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소아과 의사들의 청소년 건강관리에 대한 인식 조사

        조기혜,최윤정,신영규,은백린,박상희,홍창호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3 No.3

        Purpos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standard guidelines to meet the growing health care needs of adolescents by direct assessment of pediatricians' current practices, attitude and obstacles to the primary care of adolescents. Methods :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9 questions, including person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current health care practice of adolescents, attitude, obstacles to providing adolescent care, interest in further training, roles of Korean Pediatric Society for adolescent medicine, etc., was completed by 214 pediatricians. Results : Among the respondents, 87.4% were in the 4th or 5th decade of age, and 88.8% of respondents were working for private clicins. More than 60% of respondents were managing patients without age limit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interested in adolescent medicine. However, approximately one half of all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could not currently provide satisfactory care to their adolescent patients. Obstacles to providing adolescent care include : their image as “baby doctors”, lack of knowledge and skills in adolescent medicine, lack of separate hours for adolescents and concern that parents would object to certain types of care. Among respondents who wanted to further training, many were interested in Continuing Medical Education(CME) course, lecture series, introducing reading lists and publishing textbooks, while others expressed their interest in a newsletter and mini-fellowship. Respondents expected the Korean Pediatric Society to play a role in activating the adolescent medicine as a field for pediatric practice through educating adolescents, pediatricians and advertising via mass media. Conclusion : Future policy decisions and medical education must respond to these realities in pediatric practice. 목 적 : 청소년 의학은 청소년에게 필요한 건강관리의 질을 향상시키고 청소년들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 및 청소년들에게 유익한 건강관리를 도모하여 바르고 건강한 성인이 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아과학의 한 분야지만 아직도 우리나라에서는 잘 알려져 있지 못하다. 이에 저자들은 전국 소아과 의사들의 청소년 진료현황과 청소년 의학에 대한 인식을 조사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청소년 의학 교육에 대한 지침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방 법 : 방법은 설문지를 기록하여 응답하는 형식을 취하였으며 응답자는 전국의 소아과 전문의 214명이었다.결 과 : 설문조사에 응한 응답자의 연령 분포는 3·40대가 전체의 87.4%였으며 응답자의 88.8%가 개인 소아과 의원을 개원하고 있었다. 응답자의 대다수가 청소년 의학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여 주었고 청소년은 소아과에서 진료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청소년이 병원에 찾아온다면 진료한다는 식의 소극적인 진료를 하는 경우가 전체의 54.2%로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청소년을 소아과에서 진료하면 안된다고 응답한 경우는 전체의 1.9%에 불과하였으나 실제로는 22.9%의 응답자가 15세 이하만을 진료한다고 하였으며 대부분의 응답자가 적극적이든 소극적이든간에 청소년을 진료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상당수가 자신이 제공하는 진료의 내용에 대하여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이렇듯 청소년 건강 관리에 대한 소아과 의사들의 높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소아과에서 청소년을 진료하는 것에 대한 장애로는 "baby doctor"로서의 소아과 의사의 이미지 때문으로 응답한 사람이 149명(69.7%)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 청소년 의학에 대한 지식의 부족, 청소년까지 진료할 여력 내지 시간이 없다는 것, 부모나 보호자의 거부감 때문 등을 들었다. 청소년 의학에 대한 교육 방법으로는 가장 많은 150명(70.1%)의 응답자가 소아과 학회 차원의 연수교육을 원했고 기타 의학강좌, 전문 서적의 안내나 교과서 발간, 편지형식의 소책자 배부, 단기간의 fellowship 순으로 응답하였다. 대한 소아과 학회가 청소년 진료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해야할 역할로 소아과의 진료 내용에 대하여 청소년, 방송매체나 신문잡지, 소아과 의사들을 교육해야 한다는 등 대부분이 학회 차원에서 청소년 의학을 교육하고 소개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 SCOPUSKCI등재

        Henoch-Schönlein Purpura에서 연령에 따른 임상 양상 및 예후에 관한 고찰

        홍주희,나형준,남궁미경,최승옥,한병근,정순희,김황민,Hong, Joo Hee,Na, Hyung Joon,Namgoong, Mee Kyung,Choi, Seung Ok,Han, Byng Geun,Jung, Soon Hee,Kim, Hwang Mi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11

