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원효 『기신론해동소』에 나타난 원음(圓音)의 현대적 이해에 관한 연구

        김원명(Kim Won-Myoung) 불교학연구회 2008 불교학연구 Vol.19 No.-

          This study is to try understanding Woneum (圓音), the Round sound by Wonhyo(元曉). To increase our understanding Woneum, this study aims atI interpreting Woneum as various modern Korean terms which represent the Korean speaker’s freedom of imagination and opportunity to manifest one’s own oneself.<BR>  Woneum is found once in the Awakening of Faith (Mah?y?na?raddhotp?da) translated into Chinese by Param?rtha (499-569) in 550 A.D. Wonhyo had studied Woneum in his Commentary on Awakening of Faith (起信論海東疏). Woneum is not found, One sound is found in the Awakening of Faith translated into Chinese by Siks?nanda (實叉難陀, 652-710), who began his work on the eighth of October, 700 A.D.<BR>  Round sound is interpreted as One sound, Absolute soundless sound and All sound by Wonhyo. Buddha had talked about truth in Round sound, all sentient beings heard the truth in One sound each other according to their abilities to hear that. In the part of Buddha, One sound can be interpreted in On sound in Korean, Absolute soundless sound. In the part of sentient beings, One sound can be interpreted in All sound. In the two parts of Buddha and sentient beings, One sound can be interpreted in Duruhan sound in Korean.<BR>  The English immersion education itself of present political power prohibits the Korean speaker’s freedom of imagination and opportunity to manifest one’s own oneself. Korean of Korean speakers is a calling of Being, On sound and Duruhan sound in Korean.

      • KCI등재

        한국인이 발화한 중국어 복모음 음절길이에 대한 음성학적 연구

        고미숙,김병창,성윤숙 영남중국어문학회 2011 중국어문학 Vol.57 No.-

        韓國人漢語複韻母的發音時長和中國人的發音時長不一樣。漢語後響複韻母的介音被看成一個目標元音。타是一個保持發音穩定狀態的音位性二合元音。타和主要元音一起構成目標元音。因此在漢語後響複韻母中存在兩個目標元音。與之相比較, 韓語的後響二合元音是僅包含一個目標元音的非音位性二合元音。這次實驗的結果與預想的相符, 韓國人不能像中國人一樣, 把漢語複韻母中的介音發成完全元音, 只是像過渡音一樣簡短的, 像韓語的半元音一樣發音, 從而對整個音節的長短造成了的흔大的影響。通過這次語音實驗的分析結果我們可以發現, 不僅是漢語的介音, 而且作爲二合元音的前響複韻母中的主要元音的發音持續時間也差不多中國人的百分之五十, 只是흔短地發音;作爲三合元音的中響複韻母中, 介音不用說, 就連主要元音的發音也特別短, 所以整個音節的發音持續時間還不及中國人發音時間的一半。通過這些分析我마可以知道, 韓國的漢語學習者發漢語複韻母的時候, 不單是介音, 而且二合元音或者三合元音前面的主要元音都是按韓語的後響二合元音的發音習慣, 不考慮穩定區域, 快速地處理過渡音的情況特別明顯。這種現象是因由半元音和元音結合而成的韓語中的二合元音的負遷移而引起的。還可以看出, 關於漢語複韻母中上聲這種情況, 中國人和韓國人發的音節時長差異更明顯, 這是韓國人發上聲的音節時長持續時間比中國人短的重要原因的體現。還有一種情況, 關於漢語複韻母帶上鼻音韻尾的音節中, 元音發音長短的差異稍微降低了, 因爲發出這些元音後面緊密相連的韻尾, 所以元音所持續的時間就相應變短了。

      • KCI등재

        일본(日本) 관련(關聯) 외래어표기법(外來語表記法)의 개정(改正) 필요성(必要性) -한(韓),일(日) 신문(新聞)의 상호(相互) 외래어(外來語) 표기(表記) 비교(比較) 고찰(考察)-

        김창진 ( Chang Jin Kim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0 漢字 漢文敎育 Vol.25 No.-

