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관한 고찰: 일본 북해도 청소년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하경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2

        This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 of educ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on 2010, studied about how to understand and suggest selected Korean traditional music as Japan'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as Japan'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has the ease of Japanese teenagers being able to have a closer and easier approac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rouse interest and systematic education effect through performance, viewing, and practice. In other words, field of performance and viewing can lea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rough selecting different repertories such as dance with theme or singing with lyrics. Field of education and practice can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samulnori and kayagem experience. Also, by using various references, it will be a chance for Japanese teenagers' systematic and deep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is education example of Japan, provides bright future and directivity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Due to this paper,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expected to become a successful ca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by enforcing specialized education with more realistic and systematic form. 본 논문은 2010년 실시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 사례를 토대로 일본의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한국전통음악을 어떻게 이해하고 선별하여 체계적으로 다룰 것인가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일본의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한국 전통음악은 다른 나라의 음악에 비해 일본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비교적 쉽고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용이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국 전통음악의 교육은 공연 및 감상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 및 실습을 통하여 체계적인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공연 및 감상 영역은 테마가 있는 무용과 가사가 담긴 병창 등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정하여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유도할 수 있다. 교육 및 실습 영역은 사물놀이와 가야금 체험학습을 통하여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일본 청소년들에게 보다 폭넓은 다문화 음악교육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일본의 교육 사례는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밝은 미래와 방향성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 전통음악교육은 앞으로 이와 같은 현장 교육 경험을 토대로 좀 더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를 갖추어 전문적인 교육을 실시한다면 일본의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성공적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중등학교 교사와 학생들이 인식하는 따뜻한 교육공동체 구성요인 탐색

        이상수,김대현,이유나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2

        본 연구는 우리나라 교육현상이 갖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의 하나로 공동체적 접근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기존 교육공동체적 접근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들을 분석하여 새로운 공동체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즉 외국 공동체 이론이 아닌 한국형 교육공동체, 모든 공동체 구성원들이 참여할 수 있는 교육공동체,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대립이 아닌 조화를 추구하는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 그리고 내부 구성원들의 인식에 기초한 공동체 탐색 등 네 가지 방향성을 가지고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들 방향성에 기초하여 한국인 의식의 특성에 대한 연구와 공동체에 대한 연구들을 기초로 하여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새로운 교육공동체 모습으로 설정하였고 이를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그리고 중등학교 학생과 교사 총 1271명을 대상으로 따뜻한 공동체는 어떤 모습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인식도 조사에 기초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격적 관계, 민주적 참여구조, 공유된 비전과 목표, 협력, 헌신, 그리고 정서적 유대감 등 여섯 개의 요인이 따뜻한 교육공동체를 설명할 수 있는 구성요인들이 추출되었고 각 요인별로 세 개에서 여덟 개의 문항들이 추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로 제시된 따뜻한 교육공동체는 한국인의 전통 의식들이 가지고 있는 장점을 극대화하고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한국형 교육공동체의 모습을 제시한다는 관점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 KCI등재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진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research methodology of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presume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al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categorized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in music education and classified research articles(N=112) published in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JMES) of Korea by the research methodological category since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ost of Korean publications in JMES were review articles (n=96; 85.7%), and the small numbers of articles took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n=16; 14.3%) relatively, while majority of American music education studies i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JRME) produced results b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78.3%). In conclusion, stud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needs to balance research methodological procedure with producing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more for the future of Korean mus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에 관련된 학술적 연구들의 유형을 과학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류하고, 현재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유형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음악교육의 현황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보다 나은 한국 음악교육의 미래를 위하여 음악연구의 방법론적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과 관련한 연구방법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현재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현황을 알기위하여, 음악교육 공학회에서 발간하는 음악교육공학에 출간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삼아 유형을 분석하여(N=112) 미국의 JRME에 출간된 음악교육연구유형(Yarbrough 1996)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의 음악교육 관련 연구가 대부분 양적연구방법인 실험연구와 조사연구(78.3%)인데 반해, 한국의 음악교육 관련 연구는 대부분 질적연구방식에 속하는 메타분석(Meta-Analysis)을 사용한 문헌연구(Review Article) 방식(85.7%)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국에서 양적연구에 치우친 음악교육계가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연구방법의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처럼, 한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한 현장중심의 양적연구들이 많이 나와서 한국의 음악교육이 발전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 메이커교육의 평가를 위한 평가틀 및 요소 탐색

