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전 <삼국지>의 현대적 수용과 변용의 양상 ⎯ 소설에서 만화와 소셜 게임 콘텐츠까지 ⎯

        조성면 대중서사학회 2012 대중서사연구 Vol.- No.27

        <삼국지>는 아직 완성되지 않는 장르이다. 그리고 소설․만화․영화․게임 등 <삼국지>의 현대적 수용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삼국지>의 현대적 수용과 변용은 ‘읽는 삼국지’․‘보는 삼국지’․‘참여하여 만들어나가는 삼국지’ 등 크게 세 갈래의 방향에서 진행되고 있다. ‘읽는삼국지’는 소설 텍스트에서 발생한 판본사적 변화들로서 촉한정통론(蜀漢正統論)과 인물해석을 둘러싼 갈등 그리고 시대와 세대와 정치적 입장에 따라 달리 읽히고 쓰이는 특징을 보여준다. ‘보는 삼국지’는 주로만화 텍스트에서 일어나는 변화로 요코야마 미스테루(橫山光輝)와 고우영의 경우를 대표적 사례로 꼽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활자 텍스트가 이미지 텍스트로 변화될 때 동원되는 방식이 바로 각색이다. 각색은 크게원작 그대로의 각색(the literal adaptation)․비판적 각색(the critical adaptation)․자유각색(the free adaptation) 등으로 대별된다. ‘고우영 삼국지’는 원작의 기조와 틀을 유지하되 재해석과 전복을 시도하는 비판적각색이 이루어진 복합형 텍스트라 할 수 있다. ‘고우영 삼국지’는 캐릭터의 재창조․시점의 변화․풍자․성적 요소의 가미 등을 통해서 날카로운 비판의식과 풍자정신을 보여줌으로써 큰 인기를 끌었다. ‘참여하여만들어 나가는 삼국지’는 게임 콘텐츠에서 두드러지는바, 서사의 확대․변조․시점 전환․경전환․제의 전도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독자는 이제 ‘읽는 자’이기를 멈추고 스스로 새로운 작품을만들어나가는 ‘작가’이며 ‘창조자’가 된다. 이때 유저들에 의해 생성되는텍스트를 스크립톤(scripton)이라 한다. ‘코에이 삼국지’는 대표적 전략시뮬레이션 게임으로 게이머의 참여에 따라 원작과는 다른 새로운 스토리와 서사가 생겨난다. 반면, 기존의 전략 시뮬레이션에 다중접속역할놀이게임(Massive-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의 특성이 가미된 '손바닥 삼국지’ 같은 스마트폰용 소셜 게임들에서는 ‘코에이 삼국지’와는 달리 서사의 집단적 공유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장르와 미디어를 가로지르며 서사를 상황에 맞게 재맥락화하고 동시대와 소통하는 현재화는 <삼국지> 현재적 수용의 주요 양상들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여기에는 출판사와 게임회사 등의 상업적 이해와 작가들의 자존심 그리고독자들의 요구가 결합되어 있기는 하다. 그럼에도 이는 고전 텍스트들의 현대적 소통과 계승이라는 문제를 고려할 때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문화적 현상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三國志』와 삼국시대의 정통론에 대해서

        박영철(朴永哲)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1 역사문화연구 Vol.38 No.-

