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재중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보영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6 No.-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targeting Korean Chinese using topic modeling and language network analysis. To this end, a total of 203 papers related to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Korean Chinese were analyzed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according to the perio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first period (2001-2012), discussions related to the use of Korean in the Chinese community including Yanbian prevailed, but in the second period (2013-2021), discussions related to Korean Chinese who are living in Korea includi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ere actively discussed. Secondly, the focus of the study on Korean Chinese who have settled in Korea is changing from the study of Korean Chinese living in China. In addition, while the former mainly focused on adult learners above college, the latter was diversified from the category of multicultural families to studies on various age groups such as Korean Chinese mothers, children, and teenager immigrants who are incorporated into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Thirdly, in terms of research fields, while studies on language use, current status increased, studies on learner language characteristics, learning and adaptation decreased.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studies on language development, acquisition, and language use based on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learners of Korean Chinese who have recently settled in Korea and are learning or speaking Korean for various purposes are more focused. 본 연구는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재중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을 시기별로 살펴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1년부터 2021년까지의 재중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203편을 대상으로 넷마이너를 이용하여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 기법을 수행하였다. 2001년부터 2012년을 1기로, 2013년-2021년을 2기로 한 시기별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1기에는 연변을 비롯한 재중동포 사회에서의 한국어 사용과 관련된 논의가 우세했지만 2기로 오면서 다문화 가정 자녀를 비롯한 국내 재중동포 관련 논의가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둘째, 전자가 주로 대학 이상의 성인 학습자를 중심으로 한 것에 비해 후자는 다문화 가정의 범주에서 재중동포 어머니, 아동 및 초중고 등 한국에서 공교육 과정에 편입되는 중도입국자 등 다양한 연령층에 대한 연구로 다변화되었다. 셋째, 연구 분야 면에서 언어 사용, 현황 및 실태 조사 연구에서 학습자 언어 특성, 학습 및 적응 관련 연구로 다각화되고 있다. 이를 통해 중국 현지에서의 조선어 어휘 및 문법 사용, 한국어 교육 기관 실태 조사, 한국학 교류 현황 조사 등의 연구에서 최근에는 다양한 목적으로 한국에 정착하고 한국어를 학습하거나 구사하고 있는 재중동포의 개별 학습자 특징과 성격을 고려한 언어 발달, 습득, 언어 사용 연구가 더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Linking Australian Secondary Schools with Tertiary Language Programs: Current Practices and Feasibility for Korean

        신성철 ( Seong Chul Shin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7 No.-

        호주 고교-대학간 언어프로그램 연계 모델의 한국어 적용 가능성 모색.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37, 195~222. 본 연구는 호주 내에서 현재 실행되고 있는 고등학교와 대학 간의 제2언어 연계 교육 모델을 조사, 검토하고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이들 모델들의 적용 가능성을 논의한다. 한국어 교육의 진흥과 학생들의 학습경험을 강화하기 위해서 고교와 대학을 연계시키는 ``제3의 길``을 모색하는 일은 가치 있는 일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학의 관련 프로그램 책임자와의 전화 인터뷰 및 문서 분석 등을 통해, 확장(extension)언어 프로그램, 고교 ``출강`` 프로그램 등 다섯 개의 연계 모델 프로그램이 현재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그 내용을 검토하였다. 또한 한국어 교육에 대한 이들 모델들의 적용 가능성과 기타 연계 활동을 평가하고 간단한 설문조사를 통해 소수 핵심 교사들의 의견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대학이 창의적으로 고교와 연계하여 학생들의 동기와 언어능력을 높이고 언어 학습 진로의 명확성을 제시하며 대학-고교간의 지속적인 협력 관계가 유지되도록 노력할 것을 제의한다.

