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훈민정음의 <언해본>: 고려대 도서관 육당문고 소장의 「훈민정음」을 중심으로

        정광 민족어문학회 2020 어문논집 Vol.- No.88

        King Sejong the Great created a new writing system, Hunmin-jeongum, and provided explanations about this new script in three ways. The first is the original version of Hunmin-jeongeum called Haeryebon, Explanatory version which contains a postface written by Jeong, In-Ji in September of the 11th year(1445) of Zheng Tŏng (正統). The second is Hunmin-jeongeum included in the Annals of King Sejong (Volume 103) written in September of the 28th year of King Sejong, and it is called Shillok version. The third is the Korean-translated version of Hunmin-jeongeum, which contains only King Sejong’s Preface and the Samples and Significance, and it was attached to the beginning part of the Buddhist scriptures called Weolin-seokbo. This commentary, generally referred to as Eonhaebon, Translated version has also been passed down as a separate volume. This paper examines the Hunmin-jeongeum Korean translated version housed in the library of Korea University. The first sheet of this edition differs from that of Sejong-eoje-hunmin-jeongeum, King Sejong’s hunmin-jeongeum known as Korean translated version until now. In this study, it is argued that the Hunmin-jeongeum housed in Korea University is the edition attached to the earlier edition of Weolin-seokbo published during King Sejong’s reign and Confucian scholars working as government officials separated this part of Weolin-seokbo and used it for the study of Hangul. In addition, it is claimed that Sejong-eoje-hunmin-jeongeum attached to the newly edited version of Weolin-seokbo, which has been known as Korean translated version so far, is the version revised during King Sejo’s reign, and it is the same edition but the title and contents of the first sheet were revised while the remaining parts were used unaltered. These claims were based on the xylographic book housed in Korea University,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s a clearer understanding of the compilation and publication of Translated version which have not yet been fully elucidated thus far. 세종대왕은 새로운 문자인 훈민정음을 창제하고 세 가지 방법으로 이 문자를 해설하였다. 첫째는 <해례본>이라고 불리는 원본 훈민정음으로 세종의 어제(御製) 서문, 예의(例義), 해례, 그리고 정통(正統) 11년(1445) 9월에 쓴 정인지의 후서(後序)가 있다. 둘째는 『세종실록』(권103) 세종 28년 9월조에 실린 훈민정음으로 <실록본>으로 <해례본>에서 ‘해례(解例)’ 부분만 빠졌다. 셋째는 훈민정음에 대한 세종의 서문(序文)과 예의(例義)만을 언해한 것으로 『월인석보』라는 불경(佛經)의 권두(卷頭)에 첨부되었다. 보통 <언해본>으로 부르는 이 해설서는 단행본으로도 전해진다. 첫째와 둘째를 한데 묶어 <한문본>, 셋째를 <언해본>이라 하여 양분하기도 한다. 이 논고는 고려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된 단행본의 『훈민정음』의 <언해본>에 대하여 고찰한 것으로 이 판본은 그동안에 <언해본>으로 알려진 「세종어제훈민정음(世宗御製訓民正音)」과 첫 장만이 다르고 나머지는 모두 동일한 동판본(同板本)임을 밝혔다. 이 논문에서는 고려대에 소장된 『훈민정음』이 세종 때에 간행된 훈민정음의 <언해본>이며 『월인석보』의 구권(舊卷)에 첨부된 것을 유신(儒臣)들이 따로 떼어 훈민정음, 즉 한글의 학습에 사용한 것으로 보았다. 반면에 지금까지 <언해본>으로 가장 이른 시기의 것으로 알려진 「세종어제훈민정음」은 세조 때에 수정한 것으로 『월인석보』의 신편(新編)에 첨부되었다. 이것은 고려대학교 소장본의 『훈민정음』과 같은 판본이지만 첫 장의 제목과 내용을 수정하고 나머지는 같은 책판을 그대로 쇄출(刷出)한 것이다. 이러한 주장은 고려대학교에 소장된 판본(板本)을 근거로 한 것으로 그동안 학계에서 애매했던 <언해본>의 편찬과 간행을 분명하게 밝힐 수 있었다.

