의 행위가 모두 충인 반면 소론들의 행위는 역이라는 의리를 주장하였기 때문에 탕평을 반대하거나 아니면 매우 일당독재를 옹호하는 편협한 의리처럼 설명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이해 는 소론 준론에 치우친 당의통략의 의리론에 기반한 인식일 뿐, 영조대의 정치 현실을 반영한 것은 아니다. 본 논문은 기존의 시각에서 벗어나 영조대 후반에 확정되고 그 이후 더욱 강화된 국시로서의 신임의리를 기준으로 노론 준론과 이재의 신임의리론을 분석·평가한 것이다. 이재는 영조의 정당한 승계 의리를 분명히 천명하고, 이를 위해 노력하다가 억울하게 희생된 노론 신하들의 충성을 명확히 인정해 달라고 요구하였을 뿐, 탕평을 반대하지는 않았다. 실제로 노론의 의리가 거의 완전히 실현된 영조 31년 이후에도 탕평 정국은 유지되었다. 이재의 사례에서도 알 수 있지만, 영·정조대의 정치 의리와 정국 동향에 대해서는 당대의 시각을 반영한 엄밀한 분석이 더욱 요청된다.

      • KCI등재

        18세기 소론탕평 정국과 류수원의 정치적 역할

        이선아 한국실학학회 2019 한국실학연구 Vol.0 No.38

        Ryu Su-Won was born in 1694 into a Soron family in Chungju-mok, Chungcheong-do. Passing the state examination, he held government positions in 1718. He might begin in earnest waking political moves after enthronement of Gyeong-jong. He aroused a controversy in political situation during Sinim Oksa(a case that many Seonbi died in prison in 1721∼1722) by raising an appeal that he impeached Jo Tae-gu, the leader of Soron, and key figures of Soron. In that time, Noron carried through their assertion about crowning of king's brother and substituting politics for King. So Soron established a Soron government by cooperating Noron, but conflict between Wanron and Junron remained. His appeal made Soron government splitting. This appeal was a roadblock on his public career. But Song In-Myeong, Jo Hyeon-Myeong, Lee Jong-Seong, etc., who belonged to Tangpyeong faction of Soron, recommended him for his erudite knowledge and well-versed in talent. His book, Useo, involved experience and knowledge in political reform plan to maintain political initiative of Tangpyeong faction of Soron. Especially in 1740, Noron got political power back by degrees, Tangpyeong faction estimated his plan about reforming government organization very positively for making fair politics. But it was not accepted finally. In 1741, King's instruction was proclaimed(Sinyu Daehun), political situation was changed to Tangpyeong faction of Noron. After 1755, Eulhae Oksa occurred following the event of a poster in a Naju inn, and his tracks was not able to be found. He was executed as rebel, and his reform plan in his book disappeared. His public career showed historical scenes about a limit and failure of Tangpyeong plan of King Yeongjo and Soron. 류수원은 숙종 20년(1694)에 충청도 충주목의 소론 가문에서 태어나 숙종 44년(1718)에 문과에 급제하여 관로에 올랐다. 류수원의 본격적인 정치적 행보는 경종이 즉위한 이후에 확인된다. 류수원은 신임옥사가 전개되는 정국에서 소론을 이끌고 있던 조태구와 소론 핵심인물을 탄핵하는 상소를 올려 논란을 일으켰다. 당시 소론은 완론과 준론의 노선의 차이가 드러났지만, 노론이 세제책봉과 대리청정을 관철시키는 국면에서 공조하여 소론정권을 수립하였다. 때문에 조태구를 탄핵하는 류수원의 상소는 소론의 갈등을 드러내고 균열을 야기할 사안이었다. 조태구를 탄핵한 상소를 올린 이후 류수원은 外職을 전전하다가 영조 4년(1728)에 사헌부 지평에 임명되었다. 류수원은 출사하지 않고 무신난에 대한 철저한 처벌을 요구하는 발언을 통해 조태구 탄핵상소로 인한 정치적 혐의를 벗고자 하였다. 그러나 조태구를 탄핵하였다는 류수원의 행적은 그의 관직생활에 걸림돌이 되었다. 소론 탕평파가 그에 대해 ‘박학한 지식[淹博之識]과 주밀하고 통달한 재주[周達之才]’를 지녔다고 적극 추천하였으나 그의 관직 임명은 계속 논란이 되었다. 이런 논란은 류수원의 『우서』가 조정에서 본격적으로 논의되면서 수그러들었다. 소론 탕평파의 적극적인 추천으로 영조는 『우서』를 친람하였다. 영조는 류수원의 『우서』와 『문헌통고』를 비교하면서 류수원에 대해 ‘나보다 낫다’고 평가하였으나 『우서』의 개혁안에 대해서는 오활하여 시행할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반면에 소론 탕평파는 류수원의 『우서』를 탕평을 위한 제도 개혁안을 제시하고 있는 경세서로 평가하고 실행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영조 16년(1740)에 임인옥사를 誣獄으로 판정하고 노론의 정치력이 회복되는 상황에서 조현명을 비롯한 소론 탕평파는 탕평을 이루기 위해 정치구조를 개편해야 한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에 류수원의 『우서』에서 제안한 관제 개편안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소론 탕평파의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류수원의 정치개혁안은 전격적으로 수용되지 않았다. 오히려 영조 17년(1741)에 辛酉大訓이 반포된 이후 신임옥사와 관련된 혐의를 벗은 영조는 점차 노론의 신임의리 위에 정국을 주도하고자 하였다. 노론탕평의 명분 아래 류수원과 그의 『우서』에 대해서도 더 이상 논의되지 않았고, 류수원은 10여 년의 廢錮의 시간을 보냈다. 그리고 류수원은 영조 31년(1755)에 일어난 乙亥獄事에 연루되어 역적으로 처형되었다.

