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實錄을 통해 본 郭再祐(1552~1617)의 義兵 활동

        강문식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8 규장각 Vol.33 No.-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에 수록된 곽재우의 의병 관련 기사들을 보면, 비록 실제 전투에 참여한 관군 장수나 의병장들이 작성한 기록만큼 세밀하지는 않지만, 김성일을 비롯한 지방관들의 보고에 기초하여 곽재우 의병 활동의 전반적인 상황이 비교적 정확하게 기록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실록에는 곽재우에 대한 선조와 정부 관료들의 인식과 평가에 관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다른 자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것으로 그의 의병 활동 및 임난 중반 이후의 행적을 연구하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갖는다. 곽재우는 임진왜란 당시 의병들 중에서 가장 극적인 평가를 받았던 인물이었다. 임진왜란 발발한 지 불과 10여 일 만에 사재를 털어 가장 먼저 의병을 일으켰던 곽재우는 여러 전투에서 혁혁한 전공을 세우면서 장수로서의 능력에 있어서는 이론의 여지가 없을 만큼 확실한 인정을 받았다. 하지만 그는 전쟁 수행 과정에서 관군 장수들과 잦은 갈등과 의견 충돌을 일으켰고, 이는 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의 근본 원인이 되었다. 특히 선조는 곽재우가 관군 장수 및 조정 대신들과 대립했던 것을 왕명에 대한 거부·부정으로 인식하였다. 그 결과 선조는 곽재우를 크게 불신하였고, 그에게 병권을 맡기는 것이나 그를 공신으로 책봉하는 것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하였다. 이에 곽재우는 전란이 끝난 후 벼슬을 버리고 은거하여 辟穀餐松으로 생의 마지막을 보냈다. 임진왜란 이후 많은 의병장들이 전공에 대한 정당한 보상을 받지 못하였고 일부는 억울한 죽음을 당하기도 하였는데, 곽재우의 벽곡찬송은 당시 의병장들의 불우한 삶을 대변해 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을 통한 사료비교학습

        김보림(Bo-rim K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1 교육연구 Vol.51 No.-

        최근 역사교육에서는 사료를 활용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역사가의 탐구과정을 익히고 역사적 사고력을 증진시키는 사료학습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고에서 사료학습의 한 모형으로서 개발한 사료비교학습은 단일한 역사적 사실이나 사건등에 대해 서로 다른 평가나 해석을 하고 있는 두 개 이상의 사료를 비교함으로써 사료가 작성된 역사적 배경상황을 이해하고 역사적 사실이나 사건을 보다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본고에서 제시하는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은 이러한 점에서 붕당의 출현과 전개과정을 파악하는 사료비교학습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북인 정권하에 편찬된 『선조실록』은 서인에 대해 공정한 평가로 서술할 수 없었으며, 인조반정 이후 서인이 집권한 상황에서 『선조실록』의 수정은 필수적이었다. 따라서 『선조수정실록』에서는 서인에 대한 입장을 보완하고 수정하는 편찬 노선을 밟았다. 본시학습의 전개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를 인식하게 하고 사료를 비판, 해석하게 하여 두 사료의 비교를 통한 붕당 정치의 실체를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e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of comparing historical materials. This model helps students to learn the process as historians use when they study history. This model for comparing historical materials which this study developed as one of the teaching models is to compare with the historical facts or events in the different materials which was published in the same period. In addition, it is possible we use the different materials which the historians have different ideas about the same facts or events it was not shown at the same period. Students in the class are able to learn the background of the historical materials and understand more deeply. This paper could be a good example because it propose two different materials which was made at the different period. The main faction was different politically when the two materials was published each. The appearance of ‘Bungdang’ is at the early Seonjo period. After the West had the power in politics, they insist this Sil-Lok had to be revised. As a result, the revised version was completed to publish soon. This version said that the West is very successful in history. With that, teachers make the learners understand the criticism of historical materials, the methods of analyze historical materials in advance before they start the class. The students can understand ‘Bungdang’ politics more concretely through this class comparing between Seonjo veritable records(Seonjo Sil-Lok) and the revised version(Seonjo Sujung Sil-Lok) This processing is from recognizing the issues through the historical materials.

