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군정기 국정 공민교과서의 성격과 집필진의 구성

        김동선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8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4

        미군정의 교육정책은 한마디로 ‘미국식 민주교육제도’를 남한에 실시하려는 것이었다. 이러한 미군정의 정책 의도는 남한을 공산주의에 대한 방벽(bulwark)으로 만들고 자본주의 세계시장에 편입시킬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 미국은 한국인에게 장기적인 정치적 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에 미군정은 한국교육의 청사진을 마련하기 위하여 朝鮮敎育審議會(위원 100여명)를 설치하였다. 본 위원회에서는 ‘홍익인간’의 이념을 한국교육의 기본이념으로 교육법에 명시하였다. 이 이념은 교육현장에서 일제 잔재의 청산, 평화와 질서 유지, 새나라 민주시민 육성으로 구체화되어 교과편제 및 시간배당과 교수요목에 나타났다. 이러한 미군정의 교육정책의 목적을 가장 잘 드러낼 수 있는 과목이 바로 사회생활과이며, 그중에서도 公民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미군정은 공민교과서에서 민족주의를 배제하고, ‘미국식 민주주의’와 자본주의, 반공주의를 강조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미군정의 의도와 달리, 공민교과서의 내용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영국식 의원내각제 옹호, 무조건적인 자본주의 배격, 국가주의적 민족주의가 강조되었다. 이것은 국정공민교과서 편찬에 깊은 영향을 끼친 편수관과 편찬위원들 때문이었다. 공민교과서 편수책임자인 최재희는 최현배에 의해 추천되었다. 그는 자유주의를 강조하고, 공산주의를 비판한다는 점에서 미군정과 인식을 같이하였다. 그러나 그는 화랑도 및 민족을 우선시하고, 당시 풍미하던 듀이의 실용주의 교육관에 반대한다는 점에서 미군정과 생각을 달리하는 부분이 있었다. 국정공민교과서의 편찬위원들은 미군정 학무국장 고문이었던 김성수와 관련이 있다. 이들은 보성전문의 교직원이었다. 또한 정열모, 현상윤, 장덕수는 모두 早稻田大學에서 수학하여 학맥으로도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므로 이들이 편찬위원이 된 것은 김성수와의 인연이 작용을 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미군정은 조선어학회에 국어교과서와 공민교과서의 편찬을 의뢰하였다. 심지어 당시 편수국장도 조선어학회의 주요인물인 최현배였다. 편찬위원들도 대체로 조선어학회와 깊은 관련을 맺고 있었다. 조선어학회는 민족주의적 색채가 짙었던 대종교와 관련이 있었다. 따라서 안호상과 정열모, 백낙준 같은 편찬위원들은 우리 민족의 우수성을 강조하고, 민족중심의 교육을 강조하였다. 또한 개인보다도 민족과 국가의 안위를 우선시하였다. 이들에게 있어서 뛰어난 인물은 국가와 민족을 위해 일하는 사람이었다. 이처럼 공민교과서는 미군정의 의도대로 편찬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출판이 가능했던 것은 미군정이 교과서 출판과 편찬에 대해 유연한 태도를 취했기 때문이다. 미군정의 교육 이념에 적합한 교과서 제도는 원칙적으로 자유발행제였다. 게다가 유능한 교과서 저술 인력은 트럭운전사보다 적은 임금을 받으면서 미군정에서 일하려하지 않았다. 따라서 미군정은 필요한 만큼의 직원을 확보할 수 없었고, 교과서 편찬과 배부도 심각하게 지연되었다. 이런 현실적인 원인들도 미군정이 교과서 편찬기준을 엄격하게 할 수 없는 요인이 되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군정기 공민교과서는 편수관과 편찬위원 그리고 조선어학회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었다. 이들은 공민교과서를 통해 의원내각제를 기반으로 하는 민주정치를 소개하였다. ... The educational polic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in short, to carry out an “American-style democratic education system” in South Korea. The purpose of this policy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to make South Korea a bulwark against communism, and to lay the foundation for incorporating South Korea into the capitalist world market. The United States recognized that Koreans needed long-term political education. In this regard, the U.S. Military Government established the Korean Education Council (approximately 100 members) to prepare a blueprint for Korean education. In this committee, the philosophy of ' Hongik-Ingan’' was specified in the Education Act as the basic philosophy for ​​Korean education. This philosophy was reflected in the curriculum composition, the time allocation and syllabus, pursuing the settlement of the remnants of the Japanese imperialism, the maintenance of peace and order, and the cultivation of democratic citizens. One of the subjects that can best reveal the purpose of this education policy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the social sciences subject, particularly the civic education. The U.S. Military Government tried to emphasize “American democracy,” capitalism and anti-communism in the civic textbooks, without cultivating nationalism. However, unlike the intention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 content of the civic textbooks emphasized the support of the British parliamentary system, unconditional rejection of capitalism, and statism- based nationalism under the philosophy of Hongik-Ingan. This was due to the compilation editor and Compilation Board members who had a profound influence on the compilation of government-designated civic textbooks. Jae-Hee Choi, the head on the compilation Board of the civic textbooks, was recommended by Hyun-Bae Choi. Jae-Hee Choi emphasized liberalism and criticized communism, sharing common political views with the U.S. Military Government. However, Choi saw differently from the U.S. Military Government with regards to the concept of Hwangryangdo, which prioritized the people first, and his opposition to the pragmatic educational philosophy of Dewey. The Compilation Board of the government-designated civic textbooks had much to do with Sung-Soo Kim, who was the academics adviser to the U.S. Military Government. They were staff members of Bosung College. In addition, Yeol-Mo Jeong, Sang-Yoon Hyun, and Duk-Su Jang had all studied at Waseda University. Therefore, it seems that their relationship with Sung-Soo Kim helped them to be on the Compilation Board. On the other hand, the U.S. Military Government commissioned the compilation of Korean textbooks and civic textbooks to Joseoneohakhoe (The Korean Language Society). Even at that time, the head of Chief Compilation Editor was Hyun-Bae Choi, a major figure in Joseoneohakhoe. The Compilation Board was also deeply involved with Joseoneohakhoe. Joseoneohakhoe was associated with Daejonggyo, which had a strong nationalistic color. Therefore, the Compilation Board including Ho-Sang Ahn, Yeol-Mo Jeong, and Nak-Jun Baek emphasized the excellence of Korea and ethnic-centered education. In addition, the state and national security was given priority over the individual. As such, the civic textbooks were not compil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Nonetheless, publishing was made possible because the U.S. military took a flexible attitude toward textbook publication and compilation. The textbook system suitable for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in principle, a self-regulated publication system. Moreover, competent textbook writers were not willing to work in the U.S. Military Government, who received less wages than truck drivers. As a result, the U.S. Military Government was unable to secure the necessary staff, and textbook compilation and distribution was seriously delayed. These also made it impossible for the U...