        漢字文化圈의 올바른 外來語 表記 方法을 알기 위해 韓國 신문과 日本 신문의 상대국 관련 외래어 표기를 比較 考察했다. 日本 신문은 『朝日新聞』의 2009년 3월 記事 중 韓國 관련 기사를 調査 對象으로 삼았다. 조사 결과, 日本 『朝日新聞』은 韓國 固有名詞를 漢字로 적는 것을 原則으로 삼고 독자는 自國語 發音으로 읽는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이는 日本이 漢字文化圈의 漢字語는 外來語가 아닌 自國語로 여기기 때문이다. 이는 漢字文化圈의 共通되고 오래된 傳統인데, 日本은 그 傳統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래서 日本人은 漢字文化圈 外來語를 `自國語 中心主義`로 便利하게 사용한다. 反面에 韓國 신문들은 日本 고유명사를 한글로 日本語 現地 原音을 적고 있다. 이는 이미 準固有語化되어 있는 漢字語를 현행 外來語表記法이 外國語로 잘못 취급하여 잘못된 `現地 原音主義`을 적용해버린 것이다. 그 결과, 韓國 독자들은 日本 고유명사 표기를 대하여 發音도 不便하고 意味도 알기 어려워 큰 不便을 겪고 있다. 따라서 韓國 政府는 韓國語의 오랜 傳統을 回復하여 漢字語는 漢字로 적고 韓國語 發音으로 읽게 해야 마땅하다. 그래야만 韓國 국민이 正常的인 言語生活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urveyed the mutual orthography of loan words written in the articles of Korean and Japanese newspapers in order to understand an accurate transcription method of loan words in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s. In case of Japanese newspaper, this paper made the articles about Korean issues in Asahi Shinbun during March 2009 objects of this study. Japanese Asahi Shinbun transcribes Korean proper nouns into Chinese characters, and Japanese readers read them on the basis of the pronunciation of their vernacular, because Japan regards Chinese characters as their vernacular instead of loan words. This orthography is a long tradition common in the cultural area of Chines characters, and Japan maintains such a orthographic tradition so far. Thus Japanese people use loan words in the cultural area of Chinese characters conveniently based on the `vernacular-centricity`. On the contrary, Korean newspapers transcribe Japanese locale pronunciation into Hangul in writing of Japanese proper nouns, which has made Chinese characters, quasi-Korean language worse into `the locale etymological reading` by considering them as loan words on the basis of loan words orthograph. In this respect, Korean readers undergo and suffer great confusion and inconvenience, for they don`t understand the meaning in the transcription of Japanese proper nouns according to `principle of the locale etymological reading`. Consequently, Korea has to restore `vernacular-centricity` by regarding Chinese characters as Korean words instead of dealing with them in terms of an orthography of loan words.

