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형 종합건설사의 녹색건설 동기유발요인에 관한 연구 - 정치경제 접근법을 중심으로 -

        김재희,김한수,Kim, Jae-Hee,Kim, Han-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3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4 No.3

        최근 건설산업은 녹색건설(Green Construction)이라는 새로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건설기업으로 하여금 녹색건설을 추진하게 하는 동인(動因)은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Research Question)을 설정하여 녹색건설을 추진하게 하는 동기유발요인을 도출하고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분석하였다. 연구 범위는 대형 종합건설사로 설정하였으며 정치경제 접근법을 연구방법론으로 채택하였다. 대형 종합건설사는 미래시장인 녹색건설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녹색건설시장의 시대적 사회적 흐름에 주목하며 경제적 요인들을 중요시하고 있었다. 특히 동기유발요인 중 내부 경제적 요인이 중요하게 작용하며 최고경영진의 의지가 이를 유발시키는 중요한 동력으로 나타났다.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now facing a new challenge of green construction. Based on a research question of "what motivates contractors to pursue green construc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and discuss key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green construction motivators among major contractors. The Political Economy Approach was adpoted as a main research methodology. The study demonstrated that major contractors show a high level of expectation in the future of green construction and consider economic factors as higher motivators while paying attention to social trends towards green construction. In particular, internal economic motivators were highly considered and the commitment of senior management was viewed as a key motivator.

      • KCI등재

        기술기반 중소건설업체 지원을 위한 건설기술가치 평가 연구

        김명수,Kim, Myeongsoo 한국건설관리학회 2017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8 No.4

        본 연구에서는 수익접근법을 기본 모형으로 하여 건설부문의 특성을 반영한 건설부문 기술가치 평가를 시도하였다. 수익접근법은 향후 발생할 미래수익에 대한 현재가치 가운데 기술로 인한 부분만을 고려하여 기술가치를 산정한다. 무엇보다 건설기술은 표준화된 일반 제품에 비해 많은 변수가 존재하므로, 건설기술가치평가는 가치평가의 표준화된 산식은 물론 건설 기술전문가, 시장전문가 팀의 정성적 평가에 대한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그리고 건설부문은 매출과 수익성 추정에 대한 불확실성이 타 산업 대비 높으므로, 할인율과 현금흐름 추정에 보수적인 입장을 취해야 한다. 실증분석을 위해 경제적 수명 및 현금흐름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실무가이드와 전문가들의 평가를 반영하여 산정되었고, 할인율 및 기술기여도는 건설업의 특성을 반영시켜 분석하였다. 먼저 보수적 평가에 따른 위험프리미엄의 증가로 할인율이 15%로 산정되었다. 그리고 기술의 우수성으로 개별 기술강도 비율이 72%로, 이에 따라 기술기여도는 46.7%로 추정되었다. 이 같은 할인율과 기술기여도의 변화를 종합하여 기술가치평가 금액은 318백만원으로 추정되었다. 본 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현재 종합 및 전문건설업 2부문으로 구분된 공종별 또는 업종별 구분을 다양화하고, 기본적 통계자료 확보 및 DB구축이 필요하다. 건설기술의 다양한 변동성으로 인해 평가에 참여하는 전문가들의 정성적 평가에서의 역할이 더욱 강조된다. Based on Income-approach, this study develops the evaluation model which reflects construction industry's traits. Using Income approach, we derive future income's present value and evaluates the technological value by contribution to future income. As there exist more random variables in construction technology than in standardized manufactured products, we cannot help relying on not only quantitative estimation method but also qualitative evaluation by technology and market experts when we estimates construction technology value. Also, conservative estimation is needed for discount rate and cash-flow estimation, because of high uncertainty in sales and profits in construction industry. In empirical analysis, we applied economic periods of duration and cash-flow based on the standard guideline, and analyzed discount rate and technology factor based on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industry. The discount rate is estimated to 15% because of risk-premium increase by conservative evaluation. Technology factor is estimated to 46.7%, because technological intensity is estimated to 72% by technological superiority. Such implications can be inferred. Firstly, we need to build a database to diversify categories for division of sectors by activity or industrial classification which is now categorized only by two sectors in standard guideline. Secondly, the roles of experts who participate in technology evaluation are important because of volatility of construction technology.