      • KCI등재

        이중 인종 배경 미국 대학생들의 한국어 학습에 대한 접근.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왕혜숙 ( Hye Sook Wang ),유혜진 ( Christine Liu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4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0 No.-

        본 연구는 이중 인종 배경을 가진 미국 대학생들이 한국어 학습에 어떤 접근을 하는지에 관한 연구이다. 설문 조사와 개인 면담 데이터를 통해 학생들의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세 가지 요인, 즉 부모의 영향,사회적 문화적 노출, 그리고 외모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참여자들의 한국어 학습 결정은 개인적인 상황에 따라 다양하지만 다른 언어와 비교해서 한국어의 상대적 중요성과 한국어의 실용적 가치에 대한 참여자들의 인식이 가장 중요한 동기로 나타났다.외모는 이 결정에 강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이는 반면, 한국 쪽 부모의 가족과 가까운 참여자일수록 한국어 학습에 더 강한 의욕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또 영어 모국어 화자들 에게 한국어가 학습하기 어려운 언어라는 점과 학습에 요구되는 시간 할애가 대학에서의 한국말 학습에 중요한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다. 이중 인종 배경 학생들의 약한 인종적 정체성도 한국어 학습 동기를 저하시키는 요인으로 보인다.(브라운 대학교)

      • KCI등재

        한국어교육에서 학술 담화(academic discourse) 연구의 동향 분석 - 체계적 문헌 고찰의 방법을 통하여 -

        양길류,진춘기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71 No.-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 학술 담화 관련 연구물들을 분석하여 연구의 경향성을 확인하고, 향후 과제 및 방향성에 대한 제언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문헌 고찰이라는 연구 방법을 통해 선정된 153편의 학술지 논문과 박사학위논문을 대상으로 삼아 연구 시기, 연구 대상, 연구 방법 및 연구 내용에 따라 면밀히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그동안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술 담화 관련 연구는 다양한 담화 유형 및 담화 장르를 대상으로 삼아, 풍부한 주제로 연구를 진행해 온 만큼 단기간에 많은 연구 성과를 축적해 왔다.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학술 담화에 대한 초기의 연구들은 주로 범언어적 또는 사용역의 형식적인 특징에 대한 연구에 초점을 맞춰 진행되었다가 특히 최근 몇 년간에 그 연구의 내용이 점점 더 구체적이고 초점화된 경향이 눈에 띄며, 연구의 방법 또한 다양해졌다는 특징이 보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내용 등 모든 측면에 걸쳐 편중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으며, 연구 자료의 균형성 및 객관성에도 적절하지 못한 부분이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해당 분야의 향후 연구 과제 및 방향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교육 분야 학술 담화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체계적인 방법을 바탕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과제 및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rimary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scholarly articles and research materials in the domain of academic discourse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aims to identify current trends and suggest avenues for future research. A systematic review was executed on a curated corpus of 153 academic journal articles and doctoral dissertations, rigorously assessed for research period, subjects, methodologies, and content. The analysis shows that the field has yielded a diverse and significant body of research in a relatively short time span, initially focusing on panlinguistic or usage-based features but gradually diversifying in both topics and methods. However, the study also reveals imbalances in research focus, methodology, and content, thereby questioning the corpus’s representativeness and objectivity. Based on these findings, targete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outlined. The significance of this work lies in its comprehensive analysis of existing trends, serving as a guide for future endeavors in academic discourse with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비대면 교육 환경에서의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한국문화 교육의 이론과 실제 연구

