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雷溪 兪好仁의 江西體 受容樣相

        김대원(Kim, Dae-won) 대동한문학회 2020 大東漢文學 Vol.64 No.-

        한국 한시의 흐름은 唐詩風, 宋詩風의 두 축에서 발전되었다. 조선 초기의 송시풍은 蘇軾의 시풍을 익혔지만 점차 黃庭堅・陳師道 등 江西詩派의 시풍을 따르는 쪽으로 흐르고 있었다. 지금까지 학계에서는 해동강서시파에 주목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江西體의 경향을 따르던 15세기의 시인들이 주목받지 못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兪好仁의 한시와 江西體의 상관성을 형식과 내용의 측면으로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兪好仁을 주목했던 이유는 그의 문집과 문인들의 평가에서 黃庭堅과 陳師道에 대해 관심이 드러나고 있다는 점과 그의 시가 이룬 성취가 黃庭堅・陳師道의 지향과 닿아 있기 때문이다. 형식적인 측면에서는 黃庭堅의 以故爲新, 以俗爲雅, 換骨奪胎 등의 한시 작법을 토대로 검토하였다. 첫째, 유호인은 율격상의 정제되고 대칭적인 근체시의 형식을 벗어나 낯선 율격을 추구하였다. 둘째, 강서체의 한시작법처럼 지명, 인명, 속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특히 그는 조선의 지명과 인명을 즐겨 구사하였다. 셋째, 유호인은 전고를 활용할 때 단순히 복제할 뿐만 아니라, 자신의 시에 다채롭게 활용하였다. 이와 함께 내용적인 측면에서 유호인은 자신만의 개성적인 시세계를 성취하였다. 成俔은 유호인의 시문을 보고 奇峭無窮한 미감을 느껴진다고 하였는데 <朴淵瀑布>라는 작품에서 이와 같은 미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鄭汝昌과 洪貴達이 高古하다는 평을 내렸는데 동방의 역사적 인물을 형상화 한 고체시에서 이러한 미감을 확인할 수 있다. 兪好仁 한시와 江西體의 연결 고리를 찾고자 하는 시도는 그의 시세계의 본질에 더욱 가까워질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기존에 주목하지 못했던 15세기 江西體의 연구에 중요하게 기여할 것이다. The flow of Chinese poems in Korea was developed by two axises: Dang Si Pung(唐詩風) and Song Si Pung(宋詩風). Even though Song Si Pung in the early Chosun familiarized itself with the poetic style of Su Shi(蘇軾), it gradually flew to follow that of Jiang-xi School of poetry (or Gangseo Poetry Group) including Huang Tingjian(黃庭堅) and Shidao Chen(陳師道). Until now, the academic world has not paid attention to the poets in the 15th century who followed the tendency of Gangseo style(江西體) by investigating to pay attention to Haedonggangseo Poetry Group. With this critical mind, this article aims to reveal the aspect of both form and content in the connection between the Chinese poems of Yoo Ho-in and Gangseo style. The reason to pay attention to Yoo Ho-in is the fact that his collection of works and writers’ criticism revealed the interest in Huang Tingjian and Shidao Chen and that the achievement of his poems reached the aim of Huang Tingjian and Shidao Chen. In the formal aspect, this reviewed based on the writing technique of Chinese poems including Huang Tingjian’s “take the old as the new(以故爲新),” “take the vulgarity as elegance(以俗爲雅),” “Hwangol metamorphosis(換骨奪胎)” etc. First of all, Yoo Ho-in pursued the strange rules of versification by escaping from the rules’ refined and symmetrical form of classical Chinese verse. Secondly, like the writing technique of Chinese poems in Gangseo style, he actively utilized the name of place, name, and informal term. In particular, he enjoyed having a command of Chosun’s name of place and name. Thirdly, when Yoo Ho-in utilized the authentic precedent, he not only simply copied it but also used it for his poems in various ways. Along with this, in the aspect of contents, Yoo Ho-in achieved his own original poetic world. Just as Seong Hyeon said that he felt the basic and eternal(奇峭無窮) sense of beauty from Yoo Ho-in’s poetry and prose, we can identify this kind of sense of beauty in the work of <Pakyon waterfall> (朴淵瀑布). And just as Jung Yeo-chang and Hong Gui-dal evaluated that it was ancient(高古), we can identify the ancient(高古) sense of beauty in the poem that embodies the historical figure of the East in Gushi. The attempt to find out the connecting link between the Chinese poem of Yoo Ho-in and Gangseo style will be closer to the essence of his poetic world. Together with this, this article will significantly contribute to the research of Gangseo style in the 15th century that has not been currently paid attention.