      • KCI등재후보

        영조대 중반 葉向高 평가 논란의 정치적 함의

        이근호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0 한국학논총 Vol.34 No.-

        이 글은 영조대 중반경에 있었던 중국 명대 인물인 葉向高의 평가를 둘러싼 논란이 갖는 정치적 함의를 규명하기 위해 작성된 글이다. 섭향고는 명나라 말기인 신종 연간에 출사, 이후 광종과 희종, 의종대를 거치며 관료로 활동한 인물로, 명나라 말기 정치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점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그의 고국이 아닌 조선에서 그의 사후 100여년이 지난 영조대 중반 그와 관련된 논란이 있었다는 점이다. 섭향고에 대한 논란은 영조 17년 신유대훈 반포 이후 이른바 대탕평이 제기되고 추진되면서 제기되었는데, 그 논란의 중심에는 ‘東方의 葉向高’라 칭해지는 元景夏가 있었다. 원경하는 자신이 제기한 대탕평의 역사적 근거로 섭향고를 거론하면서, 섭향고의 조제 노력이 원경하 당대에도 유용한 방법이라 하였다. 이에 비해 원경하와는 달리 섭향고를 비난하는 논의가 제출되며 논란이 발생하였는데, 그 대표적인 논자가 朴春普이었다. 박춘보가 섭향고를 비난한 이유는 그가 명나라 말기 국권을 농단하던 환관 魏忠賢을 옹호했다는 것이다. 섭향고가 위충현을 옹호했는가의 여부로 시작된 논란은 이후 그 비판의 본질이 지적되었다. 다름 아닌 원경하를 중심으로 추진되던 대탕평에 대한 비판이었던 것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비판 속에는 영조대 신유대훈 이후 노론내 완론과 준론의 대립이 내재하였다. 완론은 원경하를 중심으로 한 세력으로 그가 주창한 대탕평에 공감하는 계열이며, 준론은 이를 반대하는 이천보 등의 계열이었다. 이러한 완론과 준론의 대립은 결국 신유대훈 이후 추진되던 이른바 대탕평에 대한 입장 차이에서 초래된 것이었다. 즉 대탕평을 주장했던 원경하는 섭향고의 조제하려는 정치적 행동을 높이 평가하며 이를 현실 정치에 적용하려고 하였다. 반면 비록 박춘보의 견해만이 확인되지만 준론 계열에서는 그가 위충현을 옹호했다는 것을 제기함으로써 원경하 주도의 노·소·남·북을 아우르는 대탕평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였던 것이었다.

