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다문화 공생정책의 분석 연구

        월원 인문사회 21 2022 인문사회 21 Vol.13 No.1

        일본 다문화 공생정책의 분석 연구월 원* 요약: 본 연구는 일본 다문화 공생정책 분석을 토대로 한국의 사회통합이라는 과제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대안을 모색하고, 그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방법으로는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일본의 다문화 공생정책에 관한 관련 문헌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 일본 다문화 공생정책은 지방정부 주도하에 진행하고 있었다. 이주민을 위한 다양한 지원 및 내・외국인 공생 관계로 외국인을 지역사회의 하나의 주민으로서 동등한 권리를 부여하며 공생을 위한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사회통합정책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으로는 사회통합에 지방정부 역할의 강화, 중앙정부-지방정부-민간 간 협력적 컨트롤타워 설치, 상호적 사회통합정책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핵심어: 외국인, 다문화, 다문화사회, 다문화 공생정책, 사회통합정책 □ 접수일: 2022년 1월 5일, 수정일: 2022년 1월 30일, 게재확정일: 2022년 2월 20일*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Doctoral Course, Dongguk Univ., Email: hiphop5815@naver.com) Analysis of Multicultural Symbiosis Policy in JapanYue Yuan Abstract: Based on the analysis of Japan’s multicultural symbiosis policy, this study aims to find alternatives that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the task of social integration in Korea and derive implications. As a research method, it was conducted in the direction of reviewing previous studies and analyzing related literature on Japan’s multicultural symbiosis polic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Japan’s multicultural symbiosis policy is carried out under the leadership of local governments, giving foreigners equal rights as residents of the community and providing administrative services for symbiosis. The implic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social integration policy were the need for strengthening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Establishment of a central-local-private cooperative control tower, and mutual social integration policies. Key Words: Foreigners, Multiculturalism, Multicultural Society, Multicultural Symbiosis Policy, Social Integration Policy

      • KCI등재

        일본 다문화정책의 변천과정

        오민석(O, Min-Su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4

        본 연구는 다문화공생의 시점에서 일본 다문화정책의 변천 과정의 고찰을 통해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의 이해와 실천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검토결과, 일본의 다문화정책은 일본인과 외국인의 일상적 연계를 통해 외국인이 일본사회의 소외받는 주변인이 되는 것을 방지하고 자립하여 함께 살아 갈 수 있는 지역사회의 네트워크구축을 의미하였다. 또한, 네트워크에 대한 자발적 참여를 통해 지역공동체의 연대감을 강화함과 동시에 개인의 자아실현, 나아가 주체적 생활자로서 자립하여 함께 살아 갈 수 있는 지역공동체사회를 기대하였다. 즉, 종래 상의하달식 통제에서 벗어나 지역의 인적네트워크에 기초한 지역사회교육사업으로서 시민문화 프레임을 중심으로 한 사회통합촉진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론에 입각하여, 지역사회의 인적네트워크를 중시한 거버넌스의 모색과 주체적 지역 활동이 가능한 다문화정책사업의 추진을 제기하였다. This study is to offer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on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n South Korea by discussing the transition process of multicultural policy in Japan over the years from perspective of multicultural symbiosis. Review in this study shows that multicultural policy in Japan focuses on establishing networks in local societies where foreigners are included in Japanese society and can live independently through daily contact between Japanese and foreigners. Also voluntary involvement in networks enhances solidarity, self-realization and independency of foreigners in local communities. Instead of traditional top-down control, it is to promote social integration focusing on the cultural frame as the local society education based on local human networks. With thi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seeking governance emphasizing local human networks and multicultural policy that enables autonomous local activities.