      • 기획논문 : 서애(西厓) 류성용(柳成龍)의 학문(學問)과 계승(繼承) ;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에 대한 一 시선(視線) - 17세기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의 경우

        도현철 ( Hyeon Chul Do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16세기 조선사회를 이끌었던 정치 지도자 서애 류성룡(1542-1607)의 생애와 17세기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에 기술된 조선시대인의 시선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올바른 모습을 밝혀보려는 것이 본고의 목표였다. 류성룡은 1590년 5월 우의정을 시작으로 7년 10개월 간 재상을 맡아 조선을 이끌어 갔다. 현대 한국 역사학계에서 류성룡은 누란의 위기에서 나라를 구한 명재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17세기 기록인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에 실려 있는 서애의 졸기에는 부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선조실록』은 광해군 정권 때 북인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고, 『선조수정실록』은 인조반정 이후 서인의 입장이 반영된 사서로, 동인인 류성룡을 긍정적으로 보기 어려웠던 것이다. 두 기록은 부정적인 평가의 근거로 기축옥사와 임진년과 경진년 사이의 주화오국 그리고 재상으로서의 풍모 등 3가지를 들고 있다. 이 가운데 주자학의 재상론에 비추어 재상 류성룡을 평가해 볼 만하다고 보여 진다. 주자의 재상론은 군주성학론(君主聖學論)과 재상정치론으로 요약된다. 주자는 천하의 일을 도모하는 최종결정권이 황제에게 달려 있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군주의 전제(專制)정치(政治), 독단정치를 비판하였다. 군주는 강명(剛明)공정(公正)한 인물을 재상으로 선택하고 그와 더불어 정사를 의논해야 한다고 하였다. 군주(君主) 일인(一人)에 의한 정치 운영보다는 대다수 신료(臣僚)들의 공론(公論)을 집약하고 국정에 반영한 재상정치론을 주장하였다. 주자의 재상론을 기준으로 놓고 볼 때, 재상 류성룡은 비판받을 소지가 있었 다. 조선 사신(황윤길, 김성일)의 엇갈린 견해에 대하여 동인의 입장이 아닌 서인 측의 일본 침략 가능성을 예지하지 못한 점, 기축옥사로 동인이 수세에 몰리는 상황에서 시시비비에 대한 명확한 판단으로 조정의 의론을 바로잡지 못한 점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붕당의 대립 속에서 재상으로서 국가적 위기에 적극 대처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서애 류성룡에 대한 조선시대의 인식과 평가는 녹녹치 않다. 이를 조선후기 당 쟁의 결과로서만 설명하는 것 또한 불충분하다. 류성룡의 진면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16세기 당대의 사회에 대한 미시적 분석과 함께, 17, 18, 19세기에 이루어진 류성룡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life of Seo``ae Ryu Seong-ryong(1542-1607), a political leader who led the Joseon society in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Annals of King Seonjo``s days』 and 『Revised version of the Annals of King Seonjo``s days』 of the 17th century, in order to obtain a proper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man. Ryu Seong-ryong was appointed to the seat of Wu``eui``jeong in May 1590, and led the government ever since for total of 7 years 10 months. Today he is considered as a wise minister who saved the country from its predicaments. But in the 『Annals of King Seonjo``s days』 and 『Revised version of the Annals of King Seonjo``s days』 he is portrayed rather negatively. The former reflected the perspective of the Northerners who led the Gwang``had-gun regime, and the latter reflected the position of the Western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government since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 Both texts were mirroring the views of people who could not possibly depict him a wholeheartedly positive manner. These texts cited the purge of the Gi``chuk year, the political incident that took place between the Imjin and Gyeongjin years, and also his actions as a minister, as reasons for their negative description of Ryu Seong-ryong. Ryu Seong-ryong as a minister should be evaluated by Ju Hi``s own arguments regarding the role of the ministers. Ju Hi argued that the king must engage in studies of the past sages("Gunju Seong``hak-ron, 君主聖學論") and that the ministers should be placed in charge of governing. Ju Hi acknowledged the fact that the ultimate decisions concerning the governance of the state should be left to the emperor, but was also highly critical of the emperors`` despotic and arbitrary ruling of the country. He argued that the emperor must choose an impartial and fair individual, and then name him as a minister and also as a partner to discuss the issue of governing with. He argued that instead of leaving the emperor alone to rule the country, many officials should be consulted instead. In the light of Ju Hi``s argument on the role of ministers, Ryu Seong- ryong as a minister indeed left some things to be supposedly desired. In facing contradictory reports from official envoys who just returned from Japan(who were Hwang Yun-gil and Kim Seong-il), he failed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Westerners who predicted the possibility of an invasion from Japan, and later he also failed to properly manage the clashing opinions inside the government during the Gichuk-year purge which cornered the Easterners. In other words, in the wake of conflicts waged among political parties, he was incapable of actively addressing the dynastic crises. Evaluation of Seo``ae Ryu Seong-ryong has not been that positive. Yet trying to explain it away as a mere result of party conflicts of those days would not be fair either. In order to evaluate his life more appropriately, we need to be able to analyze the 16th century Joseon society, and also the evaluations made of Ryu Seong-ryong during the 17th, 18th and 19th centuries.

