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7~18세기 訓鍊都監의 연료 조달 방법과 변화 양상

        여민주 부경역사연구소 2023 지역과 역사 Vol.- No.53

        본고는 17~18세기 훈련도감에서 사용하는 연료의 조달 방식과 변화 양상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했다. 훈련도감에서는 조총, 화약 등 무기를 만들거나, 군병들의 의식주를 위해 숯과 토목이 사용되었다. 군인들의 의식주를 위한 연료보다 군기 제조에 더 많은 연료가 소요되었으므로, 연료를 마련하는 것은 중요한 문제였다. 훈련도감에서 필요한 연료는 2가지 방법을 통해 해결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는 중앙관사와 같이 시장 절수를 통한 연료 조달이다. 조선전기부터 중앙관사나 무기 제조를 담당한 관청인 군기시는 시장을 절수 받았음을 법전에서 확인할 수 있다. 훈련도감은 조선후기에 설치되어 법전에는 기록되어 있지않지만, 사료에서 시장 절수를 확인할 수 있다. 훈련도감은 경기 양근과 강원 춘천‧홍천‧낭천 지역에 시장을 절수 받았고, 여기서 무기를 제조하는 등 도감에서 필요한 연료인 토목을 수취하도록 하였다. 하지만 수목이 부족하게 되면서 시장은 화전으로 개간되기 시작하였고, 연료 수취 방식이 현물 수취에서 세금 수취로 변화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두 번째는 둔전 경영을 통한 연료 수급이다. 조선은 각 군영에 둔전을 지급하였는데, 둔전을 경작해서 필요한 재정에 사용하도록 하였다. 만기요람 에는 훈련도감에 14개의 둔전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3개의 둔전이 연료를 마련하는 명목으로 절수된 둔전이었다. 둔전에서 경작에 대한 세금을 받아 연료를 마련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훈련도감의 시장과 둔전은 설치 시기와 위치, 세금 수취 등 내용이 비슷하였다. 검토한 바에 따르면 조정에서는 먼저 훈련도감에 시장을 절수를 허용하였고, 여기서 도감으로 하여금 벌목하여 연료를 수취하도록 하였다. 시장 내에 수목이 없어지자, 화전으로 개간되기 시작하였다. 시장 절수지가 화전으로 개간된 이후 세전을 거두어 토목을 마련하였다. 이후 시장으로 절수 받았던 곳들이 화전으로 모두 경작지로 개간되자, 이 지역을 둔전이라고 칭하였고, 이를 만기요람 등 19세기에 편찬된 사료에서는 둔전으로 명시하였다. 양근‧춘천‧홍천 지역에는 훈련도감의 시장과 둔전이 각각 존재한 것이 아니라 시간의 변화에 따라 시장의 둔전화가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In this paper, we tried to examine the supply method and changes of fuel used in Hullyeon-Dogam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In the Hullyeon-Dogam of the late Joseon Dynasty, charcoal and tomog(吐木) were used to make weapons such as handguns and gunpowder, or to provide food, clothing, and shelter for soldiers. In order to solve the fuel demand required by the military camp, it was attempted to solve it through two methods. The first is the supply and demand of fuel through Sijang, like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 It can be seen from the Code that GunGisi, a 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central government offices and weapons manufacturing since the early Joseon Dynasty, received Sijang. Military camps, including Hullyeon-Dogam, were establish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are not recorded in the code of law, but it can be seen that Sijang was paid from the historical records. Hullyeon-Dogam received Sijang in Yanggeun, Gyeonggi-do, and Chuncheon, Hongcheon, and Nangcheon, Gangwon-do, and was required to receive tomog, a fuel necessary for the military camp, such as manufacturing weapons. However, due to the lack of trees, Sijang was reclaimed as a slash-and-burn field. The second is fuel supply and demand through Dunjeon management. Joseon paid dunjeon to each military camp, which was cultivated and used for necessary finances. It is confirmed from 19th century data that Hullyeon-Dogam also had Dunjeon. It can be seen that there are 14 Dunjeons in Man’gi Yoram , of which three Dunjeons were saved in the name of providing fuel. However, in the case of Hullyeon-Dogam, Sijang and dunjeon were identified, respectively, and according to the review, Sijang was first paid to Hullyeon-Dogam, where Hullyeon-Dogam was required to receive the in-kind. However, trees became scarce, and after it was reclaimed as slash-and-burn field, taxes were collected to prepare tomog. At this time, what was reclaimed as a slash-and-burn field in the place where it was saved as Sijang was specified as dunjeon in historical records compiled in the 19th century, including "Mangiyoram."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the Yanggeun, Chuncheon, and Hongcheon regions of Hullyeon-Dogam, Sijang and Dunjeon did not exist, respectively, but it can be seen that the Dunjeonization of Sijang appeared over time.