        목 적 : $Henoch-Sch{\ddot{o}}nlein$ purpura(HSP)는 소아에 흔한 전신성 혈관염이지만, 전 연령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발병 연령에 따라 임상 증상의 차이를 보이는데, 이는 예후와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발병 연령에 따른 HSP의 임상 양상의 차이와 예후를 고찰하고, 이전에 다루어지지 않았던 청소년기의 발병에 대하여 분석해 보고자 한다. 방 법 :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원주기독병원에서 1993년 9월부터 2003년 9월까지 HSP로 진단받고 입원 또는 외래 치료하였던 205명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한 후향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환자는 연령에 따라 10세 미만을 소아군, 10세에서 19세를 청소년군, 20세 이상을 성인군으로 분류하였다. 예후 판정 기준은 HSP 신염 환자에서 추적 관찰 종료 시점의 소변 검사 및 임상 증상 기록을 근거로 신염의 소실, 경도의 신증상, 중증 이상의 신증상으로 분류하였다. 진단 당시의 나이, 성별, 계절별 발생률 및 상기도 감염의 선행 여부 등의 역학적 요인과 임상 증상, 그리고 검사 소견을 연령군 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 205례에서 소아군은 149명, 청소년군은 38명, 성인군은 18명으로 평균 연령은 각각 $5.7{\pm}1.8$세, $13.5{\pm}2.4$세, $44.9{\pm}14.5$세이었다. 남녀 비는 소아와 청소년군은 1.2 : 1, 성인군은 2 : 1이었다. 상기도 감염이 선행된 경우는 소아에서 53.4%, 청소년 32.4%, 성인 33.3%이었다. 대변 잠혈 반응 검사 양성 빈도는 소아군(23.0%)과 성인군(50.0%) 사이에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0.05), 소아군과 청소년군(40.0%), 그리고 청소년군과 성인군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장 침범은 소아군 46례(30.9%), 청소년군 23례(60.5%), 성인군 15례(83.3%)에서 발생하였으며, 소아군에 비해 청소년군과 성인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신장 침범 빈도가 높았으나(P<0.05), 청소년군과 성인군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HSP의 재발은 소아군 23례(15.4%), 청소년군 9례(23.7%), 성인군 3례(16.7%)가 있었다. HSP 신염 환자의 추적 관찰 종료 시 신증상의 평가에서 소아와 청소년은 신증상의 소실 또는 경증만 지속된 경우가 각각 97.8%, 87.0%로 예후가 좋았으며, 성인은 중증 이상이 60.0%를 차지하고 13.3%에서 신부전 소견을 보여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예후를 보였다. 결 론 : 청소년기에 발병한 HSP의 예후는 소아와 같이 양호하였으나, 임상 증상에서 위장관 출혈과 신장 침범이 성인 양상을 보이기 시작하고, 재발의 빈도가 높아 향후 장기 추적 관찰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Henoch-Sch{\ddot{o}}nlein$ purpura(HSP) is the most common and benign systemic vasculitis in children. Few reports have focused on worse outcomes of HSP in adults. The age of onset is suggested as a main risk factor. We assessed the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onset HSP. Methods : We retrospectively analyzed 205 cases presented from Aug. 1993 to Oct. 2003. Patients were classified as children(<10 years of age), adolescents(10-20 years of age), and adults(>20 years of age). Results : The mean age was $5.7{\pm}1.8years$ in 149 children, $13.5{\pm}2.4years$ in 38 adolescents, and $44.9{\pm}14.5years$ in 18 adults. The male to female ratio was 1.2 : 1 in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2 : 1 in adults. Previous upper respiratory infections were found in 53.4 percent of children, 32.4 percent of adolescents, and 33.3 percent of adults. Positivity of stool occult blood was more frequent in adults(50.5 percent) than in children(23.0 percent)(P<0.05). Renal involvement was found in 46 cases (30.9 percent) of children, 23 cases(60.5 percent) of adolescents, and 15 cases(83.3 percent) of adults. Recurrences occurred in 23 cases(15.4 percent) of children, nine cases(23.7 percent) of adolescents, and three cases(16.7 percent) of adults. Among the cases with renal involvement, 97.8 percent of children and 87.0 percent of adolescents improved to normal or asymptomatic urinary abnormalities. 60.0 percent of adults persisted with severe nephropathy and 13.3 percent progressed to renal insufficiency. Conclusion : Although the outcome of adolescent HSP was as good as children, the clinical manifestations were similar to those of adults. Adolescents had the highest rate of recurrences. Thus long term observations may be needed in adolescent onset HSP.

