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봉신연의(封神演義)』 문중(聞仲) 서사의 의미 지향 및 그 문화적 함의 -도교문화 및 한국 뇌신(雷神) 형상과 관련하여-

        유수민 한국도교문화학회 2020 道敎文化硏究 Vol.53 No.-

        This paper examines the narrative of Wen Zhong (聞仲), the character of the Chinese Ming novel Fengshenyanyi (封神演義), and discusses the meaning orientation of that narrative and its cultural implications in connection with Taoism culture and Korean culture. Since the narrative of the novel Fengshenyanyi is based on folk tale, it reflects the “mentalité” of the basic people, apart from the actual history of the ShangZhou Revolution (商周革命). In this novel, Wen Zhong, who appears as the supreme commander (太師) of the Shang Dynasty and the immortal (仙人) of the Jiejiao (截敎), was defeated in the war and enshrined in the Taoism thunder god (雷神), Jiutianyingyuanleishengpuhuatianzun (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Therefore, we obtain the basis for exploring some aspects of the narrative knowledge and the collective sensibility of this deity from the Wen Zhong narrative in the novel.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proceeded in the following three areas. First, I considered the narrative shape of Wen Zhong. The outer features of Wen Zhong are that he has a whip “Cixiongbian (雌雄鞭)”, rides an animal “Moqilin (墨麒麟)”, and wears a hat “Jiuyunlieyanguan (九雲烈焰冠).” He also has the characteristic of three-eyed man (三目人). A comparison was also attempted with the narrative of Jiang Ziya (姜子牙) and Huang Feihu (黃飛虎), because they play a role in contrast to the Wen Zhong characters in the novel, helping to understand him. Next, through the Wen Zhong narrative, I discussed the principle of deification of “fengshen (封神),” a key motif that penetrates the entire Fengshenyanyi. The novel evokes a sympathetic sentiment for Wen Zhong representing the position of the victim and the loser,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hamanism principle “haewon (解冤).” Therefore, fengshen can be understood as an act of reward mechanism that entrusts the heros of the Shang who have been sacrificed, while revealing the appearance that Shang’s shamanism paradigm is changed and distorted, and moving in the direction of the human culture pursued by Zhou. Last, I argued that the narrative of Wen Zhong was relevant to Korean culture, focusing on the fact that Wen Zhong was enshrined in the thunder god Jiutianyingyuanleishengpuhuatianzun. It was examined that the narrative shape of Wen Zhong is deeply related to the tradition of the thunder god of Gojoseon (古朝鮮) and the symbolic system of Dongyi (東夷) myth. Also, it was discussed that the reason why the author of the Taoism scripture “Yushujing (玉樞經)”, very popular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known as “Moontaesa (聞太師)” was because of the fashion of Fengshenyanyi. At the same time, it was argued that the shape of Wen Zhong in Joseon was recognized in the cultural context of Korea along with Yushujing. The narrative of novel based on a folk story is of great value in that it contains a wealth of collective memories behind the scenes that historical records or religious scriptures can not contain. Through a review of the narrative of Wen Zhong in the novel Fengshenyanyi, which based on the narrative imagination of a historical event ShangZhou Revolution,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collective memory that the Taoism thunder god Jiutianyingyuanleishengpuhuatianzun is a deity from Dongyi is contained in it. 본고는 명대 신마소설 『봉신연의(封神演義)』의 주요인물인 ‘문중(聞仲)’의 서사를 고찰함으로써, 해당 서사의 의미 지향 및 그 문화적 함의를 도교문화 및 한국문화와 관련지어 논의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소설 『봉신연의』의 서사는 설화적 지식을 바탕으로 하기에 은주혁명(殷周革命)이라는 실제 역사와는 별개로 기층민들의 ‘망탈리테(mentalité)’를 반영한다. 이 소설에서 은(殷) 왕조의 태사(太師)이자 절교(截敎)의 선인으로 등장하는 문중은 전쟁에서 패배하여 도교의 뇌신(雷神)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에 봉해진다. 그렇기에 우리는 소설 속 문중 서사로부터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라는 신격에 대한 설화적 지식 및 집단적 감성의 일면을 고찰할 근거를 얻는다. 본고의 논의는 다음의 세 가지 방면으로 진행되었다. 우선, 문중의 서사적 형상에 대해 고찰하였다. 문중의 외형적 특징은 채찍 ‘자웅편(雌雄鞭)’을 지니고 있고 서수 ‘묵기린(墨麒麟)’을 타고 다니며 모자 ‘구운열염관(九雲烈焰冠)’을 쓰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삼목인(三目人)’의 특징을 지닌다. 강자아(姜子牙)와 황비호(黃飛虎) 인물 서사와의 비교도 시도되었는데, 그들이 소설 속에서 문중과 대비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어 문중 캐릭터 이해에 도움을 주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문중 서사를 통해 『봉신연의』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모티프인 ‘봉신(封神)’의 신격화 원리에 대해 논의하였다. 소설은 희생자이자 패배자의 입장을 대변하는 문중에 대한 공감적 정서를 자아내는데, 이는 바로 샤머니즘의 무속 원리인 ‘해원(解冤)’적 성격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즉, 봉신은 은의 샤머니즘 패러다임이 변화 및 왜곡되며 주(周)가 추구했던 인문화의 방향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현시함과 동시에, 희생된 은의 영웅들을 위무하는 보상기제 층위의 행위로 이해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문중이 사후 뇌신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에 봉신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문중 서사를 한국문화와의 관련성 하에 고찰하였다. 우선 소설 속 문중의 형상은 고조선의 뇌신 신앙 전통 및 동이계 신화의 상징체계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조선시대 크게 유행했던 도교 경전 『옥추경(玉樞經)』의 저자가 ‘문태사’로 알려진 것은 바로 『봉신연의』의 유행에 기인한 것이며, 조선에서 문중의 형상은 『옥추경』과 함께 한국의 문화적 맥락에서 인식되었음을 논의하였다. 설화를 바탕으로 한 소설의 서사는 역사 기록이나 종교 경전이 담아낼 수 없는 이면의 집단 기억들을 풍부히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가치가 크다. 본고는 은주혁명이라는 역사적 사건에 대한 설화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하는 소설 『봉신연의』의 문중 서사에 대한 고찰을 통해, 도교 뇌신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이 동이계 출신의 신격이라는 집단 기억이 그 안에 담겨 있음을 논증하였다.