        심선향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3 No.-

        In this study, the theory and practical application process of the problem of using digital literacy-based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foreigners was examined. The value of digital literacy competency viewed in modern education was examined, and the direction of using digital literac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considered. Subsequently, after presenting a model of Korean culture classes using digital literacy, it was used in actual undergraduate courses and Korean culture classes to conduct case studies. Through the overall class implementation process and results review, it can be expected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using digital literacy can be a useful way for students to be educationally satisfied, and it suggests why education using digital literacy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with interest so that it can be used in Korean education with diversity and systemicity. 포스트 코로나 시대는 곧 위드 코로나 시대가 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그렇다면‘비대면 교육’은 일시적 대책이 아닌 향후 우리의 교육에 일상화, 정착화된 모습으로 안고 가야 할 방향인 것이다. 또한 디지털 테크놀로지가 산업과 일상생활의 중심이 된 지 오래, 교육 또한 디지털 시대와 디지털 세대를 아우를 수 있는 올바른 방향성과 구체적인 실천 방안에 대한 연구가 끊임없이 이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현실과 궤를 같이하여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리터러시 기반 교육을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활용하는 문제에 대해 이론과 실제 적용 과정을 살펴보았다. 현대의 교육에서 바라보는 디지털 리터러시 역량의 가치를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방향을 고찰해 보았다. 이어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한국문화 수업의 모형을 제시한 후, 이를 실제 대학 학부과정 한국문화 수업에 활용하여 사례 연구까지 진행해 보았다. 전반적인 수업 시행 과정과 결과 고찰을 통해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이 학생들에게 교육적으로 만족스러울 만큼의 유용한 방안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으며, 앞으로 디지털 리터러시를 활용하는 교육이 다양성과 체계성을 가지고 한국어 교육에 활용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발전시켜 나가야 하는 이유를 제시한다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가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한국어 교육에 대한 다분히 거시적인 고찰이었다면, 후속 연구에서는 수업 중에 학생들의 수행 전-수행 중-수행 후의 양상을 세밀하게 살펴봄으로써, 디지털 리터러시 활용 한국어 교육안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후속 연구를 이어 나가고자 한다.

      • KCI등재

        토픽 모델링(Topic Modeling)을 활용한 한국어 듣기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김지현,이지현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6 No.-

        본 연구는 한국어 듣기 교육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1986년부터 2021년까지의 석·박사 학위 논문 222편과 학술지 논문 153편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관련 논문은 토픽 모델링과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하여 살펴보았으며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 듣기 교육 관련 연구는 양적으로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키워드 출현 빈도 분석을 통해 ‘듣기 전략’, ‘평가’, ‘목적’, ‘듣기 활동’, ‘교재’ 등의 주제로 연구가 주로 이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토픽 모델링 분석을 통해 ‘학습자 변인별 듣기 활동 및 교재’‘, 학문 목적 대학 강의 듣기’, ‘한국어 듣기 교재 및 과제의 특징’, ‘한국어능력시험 듣기 문항 및 평가 연구’, ‘한국어 듣기 수업에서의 전략’ 순으로 연구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지금까지의 한국어 듣기 교육 연구가 듣기 교재나 듣기 전략, 한국어능력시험의 평가 측면에 집중되어 있었음을 확인하여 앞으로는 보다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어두 파열음 발화의 음향적 특성 - 모국어 언어권별 VOT와 후행모음 시작점 f0의 역할

        송유진 ( Song Yu Jin ),김상우 ( Kim Sangwoo ),이석재 ( Rhee Seok-chae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8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50 No.-

        한국어 파열음은 평음, 경음, 격음의 삼중 대립을 보이며, 어두 위치에서 평음, 경음, 격음을 구별하는 주요 음향적 자질로는 성대진동 시작시간과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가 논의되고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화에서 한국어 파열음의 성대진동 시작시간과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의 역할을 모국어 언어권별로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어 음성 코퍼스인 L2KSC에서 한국인 모국어 화자와 중국어권 · 일본어권 · 영어권 남성 학습자가 발화한 데이터 중 모음 /ㅏ/를 선행하는 한국어 어두 파열음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인 모국어 화자의 경우 한국어 어두 파열음 발화에서 성대진동 시작시간과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 모두 한국어 파열음을 구별하는 역할을 하였다. 반면, 외국인 학습자의 경우에는 세 분절음을 구별하는 데 있어 성대진동 시작시간이 유의미한 역할을 하였으나, 후행모음 시작점의 음높이는 모국어 언어권에 따라 다른 양상을 보였다. (연세대학교)