        진수의 삼국지는 일반적으로 〈사고전서총목제요〉의 해설처럼 시세에 따라 부득이하게 위정통론을 따른 사서로 알려져 있다. 〈사고전서총목제요〉는 陳壽의 『三國志』에 반대하여 東晋 習鑿齒의 『漢晉春秋』가 나온 이래 촉정통론을 옹호하는 사서들이 특히 남송 이후 많이 쏟아져 나왔다고 하지만, 본고는 陳壽의 『三國志』에도 외견상 보이는 魏正統論과는 달리 사실은 蜀正統論의 사서로 불릴 수 있는 내용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 또한 동시에 그러한 진수의 숨겨진 微意로서의 정통론이 객관적 실상은 얼마나 취약한 것이었던가를 〈고천문〉과 〈상존호주〉등의 자료 등을 중심으로 살펴본 것이다. 촉이 조국이었던 진수는 魏書에 본기를 설정함으로써 위정통론을 따르는 것처럼 보였지만 『三國志』는 어쨌든 ‘三國志’라는 서명 자체만으로도 정통성의 향방에 대해 논쟁의 여지를 남겨주는 독특한 사서이다. 이미 남송의 韓元吉은 三國의 서명 자체가 삼국 중 어디에도 정통이 없다는 의미라는 것임을 밝혔고, 청대의 錢大昕은 진수가 三國志로 미증유의 체례를 창립하였다고 상찬하였다. 본고에서는 우선 진수의 微意를 설명하기 위한 일례로, 劉二牧傳을 先主傳 앞에 배치해서 논란을 빚은 蜀書의 변경된 體例를 들었는데, 이것은 선주의 등장을 위한 배려로서 역시 진수가 촉정통론을 주장하기 위한 장치로서 일종의 위장전술 임을 설명하였다. 한편 본고의 핵심적인 논의로서, 이미 청대 朱彛尊이 진수의 촉정통론의 근거로 주목한 蜀의 〈告天文〉을 裵松之注에 의해 살아난 魏와 吳의 〈고천문〉을 상호 비교하여 촉정통론의 실상을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는, 진수의 의도와는 달리 아이러니하게도 촉의 〈고천문〉은 촉의 정통성을 오히려 손상시키는 면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삼국〈고천문〉의 공통점은 天文 圖讖 符瑞 등의 神意와 庶民의 同意 두 가지로 요약되는데 촉의 〈고천문〉은 가장 신뢰성이 부족한 것임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그 민의에는 서민의 동의를 물은 것처럼 되어 있으나 근거가 없고 신하의 의견을 무시하거나 살해하기도 하고 만적의 군장의 동의를 물은 흔적도 없다. 이에 비해 魏의 경우는 훨씬 신뢰성이 가는 것이다. 유비의 황제즉위는 헌제시해설을 배경으로 거행된 것이었는데 유비는 헌제시해설을 정략적으로 이용한 것으로 보인다. 그만큼 유비의 황제 즉위는 서민의 동의가 결여되어 있었던 것이고 오히려 이것이 역설적으로 〈고천문〉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헌제시해를 정략적으로 이용하게 된 배경에는 또 하나 유비의 촉정권이 태생적으로 갖는 외래정권으로서의 취약성을 들 수 있다. 지역적인 근거를 갖지 못한 유비정권은 토착세력인 익주집단과 갈등을 벌이게 되고 이러한 상황은 유비의 황제즉위를 권유하는 〈上尊號奏〉가 두 개라는 기묘한 상황으로 표출된다. 