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독적으로 인터넷 PC게임에 몰입하는 대학생들의 체험연구

        권경주,류한주,서은록,이유경,이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2000 이화간호학회지 Vol.- No.33

        현대사회는 컴퓨터의 등장으로 정보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정보화 사회의 산물인 인터넷 PC게임은 새로운 컴퓨터 문화로, 90년대 후반에 급속히 확산 되고 있는데, 인터넷 PC게임의 중독으로 인해 현실의 생활에 지장을 주는 사례가 많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에서 특히 문화를 가장 잘 받아들이고 흡수하는 대학생들 사이에서 인터넷 PC게임은 선풍적인 인기를 몰고 있으며 이로 인해 중독적으로 인터넷 PC게임에 몰입하는 사람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자는 언론매체를 통해 중독적으로 인터넷 PC게임에 몰입하는 대학생들을 자주 접했으나 이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과 대처가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게 되었다. 더구나 중독적으로 인터넷 PC게임에 몰입하는 대학생들의 체험과 관련되어 쓰여진 문헌들은 거의 없었으며 단지 신문이나 잡지, TV 등을 통해서만 언급되고 있었을 뿐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중독적으로 인터넷 PC게임에 몰입하는 대학생들의 체험의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에 거주하는 대학생 6명이었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1999년 1월 4일부터 1999년 2월 6일까지 개방적인 질문을 통한 심층면담으로 이루어졌다. 연구분석 방법은 벤 매넌이 제시한 현상학적 분석방법을 적용하였으며 4단계의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체험의 본질에의 집중, 실존적 조사, 현상학적 반성, 현상학적 글쓰기. 본 연구의 주제분석은 대상자의 진술 속에서 의미있는 주제를 분류해 내어 그들의 체험의 의미를 발견한 후 본질적 주제를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구 대상자들이 체험한 본질은 다음과 같다. "활이 불규칙해짐""실이 혼란스러움""인관계가 협소해짐-게임위주의 관계 형성""체적 불편감""실과의 괴리감으로 인해 허탈해짐""임함에 대해 무감각해짐""각성 또는 중독성에 대한 합리화""전과 대결의 결과로 성취감을 느낌"quot;역동성과 새로움에 대한 갈망"었다. 이상과 같은 9가지 주제를 통해서 볼 때 중독적으로 인터넷 PC게임에 몰입하는 대학생들은 생활이 불규칙해짐으로 인해 신체적으로 불편함을 느끼며 생활이 컴퓨터 중심으로 되어가면서 대인관계가 협소해지고 현실과의 괴리감으로 인해 허탈감을 느끼고 있었다. 또한 인터넷 PC게임의 전반적인 잔인성으로 인해 잔인함에 대해 무감각해졌으며, 인터넷 PC게임의 심각성과 중독성에 대해 스스로 합리화를 했다. 반면 인터넷 PC게임을 통해 성취감을 느꼈으며, 더욱 새로운 자극을 갈망했다. 본 체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측면에서 간호학적으로 유용한 적용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보여진다. 첫째, 간호수행의 측면에서 사이버중독으로 인한 몸의 변화는 단지 신체적인 호소만이 아닌 전인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간호수행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간호교육의 측면에서는 간호학생들은 연구결과를 토의함으로써 수업 또는 임상을 통해 연구결과와 실질적 사례연구와의 관계를 비교하면서 더욱 창의적인 간호중재를 해보도록 장려한다. 셋째, 간호연구의 측면에서는 점차적으로 인터넷 PC게임에 몰입한 경험이 있는 대학생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 체험의 본질을 탐색하고 이론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에 거주하는 6명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지만 다양한 환경의 인터넷 PC게임에 몰입하는 중, 고교생들의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변화에 관한 체험에 대해 현상학적인 연구를 한다면 또 다른 의미가 드러나리라 사료된다.

