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점복과 한국인의 삶

        이용범 종교문화비평학회 2019 종교문화비평 Vol.36 No.36

        This paper is intended to examine various divination practices in Korea, focused on the occasions when and how the divination practices performed and by agents they have been carried out in daily life of Korean. As a result of this inquiry the divination has been commonly practiced, disregard of any particular sectors of Korean daily life. Everyone has ordinarily practiced this divination, not limited to an individual and to the state, or any special social groups. This divination has been periodically practiced and has been performed when needed in relation with various aspects of Korean life. And it is not practiced in a certain period of time but has been practiced through the Korean history over all. All these accounts being considered, the divination is a latent element of Korean life structure. Therefore, this historical facts of the divination practices cannot be denied in Korean daily life and it is unrealistic that we pejoratively condemn the divination to be one of the superstitions. The function of the divination rather works as a means of overcoming the uncertainty, that is a general condition of human life. And it helps to establish one’s own independent life. In this paper I tried to expose that the divination contribute to a positive life stance for constructing one’s future life through anticipating one’s future. So divination is far from the passive and predetermined life view, simply accepting one’s own given destiny. The reasonable assessments such as I pointed out above have not been fully explored yet in the divination studies. Only negative aspects of divination has been dominantly perceived in Korean society. The dealings with divination have not been sufficiently treated in terms of its status and roles in reference to Korean life. As for the divination studies, especially the typology, the methodology of divination, and the divination experts are major subjects of the divination studies. But the studies on the status, the roles, and the meanings of divination in the context of and/or in reference to Korean life has been slightly dealt. Form this evaluations I hope that this paper can contribute to a filling of some missing parts in the divination studies in Korea. 이 글은 한국인의 삶에서 차지하는 점복의 위상을 파악하기 위해 점복의 실천 계기, 점복의 방식, 점복의 실천 주체를 중심으로 한국 사회에서 행해진 다양한 점복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점복은 한국인의 삶의 거의 모든 영역과 연관되어 행해지며, 어떤 개인이나 국가, 또는 특수한 집단에 한정되지 않고 누구나 일상적으로 행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점복은 한국인의 삶에서 일상문화의 하나로 자리잡아 왔음을 알 수있었다. 한국 사회에서 점복은 삶의 다양한 측면과 연관되어 정기적으로 또는 필요에 따라실행되었고, 이는 어느 한 시기에 그치지 않는다. 이런 점에서 점복은 한국인의 삶의 구조적 요소의 하나였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역사적 사실을 부인하고 점복을 미신으로 파악하는 태도는 비현실적이다. 고대에서 현재까지 오랜 기간 점복이 한국인의 삶에서 일상문화의 하나로 지속되어 온 배경으로, 이 글은 점복이 인간 삶의 일반적 조건인 불확실성을 극복하고 주체적인 삶을 살도록 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점을 들었다. 또한 점복에서 두드러진 미래에 대한 관심은 미래를 미리 파악함으로써 미래의 삶을 원하는 모습으로 구성해나갈수 있다고 믿는 적극적인 삶의 태도가 반영된 것임을 밝혔다. 따라서 점복은 주어진 운명에 순응하는 수동적이고 숙명론적인 인생관과는 거리가 멀다. 이렇듯 점복이 한국인의 삶에서 일상문화의 하나로 자리잡고 일정한 역할을 수행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한국 사회에서는 점복에 대한 정당한 평가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여전히 점복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지배적이다. 이런 판단에서 이 글은 한국인의 삶에서 점복이 어떤 위치를 차지하며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 한국 사회의 점복에 대한 연구는 점복이 한국인의 삶에서 차지해 온 실제 위상과 역할에 비할 때 충분하다고 말하기 어렵다. 그동안 점복의 역사, 점복의 유형과 방식, 전문 점복자, 점복의 실태 등을 중심으로 점복에 대한 연구가 이뤄져 왔다. 특히 점복의 유형과 방식 및 전문 점복자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뤄왔다. 반면 한국인의 삶에서 나타난점복의 위상과 역할, 의미 등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이런 점에서 이 글은 기존 점복연구의 빈자리를 채우는 의의가 있다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후보

        『詩經』에 나타난 占術文化 연구

        신성수 ( Sung Soo Shin )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3 인문학연구 Vol.0 No.23