      • KCI등재
      • KCI등재

        만주지역 유찬희의 민족운동

        박영헌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7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93

        유찬희는 1900년에서부터 1920년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이 일본제국주의에 대항하여 추진했던 민족운동의 다양한 모습이 나타나는 인물이다. 그는 1883년 황해도 금천에서 태어나 그곳에서 오경을 배웠고 17살이 되는 해에는 서울 배재학당에 입학하여 신사상을 접한다. 성리학을 바탕으로 신사상을 수용한 유찬희는 유연한 태도를 견지할 수 있었고 초창기에는 의병활동에 투신한다. 하지만 의병투쟁은 일제의 토벌작전으로 인해 한계에 부딪히고 만족할만한 성과를 얻지 못하자 유찬희는 서북학회에 가입해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한다. 비록 짧은 기간이지만 유찬희는 서북학회를 통해 이동휘를 비롯한 기독교민족지도자와 만날 수 있었다. 그들을 통해 유찬희는 그의 민족운동 기저를 형성하는 기독교민족주의를 수용할 수 있었고 강원도 이천군 교회운영에서 나아가 가솔들을 이끌고 북간도 국자가로 이주한다. 1918년부터 유찬희는 대표적인 북간도 한인지도자로 부상한다. 특히 그는 무악흥업회사를 경영하며 실업가로서 경제적인 성공을 거둔다. 유찬희는 안정적인 자금력을 통해 파리강화회담 대표파견 기부금 모연, 민족학교 설립 자금 보관 등에서 주도적인 모습을 보인다. 이로써 유찬희는 한인사회에서 실무능력을 인정받을 수 있었고 여러 민족단체의 재무부문에서 비중 있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었다. 블라디보스토크에서 대한국민의회와 한인상무총회 활동 이후 유찬희는 북간도지역 민족운동단체 대한국민회에서 총기구입위원으로 활동한다. 이어 참모장으로 영전된 그는 총기뿐 아니라 군량, 부대이동 등 구춘선, 홍범도, 안무 등과 함께 독립군의 제반 업무를 살핀다. 봉오동전투 이후 유찬희는 액목현에 은거하여 대한민국임시정부와 만주지역 독립군의 동향을 대한국민회에 보고하고 김일을 비롯한 의기청년들과 교류하며 일본군의 움직임을 내사한다. 하지만 경신참변과 자유시참변으로 인해 대한국민회가 추진하던 무장투쟁이 어려워지자 유찬희는 공산주의를 수용한다. 하지만 그가 공산주의자로 완전히 돌아선 것은 아니라 판단된다. 오히려 그는 고려공산당 참사로 활동하지만 기존의 목회활동에 더 치중했고 남감리교 선교단의 일원이 되어 활약한다. 그렇기 때문에 유찬희의 고려공산당 가입은 경신참변과 자유시참변 이후 무장투쟁이 어려워진 현실 속에서 실천적 독립운동의 한 방략으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유찬희는 1926년 블라디보스토크 신한촌에서 3ㆍ1운동 제7주기기념행사를 추진하여 1,500여 명의 재러한인들에게 항일사상을 일깨운다. 의병투쟁, 애국계몽활동, 기독교적 민족주의에 입각한 교육활동, 대한국민회를 통한 무장투쟁, 고려공산당 활동, 동성노농공사에서의 농민운동까지 유찬희는 시기와 상황에 맞춰 독립운동의 방략을 바꿔가며 끊임없이 민족운동을 전개했다. 또한 자신의 실업가적인 특질을 토대로 총무, 재무 등 민족운동단체의 실질적인 직위에서 활동하였다. 그렇기에 유찬희의 민족운동과 향배를 연구하는 것은 구한말에서부터 1920년대까지 국내와 북간도, 러시아일대에서 시기적으로 변화하는 독립운동의 흐름을 추적해볼 수 있는 하나의 유형인 동시에 실업가적 특질을 갖는 민족운동가에 대한 고찰이 될 것이다 Yoo Chan-hee is a nationalist activist born in Geumcheon, Hwanghae Province in 1883. His ideological foundation was rooted in neo- Confucianism education of his childhood school seodang and modern education received in Seoul’s PaichaiHakdang. In particular, Yoo Chan-hee embraced Christianity at the Paichai Hakdang, which served as bedrock of his national movement. In 1907, Yoo Chan-hee left the Paichai Hakdang to join independent patriot Cha Dosun’s righteous army. Yoo physically fought against the Japanese military police in Goksan by carrying out arson attacks with his cousin Yoo Myung-hee. Subsequently, Yoo Chan-hee joined the North-West Society to engage in the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Yoo Chan-hee settled in Yanji, China and established the Taekwang School, which means light of the national Korean flag Taegeukgi. As a principal, he supervised school operations and sought to raise awareness of national consciousness by educating the Koreans living in Yanji.  In addition to educational movement, Yoo Chan-hee actively promoted the foundation of the Korean autonomy group Ganminhoe in the North Gando region, establishing under alias Doseong. As the leading Korean social organization in North Gando, Ganminhoe conducted census research and established private schoolfor education. Yoo Chan-hee served as the secretary of the Ganminhoe and orchestrated major operations, influencing both the Chinese and Korean societies. He formed a large-scale mutual financing association by rallying enlightenment activist Jeong Jae-myung and other key figures of Ganminhoe. The financing association was operated by issuing lottery tickets, and its profits were used to operate national education schools. In addition, Yoo Chan-hee expanded informal youth gathering to conduct practical operations of Ganminhoe. In 1916, Yoo Chan-hee achieved great economic success through the Muhak Industries. As Yoo Chan-hee became one of the prominent store owners in Yanji, he assumed substantive national movements through considerable capital. In 1919, the first declaration of independence, March 1st SamIl movement, took place in Longjing Village, Machuria. Yoo Chan-hee made speeches to promote national consciousness, alongside Christian national leaders in the North Gando region, such as Choi Il, Kim Young-hak. Yoo’s son Yoo Ki-seok joined the Chungreoldan to print national flag Taegeuki and flyers for independent protests. After the March 13th independence movement, Yoo Chan-hee moved to Vladivostok and subsequently joined the Korean General Assembly Sangmuchonghoe and the Korean National Council Daehankukminhoe. In particular at the General Assembly, he served as the vice-chairman, which indicates that the Korean-Russian community recognized Yoo’s financial competency. Upon returning to Gando, Yoo Chan-hee joined the Korean National Council and became a committee member in charge of purchasing firearm. The Korean National Council represented the North Gando province and was a national movement group that supported independence war. As Yoo was a firearms purchasing committee member, he was responsible for arming the troop that was under the auspice of the Council.  Furthermore, Yoo Chan-hee assumed the chief of staff role, serving alongside Hong Beom-do, ChoiJin-dong to lead the army and victory of Bong-o-dong. After the battles of Bong-o-dong and the invasion of Cheongsan-ri, Japanese imperialists sent large-scale troops to Gando to retaliate. Yoo Chan-hee, who became the head of financial affairs of the National Council, received An Jung-geun who was dispatched from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thereby serving as a communication link between the Council and the government. Additionally, Yoo contacted Meng Boo-duk who was attacking the independent army to allow for a month of troop movement, minimizing the damage to the army. In December 1921, the leaders of the Korean National Council, such as Yoo Chan-hee and Kim Jung-yeon,...

