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정복 · 이규경의 이마두 《천주실의》 인용 양상 비교 검토

        노용필(Noh, Yong-Pil) 한국교회사연구소 2018 敎會史硏究 Vol.0 No.52

        이마두(Matteo Ricci, 1520~1610)의 《천주실의》를 인용하여 저술한 안정복(1712~1791)과 이규경(1788~1856)의 글에 나타난 그 인용의 양상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그럼으로써 이마두의 초기 저술들에 대한 조선 후기 수용의 역사 전반을 심층적으로 조망하는 작업의 일환으로 삼고자 한 것이다. 안정복은 그의 저술에서 《천주실의》의 내용을 직접 인용한 경우도 있지만 다른 저술에서 재인용한 경우도 있었다. 그 가운데 그 자신의 대표적 천주교 비판 저서로 정평이 나 있는 〈천학고〉 자체에서 《천주실의》를 유일하게 직접 거명하고 그 내용을 인용하였으나, 그 내용을 《천주실의》 원문 전체를 전산 입력 후 검색 기능을 통해 일일이 대조해본 결과 적지 않게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알아낼 수가 있었다. 한편 이규경은 〈척사교변증설〉에서 《천주실의》를 인용함에 있어서 그 양상은 3가지이다. 첫째는 중국 명나라 사조제의 《오잡조》를 인용하면서 《천주실의》를 재인용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는 이수광의 《지봉유설》을 인용하면서 《천주실의》를 재인용하고 있음이다. 셋째는 정하상의 취조 내용을 인용하면서 《천주실의》의 내용을 재인용하고 있는 게 그것이다. 결국 이렇듯이 이규경은 《천주실의》를 한 번도 직접 인용한 적은 없었다. 비록 그럼에도 《천주실의》의 전체 중에서도 ‘인혼’ 문제의 규명 및 설파에 설정된 제5편 (23)항이 안정복과 이규경의 저술에서 유일하게 공통된 인용 항목이었다. 그리고 이는 특히 그 제3편의 전편에 걸친 핵심 주제가 다름이 아닌 ‘인혼불멸론’이었다는 사실과 직결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로써 안정복의 〈천학문답〉 등에서 전면적이면서도 정면으로 행해진 천주교 비판에 있어서나, 이규경의 〈척사교변증설〉에서 ‘척사교’의 실상을 자세히 소개함에 있어서나, ‘인혼’의 불멸 문제를 《천주실의》에서 인용해서 화두의 중심으로 삼았음이 확연하다고 하겠다. This study conducted an in-depth comparative analysis on the aspects of quotation in the writings of An Jeong-bok(1712~1791) and Lee Kyu-gyeong(1788-1856) authored by quoting Matteo Ricci’s(1520~1610) T’ien-chu Shih-i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By doing so, the study sought to use the outcomes as part of work illuminating the overall history of how the late Joseon dynasty accommodated Matteo Ricci’s early books. In his writings, An Jeong-bok sometimes directly quoted the content of T’ien-chu Shih-i and in other times he requoted from other writings. Of these, Cheonhakgo - credited as his representing criticism on Catholic Church - directly mentioned T’ien-chu Shih-i uniquely and quoted its content. As a result of one-by-one comparison of the whole text using search function after putting it into the computer, the study found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original and quotations. On the other hand, three aspects were revealed when the study examined how Lee Kyu-gyeong quoted T’ien-chu Shih-i in his ‘Cheoksagyo-byeonjeungseol’. First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Fivefold Miscellany of Xie Zhaozhe during the Ming dynasty. Second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Lee Su-kwang’s Jibong Yuseol. Thirdly, he requoted T’ien-chu Shih-i while quoting detail of interrogation of Jeong Ha-sang. As such, Lee Kyu-gyeong never directly quoted T’ien-chu Shih-i. Yet, what was in common uniquely in quotations of the writings of An Jeong-bok and Lee Kyu-gyeong was Part 5 Section (23) out of whole T’ien-chu Shih-i - investigating and elucidating the issue of ‘human soul’. And this was directly related with the fact that the argument for ‘Human soul never perishes’ was the central theme throughout Part 3 in particular. So, it’s certain that the issue of immortality of human soul was the central theme of the writings of these two scholars by quoting from T’ien-chu Shih-i whether from An Jeong-bok’s all out and straightforward criticism on Catholicism in his Cheonhak Mundap or from Lee Kyu-gyeong’s detailed introduction to the actual state of ‘Cheoksagyo’ in his ‘Cheoksagyo-byeonjeungseol’.