        점술문화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고대사회의 문화적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이 논문에서는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문헌인 『詩經』을 통하여 고대 중국인의 점술문화를 살펴보았다. 『시경』속에 담겨 있는 점술문화의 특성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시경』에 나타난 점술유형과 『周禮』에 기술된 점술유형을 볼 때, 占卜과 占筮 그리고 占夢이 고대 점술문화의 원형임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周易』筮法과 관련하여 .蓍의 재료가 되는 蓍草가 당시 널리 퍼져 있는 식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셋째, 占은 인간의 실존적 삶의 과정에서 펼쳐지는 극한 상황에서 인간으로서의 선한 召命을 받고자 하는 간절한 의도에서 행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렇지만 지나치게 남용되는 점술로 인한 폐단을 지적하는 내용도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시경』에서는 占星과 관련한 내용은 단 한 군데에 불과했다. 다섯째, 고대사회에 都邑을 정하거나 옮기기 전에 반드시 거북점을 쳤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첨단 과학문명으로 치닫고 있는 현대사회에도 동서양을 막론하고 점술문화가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시대와 문명이 달라져도 인간에 내재된 보편적 정서는 달라지지 않는다. 현대인의 생활이나 정서 속에는 고대로부터 형성된 점술문화의 근원적 양상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시경』속의 점술문화와 정서는 지금 이 시대에도 현대인의 실존적 삶 속에 투영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In both East and West, divination was one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ancient societies. This paper, explores the divination culture of the ancient China as it is reflected in the Book of Odes(詩經). The Book of Odes is one of the oldest Eastern classics, in which the divination culture of the ancient times has been kept we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vination by baked tortoiseshells(占卜), divination by plant sticks(占筮) and divination by dreams(占夢) of ancient divination type was the prototype of the divination culture. Second, divination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finding a solution for the human existential predicament that occurs in the course of life. However, there also happened to be excessive use of divination that aggravated the life of the divination seekers. Third, in the ancient times, divination by baked tortoiseshells (占卜) was also used when the capital city was moved. In modern society, either in East or in West, divination culture is still present. In spite of differences in age and culture, human emotions which are universal do not change radically. Modern life and the emotions, ultimately deriving from the ancient culture, is still pervaded by the desire to know in advance about the future. Divination culture and sentiment in the Book of Odes, even in the age of modern existence, is still effective to illuminate the desire of the human mind for divination.

      • KCI등재

        끓는점 오름의 비이상성 관찰과 입자적 관점의 설명

        박철규,오재욱,정대홍,홍훈기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18 현장과학교육 Vol.12 No.2

        끓는점 오름은 거시적 현상을 입자적 관점으로 해석한다는 측면에서 화학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뤄져 왔다. 그러나 끓는점 오름 개념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화학교육 분야에서 끓는점 오름에 대한 구체적인 실험 방법과 결과를 논의한 문헌은 찾아보기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끓는점 오름에 대한 정량적 측정을 통해 실제와 이론을 비교하고, 실제와 이론과의 차이를 설명하는 설명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용액의 과가열을 방지하고 열평형을 유지하는 끓는점 측정 장치를 제작하였고, 이를 사용하여 포도당, 엿당, 설탕, 레졸시놀 등 비전해질 수용액의 농도별 끓는점 오름값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포도당, 엿당, 설탕의 경우, 농도가 진해질수록 이론적으로 유도된 끓는점 오름 기댓값보다 더 큰 끓는점 오름(양의 편차)을 보였고, 레졸시놀의 경우에는 농도 증가에 따라 끓는점이 오르되 기댓값보다는 더 작은 경향(음의 편차)을 보였다. 용질 간에 끓는점 오름 경향성의 차이는 증기압 내림 설명 방식에 더불어 표면장력 개념을 도입하여 설명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끓는점 오름의 실제와 입자적 관점의 설명 방법은, 끓는점 오름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증진하고 추후 화학교육에서 심화학습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Boiling point elevation has been important in chemistry education in terms of interpreting macroscopic phenomena from a microscopic viewpoint. However, in spite of the importance of the boiling point elevation concept, it is hard to find any documents discussing experimental methods and results of the boiling point elevation in the field of chemical educ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compare the reality and the theory through quantitative measurement of the boiling point elevation, and proposed an explanatory model that explain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ality and the theory. For this purpose, a boiling point measurement instrument which prevents overheating of the solution and maintains thermal equilibrium was prepared. And boiling point elevation values of nonelectrolyte(such as glucose, maltose, sugar, and resorcinol) aqueous solutions were measured. In the cases of glucose, maltose, and sugar solutions, the boiling point elevation values increased more than the theoretically expected values with increasing concentration (positive devia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resorcinol, the boiling point elevation values increased less than the expected (negative deviation). The difference in the tendency among solutes was explaine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surface tension in addition to the explanatory model of vapor pressure depression. The reality of the boiling point elevation and the microscopic model presented in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can be used as a learning material in chemistry education to promot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boiling point elevation.