      • KCI등재

        특집: 조선후기 언어(言語).문자(文字) 연구와 지식 교류 : 조선후기 훈민정음의 유통과 담론의 양상

        이상혁 ( Sang Hyeok Lee ) 한국실학학회 2015 한국실학연구 Vol.0 No.29

        이 글은 크게 훈민정음의 유통 및 담론과 관련하여 왕실과 당시 사대부층의 거시적인 언어 및 문자 의식을 당시 지식 지형의 맥락에서 탐색해 본 논문이다. 조선후기는 ‘훈민정음’ 담론과 관련하여 크게 세 가지의 맥락이 있었다. 실록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세종이 창제한 훈민정음을 그 기능에 맞춰 ‘언문’으로 이해하고 사용하고 유통한 흔적을 실록 텍스트에서 발견한다. 이 때 훈민정음의 주체는 왕실이었고 그들에게 훈민정음은 그 시대 사대부층이 고민한 ‘훈민정음’, 혹은 ‘언문’과는 그 인식 태도가 달랐는데 그것은 훈민정음의 ‘제도적 사용’이라는 맥락과 맞닿아 있다.그 반면에 조선후기 사대부층이 인식한 훈민정음은 ‘천하의 성음(聲音)’이자 표음성을 갖춘 보편 문자이고 반절법을 극복할 수 있는 한자음 표기의 수단이었다. 그리고 그것은 누구나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는 것이었으며 ‘한자’보다 뛰어난 ‘국자’의 인식이 자리잡기도 했다. 그러나 그것만이 그들의 언어, 문자 의식은 전부는 아니었고 한편으로 여전히 한문으로 의사를 표현했던 그들에게 훈민정음은 관념적으로만 높이 평가되었던 대상이기도 했다.그리고 당시의 학자들은 한문과 훈민정음이 양과 음의 세력으로 대립할 때 최소한 둘 사이의 공존 혹은 병존을 언급할 수는 있었어도 한문을 적극적 부정할수 없었고 그 안에는 한문 혹은 중국어 중심의 동문주의(同文主義)가 있었다. 한편으로 그 양의 세력이 위축될 것이라는 근대지향적 인식의 단초를 보여 준 학자 들의 인식이 포착되지만 조선후기 훈민정음에 대한 태도는 거기까지였다. 그런 의미에서 이 시대는 훈민정음 담론이 착종(錯綜)하는 혼돈의 시대였고 훈민정음 담론은 다양해졌으나, 그것을 새로운 언어 문자 생활의 실천으로 옮겨가는 과정은 지식인 집단에게 다소 긴 시간을 필요로 했다. This article deals with the discourse and distribution of the Hunminjeongeummanuscript, and it explores how the royal family and noble clas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ought of macroscopic language and characters at the time.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re were three major contexts related to the discourse of the Hunminjeongeum. As can be seen through analyzing the annals of "Sillok", the Hunminjeongeumthat was created by King Sejong was understood as a script for colloquial language, and evidence of this along with its use and distribution are found in the text of the "Sillok". At the time the Hunminjeongeum``s agent was the royal family, and their way of thinking of the Hunminjeongeumdiffered from the period``s noble class and its concerns for the Hunminjeongeum or its understanding of it as a script for colloquial language. On the other hand, scholars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ought of the Hunminjeongeumas the whole country``s voice(聲音) and as a universal script with phonetic representation. It was a method for expressing the sounds of Sino-Korean language that could overcome Banjeolbeop. As something that anyone could easily learn and become familiar with, an understanding that it was the nation``s script and superior to Chinese characters took hold. However, that wasn``t the whole of their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characters, and to those scholars, who like before expressed their intentions through Chinese, the Hunminjeongeumwas something held in high esteem only ideologically. Additionally, scholars from that time mentioned the coexistence ofChinese characters and Hunminjeongeumwhen the two conflicted, like in the way that ``eum(陰)`` and ``yang(陽)`` do. However, Chinese characters could not be actively disavowed, and within that Chinese characters or the Chinese language were central to Dongmunjuui (同文主義). This captures the understanding of scholars who showed the beginnings of seeing the shrinking of the forces of yang as something with a modern aim, but the attitude towards the Hunminjeongeumfrom the era of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stopped there. With that kind meaning, this era was a turbulent one in which the discourse of Hunminjeongeumwas all tangled up. The Hunminjeongeum discourse diversified, but the process of moving towards a new language script lifestyle would require a great deal of time for the intellectuals.

      • KCI등재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과 영향관계 : 19세기 말∼20세기 전반기, ‘국어학’ 학술네트워크 고찰을 위하여

        서민정(Seo, Min-jeong),최규수(Choi, Kyu-soo)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0 코기토 Vol.- No.90