      • KCI등재

        스마트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건설 자재 관리

        이광표,이현수,박문서,김의준,Lee, Kwang-Pyo,Lee, Hyun-Soo,Park, Moon-Seo,Kim, Eui-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4

        최근 건설 공사가 대형화, 복잡화되어 감에 따라 건설 산업에서는 Information Technology (IT) 기술의 도입을 통한 생산성 향상을 추구하며, 보다 효율적인 건설 관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다양한 종류의 건설 관리시스템 (Project Management System)이 도입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Bar Cod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Web Camera 등의 다양한 IT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술들은 실시간 정보처리 기술의 부족, 건설 현장과 관리 오피스의 이원화 등으로 인하여 정보의 재작업 및 비효율성을 초래하여, 데이터의 저장 및 데이터베이스 (Database) 기능을 제외한 부분에서는 오히려 건설 생산성을 저해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기존 관리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요구사항 분석을 통하여 기능을 도출함으로써 건설 자재 관리 부문에 있어 건설 현장 내 적용성이 뛰어난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건설 자재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정보의 자동 입력, 자재 정보의 실시간 처리 및 확인, 조달 자재 위치 확인을 가능하게 하여 건설 현장과 관리 오피스 간의 이원화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다. 이와 더불어 최신 IT 디바이스 (Device)인 스마트폰의 건설 현장 내 도입 가능성 및 적용성을 확인해 보고자 한다. Construction works have become larger and more complex, improving productivity by introducing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pursued. In this circumstance, many different kinds of project management system is being introduced, and various IT technologies are applied such as 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Bar Code,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Web Camera, and so on. However, these kinds of technologies might cause reprocessing of information and ineffectiveness of project because of lack of real time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or separation between construction sites and management offic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pplication that can be applied efficiently for construction material management, by understanding problems of former management system with questionnaires and extracting functions with analysis of requirements. This will be possible to input information automatically, to process and check material information in real time, and to identify the location of necessary material. Then, the problem of separation between construction sites and management offices are solved, and as a result, more efficient management of materials in construction sites will become possible.

      • KCI등재

        린 건설 수행에 따른 인적자원의 동기유발

        김대영,Kim, Dae-Yo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7 No.3

        린 건설이 소개되어진 이후 많은 린 건설 관련 연구들이 진행되어지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들은 린 건설 개념과 기법 개발에 중점을 두고, 기계적 합리성과 기술적 효율성만을 향상시키는데 그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린 건설의 인적 자원 측면에서의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도입 초기 단계인 국내의 린 건설의 활성화와 보급화를 위해서는 한번쯤 이러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왜냐하면 린 건설 도입 초기 단계에 있어서 린 건설에 필요한 많은 기능들을 수행하고 이의 잠재성을 성공적으로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참여 건설 인력의 잠재성과 능력에 상당 부분 의존할 수 발 에 없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현장 조사에 앞서 미국 내 린 건설을 적용하고 있는 건설 현장의 원도급자와 하도업자를 포함한 작업 인력들에 대해 설문조사 및 인터뷰를 통해 린 건설이 인적자원과 어떠한 관련이 있으며 어떤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지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린 건설이 건설 현장에서 적절히 도입되고 수행되어질 경우 인적 자원의 능력 향상 및 작업 동기 유발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린 건설은 무엇보다도 공사 참여자들 간의 관계 개선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린 건설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인적자원과의 연관성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Since Lean Construction has been introduced in 1992, much research is in progress to popularize lean concepts and principles. Most research focuses on developing lean concepts and tools and strengthening the limited domain of instrumental rationality and technical efficiency. However, the basic concepts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seem to be ignored by those who advocate lean production. Thus, the lean construction research related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must be once considered for popularization and activation of lean construction at the beginning stage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Because human resources have a major influence on lean implementation and its success, especially at the beginning stage of lean construction. This paper considers the human resource requirem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lean construction in the USA construction industry. The results from the study will provide the foundations to adapt lean construction into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Consequently, the study found that lean construction could improve the capability of human resource and human motivation if effectively implemented in the construction sites. Since lean construction emphasizes and focuses on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among project participants, constant application to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crucial for successful lean implementation.