      • KCI등재

        『천주실의』에 대한 문학적 접근

        최창익(Choe, Chang Ie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이 글의 목적은 천주실의《天主實義, De Deo Verax Disputatio,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를 문학적으로 접근하는 데 있다. 곧 마테오 리치(Matteo Ricci)가 천주실의를 통해 어떠한 문학적 수단을 사용하였는지를 고찰하고, 천주실의의 발화자가 어떤 위상을 점하는지를 밝힌다. 선행 연구에서는 주로 천주실의에 대해 사상적·종교적·문화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천주실의를 문학적으로 살펴본다. 이 작업을 위해 문학이론인 ‘스카즈론'을 사용한다. 스카즈론이란 러시아문학이론이다. 스카즈가 ‘1. 설화, 이야기 2. 구비문학 중의 이야기, 설화' 라는 뜻에서 출발하여, 일반적인 소설의 소통 상황인 "작가-서술자-독자"의 구조를, "작가-화자-청자-독자"의 구조로 특정화하여, 각자 독자적인 인격체로 활성화시킨다. 또한 작품 내 숨어있는 작가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에서 문학적으로 살펴본 천주실의의 구조는, 동양에 대한 우월감을 지닌 서양인이, 동양에 서양을 이식시키려는 첫 시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천주실의에서 오리엔탈리즘의 최초 맹아를 발견한다. 리치는 동양을 서양에 비해 사상적으로 열등한 대상으로 보고, 이 문화를 서양의 방식으로 바꾸고자 하였다. 그래서 리치를 동양을 선교적 정복과 개조의 대상으로 본 최초의 오리엔탈리스트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글을 통해 오리엔탈리즘이 문학적 양식으로 표출되는 최초의 방식을 확인한다. Purpose of this writing studies "T`ien-chu shih-i(天主實義)" disappointment literary. Investigate whether Matteo Ricci used some literary means through "T`ien-chu shih-i" disappointment, utterer of cloth cubital cells says that hold some phase. Presedent research from philosophical `religious’ cultural viewpoint about Lord of Heaven disappointment mainly in virtue study. But, in this paper, examine "T`ien-chu shih-i" disappointment literary. And it used ‘Skaz-theory' that is literature theory for this work. Structure of thousand cubital cells that examine literary in this learning can see as first attempt that Westerner who have sense of superiority for East see, and transplant West on East. Therefore, we find first bud of orientalism of cloth cubital cells. Matteo Ricci sees East on target who is skinny from though than West, and I wished to change this culture to European method. So, we can see Ricci on first Orientalrist that see East as formal attire and target of reconstruction the missionary work. Therefore, we confirmed foremost way that orientalism is expressed as literary western form through this writing.

      • KCI등재

        『천주실의(天主實義)』에서 시도한 보유론(補儒論)의 한계

        신의연 ( Eui Yun Sh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인문학연구 Vol.81 No.-

        『天主實義』是 1583年從意大利到中國來的利瑪竇神父的代表著作而且在中國最早介紹基督敎的思想傳敎書. 타從補儒的角度下給中國儒學者介紹基督敎的基本內容和敎理. 他引用『詩經』、『書經』、『中庸』等的原始儒敎經典裏面的``上帝``思想和名稱來說明基督敎的DEUS. 還有制定령外一個適當的飜譯詞``天主``來補充基督敎的信仰對象. 這語言上補儒工作的意義相當重大. ``上帝``和``天主``打開了當時中國儒學者的形而上的宗敎觀. 但是爲了介紹基督敎的敎理探討思想背景的時候, 采取了西方的哲學體系和倫理方法引進形而上的天主, 同時按托瑪斯·阿奎那的一套神學和經院派的哲學來排斥佛敎、道敎、朱子學. 他站在西方人思維體系和受敎育的神學家立場進行論述. 還有他反駁的佛學, 或``太極``, ``理``的理解也不太深. 帶有一些西方分析主義和文化優越主義的色彩.『天主實義』在思想方面沒有做補儒的工作. 到目前爲止,在東方的基督敎裏『天主實義』裏面所看到的局限性仍然保持著妨碍東方人在信仰上與天的和解.