즉 하나는 유비의 형주집단이 작성한 것이고 또 하나는 익주집단이 작성한 것이다. 익주집단이 작성한 〈상존호주〉에 관여한 인물들 중 黃權, 譙k周, 周群 등이 후에 촉을 배반하거나 멸망시키는 데 관여하게 되는 인물이라는 것은 이러한 사정을 입증하는 증거이며 이는 또한 외래 정권으로서 촉의 정통성이 얼마나 취약한 것이었는가를 반증한다. 유비 사후 제갈량과 손권 사이에 체결된 二主分治의 盟約은 전근대 중국사에서 전무후무한 대등한 국가 간의 평화협정으로 주목되는데 이는 정통론을 완전히 부정하는 것으로서 이것이 촉의 충신인 제갈량에 의해 주도된 것은 역시 촉의 불안한 정권구조에 연유한다. 『三國志』의 體例와 〈告天文〉의 蜀書 편재 등은 陳壽의 『三國志』를 〈사고 전서총목제요〉처럼 위정통론의 사서로만 볼 수는 없으며 朱彛尊, 錢大昕 등이 시사한 바와 같이 촉정통론이라는 陳壽의 미의가 담긴 고심의 사서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며, 〈사고전서총목제요〉의 ‘삼국지 위정통론’은 진수를 위해 변호하는 듯 하지만 진수의 미의를 교묘하게 왜곡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렇지만 〈고천문〉의 구체적인 검토의 결과, 현실적으로 촉의 정통성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드러나며 그것은 태생적으로 외래정권인 촉정권의 본질에서 기인하는 바 큰 것으로 보인다. 陈寿撰写的『三國志』在〈四庫全書總目提要〉里被认为是魏正统论的史书。本文主要通过〈告天文〉及〈上尊号奏〉等资料,來论证与〈四庫全書總目提要〉里的解说相反的观点,即『三國志』中蜀正统论的因素相当浓厚。同时本文也注意了与『三國志』中潜藏的陈寿的微意相反的蜀正统论其实没有那么乐观。 魏蜀吴三国〈告天文〉的共同点可以以天文,圖讖,符瑞等神意的显示和人民的同意两项来归纳,而三国中蜀的〈告天文〉最不足于信赖。蜀的〈告天文〉虽然主张听从人民及蠻狄君長的同意,可是我们找不到证据。与魏吴的〈告天文〉相比,蜀的〈告天文〉不足于信赖。因为刘备的皇位是利用献帝弑杀说来即位的,他的皇帝即位缺乏人民的同意,这样的情况却反映于蜀的〈告天文〉上。 利用献帝弑杀说来即位的刘备的蜀政权不能幸免于出生的脆弱性。蜀政权的脆弱性是起因于他本来是外来政权。作为外来政权的蜀政权与土著势力的益州集团一直展开纠葛。这样纠葛的情况反映了大臣们劝导刘备即位的〈上尊号奏〉也有两种的奇妙的史实。一种是外来政权的荆州集团完成的,另一种是土著势力的益州集团完成的。我们可以看到参与完成益州集团的〈上尊号奏〉的人物中黃權,譙周,周群等后来也参与了蜀政权的灭亡或者背叛,这样的事实暗示着两种〈上尊号奏〉的存在却象徵着蜀政权及正统论的脆弱性。而且刘备死后,蜀吴之间缔结的二主分治之盟約是完全否定正统论的,这条盟约是蜀的忠臣诸葛亮主导的,也是由于外来政权蜀的脆弱性。 〈告天文〉在明末清初就已经被朱彛尊作为蜀正统论的线索而被关注。清朝中期的錢大昕也评价陈寿的『三國志』创立了前所未有的体例。幷且在「蜀書」之中〈劉二牧傳〉和〈先主傳〉的顚倒體例中我们也可以看到陈寿的那种爲了保持蜀正统论的伪装战术。 总而言之,根据〈四庫全書總目提要〉的解说我们不能把『三國志』只看成是魏正统论的史书,还可以评价『三國志』也隐藏着蜀正统论的史书。但是值得注意的是不顾陈寿的微意,由于蜀政权的出生的脆弱性,蜀正统论的历史的现实不乐观。