      • KCI등재

        효과적인 린 건설 수행을 위한 린 시스템 운용 방안 제시

        김대영,Kim, Dae-You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5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6 No.6

        린 건설은 건설 관리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준다. 제조업체로부터 시작된 린 건설은 제조업의 생산활동과는 판이하게 다를 수 있는 건설업의 생산 업무를 효율적으로 조정해 주는데 역점을 두고 있다. 미국 LCI협회는 작업 흐름의 관리와 보다 효율적인 공정 및 계획 관리를 위해 최종 계획 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여 건설업체에 보급, 린 건설의 활성화를 유도하고 있는데, 이것이 바로 라스트 플래너 시스템(Last Planner System: LPS)이다. 국내에서도 린 건설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는 가운데 여러 번에 걸쳐 이 LPS의 소개가 이루어 졌으나 공사현장 참여자들의 비교적 상세한 지침서는 아직 제시된 바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현장에서 린 시스템의 보다 효율적인 적용과 수행을 가능케 하기 위한 토대 마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현장 방문을 통한 인터뷰 및 설문조사, 그리고 현장의 린 건설 수행 실태 분석 등을 통하여 린 건설 수행 시 공사 참여자들의 역할과 의무를 정리하였고 린 시스템 중 가장 일반적으로 현장에 적용되어지고 있는 라스트플래너(Last Planner)의 운용 가이드를 제시하였다. 이와 더불어 린 시스템 적용 관리 모델을 제시하여 공사참여자들의 린 건설의 원활한 수행을 유도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Since Lean Construction has been introduced as a new management approach to improve productivit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uch research is in progress to develop lean concepts and principles for better implementation and to get results of the successful adaptation of lean ideas from manufacturing for applic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Currently, Lean Construction Institute developed Last Planner System to achieve better workflow and effective planning management. Domestic construction companies are also getting interested in the Lean Construction. However, there are no detailed guidelines how to implement lean system. Thus, this study will provide a guideline for deployment of last planner system, a prototype lean implementation control checklist, and all project participants roles based on the case studies in USA. This study should provide a framework to apply lean construction to domestic construction sites.

      • KCI등재
      • KCI등재

        건설사업관리(CM) 현장 참여자의 업무지침을 위한 핵심업무 도출

        송설민,서진현,이창희,김예상,조훈희,Song, Sul-Min,Seo, Jin-Hyun,Lee, Chang-Hee,Kim, Yes-Sang,Cho, Hun-Hee 한국건설관리학회 2011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2 No.4

        최근 국내 건설산업에서의 건설사업관리제도(CM: Construct Management)는 발주자의 관리능력의 보완 및 건설사업의 종합적 관리를 통한 사업 효율성 제고의 수단으로서 인지되고 있으며, 적용이 확대되고 있다. 기 제정 및 개정된 건설사업관리 업무지침은 수행업무에 대한 범위 및 절차의 내용이 각 업무의 정의 수준에 머물러있고, 세부 업무에 대한 구체성이 미흡하여 세부업무에 대한 수행계획을 세우는데 효과적이지 못하다는 문제점과 기 수행된 건설사업관리 사례에 대한 조사에 따르면 각 건설사업관리 용역사 별, 프로젝트별에 따라 별도의 업무지침에 따라 업무가 계획 수행되고 있다는 점에서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건설사업관리를 위해서는 구체화, 표준화된 업무지침서 및 절차서의 필요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관련 문헌 및 국 내외에서 수행된 건설사업 사례의 업무지침서와 절차서를 바탕으로 건설사업관리자의 주요업무를 도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분석하여 핵심업무를 도출함으로써 향후 건설사업관리 계약 및 업무 수행에서 실질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the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of domestic construction environment has being extended because that is an effective means to supplement owner's management and improve a total management of construction. But existing CM service guide is staying simply defined level about a work scope and procedure. So the standard CM guide needs to set a detailed plan of the project. Therefore, the key works were deducted by doing survey after the main work of CM service based on CM case studies and an existing CM service guide. That is expected to use CM contract and do service.

      • KCI등재

        건설자재의 공동주택 현장 적용을 위한 RFID 부착 및 인식에 관한 실험적 연구

        주기범,한충한,Ju, Ki-Beom,Han, Choong-Ha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9 한국건설관리학회 논문집 Vol.10 No.5