      • KCI등재

        『천주실의』에 대한 문학적 접근 - ‘스카즈(Сказ) 론’의 연구방법과 오리엔탈리즘을 중심으로 -

        최창익 동양한문학회 2010 동양한문학연구 Vol.31 No.-

        Purpose of this writing studies "T`ien-chu shih-i(天主實義)" disappointment literary. Investigate whether Matteo Ricci used some literary means through "T`ien-chu shih-i" disappointment, utterer of cloth cubital cells says that hold some phase. Presedent research from philosophical `religious’ cultural viewpoint about Lord of Heaven disappointment mainly in virtue study. But, in this paper, examine "T`ien-chu shih-i" disappointment literary. And it used ‘Skaz-theory' that is literature theory for this work. Structure of thousand cubital cells that examine literary in this learning can see as first attempt that Westerner who have sense of superiority for East see, and transplant West on East. Therefore, we find first bud of orientalism of cloth cubital cells. Matteo Ricci sees East on target who is skinny from though than West, and I wished to change this culture to European method. So, we can see Ricci on first Orientalrist that see East as formal attire and target of reconstruction the missionary work. Therefore, we confirmed foremost way that orientalism is expressed as literary western form through this writing. 이 글의 목적은 천주실의《天主實義, De Deo Verax Disputatio,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를 문학적으로 접근하는 데 있다. 곧 마테오 리치(Matteo Ricci)가 천주실의를 통해 어떠한 문학적 수단을 사용하였는지를 고찰하고, 천주실의의 발화자가 어떤 위상을 점하는지를 밝힌다. 선행연구에서는 주로 천주실의에 대해 사상적․종교적․문화적 관점에서 연구하였다. 그러나 이 글에서는 천주실의를 문학적으로 살펴본다. 이 작업을 위해 문학이론인 ‘스카즈론'을 사용한다. 스카즈론이란 러시아문학이론이다. 스카즈가 ‘1. 설화, 이야기 2. 구비문학 중의 이야기, 설화' 라는 뜻에서 출발하여, 일반적인 소설의 소통 상황인 "작가-서술자-독자"의 구조를, "작가-화자-청자-독자"의 구조로 특정화하여, 각자 독자적인 인격체로 활성화시킨다. 또한 작품 내 숨어있는 작가의 의도를 확인할 수 있다. 이 글에서 문학적으로 살펴본 천주실의의 구조는, 동양에 대한 우월감을 지닌 서양인이, 동양에 서양을 이식시키려는 첫 시도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천주실의에서 오리엔탈리즘의 최초 맹아를 발견한다. 리치는 동양을 서양에 비해 사상적으로 열등한 대상으로 보고, 이 문화를 서양의 방식으로 바꾸고자 하였다. 그래서 리치를 동양을 선교적 정복과 개조의 대상으로 본 최초의 오리엔탈리스트로 볼 수도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글을 통해 오리엔탈리즘이 문학적 양식으로 표출되는 최초의 방식을 확인한다.

      • KCI등재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특징과 그 역사적 의의

        노용필 (재)천주교수원교구 수원교회사연구소 2017 교회사학 Vol.0 No.14

        When we compare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Ch'ŏnju Sirŭi,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and its Annotated Catalog Version one by one, we could learn following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quantity, the former has 314 annotations and the latter has just 149 and also that in terms of their traits, the former has detailed contents and terms for the original text, whereas the latter is no more than the brief summarization of the original text. Thus, in a word, we may say that compared with annotations of Annotated Catalog Version,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had strong tendency of originali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by establishing the patterns of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divided by three of ‘A':'explanation of vocabulary’, ‘B:term definition’, ‘C:phrase interpretation', the study learned that it had the tendency of B<C<A and when we calculated mathematical ratio, it turned out as A:B:C=48.1%:13.7%:38.2%≑3.51:1.00:2.79. It implies that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was naturally added with annotators' own points of view. When we integrated and summarized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itself in general, we learned that as its characteristics, the annotations of the same vocabularies and terms were often overlapped even in the same version, and consequently they had the identical, or similar or quite different contents. One of the typical examples of this tendency in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was that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treated 'Fair virtues' and 'Innate talent' repeatedly, apparently suggesting that traditional Confucianism might have been reflected along with their interest in Yangmingism when annotators of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provided detailed annotations while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And this ideological aspect makes the largest characteristic of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Historical significances of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can largely be summarized with four points. First, annotation on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could be a decisive turning point for the eventual establishment of 'Catholicism' in Joseon. Second, in-depth research on 'Catholicism' was carried out through learning methods as stipulated in the original text of T'ienchu Shih-i and naturally its translation was done by scholars actively using this learning methods, suggesting the annotation was conducted by themselves through division of work. Third, the firm establishment of ‘Catholicism’ in the country was accomplished by Korean believers not by the Western priests, and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were also completed principally by Korean believers and as a result, such fact itself may have turned out as an important element materializing 'spontaneity' in the history of Korea's Catholic Church. Fourth, Korean Manuscript of T'ien-chu Shih-i, which was able to satisfy the desire of Korean Catholics towards Catholic doctrines, could provide the groundwork for Catholicism, namely Catholic Church to expand to diverse social classes including ordinary people regardless of the gender.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의 주석은 주석목록본 《천주실의》의 주석과 비교해서 한마디로 매우 독창적인 측면이 강한 것이었다. 그리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에 자연히 언해자들 자신 나름대로의 독창적인 견해가 곁들여지게 됨으로써 매우 창작적인 측면이 내포되게 되었던 것으로 풀이된다.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특징은 주석 자체를 전체적으로 통합해서 정리해놓고 보면, 동일한 편 속에서조차도 동일한 어휘 및 용어에다가 중복되게 거듭 주석을 달았으며, 그래서 그 내용이 혹은 동일하게 혹은 유사하게 혹은 전혀 상이하게 되어 있다는 점이다. 이를 고려할 때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언해자들이 한글로 언해하면서 상세한 주석을 붙이는 데에는 종래의 전통 유학에 익숙함이 반영되었을 뿐만이 아니라 양명학에 대한 관심도 반영되었을 것임이 자명하다. 그리고 이런 사상적인 면모가 곧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의 내용상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하겠다. 이와 같은 조선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이 지니고 있는 역사적 의의는 대략 4가지로 꼽을 수 있다. 첫째는 언해필사본 《텬쥬실의》 주석으로 조선에서 ‘천주학’이 비로소 정립되는 결정적인 계기가 마련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둘째는 이 ‘천주학’에 대한 궁구가 《천주실의》 원문 내용 자체에 명시되어 있는 강학의 방법을 통해 이루어졌으므로, 자연히 《텬쥬실의》 언해도 이 강학에 극력 참여한 학인들에 의해 행해졌고, 따라서 주석도 이들에 의해 분담되어 붙여졌을 것이라는 점이다. 셋째는 이렇듯이 ‘천주학’의 정립이 서양인 사제가 아닌 조선인 신자들에 의해 이루어졌기에, 언해필사본 《텬쥬실의》의 언해 및 주석도 조선인 신자 주도로 완성됨으로써 그것 자체가 한국천주교회사 속에 ‘자발성’ 구현이 이루어지는 관건이 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그리고 넷째는 천주교 신자, 당시의 표현으로는 소위 ‘천주학쟁이’들의 천주학 교리에 대한 갈구를 해소시켜줌으로써 그 가르침에 따라 평등을 지향하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양반·중인·평민·노비를 가릴 것 없이 모든 신분계층에서 ‘천주학’ 즉 천주교가 점차 확산되는 토대가 마련되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 KCI등재