      • KCI등재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영주(Young Ju Lee),이정은(Jeong Eun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8

        목적 본 연구는 한국 사회는 심리상담이 들어오기 이전부터 소위 ‘점복’이라고 불리는 타로, 사주신, 점 상담이 대중화되어 있다. 점복 문화가 심리상담보다 더 큰 시장으로 존재하는 한국의 독특한 문화적인 배경이 있다. 심리상담 중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사의 경험에 대해 탐색해 보고 이를 통해 기초자료를 제공하려 한다. 방법 상담 중 내담자에게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적이 있는 상담사를 대상으로 총 50명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응답 자료들을 탐색적 연구방법 중 경험자 조사방법과 수정된 합의적 질적연구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자료의 수집 기간은 2021년 10월에서 12월이었으며,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상담사가 생각하는 내담자가 점복 상담 경험을 심리상담 중에 말하는 이유, 상담사가 내담자가 점복 상담 경험을 심리상담 중에 말했을 때 보인 반응, 상담사가 생각하는 점복 문화의 장단점 요소, 상담사가 생각하는 내담자의 종교와 점복 상담의 관계, 상담사가 생각하는 심리상담과 점복 상담의 차이점, 상담사가 내담자의 점복 상담 경험을 들은 상담 종결 후 만족도 평가, 상담사로서 점복 상담 경험을 상담하는 내담자에게 고려해야 할 점, 적용한 상담이론과 초심상담사에게 추천하고 싶은 상담이론을 탐색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상담사들이 상담 교육 및 실습에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Objectives Research shows that so-called ‘fortune-telling’, such as tarot, fortune telling, and divine fortune counseling, has been popular in Korean society even before the introduction of psychological counseling. Korea has a unique cultural background where divination culture exists as a larger market than psychological counseling. During psychological counseling, we will explore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who have heard about clients' fortune- telling experiences and provide basic data through this.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a total of 50 counselors who had heard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divination counseling from clients during counseling. The collected response data were analyzed through an exploratory research method, an experienced survey method, and a modified consensus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collection period of research data was from October to December 2021,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Results The counselor's view on why the client talks about his fortune-telling experience during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counselor's reaction when the client talks about his fortune-telling experience during psychological counseling, the counselor's view on the pros and cons of the fortune-telling culture, and the counselor's view on the client's religion. The relationship between fortune-telling counseling, the differences between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fortune-telling counseling that counselors think of, the evaluation of satisfaction after the counselor listens to the client's fortune-telling counseling experience, things that a counselor should consider when counseling a client about their fortune-telling counseling experience, and applied counseling theory. and explored counseling theories that would be recommended to beginning counselor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basic data that counselors can refer to in counseling education and practice was presented.