      • KCI등재

        현행 고교 한국사 교과서의 독립운동사 서술현황과 개선방향

        오영섭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5

        현재 한국 사회는 근현대사 교과서를 둘러싸고 논란이 벌어지고 있다. 이는 대한민국의 교육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고교용 『한국사』 교과서들이 문제점을 안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현행의 『한국사』 교과서들은 자라나는 세대들에게 올바른 국가관과 민족관을 심어줌으로써 그들을 건전한 민주시민으로 육성한다고 하는 국사교육 본연의 임무를 완수하는데 미흡하다는 평을 듣고 있다. 이 연구는 현행 6종의 『한국사』 교과서의 일제시기 독립운동사 서술내용을 분석한 것이다. 현행 『한국사』 교과서들의 한국독립운동사 서술경향은 대략 네 가지로 정리된다. 즉, 『한국사』 교과서들은 1) 무장독립전쟁과 의열투쟁을 중시하고, 2) 민족유일당운동(민족통일전선)과 한중연대활동(한중연합전선)을 주목하고, 3) 다소간 반미친소적인 시각으로 국제적 사건이나 인물을 인식하고, 4) 약소국이 중시해야 하는 외교독립운동을 경시하는 서술경향을 보였다. 이로 인해 무장독립전쟁이나 민족통합(+국공합작)노선에 대한 서술분량과 외교독립운동이나 실력양성운동에 대한 서술분량에 편차가 생겼다고 생각한다. 『한국사』 교과서들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사 서술에서 온건론보다는 급진론에 더 많은 지면을 할애하였다. 온건론에 속하는 실력양성운동이나 외교독립운동에 대한 서술이 충분치 못한 반면, 그 대척관계에 있는 무장독립전쟁이나 의열투쟁에 대한 서술은 비교적 자세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한국실정과 국제정세에 비추어 전자나 후자나 독립운동사에서 차지하는 위상은 동등하였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사』 교과서를 개정할 때에 무장독립전쟁이나 의열투쟁에 대한 서술분량과 실력양성운동과 외교독립운동에 대한 서술분량을 균등하게 가져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한국사』 교과서들은 한국 근현대사에서 대표적인 온건론자 가운데 한 사람인 이승만의 활동을 거의 기술하지 않았다. 즉, 『한국사』 교과서들은 친미적 국제관에 기초한 기독교민족주의를 한국에 이식하려 하고, 좌우합작과 민공협동을 배격하는 반공주의를 이념적 기초로 삼고, 미국을 무대로 활동하면서 의열투쟁을 반대하고 실력양성운동과 외교독립운동을 지지한 이승만의 활동을 다루지 않았다. 이는 이승만보다 역사적 중요도가 낮은 인물에 대한 독사진이 들어간 반면, 이승만 사진이 꼭 들어가야 하는 부분에서조차 이승만 사진이 빠진 것으로도 증명된다. 따라서 앞으로 『한국사』 교과서를 개정할 때에는 이승만의 독립운동에 대한 서술에서도 균형점을 찾아가야 할 것이다. 현행 『한국사』 교과서들은 사실 서술과 해석에서 오류를 범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한국사』 교과서의 독립운동사 서술에는 자잘한 사실에 대한 오류는 물론, 부정확ㆍ불충분한 해석이 이따금 보인다. 이는 집필자들이 특정 시대의 특정 문제만을 집중적으로 연구한 전문학자들로서 일제시기사 전공자가 아니라는 문제점, 그리고 검인정을 받기 위해 출판사가 제출한 교과서를 검토하는 연구위원과 검정위원들이 방대한 분량의 내용을 제대로 검토하기에 역부족이었다는 문제점 때문에 벌어진 일이다. 앞으로 『한국사』 교과서의 개정판을 낼 때에는 사실을 정확히 기술하고 해석하는 한편, 서술 내용을 엄밀히 검토하여 사실이나 해석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현재 ... There are different opinions on Korean History textbook for high school student in six types.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show that their historical perception is nationalistic and popular, it belittles on the system of liberal democracy and the market economy and it has a perception against USA and for Soviet Union in international issues. Therefore, it needs to value liberal democracy of ROK in writing Korean History. In describing the history of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n History textbook for high school student, it is easy to find a number of errors in quoting and interpreting truthful facts. I think that it is because the history writers research only on the particular subject. Further, it might be because the scholars who examine the contents of textbook are not professional in the part of Japanese occupation history. Thus, they need to be more cautious in writing Korean History textbook in the future. In a sense of contents and system of Korean History textbooks, it is problematic these are so similar. After the Ministry of Education usually gives important points, only the textbooks which fit on the standard could be allowed to use. However, I think it depends on the writers