        특집 : 동서(東西)의 만남과 실학: 동아시아 지식세계와 마테오리치 ; 천(天), 상제(上帝), 이(理): 조선 유학과 『천주실의(天主實義)』

        김선희 한국실학학회 2010 한국실학연구 Vol.0 No.20

        본 논문에서는 『천주실의(天主實義)』로 대표되는 서학의 조선 전래에 따른 조선 유학의 반응과 영향을 이벽과 정약용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중국 전통에 삼투함으로써 고대 경전에서 신과 신에 대한 경배를 이끌어 내고자 했던 『천주실의』의 전략은 서양의 철학과 신학 그 자체가 아니라 유교적 변용을 통해 중국과 조선에 새로운 사상 인자를 심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 사상 인자에 내면적, 사상적으로 공명한 이벽과 정약용은 유학의 세계관이 어떤 경향으로,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가 될 것이다. 이벽은 『중용』을 통해 천과 인간의 관계를 새롭게 규명한다. 이벽(李蘗)은 『중용』의 체계를 천(天)과 인(人)의 수직적 관계로 재구성한다. 이는 『천주실의』를 비롯한 서학서가 근본적으로 제시하는 천주와 인간의 관계에 대한 이벽의 해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이벽은 『성교요지(聖敎要旨)』를 통해 신격을 이해하기 위해 자기 완성의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으며 사회와 국가 경영에까지 실천을 확장하는 신앙을 소사상제의 학문으로 규정함으로써 일종의 유가적 신앙을 보여준다. 이벽과 중용에 대해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경전을 새로운 시선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된 정약용 역시 전통적 이기론을 넘어 ``영명(靈明)``이라는 새로운 방식으로 천과 인간을 연결함으로써 이질적인 두 세계관을 창조적으로 겹쳐 읽는다. 정약용은 리로 매개되었던 우주와 인간, 원리와 현상 사이의 관계를 ``영명``을 통해 인격적 맥락으로 재구성하며 이로부터 국가와 우주 만물에 이르는 새로운 유가적 실천의 축을 세우고자 한다. 이런 맥락에서 이 두 사람이 보여준 사상적 도전과 변용은 단순히 신을 향한 경배와는 다른 위대한 근원을 내면에 체화한 성실하고 능동적인 인격을 위한 인간학으로 귀결된다고 볼 수 있다. 本論文は『天主實義』で代表される「西學」の朝鮮傳來に對する朝鮮儒學の反應や影響を李蘗と丁若鏞を中心として考察したものである。中國傳統の古代經典から神と神に對する敬拜を導くことを試みた『天主實義』の戰略は西洋哲學や神學そのものではなく、「儒敎的變容」を通じて中國と朝鮮に新しい思想因子を植える結果をもたらした。 この思想因子に內面的、思想的に共鳴した李蘗と丁若鏞は、儒學の世界觀がどのような傾向で、どこまで擴張できるかを示す重要な指標であるといえる。李蘗 は『中庸』を持って「天」と「人間」の關係を新しく究明している。李蘗は 『中庸』の體系を「天」と「人」の垂直的な關係に再構成する。これは『天主實義』をはじめとする西學書が提示してきた天主と人間關係に關する李蘗の解釋として見ることができる。また、李蘗は『聖敎要旨』を通して神格を理解するための自己完成への努力を怠らず、社會と國家經宮にまで實踐を廣げる信仰を昭事上帝の學として規定し、ある種の儒家的信仰を示している。李蘗と『中庸』について討論する過程で經傳を新しい觀点から把握できるようになった丁若鏞も傳統的な理氣論を超えた「靈明」という新しい見方で人間と天を繫げ、この二つの世界觀を創造的に重ねている。丁若鏞は「理」で媒介されていた宇宙と人間、原理と現象の關係を「靈明」という人格性に變えているが、こうすることによって國家と宇宙の万物に至る新しい儒家的實踐の軸を立てることを試みた。こうした点からこの二人が見せた思想的挑戰と變容は、單なる神に向う敬拜とは異なる偉大な根源を內面から體化した、誠實で能動的な人格のための人間學に歸結すると考えられる。