      • KCI등재

        동양적 비상의 상상력 변용 양상 소설 봉신연의 와 만화 <봉신연의>를 중심으로

        양진호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3 애니메이션연구 Vol.19 No.1

        Flying has produced many images and contents, stimulating human imagination. Focusing on Bachelard's discussion of the imagination of the emergency, this paper aims to summarize the imagination of the East by comparing the representative Chinese New Horse novel Bongsinyeonui and the cartoon <Bongsinyeonui> based on it. There are various editions of Bongsinyeonui, and I think it will be able to show the transformation of the imagination of oriental flight well as it has been produced as a cartoon in modern times. To prove that Bongsinyeonui is one of the fantasy literature based on imagination, Todorov's discussion of fantasy was applied. By reviewing Todorov's discussion and counterargument on the fantasy, Iliad and Bongsinyeonui also proved to be fantasy literature because the supernatural event of the war of gods or ancestors appears in realistic history. The characters that reveal the imagination of emergency in Bongsinyeonui include Nata and Noijinja. This paper followed the changes of these two characters from the original to the cartoon <Bongsinyeonui> and examined the transformation of the imagination of the emergency. Nata was originally a Buddhist guardian deity, but in the novel, he becomes a prostitute who shows the image of Android in the cartoon through the incarnation of Lotus. The imagination of Nata’s flight lies in the wheels on his feet. The wheel changes from the shape of the wheel to the shape of a round mechanical device through the ‘mechanization’ process of the nata. The location of the Noijinja's flying imagination is in the wings. This paper found the original form of this character in the story of winged people who are people of Hwanduguk in Sanhaegyeong. It was believed that the mythical existence of a winged person flying in the water became a motif, and the Noijinja of Bongsinyeonui appeared. In Bongsinyeonui, a Noijinja is described as a monster with wings or an eagle human, but in the cartoon, it appears as a modified form of a bat human. This paper defined the process of this transformation as ‘animalization’. 비상(飛翔)은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하며 많은 도상과 콘텐츠를 생산해 왔다. 본고는 바슐라르의 비상의 상상력 논의를 중심으로 하여 중국의 대표적인 신마소설인 봉신연의 와 이를 바탕으로 만들어진 만화<봉신연의>를 비교하여 동양적 비상의 상상력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봉신연의 는 다양한 판본이 있으며 현대에 와서 만화로 제작되면서 동양적 비상의 상상력이 변용하는 과정을 잘 보여 줄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봉신연의 가 상상력을 기반으로 한 환상문학 중 하나임을 증명하기 위해 츠베탕 토도로프의 환상성 논의를 적용했다. 츠베탕 토도로프의 환상성에 대한 논의와 그에 대한 반론을 검토하여 일리아드 나 봉신연의 역시사실성을 가진 역사(기표)에 신들 혹은 선인들의 전쟁이라는 초자연적인 사건(기의)가 미끄러지면서 생겨나는 간격(환상성)이 나타나기 때문에 환상문학임을 증명하였다. 봉신연의 속 비상의 상상력이 드러나는 캐릭터로는 ‘나타’와 ‘뇌진자’가 있다. 본고는 이 두 캐릭터의 원전부터만화 <봉신연의>까지 변화해 가는 모습을 따라가며 비상의 상상력이 변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나타는 본래 불교의 호법신이었는데 소설 속에서는 연화의 화신을 거쳐서 만화 속에서는 안드로이드의 이미지를 보여 주는 보패인간이 된다. 나타가 가지고 있는 비상의 상상력은 발에 있는 바퀴에 있다. 이 바퀴는 나타의‘기계화’ 과정을 통해 바퀴의 형태에서 둥근 기계장치의 형태로 변화한다. 뇌진자의 비상의 상상력 위치는 날개에 있다. 본고는 이 캐릭터의 원형을 산해경 의 환두국 사람이라는 날개달린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찾았다. 물속을 비행하는 날개 달린 사람이라는 신화 속 존재가 모티프가 되어 봉신연의 의 뇌진자가 나타났다고 보았다. 봉신연의 에서 뇌진자는 날개 달린 괴물의 모습 혹은 독수리 인간 등으로 묘사되는데 만화에서는 박쥐 인간의 형태로 변형되어 나타난다. 본고는 이러한 변형의 과정을 ‘동물화’라고정의하였다.