      • KCI등재

        이건창 가문의 당론과 『당의통략』 서술

        최성환 ( Choe Seong-hw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4 No.-

        조선후기 당쟁사 서술을 대표하는 저술인 이건창의 『당의통략』은 ‘소론에 치우치기도 하지만 대체로 공정한 서술’이고 ‘비교적 不偏不黨한’ 당론서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그러나 당파성을 지닐 수밖에 없는 당론서를 공정성이라는 잣대로 평가하는 것은 온당한 접근법이 아니다. 필자는 본 논문에서 『당의통략』이 전제하는 당론의 실체를 부각시켰다. 이는 『당의통략』을 폄하하려는 것이 아니다. 조선후기 정치사의 정당한 이해를 위해서는 『당의통략』의 시각을 절대화하기보다는 훌륭한 당론서들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야 하기 때문이다. 조선후기 정치사의 전체상은 조선왕조실록과 같은 正史를 중심에 놓고 제당파의 당론서들을 두루 참조한 후에 그려질 수 있을 것이다. 필자의 분석에 의하면, 『당의통략』은 조선후기 양명학을 계승한 소론 준론 탕평파의 시각에서 조선후기 정치사를 정리한 당론서이다. 아울러 집권 노론 주자학파에 대한 이건창의 부정적 인식은 강화 양명학 특유의 동기주의적 眞假論에 의하여 강화되었다. 그러나 이건창 가문의 소론 준론 탕평론은 영조대의 정치 현실에서는 힘을 발휘하지 못하다가 결국 패퇴하고 말았다. 현실의 성패가 역사 평가의 유일한 잣대는 아닐 터이지만, 『당의통략』을 기준으로는 조선후기 당쟁사의 전개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다. 이는 『당의통략』에서 당쟁망국론이 강조될 수밖에 없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건창이 견지한 가치 기준과 정치 현실의 괴리는 『당의통략』을 객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유의해야 할 점이다. Dang-ui-tong-nyak, a book written by Lee Kun-chang representing the writing of the party's history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is considered to be "fair narratives, but mostly fair descriptions" party essay. However, it is not a proper approach to evaluate the party essay on a fair basis. In this paper I highlighted the substance of party theory that is predicated by party politics. For a legitimate understanding of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it should be treated as one of the great party's theories rather than absoluteizing the party's view. According to the author's analysis, Dang-ui-tong-nyak is a book of the political histo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ang-Pyong. Lee was consistent with his very negative account of the ruling party No-ron. This was reinforced by his unique motiveism made by Yang-Myong-hak, his family studies in Gang-hwa-do. In real politics, however, Soron-Junron-Tangpyongron failed to show its strength in argument and failed to win. We should distinguish the value standard of Lee Kun-chang from a political reality. Dang-ui-tong-nyak has perspective of Soron-Junron-Tangpyongron, that's why it is not reasonable to explain the evolution of the party's histo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a point that must be careful to objectively understand the political maneuvering of the party.