        ‘훈민정음’은 일제강점기 이후 일본 제국에 저항할 수 있는, 민족적 자부심이 담긴 대표적인 유산으로 여겨왔다. 그리고 그러한 인식은 19세기 말∼20세기 초의 지식인, 특히 국어학자들의 훈민정음에 대한 연구성과와 직접 연결되어 있다. 특히 ‘허웅’은 20세기 전반기의 국어학 연구나 언어에 대한 인식 등을 현재까지 잇는 중간 역할을 하였다는 측면에서 ‘허웅’의 훈민정음 인식에 대해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앞선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 온 주시경, 권덕규, 김윤경, 최현배, 홍기문 등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이나 연구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것은 허웅(1974가, 나)에서 볼 수 있듯이 그의 말과 글의 관계나, 한글전용과 같은 언어 정책에 대한 입장 등은 대부분 ‘훈민정음’ 특히 ‘어제서문’의 해석과 관련하여 설명되고 있어서 그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검토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허웅은 학문에 대한 태도는 실증적이고 엄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고 스스로도 그러한 관점에서 연구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훈민정음 서문의 해석에서는 앞선연구의 전통을 그대로 이어받아 실증적이고 비판적인 태도를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허웅의 관점이 허웅의 학문적 태도에서 출발했다기보다는 훈민정음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그만큼 맹목적인 부분이 있었기 때문이었음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은 『한글과 민족 문화』(1974ㄱ)에 선명히 나타나 있는데, 이외에도 『우리말과 글의 내일을 위하여』(1974), 『우리말과 글에 쏟아진 사랑』(1979), 「세종의 언어 정책과 국어 순화 정신」 (1980), 『이삭을 줍는 마음으로』(1981) 등에서도 그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엿볼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위의 자료를 바탕으로 허웅의 훈민정음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자 한다. Since the flowering period, ‘Hunminjeongeum’ has been understood as a representative heritage showing the pride of the people who oppose the Western modernity or resist the Japanese empire. In this process, it was natural that the research related to the Hunminjeongeum of intellectuals, especially Korean scholars, became the basis. So far, in the previous study, discussions about Hunminjeongeum such as Ju Si Kyung, Kwon Duk Kyu, Kim Yoon Kyung, Choi Hyun Bae, and Hong Gi Moon have been discussed to some extent. However, there is a need for this research in that the review of the ‘Hunminjeongeum’ by Mr. Huh has not been done yet. As we can see in Huh Woong(1974, I) in particular, the relationship between his words and writings, and the position of language policy, such as Hangul, are mostly explained in relation to the contents of ‘Hunminjeongeum’, especially ‘Preface’, which makes it more necessary to examine his perception of ‘Hunminjeongeum’. On the other hand, as discussed in Seo Min-jeong(2011), “Hunminjeongeum” and “Preface” were translated into the language of the 15th century (say) and translated into the language of the 20th century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The material that reveals Huh Woong’s awareness of Hunminjeongeum is “Hangul and National Culture”(1974). Other than that, for the sake of Korean and Writing tomorrow (1974), Korean and Writing Love(1979), Sejong’s Language Policy and Korean Refinement Spirit(1980), Isaac’s Mind, etc.(1981), and the Korean and Korean Cultures(1974, Sejong University, and the Korean People’s Association(1974), The Korean language policy is also discussed, and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he Hunminjeongeum can be said to be followed by the Korean language policy. Based on the above data,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Hunminjeongeum by Mr. Huh. In this study, we found that the attitude of Huh Hung"s scholarship showed a different pattern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preface of Hunminjeongeum. And it was examined that such aspect did not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situation of the times rather than the problem of attitude of Heung. Based on these considerations, we should recognize that it is time to reinterpret and evaluate Hunminjeongeum.

      • KCI등재

        <훈민정음 용어 사전>의 구축과 그 쟁점-원본 『훈민정음(訓民正音)』(1446)의 <예의(例義)>를 중심으로-

        이상혁 ( Sanghyeok Lee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5 No.-

        이 논문은 15세기의 민족 문화 유산이자 인문 고전인 『訓民正音』의 <例義> 부분을 중심으로 <훈민정음 용어 사전>의 구축을 위한 사전 편찬 기술의 여러 문제를 살펴본 것이다. 『訓民正音』은 신문자와 관련하여 단순히 그 언어학적 견해뿐만이 아니라, 문자학, 중국 성운학, 역철학 등의 개념과 내용을 담고 있는 문헌으로서 사료적 가치는 대단하다. 이 논문의 본문에서는 훈민정음 용어 사전의 구축의 전제로 한문본 『訓民正音』의 텍스트 구조에 대한 이해, 훈민정음 용어 사전의 거시적인 편찬 방향, 올림말의 선정과 수록 범위의 문제, 올림말의 배열과 표기, 원어 정보의 문제, 뜻풀이와 우리말 번역의 문제, 참고어의 문제 등에 대하여 심도 있게 다루었다. 또한 마지막으로 훈민정음 용어가 그 사전에서 실현될 수 있는 실제 편찬의 예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訓民正音』은 텍스트 자체가 한문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대중적 제약이 있다. 그러나 한글의 원형, 훈민정음의 문헌 『訓民正音』이 대중과 만나고 그 역사적 가치를 넓게 공유하기 위한 접근으로 <훈민정음 용어 사전>의 구축은 인문학적으로 필요한 실천적 작업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uss several problems for the compilation of the popular Hunminjeongeum terminology dictionary. Hunminjeongeum(訓民正音) is a national cultural heritage and carries significant historical value as this document shows Hangeul`s original form. However, Hunminjeongeum wa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and thus, cannot be easily understood by the general public.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asily explain the terms appearing in the text in Korean. This paper deals with the linguistic and lexicological problems associated with compiling a terminology dictionary of Hunminjeongeum. This thesis first examines the text structure of the “Hunminjeongeum”. In addition, in this paper I propose a new method for the translation of the Hunminjeongeum terminology, and also examine the direction of macroscopic compilation of the Hunminjeongeum dictionary, the selection and recording range of the headwords, the arrangement and notation of the headwords, and the problem of reference vocabulary. Finally, I attempt to give an example of a practical compilation in which the Hunminjeongeum terminology can be realized in a dictionary.