      • KCI등재

        「황비호실기(黃飛虎實記)」를 통해 본 「봉신연의(封神演義)」의 유통 문제

        유춘동(Yoo, Choondong) 중앙어문학회 2021 語文論集 Vol.85 No.-

        「황비호실기」는 중국소설 「봉신연의」의 전체 내용 중에서, 30회부터 34회까지의 내용만을 발췌하여 단행본의 형태로 1932년에 간행한 것이다. 「황비호실기」의 본문은 장회(章回)의 구분 없이 내용만 기술되어 있다. 번역은 「봉신연의」의 축자역(逐字譯)은 아니지만 원전에 최대한 가깝게 내용을 실었고, 이해가 어려운 부분은 의역(意譯)을 해놓았다. 따라서 「황비호실기」는 「봉신연의」에 가까운 번역/번안본(飜案本)이라고 할 수 있다. 「황비호실기」는 「봉신연의」가 국내로 수용되고 번역되어 읽힐 때, 「서주연의(西周演義)」와 다른 경로로 번역되고 유통되었던 「봉신연의」의 존재를 짐작케 해준다. 이는 「봉신지(封神誌)」를 비롯한 번역본을 통해서도 확인된다. 「황비호실기」의 존재를 통해, 「봉신연의」는 당대 고소설의 출판시장, 독자들의 성향, 구활자본 고소설 출판의 전략 등과 맞물려, 「소달기전」, 「강태공전」, 「황비호실기」로 분화(分化)/분권(分卷) 되어 출간되었음을 알 수 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problems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Chinese novel Fengshenyanyi (封神演義) through the Chinese novel Hwangbiho Silgi (黃飛虎實記). Hwangbiho Silgi was published in 1932 with only 30 to 34 parts of the Chinese novel Fengshenyanyi. The text contains only the content regardless of the chapter and is divided into ten paragraphs. In terms of the translation, Fengshenyanyi was not translated as it is, but the contents were translated as close to the original as possible, and the parts that were difficult to understand were loosely translated. Therefore, Hwangbiho Silgi is a relatively original translation/translation, and demonstrates that when Fengshenyanyi was accepted and translated in the Chosun Dynasty era, it was translated differently than Seojuyeonui (西周演義). This is also evident in various other translations, including Bongsinji (封神誌). Therefore, Fengshenyanyi indicates that there were several translations in the domestic book market. By confirming the Hwangbiho Silgi translation, this analysis demonstrates how Fengshenyanyi was read in the classical novel market and published as Sodal Gijeon, Gangtae Gongjeon, and Hwangbiho Silgi.

      • KCI등재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신격의 서사적 상상력 탐구 : 『봉신연의(封神演義)』의 문중(聞仲)과 『전경』의 강증산(姜甑山) 서사를 중심으로