      • KCI등재

        “A+点兒/些”句的語義語用模式

        강춘화 한국중국언어학회 2013 중국언어연구 Vol.0 No.47

        중국어의 ``A+点兒/些`` 형식은 사용 빈도가 높은 반면 한국인에게 중국어를 교학하 는 데 있어 난제가 되기도 한다. 본 논문은 ``A+点兒/些``의 의미 및 화용의 문제를 밝혀 그 구조를 명확히 한다면 중국어 교학에 실용적인 의미가 있을 것이라고 보고 ``A+点兒/些``의 의미 및 화용적 특정을 분석한 후 아래와 같은 결론을 도출해보았다. 먼저 ``A+点兒/些``구조의 의미적 특정을 살펴보면, ``A+点兒/些``의 의미는 ``点兒/些``의 기본 의미에서 파생되어 나온 것으로 정도의미(程度意), ``비교의미(比較意)``, ``기원의 미(祈使意)``, ``동태의미(動態意)``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A+点兒/些``는 기본적으로 형용 사가 양과 폭에 적은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는 ``정도의미``를 가진다`` 또 평서문에서는 ``물 물비교의미(物物比較意)``, ``경과비교의미(歷時比較意)``, ``경험비교의미(經驗比較意)`` 동의 ``비교의미``를 가지며, 기원명령문(祈使句)에서는 기본 용법에서 파생(引申)되어 ``기원명 령의미``를 가지고, 서술어로 사용될 때는 ``동태의미``를 가진다. 다음으로 ````A+点兒/些`` 구조의 화용적 특정은 그 의미적 특정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는데, 구체적으로 첫째, 의미의 초점을 강조한다. 즉 ``A+点兒/些``에서 형용사는 문장에서 의미의 초점이 되는데, ``点/些``가 바로 이 초점을 부각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둘째, 어체(語體)의 성향을 나타내는데``点兒`` 의 경우 구어의 색채를 띠고 ``些``의 경우 서면어의 색채를 띤다. 셋째, 어기의 강약을 표현한다. 즉 ``点兒``을 사용하면 문장의 어기가 급 해지고,``些``를 사용하면 문장의 어기가 다소 완만해진다 넷째, 친근한 어기를 나타낸 다. 특히 `` A点兒의 경우 상대방에 대한 화자의 걱정과 염려를 나타내며 쌍방 관계의 친근함을 표현한다. 다섯째, 구체적인 언어 환경이나 뒤에 오는 조사에 따라 경과나 미경 과를 나타내는데, ``A点兒``의 경우 뒤에 ``着``가 오면 지속성을 가지며 아직 미연(未然)임을 나타내고, 뒤에 ``了``가 오면 이미 경과(己然)되었음올 나타낸다. 여섯째. 주관적 색채를 나타낸다. 특히 비교의 결과를 서술할 때 주관적 색채를 드러낼 수 있으며, ``A+点兒/些``로 사용될 때 화자가 싫어하거나 원하지 않는다는 비교적 강한 주관색채를 가진다.

      • KCI등재

        한국도교사에서 점복의 기능과 위상 : 조선 시대의 도교 점복을 중심으로

        임채우(LIM Chae-Woo)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20 泰東古典硏究 Vol.44 No.-

        본 논문은 한국 도교사에 등장하는 도교 점복의 기능과 위상을 분석한 것이다. 고대의 점복은 다양하게 행해졌던 것으로 보이지만, 자료의 부족으로 인해 고대 한국선가와 점복의 관련성을 말하기는 어렵다. 고려시대에 빈번하게 행해졌던 풍수도참 등의 점복은 도교와는 관련이 없고, 오히려 불교나 유교와의 관련 속에서 행해졌다고 말할 수 있다. 조선 중기 이후에는 도교가 방외인(方外人)이나 소외 계층에서 퍼져나갔고, 점복도 성행했다. 도교 수행자들은 점복을 빌려 왜란 호란을 위시해서 안팎으로 고난에 시달리던 민중들을 도와주는 기능을 했으니, 그 본질은 수행의 계제에 따른 법안(法眼)의 도력(道力)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한국 도교사에 보이는 점복은 민중들에게 권선(勸善)의 수단으로 이용되었고 나아가 전도(傳道)나 구도(求道)의 방편으로 사용되었다. 이렇게 중국과 비교해볼 때 조선시대의 도교사에서 점복의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있는 것도 한국 도교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관성제군(關聖帝君) 영첨(靈籤)이란 점복은 조선 말에서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매우 성행했고, 지금까지도 민족종교계통에서 구도의 방법으로 계승되고 있어서, 중국이나 일본 등의 도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기복적인 영첨류와는 다른 한국 도교 점복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다. This thesis analyzes the function and status of Taoist divination in the history of Korean Taoism. Although it appears that divination was executed in diverse form in ancient times, it is difficult to address the relevance between divination and the ancient Korean Zen sect due to a lack of data. However, it can be stated that divination, such as the Pungsu-docham, that was practi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is not related to Taoism, but rather related to Buddhism or Confucianism. Since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Taoism has been spread to outsiders or the alienated classes, with divination often being practiced. Although Taoist disciples attempted to assist the general public with divination during challenging times such as Japanese invasion and the Manchurian war, the power of spiritual enlightenment in accordance with the phases of asceticism can be deemed to be the essences of Taoism. Accordingly, the divination described in the history of Korean Taoism was used as a means of soliciting contributions for religious purposes, and, furthermore, as a way of salvation. Accordingly, compared to China, the important role played by divination in the history of Taoism during the Joseon Dynasty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aoism. In particular, the style of divination referred to as Gwangseongjegun Yeongcheom was very prevalent through the period of Japanese military occupation of Korea at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and it continues to this day as a means to enlightenment in the national religious sector. This differentiat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aoist divination from other branches of yeongcheom, also called “praying for good fortune,” as practiced in Taoist temples in China or Japan.