      • KCI등재

        초급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훈민정음’ 관련 교육 내용 연구

        손진희(Son, Jin-hee)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인문과학연구 Vol.0 No.61

        본 논문은 초급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한글 혹은 훈민정음’의 교육 내용을 확인하여, 교재별 차이점과 문제점은 없는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7종의 초급 한국어 교재를 선정하여 ‘훈민정음’과 관련된 교육 내용을 ‘훈민정음’의 명칭과 뜻, 창제자, 창제 목적, 제자 원리, 자모 명칭, 표기 방법, ‘훈민정음’과 관련된 정보, 자료의 범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살펴본 결과 다음을 알 수 있었다. 첫째, 한국어 교재에서 ‘훈민정음’에 대한 교육 내용은 훈민정음의 뜻, 창제자, 시기, 창제 목적, 제자 원리, 자모 명칭, 표기 방법 등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었다. 둘째, 한국어 교재마다 ‘한글’만 제시하거나 ‘훈민정음’도 같이 제시하는 등 제시된 내용이 각각 달랐다. 셋째, 한국어 교재에 잘못된 정보가 들어가 있거나 사실을 오해할 수 있는 경우가 있었다. 훈민정음의 창제자를 ‘세종대왕’으로 정확하게 언급한 경우도 있었지만, 잘못 표현한 경우도 있었다. 넷째, 한국어 교재에서는 한글 자모의 제자 원리와 자음 이름, 음절 구조 등은 비교적 자세히 설명해 주고 있다. 다섯째, 한국어 교재에서 ‘훈민정음’과 관련된 정보와 세종대왕 동상, 세종대왕 초상화, 훈민정음 언해본, 훈민정음 해례본 등의 삽화, 사진, 도판 등을 제시하여 이해를 도와주고 있었다.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초급 한국어 교재에 ‘한글’과 ‘훈민정음’에 대한 교육 내용이 어떠한 것이 제시되고 있는지 알 수 있었으며, 그 차이와 문제점도 파악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contents of "Hangeul (Korean alphabet) or Hunminjeongeum" shown in the Korean language textbooks (KLT) for beginners and suggest the problem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t by category of data for the educational contents related to the "Hunminjeongeum" after choosing the seven kinds of Korean language for beginners. From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bove, it may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contents of "Hunminjeongeum" in the KLT have been suggested in various ways. Second, this study has found out that there were different contents suggested as the "Hangeul" or the "Hunminjeongeum". Third, there were cases that the false information was included in the KLT and that there was a misunderstanding about the facts. Fourth, the KLT expressed the principle of composing Hangeul letters, names of consonants and syllable structure relatively in detail. Fifth, the KLT helped people understand it by suggesting the illustration, picture, etc.

      • KCI등재

        일반문자학에서 바라본 훈민정음

        연규동(Yurn, Gyudong)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7 동방학지 Vol.181 No.-