in writing contents of detail. Therefore, the writers can change contents of history textbook according to their opinion. Korean History textbooks focus more on radical ideas rather than moderate ideas. While Korean History textbooks belittle upon training capability movement or a diplomatic independence movement, the textbooks considerate more on an armament independence war. Particularly, if it is composedly examined about the Korean situation and the international situation, it is possible that both the former and the latter are equal for historical value. Korean History textbooks disregard and devaluate Syngman Rhee’s activities who is the most representative moderate among the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s. The textbooks don’t deal with the Syngman Rhee’s activities which attached importance to Christianity nationalism and anticommunism and developed a diplomatic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United State of America. Thus, it needs to reduce the part of an armament independence war and extend the part of moderate’s activities like Syngman Rhee and Ahn Chang-ho in writing Korean History textbook in the future. In addition, it is to correct the point that there is no picture of Syngman Rhee among a number of historical figures in Korean History textbook.

      • KCI등재

        권태석의 항일투쟁과 민족통일운동

        박순섭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9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101

        Kwon Tai-Suk participated in organizing Great Korean National Association in 1919 after the 3.1 Movement. In the 1920s, he joined the Seoul Faction socialist group and worked for the National United Movement such as Singanhoe. After 1945 he joined The Committee for Preparation of Korean Independence. Next, he joined the moderate right wing camp and began the party integration movement. As a result, some right-wing political forces were consolidated around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In 1947, Kwon Tai-Suk insisted on an active participation in The American-Soviet Joint Commission and held a party struggle within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And he also strongly opposed the general elections in South Korea. As such, Kwon Tai-Suk is meaningful as a figure that penetrates the flow of the National United Movement, an effective strategy for independence movement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a major national construction line for the US Army Military Government. 권태석은 1919년 3․1운동을 계기로 조선민족대동단 조직에 참여했다. 대동단은 각계각층의 다양한 계급을 수용하는 민족통일적 성격을 지녔다. 1920년대에는 서울파 사회주의 운동가로 신간회 등의 민족통일전선 구축을 주도했다. 또한 프롤레타리아 계급주의를 강조하는 ML파와 노선투쟁을 벌였다. 해방 이후에는 건국준비위원회에 합류하여 선전부 책임자가 되고, 우익 계열의 포섭에 나섰다. 건준이 좌경화된 후에는 중도적 우익 진영에 합류하여 당통합 운동에 매진했다. 그 결과 신한민족당이 창당되고, 한국독립당을 중심으로 일부 우익 정치세력이 통합되었다. 이후 미소공동위원회가 재개되자 권태석은 적극적인 참여를 주장했다. 좌우익을 포괄하는 민주적이고 독립된 정부 수립을 위해 수용했던 임정법통론을 철회하고, 미소공위에 대한 기민한 대응과 협조를 강조했다. 당에서 제명된 후에는 민주한독당을 창당하고 민족자주연맹에 합류하여 남북통일정부 수립을 위해 노력했다. 1947년 9월 한국문제의 유엔 이관에 의한 총선거 실시에 대해서도 권태석은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그는 유엔임시위원단과의 면담에서 한국 독립이 공산주의자와 민족주의자 간의 협력을 통해 달성된다고 밝혔다. 이처럼 권태석은 일제강점기의 효과적인 독립운동 전략이자 해방 공간의 주요한 국가건설 노선인 민족통일운동의 흐름을 관통한 인물로서 의미를 지닌다.