        강인애,윤혜진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메이커 운동(Maker Movement)은 기존의 DIY 문화가 다양한 디지털 기술과 도구에 대한 용이한 접근성과 접목하여 미국을 중심으로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문화적 현상이다. 교육 현장에도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올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되어지고 있으며, 메이킹 활동을 정규 교과과정에 통합하는 '메이커교육'의 실천이 활발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메이커교육은 기존의 노작교육처럼 단순히 만들기 활동에만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메이커 운동에서 강조되고 있는 '메이커 정신(Maker Mindset)'의 함양을 꾀하는데 의미가 있다. 학생이 학습의 주도권을 가지고 맥락적 상황 속에서 스스로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고 개인의 목표에 따른 가시적인 결과물을 창조하기까지의 과정 가운데 학습자가 가지게 될 흥미, 실패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성장 기반의 활동, 동료 학습자와의 공유, 나눔 등의 협력적 관계 등이 중요한 교육적 효과로서 확인할 수 있다. 이처럼 메이커교육이 전통적 교육과는 많은 차이가 있으므로 기존의 결과 중심의 정량적 평가 방법에서 벗어난 새로운 과정 중심의 평가 방법이 필요함이 메이커교육을 실천하는 교사와 연구자들 사이에서 공통적으로 주장되고 있다. 곧, 학습자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는 메이커교육에서는 학습의 결과로 성취해야 하는 기준이 이전과는 다른 요소, 역량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다시 말해, 메이커 활동에서 지향되는 가치와 정신이 메이커교육의 평가를 위한 핵심가치로써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메이커교육에 대한 연구는 아직 시작 단계이며 학자들마다 상이하게 제시하는 메이커 정신의 내용들을 포괄하는 학습결과 평가요소를 포함한 전반적인 평가 평가틀에 관한 연구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메이커교육 관련 선행연구와 문헌자료를 분석하여 메이커교육의 가치들을 포함하는 핵심가치를 탐색하고, 그를 평가할 수 있는 평가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평가틀의 요소들은 인지적 활동 (minds-on), 체험적 활동(hands-on), 감성적 활동(hearts-on)의 3ONs에 입각하여 지덕체의 전인격적, 종합적 측면을 다루고, 이와 동시에, 메이커 운동의 개방과 공유의 사회적 관계 형성 및 참여와 적용과 실천의 에이전시로서의 태도를 나타낼 수 있는 사회적 활동(social-on)과 실천적 활동(Acts-on)이 추가한 5ONs의 요소를 반영할 것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메이커교육을 실천하려는 교사 및 연구자들에게 메이커교육에 대한 평가의 새로운 관점을 제시해줄 수 있는 초석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대학 및 지역 기반 교육학습 현장에서의 디지털배지(Digital Badge) 도입 사례 연구

        배예나,안미리 한국교육공학회 2017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7 No.1

        교육·학습은 과거와 현재 뿐만 아니라, 미래사회 부(富)를 창출하는 인간중심의 가치지향적 무형자본을 키울 수 있는 원동력이다 인구구조, 저성장 경제위기, ICT신기술·융합 확산 등 기술·사회의 변화는 미래형 교육·학습 환경의 혁신을 촉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제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디지털배지에 대한 도입 현황 및 해외전략 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교육·학습 분야의 新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CT 발달은 학습자와 교사는 물론, 국민의 일상생활이나 학습태도, 교육서비스와 시스템 등 학교 안팎의 교육환경 변화를 주도하고 있다. 최첨단 학습환경은 학습자의 학업성과를 높이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디지털배지와 같은 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교육기술 도입 활성화를 통해 창의적 교육환경이 구현될 수 있다. 현대사회의 정보화패러다임 또한 과거 'ICT 중심의 성장·확산'에서 국가사회 전영역에의 ‘ICT 접목·활용'으로 변해감에 따라 ICT융합 기반의 교육·학습 혁신을 위한 新전략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교육현장에서 디지털배지를 도입한 사례에 대해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활용적 측면이나 성과적 측면에서 우리나라 교육·학습 현장에 실질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전략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 학교 메이커스페이스 및 메이커교육 설계원리 개발 연구