      • KCI등재

        한국(韓國)의 문화(文化) : 『삼국유사(三國遺事)』를 통해 본 점복과 예언

        장정태 ( Jeong Tae Jang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3 韓國思想과 文化 Vol.66 No.-

        고대인들은 어떠한 특이한 일이 발생하면, 그것은 곧 미래에 발생할 어떠한 일의 전조라 믿고, 사전의 일을 통하여 미래의 일을 추측하거나 판단하였다. 이것이 곧 점복이며, 사전에 나타난 일들이 곧 예언이다. 여기에서의 예언은 인과관계로 치면 인(因) 곧 원인에 해당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결국 점복이란 인과관계의 인(因)으로부터 과(果) 즉 결과를 미리 알아내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因에 해당하는 예조를 기초로 한 결과의 추측, 즉 점복의 기술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진 것은 아니다. 그것은 오랜 경험을 통하여 축척된 지식의 소산이다. 제정일치 사회에서의 점자는 신탁을 통해 백성을 다스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후 점(占)만을 전문으로 하는 집단이 생기면서 분화(업)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삼국유사』에 소재된 내용 가운데 점복과 예언을 대상으로 설정하여, 왕의 예언, 일관의 점복, 동물점 예언, 점복가의 분석 등 네 가지로 그 내용을 검토해 보았다. 『삼국유사』에서 일관, 점복 등 예언과 관련 전문적으로 예언을 담당하는 점성가를 중심으로 국가적 상황과 관련된 이들 『삼국유사』에 소재 점복과 예언은 단순히 맞고 틀리고의 문제를 넘어 당시 기성종교가 유입 되기 전 사회 전반에 깔려 있는 믿음의 한 형태이며 민간 신앙이 고등종교인 불교와 만남을 통해 다툼도 있었고, 그 다툼의 수단으로 예언과 치병이 동원되고 있음을 알았다. 『삼국유사』가 나오기 이전의 역사서인 『삼국사기』가 유교적 윤리관, 역사관 중심의 역사기술이라면 『삼국유사』는 인간적인 삶 그대로 정감과 애환을 적나라하게 소개하고 있다. 내용은 14편이 있으며 사적인 점복은 9회에 걸쳐 소개되고 있다. 이 원초적 환기력이 의도하지 않은 의도가 일연이 세운전략이다. 이의도 아닌 의도를 통해 이야기는 더욱 은근하면서 힘 있는 감동으로 우리의 가슴을 울리는 것이다. “삼국유사”에는 기층 민중에서부터 임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점복·예언을 통해 미래에 대해 궁금해 하는 모습들을 찾을 수 있었다. 일연은 『삼국유사』를 통해 점과 예언 소개하면서 “점을 쳐보면 마음과 소행이 서로 일치되면 감응하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마음에 이르지 않으니 이름하여 허류라고 한다”.며 점을 치는 복술자, 당사자 모두 동기감응이 있고 한결같은 마음이 있을 때만 그 바라는 바 성취된다고 보고 있다. 앞으로 연구과제는 점복과 예언이 당시 통치자는 물론 사회에 미친 영향을 좀더 세세하게 연구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Ancient people believed them as signs of possible future events and guessed or judged events of the future through the past, when some extraordinary events occurred. This is the very auguring and past events are the very prophecy. Here, prophecy is cause in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Therefore, auguring means skill to know effect, that is, result from cause in relation of cause and effect. Skill of auguring, that is, guessing result based on signs, is not built in a day. It is a result of knowledge accumulated through long experiences. In the society of theocracy, augur played a role of governing people through oracle. Since then, a group specializing in fortune-telling was formed. Among content in Samgukyusa(三國遺事), auguring and prophecy were focused on and four parts of king`s prophecy, auguring of officer choosing lucky day, prophecy of animal fortune-telling, and analysis of augur were investigated. Vocabularies related to prophecy such as officer choosing lucky day, auguring shown on Samguk yusa(三國遺事) are 19 pieces. There are 14 pieces related to national situation where astrologer in charge of prophecy was involved. Private auguring was introduced 9 times. Auguring and prophecy shown on Samguk yusa was one form of belief widely spread in the society before inflow of then existing religion beyond the question whether auguring and prophecy are correct or not. And there was conflict between popular belief and higher religion of Buddhism and in the midst of conflict, prophecy and remedy were mobilized. If 『Samguksagi三國史記』 written before Samguk yusa described history focused on view of Confucian ethic and history, Samguk yusa introduces human life with warmth, and joys and sorrows as it is. Intention without intention of this basic arousing is a strategy Ilyeon founded. The story through intention without intention moves our heart with more quiet and powerful impression. In Samguk yusa, we can find appearances where people in various classes from general public to king wonder about the future through Auguring and prophecy. Ilyeon said about Auguring and prophecy in Samgukyusa三國遺事, “when mind corresponds to behavior in telling fortune, heaven moves. If not, heaven does not move, so called 虛謬”. Thus, when augur and the other party have all extreme and unchanged mind, wish can come true. Further study would be needed to know influences of Auguring and prophecy on ruler as well as society in detail.