      • KCI등재

        『天主實義』 註釋目錄本의 中國에서의 出版과 朝鮮에서의 諺解筆寫本의 流行

        Noh Yong Pil(盧鏞弼) 한국사학사학회 2014 韓國史學史學報 Vol.0 No.30

        『천주실의(天主實義)』의 여러 판본(版本) 가운데 '주석목록본(註釋目錄本)'이라고 하는 것은, 본문 중에 주석(註釋)이 일부 달려있으면서 그것을 모아 정리한 목록(目錄)이 설정되어 있는 판본을 지칭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는 1868년 중국 상해에서 출판되었으며 또한 1923년의 제4판이 현재 전해진다. 이 『천주실의』 주석목록본은, 한국교회사연구소 영인 자료인 언해필사본(諺解筆寫本) 『텬쥬실의』의 구성과 얼핏 견주어 보면 매우 흡사한 점들을 쉬이 알아차릴 수 있다. 특히 목록에 있어서 그러함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주석목록본의 「목록」과 언문필사본의 「목록」이 이같이 차이가 나는 게 있음에도 대부분이 동일하므로, 주석목록본의 내용을 언문으로 번역한 게 언문필사본일 것 같다는 생각을 선뜻 가지기 십상이다. 그러나 더욱 꼼꼼하게 분석해보면, 주석목록본의 「목록」과 언문필사본의 그것이 거의가 동일하지만 일부 차이가 나는 점도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결국 언문필사본 『텬쥬실의』는 주석목록본의 그것에다가 독자들을 위해 상세한 주석을 붙이고 있음이 드러난다. 그러므로 언해필사본 『텬쥬실의』가 주석목록본을 언문으로 번역하는 데에 그친 게 아니라 이를 읽는 독자들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상세한 주석을 덧붙이고 있음을 알겠다. 이 점이 바로 언해필사본 『텬쥬실의』의 특징이라고 하겠다. Of many woodblock versions of "Tianzhu Shiyi(『天主實義』, Cheonju-Silui,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Annotated Catalog Version(註釋目錄本)' refers to the version in which annotations were partly attached to the main text along with the catalog summarizing them. And this one was published in Shanghai, China in 1868 and its fourth edition in 1923 is currently handed down. People may find easily at a glance the similarity of this Annotated Catalog Version of "Tianzhu Shiyi" to the composition of Korean Manuscript(諺解筆寫本) "Cheonju-Silui" photo-printed material(影印本) by Research Foundation for Korean Church History. It is particularly so in the "Catalog". Therefore, since Catalogs in Annotated Catalog Version and Korean Manuscript are mostly identical despite some differences, people are likely to think Korean Manuscript might be just what translated content of Annotated Catalog Version. But a close analysis of it tells us that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Catalog" of Annotated Catalog Version and that of Korean Manuscript, though they are almost identical. Eventually, it is revealed that Korean Manuscript "Cheonju-Silui" added detailed annotations to the Annotated Catalog Version for readers. As such, this study found Korean Manuscript "Cheonju-Silui" did so to offer convenience to its readers, beyond translation of Annotated Catalog Version into Korean. This point may be characteristic of Korean Manuscript "Cheonju-Silui".

      • KCI등재

        유학신학(儒學神學)의 가능성에 대한 조직신학적 성찰

        박종구(Park, Jong-Gou)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 2010 신학과 철학 Vol.- No.17