        본 논문은 일반문자학적 관점에서 서양의 학자들이 훈민정음을 어떻게 이해해 왔는지 살펴본다. 이러한 연구는 지금까지 이미 여러 번 정리된바 있지만, 본 논문에서는 훈민정음의 문자적 특징, 창제 배경 등 주요 논점에 따라 검토하였다. 서양의 문자학자들이 제시하고 있는 훈민정음의 주요 특징은 크게 도상성, 자질성, 비선형성의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세 가지 특징은 훈민정음의 과학성, 체계성, 실용성에 바로 대응이 된다. 훈민정음의 문자 유형에 대해 서도 여러 가지 논의가 이루어졌는데, 이는 주로 훈민정음의 특징 중 어느 것에 주목하느냐에 따라 달라진다. 문자학자들은 훈민정음이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큰 문자로 파스파 문자와 인도계 문자를 언급하는데, 이는 국내 학계의 분위기 와는 다른 셈이다. 서양의 문자학계에서 이루어진 연구 성과 중에서 과도한 상찬의 말이나 사소한 오류에 집착하기보다는, 앞으로 훈민정음 연구에 있어서 일반적 연구 성과를 어디까지 받아들이고 우리가 더 주목하고 참고할 것은 무엇인지 하는 관점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런 과정을 통해서 훈민정음이 가진 문자론적 가치를 보편적으로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일반문자학적인 관점에서 훈민정음이 기여할 바가 무엇인지가 더욱 뚜렷이 드러날 것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present outcomes and prospects of Hunmin jeongeum from the graphological view. Although this sort of study has already been compiled several times, we has newly examined how Western scholars understood Hunmin jeongeum by major issue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Hunmin jeongeum and the background of its inventions. The principal traits of Hunmin jeongeum, which are proposed by Western scholars, can be summarized in three major ways; iconicity, featural system, and non-linearity. There have also been various discussions among Western scholars about the script types of Hunmin jeongeum, which mainly depend on which of the characteristics of Hunmin jeongeum are noted. Western scholars refer to Phags-pa script and Indian scripts as scripts that are highly likely to affect Hunmin jeongeum, which is different from the atmosphere of the Korean academia. Instead of focusing on excessive praise of Western scholars or trivial errors, we need to approach the point of view of how we accept Western research achievements and what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in future studies of Hunmin jeongeum. Through this process,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value of Hunmin jeongeum universally, and it will be more evident what Hunmin jeongeum contributes from the point of view of the study of writing systems or graphology in general.