      • KCI등재

        특집논문 : 조선후기 부세수취 관행과“중간비용” ; 조선후기 량향청(糧餉廳)의 둔전(屯田) 수취방식 변화와 잡비(雜費) 운영

        박범 ( Beom Park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5 大東文化硏究 Vol.92 No.-

        양향청의 둔전 운영은 다른 아문과는 달리 둔전의 모범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므로 호조의 입장에서는 양향청 둔전을 잘 운영해야 할 의무가 있었고 안정적으로 훈련도감에 軍需를 지원해야 하는 부담도 있었다. 양향청은 훈련도감의 둔전을 옮겨받아 재원을 마련했다. 그리고 수령의 수세와 別將의 파견 중에서 호조의 감독권이 조금 더 강한 수령수세제를 선택했다. 이와 동시에 호조는 총액제를 시행함으로써 세액을 낮은 수준에서 고정시켜 백성들에게 부담이 가지 않도록 했다. 문제는 과다하게 발생한 陳田을 관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결국 모든 시기결에 면세 혜택을 적용시켜 재정 수입을 고정시키는 방향으로 나갔다. 이제 문제는 중간에서 지출되는 잡비를 줄이는 일이었다. 둔전 상납에서 발생하는 잡비는 상납액 중에서 지출하도록 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잡비의 비중은 적게는 40%에서 많게는 60%에이를 정도로 지방마다 달랐다. 결국 중앙정부의 잡비 규정 노력에도 불구하고 지방의 자의적 판단에 따라 잡비를 설정할 수 있는 제도적 한계가 있었다. In early stage, yanghyangcheong(糧餉廳) was tranferred by jeolsu dunjeon(折受屯田) of hunryundogam(訓鍊都監) and then, obtained jeokmol dunjeon(籍沒屯田), so secured about 7 thousand dunjeon. However, jeokmol dunjeon was distributed by small scale of extremely wide area, so they couldn``t help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management. So, there were deep worries between boneup tax collection and byuljang(別將) dispatch in early stage. Both of two collections had strengths and weaknesses, but hojo(戶曹) selected the collection system with stronger authority of supervision, so decided the policy to minimize costs which could be made midway. The problem was that jinjeon(陳田) made excessively was not solved. Financial structure of yanghyangcheong was just to collect and pay, so there was little finance. The expenses should be reduced, but the preparation of expense was nearly failed and it was remained to secure financial incomes stably. Finally, in the 17th year of jeongjo(正祖), yanghyangcheong fulfilled jeongjulmok, so benefits of tax exempted gyul(結) was applied to all of gyuls without dividing into tax exemption jo and field tax payment jo, so occurrence of jinjeon was failed. And then, the number of yanghyangcheong junjeon gyul was fixed as a little more than 3 thousand tax exempted gyul and financial incomes were fixed. In financial structure, financial income was fixed by low level and expense was flexible, so the method to solve it was finally to reduce expenses of extra costs which could be taken during the payment process. From the 19th century, the problem of extra costs which was a problem in earnest was intended to block more intermediate costs as central government regulated some extra costs and injeong costs, but the intention was tough. In addition, central government originally set payment of yanghyangcheong as total cost system, so extra costs which could be occurred during the collection could neigher be systematized nor be regulated. Gun and hyun, in charge of collection, should pay tax amount regulated by total amount system, so it``s right to consider there were systematic limits for entrust self-judgement of gun and hyun for the costs occurred during collection because central government didn``t regulate collection amount.