        유수민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20 대순사상논총 Vol.35 No.-

        This study examines the God, Jiutian Yingyuan Leisheng Puhua Tianzun (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 ‘Th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Celestial Worthy of Universal Creation through His Thunderbolt, the Originator with Whom All Beings Resonate’ in Daesoon Jinrihoe), in terms of narrative imagination, by investigating the narrative of Wen Zhong (聞仲) in Investiture of the Gods (Fengshenyanyi 封神演義) and the narrative of Kang Jeungsan (姜甑山) in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典經). This examination occurs along three dimensions: Firstly, I look into the cultural contexts of the image of the Thunder God (雷神) in Gojoseon (古朝鮮) mythology and the Korean seondo (仙道) tradition both of which are reflected in the narrative of Wen Zhong. At the same time, I also argue that the cultural contexts examined above are able to be found in the narrative of Kang Jeungsan. Secondly, I consider the essential meaning of the concept of “deifying” (封神) in the narrative of Wen Zhong and its connection to “the resolution of grievances” (haewon 解冤) in the narrative of Kang Jeungsan. Thirdly, I consider the traits of embracing heterogeneous things (異類) in the religious group “Jiejiao” (截敎) that Wen Zhong belonged to in relation to the values of “mutual beneficence” (sangsaeng 相生) that Kang Jeungsan pursued. In this study’s conclusion, I posit that the “mentalité” of Dong-yi (東夷) culture and tales including Yin (殷) is identifiable in narrative imagination applied to the God, Jiutian Yingyuan Leisheng Puhua Tianzun. This means that the nature of Jiutian Yingyuan Leisheng Puhua Tianzun is closely related to the tradition of Korean seondo and Korean Daoism. 본 논문은 명대 소설 『봉신연의(封神演義)』의 문중(聞仲) 서사와 대순진리회 경전 『전경』의 강증산(姜甑山) 서사를 비교 고찰함으로써,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격을 서사적 상상력의 차원에서 논의하고자 하였다. 논의는 다음의 세 가지 차원에서 진행되었다. 첫째, 『봉신연의』 문중 서사에 고조선 신화의 뇌신(雷神) 이미지와 한국 선도 전통의 문화적 맥락이 반영되어 있고, 그러한 문화적 맥락이 다시 『전경』 강증산 서사에서도 곳곳에 나타나 있음을 살펴보았다. 둘째, 『봉신연의』 문중 서사에 표현된 ‘봉신(封神)’이라는 개념의 본질을 『전경』 강증산 서사에 나타나는 ‘해원(解冤)’ 사상과 관련지어 고찰하였다. 셋째, 『봉신연의』에서 문중이 속해 있는 ‘절교(截敎)’라는 집단이 가지는 이류(異類) 포용의 특성을 『전경』에서 강증산이 추구하는 ‘상생(相生)’의 가치와 관련지어 논의하였다. 본 논문에서 도출한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 신격의 서사적 상상력에는 은(殷)을 포함한 동이계 종족의 설화와 문화에 대한 ‘망탈리테(mentalité)’가 반영되어 있었다. 이는 해당 신격이 태생적으로 한국 고유의 선도(仙道) 전통 및 한국 도교와 깊은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 KCI등재

        강태공전 : 초역(抄譯) 현상을 통해 본 방각본 소설시장의 일면

        주형예 열상고전연구회 2017 열상고전연구 Vol.57 No.-

        새로운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확보하는 것은 소설시장 성장의 주요한 조건이다. 중국소설은 조선의 방각본 소설시장에서 의미 있는 작품 공급원이었다. 조선에는 중국소설을 그대로 읽는 독자와 번역해서 읽는 독자, 번역․편집해서 읽는 독자가 있었다. 방각본 소설시장의 독자는 세 번째 부류에 해당된다. 이 논문에서는 방각본 소설시장에서 중국소설을 번역하고 편집하는 양상에 주목하였다. 중국소설 「봉신연의」는 17세기 경 「서주연의」로 완역되었고 대략 19세기에 이르러 「강태공전」으로 초역되었다. 초역된 「강태공전」은 「서주연의」와 다른 경로로 번역된 것으로 보이며, 발췌된 부분의 서술은 현존하는 「봉신연의」와 더 친연성을 보이기도 하였다. 초역된 「강태공전」을 작품 구성 자체는 세책본 유통 단계에서 이루어져서 편집․판각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소설시장에서 표준화된 텍스트로 기능한 것은 방각본 「강태공전」이었다. 「강태공전」은 「봉신연의」의 가장 주요한 구성 개념 ‘봉신’을 제거하고 인물의 일대기로 재편했고, 「봉신연의」의 방대한 에피소드 중에서 조선의 시정에서 공유하고 있는 가족 제도나 상식 윤리를 기반으로 하여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을 선택하였다. 이러한 현상을 통해서 볼 때, 방각본 소설시장에서 이루어지는 번역은 ‘자기 지식’의 범주 내에서 이루어진 시도였다. ‘자기’의 외연을 넓히고 객관화시키는 번역의 이상(理想)을 확연하게 이루지는 못 했지만, 자본과 인재 등 자원이 부족한 상황에서 시정의 지식을 형성하는 미미한 행보를 보였다. 이 논문에서는 「강태공전」 초역 분석을 통해, 방각본 소설이 줄거리 중심의 편집이라는 기존 논의를 심화시켜 지식을 편집하고 구성하는 양상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방각본 소설에서 새로운 지식을 수용하면서 기존 시정에 유통되던 지식의 성격을 드러냈다. 이 작품 형성 과정에서 드러난 ‘자기’는 시정에서 유통되었던 기존 지식, 가족 관계 경험, 효의 윤리 정도였다. 소설 상품으로서 「강태공전」은 중국소설에 대한 초역을 통해 강태공에 대한 일대기를 구성하는 성과를 냈으나 서술기법을 시험하거나 창의적 영역을 구축하였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소설시장에서 새로운 콘텐츠를 만들어낸 점은 분명하지만, 한계 또한 명확하게 드러내고 있었다. The important element in growth of novel market is steady production of new contents. In the block print edition novel market, Chinese novels are significant contents sources. Chinese novels’ readers in Joseon Dynasty are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read novels in chinese letters, the second group read novels in translated Korean alphabet, and the third group read in selected translated Korean alphabet. The readers of the block print edition novel market are the third type. In this study focused background of translation in Chinese novels in the block print edition novel market. Chinese novel 「Hoshin Engi(封神演義)」 made a complete translated in 「Seojooyeon(西周演義)」 around the 17th century and was translated selected passages in 「Kang- tae-gong-jeon(姜太公傳)」 in the 19th century. The selected translation 「Kang-tae- gong-jeon(姜太公傳)」 is not the same source with 「Seojooyeon(西周演義)」, instead is similar to 「Hoshin Engi(封神演義)」. But the selected translation 「Kang-tae-gong- jeon(姜太公傳)」 is made of the work not in the phase of the block print edition novel but in the phase of circulated books probably. 「Kang-tae-gong-jeon(姜太公傳)」 removed the word “封神(:set up god)” and reorganized one man’s life story, and chose episodes being comprehensible under the family system and experiences of their lives. Through the phenomena, we knew the translation in the block print edition tried within self-knowledges. They cannot achieve ideal that objectify and broaden ‘self’ but in spite of the lack of resources-capital, writers, publishers etc.-they showed process of producing street knowledges. This study showed the criteria in editing and composing knowledges. When they accept new knowledges, they chose them as existing their criteria. In the process of selected translation, they identified themselves. Composing this work, they showed street knowledges, family life, filial duty roughly. As a result, the product 「Kang-tae- gong-jeon(姜太公傳)」 cannot try narrative techniques, cultivate original ideas. It is quite evident that their novel market makes new contents but revealed their limitations as well.