      • 간호학생으로서의 자세

        김춘영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1973 이화간호학회지 Vol.- No.7

        우리는 태어나서 여지껏 살아오는 동안 그때 그때 마다 자기 나름대로 철학을 달리하며 살아온 것 같다. 대학을 들어올 때만 해도 각자의 취향 적성에 따라 과를 선택 하였지만 대학 2년생이 된 지금은 자기과에 대해 회의를 느껴 휴학하는 사람도 있고 어떤 막연한 바람으로 학업을 계속하는 사람, 끈질긴 애착으로 학업에 열중하며 마음 굳혀가는 사람도 있다. 사실 대학생으로서 자기과에 대한 철학이라는 것은 과 나름대로 그 과에 속하는 사람 나름대로 또 시간의 흐름에 따라 천차만별일 것이기 때문이다.이미 이 시대는 나타난 것을 초월하여 도시 문명이라는 어마어마한 것이 들어섰고 이에 따른 정보의 과다로 우리의 두뇌와 지적 자료간의 불균형이 일어나 마침내는 자기 파라독스와 언어의 유희 속에서 헤어나지 못할 정도가 되었다. 그러므로 현대는 개인 위주의 흐름보다는 어떤 체제 즉 사회속에의 적응 내지는 봉사를 요구한다. 이때 대학의 사명-진리를 탐구하여 국가 발전 나아가서는 인류의 번영과 세계의 평화에 기여하는 데 있다-을 아는 간호대학의 학생으로서 긍지를 갖지 않을 수 없다. 아마도 내가 가질 수 있는 긍지의 근원이라는 것은 간호의 사명과 결부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우리가 주위에서 듣고 또 배워서 아는 바와 같이 간호의 사명이란 간호원으로서 피간호원의 인간 전체를 간호하는 것으로 환자의 상태와 배경을 잘 이해하여 피간호인의 정신적 또는 육체적 고통을 덜어 주므로써 개인대 개인으로 이루어지는 도움을 사회로 대상을 연장시켜 더욱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봉사하는 것이다.사회가 요구하고 바라는 이상적인 전문직 간호원이 되려면 배우는 간호 학생으로서 우선 좋은 학습 태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시 되어야 할 것 같다. 일반적으로 학습이란 급변하는 환경에 적응해 살기 위해서 취하는 새로운 반응 형식으로 경험을 통해 행동을 변형시키는 과정으로 연령의 변화에 따른 자연적 성숙변화를 말하며 여기에는 반드시 영구성, 적응성, 향상성이 있어야 하며 만약 변형 방향이 퇴보적 일때는 학습이라고 말할 수 없다. 즉 행동의 다소간을 불문하고 영구적 성질을 가진 향상적인 변형을 일으킬 때를 말한다. 또한 이런 학습은 간호 학습에도 적용될 것이며 특히 생명이 있는 대상을 다루는 것이므로 신중을 기해야 함은 물론이다. 그러면 여기에 따르는 여러가지 학습 방법을 살펴 보기로 하자. 지식을 습득하는 데는 일종의 주입식인 반복에 의해서 암기하는 수도 있고 어떤 정신 능력의 연마와 실습을 통해서 얻을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전자는 우리가 사고하는 범위와 암기 능력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특출한 두뇌와 끈질긴 노력 밖에는 우리가 바라는 결과를 기대할 수 없고 따라서 간호의 철학, 성의, 정직, 인내, 책임감등을 키우는 정신적 단련이 중요시 되는 간호 학습에는 후자의 방법이 좀 더 효과적일 것 같다. 더불어 학습태도에 학습환경이주는 영향을 무시할 수 없을 것 같다. 칠판과 교단, 교수와 학생등은 명확한 교육 목적아래 비교적 정비된 환경이지만 이런 학교 교육이 분명히 효과적인 환경만은 아니므로 교육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학생들의 요구와 흥미에 맞는 분위기를 조성했으면 한다. 특히 이공계통의 간호학과는 기술 연마를 목적으로 학교시간중 실습시간이 많이 차지하는 만큼 규모있고 과학적인 실습 시설이 필요한 것 갈다. (현재로는 실습실이 좀 좁은 듯하고 과학적이기에는 너무나 시설이 미비한 것 같지만) 이런 실습실에서의 실습을 마치고 처음 병원 실습을 나갈때는 군에 처음 입대하는 사람처럼 그런대로의 비장한 각오를 하고(복장에 더욱 신경을 쓰지만) 병원엘 가지만 생소하고 많은 환자 속이서 어떻게 행동하고 과연 내가 할 일이 무엇인지? 내가 환자에게 불친절하게 하지 않았는지? 다른 간호원의 거치장거리는 방해물이 되지 않았는지? 사실 하는 일도 없이 신경만 곤두 세우게 되고 움츠려 드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항상 이런데 모순이 있다고 생각하면서도 아직 풋내기 티를 벗지 못한 어리둥절함이 이를 앞서게 한다. 처음 orientation받던 날 원장 선생님께서 "간호원이나 의사는 일약 배우가 되어야 한다."라고 하신 말씀이 생각난다. 직업이 To serve하는 직업이니만큼 위트 있으면서도 깊이 있는 말이라고 생각했다.우선 대학생으로서 또 간호 학도로서 뜻있고 긍정적인 학습 태도란 진리를 탐구하고 비판하는 자세로 창조적인 발전을 꾀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고 생각한다. 여기에 예비 간호원인 간호 학도로서 간호원이 지켜야 할 기본적 자질을 무시 할 수 없다. 첫째, 우리는 단편적으로 많은 지식을 알고 있으면서도 실생활에 응용하지 못하고 긴급한 순간 순간을 재치와 기지로서 대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간호원은 여러가지 기능을 다양한 여건 아래서 수행하므로 처세술을 위한 처세술은 불필요하지만 어느 정도의 처세를 위한 처세술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것이야말로 간호원의 기본 자질중의 하나인 지성에 속하는 것이고 둘째, 환자에게 모범이 될 만한 것을 실천하고 병에서의 감염 방지하기 위해서는 남부럽지 않은 건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며 세째, 간호 정신과 기독교 정신과 밀접한 관계를 갖듯이 어떤 환경 속에서도 신념을 저버리지 않는 곧은 성격과 희생적 정신, 원만한 인격 형성이 중요하다. 또 이런 기본적인 자질은 물론, 내가 바라는 하얀 cap의 여인이란 벽에 사진틀을 걸때의 갸우뚱거리는 천진함과 아름다운 음악을 무심히 듣고 유심해질 수 있는 정서를 지닌 여인이다.