      • 훈민정음과 가림토문자의 제자制字 및 체계體系에 관한 역易학적 분석 검토

        이익환(Lee, Ik-Hwan) 세계환단학회 2021 세계환단학회지 Vol.8 No.1

        『훈민정음해례』는 『훈민정음』 에 음양오행의 역학易學 이치가 기본으로 깔려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하고 있다. 자음 기본글자 다섯의 모양은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을 본떠서 만들었다고 되어있다. 그리고 다른 자음들은 이 기본글자들을 바탕으로 해서 만들었다. 기본모음은 열한 개 인데, 그 중 가장 기본이 되는 셋(·, ㅡ, ㅣ)은 천지인삼재天地人三才에 근거하여 만들었다. 그 셋을 근거로 하여 우선 초출 4모음(ㅗ,ㅏ,ㅜ,ㅓ)을 만들고, 다시 그 4모음과 사람(즉, ㅣ)이 작용하여 재출 4모음(ㅛ,ㅑ,ㅠ,ㅕ)을 만들어 낸다. 이 과정에 음양오행과 위수位數의 작용이 개입된다. 이러한 역학의 이론을 분명히 밝히기 위해서 『주역周易』의 기본이 되는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주역과 팔괘, 및 하도상생河圖相生과 낙서상극洛書相克을 논의한다. 이들이 가림토문자加臨土文字와 『훈민정음』의 글자 및 그 배열 순서를 분석하는데 중요하다는 것을 보인다. 필자는 가림토문자가 『훈민정음』의 글자 모양을 결정하는 데 참고가 된 당시의 속용문자들 중 가장 중요한 문자였다고 추정하고, 당시 이 가림토문자의 존재를 알려주는 직간접적 증거들을 논의하였다. 그리고 단군조선 이전에 쓰인 것으로 추정되는 녹도문자鹿圖文字와 가림토문자와 유사한 일본의 소위 신대문자神代文字도 그 정체를 검토하였다. 글자의 모양을 만드는 과정에 『훈민정음해례』 및 다른 자료에 언급된 ‘자방고전字倣古篆’이라는 표현에서 고전古篆이 어떤 문자를 말하는지 검토하였다. 여러 속용문자들 중 가림토문자가 『훈민정음』 의 글자를 만드는데 가장 중요하게 이용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래서 필자는 『훈민정음』 기본 5자음 제자원리를 다음과 같이 추정한다: (1) 일상 대화에서 들리는 소리(音)를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을 이용하여 그 소리에 대응되는 글자 모양의 ‘글자심상心象’을 형성한다. 이것이 추상적인 대상의 상형象形이다. 즉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을 마음에 추상적으로 그리는 그림이다. 이 과정이 문자 제자 역사에 없던 창의적인 방법이다. 그래서 ‘창제創制’라는 표현이 적절하다. (2) 그 소리 나는 모양을 상징象徵하는 글자는 기존의 속용문자俗用文字 중에서 택해 모양을 그대로 혹은 조금 변경해서 사용한다. 이 과정이 자방고전字倣古篆이다. 이 (1),(2)의 두 과정이 연속적 작업으로 거의 동시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 여기 속용문자로는 가림토문자를 중요하게 이용한 것으로 본다. 이렇게 하여 만들어진 『훈민정음』의 자모 글자들이 가림토문자의 자모 글자들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이기 위해 음양오행의 이치로 양쪽 문자들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림토문자와 『훈민정음』의 순서가 다른 것은 오행의 위치 변화가 위수位數의 변화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수水와 화火의 위수 변화를 이용하기도 하고 금金과 화火가 오행위치를 바꾸는 금화교역金火交易의 이치를 이용하기도 한다. 『훈민정음』과 가림토문자를 역학적易學的으로 검토하니 이 두 문자의 제자원리가 대부분 설명된다. 『훈민정음』과 가림토문자는 제자나 오행의 논리상 유사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자방고전字倣古篆’이라는 표현에서 고전古篆은 가림토문자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훈민정음』이 초성 기본 5자음과 중성 기본모음 열한 글자들의 모양을 속용문자인 가림토문자를 중요하게 참고하였다고 하여도 『훈민정음』을 ‘창제했다’는 그 독창성에는 흠결이 되지 않는다. 이 작업은 창제 작업의 두 번째 단계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업은 다른 문자 발생 역사에서 없던 일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훈민정음』은 창의적으로 만들어진 문자이다. 모음도 기본 세 글자를 천지인삼재天地人三才의 정신으로 모음의 ‘글자심상’을 형성했다. 여기에 적합한 글자 모양을 하늘은 둥글게, 땅은 평평하게, 그리고 사람은 세우는 것으로 기획한 것이다. 이것 역시 창의적인 작업이다. 속용문자들의 존재를 인정하는 것은 세종대왕 이전에 한자가 아닌 우리 배달민족의 얼이 담긴 고문자의 역사를 인정하는 것이 되며, 우리 고대 문자역사의 복원은 단군조선檀君朝鮮은 물론 환단시대桓檀時代의 전체 역사복원에도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 이 일련의 작업은 당시 사용되고 있던 중국의 한자를 우리 민족의 얼이 담기는 문자로 바꾸어 국권을 선양하려는 애국정신과 백성들의 생활을 편하게 하려는 위민정신爲民精神에 투철했던 세종대왕의 독창적 발상에 의한 것이었다고 믿는다. 특히 청취한 소리에 대해 조음위치와 조음방법을 상형해서 글자심상을 형성해 자방고전의 과정을 거쳐 만들어 낸 『훈민정음』은 정인지가 『훈민정음해례』 서문에 “我殿下創制正音二十八字”라고 밝힌 대로 ‘세종대왕이 창제한 문자’이다. In both Hunminjeongeum and Hunminjeongeum Haeryebon, it is mentioned that the Korean alphabets were created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s of Yin(陰)-Yang(陽) and Five-Elements of the universe. Each of the five basic consonants was modeled after its point and manner of articulation. Other consonants were created on the basis of these five consonants. The three basic vowels ·, ㅡ, ㅣ represent Heaven, Earth, and Humanity, respectively. Other vowels were produced by combining these three vowels in various ways. In these processes the philosophy of Yin(陰)-Yang(陽) and Five-Elements, together with the Position numbers, take important roles. To show the effects of this philosophy, I discuss the background notions such as Hado(河圖), Nakseo(洛書), their circular principles, etc. These are important in explaining the relation between Hunminjeongeum and Garimto. and the order of arrangement of the alphabets. Believing that Garimto played a leading role in deciding the shapes of the Hunminjeongeum letters, I discuss several research results which prove the existence of Garimto before the period of King Sejong the Great, including the Nokdo(deer-painting) letters and the so-called Japanese Shindae letters. Concerning the expression Jabanggojeon(字倣古篆: lit. ‘the letter shapes imitate those of old letters’), I suppose that the representative old letters were the Garimto letters. Accordingly, in creating the Hunminjeongeum letters, I conjecture that King Sejong the Great used the following principle: First, after hearing the common conversation, they picked a specific sound and they formed the ‘letter-shape in the mind’, considering the place and manner of articulation of the sound. This is a ‘pictogram’(象形) of an abstract object, i.e. an abstract picture in the mind. This process is a creative work, unprecedented in the alphabet history. Thanks to this fact, I think that Hunminjeongeum is a creative work. Second, the letter symbolizing each sound was selected from the existing common writing systems. This is the process of ‘imitation of old letters’(字倣古篆). I believe that Garimto was one of the important old letters. In order to show that the letters of Hunminjeongeum are closely related to the letters of Garimto, I analyze the two writing systems in terms of the philosophy of Yin(陰)-Yang(陽) and Five-Elements and the Position numbers. Some changes of the order arrangements were explained by the position change of some of the Five-Elements. After the philosophical examination of Hunminjeongeum and Garimto, I see that these two writing systems are similar in the creation of their letters and the Five-Elements logic. Thus, I believe that the word gojeon in the expression of Jabanggojeon can be Garimto. Even if we admit this, the claim that ‘ Hunminjeongeum was created’ is supported because this is the second part of the ‘creation’ that I defined above. As for the three basic vowels, they were formed in the spirit of Heaven, Earth, and Humanity. Heaven was designed as a circle, Earth as a flat line, and Humanity as a standing line. This idea is a creative work, too. If we admit the existence of commonly used letters before the period of King Sejong the Great, this means that our ancestors used old writing systems in addition to Hanja(Chinese letters) and that we may restore the history of our old letters. I believe that Hunminjeongeum reflected the patriotism of King Sejong the Great to promote the national sovereignty by establishing a new writing system instead of Hanja. Also he created Hunminjeongeum for the convenience of the people. He hoped that the people would be able to communicate freely with the easy letters. Agreeing with In-Ji Jung (1396-1478), I conclude that Hunminjeongeum is the writing system created by King Sejong the Great.