      • KCI등재

        丁若鏞의 井田制論과兵農一致的 軍制改革案

        엄기석 조선시대사학회 2016 朝鮮時代史學報 Vol.79 No.-

        19세기 초반 茶山 丁若鏞은 토지와 직역의 문제를 해결하고 국가 기관의 정상화를 위한 개혁안을 『經世遺表』에 서술하였다. 그 중에는 군사 제도의 개혁안도 포함되어 있는데 다른 정약용의 사회경제 관련 개혁안과 마찬가지로 井田制를 기반으로 한 내용이었다. 정약용이 제시한 정전제론에 따라서 군역을 부과할 경우 정전제의 원리적인 형태대로 1부당 1명을 징발한다는 방식을 적용하기가 쉽지 않았다. 토지의 소유 형태가 제각각이었으므로 균등한 토지의 배분과 그에 따른 군역의 부과가 불가능하였기 때문이다. 다만 정약용은 方田法과 魚鱗圖가 결합된 형태의 토지 대장을 활용하여 사적 소유가 인정되는 토지 위에서 정전의 원리에 맞춘 군사 선발의 방식을 고안하였다. 동원된 군사는 정전제에 따라서 군사 조직으로 편제되는데 이는 兵農一致의 모습을 구현한 것으로 128명을 단위로 하여 행정과 군사 조직을 일치시키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사적인 토지 소유를 인정한 정전제에서는 국가의 토지 지급이 선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국가가 군역을 부과할 명분이 없었다. 이 때문에 정약용은 중앙과 지방에 屯田을 조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군사 제도를 시행하고자 하였다. 정약용은 정전제와 둔전의 활용을 통하여 군사 재정이 안정화되었다면 군사 조직에 대한 개혁 역시 필요함을 주장하였다. 정약용의 군제 개혁에 대한 목표는 군사력의 정상화였다. 이를 위하여 그가 주장한 내용을 살펴보면 중앙군은 둔전을 매개로 편성되며 3군영 체제로 개편하는 방식이었다. 그리고 이들의 규모는 총 1만 명 정도였으며, 1년에 3개월 정도를 군역에 종사하고 나머지는 둔전을 경작하는 병농일치적 형태였다. 지방의 군사적 거점에도 둔전을 조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생활하는 屯田軍이 조직하고자 하였는데 이들의 규모는 구체적이지 않으나 약 6만 5천 명 정도로 추정해 볼 수 있고, 군역의 양은 중앙군보다 약하도록 하였다. 이외에도 일반적인 정전제를 통하여 편성하고자 하였던 井田軍도 지방군의 일원이었으나, 이들에게는 실제 군사력을 기대하지는 않았다. 이와 같은 정약용의 군사제도 개혁안의 특징은 이상적인 정전제를 지향하면서도 이를 보조하고 실제 개혁을 위한 三代 이후의 제도인 어린도나 속오법 등을 채택하여 현실성을 부여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정약용의 개혁안이 병농일치와 같은 과거의 제도를 지향하였다고 해서 비현실적이고, 비합리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당시에는 실용성을 강조하기보다 古制의 실현이 올바른 가치 판단이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In early 19th century, Jeong Yakyong suggested various reform plans in his book Kyeongseyupyo for the land taxation and service imposition and for the state organizations. His military reformation proposal which is based on the well land system(井田制, the system of dividing land into nine parts) is also written in the book. The problem is that it was not easy to apply regulations for an equal distribution of workforce, one labor worker per one prefecture, according to an old land register. So he suggested a collaborative use of the fish-scale map book (魚鱗圖) and the square land system (方田法). Drafted farmers were put in military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well land system. However, since the farming land is not given to farmers by the government according to Jeong Yakyong’s well land system, there wasn’t any mean to justify the imposition of military duty. Therefore, to solve this problem, he planned to organize military units on the basis of the military colony land. After Military finance is stabilized through the well land and military colony land systems, military organizations would be reformed. Jeong Yakyong planned to re-organize capital army into three commands of ten thousand soldiers. Provincial army is assumed to be around sixty five thousand soldiers. Jeong Yakyong aimed to normalize the disorganized military system at the time with his reform plans. Even though he discussed to accept the ‘ideal’ well land system, he suggested practical solutions at the same time such as accepting the fish-scale map book or organizing commands of commoner and slave army. This contradicting attitude of Jeong Yakyong toward ideal old institutions and existing issues could be said as another feature of his reform plans.

      • KCI등재

        청산도(靑山島)의 역사(歷史)와 구들장논의 경영(經營)

        金世鎬 ( Kim Se-ho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20 大東文化硏究 Vol.111 No.-

        靑山島 구들장논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농업유산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 역사적 근거와 경영의 기원 등은 아직 밝혀진 적이 없다. 이 글에서는 문헌 기록을 통해 청산도의 역사를 재검토하고 구들장논 경영의 기원을 추적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청산도에 공도정책이 시행되었다가 조선 후기 사람들이 거주하며 구들장논 또한 이 무렵에 시작된 것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청산도는 고려 시대 이래 백성들이 꾸준히 살아왔던 곳으로 이곳의 농경은 최소 지금에서 1,000년 이전부터 시행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 시작은 가장 먼저 인구가 유입되고 정착한 곳으로 비정되는 읍리와 당락리(당리) 일대일 가능성이 높다. 조선 후기 靑山鎭이 설치되면서 구들장논은 屯田의 형태로 관리되었고, 둔전의 잉여물은 곧장 세금으로 납부되며 상당한 소출을 생산했던 것으로 보인다. 청산도의 농사 형편은 항상 조정에서 논의의 대상이 되었으니 이는 청산도 구들장논의 유구한 역사를 증언하고 있다. Gudeuljang paddy field in Cheongsan-do(靑山島) is known as Korean representative agricultural heritage, but its historical basis and origins of management have not yet been revealed. This article intended to reexamine the history of Cheongsan-do and trace the origins of management of Gudeuljang paddy field by the relevant literature records. The previous study supposed that, people started to reside in Cheongsan-do in the late Chosŏn Dynasty after the end of the policy of emptying islands, and Gudeuljang paddy field was also started around this time. However, Cheongsan-do is the place that the people had continuously lived since Goryeo dynasty, and it is assumed that the agriculture in this place had been started from at least 1,000 years before. The beginning of this is highly likely to be around Eup-ri and Dangnak-ri (Dang-ri), which are thought as the first places where the population entered and settled. With the installation of Cheongsanjin(靑山鎭) in the late Chosŏn Dynasty, Gudeuljang paddy field was managed in form of a garrison farm(屯田), and the surplus of this garrison farm seemed to be paid directly by tax, producing considerable yield. The agricultural situation of Cheongsan-do was always subject of discussion in the royal court, and this is giving testimony of the long history of Gudeuljang paddy field in Cheongsan-do.

