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치즈인더트랩>을 통해 본 웹툰의 매체변환에 대한 이용자 반응 연구

        이현정 글로벌 문화콘텐츠학회 2017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27

        Continuing evolution of digital media and expanding commercial content market are driving an increased interest in media conversion. In particular in Korea webtoon has emerged as a narrative source. However, most spin-offs of webtoon hardly get good reviews, because they have failed to understand the needs of users. Thus in this paper, we attempt an analysis of a spin-off case in order to find suggestive implications for media conversion. We chose Cheese in the Trap for the study, because its evaluation has changed from mostly positive to mostly negative during the series were seen on TV for 8 weeks. Unlike most previous studies about media conversion only dealing with structural analysis, this study gauge the audiences’ reactions toward the structural changes. This study focuses on three issues: how the TV series adapted the narratives of the webtoon Cheese in the Trap; how users’ attitude changes from the TV show start to end; and what are core elements for successful media conversion. To solve the issues, we compared the original story and the adapted version to find the difference in a way to deliver context using Chatman’s narrative theories. Then we evaluate the feasibility of story adaptation according to viewers’ responses of the TV show in each episode. 미디어의 다양성과 문화콘텐츠 시장의 치열한 경쟁구도로 인해 매체변환 콘텐츠 제작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러나 현재까지 제작된 다수의 매체변환 콘텐츠들은 원작의 명성에 비해 관객들의 기대를 충족시키는데 역부족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공적인 매체변환을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웹툰의 매체변환 콘텐츠인 드라마 <치즈인더트랩>의 사례를 시청자 반응과 함께 살펴보았다. 드라마 <치즈인더트랩>은 16화에 걸친 방영기간동안 시청자들의 긍정 평가와 부정적 평가를 모두 받은 작품으로, 이에 대한 분석을 통해 성공적 매체변환과 관련하여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시해줄 수 있으리라 기대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는 해당 콘텐츠의 매체변환에 대한 방식을 알아보는 것이고, 둘째는 이용자들의 반응을 확인하는 것이며, 셋째는 이 두 결과를 비교하여 2차 콘텐츠의 성공적 제작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채트먼의 서사이론을 바탕으로 <치즈인더트랩> 원작과 2차 콘텐츠에 대한 이야기 전달방식의 차이를 알아보았고, 드라마 각 화에 대한 시청률과 이용자들의 댓글반응분석을 통해 드라마의 매 회차의 콘텐츠의 매체변환의 적합성을 평가하였다. 드라마 <치즈인더트랩>은 초반부터 중반에 이르기까지 호평이 대부분이었으나, 후반으로 가면서 시청자의 반응이 다수 부정적으로 변하였는데, 본 연구에서는 그 이유를 초반 드라마로의 매체변환으로서 가졌던 서사흐름을 일관되게 유지하지 못한 점에서 발견하였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매체변환 콘텐츠 관련 연구들이 서사구조 분석에 그쳤던 것에서 나아가 시청자들의 반응을 살핌으로서 매체변환을 통한 콘텐츠의 시장성 확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이후 연구에서는 매체 전달기술 및 유통방식 등까지 고려하여 보다 다양한 차원에서 성공적 매체변환을 위한 방안을 찾아보고자 한다.

      • KCI등재

        매체의 소비자 사용성 분석을 통한 디자인 트랜드 분석 연구

        강현응(Hyun Eung Kang)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4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0 No.2