      • KCI등재
      • KCI등재

        ?溪 兪好仁이 남긴 <續匪懈堂四十八詠>과 몇 편의 ‘謠’에 관해

        유영봉 우리한문학회 2007 漢文學報 Vol.17 No.-

        Seongjong(成宗) treated one's subordinate, Ho-In Yoo(兪好仁), kindly. He composed a shijo(時調) of farewell for him who leave for a local government post to honor his parent, and took care of his way into government service. One day Seongjong composed "Sogbihaedandsasippalyeong(續匪懈堂四十八詠)" after the pattern of "Bihaedandsasippalyeong(匪懈堂四十八詠)" written by "Anpyeongdaegun(安平大君)". Gwi-Dal Hong(洪貴達) and Su Chae(蔡壽) of Hungu(勳舊派) group as well as Ho-In Yoo and Il-Son Kim(金馹孫) of Sarim(士林派) group took part in the composition. Ho-In Yoo composed a few of "Gyobangyo(敎坊謠)" and "Hyanggyoyo(鄕校謠)" when he was in a government post which was not a song leading people's temper into the right path but also a poetry recompensing Seongjong's favor. Accordingly, "Sogbihaedandsasippalyeong" is a Seongjong's friendship for Ho-In Yoo, and a few of "Hyanggyoyo" written by Ho-In Yoo are a requital for Seongjong's kindness. 朝鮮의 成宗朝는 嶺南 士林派가 대거 등장한 시기이다. 이때 훈구파와 사림파는 정치적인 현안 문제부터 문학적인 색채까지 서로 다른 주장을 내세웠다. 그런데 이들의 대립 속에서, 성종은 적절한 안배와 균형을 통해 세종조의 文化에 뒤지지 않는 새로운 시대를 열었다. 이 과정에서 성종에게 남다른 사랑을 받았던 인물은 다름 아닌 뇌계이다. 벼슬길에 들어선 이후, 뇌계는 몇 차례 乞養을 이유로 사직을 원하지만, 성종은 그때마다 그를 위해 外職을 배려해준다. 그리고는 해마다 6월과 12월이면 그가 지은 저작들 가운데 좋은 작품들을 가려 뽑아 베낀 다음, 바치도록 명하였다. 「속비해당사십팔영」 또한 성종이 뇌계에게 베푼 優待의 産物이다. 성종은 세종의 셋째 아들이었던 匪懈堂 李瑢이 생전에 集賢殿 학자들과 교류하면서 남긴 「비해당사십팔영」의 전통을 잇고자 하였다. 이때 선택 받은 인물들은 훈구파의 洪貴達과 蔡壽, 그리고 사림파의 뇌계와 金馹孫이었다. 이들은 훈구파와 사림파를 대표하는 筆陣이었다. 성종의 특별한 인정 속에 안팎의 벼슬길을 드나들었던 뇌계는 외직에 있으면서도 늘 궁 밖의 현실을 임금께 전하고자 노력하였다. 뇌계는 안동과 화산, 영천향교 등 세 곳에 노래를 지어주어 後生의 啓導에 앞장서고자 하였다. 아울러 위 세 곳의 敎坊에서 불리던 노래를 한시로 옮김으로써, 민간의 노래 내용을 그대로 왕에게 전달하고자하였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남은 작품들이 ‘향교요’와 ‘교방요’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남효온의 송도유람과 『송경록(松京錄)』의 울울한 여정

