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레리와 로빈슨 크루소의 섬: 부재의 타자가 함께하는 풍경

        김시원 ( Kim Siwon )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8 프랑스어문교육 Vol.63 No.-

        「로빈슨」이라는 표제로 폴 발레리에 의해 재창작된 로빈슨 크루소의 이야기는 대니얼 디포의 원작과 거의 닮지 않은 특성을 표현하고 있어 흥미롭다. 단순한 제목에 덧붙여진 부제가 잘 나타내고 있듯이 발레리가 창조한 “한가하고, 사색에 잠긴, 부유한 로빈슨”은 본래의 로빈슨과는 물리적 여건도, 정신적 성향도 같지 않다. 디포의 로빈슨과는 다르게 생존을 위해 투쟁할 필요가 없었던 발레리의 로빈슨은 물질적 풍요와 함께 거기에서 비롯되는 시간의 여유를 확보하고 완벽한 자신의 지적 삶을 만끽하고 있다. 그러므로 발레리가 디포의 로빈슨에서 차용한 것은 ‘섬’이 지니는 물리적 여건보다는 인물을 둘러 싼 ‘고독’의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로빈슨」은 언뜻 행복한 고독자의 이야기이며 발레리가 꿈꾸었던 고독한 이상향에 대한 밑그림처럼 보일 것이다. 그러나 이 작품 속의 로빈슨이 은밀히 품고 있는 타자에 대한 감수성은 행복한 고독자로서의 그의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하게 한다. 그는 외관상 절대 고독을 즐기는 듯 보이지만 사실 자신의 고독을 위로해 줄 대상을 찾고 있으며 타자의 존재를 상상하고 갈망한다. 보이지 않지만 존재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타자덕분에 로빈슨은 자신 만의 고립된 공간으로부터 나오며 섬 안에서 함께 살아가고 있을 타자에 대한 상상을 통해 세계와의 교감을 시도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간략하게나마 모든 로빈슨류의 작품들에 공통적으로 관련된 주제인 ‘주체와 타자’의 문제를 논의하고 있다. 「로빈슨」의 무대인 ‘섬’은 주체와 타자, 그 타자를 포함하는 세계 사이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새로운 공간으로서 다시 해석될 필요가 있다. 대니얼 디포 이후 모든 로빈슨 크루소들에게 있어서 자신과 세계 사이에 놓인 인물의 딜레마는 보편적인 것이다. 자연과 문명 사이, 열대 섬과 자신의 조국 영국 사이에서 공간적 이원성과 정체성의 딜레마에 놓인 로빈슨 크루소를 발레리는 주체와 타자, 그리고 세계 사이의 모호한 관계에 의해서 재구성하고 있다. 인물의 이름과 섬이라는 배경 이외에 디포의 소설과 명시적인 유사관계가 없는 듯 보이는 발레리의 「로빈슨」은 고립된 자아와 열린 세계를 동시에 향해 있는 인물의 공간적, 정신적 딜레마를 통해 디포의 작품의 숨은 의미를 은밀하게 반복하고 있는 것이다. Le Robinson réécrit par Paul Valéry est intéressant par ses caractéristiques peu ressemblantes à l'oeuvre originale de Daniel Defoe. Robinson valéryen, représenté comme “oisif, pensif, pourvu”, n'a pas les mêmes tendances physiques et psychologiques que le Robinson d'origine. Robinson, qui n'a pas besoin de lutter contre la nature menaçante pour survivre, possède l'abondance matérielle et la liberté du temps pour jouir d'une vie intellectuelle parfaite. Ce que Valéry a emprunté à Robinson de Defoe, il s'agit moins de sa situation insulaire que sa solitude spirituelle. Le Robinson valéryen paraît d'abord une ébauche du monde idéal que rêvait Valéry. Pourtant, Robinson qui semble jouir sa solitude absolue, il a en fait la soif des autres. Il cherche ce qui réconforte sa solitude et rêve de la présence des autres dans son île. Par l'imagination de ceux qui sont invisibles mais présents dans son île, Robinson valéryen ne se déconnecterait plus du Monde. Cette étude aborde brièvement la question du « Sujet et Autres » que partagent tous les romans de Robinson. Cette étude tente d'étudier l'île de Robinson comme un nouvel espace où s'efface la frontière entre le Sujet, l'Autre et le Monde. Dans l'île de Robinson, espace le plus isolé, il existe une relation imprévue avec un Autre et une tentative de communication avec le Monde. Tous les Robinsons depuis Daniel Defoe partagent le même dilemme, soit spatial soit mental, entre son île et sa patrie, entre Soi-même et le Monde. Robinson valéryen reprend ainsi le sens caché du roman de Defoe à travers le dilemme robinsonner résulté de ses tendances opposées.