        현대사회에서의 다양한 매체를 통한 소비자는 기존의 TV, 라디어, 신문, 잡지 등 기본적 외에 온라인, 모바일 및 컴퓨터 웨어러블 등 수 많은 매체의 홍보속에서 존재한다. 인간의 모든 정보의 수집은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필수 요건이 되었고, 수많은 정보의 홍수 속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의 습득 과정은 매우 중요한 과정이 되었다. 이러한 정보습득을 위한 일련의 과정에서 소비자를 위한 매체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또한 매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용자이다. 이러한 문제에 있어서 다양한 매체가 존재할 때는 각각의 매체가 사용자에 있어서 어떤 역할 및 활용되어질 것인가에 대해 중요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 현대인에 있어서 사용자는 다양한 기기들을 통하여 얻어진 경험을 바탕으로 일괄적인 노력을 유지하려고 해도 현존해있는 다양한 매체들을 학습, 운용하기란 쉽지 않다. 더구나 엄청난 양의 콘텐츠, 정보기기, 소비적 산물들은 통합적이지 못하고,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하지 못하는 디자인 형태로 인해 많은 소비자는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디자인적 요구를 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그에 따라 소비자가 소비하는 행위에 있어서는 다양한 루트가 존재하며, 이 루트에서 이루어지는 각종의 시각적 산물들은 올바른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한 소비행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안내자 역할로서의 산물이 될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대인이 얼마만큼의 다양한 매체를 사용하고 있으며, 사용하는 매체별 디자인 프로세스를 통하여 정의되는가를 연구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각각의 매체별 소비 성향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세대별 소비과정에서 행해지는 디자인 트랜드를 분석, 연구하여 향후 더 나은 디자인 프로세스를 구하고자 하는데 있다. 그러므로 우리 현대인의 생활의 기본이 될 수 있는 다양한 매체활용도를 바탕으로 한 디자인프로세스를분석, 연구 하여 이에 따른 다양한 인간의 특성을 지는 양방향성 디자인을 위한 디자인 트랜드를 제시할것이다. 본 연구에서의 성과 및 활용방안은 기존 매체에서의 현대인의 다양한 매체별 (특히 온라인, 모바일 등) 사용 빈도를 분석하여, 어떠한 소비성향을 보이는가에 따라 사용빈도수, 세대별 소비성향 분석, 그에 따른 다양한 디자인 만족도 등을 분석하여 향후 소비자가 매체별 소비성향을 보이는 다양한 과정을 도출하여 많은 매체별 사용적 요구도를 추출하여 디자인에 적용 및 활용하고자 한다. 첫째, 각각의 매체의 특징을 분석하고, 분석결과를 통해 세대별 매체 활용에 따른 소비 성향을 분석한다. 둘째 사용자에 있어서 각각의 매체를 통해 소비를 행할 때 나타나지는 특징적 요소를 분석, 연구한다. 셋째위의 결과를 토대로 각각의 매체에서 이루어지는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요소 분석, 사용자 요구도 분석을 토대로 최적화된 디자인 제시를 통해 향후 매체별디자인 특성을 제시함으로써 사용자 및 소비자를 위한디자인 트랜드를 제시할 것이다. In modern society a consumer exists in a flood of media promotions such as the basic media including TV, radios, newspapers, magazines, etc and the other media including online devices, mobile devices, wearable computers, etc. Collecting information became a requirement to live in society. So, among the deluge of information, the process of gaining information which meets a user’s need became important. In a series of these process to acquire knowledge, media for consumer is a significantly important element and a user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the media. For those problems, what role the media will take toward the user and how the media will be used are the most important issue. For modern people, it is difficult for them to study and operate diverse existing media even though they make an continuous effort on it based on their experience of diverse devices. Besides, a huge amount of contents, information devices, consumptive products are not integrated and a design is in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consumers. That``s why a customer has no choice but to request design requirement. Accordingly, there are diverse channels related to the consuming behavior and various visual products generated in the channels will guide consuming behavior by the right design process. So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how diverse the media people use are and whether it can be defined based on the design process they use. In addition, we are here to figure out better design process by exploring a consumption tendency according to each media and analyzing design trends in consumption process per generation. Therefore we will suggest an interactive design trend which have a diverse human nature by analyzing design process based on varied media utilization which is the basis of modern life. We will analyze the frequency of use per diverse existing media, especially in online and mobile media. According to what tendency people have, we will draw diverse process for the future which has consumption tendency per media by analyzing the frequency of use, consumption tendency per generation, design satisfaction, etc. Through the above analysis, the achievements and application of the study are to apply and use the requirements for use per diverse media. First of all, we will analyze the feature of each media an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we will explore the consumption tendency according to the utilization of media per generation. Secondly, we will analyse the features when a user spends money through each media. Thirdly, we will suggest a design trend for both users and consumers by proposing design characteristic per media for the future through optimized design suggestion based on the analysis of communication elements with users and user requirements from the above analysis result.