        정출헌 ( Chul Heon Chung ) 한국한문학회 2015 韓國漢文學硏究 Vol.0 No.58

        고려의 古都 松都는 조선전기 문인들이 자주 찾았던 대표적인 유람지였다. 南孝溫은 이런 송도를 모두 네 차례 유람한 바 있다. 개성 인근에 田庄이 있었기 때문에 그처럼 자주 찾을 수 있었다. 그 가운데 성종 16년(1485) 가을 禹善言ㆍ李貞恩ㆍ李摠 등 절친한 벗들과 함께 했던 제3차 송도유람을 마친 뒤, 그 여정과 감회를 『松京錄』에 담아냈다. 거기에는 현실에서 소외된 성종대 신진사류가 꿈꾸던 逸脫과 鬱鬱한 정감이짙게 드리워져 있었다. 하지만 선배 문인들이 다녀간 발자취를 되짚어가며 문사로서의 자부심을 발동시키기도 했다. 天水亭에 걸려 있는 崔斯立의 시에 대한 和韻詩에서 그런 면모가 잘 드러난다. 또는 고즈넉한 山寺에서 마음의 위안을 얻는다거나 집단기억으로 고착된 鄭夢周의 충절을 곱씹어보는 비판적 시각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런 『송도록』의 특징은 徐居正.李承召와 같은 훈구 관료문인들이 송도를 遊興과 懷古로 상징화했던 태도와도 다르고, 蔡壽ㆍ兪好仁과 같은 신진 관료문인이 遊興을 대폭 절제하는 한편 懷古를 詠史로 전환하려했던 맥락과도 달랐다. 새로운 시대를 꿈꾸던 ‘젊은 이상주의자의 挫折과 송도의 慰撫’라고 일컬을 만한 독특한 파토스로 가득차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런 면모를 제대로 음미하기 위해서는 여정별로 담담하게 기록해간 『송경록』만이 아니라 그 기간 중에 얻은 詩篇은 물론 생애관련 자료 및 시대적 상황과 관련지어 함께 감상할 필요가 있다. 그럴 때 비로소 짤막짤막한 기록 너머에 감춰져 있는 남효온의 眞情을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 시편은 본래 『송경록』 속에 포함되어 있었던 작품인데, 뒷날 추강집 을 편찬하는 과정에서 해체되어 詩體別로 문집에 분산ㆍ편입된 것들이기에 더욱 그러하다. 이런 방식을 통해 遊記.遊錄을 읽는 새로운 독법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Songdo, ancient capital of Goryeo, was one of the most visited and well-renowned attractions by scholars of early Joseon Period. Nam Hyo-On went on sightseeing tours to Songdo four times. He visited there frequently since his private fields were nearby. After his third trip to Songdo with his close friends, Wu Seon-Eon, Yi Jeong-Eun, Yi Chong in the autumn in the sixteenth year of King Seongjong(1485), he recorded his journey and sentiments in Songgyeongrok. The book covers the sentiments of escape from the routines of daily life they dreamed and melancholy of the rising scholars of King Seongjong period who were isolated from the reality. However they exercised their confidence as scholars and writers while tracing back the footsteps of senior scholars. It appears well in the rhyming poem in responding to Choi Sa-Rib``s poem which hung in the arbor, Cheonsujeong. It also shows he could get consolation from a quiet mountain temple or a skeptic perspective to reconsider fidelity of Jeong Mong-Ju that was fixed as collective memory.The characteristic of Songdorok is different from the attitude of bureaucratic scholars such as Seo Geo-Jeong, Yi Seung-So in that they symbolized Songdo as entertainment and reminiscence; again it is different from the rising scholars such as Chae Su and Yu Ho-In in that they controlled entertainment and intended to transform reminiscence into historic poems. Songdorok was full of unique pathos, that is, frustration of a young idealist who dreamed of a new era and consolation of Songdo. To appreciate this aspect properly we need to apprehend the data of his life and circumstances of the times as well as Songgyeongrok, a record by chronological journey, let alone poems of the period. Only then we could read the true sentiments of Nam Hyo-On hidden beyond the brief record. These poems were originally included in Songgyeongrok but later in the future, it was divided in the process of compiling Chugangjib and included separately by types of poems. I expect a new way of reading these travel books or the records of journey through these methods.