      • KCI등재

        점경인물(點景人物)의 변천과 현대적 조형 가능성

        서윤희(Suh, Yoon-Hee) 동서미술문화학회 2014 미술문화연구 Vol.4 No.4

        점경인물(點景人物)은 동양의 산수화에 등장하는 간단하고 작게 묘사된 그림 속 인물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주로 기승절경을 여행하며 자연과 교감하는 친자연적 존재로 혹은 옛 이야기나 문학작품을 그린 고사(故事)의 주인공 등을 소재로 다양하게 표현되었다. 이는 산수를 표현하는데 있어 인간을 배제하는 대신, 인간과 더불어 조화로운 삼라만상을 대변하는 것임을 알려준다. 여기에는 삼재(三才)를 구성하는 천지인(天地人)이 별개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원리로 연관되어 있다는 사상이 깔려 있다. 이러한 점경인물의 전통은 산수화가 발전하게 되는 만당(晩唐)이후 오대(五代, 907-979)에 이르러 본격적으로 표현되기 시작하여, 이후 북송대(北宋代, 960-1126)에 대관식 산수화가 유행하면서 높은 산이나 계곡을 유람하는 여행자들이 산수화의 고정적인 소재가 되었고, 이 과정에서 거대한 산 사이를 여행하는 여행자의 표상이며, 자연과 교감하는 보편적인 인간상으로 구현되었던 점경인물상은 산수화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자리잡게 된다. 동양의 세계관을 담고 있는 이러한 관념적 표상은 산수화의 정형화된 형식으로 조선의 문인과 작가들에게도 고스란히 수용되었으며, 특히 조선 후기 정선과 김홍도에 이르러 점경인물이 ‘보편적 인간상’ 에서 한발 더 나아가 시대를 반영하는 현실적 인물의, 현실적 풍속으로 변모되었고, 이후 20세기 전반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유효한 형태로 전승되었다. 근본적으로 그 독특하고도 의미 있는 기능에도 불구하고, 동양의 산수화에서 점경인물은 해당 장르의 한 구성요소로서 부가적 영역에 위치한다는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내 작업에서 점경인물은 회화 상의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훨씬 중요한 의미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2004년 이후 본인의 지속적인 작품 주제가 된 <기억의 간격> 시리즈는 우연에 의해 생성된 거대한 얼룩-때로는 수묵의, 때로는 식물과 광물로부터 추출한 얼룩으로 이루어진 추상적 화면 위로 작은 점경인물들이 등장한다. 그러나 전통 산수화에서의 점경인물들이 보편적 인간상이었다면, 이들 작품에서는 모두 작가의 삶과 그 개별적 기억에서 추출된 특정의 인물들이라는 점에서 근본적인 차이를 가진다. 이는 바로 개인의 삶을 고스란히 투영하는 ‘사진’이라는 매개에 의한 것으로, 각각 다른 시간과 공간에서 추출된 기억을 무작위로 선택하여 그 일부만을 하나의 화면 속에 구현함으로써 나에게는 기억의 환원을 매개하는 표식으로, 관객에게는 원래의 의미로부터 박탈된 채 각각의 개별적 연상과 해석을 불러일으키는 역할을 충실히 해낸다. 따라서 본인의 작품에서 점경인물은 단순히 부가적 형식을 넘어서, 내 개인의 기억과 타자의 심상 작용에 관련된 작품의 주제에서 주요한 표식을 담당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우연에 의해 생성된 거대한 얼룩의 추상적 평면 위로 극사실적으로 묘사된 자그마한 인물들은 공간의 추상성을 구상적인 풍경의 공간으로 전환시키는데도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대조적으로 여전히 추상적인 배경의 색 면들은 몽환적인, 혹은 모호한 상태 그대로 남겨둔다. 이를 통해 내 작품에서 점경인물의 첨가는 추상적인 배경 화면을 추상과 구상의 모호한 중간 지점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양자의 대조를 통해 각각의 특색은 더욱 생명력을 얻게된다. 이러한 인물들을 통해 본인의 추상적 심상화는 비로소 나와 타인의 세계와 관계를 맺게되고 생동감 넘치는 풍경으로 변모하는 것이다. 이로써 <기억의 간격> 연작은 작가 개인의 삶과 기억을 토대로 하는 심상적 풍경화,혹은 추상적 심상풍경화로 접근 될 수 있다. 따라서 전통 산수화를 구성하는 하나의 부가적인 요소로서 관례적으로 그려졌던 ‘점경인물’은 내 작품에서는 새로운 가능성과 의미를 부여받게 된다.