      • KCI등재

        성엄 김의한의 민족운동 참여와 역사적 위상

        김형목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5

        Kim Eui-han was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devoted himself to the Minjokdaedongdan,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Korea, and the movement to establish a unified government. The family clan was Andong, the pen name was Seong-eom, and other names were Jae-han(載漢) and Eui-hwan(毅煥), and the Jin-hae(陳海) were used. Born in Seoul in 1900, his father is Kim Ga-jin, who served as chairman of the Minjokdaedongdan, and his wife is Jeong Jeong-hwa, who is well known as a caretaker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During the March 1st Movement, he participated in the Minjokdaedongdan, a secret association, and launched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fled to Shanghai, China with his father and join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He participated in the organization of the Shanghai branch of the Korean Youth League and served as a finance committee member. After Yoon Bong-gil's patriotic deed, during the "Jangjeong period," he enshrined Provisional Government factors with his wife. While working as a member of the Korean Patriotic Party, he also worked hard to foster independent troops by participating in the Luoyang Military Academy and the Uiyeoldan Military Academy. He briefly worked in Chinese government offices for a living and rejoined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s a secretar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Secretariat and a propaganda committee member of the Propaganda Committee, he promoted anti-Japanese consciousness to compatriots at home and abroad through Chongqing Broadcasting Station. When the Reconstruction Korean Independence Party was founded, he served as a member of the inspection committee and as a member of the standing committee and the head of the organization department and the propaganda department. In addition, he participated in the creation of the Korea Independence Army and showed excellent ability as the head of the main household and organizational training division of the Korean Independence Army General Command. After liberation, he made efforts to establish a unified government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the Korean Independence Party. He took the lead in establishing the right national regularity while working as a member of the history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His dream was thwarted by his abduction during the Korean War. He was a strong foundation for supporting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s his wife's "cheeky. 김의한은 민족대동단, 대한민국 임시정부, 통일정부수립운동에 전력을 기울인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안동, 호는 省俺, 다른 이름으로 載漢‧毅煥 등과 陳海라는 가명을 사용했다. 1900년 서울에서 태어난 그의 아버지는 민족대동단 총재를 지낸 김가진, 부인은 임시정부 안살림꾼으로 잘 알려진 정정화이다. 3‧1운동 와중에 비밀결사인 민족대동단에 가담하여 독립운동을 전개하다가 아버지와 함께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여 임시정부에 합류했다. 한인청년동맹의 상하이지부 조직에 참가해 재정위원을 맡았다. 윤봉길의거 이후 ‘장정시기’에는 부인과 같이 임시정부 요인 등을 모셨다. 한인애국단원 활동하는 한편 낙양군관학교와 의열단 계열의 군관학교에도 관여하는 등 독립군 양성에 힘썼다. 생계를 위해 잠시 중국 관공서에 근무하다가 임시정부에 다시 합류했다. 임시정부 비서처 비서와 선전위원회 선전위원으로 충칭방송국을 통해 국내외 동포들에게 항일의식을 고취시켰다. 재건 한국독립당 창립되자 감찰위원회 위원과 상무위원 겸 조직부 주임‧선전부장 등을 맡았다. 또한 한국광복군 창설에 참여하여 광복군총사령부 主計와 조직훈련과장으로 탁월한 능력을 발휘하였다. 해방 이후에는 한국독립당 재건을 통한 통일정부수립운동에 노력했다. 독립운동사편찬위원으로 활동하면서 올바른 민족정기 세우기에 앞장섰다. 한국전쟁 중 납북됨으로 그의 꿈은 좌절되고 말았다. 그는 부인의 “알뜰한 외조자”로서 임시정부를 지탱한 든든한 밑거름이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안중근의 독립운동과 그의 위상

        유영렬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2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3