        이 글은 마태오 리치의『천주실의』를 예증으로 현대세계에서 신학하기의 가능성을 시도한 탐색의 글이다.『천주실의』는 17세기 초 저술된 작품으로 두 가지를 목표로 삼는다. 첫째, 당대의 중국 지성인들(신유가)에게 그리스도교를 소개하 는 것이며, 둘째로 유럽의 선교사들에게 중국 문화를 개략적으로 소개하는 기능을 담보했다. 그렇다면 천주실의가 의도한 공과는 어떠한가? 신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기 위해 본 논문은『천주실의』를 해석되어야 할 텍스트로 보고, 그리스도교 문명과 중국문명 사이에 위치한『천주실의』를 해석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해석학적 지평에서 탐색해 본다. 지난 세기에 해석학자들이 제공했던 해석학적 순환과 지평융합의 개념이 본 논문이 시도하는 작업에 직접적 관련이 있음이 확인된다. 문화와 문화가, 종교와 종교가 만나지 않을 수 없는 현대에 신학하기의 방법론이『천주실의』에서 발견한다. By reading the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Tien-chu Shihi) written by Matteo Ricci, It raised a question on the possibility of Doing Theology in this modern world. This Book was written in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in China for two purposes: firstly, to introduce the christianity to the chinese neo-confusionists, and secondly, to be used by the european missionaries to understand chinese culture in general. The context presents two main steps in its argumentation: the first one is to read the book as a text for interpretation and the second is to introduce what the interpretation means and why the hermeneutic circle and the Horizontverschmelzung (지평융합) were needed. The hermeneutics aids mainly modern readers on finding out the meaning of today, from the past through the text. This hermeneutical principle applies to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so that we can get a way of Doing Theology possible in the diversified world where cultures meet cultures, and religions meet religions.

      • KCI등재

        일반논문 : 정약용과 정약종 사상에서 천,천주의 인간에 대한 분노와 상벌 -『천주실의』와 관련하여-

        이종우 ( Jong Woo Yi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6

        천의 분노와 상벌은 동서양의 경전에 모두 나타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정약용과 정약용 형제가 공통적으로 말하는 천 또는 천주의 인간에 대한 분노와 상벌에 대하여 비교 연구하였다. 조선시대의 유학의 주류인 성리학은 조선후기에 이르러 비판 받는다. 그 중에서 정약용은 성리학의 근본개념인 리(理)를 비판하면서 인격적 天을 제시한다. 그는 천이 인간의 행동에 대하여 분노하고 상벌을 준다고 말한다. 천의 분노와 상벌은 선진유가경전과 성경에 함께 나타나고, 특히 상벌은 『천주실의』에도 나타난다. 이처럼 천의 인간에 대한 분노와 상벌이 동서양의 대표적인 경전에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그것은 동서양이 서로 교류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모두 공감하고 있는 것이다. 천주의 분노와 상벌은 그의 형 정약종에게서도 나타난다. 그는 인간에 대한 천주의 분노를 말하는데 그것은 『구약성서』와 내용이 같다. 하지만그가 그 책을 읽은 것이 아니라 『교요서론』을 읽고 그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구약성서』는 그의 사후 유입되었고, 『교요서론』은 『쥬교요지』를 집필하기 전에 천주교도들이 강습했던 책이었기 때문이다. 또한 천주의 상벌에 대하여 언급하는데 그것은 『교요서론』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고, 『천주실의』의 영향이었다. 천의 분노는 선진유학경전인 『시경』, 그의 상벌은 『서경』 등에 나타난다. 그것은 동양의 대표적인 사상으로서 유학과 서양의 그것으로서 천주교의 내용과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즉 동서고금의 공통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그대상이 다르지만 절대적 존재의 인간에 대한 분노는 같다. 따라서 천 또는 천주의 인간에 대한 분노와 상벌은 선진유가경전과 서학에서 모두 나타나는 공통점이다. 단지 그 대상과 그 원인이 다르다. 또한 정약용에게서 나타나는 천의 인간에 대한 분노와 상벌은 선진유가경전과 『천주실의』의 영향을 모두 받아 융합된 사상이다. 반면에 정약종은 천주에 대한 신앙과 윤리가 중심이 다른 점이다. 하지만 그도 마찬가지로 유가윤리가 그의 의식 속에 남아 있었다. 유가윤리는 그 형제의 공통적으로 있었던 것이다. The ideas of anger and reward and/or punishment over human beings are found both in East Asian and Western classics. I have studied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thoughts of Chong Yagyong and his brother Chong Yagjong. Chong Yagyong says that heaven can express anger over the misdemeanors of human beings and spirits, which are the officials of heaven, don’t give blessing to them. Besides, heaven’s disciplines and punishment over human beings and its reward over man``s good deeds are expressed in his saying. The same ideas are also found in a book written by his elder brother Chong Yagjong, which Tasan read. However, those ideas are also found in the Six Classics and the Book of Documents and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written byMateo Ricci. On the other hand, Chong Yagjong mentions “Genesis” in the Bible. Besides, he was influenced by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that says heaven punishes evildoers and gives rewards to those who perform good deeds, which are by no means intentional but unconscious action. Confucianism and Catholicism were melted in Tasan’s thought. Thus, anger and punishment of heaven can be commonly found both in the classics of East Asia and the West. Therefore, Tasan’s sayings also shared a common view. In Chong Yagjong``s saying, human beings should serve the Lord of Heaven like parents. Such an idea is also found in Confucian ethics.