      • KCI등재

        몬느와 로빈슨 텍스트 상호성의 일례-

        이재욱 ( Jae Wook Lee ) 한국불어불문학회 2013 불어불문학연구 Vol.0 No.96

        알랭 푸르니에의 여동생 이자벨이 열거한 그들의 유년기 애독서들 가운데 다니엘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는 텍스트 상호성 차원에서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푸르니에의 유일한 소설 『르 그랑 몬느』의 1부 3장의 제목, ‘나는 광주리 만드는 곳을 자주 찾았다’는 『로빈슨 크루소』 한 구절의 인용이다. 이는 소설 창작 과정에서 상기된 유년기 독서 기억의 명백한 증거다. 이 장의 제목이 인용부호 안에 들어간 것을 볼 때 저자 역시 이 점을 부인하고 있지 않다. 이 같은 관찰에서 출발한 본고의 텍스트 상호성 연구는 장면 또는 표현의 변환을 고찰하는 비교방법을 지양하고 두 소설이 어떤 동일한 테마에서 만나고 있는지 밝히는데 중점을 두고 있다. 사실 『로빈슨 크루소』의 청소년을 위한 여러 번역 판본 중 푸르니에가 접한 번역본에 관한 기록이 없는 상황에서 변환 차원에서 비교는 무리가 있다. 또한 성인이 되어 그가 『로빈슨 크루소』의 완역본을 읽었는지 알 수 없다는 점도 이 같은 비교 방법론의 한 한계다. 비교 대상인 두 소설의 각각의 주인공인 몬느와 로빈슨의 모험을 동기, 과정, 도달점 분석을 통해 우리는 이 두 여정 사이의 여러 공통점을 발견하게 된다. 한 예로 로빈슨을 망망대해로 이끈 것은 평범하고 안정된 삶을 강권하며 그를 통해 자신을 닮을 것을 요구하는 소부르조아 아버지에 대한 반발이자 ‘단숨에 출세하여’ 그를 능가하겠다는 아들의 경쟁심이다. 한편, 아버지가 없는 몬느에게는 위탁된 집의 가장이자 그의 선생인 쇠렐씨가 부친의 대리격이다. 교권에 반항하여 솔로뉴의 숲에서 길을 잃으며 시작되는 그의 모험의 동기는 따라서 로빈슨의 경우와 유사성이 있다. 프랑스 내륙지방이 무대인 『르 그랑 몬느』 속에 바다의 이미지가 은유적으로 자주 등장한다는 사실 또한 두 소설의 텍스트 상호성을 말할 수 있는 근거이다. 몬느의 모험이 항해에 비유되는 것은 한때 해군장교를 열망했던 알랭 푸르니에의 꿈이 소설에 녹아있기 때문일 것이다. 좌절되고 만 이 꿈이 평범한 시골 교사였던 그의 아버지의 삶에 대한 반작용이었다면 그의 소설의 주인공은 이 점에서도 로빈슨의 정신적 형제다. 문학작품의 비교연구는 한 작품이 다른 작품에 끼친 영향, 차용 또는 표절 여부, 같은 주제를 다른 시각으로 바라본 두 작가의 미학의 차이 등, 여러 것을 밝히는 역할을 한다. 『르 그랑 몬느』와 『로빈슨 크루소』의 텍스트 상호성 연구는 이러한 방법론이 또 다른 가치를 가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두 작품의 비교연구를 통하여 한 작가의 무의식의 세계를 엿볼 수 있다는 것이다. 『로빈슨 크루소』를 프로이트가 말하는 ‘가족소설’의 한 전형적 현신으로 보는 마르트 로베르의 주장을 받아들인다면 디포의 이 모험소설에 대한 알랭 푸르니에의 특별한 애착과 의식적, 무의식적 차용은 그의 치유되지 않은 외디프스 콤플렉스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초월적 섭리의 신과 스피노자의 ‘신 즉 자연’: 『로빈슨 크루소』의 이중 리듬