      • KCI등재

        훈민정음의 보급과 교육에 대하여

        시정곤 ( Chung Kon Shi ) 우리어문학회 2007 우리어문연구 Vol.28 No.-

        이 논문은 훈민정음이 일반백성에게 어떻게 교육되고 보급되었는가에 대해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먼저 우리는 교화의 개념과 훈민정음의 상관성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훈민정음이 일반백성을 교화하는 데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어리석은 백성은 교화의 대상이었고 지배계층은 교화의 주체였으므로 오히려 지배계층에서 훈민정음을 더 많이 알고 있었다는 점을 강조했다. 둘째, 교육기관에서는 과연 훈민정음을 어떻게 가르쳤을까 하는 점을 고찰했다. 조선시대의 제도적인 교육기관인 향교와 서당을 중심으로 교육체계와 교재 등을 중심으로 훈민정음이 어떻게 교육되고 보급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조선 후기로 갈수록 서당의 수가 증가하고 교육대상이 확대되면서 평민계층은 물론 천민계층의 자제까지 훈민정음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사대부가의 경우 가정에서 훈민정음을 교육한 사례를 언급하면서, 사교육에서 훈민정음이 어떻게 교육되고 보급되었는지를 알아보았다. 특히, 여성의 경우 훈민정음이 중요한 의사소통의 수단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상업적인 출판문화의 등장과 훈민정음의 보급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훈민정음은 한글소설을 낳고 다시 한글소설은 훈민정음을 보급시키는 상호작용을 통해 훈민정음이 일반백성에게 널리 보급되는 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강담사의 등장, 세책과 방각의 유통방식 등이 한글 보급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을 주장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search how Hunminjeongum was taught to people and was popularized. First, we shoul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of enlightenment and Hunminjeongum because it was used as means of enlightenment. This paper argues that the ruling classes are the subject of enlightenment, and they all were aware of Hunminjeongum for enlightening the lower classes. Second, in this paper, we are focus on education system and class books in Choseon dynasty, especially Hanggyeo and Seodang. We find out that Seodang played key role in teaching Hunminjeongum.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Seodang, the lower classes also were aware of Hunminjeongum. The son and daughter of the ruling classes learned Hunminjeongum in private education when they were so young. In particular, Hunminjeongum played an important role in written communication for women of the ruling classes. Finally, I argued that commercial publication of Hangul novels contributed to the popularizing of Hunminjeongum. Hunminjeongum bore Hangul novels, and Hangul novels have had a strong influence on commercial publication. The emergence of storyteller, rental books, and publishing of Hangul novel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popularizing of Hunminjeongum in the late of Choseon dynasty.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의 훈민정음 관련 번역 술어 연구