      • 우울 신경증환자 간호연구 일례

        신은순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1976 이화간호학회지 Vol.- No.10

        본 우울 신경증 환자 간호 연구 일례는 XX정신병원에 입원한 33세의 남자 환자로서 1976년 7월 5일부터 7월 26일까지 3주간의 실습기간을 통하여 이화여대 간호학교실에서 사용하는 Psychiatry Nursing Assessment 를 인용하여 자료수집 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신경증 발생에 따른 요인과 증상 및 간호요구를 문헌고찰하고 구체적인 간호계획을 세워 간호활동을 수행해 보며, 둘째, 환자의 직접 간호를 통해 인격발달을 도모해 보고자 함이며, 셋째, 효과적인 간호를 제공해주어 환자 치료에 도움을 주고자 함이다. 목적에 따른 간호활동 결과 병 발생의 직접적 요인은 급격한 환경의 변화로써 부인과의 이혼, 사업의 실패로 남들의 인정을 받지 못하고 의기 상통할 벗 없이 생활해 온 것으로 분석되며, 증상은 정신집중이 안되고, 피로하며, 매사에 흥미가 없는 일반적인 증상외에 본 환자에게는 피해망상, 건강염려증, 입원 1주전에 자살을 기도했으나 미수에 그쳤다. 간호활동은 일반적인 문제와 특별한 문제로 계획해 보았는데 간호수행 결과 조용하고 안정된 치료환경 조성과 자기 경시감이나 무가치함에 빠져있는 환자에게 자존감을 높여줄 수 있는 방법의 모색이 중요하며 대인관계에서 이탈하여 소외당하지 않도록 증상이 비슷한 환자끼리 있게하여 그 속에서 능력을 발휘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고 본다. 사회에서 소외당한 정신질환 환자의 간호를 위해 앞으로 많은 간호연구가 계속되기를 바란다.