      • KCI등재

        西厓 柳成龍에 대한 一 視線 - 17세기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의 경우

        도현철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4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5 No.-

        16세기 조선사회를 이끌었던 정치 지도자 서애 류성룡(1542-1607)의 생애와 17세기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에 기술된 조선시대인의 시선을 살펴봄으로써 그의 올바른 모습을 밝혀보려는 것이 본고의 목표였다. 류성룡은 1590년 5월 우의정을 시작으로 7년 10개월 간 재상을 맡아 조선을 이끌어 갔다. 현대 한국 역사학계에서 류성룡은 누란의 위기에서 나라를 구한 명재상으로 평가되고 있다. 하지만, 17세기 기록인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에 실려 있는 서애의 졸기에는 부정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선조실록』은 광해군 정권 때 북인의 입장이 반영된 것이고, 『선조수정실록』은 인조반정 이후 서인의 입장이 반영된 사서로, 동인인 류성룡을 긍정적으로 보기 어려웠던 것이다. 두 기록은 부정적인 평가의 근거로 기축옥사와 임진년과 경진년 사이의 주화오국 그리고 재상으로서의 풍모 등 3가지를 들고 있다. 이 가운데 주자학의 재상론에 비추어 재상 류성룡을 평가해 볼 만하다고 보여 진다. 주자의 재상론은 君主聖學論과 재상정치론으로 요약된다. 주자는 천하의 일을 도모하는 최종결정권이 황제에게 달려 있다는 사실은 인정하면서도 군주의 專制정치, 독단정치를 비판하였다. 군주는 剛明公正한 인물을 재상으로 선택하고 그와 더불어 정사를 의논해야 한다고 하였다. 君主 一人에 의한 정치 운영보다는 대다수 臣僚들의 公論을 집약하고 국정에 반영한 재상정치론을 주장하였다. 주자의 재상론을 기준으로 놓고 볼 때, 재상 류성룡은 비판받을 소지가 있었 다. 조선 사신(황윤길, 김성일)의 엇갈린 견해에 대하여 동인의 입장이 아닌 서인 측의 일본 침략 가능성을 예지하지 못한 점, 기축옥사로 동인이 수세에 몰리는 상황에서 시시비비에 대한 명확한 판단으로 조정의 의론을 바로잡지 못한 점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붕당의 대립 속에서 재상으로서 국가적 위기에 적극 대처하지 못했다는 지적을 받을 수 있다. 서애 류성룡에 대한 조선시대의 인식과 평가는 녹녹치 않다. 이를 조선후기 당 쟁의 결과로서만 설명하는 것 또한 불충분하다. 류성룡의 진면목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서는 16세기 당대의 사회에 대한 미시적 분석과 함께, 17, 18, 19세기에 이루어진 류성룡에 대한 인식과 평가에 대한 다각적인 검토가 필요하다고 본다. Examined in this article is the life of Seo’ae Ryu Seong-ryong(1542-1607), a political leader who led the Joseon society in the 16th century, through the 『Annals of King Seonjo’s days』 and 『Revised version of the Annals of King Seonjo’s days』 of the 17th century, in order to obtain a proper and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man. Ryu Seong-ryong was appointed to the seat of Wu’eui’jeong in May 1590, and led the government ever since for total of 7 years 10 months. Today he is considered as a wise minister who saved the country from its predicaments. But in the 『Annals of King Seonjo’s days』 and 『Revised version of the Annals of King Seonjo’s days』he is portrayed rather negatively. The former reflected the perspective of the Northerners who led the Gwang’had-gun regime, and the latter reflected the position of the Westerners who were in charge of the government since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 Both texts were mirroring the views of people who could not possibly depict him a wholeheartedly positive manner. These texts cited the purge of the Gi’chuk year, the political incident that took place between the Imjin and Gyeongjin years, and also his actions as a minister, as reasons for their negative description of Ryu Seong-ryong. Ryu Seong-ryong as a minister should be evaluated by Ju Hi’s own arguments regarding the role of the ministers. Ju Hi argued that the king must engage in studies of the past sages(“Gunju Seong’hak-ron, 君主聖學論”) and that the ministers should be placed in charge of governing. Ju Hi acknowledged the fact that the ultimate decisions concerning the governance of the state should be left to the emperor, but was also highly critical of the emperors’ despotic and arbitrary ruling of the country. He argued that the emperor must choose an impartial and fair individual, and then name him as a minister and also as a partner to discuss the issue of governing with. He argued that instead of leaving the emperor alone to rule the country, many officials should be consulted instead. In the light of Ju Hi’s argument on the role of ministers, Ryu Seong- ryong as a minister indeed left some things to be supposedly desired. In facing contradictory reports from official envoys who just returned from Japan(who were Hwang Yun-gil and Kim Seong-il), he failed to recognize the position of the Westerners who predicted the possibility of an invasion from Japan, and later he also failed to properly manage the clashing opinions inside the government during the Gichuk-year purge which cornered the Easterners. In other words, in the wake of conflicts waged among political parties, he was incapable of actively addressing the dynastic crises. Evaluation of Seo’ae Ryu Seong-ryong has not been that positive. Yet trying to explain it away as a mere result of party conflicts of those days would not be fair either. In order to evaluate his life more appropriately, we need to be able to analyze the 16th century Joseon society, and also the evaluations made of Ryu Seong-ryong during the 17th, 18th and 19th centuries.