        이혜수 한국비교문학회 2023 比較文學 Vol.- No.89

        Like most early English novels, Robinson Crusoe is a hybrid narrative with heterogenous elements like spiritual autobiography, colonial fiction, or adventure story. In this essay I read Robinson Crusoe as a novel of double rhythm where both Christian God of Providence and Spinoza’s “God, or Nature” (Deus Sive Natura) play out their singular roles. Double rhythm in Robinson Crusoe is notable particularly in the context of recent environmental crisis such as the COVID 19 or Climate Change. Nature, or Spinoza’s God, exists in the novel silently yet tenaciously working as an inexhaustible and tolerant underlying potential that embraces a domineering modern man who thinks that he “conquers” nature. In other words, Spinoza’s thought of “the univocity of being” along with his immanent concept of God underlies and permeates into Nature in Robinson Crusoe while providential and anthropomorphic God looms in Robinson’s spiritual journey and his colonial self as well. Moreover, the double rhythm of the text is also found in the meaning of Robinson’s labor in the desert island. On the one hand, Robinson’s work is seen as an epitome of the ethics of labor in Protestantism associated with the spirit of capitalism. On the other hand, it could be interpreted as an instance of the Spinozist ontology of power (potentia). Following his conatus, Robinson survives through his labor and production with the consequent increase in his power of “action” and “understanding”; he not only improves in his surroundings but acquires Spinozist common notions that sometimes lead him into a glimpse of univocity of being. 대부분의 초기 영국소설처럼 다니엘 디포(Daniel Defoe)의 『로빈슨 크루소』 (Robinson Crusoe 1719)는 모험 이야기, 영적 자서전, 식민주의 서사 등 이질적 형식들이 섞여 있는 혼종성을 지닌다. 이 글은 『로빈슨 크루소』의 이러한 혼종적 특징을 염두에 둔 채, 기존 비평에서 별반 언급되지 않았던 작품의 주요 지점, 즉 기독교(프로테스탄티즘)적 섭리의 신과 더불어 스피노자의 ‘신 즉 자연’이 작품의 독특한 이중 리듬을 만들면서 의미를 형성해나가는 지점들을 살펴본다. 『로빈슨크루소』에 신이 존재한다면 그건 로빈슨을 섭리로 이끄는 기독교의 초월적 신뿐만이 아니다. 자신의 본성의 필연성에 따라 무한히 많은 방식으로 무한히 많은 만물을 생산하고 또 생산의 역량을 본질로 하는 스피노자적 신, 즉 자연 역시작품의 배경에 그치지 않고 서사 전체를 떠받치는 힘으로 작용한다. 『로빈슨 크루소』에서 펼쳐지는 무인도의 대자연, 로빈슨 같은 인간 하나가 아무리 총을 쏘아대고 자신을 섬의 왕이라 여기며 잘난 척 해봤자 이에 개의치 않고 유구히 자신의 리듬에 따라 생산하고 흘러가는 자연의 존재는 서사의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 소설의 의미를 좌우하는 중요요소인 것이다. 작품에 나타난 두 신들의 대결은 모순되어 보이는 두 로빈슨—초월적 신의 이름으로 자연과 원주민을 정복·지배하는 로빈슨, 그리고 자신의 코나투스에 따라 자연의 리듬에 맞추어 노동하면서 활동역량과 이해역량을 늘려가는 로빈슨—의 묘한 공존이라는 작품의 또 다른 이중 리듬과도 연결된다. 본문에서는 먼저 스피노자의 ‘신 즉 자연’ 개념이 함축하는 ‘존재의 일의성’의 사유를 질 들뢰즈의 해석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두번째 절에서는, 마치 스피노자의 ‘신 즉 자연’을 닮은 듯 누가 보지 않아도 부지런히 만들고 배우는 로빈슨의 노동을 스피노자적 역량의 존재론의 관점에서 읽는다. 그 과정에서 일어나는 성공과 실패, 무지와 배움을 통해 독자는 무인도의 로빈슨에게 긴요했던 것이 그를 이끄는 섭리의 신뿐 아니라 그의 존재와 부재(죽음)를 의미있는 사건으로 만들어주는 스피노자적 신(실체)의 변용으로서 타자(양태)임을 알게 된다.