      • 병원에서 실시하는 만성질환과 관련된 건강교육 실태조사

        김선희,김성민,김정희,오예원,이주연,이지연,황정원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1995 이화간호학회지 Vol.- No.28

        시대가 변함에 따라 그 사회의 건강에 대한 요구도가 변화하여 왔다. 더불어 이를 충족시켜주기 위한 간호의 역할에도 큰 변화가 일어났다. 그중 교육적 요구는 거의 모든 간호대상자의 문제이며 최근에는 건강교육에 대한 간호역할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이런 변화에 부응하여 건강교육에서의 간호활동의 실제를 파악하고 효율적인 건강교육을 위한 간호활동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필요성을 느꼈다. 따라서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건강교육의 종류와 실시형태, 건강교육의 내용, 목적, 건강교육 담당자의 일반적인 특성, 건강교육의 효과에 대한 평가를 파악하는데 본 연구의 필요성을 두었다. 본 조사는 1994년 7월 20일부터 8월 2일까지의 14일에 걸쳐 서울시내 6개 대학병원에서 만성질환자를 대상으로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건강교육의 담당자를 대상으로 연구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내용의 항목으로 구성된 면접지를 사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기 위해 만성질환의 정의, 특성, 만성질환자 추세, 교육의 필요성 등이다. 분석방법으로는 내용분석과 백분율을 사용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6개 대학종합병원에서 실시되는 만성질환자를 위한 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수는 최소 1개에서 최대 4개였다. 전체 건강교육 프로그램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당뇨교실(46%)로써 조사된 모든 병원에서 실시되고 있었다. 둘째, 각 건강교육 프로그램에서 그 대상이 환자와 보호자가 함께인 경우(62%)가 가장 많았다. 만성질환에 있어서의 가족기능의 중요성을 반영하여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었다. 셋째, 각 건강교육 프로그램의 목적과 내용은 본론에서 제시하였다(병원에 따라 교육내용, 교육자 다양, 교육 프로그램도 특색화 되어 있다). 넷째, 건강교육프로그램의 담당에 있어 간호부가 참여하는 비율은 62%였고 간호사가 교육자인 경우 교육자를 위 한 교육을 받은 간호사는 46%였다. 다섯째, 교육평가에 있어서 당일 교육시간내에 평가가 실시되는 경우는 84.6%였고 그 방법으로 질의문답(42.4%)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건강교육 후 대상자의 이행에 대한 추후평가가 실시되는 프로그램에는 Y병원의 당뇨교실의 52병원의 단주교실이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한 제언으로는 첫째, 간호사들이 만성질환자의 건강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실시, 참여, 확대해야겠다. 둘째, 다양하고 특색있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간호 전문가가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병원에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 健康統諸位性格, 自我尊重感 및 自家着護行爲의 關係分析 : 肺結劾 患者를 中心으로 With specific reference to PUL, TBC, PTS.

        宋愛朗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1985 이화간호학회지 Vol.- No.18

        인간 행위의 대부분은 사회적인 상호 작용이며 사회가 복잡해 짐에 따라, 인간 행위의 사회적 측면은 점차 중요시 되어 왔다. 통제위 개념은 인간의 사회적 현상을 이해하려는, 사회 학습 이론으로부터 발전된 개념이다. 본 연구는 폐결핵 환자가 지각하는 건강 통제위 성격 각각의 성향과 자아 존중감 및 자가 간호 행위와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결핵 환자의 심리적 간호 중재에 있어 통제위 개념의 중요성을 제시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1984년 3월 19일부터 4월 7일까지 20일 동안, 서울시내 2개 대학 병원 호흡기 내과 외래에서 통원 치료를 받고 있는, 폐결핵 환자 123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사용된 도구는 Wallston &Wallston이 개발한 건강통제위척도, Rosenberg의 자아 존중감척도 그리고 최 영희의 결핵 환자의 주관적 이행 행위 측정 도구였다. 위의 세가지 도구를 이용하여. 총 60문항으로 구조화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는,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1가설 ; 건강 통제위 성격의 각 성향과 자아 존중감의 관계는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중에서. a. 내적 성향이 높을수록, 자아 존중감이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r=0.053, p=0.559). b. 우연 성향이 높을수록, 자아 존중감은 낮을 것이다는 채택되었다(r=-0.292, p=0.001). c. 타인 의존 성향이 높을수록, 자아 존중감은 낮을 것이다는 채택되었다(r=-0.226, p=0.012) 2. 제2가설 ; 건강 통제위 성격의 내적 성향이 높을수록, 자가간호 행위는 높을 것이다는 채택되었다(r=0.240, p=0.007). 3. 제 3가설 ; 자아 존중감의 정도가 높을수록 자가 간호 행위는 높을 것이다는 기각되었다(r=0.120, p=0.185).