      • KCI등재

        현대소설에 나타난 통신매체 인식 연구

        오연옥(Oh, Yeon-Ok) 한국문학회 2013 韓國文學論叢 Vol.65 No.-

        매체는 사회적 의미를 갖는 내용이자, 새로운 사회 질서와 의사소통체계를 의미하는 메시지이다. 따라서 매체의 변화란 곧 우리 인식체계의 변화를 의미한다. 조선은 근대적 기계매체의 도입으로 매체 변화에 직면한다. 이는 곧 인식체계의 변화를 의미한다. 특히 전화매체는 당대 사회상이나 사람들의 욕구 변화와 맞물려 지속적으로 발달해 왔다. 근대 이후 개항과 함께 새로운 문물이 조선에 유입됨으로써, 서사는 매체라는 새로운 소재를 통해 당대를 반영하는 역할을 하였다. 전화매체는 모티프 차원에서 문학작품에 수용되거나, 서사담론의 차원에서 그 특성이 수용되어 왔다. 본고는 염상섭의 <전화(電話)>ㆍ이기영의 <고향>을 중심으로 문학작품에 드러난 전화매체의 인지ㆍ소통 양상에 주목함으로써 문학이 전화매체를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매체의 유입에 따른 사회변동을 문학작품이 어떻게 반영하는가를 살피는 작업은 곧 매체가 한 사회의 인식체계에 어떤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논의이기 때문이다. <고향>에서 전화가 가진 '호출'의 기능은 '규율 훈련용 미디어'라는 정치적 의도로 활용되었다. 전화가 개인의 정치적 욕망을 실현하기 위한 '호출'의 도구로 수용된 것과 달리, <전화>는 '호출'의 기능을 거부함과 함께 전신 매체에 함축된 제국주의의 '무작위식의 근대화 정책'을 직시한다. 근대 문물에 대한 직시는 곧 전화라는 전신 매체를 거부함으로써 일제 식민정책에 대한 무의식적 저항으로 이어진다. Media has social meaning and the message that the new social order and communication system. What is the change in the media means a change in the recognition system. Thus, changes in the media field, we soon recognized means of system changes. With the introduction of modern mechanical media, Chosen Nation faces media changes. It's means a change of the recognition system and, in particular, communication medium. Contemporary society or with a change in the desire of people have been continuously developed. Communication media acceptable to the literature in terms of motif, or at the level of narrative discourse has been accepted by the characteristics. Since the modern with the opening of two new civilization by being introduced into Korea, narrative through the medium of a new role was to reflect contemporary. This study focusing on Yeum Sang-soup's <Cheonhwa>ㆍLee Ki - Young's <Kohyan>. Revealed in literature communication media awareness and communication aspects of attention by the media, how literature reflects the call to make sure. Due to the influx of media and social change, how does literature reflect the work's feeling soon in media recognition system of a society in any significant influence is because the discussion. <Kohyan> on the phone with a 'cal'' function of the 'disciplinary training media' has been used as a political intent. Phone for personal political desire to achieve 'cal'' of the tool as opposed to the accepted, <Cheonhwa> a 'call' with the function of rejecting implied in the media imperialism 'random modernization policies of the expression' to face. Modern civilization is about to face the media by refusing to call soon for Japanese colonial policies lead to unconscious resistance.

      • KCI등재

        출판만화를 원작으로 한 영화의 캐릭터 변형 연구

        김민정(Min Jung Kim),이혜원(Hye Won Lee)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14 애니메이션연구 Vol.10 No.2