      • KCI등재

        17세기 초 마테오 리치의 『천주실의』와 19세기 제임스 레그의 중국유교경전 영어번역본에서 사용된 용어 '상제(上帝)'간의 신학적 연속성

        안성호(Ahn Sung-Ho)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0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2 No.-

        기독교 선교역사에서 가장 논란이 되었던 문제 중에 하나는 성서를 선교지의 언어로 번역할 때 ‘God'을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있었다. 왜냐하면 용어 ‘God'은 기독교와 성서의 핵심이며, ‘God’을 어떻게 번역하느냐에 따라 현지인들의 기독교에 대한 이해가 판이하게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논쟁은 ‘용어 논쟁(Term Question)’이라고 불렸다. 중국에서 이 용어논쟁은 첫 번째로 16-17세기 명말청초 시대에 로마 가톨릭 선교사들 간에 발생했다. 1583년부터 중국선교를 시작한 예수회 선교사 마테오 리치는 1603년 보유론 선교방법(accommodation method)을 토대로 중국유학들의 관점에서 기독교를 효과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천주실의』(天主實義)를 저술하고, 이 책에서 ‘Deus'를 중국고대유교의 지고신(Sovereign on High) ‘상제(上帝)’라고 번역한다. 왜냐하면 리치는 고대유교경전에 묘사된 유일신적 상제의 모습과 Deus의 모습은 유비적으로 대응함을 발견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리치는 上帝의 유일신 사상은 무신론적 불교, 범신론적 무교, 그리고 송명시대 철학적인 신유교 사상과 혼합되면서, 다신론적으로 하강되었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리치와 예수회 선교사들은 중국의 조상제사를 우상숭배가 아닌 관습으로 간주하고 중국인 신자들에게 조상제사를 허용한다. 그러나 1633년부터 후발주자로 중국선교를 시작한 도미니칸 그리고 프란체스칸 선교회는 예수회 선교사들이 사용하는 용어 상제와 조상제사를 우상숭배로 간주하고 바티칸 교황청에 예수회 선교사들을 고소한다. 그리하여 두 선교회 간에 약 1세기 동안 용어논쟁(전례논쟁: Chinese Rites Controversy)이 발생한다. 그러나 교황청에서는 1704, 1710, 1715 그리고 1742년 칙령을 통해서 중국에서 용어 상제의 사용과 조상숭배를 금지시키고, 용어 상제 를 ‘천주(天主)’를 대체시킨다. 중국에서 용어논쟁은 두 번째로 19세기 중반에 개신교 선교사들 간에 발생했다. 1847년 중국어 대표자역본 번역위원회에서는 ‘상제’를 주장하는 런던선교회번역자들과 중국의 다신론적 상황에는 유일신 개념이 존재할 수 없다는 전제 하에 일반적 용어(a generic term for God)인 ‘신’(神)을 주장한 미국선교회 번역자들 간에 용어논쟁이 발생했다. 결국 양측은 타협점을 찾지 못했고, 1854년 런던선교회의 ‘대표자(上帝) 역본’을, 1863년 미국선교사들의 ‘브리지만-컬버트슨신(神) 역본’을 출판해서, 중국에서는 두 가지 역본이 공존하게 되었다. 이 용어 논쟁 당시 용어 上帝의 대변인 역할을 했던 런던선교회 선교사 제임스 레그(James Legge)는 1861년부터 사서오경 영어번역본을 만들면서, 중국고대유교경전에서 묘사하는 유일신적 상제의 모습은 God의 모습과 유비적인 관계이며, 원시유일신 개념(primitive monotheism)은 ‘상제'를 통해서 이미 중국고대부터 존재하고 있음을 확신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 유일신 개념은 불교, 도교, 송명시대신유교와 혼합되면서 다신론적 모습으로 하강했다고 레그는 주장했다. 그 결과 레그는 사서오경의 영어번역본과 다른 저술에서 ‘상제’를 ‘God’으로 번역하였고, 중국유교는 중국인들을 기독교로 인도하는 ‘몽학선생(schoolmaster)’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본 논문에서는 마테오 리치가 천주실의에서 번역한 상제와 제임스 레그가 번역한 상제 간에는 신학적 연속성이 있음을 논하였다. 그 이유는, 19세기 중반부터 중국 개신교 선교사들 간에 용어논쟁이 발생했을 때 레그는 명말청초 로마 가톨릭의 용어(전례)논쟁을 연구하였고, 이를 통해 예수회 선교사인 마테오 리치가 보유론적 선교방법에 입각하여 번역한 용어 상제가 중국유학들과 기독교 간에 가교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레그는 명백하게 리치를 지지하였고, 리치의 영향을 받아서 상제를 지지하였다. 또한 1861년부터 레그는 사서 오경의 영어번역본을 작성하면서, 중국고대유교경전에 묘사된 상제의 모습과 기독교의 ‘야훼’의 모습이 상호 유비론적인 관계임을 주장한 리치를 더욱 지지하게 되었다. 또한 리치와 레그가 주창한 용어 상제는 초기 한국 가톨릭과 개신교의 태동과 성장에도 직간접적으로 공헌하게 된다. 17세기부터 천주실의는 중국사절단과 신유교학자들에 의하여 한국으로 유입되고, 초기 한국 가톨릭 교회의 자생적인 태동에 초석의 역할을 한다. 스코틀랜드 연합장로교회 선교사 존 로스는 1877년 부터 1887년간 상제역본을 대본으로 한글신약성서를 번역하는데, 로스는 레그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서 상제와 유비적으로 대응하는 한국토속종교의 지고존재 하나님/하느님을 채택한다. 이 후 약 30여 년간 한국선교사들의 용어논쟁을 거친 후에, 1906년 공인역 구역 한글신약성서에서 하나님/하?님은 공식적인 용어로 채택된다. 또한 한자와 유교경전에 익숙한 한국인 지식인층을 위하여 한문성서와 국한문(國漢文)성서가 사용되는데, 여기서도 용어는 ‘상제’였다. 중국에서 상제가 중국인들과 기독교 간에 몽학선생 역할을 했던 것처럼, 한국에서는 하나님/하?님과 상제가 한국인들이 자신들의 지고신을 통해 야훼를 발견할 수 있는 거울 역할을 했다. 그러므로 리치가 천주실의에서 번역하고 레그가 주창한 중국고대유교의 유일신 샹띠(상제의 중국어 발음)는 한국에서는 ‘하나님/하?