      • KCI등재

        세계지도(지리서)의 외국지명 한자표기에 관한 서지적 고찰

        김경호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7 아시아문화연구 Vol.45 No.-

        Currently, there are two using methods about foreign place names in Korean. Therefore, in this paper, I will try to find out why and how these notations are made and take a diachronic point of view on the formation of Chinese characters in the world map (geography), with focusing on their formation from a transnational point of view. First, It was surveyed and analyzed Chinese, Korean and Japanese books in order to examine the origins of foreign place names and Chines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world map (geography). As a result of the bibliographical analysis of the Chinese characters on the world maps, before the 19th century, Korea and Japan borrowed the Chinese characters from the Chinese books, but When the kanji notation of the place name was read in the Chinese character of the native language, it is pronounced differently in the Korea and Japan. Therefore, after the 19th century, there was an attempt to make the new kanji notation in order to correct it. For example [麦時古] a book in Korea, it was made as the Chinese character for [Mexico], but it was pushed out by the [墨西哥] notation made in China dispite of the sound being different. In addition, because the characters written in Chinese letters for [Germany] was different for original pronunciation in Korea and Japan, it was made new form of characters in Japan. However, the notation for [Germany] made in Japan was different from the original sound when pronounced in Korean. Nevertheless, in Korean, the characters and pronunciation for [Germany] are used as an idiomatic expression. 국립국어원의 [한국어 외래어표기법 규정]에서는 [인명, 지명 표기의 원칙]을 정해놓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랑스]와 [불란서(佛蘭西)], 그리고 [불어불문학과(佛語佛文學科)]같은 표기가 관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즉 하나의 외국지명에 두 개의 음형과 어형이 존재함을 엿볼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왜 이러한 표기가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원인을 밝히기 위해 세계 지도(지리서)에 나타난 외국지명의 한자표기에 대해 통시적 관점에서 그 성립과 출전을 중심으로 서지적 고찰을 실시했다. 먼저, 세계지도(지리서)에 등장하는 외국지명과 한자표기의 기원을 살피기 위해 중국, 한국, 일본 측 문헌을 대상으로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고에서 조사대상으로 택한 세계지도와 지리서는 다음과 같다. 1)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混一彊理歴代國都之圖)』, 2) 『지봉유설(芝峰類説)』, 3) 『곤여만국전도(坤輿万國全圖)』, 4) 『해국도지(海國圖志)』, 5) 『영환지략(瀛環志畧)』, 6) 『직방외기(職方外紀)』, 8) 『세카이구니즈쿠시(世界国尽)』, 9) 『사이란이겐(采覧異言)』, 10) 『서유견문(西遊見聞)』 상기 문헌을 대상으로 외국지명에 대한 한자표기의 서지적 분석을 한 결과, 19세기 이전 한국과 일본은 외국지명의 한자표기를 중국 측 문헌을 통해 차용해, 사용해 왔으나, 19세기 이후에는 중국에서 만들어진 외국지명의 한자표기가 자국어의 한자음으로 읽었을 때, 원음과 상이하게 발음돼, 이를 시정하기 위해, 독자적인 한자표기를 만들려는 시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에서는 [멕시코]에 대한 한자표기로 [맥시고(麦時古)]가 선택되었으나, 중국에서 만들어진 [묵서가(墨西哥)] 표기에 밀려, 『표준국어대사전』에도 멕시코에 대한 한자표기로 [묵서가(墨西哥)]가 실려 있음이 확인됐다. 또한 [독일]에 대한 중국 한자표기인 [덕국(徳國)]은 한국과 일본의 한자음으로 읽었을 때, 원음과 상이해 일본에서는 일본어 한자음에 맞추어 [독일(独逸)]로 한자표기를 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한자표기가 한국에 그대로 차용돼, [독일]과 같이 한국어 한자음으로 읽으면 원음과 상이한 발음으로 나타나는데도, 관용이라는 이유로 그대로 사용되고 있음 알 수 있다.

      • KCI등재

        중국어 한글표기법 논의를 바라보는 한 시각

        趙寬熙 중국어문학연구회 2009 중국어문학논집 Vol.0 No.58

        Transliterating Chinese character into the Korean alphabet can be addressed at two levels : First, should Chinese characters surely be represented as original pronunciation? Second, if it is written in phonetic symbols, how should it be notated? This article mainly deals with the former question. C-K System initially argued that considering the actual pronunciation of Chinese character, it should be transliterated into the Korean alphabet. I think that what is urgently required in Chinese linguistic study is to compare and objectify Chinese cultural heritage. It means that we should establish our own subjecthood in studying Chinese linguistics without losing a sense of sovereignty. Therefore, to develop subjecthood should start from rectification of names. In conclusion, as the names of the Chinese read in the original pronunciation, my own subjecthood can be established at the same time.