      • KCI등재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 小考

        유수민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論叢 Vol.50 No.-

        This study regards Gangtaegongjeon(姜太公傳) as an adaptation from Fengshenyanyi(封神演義) and examines the adaptation aspect. The novel readers in late Joseon had a strong tendency to share Chinese novels which were not original texts but rather adaptations, being gone through their own ‘appropriation’ process. Gangtaegongjeon was one of them as wel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perspectives. Firstly, I discussed the form. I argued that the author of Gangtaegongjeon had attempted to follow the typical narrative structure of Joseon heroic novels including a biography of the one hero. I also investigated that the author had tried to provide convenience for Joseon readers by contracting the original text, resulting in popularization of the text. Secondly, I considered the content. I indicated that the author had attempted to minimize the fictional element and to make the readers have realistic political nature. I also examined that the author had tried not to be against the ideological principle, ‘filial piety(忠孝).’ Thirdly, I investigated the aspects of female readers’ influence to the text. I discussed that Gangtaegongjeon showed the female moral which advised readers to do good and to assist their husband well by means of borrowing the contrastive structure of Korean long piece novels, “legal wife-the good” and “concubine-the evil” and emphasizing on the story of Mrs. Ma(馬). I also indicated that it not only carried the female moral, but also reflected their resentment, resulting in alleviating the chagrin of them. Gangtaegongjeon reorganized Fengshenyanyi by ‘rewriting’ and created a new meaning. I tried to figure out how Joseon readers had actually shared the Chinese classical novels, by investigating the ‘manipulation’ which had been occurred while they had adapted the original text.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enhancement of mutual understanding about classical novel culture between Korea and China. 본 연구는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을 중국 명대 神魔小說 《封神演義》의 번안소설로 보고,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을 ‘전유(appropriation)’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함으로써 번안 메커니즘의 일면을 밝히고 한중 양국의 고소설문화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선의 소설독자들은 많은 중국소설들을 원작 그대로가 아니라 자국소설인 양 번안하여 ‘전유’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강태공전》도 그러한 작품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을 형식적 전유의 측면, 내용적 전유의 측면, 그리고 여성독자층의 영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형식적 측면의 전유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로 파악되었다. 첫째, 작자는 《封神演義》를 영웅 일대기적 서사구조로 재구성함으로써 조선 영웅소설의 문법을 따르고자 하였다. 둘째, 작자는 축약 번안을 통해 작품 독해의 대중성과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다음으로 내용적 측면의 전유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를 논의하였다. 첫째, 작자는 원작의 환상적 요소들을 축소시키고, 독자들의 역사의식 고취를 통해 현실적인 정치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둘째, 작자는 번안에 있어 충효 이데올로기의 원칙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독자층의 영향에 대해 다음의 두 가지 측면을 고찰하였다. 첫째, 《강태공전》은 장편국문소설의 정실(선)-첩(악) 대비구조 차용 및 마씨 고사의 강조를 통해 여성독자들에게 선과 내조의 덕목을 권하고자 하였다. 둘째, 소설의 주요독자층이었던 규방 여성들의 분노심을 투사하여 雪冤의 효과를 거두고자 하였다. 조선의 《강태공전》은 중국의 《封神演義》를 ‘다시쓰기(rewriting)’함으로써 원작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였다. 중국소설이 조선에 전파된 후 번역 및 번안되어 조선독자들에게 실질적으로 향유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의 지점들에 대한 궁금증에 착안하여 진행된 본고의 연구가, 비슷한 듯 하면서 엄연히 다른 한중 양국의 고소설문화에 대한 상호 이해의 증진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 小考