      • KCI등재

        『상두지』의 둔전론 ―둔전의 조성과 둔졸의 운용을 중심으로―

        손균익 ( Son Kyun-ick ) 한국실학학회 2020 한국실학연구 Vol.0 No.40

        『상두지』는 18세기 말 소론 계열의 실학자 이덕리가 진도 유배 시절에 저술한 국방 관련 저서이다. 이 책에는 서로 지역을 대상으로 한 둔전의 조성과 둔졸의 운용에 관한 내용이 책의 가장 첫머리에 전체 분량의 4분의 1 이상을 차지할 만큼 비중 있게 다루어지고 있다. 그가 제안한 다양한 국방 정책 중 최우선 과제이자 그 모든 정책을 실현 가능케 할 토대로서 둔전의 문제에 주목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계에 처음 소개되는 이덕리의 둔전론을 상세히 분석하는데 우선적인 목표를 두고, 그가 제안한 급가매득을 통한 둔전의 조성 원칙, 국가적 차 수출을 통한 토지 매입 비용의 조달 및 규모의 단계별 확대 방안, 서북 지역에서의 수전 농법 확산을 위한 이른바 ‘갈오인수법’으로 명명된 수리시설의 구상, 모병제에 준하는 둔졸의 모집 계획과 급료 제도, 각종 인사 규정 및 근무 지원 방안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유형원·서영보·정약용·서유구·정시원 등 동시대 지식인들의 관련 주장과 비교·분석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이덕리의 둔전론은 지극히 현실적이고 실무적인 접근 속에서 당대의 국가적 시책에 조응한 동시에 사회경제적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한 주장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동시대 지식인들의 둔전론과 비교하여 전반적인 연속성 속에서 몇몇 차별화된 인식들을 포착함으로써 그 독창성도 살펴볼 수 있었다. 나아가 그의 둔전론은 18세기 소론 계열의 둔전론이 가지는 특징과 함께 그의 사상이 당대 영암·강진 지역의 지식인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음을 보여준다. Sangdu-Ji is a book related to the military policy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Chosŏn period written by Yi Tŏk-ri during his years of exile on Jindo Island. This book focuses on the ways of making and administering garrison farms in the northwestern province. The content concerning garrison farms is located in the first part and comprises more than a quarter of the book. It indicates that Yi Tŏk-ri proposed making the garrison farm system as the concrete object of military policy and the major solution to the military problems faced in the late Chosŏn period. Sangdu-Ji has not yet been introduced in Korean academia, so the primary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crutinize and explain the garrison farm theory in Sangdu-Ji. This paper covers the following subjects:the plan to make garrison farms based on the rule of bargain land by payout and its funding by tea exports to northern China;the siphon technique for irrigation facilities to spread rice transplantation farming methods in the northwestern province ; the idea to mobilize soldiers of garrison farms, which is similar to the volunteer military system;and the tactics of maintaining the military system, such as the salary system. Moreover, this research compares the garrison farm theories of Yi Tŏk-ri's contemporary intellectuals, such as Yu Hyŏng-wŏn, Sŏ Yŏng-bo, Chŏng Yak-yong, Sŏ Yu-ku, and Chŏng Shi-wŏn, with that in Sangdu-Ji. In conclusion, the garrison farm theory of Yi Tŏk-ri was an argument corresponding to national policy with a practical approach, and it was a result of a preemptive reaction to socioeconomic changes in the next century. Furthermore, the comparison with the theories of his contemporary scholars who studied practical matters clearly shows that it not only shared commonalities with their thoughts but also had a distinct perspective. What is more, the theory had a considerable influence on the garrison farm theory of the Soron school and the thoughts of the new intellectuals in Yŏng-am and Kang-jin provinces.