      • 자궁경부암 근접치료에서 A점과 H점을 이용한 치료계획 시 선량 비교

        강지형,김일환,황선붕,김웅,임형서,강진묵,김기환,이아람,Gang, Ji-Hyeong,Gim, Il-Hwan,Hwang, Seon-Boong,Kim, Woong,Im, Hyeong-Seo,Gang, Jin-Mook,Gim, Gi-Hwan,Lee, Ah-Ram 대한방사선치료학회 2012 대한방사선치료학회지 Vol.24 No.2

        목 적: 본 연구에서는 자궁강 내 근접치료 시 ABS (American Brachytherapy Society)에서 권고한 H점(point H)을 이용한 치료계획을 수립해 보았고, 이를 A점(point A)에 처방한 치료계획과 비교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3월부터 2012년 1월까지 본원에 내원한 자궁경부암 환자 중 탄뎀(tandem)과 난형체(ovoid)를 이용해 고선량률 강내 근접치료(high dose rate intracavitary brachytherapy)를 시행한 10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치료계획은 Manchester System에 따라 A점, 방광 기준점, 직장 기준점을 지정하였고, ABS의 권고에 따라 H점을 지정하였다. 또한 임의로 S자 결장기준점과 질 기준점을 설정하였다. A점과 H점의 위치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았으며, H점에 100%의 선량을 처방하였을 때 A점에 들어가는 선량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A점과 H점에 각각 선량을 처방하였을 때 직장, 방광, S자 결장, 질 기준점에 들어가는 선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H점이 A점보다 미측에 있는 경우 A점의 상대선량은 기존의 A점이 아닌 H점에 처방하였을 때 더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방광 기준점과 직장 기준점, S자결장 기준점, 질 기준점에서의 상대선량은 H점이 두측에 있는 경우 H점에 처방하였을때의 선량이 A점에 처방하였을 때보다 크며, 미측에 있는 경우 더 적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결 론: H점이 A점보다 두측에 위치할수록 주변 장기의 흡수선량이 커지고, 미측에 위치할수록 주변 장기의 흡수선량이 적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그 선량 차이가 치료에 큰 영향을 미칠 정도는 아니지만, 두 치료계획에서의 선량 분포 및 주변 장기 흡수선량 차이가 크다면 두 점의 치료계획은 비교 또는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plans prescribed to point A with these prescribed to point H recommended by ABS (American Brachytherapy Society) in high dose rate intracavitary brachytherapy for cervical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selected 103 patients who received HDR (High Dose Rate) brachytherapy using tandem and ovoids from March 2010 to January 2012. Point A, bladder point, and rectal point conform with Manchester System. Point H conforms with ABS recommendation. Also Sigmoid colon point, and vagina point were established arbitrarily. We examined distance between point A and point H. The percent dose at point A was calculated when 100% dose was prescribed to point H. Additionally, the percent dose at each reference points when dose is prescribed to point H and point A were calculated. Results: The relative dose at point A was lower when point H was located inferior to point A. The relative doses at bladder, rectal, sigmoid colon, and vagina points were higher when point H was located superior to point A, and lower when point H was located inferior to point A. Conclusion: This study found out that as point H got located much superior to point A, the absorbed dose of surrounding normal organs became higher, and as point H got located much inferior to point A, the absorbed dose of surrounding normal organs became lower. This differences dose not seem to affect the treatment. However, we suggest this new point is worth being considered for the treatment of HDR if dose distribution and absorbed dose at normal organs have large differences between prescribed to point A and H.