      • 고혈압으로 인한 뇌손상환자의 간호사례 연구

        최현자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1976 이화간호학회지 Vol.- No.10

        본 연구는 고혈압의 합병증의 하나인 뇌출혈로 인하여 뇌손상을 받은 환자에게 필요한 육체적, 심리적 요구를 판단하여 충족시켜주며 뇌손상으로 인하여 나타날 수 있는 여러가지 신경학적 후유증에 따른 간호문제를 예견하고 이에 대비하여 환자에게 필요한 간호가 무엇인가를 판단하여 환자에게 적절한 간호를 하므로써 빠른 기간에 가정과 사회에로의 복귀를 시키며 뇌손상환자에 대한 간호를 발전시켜 임상간호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및 방법으로는 1976년 3월 23일에서 4월 9일까지 이대부속병원 내과에 입원한 환자 나XX씨를 대상으로하여 환자의 Chart, 환자 보호자와의 면담, 담당의사의 견해를 참고로 하여 문헌고찰과 더불어 직접간호를 하므로써 본 연구를 하였는데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무의식상태에서의 간호중 뇌의 압박증상을 파악하여 위험한 증상을 즉각적으로 파악하고 조절한 결과 생명을 구하고 보단 빠른 회복을 가져올 수 있었으며 의식상태로 돌아오는 과정 중에 나타난 신경학적 후유증문제에 있어서는 단계적으로 수동및 능동운동 문제에 중점을 두어 간호한 결과 연구목적에 성과를 거둘 수 있었으며 신경손상에 의한 방광조절의 문제는 앞으로 간호문제에서 좀 더 단계적으로 간호를 발전시키기를 제언하는 바이다.

      • 사구체 신염환자 간호사례 연구

        차은경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1976 이화간호학회지 Vol.- No.10

        신염은 장기질환으로 대중적 치료가 뒷받침 되어 간호 위치가 중요하며 정상적인 활동을 하도록 도와주는 것이 필요하다. 필자 스스로의 인격 도야와 새로운 경험으로 간호과정시 파생되는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하는 능력을 기르기 위해 원주병원 내과 병동에 입원한 환자를 7月12日~7月23日 까지 연구 기간을 통해 사례연구를 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기록지 과거 건강관리 호소 이학적 소견 검사 소견 관찰과 실세 간호체험을 기반으로 했다. 환자의 임상 소견과 진단에 의해 보다 효과적이고 능률적인 간호를 하기위해 간호 계획을 세워 활동을 해보았다. 결과 이 병의 가장 효과적이고 절대적으로 필요한 치료 방법인 안정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후에 잘 이행되었고 합병증 없이 거의 회복된 상태로 퇴원할 수 있었다. 필자 나름대로 환자의 요구 충족을 위해 간호 수행을 해보았으나 경제적으로 인한 심리적인 면에서는 직접 개입하여 해결해 줄 수 없었다. 앞으로는 경제적인 문제가 회복을 저해하는 요소가 되지 않도록 의료 보험제의 신속한 확장이 이루어져야겠다.

      • 가와사끼 질환으로 입원한 환아 가족의 교육요구도 및 가족이 지각한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

        김지수,변일매,김현아,박진영,지영미,임은실,김지영,하자현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부속 동대문병원 간호부 2004 임상간호연구지 Vol.7 No.-