      • KCI등재

        녹둔도에 대한 문헌 기록의 검토와 녹둔도농보의 위치

        정호섭,김경태 백산학회 2021 白山學報 Vol.- No.121

        This paper reviewed the literature records on Nokdundo Island, and in addition to this, attempted to clarify the location of Nokdundo Nongbo by utilizing paintings and map data, and geographic investigation results. Nokdundo Island, located at the mouth of the Duman River, has been managed as a military hub on the border since the Joseon Dynasty. Dunjeon(屯田) was installed from an early point, but the operation was suspended due to a collision with Jurchen(女眞). Dunjeon was rebuilt in the mid-to-late 16th century and achieved high results under the leadership of Yi Sun-shin (李舜臣), but it was abolished again after the Battle of Nokdundo Island. By the late Joseon Dynasty, Nokdundo Island gradually became connected to Qing(淸) side. Joseon sought various management measures to secure Nokdundo Island as its own territory, but failed to lead to the installation of Dunjeon. And after the 1860s, Russia exercised its sovereignty, but Joseon did not stop trying to get it back. In order to estimate the location of Nokdundo Nongbo, it is necessary not only to thoroughly review the literature data, but also to comprehensively review the map, painting, and geographic research results. Nokdundo Island should assume an artificial structure, and if you find a place that matches the distance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shown in the literature, it is highly likely to be a “Seong-jang(城場)” area.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dock and waterway together in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the Josanbo (造山堡). 본 논문은 녹둔도에 대한 문헌기록을 검토하고, 이에 더하여 회화 및 지도자료, 그리고 지리적조사 성과를 활용하여 녹둔도농보의 위치를 밝히고자 하였다. 두만강 하구에 위치했던 녹둔도는조선시대 이래 국경의 군사 요지로서 관리되었다. 이른 시점부터 둔전이 설치되었으나 여진족과의 충돌 속에 운영이 정지되기도 했다. 16세기 중후반 둔전이 다시 설치되었고 이순신의 지도하에 높은 성과를 거두었으나, 녹둔도 전투 이후 다시 폐지되었다. 조선후기에 이르러 녹둔도는 점차 청측에 연접하게 되었다. 조선은 자국의 영토로서 녹둔도를 확보하기 위해 여러 관리 방안을모색했으나, 둔전설치까지 이어지지는 못했다. 그리고 1860년대 이후 러시아가 영유권을 행사하게 되었으나 조선은 이를 돌려받기 위한 노력을 멈추지 않았다. 한편 녹둔도농보의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문헌자료에 대한 엄밀한 재검토뿐만 아니라, 지도, 회화, 그리고 지리적 연구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해야만 한다. 녹둔도는 인공적인 구조물을 상정해야하며, 문헌에 나타난 거리와 지리적 특성과 부합되는 곳을 찾는다면 성장(城場)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 조산보와의 관계및 나루와 물길을 검토할 때, 녹둔도에서 수확한 식량을 작포도에서 배에 실어 토리동으로 보낸후 조산보로 옮겼을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추정하였다.

      • KCI등재

        선조대(1587년) 녹둔도(鹿屯島) 전투에 대한 고찰

        김진수 육군군사연구소 2015 군사연구 Vol.- No.140

        이 글은 1587년 여진족이 녹둔도를 침략할 당시의 배경과 원인을 살펴보고, 전투의 전개 과정과 조선의 대응 양상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마련하였다.녹둔도는 두만강 이북 여진족들의 침입을 예측할 수 있는 군사 전초기지이자,屯田 을 통해 상당한 군량을 확보할 수 있는 병참기지로서 조선전기부터 매우 중요한 군사적 요충지였다. 이 전투의 배경과 원인을 살펴보면,조선이 명종대 이응거도의 분쟁으로 인해경작이 중단된 녹둔도를 선조대에 들어와서 둔전을 재개하는 과정에서 이 지역에 있었던 여진 번호를 축출하였다.이에 이들은 조선에 대한 불만을 가지게 되었으며,인근의 여진들과 연합하여 녹둔도에 대한 대대적인 침략을 감행하였다. 조산보 만호 이순신을 비롯한 조선군은 전투 초반에 여진의 대대적인 공격을허용하였다. 하지만 조선군은 전투 이전에 진영 주변에 참호와 목책 등의 장애물을 사전에 구축하였으며,추가적으로 이순신이 이를 활용한 적절한 궁시 사격 위치를선정하였기에 적의 공격을 효과적으로 막아냈다.또한 진영 밖에 있었던 조선군의 군사 행동으로 인해 군사력을 집중시키지 못한 여진의 번호들은 기병 등의수적 우세를 나타내지 못하였고,오히려 공격을 주도한 추도의 마니응개가 사살됨으로써 퇴각할 수 밖에 없었다. 전투 결과 조선군은 비록 군사력의 열세로 상당한 수의 백성들이 여진의 포로로 잡혀가는 것을 막을 수 없었지만,수적으로 우세한 여진의 공격을 격퇴함으로써 녹둔도를 지켜 낼 수 있었다.이후 북병사 이일이 지휘하는 조선군은 2 차례의 정토로 여진에 대한 대대적인 응징을 단행하여 상당한 전과를 거두었다. 주제어:함경도,녹둔도,6진,둔전,이순신,선조,여진 번호 This study was conducted to look into the backgrounds and causes of the 1587 Jurchen’s Invasion of Noktun-do Island and discuss th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the battle and Choson’s response. Noktun-do had been a very important strategic point as an advance military base in which the Jurchen’s invasion of north of the Tumen River and a logistics base in which significant provisions could be secured through garrison farms since the early period of the Choson Dynasty. To look into the backgrounds and causes of this battle, the Jurchen occupied Noktun-do in which cultivation was suspended because of a dispute over Yieunggeo-do Island during the King Myeongjong period, and entering the King Seonjo period, Choson expelled the Boundary Jurchen that had occupied this region in the process of reactivating the garrison farms in Noktun-do. Later, they executed invasions of Noktun-do on a broad scale allied with the neighboring Jurchen with complaints and hostility against Choson. Choson Army, led by generals, including Josan-bo Manho Yi Sun-sin fell victim to the Jurchen’s broad-scale surprise attacks in early battles. However, the Choson Army had established trenches and wooden fences around its camp in prior to the battle, and additionally, Yi Sun-sin selected the proper positions for archers, so it would be the most efficient to defend against enemy attacks. On the otherhand, the Boundary Jurchen did not show superiority of cavalry in number, and could not but retreat as Maníyīngjiè o fChu-do Island, who led the attack was killed. As the result of the battle, even though the Choson Army could not prevent a significant number ofpeople captured by the Jurchen as prisoners due to its inferiority in military capability, but could defend Noktun-do by defeating the attacks of Jurchens that were superior in number. Later, the Choson Army led by Lee Il, the military commander in charge of the North Hamgyeong achieved significant victory,carrying out broad-scale chastisement on the Jurchen by making an attack for the preservation of order, two times. Keywords:Hamgyeongprovince,Noktun-do,Sixtowns,Garrisonfarms,Yi Sun-sin,KingSeonjo,Boundary Jurche