      • KCI등재

        시각매체와 소설읽기를 통한 교양교육: 『로빈슨 크루소』 읽고 보기

        손나경(Sohn, Nag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5

        소설 『로빈슨 크루소』는 영국은 물론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진 모험문학이며, 서구 근대 사회의 발전 위에서 소설이라는 새로운 양식을 선보인 텍스트이다. 균형교양 <비주얼 미디어를 통해 본 영미문학> 과목은 소설 『로빈슨 크루소』와 시각 매체화된 <로빈슨 크루소>를 교육 자료로 병행하는 시도를 하였다. 시각매체를 사용 함으로써 본 교양과목은 영문학을 전공하지 않은 학생들이 쉽게 원전에 접근하게 하였고, 원전이 시대적으로 어떻게 의미를 확장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또한 평소 영미문학과 서양근대사에 대해 배울 기회가 없었던 일반 교양과목 수강생들이 근대 철학적 입장에서 소설 양식의 출현을 배우는 과정을 통하여 서구 문화의 역사과정을 접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소설과 영화를 통해 로빈슨 크루소와 프라이데이의 관계 설정의 차이를 살펴보며 18세기 서구의 제국주의적 시각과 20세기의 문화상대주의적 입장의 차이를 비교하기도 하였다. 이런 활동은 학생들에게 “나”에 대한 인식에서 “세계사회의 구성원인 나”에 대한 인식까지 경험하게 하였고, 글로벌 시민의식에서 필요한 타인에 대한 존중을 생각하는 기회를 만들어 주었다. Robinson Crusoe is historically important as it is generally considered to be one of the first novels in the British literature, as well as being an adventure literature that is known throughout the world. The course “Learning the English and American Literature through Visual Media” focused on both the novel and its visualized version. The use of visual media helped us see how the novel has been interpreted in different ways at different times in history. In addition, looking into Robinson Crusoe from different viewpoints helped the students who did not major in Humanities to gain a better understanding of modern Western history and the birth of the novel. By compa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Robinson Crusoe and Friday in the novel and in the movie, students were able to understand the 18 th century Western imperialist view of other peoples and how it differed from modern cultural relativism. This meant that they could experience the perception of I as member of the world society and the importance of respecting their fellow global citizens.

      • KCI등재

        『로빈슨 크루소』와 부르주아 남성성

        배혜정(Bae, Hye jeong) 부산경남사학회 2017 역사와 경계 Vol.104 No.-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는 18세기 영국의 사회와 경제, 종교의 층위를 넘나드는 다면적인 지형도를 풍성히 그려낸 고전으로 읽혀 왔다. 하지만 젠더적 투시경으로 작품을 들여다보면, 신을 통해 거듭나는 크루소의 변모를 강조하건 근대적 ‘경제적 인간’ 혹은 제국주의자의 전형으로 해석하건 기존의 대립적인 견해들은 당대 ‘부르주아 남성성’이라는 수원으로 수렴된다. 이에 본고는 이 작품에서 젠더와 계급, 인종적 구별 짓기라는 방법론으로 18세기 영국의 부르주아 남성성이 구성되는 과정과 역사성을 읽어냈다. 『로빈슨 크루소』에서 디포는 강인한 남성으로 거듭나는 크루소를 통해 도약을 꿈꾸는 부르주아 남성성을 그려낸다. 고립무원의 섬에서 두려움에 떨던 크루소는 온갖 고난을 겪으며 식인종도 물리치는 강인한 사내로 탈바꿈한다. 그런데 크루소가 절대권을 휘두르는 존재가 되는 데는 자신의 노력과 희생이 다가 아니었다. 크루소는 여성성을 상징하는 섬과 섬의 부산물을 통해, 주변의 동물 가족을 통해, 또 식민지인 노예를 통해 강인한 남성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한마디로 남성도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 디포의 시대 부르주아 남성성은 젠트리 남성성의 가치를 전유하면서도 견제하는 한편, 여성성과 하층 계급 남성성, 다른 인종 남성성과의 차별화 전략 속에서 정체성을 만들어 가고 있었다. 여기서 부르주아 백인 남성성에 대해 타자로 정의된 여러 젠더범주들은 서로 교차되고 혼합되기도 한다. 이런 과정을 통해 형성된 부르주아 남성성은 이후 젠트리 남성성을 포섭하며 지배적인 남성성으로 도약할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 construction of the bourgeois masculinity in 18th century England by looking at Daniel Defoe’s works from three viewpoints of gender, class, and race. I has focused particularly on Robinson Crusoe(1719) describing adventures of a hero from middle class and The Complete English Tradesman(1726/27) explaining the quality and skill of a big merchant. Robinson Crusoe, who had been frozen with fear on a remote island, was reborn a strong man through a variety of hardships. His success is due to his own hard work and effort, but that"s not all. He gains complete masculinity thanks to island as a female metaphor, animal family, and colonists. In short, Man also is made, not born. In 18th century England, the bourgeois masculinity is constructed out of otherization of femininity and marginal masculinities.