        이동국,김현진 한국교육공학회 2019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9 No.1

        메이커스페이스는 메이커교육에 참여하는 학습자의 활동, 학습자와 공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구축되어야 하며, 그 속에서 일어나는 메이커교육은 이러한 요소들을 충분히 고려하여 설계해야 한다. 메이커교육과 같은 복잡한 학습자 중심 학습 환경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교수자를 위한 구체적인 가이드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효과적인 메이커교육을 지원하기 위하여 메이커스페이스와 메이커교육의 설계원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설계·개발 연구 방법론을 적용하였으며 연구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메이커스페이스와 메이커교육에 대한 문헌 고찰을 통해 메이커의 활동 시스템을 규명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어포던스를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교 메이커스페이스와 메이커교육에 대한 초기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둘째, 초기 설계원리에 대하여 9인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2차례에 걸쳐 전문가 타당화 검토를 하여, 설계원리를 수정·보완하였다. 셋째, 현장 평가를 위하여 공감초등학교에 메이커스페이스를 설계 및 구축하였고, 4차시의 메이커교육을 실행하였다. 현장의 요구를 충분히 반영하기 위해 연구자와 실천가는 사전 협의, 설계원리 적용 평가, 작업일지 작성과 심층 면담의 과정을 통해 지속적으로 의사소통하며 연구를 진행하였다. 현장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최종 학교 메이커스페이스 및 메이커교육 설계원리를 도출하였다. 최종 메이커스페이스 설계원리로 융통성 확대의 원리, 행위 통제의 원리, 상호작용 촉진의 원리, 명료성 강화의 원리가 도출되었다. 최종 메이커교육 설계원리로 친밀감의 원리, 유의미성의 원리, 융합의 원리, 협력의 원리, 통제 가능성의 원리, 사용 용이성의 원리, 긍정적 지원의 원리, 외현화의 원리, 공유성의 원리가 도출되었다.

      • KCI등재

        예비음악교사 양성기관의 교육실습체제 비교연구: 한국과 미국을 중심으로

        정재은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2 음악교육공학 Vol.- No.1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udent teaching practicum program for music teachers in middle school emphasizing on the system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result of the analysis, finally this study will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effective student teaching practicum program in Korea. For this purpose, music education department of 10 teacher's college in Korea and 4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the United Stat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student teaching progra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the United States is more systematic and various than that in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Korea and has more strict standards to take student teaching practicum program. Based on this result, five dimensions of suggestions were mentioned to improve the quality of student teaching practicum program in Korea. First of all, the extension of the period of student teaching and increase of the credits for student teaching is needed. The curriculum related to the observation music teaching and learning is needed before performing the student teaching. The orientation, on-going education, and post-education for the effective and systematic student teaching program are demonstrated in detail. In addition, the requirement for the taking student teaching and teaching certification has to be fortified. Finally, It is necessary to have open lines of communication between the co-op teacher and the university supervisor regarding the student.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사 교육에서 교사의 실천적 지식을 확장시켜줄 수 있는 교육실습 내용 및 운영 실태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다는 점에 주목하고, 음악교사 교육의 특수성을 반영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모색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출발하며, 이를 위하여 주(state)마다 다양한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는 미국의 교육실습 내용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의 예비음악교사 교육실습프로그램의 개발에 방향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우선, 한국의 대표적인 중등음악교사 양성기관인 사범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실습체제 및 운영 실태를 비교하고, 다양성으로 대표되는 미국대학 음악교육과의 교육실습체제 및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문제점 개선을 위한 방향을 첫째, 교육실습 기간의 연장과 실습학점의 증가의 필요성, 둘째, 교육실습 전 현장을 경험할 수 있는 관찰 및 참관수업 관련 과목의 개설, 셋째, 체계적인 교육실습을 위한 사전교육, 실습중 교육, 사후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의 확립, 넷째, 교육실습 자격 요건의 강화, 다섯째, 협력학교 교사와 대학전공교수, 그리고 예비음악교사와의 밀접한 관계의 형성으로 제시하였다.

      • 교육공학 관련 정책의 방향성 탐색

        송해덕,김규식 한국교육공학회 2015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5 No.1

        일련의 교육정책은 교육실천과 연구에 영향을 미친다. 교육현장은 교육정책에서 추구하는 비전과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수행하고 있다. 교육정책이 교육실천과 연구에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교육공학에 대한 정책은 교육공학의 실천과 연구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국내에서 대표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교육공학 관련 정책으로 1996년부터 단계적으로 추진되어온 ``교육정보화 발전계획``을 들 수 있다. 교육정보화 정책을 통해 초·중등교육 정보화는 물론 학교 행정 시스템의 고도화, 고등교육 및 학술 정보화, 교육학술 시스템 고도화 등이 추진됨으로 인해 교육행위 전반에 대한 ICT의 접목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IT 산업이나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이슈가 되는 테크놀로지를 단지 교육현장 에 적용시키는 차원에서는 교육공학이 표방하는 테크놀로지 기반 학습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결국 교육공학 관련 정책의 추진에 요구되는 것은 교육공학적 방향 설정이 먼저 이루어 져야 하다는 점이다. 그동안 교육공학 실천가들과 연구자들 사이에서 가장 관심이 적은 분야가 교육공학 관련 정책을 제안하고 검증하는 분야일 수 있으나, 향후 교육발전과 한국교육공학의 발전을 위해서는 교육공학 정책에 대한 교육공학자의 높은 관심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교육공학연구: 초기 및 최근 연구들의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오은정 ( Eunjung Grace Oh ) 한국교육공학회 2019 교육공학연구 Vol.35 No.2