        본 연구는 가와사끼 환아 가족의 교육요구도 및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를 비교하여 입원하는 아동 및 환아 가족에 도움을 주기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조사연구로 서울시내 양 대학 병원에 상기 질환으로 입원한 환아 가족 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와사끼 환아 가족의 일반적 특성은 입원 환아를 돌보는 가족의 경우 가족의 나이는 30-39세가 75. 6%로 가장 많았으며 학력은 고졸 이상이 91.3%를, 경제상태는 89.2% 정도가 중이상을 나타내었고 종교는 기독교가 30.4%로 많았다. 직업은 가정주부인 경우 63.0%, 회사, 사무직, 전문직의 경우도 26.1%를 차지하였다. 자녀수는 2명인 경우 52.0%, 1명인 경우는 44%를 나타내었다. 환아의 경우는 연령은 유아기(1-3세)가 44%로 가장 많았고 성별은 남아가 52.0%였으며 출생순위는 첫째인경우가 75%로 가장 많았다. 입원기간은 7일 미만이 61.9%였으며 입원경험은 처음입원이 51%로 재 입원 49%보다 약간 많았다. 진단기간은 처음진단 후 3개월 이상이 41.0%로 가장 많았고 1주 미만이 30.8%로 그 다음 순이었다. 질병의 재발여부는 처음발병의 경우 80%, 1회 17.8%, 2회 2.2%로 나타났다. 2. 가와사끼 환아 가족의 교육요구도에 있어 교육요구도가 높은 항목은 ‘질병의 예후 및 합병증’, ‘검사결과’, ‘질병의 증상 및 진행과정’ 등이었고 ‘입원비 및 기타비용’, ‘아동이 입원 생활에 적응하도록 돕는 방법’ ‘통원치료방법’,등에서는 교육요구도가 낮게 나타났다. 그러나 교육요구도에 대한 전체 평균은 4.59로 매우 높았다. 이는 가와사끼 질환에 대한 교육이 전반적으로 아직까지는 미비하여 이에 대한 교육요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가와사끼 환아 가족이 지각한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에 있어서는 가족이 지각한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가 높은 항목은 ‘경구용 약물을 투여하는 이유와 방법’, ‘열을 떨어뜨리는 방법’, ‘검사 이유와 방법’ 등에 관한 것이었고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가 낮다고 인식한 항목은 ‘입원비 및 기타비용’, ‘퇴원 후 소아기본 예방접종법’, ‘아동이 입원생활에 적응하도록 돕는 방법’ 등이었다. 가와사끼 환아 가족의 교육요구도는 평균 4.59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나, 가족이 지각한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는 평균 3.07로 이에 미치지 못하였다. 항목별로 보면 모든 항목에서 가족의 교육요구도가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와사끼 환아 가족의 교육요구도에 있어서는 환아의 ‘재발여부’가 P값이 0.032로 질환이 재발한 경우(평균=4.79), 처음 발병한 경우(평균=4.55)보다 교육요구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와사끼 환아 가족이 지각한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에 있어서는 종교에 있어 P값이 0.030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종교가 있을때(평균= 2.86)가 종교가 없을때(평균=3.37) 에 비하여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가 낮다고 보았다. 이는 환아가족이 종교를 갖고 있는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하여 간호사의 교육 수행정도에 대하여 엄격한 평가 기준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와사끼 환아가족의 교육요구도와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의 차이에 있어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환아를 돌보는 가족의 경우 가족의 연령이 젊을수록, 학력이 높을수록 또한 종교를 갖고 있을수록 환아가족의 교육요구도와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와의 차이의 평균값이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환아의 경우는 출생순위에 있어 첫째 아이인 경우, 입원 경험이 있는 환아의 경우, 진단 기간이 1개월 미만인 환아의 경우와 상기 질환이 재발한 환아의 경우에 있어서 가족의 교육요구도와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와의 차이의 평균값이 크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가와사끼 환아 가족의 교육요구도는 매우 높은 수준인데 비하여 환아 가족이 지각한 간호사의 교육수행정도는 낮은 수준임을 알 수 있었고 모든 항목에서 그 차이가 크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1. 가와사끼 환아 가족의 교육요구에 기초한 간호수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육프로그램 이 만들어져야 하겠다. 2.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계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 경계선 정신분열증환자 간호연구