      • KCI등재

        소아에서 폐구균 다당질 백신에 포함된 7가지 혈청형에 대한 기능적 항체 반응

        박지혜,김희정,홍영미,김경효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11

        Purpose:Streptococcus pneumoniae is an important pathogen in children as well as in elderly peopl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opsonization activity of pneumococal capsular antibody to seven serotypes in 23-valent pneumococcal polysaccharide vaccine before and after immunization in Korean children. Methods:Nine children from 24 to 49 months of age were immunized with 23-valent polysaccharide pneumococcal vaccine in Ewha Woman's University Tongdaemoon Hospital. From them, sera were collected before immunization as well as 1 month after immunization. Double-serotype opsonophagocytic killing assay was performed against seven serotypes(4, 6B, 9V, 14, 18C, 19F and 23F) of S. pneumoniae to get opsonization titer of these sera using dimethyl formamide differentiated HL-60 cells. Results:After immunization, geometric mean opsonization titer of sera against serotype 18C(4,352) was the highest followed by serotype 9V(3,317), serotype 14(1,545), serotype 4(1,359). The opsonization titer against serotype 23F(342) was the lowest followed by serotype 19F(525), and serotype 6B (809). Fold increases of opsonization titer were higher against serotype 4(339.8), 9V(65.7), 19F(34.5), and 14(18.8) than those against serotype 23F(4.5), 6B(8.9), and 18C(9.9). Conclusion:The opsonization titers of postimmune sera against seven serotypes of S. pneumoniae were increased in many(not all) preschool children. But they showed variable values of opsonization titer in postimmune sera as well as in preimmune sera against different serotypes. The immune responses to pneumococcal polysaccharide in preschool children are not maturated sufficiently yet. 목 적:폐구균 백신의 효과는 각 혈청형 다당질에 특이하게 반응할 수 있는 방어 항체의 생성에 의해 결정지어지며 OPKA는 항체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가장 이상적 방법이다. 소아에서는 백신에 포함된 폐구균 혈청형의 종류에 따라 항체 반응이 차이를 보인다고 보고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여러 가지 만성 질환을 가진 폐구균 백신 접종 대상 소아에게 23가 다당질 백신을 접종하고 이에 포함된 7가지 혈청형에 대한 백신 접종 전과 후의 항체 기능을 연구하였다. 방 법:이화의대 동대문병원에 방문한 생후 24개월에서 59개월의 소아 9명을 대상으로 23가 폐구균 다당질 백신을 접종하였고 접종 전과 접종 1개월 후 혈청 내 항체의 4, 6B, 9V, 14, 18C, 19F, 및 23F 혈청형에 대한 특이 항체 기능을 OPKA로 측정하였다. OPKA는 DMF로 분화 유도된 HL-60 세포를 효과 세포로 사용하며 스트렙토마이신 내성 폐구균과 optochin 내성 폐구균을 이용한 double-serotype OPKA를 적용하였다. 결 과:백신접종 후 혈청형 18C와 9V가 가장 높은 항체 반응을 보였고 혈청형 14와 4도 어느 정도 높은 항체 반응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6B와 19F는 항체 반응이 약했으며 혈청형 23F가 가장 낮은 항체 반응을 보여주었다. 혈청형 23F는 6B와 함께 백신 접종 후 백신 접종전의 역가와 비교해서도 항체 반응의 증가가 다른 혈청형에 비해 낮아 소아에서 가장 면역반응을 낮게 일으키는 혈청형으로 관찰되었다. 혈청형 18C는 항체기능의 증가 배수는 적었으나 이는 이미 백신 접종 전 높은 항체기능을 보여 주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한편 혈청형 4는 백신 접종 전 모든 소아에서 측정 한계 이하의 옵소닌작용 역가를 보였으나 백신 접종 후 항체 반응의 증가가 높았다. 결 론:24-59개월의 소아에게 폐구균 다당질 백신접종 후 백신에 포함된 7가지 혈청형 다당질에 대한 백신 접종 전과 후 항체의 기능을 OPKA로 측정한 결과 폐구균에 대한 항체 기능인 옵소닌작용 역가는 많은 경우에서 증가하였다. 그러나 혈청형에 따라 백신 접종 후의 옵소닌작용 역가가 달랐을 뿐 아니라 백신 접종 전의 옵소닌작용 역가도 차이를 보여 주었고 한 혈청형에 대해서도 개인에 따라 차이를 보여 주었다.