      • KCI등재

        『삼국지』 연대·지명의 오류 - 손책·손권전의 시간 오류, 적벽과 오장원 논란 등을 중심으로

        최진열 동북아역사재단 2019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6

        Journal of the Three Kingdoms (Sanguozhi ), written by Chen Shou who was a scholar -official from the late Shu State in the West Jin period, is a basic historic book to study the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This paper identifies that there were many errors in the year, month, day and places in Suntaonichuan, the biography of Sun Ce who was the conqueror of Jiangdong and the virtual founder of Wu State and Wuzhuchuan, the biography of Sun Quan who was the ostensible founder and the first emperor of Wu in the Journal of the Three Kingdoms . This paper compares Journal of the Three Kingdoms with History of the Later Han (Hou Han Shu ) and History of the Jin (Jin Shu ), which coincide with each other in some periods and contents to discover errors in the historical books with ease. Specific date, month and year of historical events are not recorded in Suntaonichuan of Journal of the Three Kingdoms to conceal and misrepresent the points in time of Sun Ce’s independence from Yuan Shu and the conquest of Jiangdong, which was essential to make up his betrayal to Yuan Shu and his disloyal robbery of commanderies and prefectures (junxian) of the Later Han Dynasty. There were at least ten errors or no record of points in time in Wuzhuchuan of Journal of the Three Kingdoms to conceal Sun Quan’s defeat against Cao Cao’s army in Hefei. Chen Shou, the author of Journal of the Three Kingdoms, did not correct the errors of the day, month and year, nor write the points in time correctly. He also mixed up the battle place where Zhou Yu, the commander of Sun Quan’s army and Cao Cao’s army fought, and wrote Wulin or Chibi, different locations, in many biographies in Journal of the Three Kingdoms . History of the Later Han recorded the battle place as Wulin and Chibi, the south and north riversides of the Changjiang River, which seems correct. The author did not know the exact location of Zhuge Liang’s death, thus he described the army post of Shu commanded by Zhuge Liang as Wugong Xian, the south riverside of the Weishui River, Wuzhangyuan, Lankeng and others, which is confusing, and the death place of Zhuge Liang, the chancellor and commander-in-chief of Shu as the riverside of the Weishui River and Guoshiwu, although both areas had no record of being the army post of Shu and the death place of Zhuge Liang. This happened because he lacked knowledge of the correct place or probably because he attempted to derogate Zhuge Liang’s subjugation of Wei. This paper argues that Journal of the Three Kingdoms have errors and that the historical records in the book should be reevaluated through a comparison with History of the Later Han, History of the Jin , Annals of the Later Han (Hou Han Ji ) and Comprehensive Mirror to Aid in Government (Zizhi tongjian ). 진수의 『삼국지』는 삼국시대를 연구하는 기본적인 사서이다. 필자는 『삼국지』 의 자료를 정리하다가 『삼국지·오서』 「손토역전」과 「오주전」에 연도나 월일이기록되지 않은 사료가 많고 심지어 연도가 잘못 기재된 기사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삼국지』는 『후한서』 및 『진서(晉書)』와 시기 혹은 내용상 일부 중복되므로, 후한 말 혹은 서진시대 인물이 활동했던 삼국시대의 사건은 각각 『후한서』, 『후한기』, 『진서』와 비교를 통해 내용의 이동(異同) 등을 검증할 수 있다. 필자는 『삼국지』에서 역사자료의 기본 사항인 시간과 장소 표기 오류를 여러 사료를통해 검증하였다. 『삼국지·오서』 「손토역전」에서 손책 시기의 활동을 서술할 때 연도와 구체적인 날짜를 적지 않은 이유는, 손책이 원술로부터 독립한 시기와 강동 전체를정복한 연도를 속이기 위한 의도 때문이었다. 『삼국지·오서』 「오주전」의 기록을 검토하면, 손권이 황제를 자칭하기 이전의 기록들에는 월일을 기록하지 않고연도만을 표기한 기사가 대부분이었다. 해당 사건이 발생한 월을 기록했다고 하더라도 『삼국지·위서』나 『삼국지·촉서』 혹은 『자치통감』과 비교하면 틀린 부분이 10여 건에 달한다. 손권이 조조군과 합비에서 싸운 기사의 경우 구체적인날짜를 기록하지 않았는데, 이는 손권의 패배를 감추기 위한 시도로 이해된다. 진수는 오의 상대국 기록과 대조하여 구체적인 날짜를 기록하거나 사건의 시간적 도치를 바로잡아야 했음에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 삼국 정립의 분수령이 되었다는 이른바 ‘적벽대전’은 『삼국지·오서』에 오림과 적벽으로 기록되었다. 반면 『후한서』 「효헌제기」에서는 전투 장소를 오림· 적벽이라고 기록하였다. 『수경주』 등 후세의 역사지리 관련 기록들을 검토하면장강의 북쪽 하안을 오림, 남쪽 하안을 적벽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전투 장소를‘오림·적벽’으로 기록한 『후한서』 「효헌제기」의 기록이 적합한 듯하며, 조조의군영이 일방적인 공격을 받았음을 감안하면 전투 장소를 적벽이 아닌 오림으로표기하는 편이 당시 상황에 부합할 것이다. 제갈량의 마지막 북벌 때 주둔한 장소는 『삼국지』의 「위서」·「촉서」·「오서」의 기록이 모두 다른데, 주둔지를 기록하지 않거나 무공현, 위수 남쪽, 난갱등 다양한 장소로 표기하였다. 또 제갈량이 죽은 장소도 전혀 기록하지 않거나, 단순히 군영이라고 표기하거나, 위수 강가(위빈), 곽씨오 등으로 기록하였다. 같은 사서에 장소가 달리 표기된 것은 진수의 고증 능력 부족과 제갈량의 북벌을폄하하기 위한 정치적 의도 때문일 것이다. 본 연구는 정사 『삼국지』의 사료를 검증하는 최초의 작업으로 『삼국지』의 연도, 날짜, 지명 등에 오류가 있음을 지적했다는 점에서 연구사적 의의를 지닌다.