        김지혜(Kim Ji-hye) 어문연구학회 2020 어문연구 Vol.106 No.-

        이 논문에서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훈민정음 교육에서 번역이 필요한 핵심 술어의 목록을 체계화하고, 한국어 교재 10종을 대상으로 영어 번역 술어의 현황을 검토하여 훈민정음 관련 핵심 번역 술어를 정비하였다. 훈민정음 교육의 필수 교육 내용은 크게 ‘훈민정음 소개,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훈민정음 관련 정보’의 세 가지로 나뉜다. 먼저 ‘훈민정음 소개’에서 하나의 술어에 대한 여러 표기가 혼용되어 검토가 필요한 것에는 ‘한글’이 있었다. 한글은 관습적으로 Hangul로 표기되기도 하나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 따라 Hangeul로 표기하는 쪽으로 수정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다음으로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에서 하나의 술어에 대한 여러 표기가 혼용되어 검토가 필요한 것에는 ‘하늘’, ‘자모’, ‘문자’, ‘쌍자음’, ‘단모음’, ‘이중모음’이 있었다. ‘하늘’은 하늘의 둥근 모양을 상형하여 글자 ‘ㆍ’가 제자된 것이라는 점을 기술하는 문맥에서는 sky가, 음양오행의 원리가 반영된 것이라는 점을 기술하는 문맥에서는 heaven이 적절함을 살펴보았다. 한편 ‘자모’에 대한 번역 술어가 vowels and consonants로 잘못 사용되는 것은 ‘자모’의 뜻을 오인한 데서 비롯된 것임을 지적하고 ‘자모’와 ‘문자’는 동일한 번역 술어로 표기할 수 있음을 밝히었다. 그리고 훈민정음은 표의문자가 아닌 표음문자이므로 ‘문자’는 character가 아닌 alphabet으로 번역되어야 하나, 자모 낱글자가 아닌 음절 단위로서 다루는 문맥에서는 character로 번역될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한편 ‘쌍자음, 단모음, 이중모음’의 번역에서는 술어 하나만을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계열 관계를 고려하여 관련된 술어들을 일관성 있게 번역하여야 함을 주장하였다. 마지막으로 ‘훈민정음 관련 정보’에서는 번역어에 대한 수정이 필요한 술어는 없었고, 다만 국어의 로마자 표기를 적용해야 하는 것과 번역을 해야 하는 것을 구분할 필요가 있음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훈민정음 관련 번역 술어를 검토함으로써 교육 내용과 술어의 균질화를 꾀할 수 있다는 점과, 전 세계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강의 등에서 실용적인 활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In this paper, a list of technical terms that need to be translated in Hunminjeongeum education for Korean learners was systematized, and the technical terms for translation related to Hunminjeongeum were reorganized by reviewing the status of English translation of technical terms for 10 Korean textbooks. The essential contents of the Hunminjeongeum education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troduction to Hunminjeongeum, Principle of Hunminjeongeum invention, and Related information about Hunminjeongeum First, in Introduction to Hunminjeongeum , Hangeul was used as the one requiring unification because several translations for one term were used. Although Hangeul is conventionally written as Hangul , it was considered that unification was necessary to write Hangeul according to the Roman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Next, Haneul(하늘) , Jamo(자모) , Munja(문자) , Ssangjaeum(쌍자음) , Danmoeum(단모음) , and Ijungmoeum(이중모음) were included in the Principle of Hunminjeongeum invention that several translations for one term were mixed and needed unification. It was examined that sky is appropriate when expressing a round shape according to the context, and heaven is appropriate when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Meanwhile, I pointed out that the misuse of the translation term for Jamo(자모) as vowels and consonants from misunderstanding the meaning of Jamo . It was also revealed that Jamo and Munja(문자) can be written in the same translation. And since Hunminjeongeum is a phonogram, not an ideogram, it was examined that ‘Munja(문자)’ should be translated as an ‘alphabet’, not a ‘character’. On the other hand, in the translation of Ssangjaeum(쌍자음), Danmoeum(단모음), and Ijungmoeum(이중모음) , it was argued that the related terms should be translated consistently, not only in consideration of one term, but in consideration of the sequence relationship. Lastly, in Related information about Hunminjeongeum , there was no term that required unification of the translated word, but it was examined that it was necessary to distinguish between the application of the Roman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one to be translated.

      • KCI등재

        『訓民正音 譯解』(1949, 田蒙秀․洪起文 譯註)의 『訓民正音』 번역과 주해에 대하여 -『訓民正音』<例義>의 번역문과 어휘 주해를 중심으로-

        이상혁 반교어문학회 2022 泮橋語文硏究 Vol.- No.62

        이 논문의 목적은 『訓民正音 譯解』(1949)에서 제시한 『訓民正音』의 번역을 <어제서문>과 <예의> 및 <용자례>의 어휘 주석을 중심으로 그 국어학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있다. 『訓民正音 譯解』는 『訓民正音』를 단순히 번역한 것이 아니다. 국문 번역과 함께 훈민정음에 대한 두 연구자의 견해가 포함되어 있다. 홍기문은 『訓民正音 譯解』에서 『訓民正音』 전체를 번역하면서 『正音發達史』(1946)에서 밝힌 훈민정음의 성립 과정에 대해 다소 수정된 자신의 국어학적 비평을 담았다. 또한 이 책에 제시된 어휘사 연구는 『訓民正音』 <용자례>의 어휘 96개와 <종성해>, <합자해>에 등장하는 어휘에 대한 전몽수의 비평적 주석에 해당한다. 그는 이 저술을 통해 훈민정음의 음운 체계를 아울러 제시하였다. 두 연구자는 1948년 이후에 북한을 선택한 한국어학 전공자이다. 따라서 이 저술은 남북이 분단된 후 1949년에 북한에서 공식적으로 처음 간행된 훈민정음 연구서이자 번역서이다. 비록 북에서 간행된 저술이지만, 이 『訓民正音 譯解』도 국어학 전체의 연구 성과이다. 또한 현대 국어학사 통합의 관점에서 보면 『訓民正音 譯解』는 『訓民正音』의 번역과 주석의 시작을 본격적으로 알리는 연구로 높이 평가할 만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