      • KCI우수등재

        <성종대왕실긔(成宗大王實記)>의 소재원(素材原)과 성종(成宗)의 형상에 대한 연구

        이기대 국어국문학회 2022 국어국문학 Vol.- No.199

        <성종대왕실긔>는 1930년 덕흥서림에서 간행한 구활자본 고전소설이다. 역사 기록과 야담 그리고 소설 등을 소재원(素材原)으로 활용하여 성종의 탄생과 왕으로서의 행적 및 죽음과 평가 등에 대하여 서술하고 있다. 성종(成宗)의 왕실 가족 및 당대의 역사적 인물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는 과정에서는 주로 『연려실기술』과 같은 역사 기록을 소재원으로 활용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박팽년 후손, 폐비 윤씨, 연산군에 대한 성종의 태도나 손순효, 유호인 같은 신하들과의 관계가 드러난다. 야담류 등을 소재원으로 활용하는 과정에서는 성종이 백성들의 처지를 이해하고 각각의 문제를 해결해주려 했던 모습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특히 성종이 미복(微服) 차림으로 백성들을 만나는 과정은 다양한 사건들을 통해 흥미롭게 제시되고 있다. <성종대왕실긔>와 소설의 관계는 신종호의 행적을 통해 드러난다. 성종이 신종호를 평안도에 어사로 보내고 다시 기녀를 통해 속이는 내용으로 전개되는데, 이는 훼절 소설의 구조와 유사하다. 이처럼 여러 기록과 문헌의 내용을 소재원으로 활용하면서 작품에서의 성종의 형상은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된다. <성종대왕실긔>가 간행될 무렵에는 과거의 인물이나 역사를 기록한 서적들이 출간되고 조선의 왕들에 관한 일화들이 신문과 같은 대중 매체를 통해 소개되고 있었다. 이는 조선이 아닌 시대를 살고 있지만, 오히려 조선의 왕들을 기억하려했던 당시 독자들의 요구를 보여준다. 그리고 발행자였던 김동진은 이러한 출판 상황에 따라 <성종대왕실긔>와 같은 실기류 작품들을 지속적으로 간행하였다.

