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의존명사(依存名詞)의 결합관계(結合關係) 연구-의존명사(依存名詞)와 접미사(接尾辭)의 구별을 중심으로-

        호정은 ( Ho Jung E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2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0 No.2

        이 글은 依存名詞와 선행요소의 結合關係를 살피면서 依存名詞와 그 경계가 모호한 接尾辭와의 구별을 시도하였다. 또한 이 특징들을 기준으로 의존명사와 접미사의 경계에 있는 일부 고유어 형태들의 범주를 재설정하였다. 의존명사는 선행요소로서 명사는 물론 用言의 冠形詞形과 名詞句가 가능하다는 점, 선행요소와 해당 형태 사이에 격조사나 보조사가 개입될 수 없다는 점, 그리고 선행요소와의 의미적 결합제약이 적고 생산적이라는 점에서 接尾辭와 구별된다. 이 논의의 핵심은 先行語로 용언의 관형사형이 오지 못하더라도 名詞句가 올 수 있는 형태들은 依存名詞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기존에 依存名詞와 接辭로 혼란스럽게 규정되던 ‘거리, 껏, 께, 꼴, 끼리, 남짓, 만, 바람, 뻘, 씩, 어치, 짜리, 째, 쯤, 치, 투성이’ 등을 모두 依存名詞로 설정하였다.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preceding elements of the bound noun construction in Korean, focusing on the contrast with suffixes. There are dividing lines between the bound noun and the suffix in that bound nouns lies in the syntactic construction. It means that the noun phrase as well as the pre-nominal form of verbs should be considered as the preceding elements of the bound noun. In addition, between the bound noun and its preceding element, no 'Josa'(postposition) can intervene. And there are few gaps in the distribution of the bound noun, whereas suffixes are very highly constrained with regard to the words to which they attach. According to these criteria, several morphemes that had been defined as suffixes in the past fall into the category of bound noun.

      • KCI등재

        의존명사(依存名詞)의 범주(範疇) 연구 - 개념적(槪念的) 특성(特性)을 통한 범주(範疇) 변별(辨別)을 중심으로 -

        호정은 ( Ho Jung-eun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1

        의존명사는 문법화 과정의 중심에 있는 범주이다. 本稿에서는 의존명사의 개념적 속성인 ‘單語性’과 ‘依存性’을 통해 의존명사의 변별적 특성과 가능 목록을 재검토하였다. 의존명사는 단독적으로 올 수 없고 冠形語句를 필수적으로 요구하는 非實質 명사, 즉 통사상 [+N] 자질을 가지면서 의미적으로 비어 있는 범주로 정의된다. 의미상 비어 있는 범주라는 것은 共時的으로 原意味를 확인할 수 없거나, 原意味와의 관련성이 멀어져 先後行 결합 요소와 함께 문법적 의미를 표현함을 의미한다. 의존명사는 의존적이며 非實質的 요소라는 점에서 접사와 유사하나 구 이상 단위의 관형어구를 취한다는 점에서 접사와 구분된다. 이 특성에 의해 의존명사는 단어 범주에 歸屬되며 그중에서도 명사의 한 구성원으로 자리매김된다. 그러나 의존명사는 자립명사와 달리 통사·의미적 의존성이 강해 선행 성분을 필수적으로 요구하며 실질적 의미를 띠지 못한다. The bound noun is the category located in the center of gram- maticalization.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distinctive properties of bound noun and reconsider its potential lists. The properties are extracted through two notional attributes of bound noun : wordness and dependence. The bound noun is defined as the non-content noun requiring the preceding adnominal constituents, i.e. the category that is empty in semantics and has [+N] feature in syntax. It means that the bound noun represents the functional meaning with its preceding/following constituents, otherwise, at least, its meaning is synchronically in- explicable. The bound noun distinguishes from the suffix by combining with phrases as well as words. This distinctive property identifies the bound noun as ‘word' inter alia ‘noun'. However, unlike independent noun, the bound noun is highly dependent on the preceding constituents both in syntax and in semantics.