        Ahn Jung Geun studied Chinese classics for 8~9 years. As he thought that the country was not developed because of effeminate, he wanted to be a strong man like Hangwoo(項羽). When Ahn Jung Geun was 16 years old, he fought against Tonghak army as the vanguard of Shinchun(信川) Righteous Army that was organised by his farther. Like this, he was well up in both literary and military arts. After becoming a Catholic at 19 years old, Ahn Jung Geun accepted Western culture and read books on the West. So he was well up in Eastern and Western culture. Meanwhile, Ahn Jung Geun did missionary work very hard. And he did chivalrous work to eliminate social injustice. When Japan began to war with Russia in 1904 and deprived Korean right of diplomacy in 1905, Ahn Jung Geun started anti-Japan independence movement. He did all kinds of independence movements that people could do in the late Korea Dynasty. At first, Ahn Jung Geun did the peaceful patriotic-enlighten movement. He managed two schools for education and did enlightenment campaign for the public. In 1907, he led the national movement to redeem national loan from Japan in the northwest part of Korea. Secondly, Ahn Jung Geun led the armed independence struggles against Japanese army. In 1907, Korean Resident-General Ito Hirobumi dethroned Korean King, nominated Japanese people as vise ministers in Korean government and dismissed Korean soldiers. As the result, Korea was on the brink of ruin. So Ahn Jung Geun went to Yeonchu(煙秋) in Maritime Province in Siberia, and made an army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led fights against Japanese army for 2 months. Thirdly, Ahn Jung Geun engaged in a life-or-dead struggle. When armed struggle could be impossible at Yeonchu, he organized a band of 12 men. They cut their knuckle of left ring finger and determined to die for the country. And Ahn Jung Geun killed Ito Hirobumi by shooting at the Harbin station in 1909. Ito was the ringleader of Japanese invasion to Korea. Fourthly, Ahn Jung Geun did litigating struggles at the Japanese court. He claimed Ito was a sinner who was connected with the plot killing the Korean Queen, who dethroned the Korean King, who snatched Korean national right, who dismissed Korean soldiers, and who destructed the Eastern peace. Ahn Jung Geun died for national independence and became the generative power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is heroic deed gave long-range effects to Chinese anti-Japan save-the-nation movement. Dying for the country is sublime. But devoting to the ruthless absolute monarchy can injure the people. Ahn Jung Geun had the senses of freedom and civil rights, and thought that the state is not ministers’ state but people’s state. So he desired to die not for the king’s state but for the nation-state. As Ahn Jung Geun was a right nationalist who died for nation-state, so he was a right national hero. A self-sacrificing patriot is easy to be a ultra-nationalist. Because he does not think the stands of other countries. Whereas Ahn Jung Geun was a Catholic and a cosmopolitan. Accordingly, even if he was a self-sacrificing patriot, he asserted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with other countries. Ahn Jung Geun devised the theory on Eastern peace. And he thought out the ideas of the Northeast Asian Union and the Asian Union to realize the theory on Eastern peace. Ahn Jung Geun thought out the Asian Union 83 years earlier than the European Union. The first aim of the theory on Eastern peace is to keep the Eastern peace from the Western invasion through the Triple Alliance of Korea, China and Japan. The second aim of the theory of Eastern peace is to achieve the World peace through requiring peace to Europe and the rest of the world. And Ahn Jung Geun killed Ito Hirobumi, a systematic aggressor, not only for the Korean independence but also for the peace of the East and of the world. Ahn Jung Geun was a thinker who devised the method of Eastern peace and World peace, and a rea... 안중근은 8~9년 동안 한학을 공부했으며, 성장하면서 나라가 발전하지 못한 것은 문약에 흐른 때문이라고 생각하여, 학자가 되기보다는 項羽와 같은 호걸이 되기를 원했다. 그리고 안중근은 16세 때 부친이 조직한 신천의병의 선봉장이 되어 동학군을 진압하기도 했다. 이처럼 안중근은 문무를 갖춘 인물로 성장했다. 한편 안중근은 19세에 천주교 신자가 된 뒤, 서양문화를 수용하고 서양서적과 각종 신문도 읽었다. 그래서 그는 동서문화를 갖춘 인물로 성장했다. 안중근은 천주교 신자가 된 뒤 전도활동을 열심히 했고, 관리들의 백성 수탈과 사회의 부조리를 개선하려는 의협활동도 했다. 안중근은 일본이 1904년 러일전쟁을 도발하고, 1905년 을사조약을 강제로 체결하자, 항일독립운동에 투신했다. 안중근은 한말에 한국인으로서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의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첫째로 안중근은 평화적인 애국계몽운동을 전개했다. 그는 사재를 털어 2개의 학교를 경영하며 학교교육에 힘썼고, 일반대중을 대상으로 민중계몽에도 힘썼다. 그리고 그는 일본의 국채를 통한 한국경제 침략에 대항하여 국채보상운동에 힘썼다. 둘째로 안중근은 항일무장투쟁을 전개했다. 1907년 한국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한국황제를 퇴위시키고, 한국정부에 일본인 차관을 임명하고, 한국군대를 해산하여 대한제국은 멸망의 상태에 처했다. 이에 안중근은 1908년 연해주 연추에서 독립군을 조직하여 2개월 동안 국내진공작전을 전개했다. 셋째로 안중근은 항일의혈투쟁을 전개했다. 그는 항일무장투쟁을 계속할 수 없는 상황에서 동지 11명과 단지동맹을 맺고, 1909년 10월 한국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하얼빈 역에서 처단하여 전 세계에 충격을 주었다. 넷째로 안중근은 항일재판투쟁을 전개했다. 안중근은 여순 법정에서 이토 히로부미가 죄인임을 주장하고, 한국황후를 시해한 죄, 한국황제를 폐위한 죄, 한국국권을 탈취한 죄, 한국군대를 해산한 죄, 동양평화를 파괴한 죄 등 15개 항의 죄목을 당당하게 밝혔다. 안중근은 국가의 독립을 위해 목숨을 바쳐 한국독립운동의 추진력이 되었으며, 중국의 반일구국운동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었다. 국가를 위해 헌신하는 것은 고귀한 것이다. 그러나 포악한 전제국가에 헌신하는 것은 오히려 국민을 해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안중근은 자유와 민권의식을 가지고, 국가는 고관들의 국가가 아니고 국민의 국가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안중근은 왕이 국가의 주인인 왕조국가가 아니고 국민이 국가의 주인인 국민국가 곧 민주국가를 추구했다. 그러므로 안중근은 국민국가에 헌신한 올바른 민족주의자였고, 따라서 올바른 민족의 영웅이라 할 수 있다. 국가에 헌신하는 애국자들은 편협한 국수주의에 빠지기 쉽다. 헌신적인 애국자들은 자기 나라에 몰두하여 타국의 입장을 생각하지 않기 때문이다. 안중근은 천주교 신자로서 사해동포주의자였다. 그러므로 그는 헌신적인 애국자였지만 타국과 공존공영을 강조하고 동양평화론을 주장했다. 그는 동양평화의 방안으로 동북아연합과 아시아연합을 구상했다. 유럽연합보다 80여 년 앞선 국가공동체 구상이었다. 안중근이 제기한 동양평화론의 제1차 목표는 한‧청‧일 삼국동맹으로 서양침략으로부터 동양평화를 수호하는 것이었다. 제2차 목표는 한‧청‧일 삼국동맹을 배경으로 유럽과 세계 각국에 평화를 주장하여 세계평 ...