      • KCI등재후보

        광해군대 수군 召募陣의 설치와 金海府

        한성일 청계사학회 2024 청계사학 Vol.27 No.-

        광해군대 국가적 사업으로 실시된 수군 召募陣의 설치는, 1600년대 말 감축된 수군 전력을 복구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전쟁의 여파로 새로운 수군 병력을 편성하기 어려운 상황 속에서, 수군 소모진은 전후 남부 연해 지역에 대규모로 발생한 閑田을 屯田으로 활용하여, 군역제 밖에 있던 流民을 수군 병력으로 동원할 수 있었다. 김해부는 지리적으로 소모진 설치에 유리한 지역이 많았으며, 임진왜란 직후 낙동강 방어의 중요성이 대두되었기에, 짧은 기간 동안 신문・청천 2곳의 소모진이 설치되었다. 김해지역의 소모진 설치는 초반부터 유민의 부족으로 인해 난항을 겪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육군 소속 소모진 병력을 수군 소모진으로 이전하는 방식이 이용되기도 했다. 다만 이러한 방식들이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는 상황 속에서 김해지역의 소모진은 1620년대가 되어서야 병력과 전선을 완비할 수 있었다. 김해지역 수군 소모진은 설치 초부터 지역민과의 갈등을 빚었으며, 이는 소모진 운영 전반에 악영향을 미쳤다. 수군 소모진과 지역민의 갈등을 유발하는 가장 결정적인 요소는 바로 소모군에게 주어지는 復戶였다. 소모군에게 주어지는 복호는 지역민의 조세 부담을 가중시켰다. 지역민의 저항 끝에 인조대에는 소모군에게 주어지는 복호혜택이 감축되었으며, 이는 소모군의 경제적 처지를 악화시켰다. 17세기 중반 수군 소모진은 소모군의 유망으로 운영에 결정적인 타격을 입었다. 소모군의 유망이 심각해진 까닭은 전후 복구가 완료되어가는 과정에서 기존 소모진 둔전으로 수용되었던 농지가 본래 주인에게 반환되거나, 모종의 이유로 감소했기 때문이다. 17세기 중반 이후 조선 정부는 수군 소모진 운영을 정상화하기 위해 새롭게 소모군을 편성하였지만, 이들은 전투병력이 아닌 收布軍의 역할을 할 뿐이었다 After the Imjin War, the Joseon government operated around 100 warships to prevent Japan's potential re-invasion. However, with the easing of diplomatic tensions with Japan, a significant portion of the resources and manpower deployed in the navy was reduc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the number of operational warships.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Japan's re-invasion, plans were made during the early King Gwanghae period to reinforce naval forces; however, due to the damages caused by the war, recruiting new naval forces was practically impossible. Consequently, the Joseon government turned its attention to the "召募陣 (Somojin)". Somojin was a system that recruited wandering people into the military by utilizing abandoned farmland as 屯田(Dunjeon) that means garrison farm. In the 1610s, nationwide efforts were made to construct naval Somojin, and in the Kimhae region, two Somojin were established: Shinmun and Cheongcheon. Kimhae had much abandoned farmland due to the war, and some of it was conveniently located for the construction of Somojin, particularly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defending the Nakdong River. The Somojins in the Kimhae region successfully armed warships and crew until the 1620s. However, operational challenges arose from conflicts with local residents. The key issue during these conflicts was the matter of tax exemptions for 召募軍(Somogun) that means soldier of Somojin. When local residents became part of the Somogun, the tax privileges they received were shifted to the remaining population in Kimhae. However, the most challenging factor in Somojin was the decrease in Dunjeon. As the Dunjeon given to Somogun in the mid-17th century decreased, their livelihoods became difficult, ultimately leading to a shortage of Somogun. Although new Somogun were recruited, they only paid military service taxes and were not utilized as combat forces.