      • KCI등재

        근대한어(近代漢語)구개음화 연구 (Ⅰ) ― 반영하는 자료를 중심으로

        신용권 한국중국어문학회 2010 中國文學 Vol.64 No.-

        本文探討的是近代北方漢語的顎化現象在相關資料中反映的情況。本文在硏究近代漢語顎化現象時, 發現了一些至今還未硏究過的資料, 同時也對前人的硏究成果進行了仔細的探討, 爲擴大該音韻變化現象的參考資料之範圍, 做了不少努力。本文還對中國與韓國文獻中出現的顎化現象進行了仔細的分析, 試圖完全理解這一現象。 《古今韻會擧要》與《中原音韻》中出現的現象, 可能只是意味着發生顎化現象的環境條件當時已經成熟了, 而幷不是表示顎化現象的實際發生。在北方漢語中, 《圓音正考》是專門記錄顎化現象的第一本文獻。爲解決滿漢對譯過程當中出現的一些問題, 書中定了人爲區分尖團音的注音規則, 因此後來的滿漢對譯資料一般都沒記錄顎化現象。不過, 在還未人爲區分尖團音的17世紀或18世紀初期的滿漢對譯資料中, 也有一些是部分反映尖團不分現象的。中國的資料, 由于注音方法有限等原因, 無法好好記錄顎化現象的變化過程。相反, 朝鮮時代的漢學書, 用表音文字韓文給每一個漢字都加了注音, 因此, 通過這些漢學書, 不僅可以把握近代北方漢語音的全貌, 而且也能了解顎化現象的變化過程, 可以說?們都是?寶貴的文獻資料。本文査看了生動反映顎化進行過程的18世紀版《老乞大》,《朴通事》的諺解書及此後出版的朝鮮漢學書, 對于顎化現象的情況與變化過程進行了仔細的硏究。由此可知, 近代漢語的顎化現象, 比起中國傳統的韻書與韻圖, 在滿漢對譯資料與朝鮮對譯資料中, 反映得更爲豊富。此外, 本文還通過對現代漢語方言裏的顎化現象進行考察, 試圖探討這個音韻變化的方向性問題。我期望通過本文及後續硏究, 不僅對于近代漢語中出現的顎化現象, 而且還對于韓國與中國資料中所記錄的當時的漢 語音韻變化,漢語語音系統,出現于相關語言中的有關音韻現象,與近代漢語的關係等, 做出更加?密, 更有深度的成果。

      • KCI등재

        『特命全権大使 米欧回覧実記』에 나타나는 서양 도시와 지명의 가타카나 표기

        박성희(Park, Seong Hee) 도시사학회 2012 도시연구 Vol.8 No.-

        본고는 명치기 서양 지명의 표기 실태를 밝히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米?回??記』에 나타나는 가타카나 표기를 중심으로 고찰한 것이다. 『米?回??記』는 1871년 구미(歐美)로 파견된 명치 정부의 고위 관료와 실무진들이 구미에서의 활동 내역과 견문 내용을 일기와 같이 상세히 기록한 대외적인 공식 보고서이다. 일본에서 지명 표기 방법은 한자를 사용하다가 어느 시기부터는 가타카나를 사용하는 것으로 변화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역사적인 흐름 속에서 명치 이후에 일본인들이 어떠한 견해를 가지고 서양 지명을 표기하였고, 그것이 가타카나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 그 중간 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일본에서 지명 표기 문제를 역사적으로 규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연구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주로 서양 지명의 가타카나 표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서양 지명의 개별어수를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가타카나 표기는 전체 959개 지명 중에서 558개로 58.1%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어, 전체 지명 표기의 절반이상 높게 나타났다. 사절단 일행은 구미 각국의 곳곳을 회람(回覽)하면서 보고 듣고 관찰한 것을 기록하는데 있어, 국가명이나 도시명 보다 작은 소규모 단위의 지역을 표기할 때에는 현지에서 서양 원어에 대한 발음이 들리는 대로 가타카나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하였던 것이다. 표기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서양 원음에 따라 지명을 표기하는 원음 표기 방법이 사용되었다. 서양 지명이 외래어로서 일본어 체계에 들어오게 되면, 서양원어와의 음절 구조 및 음운 체계의 차이로 인하여 폐음절 구조인 영어식 발음을 개음절화 규칙에 따라 일본어의 음절 구조에 맞게 표기한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한자 표기에서 가타카나 표기로 넘어가는 과도기적인 시기에 여러 가지 표기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그 당시 세계로 뻗어 나가는 일본 사람들이 세계를 어떻게 인식하고 자신들이 인식한 서양에 대한 지명을 어떻게 표기하였는지 이해할 수 있었다. This study reviews katakana marking shown in Beioukairanzitki as a part of study identifying the status of foreign place notation in Meiji period. Beioukairanzitki is a formal report recording what they saw and what they did in Europe and America like a journal when high ranking officials and working level officers in Meiji government were fetched to Europe and America in 1871. In Japan places used to be marked with Chinese characters but at some point they became marked with katakana. It is one of important studies in the history of foreign place marking to identify how Japanese marked foreign places after Meiji and what kind of changes were made in the process of transition from Chinese characters to katakana. Accordingly, this article reviewed foreign place names focusing on katakana marked western names. When reviewing the number of western names, it was found that katakana marking was used in 558 places (58.1%) out of 959 places with western names. Delegacy used katakana for name of nations, cities and other administrative divisions according to the original pronunciation while they were looking around various places in Europe and America. Using katakana, they used original pronunciation transcription method by following the original pronunciation of the local place. As foreign place names were introduced to Japanese language system as loan words, Japanese phonemes were added and changed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syllable structure and phoneme system. In other words, when Japanese marked foreign words such as western place names, they used katakana to show English pronunciation with closed syllable structure according to open syllable rules. Ultimately, various marking phenomena in transition time from Chinese characters to katakana were identified, and we could understand how the contemporary Japanese perceived the world and how they marked foreign place names that they had recognized.