      • KCI등재

        공간명사의 의존 용법과 규정 기능

        이영제(Lee, Young-je) 중앙어문학회 2014 語文論集 Vol.58 No.-

        본고는 양식적 공간명사의 의존 용법을 자립 용법과 구별하여 범주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는 데 목적이 있다. 양식적 공간명사의 의존 용법은 의존명사와 마찬가지로 통사적 의존성을 특징으로 한다. 의존명사의 개념을 통사적 의존성의 명사로 확대하고자 한 일련의 선행연구들의 주장에 따르면 의존 용법의 양식적 공간명사도 확대된 의존명사의 범위에 속한다. 한편 의존 용법의 양식적 공간명사들은 선행 성분을 규정(規定)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것은 기능요소에 대비되는 문법적 특성이며, 의미도 [상황], [조건], [환경]이나 [결과], [(특정) 범위] 등 의존명사처럼 관계적이고 추상/형식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통사적으로 의존적이고 기능요소적인 특성으로 볼 때 의존 용법의 양식적 공간명사는 자립명사로부터 구별하여 의존명사와 관련시켜 설명할 필요가 있다. This paper aims to propose that we need to categorize each bound/dependent usage and free/independent usage in relation to modal spatial nouns. The bound usage of the modal spatial nouns same as bound nouns are characteristic of syntactic boundness. Furthermore, they have relational and notional/formal meanings. In terms of grammatical description, we have to categorize these modal spatial nouns in relation to the bound nouns. The conclusion of this paper might support for the arguments of the previous studies as for the expansion of an extent of the bound noun. Meanwhile, the modal spatial nouns which included to dependent usage of nouns have functions as post-nominal modifiers. These functions are equal to the syntactic properties of the functional elements. The semantics of these nouns are included with [circumstance], [condition], [background], [resultative] and [(specific) extent] which are related to the relational, notional and formal meanings of the bound nouns. These properties of the modal spatial nouns as like functional elements need to b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bound nouns.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의 의존명사 복합구성 제시 형태 연구  ― 의존명사 ‘것’을 중심으로

        손진희 중앙어문학회 2018 語文論集 Vol.7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omplex constructions of dependent nouns are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and grammar textbooks.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s the presentation methods used for complex constructions of dependent nouns through comparison of examples from the Sejong corpus. Complex constructions of dependent nouns adopt the form of [[precedence elements +[dependent nouns] +following elements]] and are centered on dependent nouns.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omplex constructions of dependent nouns have been present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Korean grammar textbooks, and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OPIK), focusing on “것 (Geot),” the most frequently used dependent noun in modern Korean.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lthough the constructions had the same meaning, their presentation format could differ in each textbook. For example, there was a case in which the allomorphs of complex constructions were listed as headwords; however, complex constructions were not registered as headwords in the Standard Korean Language Dictionary. Additionally, a format was observed that was presented in five different textbooks. Examining the forms of complex constructions of dependent nouns presented in the Sejong corpus, this study determined that the precedence elements of the dependent noun “것 (Geot)” were verb, adjective, and the adnominal suffix “-이다.”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existing Korean language textbooks, etc. However, ‘-(으)ㄴ 것이다’, which occurred most frequently in the Sejong corpus, was not presented clearly. Additionally, “아니다 (no),” “없다 (nothing),” “중 (between),” “때문에 (because),” etc. as following elements of the dependent noun “것 (Geot)” were presented as frequent examples in the Sejong corpus. However, these elements were hardly seen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etc. In conclusion, this research examined the differences in the presentation of complex constructions of dependent noun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cusing on the dependent noun “것 (Geot)” and examples from Korean language textbooks, Korean grammar textbooks, and the Sejong corpus. 본 연구는 의존명사 복합구성이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문법서에 어떻게 제 시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세종 말뭉치의 용례와 비교하여 의존명사 복합구성 의 제시 방안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의존명사 복합구성’은 의존명사를 중심으로 [[선행 요소+[의존명사]+후행 요소]]의 형식을 취하는 것을 말한다. 현대 국어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것’을 중심으로 의존명사 복합구성이 한국어 교재, 한국어 문법서, 한국어능력시험(TOPIK)에서 어떻게 제시되어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같은 의미를 가진 복합구성이라도 교재마다 제시 형태가 다르며, 복합구성의 이형태로 보이는 것도 각각 표제어로 올린 경우도 있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복합구성이 표 제어로 등재되어 있지 않았다. 5종의 교재에서 한 번씩만 제시된 형태도 있었 으며, 의미 설명에도 차이가 있었다. 의존명사 ‘것’을 중심으로 한 복합구성이 세종 말뭉치에 나타난 형태를 살펴보 면 의존명사 ‘것’의 선행요소로는 동사, 형용사, ‘-이다’의 관형사형 어미로 나 타나 기존 한국어 교재 등과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세종 말뭉치 용례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으)ㄴ 것이다’는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의존명 사 ‘것’의 후행요소로 ‘아니다’, ‘없다’, ‘중’, ‘때문에’ 등도 말뭉치에서는 빈번한 용례로 제시되는데, 한국어 교재 등에서는 찾아보기 힘들었다. 본 연구로 의존 명사 ‘것’을 중심으로 한 복합구성이 한국어 교재, 한국어 문법서와 세종 말뭉 치 용례에서 어떠한 차이점이 나타나는지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의존명사+‘하다’”에서 ‘의존명사’의 자리 찾기