        최근 건설 산업은 정보기술을 접목하여 효율성과 경쟁력을 높이는데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RFID는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나 건설 산업의 기본 요소 인 건설자재에는 다양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 및 사용 환경 요인 등으로 인하여 적용이 용이하지 않아 현장에 적용 사례가 많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RFID를 건설 산업에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RFID 코드발급과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하고 두 번째로 건설자재 적용을 위한 주파수, 사양, 프로토콜, 패키지방법, 인식 방법 등의 표준화연구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RFID코드발급과 관리방안을 마련하고 건설자재에 적합한 RFID Tag을 선정하기 위하여 건설자재의 물성/환경적 특성 분석, 건설자재의 현장 도입 및 관리 단위, 관리형태 등을 분석하여 건설자재별 적합한 RFID 태그를 선정하고자 진행되었다. 현장 실험은 건설현장 반입 및 관리 단계로 구분하여 실험을 실시하였다. 다양한 실험 결과는 향후 건설현장에서 RFID를 활용할 경우 시행착오를 줄일수 있는 좋은 사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trend of all industries recently lies in combination, construction industry is much interested in enhancing efficiency and competitiveness in the aspect of site control by adopting RFID. Though RFID has been applied to diverse areas thus far, it cannot be easily applied to construction industry due to diverse physical, chemical and use-environmental properties of construction materials. Furthermore, it is rarely applied to the site because of many problems in its application. It is required to prepare RFID code issuance and system that can systematically control the code as well as to research the standardization of frequency, specification, protocol, package method, recognition method, etc in order to apply RFID to construction industry. In this research, RFID code issuance and management program are proposed as a part of program research to apply RFID. Furthermore, the restricted matters of existing RFID tag are drawn to produce pilot product of RFID tag that can solve it so as to perform site application test. According to the experiment, effective recognition distance varies depending on material/environmental property and control efficiency changes depending on attachment method and application method. Thus, preparing diverse restrictive factors and solution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control method(medium, process) of current architecture materials and applying it to construction site can be the way to successfully apply RFID.

      • KCI등재

        해외건설 실적분석을 통한 문제점 도출 및 시장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최준열,전락근,김재준,Choi, Jun-Youl,Jeon, Rak-Keun,Kim, Jae-Jun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7 No.4

        외환위기 이후 서서히 회복하던 국내 건설시장은 정부의 지속적인 부동산 규제 정책으로 최근 들어 급속히 위축되어 가고 있다. 반면 해외건설시장은 세계경제의 성장과 더불어 WTO(World Trade Organization)체제 출범이후 시장개방이 가속화되어 지속적인 성장을 하고 있고, 또한 최근의 고유가로 인한 중동을 중심으로 한 산유국들의 발주량 증가는 국내건설업체들에게 해외 진출의 좋은 기회가 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 건설업체들은 해외시장에서 선진국의 기술력과 중국 등 후발국의 추격으로 입지가 줄어들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에서는 1970년대부터 지금까지 우리나라 해외건설 수주실적 자료를 분석하여 우리나라 건설산업이 지나온 흔적들을 하나씩 살펴보고,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건설업체들의 문제점들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나타난 현재 우리나라 해외건설시장의 문제점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해외건설시장 확대에 도움이 되는 분석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is recovered after a foreign exchange crises but recently it's daunted again because of the sustainable real estate regulation policy by the government. The other aspect, after the WTO(World Trade Organization) system opened overseas construction is growing continuously with growth of international economy and opening of market through world. Moreover, for ballooning oil prices an orders increase by oil-producing countries, the Middle East, gives good chances to domestic construction enterprises. But, the domestic firms decrease on our domain by chases of developing country and high-technology or advanced country. This research will indicate processes of our construction business to analyze performance record about our overseas construction from the 1970s to present. Based on the results it intends to search for problems of our construction enterprises and provide useful analytic data for expansion of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 KCI등재

        현장 사용자 관점에서의 건설 정보시스템 만족도 분석

        윤정환,윤수원,진상윤,김예상,Yoon, Jeong-Hwan,Yoon, Su-Won,Chin, Sang-Yoon,Kim, Yea-Sang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 건설관리 : 한국건설관리학회 학회지 Vol.7 No.4

        대부분의 대형 건설기업은 정보화의 일환으로 건설현장의 관리 효율화를 위해 건설 정보시스템을 개발하여 건설현장에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건설 정보시스템은 도입과정에서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는 실무자 요구사항에 대한 반영은 미흡한 상태에 있으며, 실제 사용자의 자발적 참여가 부족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10개 건설기업 현장을 대상으로 사용자 관점에서의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여 현재 구축되어져 있는 건설 정보시스템의 기능 현황 및 건설 정보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 건설 정보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기능에 대한 구축수준 만족도에 대한 분석을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전설 정보시스템에 대한 건설현잔 사용자들의 전반적인 만족도와 건설정보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기능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하여 앞으로 건설정보화 시스템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Most of large construction companies have developed construction information systems and their ultimate goals should b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the construction projects. In order to make them successful, the systems should be designed to meet system users' needs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urrent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s from the viewpoint of the system users, especially on-site engineers. Questionnaire surveys and interviews have been conducted for the highly ranked 10 construction companies on four major factors including the functions of the systems and satisfaction level of each function, recognition of the use effect, informatization support. From the surveys results, correlation between the functions of the systems and the others has been statistically analyz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