      • KCI등재

        일본의 유아 다문화 보육, 교육 연구동향

        이성한(Lee Sung Han)(李聲韓) 한국일본교육학회 2020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일본의 유아 다문화보육,교육에 대한 고찰을 함으로서 일본의 유아 다문화보육, 교육의 연구동향을 알아보고 특성을 탐구하며 유아다문화보육과 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정립하는 것이다.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이며 분석대상논문은 학술지 검색도구인 J-STAGE와 CINII 검색도구 등에 수록된 학술지 58편이다. 대상은 유아에 한정하였고 연구시기, 게재학술지 현황, 연구방법, 연구내용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총 58편의 논문에서 게재 연구논문의 시기는 1991년에서 2019년까지로서 2010년경 전후로 증가되고 있다. 게재학술지 현황은 주로 일본 보육학연구 학회지와 대학연구 논문집에서 지속적으로 발간되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2010년경을 전후하여 사례, 관찰연구, 설문조사가 많았고 문헌연구도 지속적으로 행해졌다. 연구내용은 초기에는 정체성, 다문화이해, 지역의 다문화, 반편견 교육과정 등이 연구되었으나 2010년경을 전후로 하여 다문화이해, 보육자의 의식․보육관, 현상과 과제, 교사와 유아의 다문화 언어, 외국의 다문화보육 사례연구 등이 행해졌다. 끝으로 일본의 유아다문화보육, 교육의 방향을 논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search trend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ducation in Japan by conducting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o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in Japan, to explore characteristics, and to establish its direction. The research method is literature research, The research papers are from 58 journals selected by J-STAGE and CINII search tools are reviewed.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children and analyzed according to the period of study, current status of publication journals, research methods, and research contents. The research period was divided into literature research, experiment, practice, case, observation research, interview and questionnaire survey, and the research contents were classified into 12 themes including identity related to multiculturalism. As a result, the number of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period was published from 1991 to 2019, and it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10. The current status of journals was continuousl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Japanese Childcare Research and the Journal of University Research. The contents of the study include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Childcare Consciousness multicultural status and tasks, language and foreign cases. Finally, the direction of Japanese multicultural childcare and education was discussed.

      • KCI등재

        일본의 "다문화공생"개념의 비판적 고찰

        나카무라히로시 ( Nakamura,Hirosh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91 No.2

        일반적으로 일본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문화라는 말은 구미의 다문화주의의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일본의 경우, 다문화주의와는 동떨어진``동화(同化)`` 정책을 취해 왔다. 다문화주의는 유엔(UN) 등에서 마이너리티(minority)에 영향을 미치는 국제적 합의로 받아들여"반차별, 인권 옹호, 아이덴티티"를 기반으로 추진해 가는 정책임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그러한 방법을취하지 않고 동화 정책을 선택해 왔다. 그러한 가운데 1990년대 전후부터 일본에서는 노동자로서 일본계의 뉴커머(newcomer)가 증가했다. 그리고 그들과 일본인의 이문화 접촉을 다문화 상황으로서 인식하고, 그과정에서"다문화공생(多文化共生)"이라는 말이 생겨났다. 그러나 "공생"에는 원래"기생(寄生)"의 의미가 포함되고 있다. 전후 일본정부의 동화 정책은 일본에 이익이 되고 외국인에게는 불이익이 되는 ``기생``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일본의 ``공생``개념을 비판하고 지적하는 논조가 적었으며,이 때문에 일본 정부가"공생"이라는 말을 미화해서 쉽게 사용하게 됐다. 본고는"공생"의 의미를 일본 정부가 재일코리안의 동화 정책의 일환으로계속 사용하는것에대한 문제를 제기하고,"공생"을 부정적인 의미로 평가하고 비판한다. 그리고 그러한 의미를 대신하는 것으로"상생(相生)"이라는 말을 제시하고자 한다. It is thought that the word "tabunka" is the language affected to European andAmerican multiculturalism. However, Japan has advanced the assimilation policyunrelated to multiculturalism. The multiculturalism must be a policy which acceptsthe international agreement in connection with the minority in the United Nationsetc., and it advances based on "anti-discrimination, the protection of human rights,and an identity." But, the Japanese government did not take such a method but haschosen the assimilation policy. In such a process, newcomers increase in number from around 1990 as workersinto Japan, and the cultural contact of Japanese and them came to be regarded asa multicultural situation. The word "tabunka-kyosei" was produced under suchcircumstances. However, there was little indication of the meaning "parasitism" which the word"kyosei" has, and there was no argument which criticizes the usage that makes"kyosei" coexist with "assimilation." This made it easy that the Japanese governmentused the word "kyosei."The word "kyosei" was used while the Japanese government is making theassimilation policy of the Korean in Japan, it is still continnued. Also from that,this paper evaluates "kyosei" in the negative, and proposes the words "sosei" in it.