      • KCI등재

        유럽권 한국어 학습자의 내러티브를 통한 학습 동기 연구 - 국내 체류 학습자를 중심으로 -

        조윤행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2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6 No.-

        Recently, as the number of Korean learners with various backgrounds and purposes has increased, the number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European countries is also increasing. However, studies on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European countries mainly focus on curriculum, textbook development, and teaching methods, and there are not many studies that focus on the learner itself to identify the motivation for learning.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with what motivation European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wanted to learn Korean in South Korea, had through narrative research.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learners, who were exposed to several languages due to the regional specificity of Europe, had a strong interest in learning a new language. Also, through various occasions, they became curious about Korean culture, and their interest in the language and their curiosity about culture led them to start learning Korean. In this process, various experiences in life in South Korea were working as another strong motivation for learning Korean. In addition to this, the social context that did not adequately cope with the unstable public security or the pandemic in Europe became one of the factors that encouraged learners to come to South Korea to study Korea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studied learners’ learning motives from various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and can be a reference for the composition of educational content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from European countries. 최근 다양한 배경과 목적을 가진 한국어 학습자가 증가하면서 유럽권 한국어 학습자의 수도 크게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권 한국어 학습자의 연구는 교육과정이나 교재 개발, 교수 방안 등에 치중되어 있으며, 학습 동기와 같이 학습자 자체에 주목하여 진행된 연구가 많지 않다. 교육과정이나 교재 개발, 교수 방안 설계 등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 파악이 우선해야 그 방향을 설정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내러티브 연구를 통해 유럽권 학습자의 학습 동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내러티브 분석 결과, 유럽의 지역적 특수성으로 인해 다양한 언어에 노출될 수 있는 환경은 유럽권 학습자들을 자연스럽게 언어에 대해 관심을 가지도록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참여자들은 여러 가지 계기로 인해 한국 문화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언어에 대한 관심과 문화에 대한 호기심이 맞물려 한국에서 한국어를 공부하기로 선택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국 생활에서의 다양한 '경험'은 그들에게 한국에서 한국어를 학습하게 하는 강한 동기로 작용하였다. 또한 불안정한 치안이나 팬데믹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한, 유럽이 처한 사회적 맥락이 이들이 한국어와 한국을 선택한 하나의 요인이 되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배경을 가진 한국어 학습자들의 학습 동기를 살펴보았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으며, 앞으로 이들을 위한 교육 내용 구성에 참고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동기 변화 추이와 탈동기⋅재동기 연구

        이인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23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68 No.-