        柳秀旼 한국중국소설학회 2016 中國小說論叢 Vol.50 No.-

        본 연구는 조선후기 한글소설 《강태공전》을 중국 명대 神魔小說 《封神演義》의 번안소설로 보고,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을 ‘전유(appropriation)’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함으로써 번안 메커니즘의 일면을 밝히고 한중 양국의 고소설문화 차이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조선의 소설독자들은 많은 중국소설들을 원작 그대로가 아니라 자국소설인 양번안하여 ‘전유’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강태공전》도 그러한 작품들 중 하나이다. 본 연구는 《강태공전》의 《封神演義》 번안 양상을 형식적 전유의 측면, 내용적 전유의 측면, 그리고 여성독자층의 영향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형식적 측면의 전유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로 파악되었다. 첫째, 작자는 《封神演義》를 영웅 일대기적 서사구조로 재구성함으로써 조선 영웅소설의 문법을 따르고자 하였다. 둘째, 작자는 축약 번안을 통해 작품 독해의 대중성과 편의성을 도모하였다. 다음으로 내용적 측면의 전유 양상은 다음의 두 가지를 논의하였다. 첫째, 작자는 원작의 환상적 요소들을 축소시키고, 독자들의 역사의식 고취를 통해 현실적인 정치성을 획득하고자 하였다. 둘째, 작자는 번안에 있어 충효 이데올로기의 원칙에 충실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여성독자층의 영향에 대해 다음의 두 가지 측면을 고찰하였다. 첫째, 《강태공전》은 장편국문소설의 정실(선)-첩(악) 대비구조 차용 및 마씨고사의 강조를 통해 여성독자들에게 선과 내조의 덕목을 권하고자 하였다. 둘째, 소설의 주요독자층이었던 규방 여성들의 분노심을 투사하여 雪冤의 효과를 거두고자 하였다. 조선의 《강태공전》은 중국의 《封神演義》를 ‘다시쓰기(rewriting)’함으로써 원작을 재구성하고 새로운 의미를 창출하였다. 중국소설이 조선에 전파된 후 번역 및 번안되어 조선독자들에게 실질적으로 향유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변화의 지점들에 대한 궁금증에 착안하여 진행된 본고의 연구가, 비슷한 듯 하면서 엄연히 다른 한중 양국의 고소설문화에 대한 상호이해의 증진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regards Gangtaegongjeon(姜太公傳) as an adaptation from Fengshenyanyi(封 神演義) and examines the adaptation aspect. The novel readers in late Joseon had a strong tendency to share Chinese novels which were not original texts but rather adaptations, being gone through their own ‘appropriation’ process. Gangtaegongjeon was one of them as well.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perspectives. Firstly, I discussed the form. I argued that the author of Gangtaegongjeon had attempted to follow the typical narrative structure of Joseon heroic novels including a biography of the one hero. I also investigated that the author had tried to provide convenience for Joseon readers by contracting the original text, resulting in popularization of the text. Secondly, I considered the content. I indicated that the author had attempted to minimize the fictional element and to make the readers have realistic political nature. I also examined that the author had tried not to be against the ideological principle, ‘filial piety(忠孝).’ Thirdly, I investigated the aspects of female readers’ influence to the text. I discussed that Gangtaegongjeon showed the female moral which advised readers to do good and to assist their husband well by means of borrowing the contrastive structure of Korean long piece novels, “legal wife-the good” and “concubine-the evil” and emphasizing on the story of Mrs. Ma(馬). I also indicated that it not only carried the female moral, but also reflected their resentment, resulting in alleviating the chagrin of them. Gangtaegongjeon reorganized Fengshenyanyi by ‘rewriting’ and created a new meaning. I tried to figure out how Joseon readers had actually shared the Chinese classical novels, by investigating the ‘manipulation’ which had been occurred while they had adapted the original text. I believe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enhancement of mutual understanding about classical novel culture between Korea and China.