        디지털 시대의 도래와 함께 다양한 매체가 등장하면서 대중을 만족시키기 위한 콘텐츠들이 제작되고 있다. 또한 네트워크의 글로벌화는 콘텐츠 상품 공유와 확산에 일조하면서 전 세계인을 상대로 한 문화산업 시장을 열었고 결과적으로 문화상품의 가치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 주지의 사실이다. 하지만 현재 시장의 확장에도 불구하고 문화콘텐츠 제작은 소재의 고갈이라는 위기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 원작을 활용한 매체전환을 들 수 있다. 콘텐츠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할리우드에서는 이미 장르를 불문하고 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뮤지컬 등에서 성공한 콘텐츠를 활용하여 다양한 매체전환을 꾀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글로벌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원천콘텐츠를 찾아 판권 계약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런 시장의 확대는 과거 문화공감대의 장벽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던 콘텐츠 수출시장에 활력을 주면서도 원작을 활용한 매체전환 가능성을 강조한다. 중요한 것은 원작을 토대로 하나의 문화콘텐츠가 다양한 매체전환을 통해 확장될 때 그 각각의 매체 특성에 맞게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다. 본 논문은 다양한 매체전환 방법들 중 성공 사례를 중심으로 전환의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매체전환 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서 우선 출판만화와 실사영화의 매체 특성 비교를 통해 두 매체의 표현형식에 있어서 차별적 특징과 강점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출판만화 <배트맨>을 원작으로 한 실사영화 <다크나이트>에서 출판만화의 이야기가 영화로 매체전환될 때 매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라 캐릭터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분석하고 그 이유를 알아본다. 각각의 매체가 가지고 있는 다른 특성의 표현 방법을 도출하고 다른 매체로 전환될 때 앞서 도출된 매체별 특성을 어떻게 적절하게 활용하여 변형시켰는지 알아봄으로써 결과적으로 문화콘텐츠의 매체 전환 시 중점을 두어야할 점은 무엇인지 정리한다. With the digital age has come, so many media were made for the public. Even more Global networks make the spread and share contents, the cultural industry market opened for the whole world. As a result, increasing the value of cultural products is true. However, in spite of market expansion, making culture contents is in danger of exhaustion of material for the contents. There are Variety of ways to overcome these issues and OSMU is the one of the way to solve these problems. OSMU is the using one source for making other contents like the movies, paly, animation and all that sort of things. This expansion of the market helps the making cultural contents beyond the cultural barriers to consensus in th past and emphasizes probabilities of the media conversion from one source. For example, Hollywood the center of the cultural content Industry finds good sources and tries to change media to other one. Furthermore they look for the ideas in Asian market and sign a contract of making film by using asian stories from films, cartoons and novels. The important thing is how using the characteristic of media when we convert one source into another one. This is a study on a way of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media in media conversion. To discover the key factor, a subject of study was selected comic and film works based on the same story. Film 〈Dark night〉 was remaded from graphic novel of series of batman. It changed visual and many things of characters could be suitable for media so it would be usefu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s a result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since it considered tool of media conversing using the characteristic of media.

      • KCI등재

        매체영향력 산정모형의 합리적 개선방안 연구 : 매체교환율을 중심으로

        변상규 한국소통학회 2023 한국소통학보 Vol.22 No.2

        미디어의 다양성은 올바른 여론형성에 기여하는 민주주의의 중요 장치로 인정받아 왔고, 방송규제의 중요한 목표로 간주된다. 정부는 신문과 방송간 겸영을 허용하면서 다양성 유지를 위해 매체영향력을 새로운 규제 기준으로 도입하였다. 여기에는 신문 구 독률을 TV방송의 시청점유율로 환산하는 매체교환율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그간 학 계를 중심으로 매체교환율 산정 방법에 대한 이견이 제기되었지만, 타당성에 대한 심도 깊은 평가나 개선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들을 종합하여 산정모형의 과학화와 대상의 확장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모형내 요인간 가중치와 매체의존도의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AHP 방법을 적용하 였다. 가중치는 매체의존도가 0.55로 압도적인데, 요인들 사이의 상관관계 등을 고려하 여 궁극적으로 이를 매체교환율로 사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매체의존도를 AHP 방법으로 구한 결과, TV방송 대비 신문의 의존도가 0.64로 높아졌다. 그리고 종 이신문과 온라인 신문의 영향력이 비슷하게 나타나 설문조사에 온라인 신문을 명시적 으로 제시할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미디어 환경의 변화를 반영하여 라디오와 유 료 OTT를 포함하고, 모든 콘텐츠로 조사 대상을 확대하였다. 그 결과 신문의 매체의존 도는 0.51, 라디오는 0.40, OTT는 0.50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HP 방법으로 구한 요 인별 가중치의 사용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Diversity of broadcasting has been recognized as an important device of democracy by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public opinion, and is regarded as an important goal of broadcasting regulation. As joint management of newpapers and broadcasters was allowed, the KCC introduced media influence as a new regulatory tool for diversity of broadcasting. The media exchange rate plays a key role in this.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about it from the academic communities, but evaluations or improvements have not came true. Therefore, the improvement plan was studied focusing on the rationalize and expand the model by reflecting them so far. The AHP method was introduc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weights of factors and and media dependence. As the weight of media dependence was overwhelming at 0.55, and based on this using this as the media exchange rate was suggested. And the media dependence by the AHP method, increased to 0.64 for the newspapers. And the influences of paper and online newspapers were similar, confirming the need to explicitly present online newspapers in the survey. Reflecting the change in the media environment, radio and paid OTT were included, and all contents were included. Thus, the media dependence was 0.51 for newspaper, 0.40 for radio, and 0.50 for OTT. Therefore, the necessity of imposing regulations on OTT was confirmed to strengthen the public interest in the media.