      • KCI등재

        『開元占經』 ‘風占’ 항목과 『天文類抄』 ‘風’ 항목 비교연구

        신명호(Shin, Myung-Ho) 부산경남사학회 2021 역사와 경계 Vol.119 No.-

        조선 건국 이후 태종, 세종 대에 기상이변이 계속되면서 『玉曆通政經』, 『開元占經』, 『文獻通考』 같은 천문 점성술서가 중요시되었다. 그 결과 서운관에서는 『옥력통정경』, 『개원점경』, 『문헌통고』를 이용해 기상현상을 관측하고 자료로 남기게 되었다. 당시 李純之는 서운관의 천문관측과 기상관측을 담당하던 핵심 실무자였다.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이순지는 『옥력통정경』, 『개원점경』, 『문헌통고』 및 각종 자료를 활용해 『天文類抄』를 편찬했다. 李純之는 『천문류초』 ‘風’ 항목에서 『문헌통고』 ‘恒風’ 항목의 분류방식을 채택하고, 占辭 역시 ‘恒風’과 관련해 해설하였다. 이는 조선 초기 문물제도 정비과정에서 『문헌통고』가 중시되던 상황과 무관하지 않다고 이해된다. 『문헌통고』는 송원대에 편찬되었기에 당대에 편찬된 『옥력통정경』이나 『개원점경』에 비해 최신 천문 지식을 포괄했다. 그러므로 조선건국 후 집권세력이 문물제도를 정비할 때 한당대의 서적보다는 송원대의 서적을 중시한 것은 당연한 현상이라고도 할 수 있다. 한편 『천문류초』 ‘風’ 항목은 중국자료를 일방적으로 전재한 것이 아니라, 나름대로의 기준에 입각해 재정리한 것이었다. 그 기준은 홍범구주의 休徵과 咎徵이었다. 이 休徵과 咎徵은 양반관료들의 天譴 사상과 쉽게 결합될 수 있었다 . 『천문류초』 ‘風’ 항목뿐만 아니라 변계량의 ‘風雲雷雨 樂章’ 역시 『문헌통고』를 중심으로 정비되었다. 이로써 『문헌통고』는 조선후기까지 중요한 참고문헌으로 이용될 수 있었지만, 『옥력통정경』과 『개원점경』은 더 이상 중요한 참고문헌으로 이용되지 않았다. 심지어 민간에 있던 『옥력통정경』과 『개원점경』은 세조 때 압수되기까지 했다. 이는 『천문류초』가 편찬된 이후 세조 때에 이르러 ‘風’을 비롯한 기상이변의 占辭는 공식적으로 『천문류초』와 『문헌통고』만 인정되고, 『옥력통정경』과 『개원점경』의 占辭는 인정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이를 긍정적으로 해석하면 조선 초기 기상이변과 관련된 占辭가 『문헌통고』를 중심으로 정비되었음을 의미한다. 반면 부정적으로 해석하면 조선 초기 기상이변과 관련되어 통용되던 다양한 해석과 占辭가 국가권력에 의해 억압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The gaewonjumkyung(開元占經) written by gudamsildal(瞿曇悉達) in tang dynasty represent the ancient chinese fortune telling. the other hand, chunmunryucho(天文類抄) written by lee sun-ji(李純之) in the early joseon dynasty represent the Celestial planisphere knowledge and water concep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chunmunryucho(天文類抄)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gaewonjumkyung(開元占經), The okryuktongjungkyung(玉曆通政經) and the munhyuntonggo(文獻通考). specially, chunmunryucho(天文類抄)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gaewonjumkyung(開元占經) and the munhyuntonggo(文獻通考) in the field of unusual weath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re had been a lot of unusual weather. so joseon dynasty tried to find solution from The gaewonjumkyung(開元占經), The okryuktongjungkyung(玉曆通政經) and the munhyuntonggo(文獻通考). specially, joseon dynasty tried to find unusual wind weather solution from The gaewonjumkyung(開元占經) and the munhyuntonggo(文獻通考). we can find those proof in the wind foretell (風占) of 『gaewongumkyung(開元占經)』 and the wind(風) of 『chonmunryucho(天文類抄)』. we can find a lot of common sense in the wind foretell(風占) of 『gaewongumkyung(開元占經)』 and the wind(風) of 『chonmunryucho(天文類抄)』. but there are a lot of non common sense. 『chonmunryucho(天文類抄)』 is more confucian in the wind foretell(風占) than 『gaewongumkyung(開元占經)』. it was because joseon dynasty was founded in the base of confuc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