      • KCI등재후보

        Rewriting Three Kingdoms: The Practice by Modern Korean Writers of Translating/Revising a Chinese Classic

        권혁찬 중국문화연구학회 2012 중국문화연구 Vol.0 No.20

        현대 한국 사회를 사는 사람이면 누구나-삼국지(<삼국지통속연의>, 이후로 삼국지로 통칭) 의 독자이건 아니건 상관없이-삼국지의 영향을 받고 있다. 예를 들어 정치가들은자주자신과정적을삼국지의주인공들과비교하며, 흔히들친구간의 우정을 강조할 때 유비 의 형제간의 도원결의에 비유하고, 삼국지에서 파생된 숙어나 비유는일상생활에 널리퍼져있으며, 삼국지를 소재로하 는 만화, 영화, 드라마, 소설, 게임 등도 끊임없이 등장하고 있다. 상기한 삼국지의 지대한 영향에 비추어 볼 때 삼국지가 현대한국문화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삼국지와 현대 한국문화간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고찰해 본다. 1. 현대한국사회를사는거의모든성인이(정도간의차이는있지만) 삼국지에 대한 지식이 있다. 하지만 이런 지식은 원말명초 나관중이지은 가정 본삼국지연의나 청대모종강의개작본에근거한경우는거의없으며, 대부분현대한국작가들의 각색 본 삼국지의 영향을 받았다. 한편 20세기 중반 이후 수십 여편 이상 출현한 삼국지의 근현대 한국어 번역은 사실상 반 이상이 근대 일본 사무라이 소설작가 요시카와 에이지가 각색한 삼국지의 영향을 받은 것이 사실이다. 즉, 현대 한국독자(혹은문화수용자)들이알고있는삼국지는원작보다는일본개작본의 영향이 훨씬 크다. 2. 당대 한국 사회에서 유행하는 한국어본 삼국지는 박종화, 이문열, 황석영, 장정일 등 유명남성 작가들이자신의정치적, 문학적취향에 맞춰 개작한 작품들이다. 같은 원작을 "번역"한 삼국지라 하더라도 작가의 정치적 입장에 따라 보수주의적, 민중주의적, 혹은 민족주의적, 국수주의적인 다양한 해석이 시도 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중국 문학전공자들에의한 원작에 충실한 번역은 대중적인 인지도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판 애니메이션 <삼국지>의 종류와 변용