님’ 그리고 ‘샹데(상제의 19세기 후반 한국어 발음)’라는 토착화된 옷을 입고 초기 한국 가톨릭과 개신교의 태동과 성장에 직간접적인 공헌을 했음을 알 수 있다. It would not be an exaggeration to say that no other issue might have been more controversial in the history of Christian missions in China than translating the term for ‘God' into the vernacular language, known as the Term Question, in the Chinese polytheistic and pantheistic religious context, since the Christian mission doubtlessly depended on how the God of Christianity was acknowledged by the indigenous people. The Term Question (one of the two major issues of the Chinese Rites Controversy) first emerged among the Roman Catholic missions from the late 16th century(Ming dynasty) to the 18th century(Qing dynasty). Commencing their mission, based on the accommodation method, from the late 16th century onwards, the Jesuit Matteo Ricci(1553-1610) translated Deus into Shangti(上帝: the Sovereign on High) of the Chinese Confucianism in his books, specifically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天主實義), on the ground of the analogical monotheistic attributes of Shangti in the Confucian Classics with those of the Christian God. On the other hand, Ricci argued that as the personal monotheistic theism behind Shangti was mixed with atheistic Buddhism, pantheistic Taoism and philosophical Neo-Confucianism in the Song and Ming Dynasty, it degenerated into impersonal atheistic principle. However, as the Dominican and Franciscans started their mission enterprise in China, they accused the Jesuits of their use of Shangti and permitting the Chinese Christians to practice the ancestral rite. Lasting for one and half centuries, it was ended up by the papal decrees from Vatican in 1704, 1710, 1715, and lastly 1742, which prohibited the use of Shangti and the Chinese Christian's practice of the ancestral rites in favour of the Spaniard mission orders. However, the papal decrees caused the Chinese emperors to be furious due to the intervention of the Vatican to the Chinese imperial court. As a result, in reaction to the papal decrees, the Chinese emperors persecuted all Christian believers in China. In 1773, by another papal decree, the Jesuits were finally withdrawn from China. The Term Question secondly emerged among the Protestant missions in the mid-19th century. In the New Testament Translation Committee of the Delegates' Version(DV) in 1847, they began to debate how they should translate theos into Chinese. Whereas the London Missionary Society(LMS) translators argued Shangti, the American translators claimed Shen, a generic term for god or spirit. Despite missionaries' endeavors to produce the unified term for God, the Term Question consequently provoked the division among the Western missionaries into the Shangti party(British) and Shen party(Americans). As a result, the two editions were published; the Shangti edition published by the British and Foreign Bible Society(BFBS) and the Shen edition published by the American Bible Society(ABS). Following Ricci's theological position toward the use of Shangti, James Legge(LMS), the spokesmen of the Shangti party, advocated the use of Shangti due to the analogical monotheistic attributes of Shangti in the Confucian Classics with those of the Christian God. Composing the English-translation of all the Chinese Classics from 1861 onwards, Legge became more convinced of the analogical monotheistic attributes of Shangti with those of the Christian God, thereby becomding the most ardent advocator of the use of Shangtil. Legge also asserted that primitive monotheism behind Shangti became corrupt by the influence of Buddhism, Taoism and Neo-Confucianism, as Ricci did. This paper has shown that such similar theological position between Ricci and Legge, in regard to advocating the use of Shangti, can be attributed to the theological influence of Ricci upon Legge; Legge's intensive research on Ricci's treaties led him to conclude that Shangti can be the most suitable Chinese term for God because Legge recognized that the term Shangti, used by Ricci in the True Meaning of the L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