      • 매체언어 교육을 위한 제언

        이상우(Lee, Sang-woo),고보현(Ko, Bo-hyun) 한남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연구 Vol.21 No.-

        현대인의 생활 속에 매체는 매우 중요하게 자리 잡고 있으며, 매체를 통해 정보를 획득하고, 비판적으로 정보를 평가하며, 더 나아가 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은 국어 능력의 중요한 부분이라 할 수 있다. 매체언어란 매체의 특성에 따라 다른 차원의 언어들이 결합하여 의미를 생성하는 것을 뜻하는 용어이다. 교육과정은 지식분야의 하위내용으로 매체 특성이 반영되어 있다. 7학년은 ‘광고를 보거나 듣고 설득의 전략을 파악한다’, ‘인터넷 게시판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인터넷 토론에 주체적으로 참여한다’, ‘다양한 매체에서 내용을 선정하여 매체언어 교육 전략을 제안하였다. 다양해진 매체언어들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기 위해서는 첫 번째 유형과 같이 매체언어를 독립된 단원으로 설정하고 소단원을 세분화 시켜 매체언어에 대해 단계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또한 시의성, 해당 매체에 가장 적절한 예시 자료들의 배치, 매체를 억지로 끼워 넣어 구색을 맞추는 학습 내용의 지양, ‘효과적인 의사소통’이라는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게 언어 규범을 지켜야 한다는 점을 유의사항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들에 맞는 학습 활동들을 제시하였으며, 국어 교과서에서 매체언어 관련 단원을 재구성하였고, 매체언어의 이해와 광고 부분은 구체적인 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학생들이 매체를 활용하여 직접 자료를 접하고 각각의 언어 사용 방식을 스스로 찾도록 하는 활동에 중점을 두고 구성하였다. 다’, ‘다양한 매체에서 나타난 언어 사용 방식의 차이점을 파악한다’가 해당된다. Currently. media is in the very center of the lives of modern people. However, the recognition on the importance of media language in school is fairly short and moreover, the distinction between media language and media utilization is also not clear. This paper looked into media language education reflected in current curriculum. This paper looked into media language education reflected i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addition, this paper analyzed the status of media language education, focused on 7th-Grade Korean Language Textbooks and proposed the future way of media language education. In the body of the paper, I divided the media language unit in the textbooks into 3 categories, firstly, to focus on the media language, secondly, to focus on the utilization of the media, finally, media language under other unit. In the body of the paper, I divided the media language unit in the textbooks into 3 categories, firstly, to focus on the media language, secondly, to focus on the utilization of the media, finally, media language under other unit. Based on this analysis, I concluded that to set media language as a separated unit and to approach media language by several smaller units are desirable way for the students to learn media language which is so diversified. In addition, I proposed that using the most proper examples of each media language, preventing use of media language which is not suitable to the content of the unit, keeping the rule of language, "language as a way of efficient. Lastly, I proposed activities fit to each the contents aimed for the goal of the curriculum, reconstructed the current units regarding media language in the textbooks, presented a new instruction guidance in the part of "understanding of media language and advertisement" In the conclusion part, I described the significance and limit of this study and suggested advice on the future study.