      • KCI등재

        고려 전기 田令의 구성과 성격

        위은숙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19 민족문화논총 Vol.72 No.-

        Gorye Dynasty borrowed the land system of Tang of China and operated the Jeonsigwa(田柴科) system which was the national land allocation system. But the big difference from the Tang system and Goryeo is that Goryeo did not allocate the land to the not-ruling classes such as general people, the weak, the commercial and industrial men, priests such as monk and nun, ascetic and feminine taoist and the lowest class of people such as gwanho(官戶). The Goryeo's land allocation was limited to the government officials, soldiers and regional administrators as well as national organizations. On the other hand, though there is a big difference in the land allocation system between Tang and Goryeo, there are also similarities as the Goryeo adopted the system from Tang Dynasty. First of all, let's see the jeonjeok system(田積制) which was the basics of the allocation and operation of all land. The start begins with the dongjeok system(同積制) for all of China, Japan and Korea. Then, the system continued to keep its form to the modern times for China and Japan while in Korea, it changed to the ijeokdongse system(異積同稅制) in the late period of Goryeo. The change is thought to be caused by the sujogweonbungeup system(收租權分給制), which appeared in the history of Korea only. In the history of Korea, the systems which are clearly confirmed with the sujogweonbungeup system are the gwajeon system(科田法) and the jikjeong system(職田法). It is because if the sujo right(收租權) for the private land is to be distributed instead of the land itself, the assumption should be made that the production is the same for every unit area of the land. The sujogweonbungeup system had never been adopted in China and Japan. So, they did not need to adopt the ijeokdongse system as Korea did. The yangbanjeon(兩班田) has been controversial due to its characteristics of jeonsigwa. It had been controlled in the same way as the gwaninyeongeopjeon(官人永業田) in Tang and Song dynasties or the jojeon system(租佃制) conducted for jikbunjeon(職分田) and jikjeon(職田). In other words, the yangbanjeon was mobilized from the land scattered around the nation by regional magistrates into the jeonho(佃戶) and cultivated and then, 50% of the produce was collected and sent to jochang(漕倉) where the sajeongju(私田主) in turn acquired the produce. One of the differences in the field allocation system between Tang and Goryeo was the dunjeon(屯田). In case of Tang, the orders related to the dunjeon took up 25%. On the other hand, that did not take no more than 8% in Goryeo. It may be caused by the incomplete land system of Goryeo. But, it may be caused by the weight of it affecting on the land system in two countries. It is because though the dunjeon in Tang was used not only for the military demand but also the keeping of national land allocation system, it had the limited meanings such as military demand and the financial subsidy to the regional budget in Goryeo. 고려는 당제를 수용하여 국가적 토지분급제인 전시과체제를 운영하였다. 그러나 양자 간의 시대적, 역사적인 차이만큼, 제도상의 차이가 존재하지만, 한편으로 유사성도 존재하였다. 그러나 당과 고려의 국가적 토지분급제와 운영에서 가장 큰 차이는 피지배계층인 일반 民戶와 노약자, 工商, 僧尼, 道士, 女冠 등 종교인, 천인인 官戶 등에게 고려에서는 토지를 분급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고려의 토지분급대상은 관료와 직역담당층인 군인, 향리 등과 국가기관에 한정되어 있었다. 한편 당과 고려의 田令 사이의 유사점도 당연히 있다. 우선 모든 토지분급과 운영의 기초가 되는 田積制를 보면 중국, 일본은 물론 한국도 시작은 同積制였다. 그런데 중국과 일본은 그 기조가 근대이행기까지 이어지지만 한국만 고려후기에 異積同稅制로 변화한다. 이것은 동아시아사상 아주 큰 변화라 할 수 있다. 그 변화는 한국역사에만 나타났던 수조권분급제와 관계가 있다고 생각된다. 한국역사상 수조권분급제가 명백히 확인되는 것은 과전법과 직전법이다. 토지 그 자체가 아닌 민전의 수조권을 분급하기 위해서는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같다는 전제가 성립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중국과 일본은 수조권분급제가 시행된 적이 없다. 따라서 한국과 같은 이적동세제를 필요로 하지 않았던 것이다. 전시과의 성격과 관련하여 가장 논란이 되어왔던 양반과전의 경우, 당송의 관인영업전, 직분전, 직전에서 행해지던 租佃制와 유사한 경영이 이루어졌다. 즉 양반과전은 각 지방에 흩어져있던 토지를 지방관이 佃戶를 동원하여 경작해서 그 생산물의 50%을 수취하여 조창에 보내면 그 사전주가 수취하는 형태로 운영되었다. 고려전시과에서는 수조권분급제가 존재하지 않았다. 수조권분급제가 시행되기 위한 전제는 농민적 토지소유인 민전이 전면화되어야 하지만, 고려시대는 여전히 한계가 존재하였기 때문이다. 당 전령과 고려전령의 차이 중 하나가 둔전에 관한 것이다. 당의 경우 둔전관련령이 25%를 차지하나, 고려는 8%에 불과하다. 고려령의 불완전성 때문일 수도 있지만 그 비중에 있어 차이는 양국의 토지제도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문제인 것 같다. 당의 둔전은 軍需뿐 아니라, 국가적 토지분급제 유지를 위한 기반제공에 의미가 있었다면, 고려는 군수와 지방재정보완이라는 제한적 의미를 가졌기 때문이다.