      • KCI등재

        만주지역 대한국민회 회장 具春先 연구

        배정현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6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87

        구춘선은 1919년 3ㆍ1운동을 전후하여 만주지역의 항일운동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다. 그는 북간도지역의 대표적인 독립운동단체인 대한국민회 회장으로서 북간도 지역의 항일운동을 주도적으로 이끈 인물이었다. 1860년 함경북도 온성에서 태어난 그는 1878년부터 북간도로 이주하기 직전까지 궁궐의 수문장으로 활동하였다. 대한제국의 군인이었던 구춘선은 1899년에 가족들과 함께 북간도 연길로 이주하였다. 캐나다 장로교 선교사인 Robert Grierson에 의해 기독교를 받아들인 후 1906년에 용정시교회를 설립하고, 1913년에는 합마당교회의 설립을 돕는다. 이처럼 구춘선은 북간도 용정 지역에서 초기 기독교 교회의 설립에 앞장섰으며, 북간도에서 기독교가 전파되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또한 기독교는 구춘선의 민족의식 형성과 더불어서 그의 민족운동ㆍ독립운동에 큰 영향력을 발휘한다. 1900년대 후반의 북간도지역은 이주 한인들의 수가 늘어감에 따라, 그들을 보호하고 교육시키고 민족의 역량을 다질 조직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1909년에 간민교육회가 조직되었는데 구춘선은 이 단체의 설립에 참여하였다. 또한 1911년에는 이동휘가 세운 길동기독학당의 간사로 재직하면서 교육활동에도 관여했다. 1913년에 설립된 합법적인 최초의 한인자치단체인 간민회의 발기인 중 한 사람이었으며 분회장을 맡기도 하였다. 이렇게 구춘선은 북간도지역에서 민족지도자로 입지를 다져가며 그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1919년 3월 1일에 서울에서 만세시위가 시작되고, 이어서 북간도 용정에서 3ㆍ13 만세시위가 거행된다. 구춘선은 북간도지역의 민족지도자들과 함께 용정에서의 3ㆍ1운동을 계획하였으며, 한인들을 이끌고 시위운동을 주도했다. 그는 뒤이어 조직된 조선독립기성회의 회장을 맡으면서 북간도지역의 3ㆍ1 만세시위를 이끌어 간, 중심인물이자 지도자였다. 구춘선은 1919년 4월, 조선독립기성회를 계승한 대한국민회의 회장이 되었다. 대한국민회는 북로군정서와 더불어 북간도지역을 대표하는 독립운동단체였다. 구춘선은 대한국민회 회장으로서 중국정부에 청원서, 경고서 등을 보내 대중국 교섭을 전개해 나가며 교섭활동에 탁월한 역량을 발휘했다. 구춘선은 북간도에서 독립운동을 본격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중국정부의 협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했고 그렇기 때문에 공동의 적인 일제에 대항하여 중국과 한인이 힘을 합쳐야 함을 강조했다. 또한 그는 고유문을 통해 북간도지역의 여러 독립운동단체들이 하나로 통일해서 보다 효과적인 독립운동을 수행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구춘선의 북간도지역 독립운동단체의 통일을 위한 노력으로 1920년 10월에 북간도의 군소단체를 병합한 총판부가 조직되었다. 그는 총판부의 총판으로 취임하였다. 청산리전투 이후 일제의 공격을 피해 러시아로 넘어간 구춘선은 1921년 6월의 자유시참변으로 다시 만주로 돌아온다. 만주로 돌아온 그는 공산주의 기반의 독립운동단체인 고려공산당에 가입한다. 그 후 1921년 12월에 독립운동단체인 총합부를 조직하고 총합부장으로 활동한다. 이처럼 북간도로 건너가 민족운동ㆍ독립운동에 매진하였던 구춘선은 북간도 왕청현으로 돌아와서 교회를 중심으로 종교활동을 하며 남은 생애를 보낸다. 그리고 1944년에 왕청현에서 생을 마감한다. Gu Chun-Seon is an independence activist who represents the anti- Japanese movement of manchuria around the 1919 3ㆍ1 Independence Movement. As president of Korean National Association, a representativ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in North Gando, he was a figure who led the anti-Japanese movement in North Gando. Gu Chun-Seon was born in Onseong, Hamgyeongbukdo in 1860. He worked as chief gatekeeper at palace before moving to North Gando from 1878. He moved to Yianji, North Gando with his families in 1899 although he was a solider for the Korean Empire. After moving there, he accepted Christianity by Robert Grierson, missionary of the Presbyterian Church in Canada. He established a Yongjeongsi church in 1906 and helped with establishing Hapmadang Church in 1913. As shown above, he led in establishing an early Christian church in Yongjeong, North Gando and played a big role in spreading Christianity in North Gando. Christianity also exerted a big influence on his national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formation of his national consciousness. In late 1900s, the people in North Gando felt the necessity of an organization which would protect and educate them and show national competence as more and more Koreans were immigrating. As a result, Ganmin(people in North Gando) Educational Organization was formed in 1909 and he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this organization. In 1911, he engaged in educational activities when he worked as assistant administrator of Gil-Dong Christian Village School erected by Lee Dong-Hui. In 1913, Ganminhoe, the first legal Koreans' Self-Governing Unit was established. Gu Chun-Seon was one of the promoters of Ganminhoe and also undertook the position of head of branch. As seen above, he consolidated his position as national leader in North Gando and expanded his influence. Independence demonstration began in Seoul on Mar. 1, 1919, followed by 3ㆍ13 movement in Yongjeong, North Gando. He planed 3ㆍ1 movement in Yongjeong with the nationalist leaders of North Gando and led demonstration movement with immigrated Koreans. He took the position of president of the Korean Independence Preparatory Association organized after then and simultaneously led the 3ㆍ1 movement in North Gando. On April 1919, he became the president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that succeeded the Korean Independence Preparatory Association. Korean National Association was the representativ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in North Gando together with Bukrogunjeongseo(armored unit for independence movement). As president of the Korean National Association, he sent a petition, warning, etc to the Chinese Government for carrying on negotiations with China and exerted an excellent ability in such negotiating activities. He determined that performing independence movement in North Gando required cooperation from the Chinese Government. This is why he stressed that both Chinese people and Koreans should join forces to resist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because Japan was the common enemy of them. He also maintained in Proprium that many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in North Gando should unite together to perform more effective independence movement. In such an effort to unite the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s in North Gando, General Management Division (called as Chongpanbu) that combined many small organizations in North Gando in Oct. 1920 was organized. He was appointed as head of the Chongpanbu. After Battle of Qingshanli, he moved to Russia to avoid the Japanese attack and returned to Manchuria when Free City Disaster happened in June, 1921. Then he joined Goryeo Communist Party, a communism based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In Dec, 1921, he organized Integrated Division(called as Chonghapbu), an independence movement organization and worked as the head of the Chonghapbu. Although he committed himself to national movement and independence movement in North Gando, he returned t...