        김건희(Kim, Keon-Hee) 형태론 2010 형태론 Vol.12 No.1

        본고는 기존에 하나의 단위인 보조용언으로 다뤄진 “의존명사+‘하다’”를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의존명사+‘하다’”는 보조용언과 문법적으로 차이를 보이며 보조형용사, 보조동사에 대한 기존의 구별 기준인 ‘(느)ㄴ 어미 결합’, ‘선행하는 품사’로도 변별적이지 못하다. 이처럼 보조용언과 구별되는 “의존명사+‘하다’”에 대하여 ‘조 사 개입’, ‘단독형 가능’, ‘격조사 결합’이라는 세 개의 통사적 결합 관계를 기준으로 논의한 결과 “의존명사+‘하다’”는 ‘의존명사’, ‘하다’로 각각 분리되는 별개의 단위임을 관찰하였다. 이러한 통사적 결합 관계는 ‘의존명사’와 ‘하다’에서 ‘의존명사’가 통사, 의미의 핵으로 작용하며 ‘하다’는 단순히 의존명사를 서술어로 만들어 주는 기능동사의 역할을 하는 것을 보여준다. 다만 ‘양하다’는 격조사가 결합될 수 있는 예외를 보여 이에 대해서 자세히 고찰하였는데 의존명사 ‘양’은 단독으로 쓰일 때 [의도/의향], [가식]의 의미 기능이 미분화된 상태로 있지만 ‘하다’, ‘-으로’와 같은 통사적 표지로 그 의미를 분화시키고 있는 의미 기능의 핵심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토대로 “의존명사+‘하다’”에 나타나는 ‘의존명사’는 ‘양태, 상’ 등의 다른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보조용언, 어미와 대등한 문법 범주로 규정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ressions consisting of “a dependent noun + ‘hada’” which have been regarded as auxiliary verbs. Expressions consisting of “a dependent noun + ‘hada’” are grammatically different from auxiliary verbs. The classification standard of verbal or adjectival auxiliary verbs, whether (nu)n can co-occur and what is the preceding part of speech, is not distinctive. Nevertheless, the expression “a dependent noun + ‘hada’” expresses modality: [guess]tut-hada, beop-hada [affectation]yang-hada, che-hada, cheok-hada, [value judgement]man-hada, bbeon-hada. In these expressions, ‘a dependent noun’ and ‘hada’ aremsyntactically divided but their semantic function is integrated. Especially based on the analysis of ‘yang-hada’ which is divided by hada and is accompanied by a case marker, ‘a dependent noun’ is argued to be a core of semantic function. Therefore, a dependent noun turns out to be a grammatical category like an auxiliary verb or an ending, which expresses modality, aspect and so on.