      • KCI등재

        명대 소설 『봉신연의(封神演義)』에 표현된 신선·도교문화

        유수민(Yoo, Su-Min) 한국도교문화학회 2021 道敎文化硏究 Vol.55 No.-

        본 논문은 명대 소설 『봉신연의』에 표현된 신선·도교문화를 서사적 상상력의 관점에서 고찰하였다. 논의는 다음의 네 가지 논점을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첫째, 주요 등장인물들이 모두 선인(仙人)이라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선인은 불사를 추구하며 주술적 비상(飛翔)을 실현하는 존재이다. 그리고 천계에서 수립한 이른바 ‘봉신계획’이란 인간계의 은주혁명과 맞물리며 전투에서 희생되어 죽은 자들을 신으로 봉하는 계획으로, 바로 이 선인들의 품계를 정하는 계획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삼시(三尸)의 제거가 등장인물들의 주요 과업이라는 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체내에 존재하는 삼시는 인간의 잘못을 사명에게 고해바쳐 인간의 수명을 단축시키므로 삼시의 제거는 곧 장생불사를 이루기 위한 주요 과업이 된다. 그러나 소설에 등장하는 선인들은 대개 삼시를 제거하지 못한 상태이며, 그로 인해 살겁(殺劫)을 수행하는 봉신 전투에 참여하는 운명을 맞이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더 많이 희생되는 쪽은 은(殷)의 편에 선 절교(截敎) 선인들로, 그들의 충동과 분노의 정서는 바로 삼시의 작용과 맞닿아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기(氣) 수련을 통하여 개체변환을 이룬 선인들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개체의 변환은 기화우주론의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이루어진다. 절교 선인들 중에는 본래 동물·사물이었다가 기의 수련을 통해 인간으로 변화한 후 득선한 자들이 많은데, 이를 통해 신선가학론의 입장이 수용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끝내 출신 때문에 천교(闡敎) 선인들을 능가하지 못한다는 점에서 신선기품론이 기저에 깔려 있음도 확인된다. 넷째, 각종 법술(法術)의 운용에 대해 논의하였다. 우선 거울 조요보감(照妖寶鑑)과 채찍 타신편(打神鞭), 자웅편(雌雄鞭)의 경우를 통해 신선설화에 등장하는 축귀구마의 주구가 소설에서 주요 법보로 활용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본래 위해로부터의 방어 및 질병 치료가 주요 기능인 부적·주문 활용 법술이 소설에서는 상대를 공격하고 위험에 빠뜨리는 법술로 묘사되고 있음을 고찰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신선·도교문화가 『봉신연의』의 중요한 서사적 상상력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나아가 신선·도교문화는 비단 전통적 상상력으로서만 유효한 것이 아니라 오늘날 대중들이 향유하는 ‘선협(仙俠)’이라는 장르의 문화콘텐츠에서도 중요한 상상력으로 작용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다각적 논의가 필요하며, 이는 후일을 기약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mortal-Taoist culture expressed in the Ming novel Fengshenyanyi (封神演義) from the perspective of narrative imagination. The discussion was based on the following four points. First, it was discussed that almost all of the main characters are immortals (仙人). Immortal is a being who pursues immortality and realizes magical flight. So-called ‘Fengshen (封神) Plan’ established in the heavens is a plan to entrust the dead who died in the battle in conjunction with the Shang and Zhou Revolution (商周革命) in the human world, and it can be said that it is a plan to determine the ranks of these immortals. Second, it was argued that the removal of Three Corpses (三尸) is the main task of the characters. The Three Corpses that exist in the body shorten the lifespan of humans by confessing their mistakes to the god Si Ming (司命), so the removal of the Three Corpses soon becomes the main task to achieve longevity and immortality. However, the immortals in the novel actually have not been able to get rid of the Three Corpses, and as a result, they are destined to participate in the Fengshen battle of killing each other. Among them, the most sacrificed are the immortals of JieJiao (截敎) sect who are on the side of Shang (商), and their impulses and emotions of anger are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action of the Three Corpses. Third, the immortals who achieved individual transformation through qi (氣) training were discussed. The individual transformation is made based on the thinking of the Cosmology of Qi-Hua (氣化宇宙論). Among the immortals of JieJiao, there are many people who were originally animals and things, but through the training of qi, they changed into humans and finally became immortals.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the position that one can learn and become an immortal is accepted. However,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position that an immortal is born with innate quality is underlying in that they cannot outperform the immortals of ChanJiao (闡敎) sect because of their origin. Fourth, the operations of Taoist magic (法術) were discussed. Through the case of the mirror ZhaoYaoBaoJian (照妖寶鑑), the whip DaShenBian (打神鞭), CiXiongBian (雌雄鞭), it was examined that the magic tools to chase away ghosts and demons appearing in the immortal tales are being used as the main magical weapons in the novel. In addition, it was considered that the magic of using amulets and spells, whose main functions are defense from harm and treatment of diseases, is depicted as a magic that attacks and endangers the opponent in the novel. The discussion in this paper is intended to reveal that immortal-Taoist culture is acting as an important narrative imagination of Fengshenyanyi. Furthermore, since immortal-Taoist culture is not only effective as a traditional imagination, but also works as an important imagination in the cultural content of the genre of "XianXia (仙俠)" that the public enjoys today, a multifaceted discussion is needed.