        This study examines changes in motivation for Korean language learning among international students in Korea, using motivation charts and retrospective interviews. The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show that international students experienced demotivation between six and 18 months of living in Korea, but were remotivated in their third year of learning Korean. Newly discovered demotivation factors include advanced course topics in language institutions, difficulties adjusting to life in Korea during the early stages of studying abroad, taking online courses, and difficulties in learning two foreign languages simultaneously. Remotivation factors included communication with native speakers, improvements in learning conditions, and the use of out-of-class self-regulation strateg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ful for programs that aim to predict and alleviate the demotiva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s well as help them to remotivate. 본고는 한국 대학에서 수학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 동기의 변화 및 탈동기의 재동기화 과정을 동기 변화 차트 및 회고적 면담을 통해 살피고, 이를 통해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어 학습 탈동기를 관리하여 재동기화하도록 돕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학부 유학생들의 한국어 동기는 한국어를 학습한 지 1.5년이 된 시점에서 가장 낮았으며 2년과 3년 시점에서 가장 높았다. 이러한 시점은 1년이 언어교육원 4급 정도에 이르러 학습 부담을 느끼게 되는 시점이며, 코로나 19로 인한 상황의 영향이기도 하였다. 참여자들은 대체로 한국어를 학습한 지 3년 정도 되는 시점에서는 재동기화 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본고에서 나타난 탈동기 요인은 다양하였으며,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였던 학습 환경 및 학습 경험 요인 등이 나타났다. 반면 그 하위 요인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는데 본고에서는 유사 문법 등으로 인한 학습 부담, 수업 방식의 변화, 교재의 주제가 그 하위 요인으로 나타났다. 수업 및 학습 환경과 같은 상위 요인들은 한국어교육 선행 연구에서 자주 언급된 요인인 또한 학습 경험의 하위 요인인 학습 자신감 결여, 시험 불안 등도 선행 연구에서는 그 구체적인 원인 등이 밝혀지지 않았는데, 본고에서는 과거 주로 언어교육원 등을 통해 한국어를 학습한 후 학부 유학을 시작하는 것과 달리 학부 입학 후 한국어를 처음 한국어를 학습하는 방식이 한국어 학습에 대한 부담과 불안감을 주어 한국어 학습의 주요 탈동기 요인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전공 학습 요인, 학습 환경 요인 중 비대면 수업의 영향, 기타 학습 여건 중 유학 초기 적응과 휴학 역시 선행 연구에서 밝혀지지 않았던 탈동기 요인이었다. 본고에서는 재동기 요인을 의도되지 않은 재동기 요인과 학습자의 의도된 재동기 전략으로 구분하여 기술하였다. 재동기 요인에는 원어민과의 의사소통, 교사, 동료, 학습 여건의 개선, 도구적 요인, 성적 향상과 성취감, 이전 외국어 학습 경험이 나타났다. 재동기 전략으로는 수업 밖에서의 자기 조절이 가장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수업 내 자기 조절, 인지적·정의적 조정, 목표에 집중하기, 학습의 필요성 인식 등의 전략도 활용되었다. 유학생들은 스스로 원어민과의 의사소통 기회를 만들어 재동기화 하는 전략을 취하였으며 한국인이 다수 수강하는 영어 강의를 수강하는 것과 같은 자신만의 재동기화 전략을 만들어 내기도 하였다. 이러한 재동기 전략은 한국어교육 선행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것이었다. 앞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동기 변화 추이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외국인 유학생의 한국어 학습 과정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유학생의 학업 지속 및 학습의 질 향상을 도울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영어 화자의 한국어 음운과 억양 연구

        오미라 ( Mi Ra Oh ),김윤정 ( Yun Jung Kim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6 No.-

        외국어의 음운습득에 관한 기존 연구는 주로 폐쇄음과 관련하여 후두자질의 대립이 두 가지인 언어 사이의 비교였다 (Flege 1991; MacKay et al., 2001; Harada 2003). 본 연구에서는 평음, 격음, 경음으로 세 가지 후두자질이 대립하는 한국어 폐쇄음을 유성자음과 무성자음의 두 가지 대립을 갖는 영어 화자가 어떻게 습득하는지를 연구한다. 또한 한국어의 억양을 영어화자가 어떻게 습득하는지도 연구한다. 음성실험에 모두 32명의 피실험자가 참가한다 (영어화자 24명, 한국어 화자 8명). 음성분석 결과 한국어 평음과 격음의 VOT가 한국인 화자에서는 비슷하나 모든 수준의 영어화자에서는 격음의 VOT가 유의미하게 평음의 VOT보다 길다. 그리고 한국어의 억양습득과 관련해서 영어화자에 따라 액센트구 초에서만 자음의 후두자질에 따라 다르게 실현되는 성조를 습득하는 정도가 다르다. 또한, 모든 수준의 영어화자가 한국어의 액센트구를 올바르게 실현하지 못한다. 본 연구는 학습기간이 긴 영어화자가 반드시 한국인 화자와 같은 패턴을 더 보이는 것은 아니어서 학습기간이 제 2언어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잣대가 될 수 없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외국어 습득에서 분절음뿐만 아니라 억양습득을 함께 연구한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