      • 한국어 의존명사 교육 연구 현황과 과제

        이성도 중국한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2007 한국(조선)어교육연구 Vol.5 No.-

        依存名詞也叫不完全名詞、形式名詞、形式體言。 依存名詞在廣義上包括單位名詞(量詞)。 本文涉及的依存名詞則不包含單位名詞(下同)。 韓國語中常用的依存名詞有半百個, 幷往往以慣用型的形式出現; 而漢語中沒有依存名詞這一槪念。 所以, 즘樣對漢語爲母語的中國學生進行行之有效的韓國語依存名詞敎育是一個硏究課題。 本文先介紹依存名詞的槪念及特性,然后談現今語法書和敎材中對依存名詞的講解方法、通過慣用型及練習題對依存名詞進行敎育的方法。 本文最后指出當前面臨的依存名詞硏究課題.

      • KCI등재

        15세기 의존명사 목록의 재검토

        서정호(Seo, Jeong Ho) 동악어문학회 2018 동악어문학 Vol.76 No.-

        본고에서는 중세국어의 의존명사에 대한 선행 연구들의 목록이 각각 다르다는 점에 주목하여, 중세국어의 의존명사 목록의 객관성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였다. 먼저 여러 선행 연구들 중에서 5개의 선행 연구를 선정하여, 해당 연구들의 의존명사 목록을 정리하고, 정리된 선행 연구들의 의존명사 목록 중에서 ‘수 단위 의존명사, 한자로 나타나는 의존명사, 15세기에 나타나지 않는 의존명사’를 제외하여, 본고에서 살필 15세기를 중심으로 한 의존명사 목록을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본고에서 살필 15세기 의존명사 목록을 고영근(1982)을 기준으로 정리하고, 각 논의에서 분류된 의존명사들을 빈도순으로 분류하였다. 빈도순으로 분류한 15세기의 의존명사들 중에서, 하나의 선행 연구에서만 의존명사로 인정한 ‘겿, 놈, 단, 달, 다시/드시/디시, 다비, 대로, 뎌에, 디4, 살, 새, 시, 억, 이어긔, 젼차 , 직’에 대하여 해당 형태들의 의존명사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본고에서는 ‘겿, 놈, 직’은 15세기의 의존명사로 보았다. 하지만 ‘다시/드시/디시’는 의존명사와 접미사가 결합한 형태로 보고, ‘단, 달, 대로, 디4, 살, 시’는 의존명사와 조사가 결합한 형태로 보고, ‘새’는 통합형 어미에 포함된 형태로 보며, ‘젼차’는 자립명사로 보고, ‘다비’는 파생부사 또는 용언의 활용형으로 보고, ‘뎌에’는 명사구와 격조사가 결합한 형태로 보며, ‘이어긔’는 부사로 보아, 해당 형태들을 15세기의 의존명사로 보지 않았다. 그리고 ‘억’은 관형사가 선행하고 조사가 후행하는 구성에 쓰이는 의존명사일 가능성이 있으나, 의존명사보다 조사와 관련된 형태로 볼 근거가 더 많다고 판단하여, 해당 형태도 15세기의 의존명사로 보지 않았다. In this paper, attention was drawn to the objectivity of the bound noun list of medieval languages, noting that the list of preceding researches about bound nouns of medieval language was different. First, five prior researches were selected among the various preceding researches, and a list of bound nouns. We exclude ‘number unit bound nouns, bound nouns appearing in Chinese characters, and bound nouns not appearing in the 15th century’ from the list of bound nouns in the preceding researches, and have made a list of bound nouns centering around the 15th century. Next, the list of bound nouns in the 15th century is summarized by Ko Young Keun(1982), and the bound nouns classified in each discussion are classified in frequency order. Among bound nouns of the 15th century classified by frequency, it was confirmed whether or not bound nouns of the corresponding forms were recognized for ‘겿, 놈, 단, 달, 다시/드시/디시, 다비, 대로, 뎌에, 디4, 살, 새, 시, 억, 이어긔, 젼차, 직’ recognized as bound nouns in only one preceding research. As a result, in this paper, ‘겿, 놈, 직’ are seen as bound nouns of the 15th century. But, ‘다시/드시/디시’ are seen as a combination of bound noun and suffix, ‘단, 달, 대로, 디4, 살, 시’ are seen as a combination of bound noun and postposition, ‘새’ is included in the compound ending, ‘젼차’ is regarded as independent noun, ‘다비’ is regarded as derived adverb or inflectional form of verb, ‘뎌에’ is,regarded as a combination of noun phrase and case, ‘이어긔’ is regaded as adverb, did not regard the forms as bound nouns of the 15th century. And ‘억’ is considered to be a bound noun that is used in conposition of precedent adnominal followed by postposition, but in the 15th century it was not regarded as a bound noun, because it was more likely to see it as a form related to case than a bound noun.