      • KCI등재

        일본의 축소사회 위기와 이민정책 - 외국인 노동자와 다문화공생을 중심으로

        석주희 ( Suk Juhee )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1 민족연구 Vol.- No.78

        이 글은 인구감소에 따른 일본 이민정책의 제도적 변화와 특징을 제시한다. 일본의 이민정책은 출입국관리제도와 사회통합으로서 다문화공생 등 정부와 지자체, 제도와 인식의 차원에서 나타난다. 기존연구에서는 주로 외국인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과 대응을 다루었으며 최근에는 정부의 제도적인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 글에서는 중앙정부와 지역사회 차원에서 제도와 정책을 통해 이민에 대한 일본 정부의 대응과 변화를 검토한다. 구체적으로는 외국인에 대한 출입국재류관리와 각 성청의 대응, 지자체의 역할을 통해 일본의 외국인 정책에 대한 변화와 흐름을 검토한다. 우선, 1990년대 전후 글로벌리제이션과 급변하는 시장에서 외국인 노동자의 양적 증대를 요구했다면 2000년대 이후에는 전문적이고 숙련된 외국인을 ‘일본의 생활자’로서 인식하기 시작했다. 둘째, 중앙정부에서는 외국인 노동자 확대를 위한 정책을 마련했으며 지역사회에서는 다문화 공생 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결론으로 일본에서 저출산 고령화 등 축소사회에 대한 위기의식은 출입국관리 정책의 변화를 야기했다고 제시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n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immigration policies of Japan Society. Japanese immigration policy refers to immigration control and social integration. This article analyzes immigration policies in terms of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including multi-cultural symbiosis. Existing studies mainly dealt with the community's perception and response to foreigners and institutional changes in government. We present a change in Japan's foreign policy through immigration institutions for foreign workers 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the 1990s, there is a considerable growth of foreign workers in Japan, on the other hand, skilled migrant population increased after 2000. The Japanese governments has begun to recognize professional and skilled foreigners as “Seikatsusya(生活者)”.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established policies to expand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and the local community has proposed policies on multicutural symbiosis. In conclusion, there has been a policy change for foreign workers in Japan due to the population decline.

      • KCI등재

        일본의 축소사회 위기와 이민정책 - 외국인 노동자와 다문화공생을 중심으로

        석주희 사단법인 한국민족연구원 2021 민족연구 Vol.- No.78

        This article examines the in institutional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immigration policies of Japan Society. Japanese immigration policy refers to immigration control and social integration. This article analyzes immigration policies in terms of government, local governments, including multi-cultural symbiosis. Existing studies mainly dealt with the community's perception and response to foreigners and institutional changes in government. We present a change in Japan's foreign policy through immigration institutions for foreign workers 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In the 1990s, there is a considerable growth of foreign workers in Japan, on the other hand, skilled migrant population increased after 2000. The Japanese governments has begun to recognize professional and skilled foreigners as “Seikatsusya(生活者)”. The Ministry of Internal Affairs and Communications established policies to expand the number of foreign workers and the local community has proposed policies on multicutural symbiosis. In conclusion, there has been a policy change for foreign workers in Japan due to the population decline. 이 글은 인구감소에 따른 일본 이민정책의 제도적 변화와 특징을 제시한다. 일본의이민정책은 출입국관리제도와 사회통합으로서 다문화공생 등 정부와 지자체, 제도와인식의 차원에서 나타난다. 기존연구에서는 주로 외국인에 대한 지역사회의 인식과대응을 다루었으며 최근에는 정부의 제도적인 변화를 고찰하였다. 이 글에서는 중앙정부와 지역사회 차원에서 제도와 정책을 통해 이민에 대한 일본 정부의 대응과 변화를검토한다. 구체적으로는 외국인에 대한 출입국재류관리와 각 성청의 대응, 지자체의역할을 통해 일본의 외국인 정책에 대한 변화와 흐름을 검토한다. 우선, 1990년대 전후글로벌리제이션과 급변하는 시장에서 외국인 노동자의 양적 증대를 요구했다면 2000년대 이후에는 전문적이고 숙련된 외국인을 ‘일본의 생활자’로서 인식하기 시작했다. 둘째, 중앙정부에서는 외국인 노동자 확대를 위한 정책을 마련했으며 지역사회에서는 다문화공생 개념을 도입하기 시작했다. 결론으로 일본에서 저출산 고령화 등 축소사회에대한 위기의식은 출입국관리 정책의 변화를 야기했다고 제시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독일의 상호문화교육과 타자의 문제