      • 조선왕조실록을 통해 본 지산 조호익의 행적

        조영남 ( Cho Young-nam ) 대경교육학회 2023 교육학논총 Vol.44 No.0

        이 연구는 국보이자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조선 중기 유학자 지산 조호익의 행적을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선왕조실록에서 조호익과 관련된 기록은 선조실록 26권(선조 25년, 1592년, 5월 8일, 9번째 기사) “사면령의 시행과 인재의 서용”에 처음 등장한다. 마지막 기록은 고종실록 1권(고종 1년, 1864년, 7월 9일, 3번째 기사) “남연군 등의 시호를 고치거나 새로 주는 초안”에 있다. 조선왕조실록에 조호익이 등재된 기사는 총 26건으로 선조실록(선조수정실록 1건 포함)에 20건, 인조실록 1건, 현종실록(현종개수실록 포함) 2건, 숙종실록1건, 고종실록 2건이다. 26건 모두가 조호익의 임진왜란 때 의병활동과 목민관으로서의 치적, 서원 사액, 증직과 시호 등과 관련된 기사로 부정적인 내용은 단 한 건도 없다. 조선왕조실록과 조호익의 연보를 종합하면, 조호익은 모함으로 17년간 억울하게 전가사변을 당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학문의 불모지였던 관서지역에서 후학양성에 전념하였다. 국가가 누란의 위기에 처한 임진왜란 때에는 의병장으로 혁혁한 공을 세우며 국난극복에 앞장섰다. 이조판서에 증직되었으며 시호는 문간(文簡)이다. 사액서원인 도잠서원과 학령서원에 배향되었으며 지산집을 남겼다. 조선왕조실록을 비롯한 다양한 사료에 기반하여 조선 중기 비운의 유학자이자 임진왜란 의병장으로 이례적으로 한반도 남북에 걸쳐 관서와 재경, 영천학맥을 형성한 지산조호익의 행적을 비롯한 학문과 사상 전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Jisan(芝山) Cho Ho-Ik(曺好益)’s footprint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朝鮮王朝實錄). Jisan was an outstanding Confucian scholar in mid Joseon dynasty. Jisan was recorded in a total of 26 stories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20 stories in Seonjo Annals(宣祖實錄), 1 story in Injo Annals(仁祖實錄), 2 stories in Hyunjong Annals(孝宗實錄), 1 story in Sukjong Annals(肅宗實錄), 2 stories in Gojong Annals(高宗實錄). All of 26 stories were about Cho Ho-Ik’s civilian army activitie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administrative achievement as a governor, granting government post(贈職) and a posthumous epithet(諡號), etc. There was not a negative story about him at all. He overcame the pain living in exile for a long time by false accusation wisely and educated many disciples from Kwanseo and Yeongcheon areas. King Seonjo(宣祖) granted him the title of Kwanseobuja(關西夫子). He was granted a government post, the Minister of Interior(吏曹判書) and received a posthumous epithet, Mungan(文簡). He was dedicated a royally charted memorial hall named Dozamseowon(道岑書院) and Hakryungseowon(鶴嶺書院). He left the collection named Jisanjip(芝山集).