      • 조선 태종대 미곡 확보 정책과 호급둔전제(戶給屯田制)의 시행

        소순규 ( So Soonkyu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2021 사총 Vol.104 No.-

        조선 건국 이후 10여년이 흐른 시점에서 재위한 태종은 집권 기간 동안 강력한 미곡 확보 정책을 시행하였다. 그 과정에서 고려 말 시행되었던 여러 조치들을 다시금 시행하기도 하였는데, 본고에서 주목하고자 한 호급둔전법도 그러한 제도 중 하나였다. 본래 둔전은 변경 지역에서 군인들을 사역하여 경작하고, 그 수확물을 군량으로 활용하는 것이었다. 호급둔전은 이와 달리 일반 민호에게 종자곡만을 대여해 주고, 가을에 종자곡에 비례하여 수확물을 거두는 제도로서 사실상 증세와 다름없는 것이었다. 전제개혁의 시행만으로는 재정의 안정성을 기할 수 없었던 상황에서 대외적인 위기의식이 고양되면서 군량확보의 필요가 높아지자 태종은 이러한 호급둔전제를 전격 도입하기에 이르렀다. 호급둔전제의 시행 양상은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일반 민호를 대상으로 한 것은 연간 4만 5천석 정도의 미곡을 수취하였다. 반면 공노비를 대상으로 한 호급둔전은 연간 30만석 내외로 추산된다. 이들 공노비들의 경우 1호당 종자곡을 분급한 것이 아니라 노비 1구마다 종자곡을 대여하였고, 수확곡의 상환 비율도 일반 민호에 비하여 매우 높았다. 이로 인하여 호급둔전제 시행 몇 년 만에 상당한 미곡 재고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다. 호급둔전제는 150만석 가까운 미곡을 확보할 수 있는 계기로 작동하였으나, 이에 따른 민호의 부담 역시 상당하였기에 안정적인 재고곡 확보 이후에는 제도의 유지가 불필요해졌다. 이에 따라 태종 9년부터 14년에 이르는 짧은 기간에 한해서 시행되었다. 그러나 이 제도로 인한 미곡 확보는 향후 조선전기 재정운영의 기틀을 닦는데 무척 중요한 기여를 했던 것으로 생각된다. King Taejong who was on the throne in about ten years after the Joseon Dynasty was founded, enforced the strong policy to secure the rice during the seizure of power. In this process, many measures that were enforced in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were carried out again, and the Hogeupdunjeonje this thesis aims to pay attention to was one of those systems. Originally, the Dunjeon was to make the soldiers cultivate the land in the frontier area, and to utilize the harvest as military provisions. Contrary to this, the Hogeupdunjeon was a system of lending seed grains to general households and then collecting the harvest in proportion to the seed grains in autumn, which was not different from tax increase in reality. The enforcement of land reform was not good enough to guarantee the financial stability. With the increased necessity to secure the military provisions after the consciousness of foreign crisis was raised, King Taejong introduced this Hogeupdunjeonje. The enforcement aspect of Hogeupdunjeonje could be largely divided into two parts. The Hogeupdunjeon targeting the general households collected about 45,000 seoks a year. On the other hand, the Hogeupdunjeon targeting the public slaves collected around 300,000 seoks a year. In case of those public slaves, the seed grains were distributed not to each household, but to each slave while the repayment ratio of harvested grain was very high compared to general households. For this reason, a considerable amount of rice in stock could be secured within several years after enforcing the Hogeupdunjeonje. Even though the Hogeupdunjeonje was working as a chance to secure the rice close to 1.5 million seoks, it was such a big burden to general households, so it was unnecessary to maintain the system after securing the stable amount of rice in stock. Thus, it was enforced for a short period of time from the 9th year to 14th year of King Taejong’s reign. However, the securement of rice by this system must be importantly contributing to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of financial operation in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