        본 연구는 한국 교육공학회의 주요 저널인 교육공학연구에 출판된 교육공학학문을 검토한 연구이다.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 이 두 가지 개념적 틀을 분석의 도구로 사용하여, 초1985년부터 1993년과 2009년부터 2017년간, 두 번의 9년이라는 기간 동안 교육공학연구에서 출판한 374개의 논문에 대한 내용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에서는 초기에 비하여 최근 논문들에서 사용된 연구의 목적과 연구의 방법들이 보다 다양화되었으며, 이에 따른 한국의 교육공학분야의 연구를 통해 창출되는 지식의 주요 특성 등, 교육공학의 연구에 대한 주요 동향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초기에 비하여 최근에는 이론 개발 및 종합적 연구 목적을 지닌 논문들의 출판이 많이 감소하였으나, 기술/해석적 연구 목적과 설계/개발적 연구 목적을 지닌 논문들의 출판은 다소 상승하였다. 연구 방법적 측면에서는, 최근 논문들에서 문헌 연구의 사용은 감소하였으나, 양적, 질적, 혼합 연구 등 다양한 연구 방법들이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또한 그동안 교육공학의 연구에서 거의 사용되지 않았던 연구 목적과 연구 방법에 대한 의미를 새롭게 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향후 한국 교육공학 연구와 교육에 대한 논의점을 제시하고 있다. This study reviews and synthesizes educational technology scholarship by analyzing early and recent years of publications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JET), the lead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ducational Technology (KSET). Using the research goals and methods frameworks, a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to review 374 studies published in JET over two nine-year periods (1985-1993 and 2009-2017). Findings present a number of interesting trends in research goals and methods of educational technology research in Korea, particularly the practice and acceptance of the diverse nature of scholarship manifested in the use of research goals and methods in our field. While there was a major decrease in publications with Theory development/synthesis research goals, the use of research goals such as Descriptive/interpretivisit and Design/development was increased in recent papers. Regarding research methods, concurrent with a decrease in literature review methods, a diversified use of research methods such as quantitative, qualitative and mixed methods was found in recent scholarship. Lastly, the findings also reveal the research goals and methods that have been neglected but needed in future scholarship for their contribution to educational policy and practice. Implications for current educational technology scholarship and the Korean education landscape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cholarship were discussed.

      • 스마트교육의 개념과 속성 고찰: 개념 분석을 중심으로

        윤가영,이효진,장민성,박인우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본 연구는 스마트교육 관련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는 스마트교육의 개념이 혼재되어 있는 문제점을 밝힘으로써 스마트교육의 명확한 개념 정립과 이론적 기틀 확립을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자 한다. 스마트교육에 대한 이론적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연구자마다 다양한 관점에서 개념과 특성을 정의하고 있으며, 이러한 혼재로 인해 교육현장에서 스마트 교육은 본질적 특성을 잃은 채 협소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하게 혼재되어 있는 스마트교육에 관한 개념과 속성을 분석하여 학문적 개념을 정의하고,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스마트교육과 관련된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개념과 속성을 정리하여, 공통적인 속성을 코딩·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속성을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교육은 수업 및 학습의 도구로서 스마트형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다. 둘째, 스마트교육은 적절한 교육내용·교육방법·교육평가를 모색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체제이다. 셋째, 스마트교육은 자기 주도적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넷째, 스마트교육은 학습자 중심 학습을 가능하게 한다. 다섯째, 스마트교육은 학습자 간, 학습자와 교수자 간, 학습자와 매체 간의 상호작용 및 피드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지식 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여섯째, 스마트교육은 학습을 위해 형식·비형식 학습이나 물리적 환경을 활용하며, 이러한 열린 학습 환경이 학습자의 학습과 지식 구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의 6가지 속성을 토대로 교육공학적 관점에서 스마트교육을 정의하였다. 스마트교육은 학습자의 학습을 촉진시키고, 학습목표 달성에 적합한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자기 주도적 학습, 학습자 중심 학습, 상호작용 학습과 같이 지식과 능력의 구성 및 향상이 가능한 학습을 실천하며, 최선의 실천을 위해 어떠한 도구, 자원, 환경이 수업과 학습에, 그리고 학습자에게 활용될 수 있으며, 선택한 도구와 자원이 왜 더 나은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지를 분석한 체계적인 설계가 수업과 학습에 반영된 교육방법이라 할 수 있다. 합의된 개념의 부재는 오해와 편견을 야기할 수 있으며, 개념적 혼란을 초래함으로써 스마트교육의 발전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에, 연구자들 간의 논의와 합의를 통해 하루빨리 스마트 교육의 개념과 특성에 대한 공식적인 정의를 확립하고,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는 작업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