      • KCI등재

        17세기 李舜臣 사적 정비와 宣祖대 역사의 재인식

        윤정 진단학회 2015 진단학보 Vol.- No.125

        Examined in this article is how the Joseon people’s general evaluation of King Seonjo’s era as a “Prosperous Age[‘穆陵盛世’]” was formed, and how it was overlapping with the people’s review and recompiling of historical references & documents related to Yi Sun-shin. The task itself, which began after Yi Sun-shin died, was overseen by the Westerners, and primary data collected from the Yi Sun-shin house were used in compiling 『Revised Annals of King Seonjo’s era』 as well as 『Seonmyo Bogam』. Inserted contents served to dilute Seonjo’s own responsibility in the punishment of Yi Sun-shin, and praised them both as war heroes. Such attitude was designed to downplay the negative image that was imposed upon the king during the war. 본고는 ‘穆陵盛世’로 이상화되는 선조대의 정치에 대한 조선시대의 평가가 수립되는 과정을 이순신 장군의 사적정비와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본 것이다. 이순신이 전사한 후 그의 막하에 있던 군관들이 중심으로 사적이 정비되었으며, 병자호란 이후에는 정부도 새로이 주목하였다. 이 움직임은 『선조수정실록』과 『선묘보감』 등 선조대에 대한 정계의 재인식이 매개되었는데, 광해군 정치를 부정한 인조 정권이 선조 계승을 통해 자신의 정통성을 찾았기 때문이다. 사적정비를 주도하였던 인물들은 서인으로서 『선조수정실록』과 『선묘보감』 편찬하면서 이순신 가문의 자료를 기초자료로 삼았다. 이를 매개로 이순신 처벌과 관련된 선조의 책임을 해소하고 승전의 주역으로서 양자를 묶어 선양함으로써 임진왜란 당시 선조에 대한 부정적 입론을 해소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懲毖錄』이 후대에 미친 影響

        장준호(Jang Jun Ho)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서강인문논총 Vol.0 No.52

        『懲毖錄』은 영의정과 도체찰사를 역임한 유성룡이 임진왜란의 사적을 기록한 當代史로, 임진왜란을 연구하는 데 있어서 없어서는 안 될 자료이다. 『징비록』에는 임진왜란 이전의 일본 사신의 왕래와 통신사 파견과 관련된 내용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은 『선조실록』에 누락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징비록』은 관찬 사서의 사료적 미비점을 보완해주는 자료라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사료이다. 『징비록』은 간행 직후부터 자료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인조반정 후 집권한 서인들이 『선조수정실록』을 간행할 때 『징비록』은 중요한 자료로 취급되었다. 특히 『선조수정실록』에 『징비록』의 대일관계와 조선 조정의 전란 대비책과 관련된 기사가 그대로 인용되었다. 이것은 『징비록』의 기사가 『선조수정실록』에 다수 인용되었다는 사실을 넘어 유성룡이 서인으로부터 전란기의 공적을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이익과 이긍익 그리고 한치윤은 그들의 저서에서 임진왜란 관련 기사들을 기술하는 데 『징비록』을 중요한 자료로 인용・활용하였다. 특히 이익은 『징비록』을 통해 자신의 성곽론을 완성하였고, 한치윤은 유성룡의 병기관을 계승・발전시키기도 했다. 이처럼 『징비록』은 조선 후기의 역사가에게 영향을 주었다. 한편 조선 후기 대일관계가 정상화되면서, 통신사가 참고했던 서적도 『징비록』이었다. 일본에 통신사로 다녀온 인물들이 남긴 사행록에 『징비록』을 언급한 것이 이를 반증해주고 있다. 즉 통신사 파견의 전례라고 할 수 있는 경인통신사의 사행과 관련된 내용이 『징비록』에 기술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따라서 일본 사행과 교린관계를 재정립하는 데 매우 중요한 전범서로서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징비록』이 조선 후기 정치・사회에 미친 영향을 짐작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징비록』은 조정으로부터 그 자료적 가치를 인정받아 일본 유출이 금지되었다. 그럼에도 『징비록』은 일본에 유출되어 일본의 학계와 출판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미 18세기초 징비록은 姜沆의 『看羊錄』 등과 함께 오사카에서 출판되었다. 일본의 유학자인 가이바라 엣켄[貝原益軒]은 구로다[黑田] 가문의 家譜를 정리하는데 징비록은 인용하였고, 마쓰시타 겐린[松下見林]도 자신의 이칭일본전에 『징비록』을 소개하였다. 이러한 계기로 『징비록』은 일본의 독서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이렇듯 『징비록』은 일본 학술계에 임진왜란 관련 사적을 정리되는 데 중요한 자료로 인용되었고, 그 내용과 상관없이 상업 소설의 제목으로 『懲毖錄』이 차용되기도 했다. 유성룡의 『징비록』은 일본의 근세 문화의 발전에 영향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청나라에도 전해지기도 했다. Jingbirok(懲毖錄) is a contemporary history in which Yu Seong-ryong (柳成龍), who served as a Yeonguijeong(領議政) and Dochechalsa(都體察使), recorded the facts of Imjin war. It is a very important material for studying Imjin war. Jingbirok contains information regarding the arrival of Waesa(倭使) before Imjin war and the dispatch of Joseon tongsinsa(朝鮮通信使). Jingbirok is very important material because it contains contents not in the Seonjosillok(宣祖實錄). Jingbirok has been an important subject since its publication. In other words, when the Seoin(西人), which took power as the Injobanjeong(仁祖反正), revised and published Seonjosillok, the book was used as an important source. Jingbirok was quoted as much in Seonjo-sujeongsillok(宣祖修正實錄). Jingbirok influenced many history books that explained about Imjin war. As relations with Japan became normal after the Imjin war, the Joseon tongsinsa had to read Jingbirok. Because Jingbirok contains precedents about Joseon tongsinsa. Jingbirok also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Joseon"s diplomatic relations with Japan. Jingbirok was introduced to Japan, which greatly influenced academia and the public. Japanese scholars cited Jingbirok as a study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Regardless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many books were published titled Jingbirok. As such, Yu Seong-ryong"s Jingbirok influenced the modern culture of Japan as well as introduced to the Qing Dynasty.