      • KCI등재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김대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8 No.-

        이 연구의 목적은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의 과정을 모색하고, 메시지 생산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이 어떠한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데 있다. 매체 언어 쓰기 교수-학습 과정을 ‘구상-생성-조직-재현’의 4단계로 설정하였다. 매체 언어 쓰기는 일반적인 쓰기와는 달리 영상 체계의 언어의 구조와 특질을 파악해야 하고, 인지적, 사회적 측면뿐만 아니라 기술적 측면까지를 고려하여야 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이다. 창의적인 언어로 소통할 메시지를 효과적으로 만들어내는 일은 매체 언어 쓰기 교육에서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매체를 통한 재현 방법, 매체 언어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메시지 생산, 독자의 참여와 반응, 신념과 가치의 전달, 목적과 의도의 효과적인 전달과 같은 핵심 개념을 설정하여 언어적, 사회적, 기술적으로 매체 언어 쓰기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텍스트의 생산자는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습득한 전략을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나가며, 주어진 상황과 환경에 따라 표현의 다양화를 도모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매체 언어 쓰기는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활동의 범위를 확장하고, 인지경험의 공유와 기록, 문화적 전수 측면에서 언어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큰 의미를 지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roduction process of media and to discuss the courses of writing in media education. The discusses are focused on the core concepts to be considered in manufacturing media message. This study suggests the writing process ‘conception-formation-organization-representation’. The manufacturing media is very complicated progress to understand the structures and features of visual language system and to consider even cognitive, social and technical sides of media. Making messages to communicate efficiently using a creative language is very important problem and aim in media education. To achieve this aim this study suggests these courses:What are you writing and how to representate? Do you understand the media language structures(format, technology and factors) to need to make message? Have you determined the target audience and is your message engaging the audience? Do you frame values and points of views in the contents clearly? What purposes and intentions do you have? The producer has composed the meanings efficiently using obtained strategies through social interaction and expressed variously according to situation and environment. In this context ‘writing media’ extends the area of haman's communication and includes linguistic, social and cultural values in the way of the sharing and recoding for cognitive experience and the inheriting sociocultural backgrounds.

      • KCI등재

        매체에 대한 인식론적 고찰 -맥루언의 매체 분류와 칸트의 두 가지 판단-

        박영욱 ( Park Yeong Ug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1

        현대 사회에서 매체의 중요성이 커지고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는데 비하여, 매체에 대한 철학적 분석은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매체는 구체적이고 현실적 인 사회적 장치의 일종이므로 철학적 고찰이나 방법론적 검토의 대상으로 여겨지지 않았기 때문인 듯하다. 그러나 현대 매체론의 거두인 맥루언은 자신의 주저 『미디어의 이해』를 통해 매체가 단순한 정보전달의 수단을 넘어서 인간의 인식 패턴과 의사소통의 구조, 나아가 사회 구조 전반의 성격을 결정짓는 것으로 주장한다. 그의 이런 통찰은 매체가 단순한 정보전달 장치가 아닌 복잡한 인식론적, 존재론적 개념으로써 철학적인 검토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제기한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논의 순서로 진행된다. 우선 1장에서는 매체에 대한 인식론적 정의를 내릴 것이다. 2장에서는 맥루언이 제기한 매체의 정의 속에 어떤 철학 적 함의들이 들어있는지 인식론의 측면에서 고찰할 것이다. 그러한 고찰 속에서 자연스럽게 맥루언의 매체론이 같는 인식론적 함의와 한계들을 지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3장에서는 맥루언의 제안들 속에서 해결되지 못하거나 정식화되지 못했던 매체에 대한 정의와 구분을 철학적인 개념을 통해서 보완할 것이다. 규정적 판단과 반성적 판단이라는 칸트의 두 가지 판단 개념은 맥루언의 매체론을 보완하고 방법론적으로 세밀화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맥루언의 매체론을 인식론적 측면에서 검토하고, 부족한 점을 시론적인 형태로나마 칸트의 철학 적 개념으로 보충하는 것이 목적이다.