      • KCI등재

        근대국어학 시기 문법서에 나타난 의존성 단어들의 범주 상관성 연구 -의존명사를 중심으로-

        안정아 ( An¸ Jeong-a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1 No.-

        본고에서는 근대국어학 시기 문법서에 나타난 의존명사의 범주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범주 변화에 따라 인접 범주인 조사, 어미, 접사 등과의 관련성을 당대 문법가들이 어떤 방식으로 기술하였는지 비교, 분석해보았다. 근대국어학 시기 문법서에서 의존명사는 주로 대명사 범주에서 다루어졌다. 초기에는 서구 문법의 관계대명사와 같은 구실을 하는 것으로 보았으나, 주시경(1910)에서 이들 부류의 의존적 특성을 제시한 이후, 의존명사는 통사적으로 의존적인 성격을 지닌 대명사로 기술되었다. 그러나 대명사의 범주 특성으로는 의존적 쓰임을 보이는 다양한 형태들을 포괄하기에 적합하지 않아서, 의존명사의 의존성을 바탕으로 관련 범주와의 관계 인식에 따라 접미사로 보기도 하고, 불완전명사로 보기도 하는 등 새로운 범주로 접근하려는 시도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의존명사를 접사로 인식한 관점에서는 단어형성에 참여하는 접미사처럼 의존명사도 ‘이, 그, 저’ 등의 선행 성분과 결합하여 대명사를 형성하거나, 통사론적 단위를 형성하는 접미사로 보았다. 또한 의존명사의 의존성은 조사 범주와도 관련되는데, 현대국어에서 의존명사, 보조사 통용의 방식으로 설명되는 단어들이 당시에는 조사 범주에서 통합적으로 기술되는 모습을 보인다. 이는 조사의 범위에 어미까지 포함한 문법서들에서 많이 나타나는 방식인데, 이후 조사, 어미의 분석 방식에 따라 조사 범주의 변화가 나타나면서 동사나 형용사 뒤에 연결되는 의존명사적 쓰임을 보이는 조사들이 불완전명사에 포함되었다. 마지막으로 의존명사는 조동사로서 용언의 활용부에 있는 어미들과도 함께 기술되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의존명사를 ‘하다’, ‘이다’ 등과 결합하여 서술부에 양태적 의미를 덧보태는 표지로 이해한 것인데, 이후 이들 구성에서 양태 표현의 핵심 의미부인 의존명사를 분리하여 불완전명사에 포함시켰다. 따라서 근대국어학 시기 불완전 명사는 선행 성분을 명사로 기능하게 하거나 선행 성분에 관계적 의미, 양태적 의미를 덧붙이는 등 여러 문법 기능이 복합적으로 중첩된 범주를 이루게 되었다. This study examines the changes in the category of Bound nouns in the period of modern Korean linguistics and analyzes how contemporary grammarians described the relationship between Bound nouns and adjacent categories. In the period of modern Korean linguistics, Bound nouns were mainly recognized as pronouns. In the early days of modern Korean linguistics, it was viewed as playing the same role as a relative pronoun in Western grammar. However, since Ju Si-gyeong (1910) suggested dependence as a categorical characteristic, Bound nouns were recognized as pronouns with a syntactically dependent character. However, th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of pronouns are not suitable to encompass various forms showing Bound nouns. Therefore, based on the dependence of Bound nouns, attempts have been made to approach new categories, such as suffixes and incomplete nouns, depending on the recognition of their relationship with related categories. From the viewpoint of recognizing Bound nouns as suffixes, Bound nouns were also viewed as suffixes that combine with preceding components to form pronouns or to form syntactic units. In addition, the dependent characteristics of Bound nouns were also related to particles. Later, as the scope of the particles changed, dependent forms connected after verbs or adjectives were included in incomplete nouns. In addition, as an auxiliary verb, it can be seen that Bound nouns are described together with the endings in the conjugation part of the verb. For example, it is understood as a word that adds a modal meaning to the predicate by combining Bound nouns with ‘hada’ and ‘Ida’. Afterwards, in these configurations, Bound nouns, which are the core semantic parts of the modal expression, were separated and included in the incomplete nouns. Therefore, in the period of modern Korean linguistics, incomplete nouns formed a category in which several grammatical functions were complexly overlapped, such as allowing the preceding component to function as a noun or adding relational and modal meanings to the preceding component.