      • KCI등재

        18세기 중반 이태중(李台重)의 정치 활동

        이근호(Lee, Geun Ho) 역사실학회 2021 역사와실학 Vol.75 No.-

        18세기 조선 사회의 정치적 특징은 탕평 정치로 말해진다. 국왕 주도하에 탕평책이 추진되면서 당대의 정치세력들은 탕평의 방법이나 정치적 현안을 둘러싸고 입장 차이를 보였다. 영조대의 정치사에 대한 규명을 위해서는 갈래가 많고 복잡한 정치세력의 동향을 구체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이런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이태중의 정치 활동을 살펴본 것이다. 이태중을 둘러싸고 있는 인적, 학문적 배경은, 그가 철저하게 서인-노론계의 입장을 견지할 수 밖에 없는 상황이었음을 보여준다. 특히 그의 외가이자 사제 간으로 연결된 연안이씨의 정치적이고 학문적 입장은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단, 그의 외가인 박태상 가계가 정치적으로 소론 세력이라는 점은 이태중이 소론 세력에 대해서도 유화적인 입장을 가졌을 것이다. 이태중은 정치 활동 전반부 시기, 신임옥사 때 화를 당한 인물들의 신원을 요구하거나, 그동안 미루어졌던 임인옥사 당시 역모인이라 지목된 인물의 신원과 소론의 토죄를 요구하였다. 이태중의 주장은 노론 세력의 의리를 표명한 것이지만 결과적으로 영조가 추진하는 탕평에 불만의 표시였다. 이후 이태중은 몇 차례 유배를 경험하기도 하였는데, 이는 국왕이 그의 문제 제기를 당론으로 치부하였기 때문이다. 이태중은 생애 후반부에는 관직에 나아가 관찰사 등 주요 관직을 역임하였다. 그동안 관직에 나오지 않았던 이태중의 삶이 변화한 것이다. 이런 변화에는 몇 가지 요인이 있었다. 먼저, 신유대훈으로 인해 만족스럽지는 않지만, 의리에 대한 조정이 이루어진 점과 이태중이 가지고 있던 출처관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영조가 이태중에 대해 과도한 대응을 후회한 사실도 그 배경이 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과 같은 이태중의 정치 활동은, 18세기 중반 노론계 준론 세력 일부의 동향이라고 할 수 있다. 많은 사례 연구가 축적되어 이를 종합한다면 이 시기 정치사를 보다 동태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olitical characteristics of Joseon society in the 18th century are said to be Tangpyeong politics. While Tangpyeong was being pursued under the leadership of the king, political forces of the time differed over the method of Tangpyeong and political issues. In order to find out the history of politics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trends of diverse and complex political forces. Based on this sense of problem, this article examines Lee Tae-jung"s political activities. The human and academic background surrounding Lee Tae-jung shows that he had no choice but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Seoin-Norin community. In particular, it is believed that his relative and academically connected Yeonan-Yi Clan"s political and academic posi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However, it was judged that Lee Tae-jung also had a conciliatory stance on Soron"s forces due to his maternal family, Park Tae-sang"s family, being politically a member of Soron"s family. During the first half of his political activities, Lee Tae-jung demanded the reinstatement of those who were upset during Sinimoksa. He also called for reinstatement of figures named a plot of treason during Iminoksa, and for Soron"s punishment. Lee Tae-jung"s argument expressed the loyalty of Noron forces, but as a result, it was a sign of dissatisfaction with the Tangpyeong promoted by King Yeongjo. Afterwards, Lee Tae-jung experienced exile several times because the king considered raising his issue as a discussion of the factions. Later in his life, Lee Tae-jung went on to serve as a government official and served as Gwanchalsa. Lee Tae-jung"s life, which has not been in office in the past, has changed. There were several factors in this change. First of all, Sinyudaehun is not satisfied but has made adjustments to loyalty, and the rule of conduct in life that Lee Tae-jung had. And the fact that King Yeongjo regretted excessive response to Lee Tae-jung is believed to have been the background. Lee Tae-jung"s political activities, as described above, are a trend of some of the Noron-Junron forces in the mid-18th century. If a number of case studies are accumulated and put together, the political history of this period will be more dynam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