      • KCI등재

        생존 페르스와 로빈슨 크루소의 귀환: 신화의 몰락 혹은 새로운 신화

        김시원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2019 프랑스어문교육 Vol.64 No.-

        Si Robinson Crusoé de Daniel Defoe est devenu l'un des mythes représentatifs modernes, c'est grâce à la croyance des Européens sur l'instruction de la sauvagerie par la civilisation. Pourtant, il faut prêter attention sur les tendances plus récentes du robinsonnade depuis le 20ème siècle, dont la plus évidente est l'effondrement du mythe héroïque de Robinson. Nous voulons remarquer notamment Images à Crusoé de Saint-John Perse, qui veut repartir d'où Defoe s'est arrêté, écrire une histoire après le retour de Robinson. Ce poète, avec une description minutieuse du rapatrié malheureux, effondre le mythe de Robinson. Il met en scène ‘Crusoé’, qui avait construit des civilisations sur l'île primitive, qui est devenu un ‘dépouillé’ à la ville, ayant perdu la pureté de la nature. Il s'agit du renversement de la conviction de la prépondérance de la civilisation sur la nature. Pour conclure, nous mettons en relief que le recueil Images à Crusoé ne s'arrête pas à la critique la plus malheureuse de la civilisation, que ce poète recrée le mythe d'un grand aventurier qui cherche son vrai pays. 대니얼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를 근대 서양의 대표적인 신화들 중 하나로 만든 것은 야만을 문명으로 바꿀 수 있다는 유럽인들의 자부심이었을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20세기 이후 새롭게 부각된 로빈소나드의 경향에 주목할 필요가 있는데, 이 중 가장 분명한 것은 200 여 년 동안 서구사회에서 지속되어 왔던 영웅 신화의 붕괴일 것이다. 본고는 특히 로빈슨의 귀환 이후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는 생존 페르스의 『크루소가 있는 그림들』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 시인은 디포가 멈춘 곳에서부터 이 이야기를 다시 쓰면서 원작에 대한 새로운 해석과 재창조를 시도하고 있다. 그는 고향으로 돌아와 몰락한 로빈슨의 말년에 대한 극명한 묘사를 통해 경이와 동경에 결부되어왔던 근대 서양의 영웅 신화를 무너뜨리고 있다. 생존 페르스는 원시 섬에 문명을 옮겨놓은 영웅이었던 로빈슨 크루소가 도시로 귀환하면서 섬의 자연을 잃어 ‘박탈당한 자’가 되었음을 이야기하고, 문명이 자연을 지배할 수 있다는 기존의 확고한 믿음을 전도시키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결론에서 『크루소가 있는 그림들』이 ‘가장 불행한 문명비판론’으로 멈추지 않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 시집의 마지막 시는 인물의 변화와 성장 가능성을 암시하면서 로빈슨 크루소의 유랑의 기질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자신의 진정한 세계를 찾아 떠도는 위대한 모험가의 신화를 재창조하고 있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로빈소나드로 보는 호모 에코노미쿠스 표상