        윤진현 대중서사학회 2006 대중서사연구 Vol.- No.16

        활판인쇄로 발간된 한국어판 삼국지는 현재 확인된 것만 무려 400여종에 달한다. 여기에는 나관중의 원작을 청대의 모종강이 개작한 원본 삼국지연의와 일본의 근대 역사소설 작가인 요시카와 에이지가 새로이 쓴 삼국지, 한국인의 독자적 재창작, 평역본 등 다양한 형식의 판본이 섞여 있다. 그 외에도 다수의 만화판본과 영화, 애니메이션, 라디오 드라마, 연극 등 현재 유통되는 세부 문화장르를 망라해 볼 수 있을 만큼 삼국지 장르는 다양하다.본고는 그중에서도 한국어판으로 유통되는 애니메이션 삼국지의 여러 종류와 변용 양상을 살핀 것이다. 한국어판 애니메이션 삼국지는 오쿠다 세이지 감독 작품으로 KBS에서 방영된 작품과 시나노 키카쿠 감독 작품으로 MBC에서 방영된 작품, 그외에 비드콤사에서 출시한 신삼국지 등 일본계 작품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김청기 감독 고우영 각색의 극장용 애니메이션 삼국지가 주목할 만하다. 이중 오쿠다 감독의 KBS 방영판은 (주)대종영상에서 영어 학습용으로 제작하여 널리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그 수준은 저급하다.대표적인 한국계 작품인 김청기의 삼국지는 1편 각색자인 고우영의 영향으로 세부 사건이나 인물의 내력과 형상화에서는 대체로 요시카와 에이지 계열의 경향을 지니고 있으나 고우영 및 정비석 등의 한국 작가들의 상상력이 발랄하게 개입하고 있다. 아울러 섬세하고 여성적이며 비현실적인 인물 형태가 주류를 이루는 일본 애니메이션 삼국지와 비교할 때, 프레임 및 인물의 구성과 디자인 등이 다소 거친 점은 한계라 할 것이다. 다만 이 점이 오히려 일본 애니메이션과 다른 점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애니메이션 하청국가라는 1980년대의 사회적 상황에서도 이 애니메이션 삼국지를 통해 나름대로 한국적 형상화의 초석을 쌓았다는 중요한 역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애니메이션 삼국지, 김청기, 오쿠다 세이지, 시나노 키카쿠, 고우영, 모종강 계열, 요시카와 에이지 계열, 교육용 영어 삼국지

      • KCI등재

        小說『三國志』의 回目變化에 대한 고찰

        옥주,민관동 한국중국학회 2020 中國學報 Vol.92 No.-

        The novel 『The Romance of Three Kingdoms』 evolved into the era of 240 Chik(則, interpretation rules) Yanyi series(演義系列) and Zhizhuan series(志傳系列) by Luo Guanzhong from the era of Pinghwa version(平話本) of 70 Chik at the beginning. Then again, it proceeded through the era of Li Zhuowu Criticism version(李卓吾批评本) of 120 editions(回) to be integrated into the era of 『The Romance of Three Kingdoms』 of Mao Zonggang(毛宗岗). As such, during the process of book formation that span over 100 years, the chapter titles(回目) of the novel 『The Romance of Three Kingdoms』 also evolved by showing a variety of transformation. Since the publication of collected writings of 240 Chik, by Luo Guanzhong, the contents and chapter titles of the novel 『The Romance of Three Kingdoms』 had been drastically renewed based on the severe publication rights competition between Yeoneui series of Jiangnan(江南) and Jijeon series of Fujian(福建), especially during the Ming dynasty.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Li Zhuowu Criticism version』 of 120 editions(回) published by Wuguanming(吳觀明) at the end of Ming Dynasty established another signpost in the development of the chapter titles. In addition, Mao Zonggang significantly modernized the composition including the chapter titles, styles, and inserted poems while maintaining the story of the 120 veditions(回) as they were, notably increasing the dignity and class of the novel 『The Romance of Three Kingdom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ocusing on chapter titles of the Jiajing version(嘉靖本), the core collected writings, Qiaoshantang version(喬山堂本) of Liu Longtian(劉龍田), Li Zhuowu version, and Mao Zonggang version, the researcher could confirm a variety of transitions. Moreover, there are largely two factors of change of the chapter titles, the first one is the change due to the expansion of contents, and the second factor is the differentiation based on commercial viability. 소설『삼국지』는 平話本 시대를 거쳐 나관중의 《三國志通俗演義》가 나오면서 240則本 시대를 열었다. 이 시기의 판본은 크게 演義系列과 志傳系列의 분류된다. 그 후 다시 120回의 李卓吾批评本 시대를 거쳐 毛宗岗의 통행본시대로 통합되었다. 이렇게 수백 년에 걸친 成書過程에서 소설『三國志』는 내용은 물론 回目또한 다양한 변화양상을 보이며 진화하였다. 나관중의 240則本이 출간된 이래 江南의 演義系列과 福建의 志傳系列은 매우 치열한 판권경쟁이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소설『三國志』의 回目과 내용 등은 크게 변화하였다. 그 후 명말 吳觀明 간행본 『李卓吾先生批評三國志』의 출현은 回目의 발전에 또다른 이정표를 세우며 본격적인 120回本 시대를 열었다. 최후에 모종강은 120回의 기본 틀과 스토리는 그대로 유지한 채 回目과 文體 및 揷入詩 등의 구성 체계를 대폭 수정하여 품격 있고 세련된 소설『三國志』를 재탄생시켰다. 필자는 嘉靖本 · 喬山堂本(劉龍田) · 李卓吾本 · 毛宗崗本을 핵심 판본으로 삼아 주로 回目變化에 대한 양상을 총체적 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 다양한 회목변화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대략 2가지로 귀결된다. 첫째는 내용의 확대에 따른 변화이고, 둘째는 상업성에 근거한 차별화로 치열한 출판경쟁이 그 원인이라 할 수 있다.