      • KCI등재

        《封神演義》 姜太公 형상의 서사적 재현 고찰

        유수민 한국중국소설학회 2022 中國小說論叢 Vol.68 No.-

        ‘낚시’로 잘 알려진 강태공은 중국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인지도가 높은 은주시대 역사 인물이다. 한국에서 강태공은 ‘대기만성형 인물’이자 ‘신적 존재’, 그리고 ‘무능한 남편’의 이미지들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데 이는 조선시기 크게 유행했던 명대 소설 《封神演義》와 관련이 깊다. 이에 본고는 《봉신연의》 강태공 서사를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소설 서사가 빚어낸 강태공 인물 형상의 특징 및 의미를 구명해보고자 하였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부침이 있기는 했지만, 강태공은 오랜 시간동안 사람들에게 뛰어난 병법가이자 정치가, 그리고 신선⋅도사 혹은 신적 존재로 여겨져 왔다. 《봉신연의》 강태공 서사에도 이러한 다양한 모습들이 반영되어 있음이 확인된다. 그러나 문인 작자의 도교 성향 및 정치적 이상, 그리고 명대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분위기 등의 작용으로 인하여 특정 형상들이 부각된 채 표현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점들에 주목하여 봉신계획을 수행하는 선인, 무왕벌주 전쟁을 이끄는 제왕사, 대기만성형 인물 이렇게 세 가지 형상의 서사적 재현 양상을 고찰하였다. 《봉신연의》는 그 풍부한 서사적 스토리텔링 덕분에 도교문화 및 민간 신앙과 긴밀한 관계를 갖는다. 풍부한 서사성을 지닌 《봉신연의》는 비단 종교문화뿐 아니라 오늘날 문화콘텐츠 업계에서도 각광받는 데이터베이스로 기능하고 있다.

      • KCI등재

        ≪封神演義≫와 현대 애니메이션 창작열 小考

        천대진 동아인문학회 2023 동아인문학 Vol.65 No.-

        본고는 명대 백화소설 ≪봉신연의≫가 현대 문화콘텐츠 중에서도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두드러진 창작 소재로 활용되는 動因에 주목하여 현재까지 상영된 다섯 편의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중국 애니메이션 시장은 그간 <熊出没>와 같이 어린 연령을 대상으로 하는 작품을 통해 초기 흥행을 이끌어 왔고, <白蛇> 시리즈와 ≪봉신연의≫를 소재로 한 다섯 편의 작품을 연이어 제작하면서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루고 있다. 특히 소설 ≪봉신연의≫의 주요 등장인물인 나타・강자아・양전의 현대적 창작유형은 ‘spin-off’의 발전모형과 ‘시리즈’의 발전모형을 동시에 형성해 나갈 정도로 양적 성장을 이뤄나가고 있다는 점에서 세간의 주목을 끈다. 이러한 최근의 작품들은 현실 소재의 제한성을 과감하게 벗어나서 인물의 전형성을 효과적으로 창조하였고, 애니메이션의 목표 관객을 아동이 아니라 일반 대중으로 확장하였으며, 중국의 영화 기술의 빠른 성장이 더해지면서 전례 없는 흥행으로 이어졌다. ≪봉신연의≫라는 단일 소재에 대해 단기간에 다작의 애니메이션이 쏟아져 나온 사례는 중국 애니메이션 산업의 한 획을 긋는 일이라 할 만하며, 향후 이 분야의 성장에 기대감을 갖게 한다. This paper focused on the reasons why the Ming Dynasty's famous novel ‘≪封神演義(Feng-Shen-Yan-Yi)≫’ was used as a prominent creative material in the field of animation among modern cultural contents, and examined five films that have been screened to date. In the Chinese animation market, works targeting younger audiences, such as ≪熊出没≫, have led the initial box office success, and the ‘白蛇 series’ and five works with the theme of ≪Feng-Shen-Yan-Yi≫ have garnered a lot of love from the public, and achieved decent growth. In particular, the modern creative types of ‘Ne-Zha’, ‘Jiang-Zi-Ya’, and ‘Yang-Jian’, the main characters of the novel ≪Feng-Shen-Yan-Yi≫, are attracting public attention in that they are achieving quantitative growth to the extent of forming 'spin-off' and ‘film-series' creative models at the same time. These recent works boldly broke away from the limitations of real-life materials to effectively create character typicality, expanded the target audience of animation from children to the general public, and, coupled with the rapid growth of China's film technology, led to unprecedented box office success. The case of a large number of animations being produced in a short period on a single material called ≪Feng-Shen-Yan-Yi≫ can be said to mark a milestone in the Chinese animation industry, raising expectations for the growth of this fiel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