        오은하(Oh, Eun-Ha) 인천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28 No.-

        다니엘 디포의 『로빈슨 크루소』가 낳은 수많은 패러디 작품들, 일명 ‘로빈소나드’들 가운데 미셸 투르니에의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을 호모 에코노미쿠스 주체성 문제와 관련해 『로빈슨 크루소』와 비교하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자본주의적 질서가 성립되던 시기의 『로빈슨 크루소』는 생존을 위해 부지런히 노동하고 축적하는 합리적 개인을 그린다. 노동의 윤리화, 이성과 기술에 대한 전적인 믿음, 공동체를 매개로 하지 않은 절대 개인이라는 그의 특성은 근대 부르주아 계급이 발전하는 모습을 반영한다.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은 이런 성격이 더 강화되어 자기강요와 강박에 의한 노동과 축적에 골몰하다가도 회의와 무기력에 빠지는 현대의 로빈슨을 그린다. 그는 방드르디라는 모델을 통해 새로운 삶의 모습을 보고 공리주의에 따라 움직이는 사회를 거부하며 무인도에 남기를 선택한다. 무인도에 표류한 일이 아버지로부터의 탈주와 해방을 의미했던 『로빈슨 크루소』와 달리, 무인도에서도 자신에게 부과하는 규율과 심리적 강박은 그대로였던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의 진짜 시작은 사회를 거부하고 무인도에 남는 순간이다. 『로빈슨 크루소』는 ‘새로운 왕국’을 그리지만, 로뱅송의 ‘또 다른 섬’은 작품이 끝난 후 올 것이다. 『방드르디, 태평양의 끝』의 끝이 다루고자 했던 것은 새로운 주체성이 가능한가 하는 문제이며, 이를 위한 단절의 어려움과 절박함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subjectivity of Homo Economicus through Robinson Crusoe (Daniel Defoe) and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Michel Tournier). Robinson Crusoe, which depicts the birth of Homo Economicus in an era in which the capitalist order was first established, draws a rational individual who works diligently and accumulates to survive. The ethicalization of labor, the full belief in reason and technology, and the personality of an absolute individual not mediated by community: these are the characteristics of Robinson Crusoe, who reflects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bourgeois class.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portrays a modern Robinson, who has become obsessed with labor and lethargy, and who is struggling with self-enforcement and compulsive skepticism and helplessness. He chooses to remain on the uninhabited island by rejecting a society that follows the system of utilitarianism, by following a new model of life established by Vendredi. Unlike Robinson Crusoe, for which the uninhabited island meant an escape and liberation from the father, the real start of Vendredi is the decision to remain on the island. The whole of Robinson Crusoe draws a ‘new kingdom’, but for Robinson of Vendredi, his ‘other island’ will come after the end of the novel. Vendredi ou les limbes du Pacifique, who is dealing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a new subjectivity is possible, represents the difficulty of a disconnection with the past, and the urgency of this request.

      • KCI등재

        루이스 부뉴엘의 <로빈슨 크루소> 영화 각색과 ‘누가’의 문제

        노시훈(Noh Shihu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8

        본고의 목적은 루이스 부뉴엘의 각색 영화 <로빈슨 크루소의 모험>에 나타난 그의 고유한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각색에 있어 ‘누가’의 문제를 조명하는 데 있는데, 특히 그것을 이 감독에게 매우 중요한 주제였던 종교, 부르주아, 성적 욕망과 꿈의 측면에서 다루었다. 디포의 원작 소설<로빈슨 크루소>는 주인공이 하느님의 섭리를 깨달아가는 영적인 여행을 보여주지만, 부뉴엘은 소설의 종교적 관점이 과도하다고 보고 자신의 영화에서 그것을 최대한 지우고 그것에 저항하려 한다. 소설은 크루소를 ‘경제적 개인주의의 화신’이자 ‘경제적 인간’으로 묘사함으로써부르주아적 가치를 강조하지만, 영화는 그러한 묘사를 대부분 생략함으로써 그 가치를 부정한다. 소설에서는 크루소가 종교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 외에 아무런 관심이 없어 여성에 대해서도 무관심하지만, 영화에서는 초현실주의의 방식으로 그를 성적 욕망을 느끼고 꿈을 꾸는 인물로 만듦으로써 소설을 재해석한다. 이러한 점들로 볼 때 우리는 <로빈슨 크루소의 모험>에 감독의 대표적 특징이 그대로 나타나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이 영화가 원작에 충실하게 각색되었다는 평가에 반론을 제기할 수 있다. 이 영화가 갖는 중요한 의미 중의 하나는 ‘누가’ 영화를 각색하는가의 문제를 잘 보여준다는 것인데, 본고의 성과는 분석을 통해 이를 밝혀낸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lluminate the problem of “who” in the adaptation by analyzing his unique method shown in Luis Buñuel’s adaptation of The Adventures of Robinson Crusoe. In particular, it dealt with the aspects of religion, the bourgeoisie, sexual desires and dreams, which were very important topics for this director. Defoe’s original novel Robinson Crusoe shows the protagonist on a spiritual journey to understand the providence of God, but Buñuel sees the novel s religious viewpoint as excessive and tries to eliminate it as much as possible from his film and resist it. The novel emphasizes the bourgeois value by portraying Crusoe as “an embodiment of economic individualism” and a “homo economicus,” but the film denies that value by omitting most of such depictions. In the novel, Crusoe is indifferent to women because he has no interest in anything other than religious and economic values, but in the film, the novel is reinterpreted in a surrealist way by making him a character who feels sexual desire and dreams. In view of these points, we can say that The Adventures of Robinson Crusoe shows the director s representative characteristics, and based on this, we can raise an objection to the evaluation that this film was faithfully adapted to the original. One of the important meanings of this movie is that it shows well the problem of “who” is adapting the movie, and the achievement of this paper lies in revealing this through analysis.