      • KCI등재

        日本語·中國語 外來語表記法의 廢棄 必要性

        김창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1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9 No.4

        A loanword is to be read according to the pronunciation norms of the concerned nation in case of proper nouns. It must be treated in duality of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s and non-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s. In case of the loanword of the latter, the fittest pronunciation method is to be sought in the future. On the contrary, because the sound of Chinese character as a Korean style has already been established, the proper noun of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must be written according to it. It is wrong to conform the principle of original sound on a local basis only in Korea. It must be conform the native tongue-centrism. The words in Chinese character were written in Chinese character and then read in Korean in the past, and such a method was used to achieve the best method of communication. The current method where letters are written in Korean and pronounced in loanword pronunciation, disrupts the communication of meaning or intention doubly. As Chinese characters are not loanwords, so it can not be a subject of loanword orthography. Choi Hyun Bae, ideologist of exclusive use of Hangeul, devised loanword orthography of Japanese in order to promote the exclusive use of Hangeul, but it is none other than a vestige of Japanese colonial imperialism. The same fallacy is true of loanword orthography of Chinese. Consequently, the current loanword orthography of Chinese character cultural area must be discarded. 外來語는 주로 글로 적힌 固有名詞를 자기 民族의 發音 方式에 따라서 읽는다. 外來語는 漢字文化圈과 非漢字文化圈으로 二元化해서 다루어야 한다. 漢字文化圈의 고유명사는 韓國式 漢字音이 確立되어 있으므로 一貫性을 유지해야 한다. 반면에 非漢字文化圈 外來語는 앞으로 最適의 發音法을 摸索해야 한다. 전 世界에서 韓國만 唯一하게 채택하고 있는 現地 原音主義는 잘못이다. 自國語 中心主義로 外來語를 使用해야 한다. 과거에 漢字語는 漢字로 적고 韓國語로 읽었는데, 最上의 意味 傳達 방식이었다. 그런데 現行法은 文字는 한글로 적고 發音은 外國語 發音으로 하게 하여 意味 傳達을 二重으로 妨害하고 있다. 漢字語는 外來語가 아니므로 원래 外來語表記法의 對象이 아니다. 日本語 外來語表記法은 日帝 식민지 殘滓로서, 한글전용파 崔鉉培가 한글專用을 추진하려고 만들었다. 中國語 外來語表記法은 그것을 踏襲했다. 잘못된 現行 漢字文化圈 外來語表記法을 廢棄해야 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