      • KCI등재

        呂布의 배신 요인 연구― 義父殺害 고사를 중심으로

        이민경(MinKyoung Yi) 대한중국학회 2016 중국학 Vol.54 No.-

        본고는 삼국지와 삼국지평화, 그리고 삼국연의에 이르기까지, 여포의 ‘義父殺害’ 고사가 어떤 양상으로 變容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각각의 작품들은 여포와 정원•동탁과의 관계및 그들이 여포의 손에 살해되는 과정 등을 相異하게 묘사하였기 때문에, 그 안에 내포되어있는 여포의 배신 요인 역시 차이가 있다.역사서 삼국지의 기록을 살펴보면, 여포는 “용맹하나 지모가 없는(勇而無計)” 인물로, 올바른 정세 판단을 하거나 제대로 된 主君을 알아보지 못했다. 즉, 어리석음이 그를 배신자의길로 이끌었다고 할 수 있겠다.元代 삼국지평화는 여포의 배신에 허구를 더하여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냈다. 이 작품에서 정원과 동탁은 여포가 살해를 저지를 정도로 그를 극단으로 몰아붙였고, 때문에 여포의 살인은 배신이라고 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그러나 삼국지평화에서 여포는 反面人物이기 때문에, 그의 살해 동기를 크게 부각시키지 않는다.삼국연의의 여포는 과도한 자부심을 가진 인정욕구가 강한 인물로, 그의 판단과 행위의준거가 되는 것은 나르시시즘(narcissism)의 만족 여부이다. 여포는 정원과 동탁으로 인해 나르시시즘이 억압되자, 그들을 죽이는 배신을 저질렀다. 그는 나르시시즘에 빠져 자기중심적으로 해석하고 판단했기 때문에 배신을 거듭하면서도 죄의식을 느끼지 않았다.결국, 삼국연의의 유행과 영향으로 인해, 여포는 변명의 여지가 없는 ‘반성을 모르는 배신자’로 영원히 남게 되었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old story of Lv Bu's murder of his stepfathers had beentransformed from The Records of Three Kingdoms to Popular stories of the Three Kingdomsand to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These three books describe the relationshipbetween Lv Bu and Ding Yuan and Lv Bu and Dong Zhuo as well as how Ding Yuan andDong Zhuo were murdered by Lv Bu differently and they suggest different reasons that whyLv Bu betrayed them.The historical book of The Records of Three Kingdoms reads that Lv Bu is "brave butlacks wisdom and tricks" and fails to judge situations correctly and recognize a right lord. Inother words, his lack of wisdom seems to make him become a betrayer.Popular stories of the Three Kingdoms published in the era of the Yuan Dynasty added afictitious story to Lv Bu's betrayal to make up a new story. The book says that Ding Yuanand Dong Zhuo pushed Lv Bu to the extreme so hard that Lv Bu couldn't help but killthem. In this sense, it will be absurd to consider Lv Bu's murder as a betrayal. However,Popular stories of the Three Kingdoms depicts Lv Bu negatively and it doesn't particularlyhighlight his motivation for the murder.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describes Lv Bu as a person who is too proud ofhimself and strongly desires to be recognized by others. The book reads that Lv Bu's criteriafor whether to act or not is whether the action will satisfy his narcissism. According to thebook, Lv Bu betrayed Lv Bu and Lv Bu by killing them when they suppressed his narcissism.He didn't feel guilty at all when he continued to betray his stepfathers because he is aself-righteous narcissist who makes decisions only for the sake of himself.After all, popularity and influence of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makes Lv Buremembered forever as 'a servant who has three different family names' and 'a betrayerwho never feels remorse' without excuse.