      • KCI등재

        20세기 초 최남선의 ‘세계적 지식’의 전달 방식 : ≪로빈슨 크루소≫ 번역을 중심으로

        김수자 이화여자대학교 한국문화연구원 2016 한국문화연구 Vol.30 No.-

        1908년 최남선은 한국의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잡지 『소년』을 발간하였다. 최남선은 이 잡지를 통해 서구의 문학작품들을 번역, 소개하고 젊은이들에게 근대 서구, 근대 시간 등에 대한 지식을 제공하였다. 특히 최남선의 ≪로빈슨 크루소≫의 번역에는 미래의 주역이 될 젊은이들이 홀로 무인도의 삶을 이겨내고, 개척해낸 ‘모험가’를 본받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있다. 최남선은 로빈슨 크루소를 ‘소년 모험가’, ‘강건한 정신의 소유자’로 묘사함으로써 한국의 청년들에게 새로운 ‘소년상’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는 ≪로빈슨 크루소≫의 번역 말미에 원본에도 없는 대한의 소년에게 당부하는 말을 첨가하여 최남선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하고 있다. 그 말의 핵심은 대한의 소년들이 바다로 나가 바다를 사적 이익이 아닌 국익과 인문을 위해 활용하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는 한국 청년들이 바다로, 세계로 나가는 것에 유용한 ‘세계적 지식’을 번역을 통해 전달하고자 하였다. 최남선이 전하는 세계적 지식은 세계의 각 국가, 지역, 유명한 인물 등에 대한 소개 뿐 아니라 문화, 기술, 근대 시간의 개념 등 종합적인 것이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최남선은 대한의 소년이 ‘근대’와 ‘세계’를 지향하도록 만들고자 하였다. 그러나 그의 이와 같은 지향은 제국의 식민지로 전락해 가고 있는 한국의 현실을 정면으로 직시하지 않는 인식의 한계가 있다. 한국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가능성의 공간으로 상정한 ‘바다’가 대표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최남선에게 바다는 단순한 자연적, 지리적 개념을 넘어 정치적, 문화적, 진보의 개념이었다. 그러나 그는 한국의 젊은이들이 어떻게 ‘바다’로 나가야 되는지, ‘바다’에 나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무엇을 얻어야 하는 지 등에 대한 구체적 내용은 없다. 단지 이상만을 말하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 이러한 태도는 식민지로 전락해 가고 있는 상황에서 ‘근대’와 ‘바다’를 지향하는 것은 오히려 현실을 부정하는 것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는 것이었다. In 1908, Choi Namseon had published journal 『So-nyeon』for Korean young people. Through the magazine, he had translated to introduce western literary works and also had provided knowledge about modern western countries and modern times to young people. Especially, at the Korean version of <Robinson Crusoe> by Choi, there was intended messages, Korean future leader has to follow the ‘Adventurer’ who had overcome and developed his own life by himself in a desert island. He described Robinson as an ‘Young Adventurer’ or a ‘Strong Sprit Person’ for presenting a ‘New Young Man Image’ to young Korean. At ending part of the translation, He added his own statement, undescribed in an original, messages to Korean young people. His main message is that the young Korean has to go to the Ocean and utilize it not for individual benefit but for national and human interests. He also intended to deliver ‘World Knowledge’ by translation which is useful to Korean young people trying to go Ocean or World. It is the World Knowledge introduced by Choi that gave information about individual nation, region, or the renowned of world, and that was comprehensively approached about culture, technology, and concept of modern times. Through that, Choi also intended to make young Korean go toward ‘the modern’ and ‘the world.’ But at his intention, there was cognitive limits lacking of face up to the Korean situation falling to colony of Japanese empire. It was postulated that the Ocean as a capable space overcoming the Korean situation. To Choi Namnseon, the Ocean is not limited to simple concept of nature or geography, but ahead to the political, cultural, or progressive concept. But, there was missed specific substances how to go toward the Ocean, and what to do or to take in it by young Korean. It was suggested just a dream. At Korean situation of falling down to colony, it could be possible that the attitude toward ‘the modern and Ocean’ connected to the attitude of denying reality.

      • KCI등재

        『로빈슨 크루소』의 상상력은 진리를 말하는가?