      • KCI등재

        1960년대 중반-1980년대 한국가톨릭농민운동의 발전과 독일여성 마리아 사일러(Maria Sailer)의 역할 - 국제기독교기구의 개발 원조를 통한 관계망 구축과 확대를 중심으로 -

        윤정란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2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 No.114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relations of the Korean peasant movement since the 1960s with the case of Maria Seiler, a German woman who visited Korea in 1965 and returned to Germany in 1994. Maria came to Korea in the mid-1960s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the West German student movement, exchanges with Third World students in Munich, and West German Catholics' interest in the 'the Third World'. Her decisive visit to Korea was a meeting with a Korean miner dispatched to Germany. Since 1968, Maria has been active in the 'Korea Catholic Rural Youth Association' and has begun to build an international network. Her global network of connections came when she joined in 1971 as a MIJARC member of the International Catholic Rural Youth Association. The formation of a practical relationship with the 'International Catholic Rural Youth Association' began when Maria was entirely in charg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Following the direction of the 'International Catholic Farmers' Movement', the 'Korean Catholic Farmers Movement(KCFM)' also developed with an emphasis on human development and social development. After the KCFM became a MIJARC member, the international Catholic network expanded. There were International solidarities with Christian organizations such as West Germany, the Netherlands, APHD in Australia and Canada, British Christian Aid, India, the Philippines, and Vietnam. Development assistance in Korea was provided by West Germany, the Netherlands, APHD, and Christian Aid. West German Catholics provided most of the budget for the KCFM. Support from West Germany was handled by 'the Archdiocese of Paderborn' (KLJB) and 'Misereor' in the eastern part of West Germany. Next, it was an alliance with the Dutch CEBEMO. APHD began providing financial support in 1977. The KCFM sent detailed materials about the Korean countryside to it, and its members developed the Korean Farmers Movement by attending APHD seminars, field experiences, and events of member organizations. The last international organization to mention was 'British Christian Aid'. In 1978, the organization sent funds to Korea for local development projects of the Korean Catholic Farmers' Movement through MIJARC, mainly related to women's resource development. With these aids, Maria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aying the groundwork for the Korean Women's Farmers' Movement as well as establishing an international network of the Korean Catholic Farmers' Movement. 본고는 1965년 내한해서 1994년 독일로 돌아간 독일 여성 마리아 사일러를 중심으로 1960년대 이후 한국농민운동의 발전과 국제적 관계에대해 살펴보았다. 마리아가 1960년대 중반 한국으로 온 이유는 서독 학생운동 전개, 뮌헨의 제3세계 학생들과의 교류, 서독 가톨릭의 제3세계에 대한 관심 등이었다. 그리고 결정적인 계기는 파독광부와의 만남이었다. 마리아는 1968년부터 한국가톨릭농촌청년회에서 활동하면서 국제적인 관계망을 구축하기 시작하였다. 국제적인 관계망 구축은 국제가톨릭농촌청년회인 미작 회원으로 1971년에 가입함으로써 이루어졌다. 국제가톨릭농촌청년회인 미작과 실질적인 관계 형성은 마리아가 국제협력업무를 전담하기 시작하면서였다. 이후 국제가톨릭농민운동의 방향에따라 한국가톨릭농민운동도 인간개발과 사회개발에 중점을 둔 방향으로나아갔다. 한국가톨릭농민회가 미작 회원이 된 후에 국제기독교관계망은 확대되었다. 서독, 네덜란드, 호주와 캐나다의 APHD, 영국 크리스천 에이드, 인도, 필리핀, 월남 등의 기독교기구들과 국제적으로 연대하였다. 개발원조지원은 서독, 네덜란드, APHD, 크리스천 에이드 등에 의해 이루어졌다. 서독 가톨릭은 한국가톨릭농민회의 예산액을 거의 담당하였다. 서독의 지원은 서독 동부지역 파더보른교구 KLJB와 미제레오에서 담당하였다. 그 다음으로는 네덜란드 세베모와의 연대였다. APHD는 1977년부터 재정적 지원을 시작했다. 한국가톨릭농민회는 한국농촌에 대한 구체적인자료 등을 보냈으며, 회원들은 APHD 세미나, 현장 체험, 회원단체의 행사 등에 참석함으로써 한국농민운동을 발전시켰다. 마지막으로 들 수 있는 국제기구는 크리스천 에이드였다. 1978년 크리스천 에이드는 미작을통해 한국 가톨릭농민운동의 지역발전 프로젝트를 위한 지원금을 보냈는데 주로 여성자원개발과 관련된 것이었다. 이와 같이 마리아는 한국가톨릭농민운동의 국제적인 관계망 구축뿐만아니라 한국여성농민운동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