      • KCI등재

        몸의 매체성과 매체의 몸성 - 맥루언의 매체론에 대한 존재론적인 고찰

        조광제 ( Jo Gwang Je )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3 시대와 철학 Vol.14 No.1

        매체에 대한 선구적인 탐구로 유명한 맥루언의 주장은 크게 두 가지로 압축된다. 하나는 매체는 메시지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매체는 몸의 확장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를 주장하는 그의 책 『미디어의 이해』에는 이러한 맥루언의 주장을 뒷받침하는 철학적인 또는 존재론적인 근거는 전혀 제시되어 있지 않다. 매체에 관한 철학적인 논의에서도 그런 맥루언의 두 주장에 대한 존재론적인 근거를 제공하는 작 업을 찾아보기 힘들다. 이를 위해서는 메를로-퐁티의 몸 현상학이 필수적이다. 매체 자체가 메시지가 될 수 있는 것은 매체가 도구로서 몸과 결합되기 때문이 다. 도구로서의 매체가 몸과 결합되는 데에 긴요한 것은 양자를 연결하는 몸틀이다. 몸틀은 몸이 스스로를 선인칭적으로 표현하는 데 근본적인 척도 내지는 비율의 역할을 한다. 그런데 몸틀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특정한 매체를 제대로 사용 하는 것은 사용하는 몸과 사용되는 매체를 관통하는 몸틀을 사용하는 몸이 체득 했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즉 매체는 그것에 걸맞는 새로운 몸틀을 통해 몸과 통일 된다. 그런 점에서 매체는 몸의 확장인 것이다. 새로운 몸틀을 통해 몸은 자기도 모르게 선인칭적으로 감각 내지는 지각을 새로운 척도와 비율에 따라 수행하고 그에 따라 표현 행위 역시 다른 방식으로 수행한다. 이에 매체 자체가 메시지로 작동하는 것이다. 매체 자체가 메시지가 되기 위해서는 매체가 몸의 확장이라는 점이 전 제되어야 한다. 한편으로 이런 과정을 들여다보면 몸은 매체로서 작동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개개의 몸은 다른 모든 몸들을 위한 매체가 된다. 몸이 주체라는 메를로-퐁티의 주장을 받아들이면 주체가 매체라는 주장이 도출된다. 아울러 상호주체성은 기실 상호매체성에 근거해 있음을 알게 된다. 요컨대 매체는 몸성을 띰으로써 매체일 수 있고, 몸은 매체성을 띰으로써 몸일 수 있다. 또한 주체는 매체임으로써 주체일 수 있고, 매체는 몸의 확장임으로써 일정하게 특정한 의미의 주체로 기능하게 된다

      • KCI등재

        주요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연구의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조희정(Cho, Hee-Chung),정여주(Chung, Yeo-Ju)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1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2000∼2020년에 수행된 주요 미술매체를 활용한 국내 집단미술치료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하였다. PRISMA Flow Diagram에 근거해 선정한 184개 문헌의 동향을 분석하고 주요 미술매체를 활용한 연구의 효과에 대해 고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된 주요 미술매체는 9가지이며 종이류, 수채화 매체, 한국화 매체, 사진, 콜라주, 점토 및 점성매체, 자연물, 섬유, 멀티미디어다. 2000∼2010년보다 2011∼2020년에 연구 발행 수가 증가했으며 석사학위 논문, 유사실험설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10∼19회의 치료 회기, 60분의 치료시간, 10∼19명을 전체 집단원으로 설정한 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의 효과를 고찰한 결과 수채화 매체, 콜라주를 주요 미술매체로 활용한 연구에서는 정서관련 변인이, 한국화 매체, 사진, 자연물을 활용한 연구에서는 자아관련 변인이, 점토 및 점성 매체와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연구에서는 특성 관련 변인이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섬유 매체를 활용한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관련 변인이, 종이류를 활용한 연구에서는 삶의 질 관련 변인이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주요 미술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연구 전체를 개괄하고 연구의 효과를 고찰함으로 기초자료를 도출하고 후속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has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researches focused on major art medium. 184 documents of the researches conducted between 2000 and 2020 were selected from the PRISMA Flow Diagra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ere nine art medium that have been conducted and the number of the studies from 2011 to 2020 has increased from from 2000 to 2010. The proportion of the master s thesises, quasi-experimental designs and researches on children were the largest. The frequency of 10-19 treatment sessions 60-minute period and with) 10-19 people in a group were the highest. As the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iveness of group art therapy, in studies using watercolor medium and collage as major art medium show the highest frequency on emotion-related variables Korean painting medium photograph and natural medium on self-related variables; clay and viscous medium and multimedia on character-related variables; fiber medium on stress-related variables; and paper medium on quality of life-related variables. This specific thesis holds that the research has compiled and outlined group art therapy studies that verify the effects with the major medium in Korea offering primary data for subsequent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