        정창호(Jeong, Chang-Ho) 한독교육학회 2011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16 No.1

        급속한 외국인의 유입과 함께, 현재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주의와 다문화 교육에 대한 논의가 분분하다. 이 글은 현재의 다문화적 문제와 그것의 해결을 모색하기 위해서는 타자의 문제에 대한 좀 더 심층적인 문제제기가 필요하다는 데서 출발한다. 현재 국내외의 다문화주의 및 교육에 대한 논의가 일방적 동화주의를 비판하면서 타자 또는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가운데 통합하는 ‘다양성 속에서 통일 모델’로 수렴되고 있는 마당에서, 타자 문제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는 이러한 ‘다양성 속에서의 통일’이 구체적으로 어떤 방식을 통해서 가능한가를 파악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되기 때문이다. 이런 맥락에서 이 글은 먼저 독일 상호문화교육의 역사적 전개과정을 타자에 대한 태도의 변화라는 측면에서 재구성하였다(제2장). 이를 배경으로 타자에 대한 세 가지의 기본적 이해방식을 검토하였다. 먼저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서 타자는 전형적으로 무, 결핍을 의미했고, 근대의 헤겔은 타자의 자립성을 인정하려는 시도를 보였으나 체계와 총체성에 대한 집착을 버리지 못했기에 불완전한 시도에 머물렀다. 한편 20세기 초의 사회학자 짐멜은 타자 또는 이방인을 인간 삶의 보편적 현상으로 간주함으로써 자기와 타자를 상호 보충, 보완의 관계로서 파악하여 현대의 다문화사회에 적합한 타자관을 제시하였다(제3장). 이어서 다문화 교육이 단지 차이와 다양성에 대한 존중과 관용을 넘어서 타자와의 공생(symbiosis)을 위한 공통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어떤 점에 주목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간략히 제시하였다(제4장). A multicultural society consists of people, who have different conventions, manners and cultures. It could become a chance, to develop a new cultural identity of the society. But through a fast increase of heterogeneity it could also threaten a minimal consensus which is a necessary condition of any stable society. In this sense, I think, the problems of multicultural society lies in the problem of difference, otherness, etc. So the important point of multicultural education lies in the question, how we could create a common way of life, which make a productive transaction between strangers possible. But this is not so easy as we expect. We can see it easily through the history of countries which has already experienced multiculturality and multi-ethnicity. In this article, I have reconstructed the development of german intercultural education from the viewpoint of the other and stranger. With this background I have examined three theoretical concepts of the other: 1) the other as privative being(Plato, Aristotle), 2) the other as a moment of self-realization(G.W.F. Hegel) 3) the other as a complementary being of self(G. Simmel). Thereafter, I have insisted that we should try to extend steadily a cultural social consensus between strangers, which is possible through a democratic dialog with a hermeneutic sensitivity.

      • KCI등재

        大学における「合理的配慮」調査 -視覚障害学生の3観点11項目から-

        신은진 한국일본언어문화학회 2024 일본언어문화 Vol.66 No.-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erceptions of Korean universities, focusing on the 11 items from three perspectives of Japan’s “reasonable accommodation.” The survey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a visually impaired student J, three student volunteers, two students who attended classes, and two teachers. The research method was an interview using a checklist of 11 items from three perspectives. The checks on each list were cod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urvey, it was found that visually impaired student J did not receive sufficient explanations, especially in liberal arts subjects, regarding <Aspect 1>, 「learning content」 Regarding 「teaching methods」, sufficient support was obtained from teachers. In addition, almost all participants provided 「psychological/health」 support. Next, regarding <Perspective 2>, the 「support system」, it was found that only the faculty of the major course provided specialized support. However, there was no collabo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and no support system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last aspect, <Aspect 3>, 「Facilities/Equipment」 had the lowest check rate. First, we need to put in place support measures for barrier-free acc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