        정익순 ( Iksoon Chung ) 한국비교문학회 2021 比較文學 Vol.- No.85

        인간은 세상을 설명하는 상상력을 감각적으로 인식한다. 상상력에는 세상을 인식할 수 있는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다. 상상력은 시대마다 다른 규범에 의해 이질적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고정된 상상력에는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이 없다. 상상력은 인접학문과의 연결, 닮음, 차이 그리고 논쟁을 통해 표현된다. 고대의 시와 18세기의 소설에서 상상력은 이상적인 사회, 제도 그리고 교육을 완성하기 위한 공격의 대상이었다. 상상력은 플라톤(Plato)이 국가에 대한 완벽한 체계를 찾으면서 발생되었다. 하지만 시인이 공공의 적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상상력은 구체적으로 이론화되지 못했다. 이것은 너무나 충격적인 사건이었지만 그것의 원인을 찾으려는 도전은 거의 없었다. 문학 이론가들은 플라톤이 시보다 더 중요한 무엇인가를 발견했기 때문에 그가 시인을 국가에서 추방했다고 믿었다. 다니엘 디포(Daniel Defoe)의 『로빈슨 크루소』(Robinson Crusoe)에 등장하는 크루소는 지식인으로 풍부한 상상력을 생산했다. 허구의 관점에서 보면 크루소는 노동하는 지식인이다. 그는 유토피아의 세상에서 경제적 성공을 성취한 인간이었다. 상상력은 그런 곳에서 최고의 정점에 이른다. 플라톤은 『국가』(Republic)에서 시인을 상상력이 없는 엘리트로 간주했다. 칸트(Immanuel Kant)는 대상의 현전 없이 직관으로 표상하는 것을 상상력으로 정의했다. 우리가 말하는 상상력은 칸트에 의해 새롭게 받아들여졌다. 그리고 푸코(Michel Foucault)는 군주에게 진실을 조언할 수 있는 관계를 통해 상상력을 설명했다. 이 논문은 플라톤, 칸트 그리고 푸코의 상상력이 최소의 단위에 포함되어있다는 사실에서 출발한다. 이언와트(Ian Pierre Watt)의 『소설의 발생』, 피에르 마쉬레(Pierre Macherey)의 『문학 생산이론을 위하여』, 그리고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의미의 논리』에는 크루소의 성공신화, 다른 주제의 재현에 대한 침묵과 부재의 문제, 그리고 타자들에 대한 탐구의 요소들이 텍스트의 곳곳에 편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소설 속에서 주인공이 말하는 진실과 상상력에 대한 문제는 더욱 깊이 연구되어 져야만 한다. In the novels, a character desires to have new sense of describing the world in the power of imagination that creates elements to recognize specific conditions of the event. This kind of imagination has produced heterogeneous results, because we were used to bifurcate something meaningful from different concepts. The situations understood by imagination conflate literary works extensively in itself. We know that our imagination in the meticulous places are expressed by the lens of connections, similarities, differences, and arguments. In fact, imagination alone was abandoned from ancient republic when Plato thought imagination was not perfection for imitating ideal society and teaching the young. However, what imagination concocted by philosophers was not specifically theorized because poets did not tell the truth at that moment. This was such a shocking event in this paper if there was nobody who tried to challenge the deadlock of cause and effect of imagination. Literary theorists believed that Plato expelled the poet from the fact that he discovered something more important than poetry. But Crusoe, who appeared in the novel, Robinson Crusoe of the 18th century, produced a wealth of imagination comparing new literary materials to the ideal world. From a fictional point of view, Robinson was just a working intellectual. There, imagination, which has not been clearly delineated since ancient times, was specifically demarcated in his words and made us experience the truth. He completed his economic success in the utopian world where the imagination reached its peak to create the indivisible remainders. This conjectural idea stimulates our curiosity to go back the truth that Plato thought poets were imaginative elitists in the Republic. After understanding Plato in a problematic imagination, we can move on to the philosophical fact that Kant defined imagination as representing intuition without being in the reality of the object. He allowed us to understand imagination with reasonable image and episteme. And Foucault explained another imagination through the problem of a person who could tell the truth. According to Plato, Kant, and Foucault’s arguments, in this paper I try to show the belief that imagination is the minimum unit for telling the truth. The minimum unit is revealed from the store of imagination, where the secret of truth is hidden waiting for our visiting. Therefore, we can explore the imagination of recognizing the truth because it exists in a different time and pl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