      • KCI등재

        조선 초기 ‘조선 죽지사’ 연구

        최고경 ( Choi Go-gyeong ) 한국한시학회 2018 韓國漢詩硏究 Vol.26 No.-

        죽지사란, 민간의 풍속이나 정취를 그려낸 7언 절구 연작시이다. 당나라 유우석(劉禹錫, 772~842)이 파투(巴渝) 지방의 민간 가요인 죽지노래를 듣고 지은 데서 유래하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토속적, 민가적 성격을 가진다. 죽지사는 유우석 이후 중국과 우리나라에 널리 전파되어 작가에 따라 다양하게 창작되었다. 중국의 악부를 의작하는 경향이 두드러졌던 조선 초기에는 주로 당대(唐代) 죽지사를 모의하였다. 이들은 중국을 배경으로 남녀 간의 사랑과 이별을 다루며 낭만적ㆍ애상적 정조를 드러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가운데 김종직을 필두로 한 영남 지방 문인들이 조선의 땅을 대상으로 한 죽지사를 창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이처럼 중국의 것을 우리에 적용하면서 의고성을 탈피하고 조선의 특정 지역을 표면에 내세운 것을 ‘조선 죽지사’라 칭하기로 한다. 김종직이 먼저 자신의 고향인 밀양을 배경으로 <응천죽지곡>을 짓고, 동료 문인 김맹성에게 권유하고 제자 유호인에게도 영향을 끼쳐 <가천죽지곡>과 <함양남뢰죽지곡>을 짓게 하였다. <응천죽지곡>과 <가천죽지곡>은 당대(唐代) 죽지사와 같이 남녀 간의 연정을 주로 다루었으나, 조선의 특정 지명을 제시하면서 현실성과 구체성을 획득하였다. <함양남뢰죽지곡>은 이들과 달리 해당 지역의 역사와 풍속에 비중을 두면서 조선 죽지사의 새로운 틀을 도모하였다. 즉 조선 죽지사의 초기 형태는 남녀 간의 사랑이나 이별, 그 지역의 풍속, 역사 이 세 가지의 모습으로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같이 김종직 그룹에서 조선 죽지사가 시도될 수 있었던 것은 그들이 고향에 대해 남다른 지방 의식을 공유하고 있었기에 가능했다. 그들은 지방 출신으로 중앙 정계에 진출한 1세대로서 자신의 지역에 대한 애정과 자부심을 가지고 있었고, 그곳을 지방의 유행가라고 할 수 있는 죽지사 형식을 빌려 널리 알리고자 했던 것이다. 이러한 창작 의식을 바탕으로 한 조선 죽지사는 향후 지역의 범위가 전국으로 확장되고 규모가 방대해지면서 하나의 역사 장르로 확립되는데, 본고의 논의는 그 전개의 출발점에 있다. ‘Jukjisa’(竹枝詞) is a 7 quatrain series poem that depicts folk customs and culture. Composed by Liu Yuxi (劉禹錫) of the Tang Dynasty after he heard the song ‘Jukji’, a song that was popular among the locals of the Bayu(巴渝) region, it naturally has an ethnic quality and the nature of a folksong. ‘Jukjisa’ spread widely across China and Chosun after its composition by Liu Yuxi and was recomposed in various ways by different poets. In the Early Chosun Dynasty, when the imitation of Chinese Yuefu(樂府) was the prominent trend, imitations of contemporary Jukjisa were prevalent. These poems dealt with the love and parting between a man and a woman against the backdrop of China and typically portrayed romantic and tragic sentiments. In the midst of this trend, the literati of the Yeongnam region, led by Kim Jong-jik, composed Jukjisa about regions in Chosun. Noting the way these poems avoided archaism by the application of the Chinese form to something that was ours and the mention of a particular region of Chosun in the poem, this paper proposes these poems be designated ‘Chosun Jukjisa’. Kim Jong-jik composed < Eungcheonjukjigok > with his hometown Miryang as the backdrop and urged fellow literati Kim Maing-sung and influenced his disciple Yoo Ho-in to compose < Gacheonjukjigok > and < Hamyangnamrwaejukjigok > respectively. < Eungcheonjukjigok > and < Gacheonjukjigok > deal with romantic affection between a man and a woman like other Jukjisa of the time, but by naming a particular region in Chosun, they also achieve a sense of specificity and realism. Unlike these poems, < Hamyangnamrwaejukjigok > revealed a new framework for the Chosun Jukjisa by focusing on the history and customs of a particular region of Chosun. In other words, the following three elements can be found in early forms of Chosun Jukjisa: the story of love and parting between a man and a woman, the customs of a particular region and the history of that region. The motive behind the creation of Chosun Jukjisa by Kim Jong-jik’s group can be found in their unique regional consciousness of their hometown. As the first generation of rural literati to be active in the political world of the central government, they had great affection for and pride in their hometowns and strived to make their hometowns widely known by borrowing the form of the Jukjisa, which could be called the popular song of rural areas. The Chosun Jukjisa that stemmed from this creative consciousness became established as a historical genre as the scope of regions covered in the poems later expanded to include the whole nation and the poems expanded in volume. This paper has examined the start of this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