      • KCI등재

        조선 숙종 <대한조충절무안왕찬양명(大漢朝忠節武安王贊揚銘)> 주석과 번역— 나관중의 ≪삼국지통속연의≫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홍윤기 중국어문연구회 2023 中國語文論叢 Vol.- No.112

        <An inscription praising the loyal King WuAn> written by King Sukjong of the Joseon Dynasty, is built in Dongmyo(東廟) of GuanYu(關羽), Seoul. This paper annotated <An inscription praising the loyal King WuAn> and translated it into modern Korean. King Sukjong was the most passionate fan of GuanYu among the kings of Joseon. King Sukjong’s <An inscription praising the loyal King WuAn> has data value in that it is an inscription that provided the foundation for the basic consciousness of GuanYu to the later Joseon kings of King Sukjong. In addition, this paper has several research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Taking the form of annotation and translation, this paper compared all the verses of King Sukjong’s <An inscription praising the loyal King WuAn> to the contents of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Popular Stories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平話), LuoGuanzhong(羅貫中)’s Popular Romance of Three Kingdoms(三國志通俗演義) that was published in JiaJing(嘉靖) year and MaoZongGang(毛宗崗)’s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演義). Second, this paper revealed that the source of King Sukjong’s consciousness of GuanYu was not History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 or Popular Stories of the Three Kingdoms(三國志平話) or MaoZongGang(毛宗崗)’s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演義), but LuoGuanzhong(羅貫中)’s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三國演義).

      • KCI등재

        한ㆍ중ㆍ일 <삼국지> 게임에서의 캐릭터 디자인 비교를 통한 차이점 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조조(曹操)를 중심으로-

        정곤봉,조동민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3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41 No.3

        본 연구는 한국, 중국과 일본의 삼국지의 소설적 차원에서만 초점이 맞춰져 있는 경우가 많으며, 한국, 중국, 일본에서 개발된 삼국지 게임을 유저의 관점에서분석해야 한다. 본 연구는 게임 중 삼국지 게임의 조조 캐릭터 디자인을 비교하여 조조 디자인에 대한 국가별 차이 및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전 연구의 기초에서 요소 추출과 설문 설계를 진행하였고, 얻은 데이터에 대해 일원배치 분산 분석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한국, 중국과 일본이 삼국지 게임에서의 조조 캐릭터디자인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구체적으로, 시각적요소의 영향에서, 한국은 “화려함”과 “서양 예술화”에강도가 더 높다. 중국은 “위풍”과 “전통 장식”에서 더강도가 높다. 감정요소의 영향에서 중국은 “야심만만”, “지도력”과 “역사감”에 강도가 더 높다. 캐릭터 디자인의 이성 분석 대조를 통해 디자인 이면의 창의적 원천과 디자인 아이디어를 분석한다. 본 연구는 한국, 중국, 일본의 삼국지 게임 디자인 중의 특징을 귀납하였다. 즉 한국 게임의 특징은 발산식, 중국 게임의 특징은 복제식, 일본 게임의 특징은 연장식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하여, 이후의 게임 캐릭터디자인에 기초적인 참고 자료를 제공하여, 게임 문화의 미래 발전을 불러일으키기를 희망한다.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