      • KCI등재후보

        조선 선조대 이산보의 관직생활

        임선빈 ( Yim Seon-bin ) 청계사학회 2021 청계사학 Vol.23 No.-

        본고는 16세기 후반 선조대의 동서분당과 임진왜란 초기의 중요한 인물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학계에서 큰 관심을 받지 못하고 있던 이산보의 관직 생활에 대해 살폈다. 이산보는 문집을 남기지 않았고, 그가 주로 활동했던 선조대의 실록은 실록편찬을 위해 작성하여 춘추관에 보관하던 시정기조차 모두 왜란으로 불타 없어진 상태에서 실록을 편찬했기 때문에, 연구에 활용할 자료의 한계가 많다. 본고는 정엽이 지은 이산보 행장,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 그 외의 관련 자료들을 습유하여 비판적 검토를 하면서 이산보의 가계와 생장, 관직에 나아가는 과정과 당하관까지의 실무 관직 생활, 당상관직 재임과 정치 활동, 임진왜란 발발 이후 전란 수습을 하기 위해 동분서주 하던 중 병을 얻어 타계하기까지의 관직 생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산보는 고려말 조선전기 혁혁한 가문인 한산이씨로, 목은 이색의 7대손이다. 이산보의 선계는 이곡-이색-이종선-이계전-이우-이장윤-이치-이지무-이산보로 이어지며, 조부인 이치부터 충청도 보령에 거주했다. 이산보는 숙부인 이지함으로부터 학문을 배웠으며, 30세에 문과를 통해 관직에 나아갔다. 이산보는 예문관 검열을 시작으로 홍문관, 사헌부, 사간원 등 삼사의 요직과 이조 정랑을 지냈으며, 45세에는 정3품 당상관인 승지에까지 이르렀다. 이후 53세까지는 정치관료로서 활발한 활동을 했으며, 52세에는 성절사 정사로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러한 이산보의 관직 제수에는 선조의 특지가 여러 차례 작용하였다. 그런데 이 시기가 동서분당이 이루어진 직후로 동인과 서인간의 당쟁이 치열했기 때문에 기축옥사와 건저의 사건 등에서 이산보도 자유로울 수 없었다. 유배까지 다녀오지는 않았지만 여러 차례 파직을 경험했다. 임진왜란 발발 당시 파직으로 관직에서 물러나 있었던 이산보는 전쟁이 발발하자 평소의 충성스런 관직자답게 피난길에 오른 선조를 찾아가 의주까지 호종했으며, 전란의 와중에서 중책인 이조판서에 제수되어 전란극복을 위해 동분서주하면서 활동하였다. 55세에는 의정부 좌참찬에 제수되어 무군사 당상으로 왕세자인 광해군을 모시고 최전방에서 전란 극복에 애쓰다가, 56세인 선조 27년 4월에 과로로 쓰러지고 병이 들어 타계하였다. 이와 같은 이산보의 헌신적인 삶은 조선시대 전형적인 문신 관료의 삶이면서도 충성스런 관직자의 삶이었다. 명곡 이산보(1539~1594)는 토정 이지함의 학문 영향을 받았으며, 율곡 이이(1536~1584)), 우계 성혼(1535~1598), 송강 정철(1536~1593) 등과 같은 서인의 당색을 지니고 있었다. 반면에 이산보와 사촌이며 동갑으로 어려서 숙부 이지함으로부터 함께 학문을 익혔던 아계 이산해(1539~1609)는 동인으로 활동했으며, 임진왜란 발발 초기에는 이산보의 활약과는 달리 서인의 탄핵을 받아 파면되기도 했다. 선조대의 초기 동서분당 과정에서 한 집안이면서도 각각 서로 다른 길을 걸었던 이산보와 이산해의 관직 생활을 이해하는 데에도 본고가 다소의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문집이 남아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관찬 자료인 실록조차 내용이 소략하고 편파적인 선조대 전반기의 인물에 대해서, 관련 자료를 습유하여 비판적 검토를 하면서 수행한 본 연구가 이 시대 인물의 사례연구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official life of Yi San-bo during King Seonjo’s reign in the latter half of the 16th century. When the factional split between Easterners and Westerners developed and the Japanese in-vasions, or Imjin War, occurred, he was an influential figure but has never drawn much attention in academia. Worse, there are few histor-ical data left about him. He does not have a literary collection and moreover, all of the historians’ daily record of events in the bureau of state records for the Annals of King Seonjo were burnt up during the Imjin War. Thus, research had to be based on the other related materials such as the restored Annals of King Seonjo, the Revised Annals of King Seonjo, and Jeong Yeop’s “Biographical Account of Yi San-bo.”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them is compared with each other and or-ganized as follows: his birth, lineage, and growth, his years before gov-ernment service, years in office as a low ranking official, years in office as a high ranking official and of political engagement, and his last years taking care of the aftermath of the Imjin War. All of them are inves-tigated in this article. On top of that, his life is portrayed, contrasted with his cousin Yi San-hae who studied under the same teacher Yi Ji-ham but belonged to the opposite faction.