      • KCI등재후보

        未知의 한자어 의존명사에 대하여

        이선웅(Yi, Seon-ung) 형태론 2004 형태론 Vol.6 No.2

        국어의 고유어 의존명사에 대한 연구 업적은 매우 많으나 한자어 의존명사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혀 없었는데, 그것은 앞서 연구한 고유어 의존명사가 대개 통사적 의존성과 의미적 형식성/추상성을 함께 지니고 있기 때문에 두 가지 특성을 분리하려는 시도를 하지 않은 데에서 기인한다. 본고에서 행한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의존명사와 형식명사의 개념을 분리하여 인식함으로써 한자어 의존명사는 통사적으로는 의존적이되 의미적으로는 형식적/추상적이지 않은 부류로 파악할 것을 주장하였다. 둘째, 기존 논저와 사전에서 거의 다루지 않았던 한자어 의존명사의 목록을 제시하고 각 항목의 특성을 기술하였다. 셋째, 문제의 대상이 접미사나 어근으로 볼 수 없고 의존명사 부류로 보아야 함의 타당성을 논하였다. A great deal of research has appeared on pure Korean dependent nouns, but very works have been published on Sino-Korean dependent nouns. This is because pure Korean dependent nouns, which were studied earlier than Sino-Korean dependent nouns, usually show both syntactic dependency and semantic defectiveness/abstractness; researchers were slow to distinguish these two characteristics. In this paper I argue that 1) Sino-Korean dependent nouns are syntactically dependent but not semantically defective/abstract by distinguishing the notions of ‘dependent noun’ and ‘defective noun’. 2) I give a list of Sino-Korean dependent nouns which have not previously been described in dictionaries or research literature and then describe the character of each item. 3) I argue that the category of forms in question is neither suffix nor root, but is instead ‘dependent noun’.(Ewha Women's University).

      • KCI등재후보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의존명사 문형 교육 방안

        김선정,석지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2011 외국어교육연구 Vol.25 No.1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frequency of dependent nouns through a survey and find out effective methods for teaching dependent nouns to Korean language learners by making a list of priorities of education based on the frequency of dependent nouns. This study is also designed to consider the question types of dependent nouns appeared in TOPIK, and how to be presented dependent nouns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Based on the facts above and questionnaire results,educational principals and a teaching-learning scenario in actual classes will be provid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Korean native speakers’ frequency of dependent nouns was examined through a survey, and a list of expressions including dependent nouns mostly used by Korean native speakers was provided. It also has a meaning that a teaching-learning scenario was suggested to improve the authenticity, fluency and accuracy by being based on actual data of Korean native speakers.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사용빈도에 의존한 의존명사 교육이 필요하다고 보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여 문형의 형태로 제시된 의존명사의 실제 사용 빈도와 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의존명사를 포함한 표현에 대해 설문조사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우선순위로 교육할 의존명사의 목록과 한국인이 자주 사용하는 의존명사를 포함한 표현 목록을 정하였다. 또한 토픽(TOPIK)에서의 의존명사 출제 현황과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의존명사 제시 방법을 살펴본 후에 위의 사항을 바탕으로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의존명사교육을 위한 교육 원리와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실제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설문조사에 있어서 그 양이 충분하지않아 신뢰도 있는 결과를 얻기에 부족함이 있다는 점이다. 그러나 한국어 교육에서 부분적으로만 다루어진 의존명사를 설문조사를 통해 한국인의 의존명사 사용빈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의존명사 문형의 우선순위 목록과 한국인들이 자주 사용하는의존명사를 포함한 표현 목록을 선정한 것과 이를 기반으로 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