        박경숙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1976 이화간호학회지 Vol.- No.10

        본 연구는 국립정신병원에 입원한 정신분열증 환자 이 xx를 대상으로 1976년 7월 5일부터 1976년7월22일까지 사례연구를 하였다. 자료수집은 정신간호학 Assessment Form에 의해 환자와 보호자와의 면담과 관찰을 통하여 하였고, 의료팀과의 면담과 병원기록지를 이용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정신분열증이 발생되는 환경적인 요인을 분석해 본다. 둘째, 정신분열증 환자와 치료적인 의사소통을 하여 환자의 대인관계를 발전시킨다. 셋째, 정신분열증 환자의 효과적인 간호행위를 위한 필자 자신의 인격을 높인다. 넷째, 사회로부터 소외당한 정신분열증 환자들이 회복하여 정상적인 사회인으로서의 역활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었다. 본 연구의 간호과정에서 목적달성을 위해 일반적인 문제로서는 개인위생과 신체적 평안을 유지하는 문제, 신체각부에 공급공급을 유지하고 촉진시키는 문제, 적당한 운동, 휴식 및 수면조정의 문제, 치료적 간호환경의 조성과 보존문제, 유효적인 의사소통과 치료적인 대인관계 형성의 문제, 필자와의 이별로 인한 슬픔의 위기감소의 문제를 삼았고, 특별한 문제로서는 열등의식을 극복하여 자존감을 높히는 문제, 성에 대한 불안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문제, 무릎흉터의 수술복교, 가정환경의 조정문제로 나누어 계획하고 활동하였다. 연구의 결과 정신분열증이 발생될 수 있는 상황을 이해 할 수 있게 되였으며 환자의 대인관계의 발전은은 단시간에 큰 변화를 초래 할 수는 없었지만 병원 환경에 적응을 도울 수 있었다. 필자는 인간 행동을 객관적으로 분석하는 능력과 인간의 이해에 많은 향상이 있었다고 보며, 앞으로 정신분열증 환자에 대한 간호가 사회와 연결성 있는 것으로 이루어져야 효과적이겠다는 결론을 얻었다.

      • 간호행위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인식차이

        변준혜,이은경,최선진,홍미경,이성수,이효실,최정선,황명현 이화여자대학교 간호과학대학 1995 이화간호학회지 Vol.- No.28

        간호는 그 본질이 도움이 필요로 하는 사람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것으로 대상자의 건강을 유지 증진, 회복, 질병 예방을 위해 필요한 지식, 힘, 의지를 제공하여 스스로 자기 간호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환경과 상호 작용하므로써 보다 건강한 상태로 나아가는 과정이다(Jhonson : 1974, Henderson : 1966, Widenbach : 1964, Rogers : 1970, Fawcter : 1984). 이러한 본질을 실현하기 위한 간호활동은 환자의 요구(혹은 건강문제)를 충족 혹은 해결해주기 위한 돕는 과정 (Helping Process)으로 간호사와 환자가 관계를 수립하여 환자의 요구에 대한 사정, 계획 그리고 수행 및 평가를 함에있어 간호의 지식과 기술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일련의 과정이라 하겠다(Yura 1973). 건강이 인간의 권리로서 인식되고 과학기술과 정보의 발달에 따라 의학지식의 보급이 급증하여 일반대중은 보다 지적이고 차원높은 간호를 요구하게 되었다. 또한 의료보험의 확대와 우르과이라운드에 따른 산업의 개방화로 인해 모든 환자가 양질의 간호를 자신들의 요구대로 선택하여 받고자 한다. 이에 따라 각 의료기관은 보다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여 환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김문실 1994, 이상미 1994). 최근 간호학이 과학적 지식체로서 하나의 독립된 영역으로 확고하게 자리잡고 발전되어 가고 있는 반면, 간호 현장인 임상에서는 대상자와 간호사간에 간호에 대한 인식차이로 환자의 간호요구와 간호사의 간호행위 사이에 갈등과 불만을 축적시켜 환자는 간호사에 대한 불신감을, 간호사는 자신의 업무에 대한 불만족감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은 불신감과 불만족감은 환자로 하여금 간호사보다는 간병인이나 보호자에게 간호를 의존하게 하고 간호사는 전문인으로서의 자존감을 상실하게 되어 국민건강관리가 왜곡될뿐 아니라 임상간호의 발전에도 악영향을 끼치게 된다(김문실 1994, 이상미 1994). 이에 본 연구자들은 간호행위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인식 차이를 파악하여 환자의 간호요구를 충족시키고 전문직 간호사로서의 역할을 다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호행위에 대해 간호사가 환자보다 더 높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2.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중 근무경력, 교육정도에 따른 간호행위에 대한 인식정도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