      • 류성룡의 『징비록』 간행 시기에 대한 연구

        박종평(Jong-Paung Park) 순천향대학교 이순신연구소 2023 이순신연구논총 Vol.- No.39

        There are many sources related to the Imjin War(1592-1598). Among them, the most important primary historical records are the national records Seonjosillok and Seonjo-sujeongsillok, and the private records Nanjungilg(War Diary) and Imjinjangcho by Yi Sun-sin, and Jingbirok(The Book of Corrections) by Ryu Sung-ryong. In particular, Jingbirok provides an overview of the entire Imjin War and contains a lot of important information about Yi Sun-sin. Although the “Jingbirok” has been the subject of much research and interest, and is often cited for its value and importance as a historical document, there are still many aspects that have not been studied. Among them is the time of publication, which has been variously claimed to be 1633, 1643, and 1647. Existing studies have not paid attention to this issue, as it has been considered secondary. Whether or not the purpose of Ryu's writings could be reflected in history books and historical perspectives was a decisive point in time. This was due to the writing of the Seonjo-sujeongsillok, which was sharply debated from 1641. In 1598, at the end of the Imjin War, Ryu was infamously impeached. Soon after, he began writing Jingbirok. The purpose of the book was to reflect on the great crisis of the Imjin War and prepare for the future, but it was also a way for Ryu to clear his name of the false accusations made against him while he was general in command of the seven-year war. It can be argued that he hoped to use this work to correct the negative perceptions of him and the historical record based on them in the future. In other words, he tried to leave evidence that the historical criticism of him in his time was an error. However, contrary to his intention, he died before he could publish it himself, and the manuscript remained unpublished for a long time. It was only after some time that it was published. As a result of examining various historical sources, the claims of publication in 1633 were not proven, and the claims of publication in 1644 and 1647 were supported, but did not definitively prove them. This article examines existing arguments and traces the specific timing of its publication through empirical data. In other words, when analyzing Jingbirok, it is confirmed that it influenced Yi Sun-shin's biographies, Yi Bun's Yi Sun-sin's Hangnok, Yi Sik's Yi Sun-sin's Sijang, and the national historical record, Seonjo-sujeongsillok. Literary analysis confirms that Jingbirok was published before October 1644. It directly influenced the Seonjo-sujeongsillok and contributed significantly to the historical revaluation of himself that Ryu himself aimed for. In the process, it also directly or indirectly influenced the biography of Yi Sun-sin. The publication of Jingbirok during the compilation of Seonjo-sujeongsillok reflected the intention of Ryu's writing. Additionally, not only Ryu Sung-ryong, but also Yi Sun-sin, the hero of Jingbirok, gained an influence that continues to be highly regarded today. 임진왜란과 관련해 많은 사료가 있다. 국가 편찬 사료인 『선조실록』과 『선조수정실록』, 민간 역사서라고 할 수 있는 이순신의 『난중일기』와 『임진장초』, 류성룡의 『징비록』은 역사학적 관점에서 가장 중요한 1차 사료이다. 특히 『징비록』은 임진왜란 전체를 조망하고, 이순신과 관련한 중요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다. 『징비록』은 많은 관심과 연구가 있었고, 사료로서의 가치와 중요성으로 자주 인용되었으나, 연구되지 않은 부분도 있다. 그중 『징비록』 간행 시기는 1633년, 1643년, 1647년에 간행되었다는 주장들이 있으나, 간행 시기를 부차적인 문제로 보아 주목하지 않았다. 이 주장들은 10여 년의 차이가 있으나 당시 역사적 상황을 보면 단순한 10여 년 문제가 아니다. 류성룡의 저술 목적 달성이 역사서와 역사 인식에 반영될 수 있느냐 없느냐는 중대시점이었다. 1641년부터 급격히 논의된 『선조수정실록』 편찬 때문이다. 류성룡은 임진왜란 말기인 1598년에 불명예스럽게 탄핵당했고, 그 직후부터 『징비록』을 저술하기 시작했다. 임진왜란이라는 큰 위기를 반성하고 미래를 대비한다는 목적도 있었으나, 전쟁을 총괄 지휘했던 입장에서 억울한 누명을 벗는 방법이기도 했다. 이 저술로 자신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잘못 기록된 역사적 기록을 미래에라도 수정할 수 있는 근거로 제시하고자 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그의 시대에 그에 대한 역사적 비판이 오류였다는 것을 증거로 남기고자 했던 듯 하다. 그러나 그의 의도와 달리 직접 간행치 못하고 사망했고, 원고는 오랫동안 간행되지 못하다가 뒤늦게 간행되었다. 다양한 사료를 살펴본 결과, 1633년 간행 주장은 증명할 수 있는 근거가 없었고, 1644년과 1647년 간행 주장은 근거가 있었으나, 구체적으로 입증하지는 않았다. 이 글은 기존 주장을 살피면서, 실증적인 자료로 간행 시기를 추적했다. 『징비록』을 분석해 보면, 이순신의 전기(傳記)인 이분(李芬)이 저술한 「행록(行錄)」, 이식(李植)의 「(이순신) 시장(諡狀)」, 『선조수정실록』에 영향을 준 것이 확인된다. 문헌 분석 결과 『징비록』은 1644년 10월 이전에 간행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간행 결과는 『선조수정실록』에 영향을 미쳐 류성룡이 목적했던 자신에 대한 역사적 재평가에 기여했다. 그 과정에서 이순신의 전기(傳記)에도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선조수정실록』 편찬 과정에서 『징비록』이 간행됨으로써 류성룡의 저술 의도가 반영되었고, 『징비록』의 주인공과도 같은 이순신이 현재까지 끊임없이 높게 평가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게 했다.

      • KCI등재후보

        조선왕조 실록함의 수리복원

        이용희,박정혜,박수진 국립중앙박물관 2014 박물관보존과학 Vol.15 No.-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own a historical document box(K976) that was once used to store Joseon Wangjo Sillok(Annals of the Joseon Dynasty) of the Joseon Dynasty. The rectangular box has a lid, and the entire surface is varnished with black lacquer the wood of the box had become warped and the upper part of the wooden frame had been damaged. In some areas, the paint was flaking off, exposing the underlying wood, and an iron ring that connected the lid to the body of the box was missing. Thus, in 2013, Conservation Science Department in National museum of Korea began to repair and restore the Joseon document box. Before the treatment, analyse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box’s structure, damaged parts, species of wood, and lacquering techniques. The wood was found to be that of a linden tree. As for the lacquering technique, the surface of the box was first coated with a layer of lacquer and bone ash, and then covered with Korean traditional paper. Next, the box was painted with a layer of mud and ashes, followed by a layer of black pigment mixed with soot, and then varnished again with lacquer. 국립중앙박물관 소장의 실록함(K976)은 조선왕조 선조대의 실록을 보관했던 함으로 장방형 몸체에 뚜껑이 달려있고 표면 전체에 검은색 옻칠이 되어있다. 실록함은 모서리 결구 부분의 짜임이 벌어지고 판재들이 밖으로 휘어지면서 심하게 변형되어 있었고 함의 몸체 상단부의 백골이 부분적으로 결실된 상태였다. 여기에 더하여 뚜껑에는 길이 방향으로 큰 폭의 균열이 발생되어 있었다. 표면의 칠은 곳곳이 들뜨거나 탈락되어 목제 백골이 겉으로 드러난 곳이 많았고 뚜껑을 연결하는 고리쇠 1개가 결실된 상태였다.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부는 2013년 실록함의 수리 복원 작업에 착수하였으며 이에 앞서 실록함의 구조 양식, 손상 상태, 목제 백골(白骨)의 수종 분석, 옻칠 기법 등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록함의 목제 백골 재료가 피나무라는 것, 또 실록함 표면에 골회칠(骨灰漆)→종이심(紙心), 토회칠(土灰漆), 연매(煙煤) 혼합 흑색칠→옻칠이 순차적으로 도장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실록함은 전통 목칠공예 기술과 재료를 적용한 전면적인 수리 복원을 통해 그 본래의 모습을 되찾게 되었고, 이후 국립전주박물관 역사문화관 개편 전시에서 중요한 전시물로 활용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