      • KCI등재

        소아 및 청소년 비만증에서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요인

        김덕희,은호선,최인경,김호성,차봉수,김동기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5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8 No.10

        Purpose : Insulin resistance is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impaired glucose tolerance(IGT), diabetes mellitu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in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 whether insulin resistance of obese adolescent is higher than that of obese children. and to analyze gender difference and affecting factors of insulin resistance. Methods : Of the 9,837 school children from 5 to 16 tears old, 92 obese children and 187 adolescent, underwent a two-hour oral glucose tolerance test and plasma glucose, insulin, lipid profiles, leptin and high sensitive C-reactive protein(hs-CRP) were measure. Results : Plasma insulin levels of female were higher compared to those of males during oral glucose tolerance test(P<0.05). Four(4.3%) in obese children and twenty five(13.3%) in obese adolescents met the criteria of IGT. Female, leptin, adiponectin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were strongly correlated with homeostatic model assessment insulin-resistance(HOMA-IR) by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P<0.05). Conclusion : Obese adolescents might have higher insulin concentrations compared to obese children and obese girls higher insulin concentrations than obese boys. Obese boys and children with impaired glucose tolerance have higher insulin concentrations than those with normal glucose tolerance. HOMA-I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female, plasma leptin, adiponectin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목 적 : 인슐린 저항성은 소아 및 청소년 비만증에서 내당능장애, 당뇨병증, 심혈관계질환을 일으키는 중요한 위험요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비만증 청소년이 소아에 비해 인슐린저항성이 증가하는가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차이점을 규명하며 인슐린저항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고자 한다.방 법 : 5-16세의 학생 9,837명을 신체검사하여 92명의 비만증 소아와 187명의 비만증 청소년을 선별하였고, 이들을 대상으로 당부하검사, 공복상태의 혈당, 인슐린농도,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의 농도, leptin, hs-CRP 및 adiponectin 농도를 측정하였다.결 과 : 당부하검사를 통한 비만증 소아 및 청소년에서 성별에 따른 인슐린의 농도는 여자에서 인슐린의 농도가 높았다(P< 0.05). 비만증 소아에서 4명(4.3%), 비만증 청소년에서 25명(13.3 %)에서 내당능 장애로 나타났으며, 당뇨병으로 진단된 경우는 1례도 없었다. 인슐린 저항성은 여자, leptin, adiponectin, 중성지방의 농도와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결 론:비만증에서 인슐린 저항성은 소아보다 청소년에서 컸으며, 남자보다 여자에서 컸다. 또한 leptin 및 중성지방의 농도가 높을수록, adiponectin의 농도가 낮을수록 인슐린 저항성이 컸다. 소아 및 청소년 비만증에서 인슐린 저항성에 미치는 요인들에 관하여 좀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 SCOPUSKCI등재

        소아 및 청소년 2형 당뇨병의 임상적 특징

        이성용,신충호,양세원,Lee, Seong Yong,Shin, Choong Ho,Yang, Sei Won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6

        목 적 : 소아, 청소년기의 당뇨병은 대부분 1형 당뇨병으로 진단되어지나 최근에는 소아, 청소년에서도 2형 당뇨병이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도 같은 양상을 보인다고 생각된다. 저자들은 소아, 청소년의 2형 당뇨병의 임상 양상에 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87년부터 2000년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에서 2형 당뇨병으로 진단 받은 소아, 청소년 환자 33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당뇨병의 진단기준에 합당한 환자 중에서 체질량지수 25 이상의 비만을 보인 경우, 2형 당뇨병의 가족력을 가진 경우, 진찰상 흑색 극세포증을 보인 경우, 그리고 혈청 혹은 소변 C-peptide가 정상 혹은 증가된 경우 등의 2형 당뇨병의 진단을 지지하는 소견들 중 2가지 이상을 보이고 항GAD 항체가 음성일 경우를 임의적으로 2형 당뇨병으로 진단하였다. 또한 인슐린 치료가 필요하지 않거나 인슐린 치료를 받다가 끊을 수 있었던 경우는 위의 지지소견 들이 2가지 미만인 경우에도 2형 당뇨병으로 진단하였다. 대상 환자 33명의 병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환자들의 진단 당시의 임상 양상, 인구 통계학적 양상, 검사결과, 치료방법 및 반응 등에 대해 임상적인 고찰을 하였다. 인슐린 치료를 받은 환자 중 2년 이상 인슐린을 사용한 군과 2년 안에 인슐린을 끊을 수 있었던 군의 임상적 양상에 대해 비교하여 보았다. 결 과: 진단시 나이는 평균 $13.4{\pm}1.8$세로 10대 초반이 다수였다. 23명의 환자 중 16명(69.6%)이 진단 시 사춘기에 해당하였다. 평균 체질량지수는 $24.3{\pm}4.2kg/m^2$이었고 $25kg/m^2$ 이상의 비만을 보인 경우가 32명 중 16명(50%)이었다. 2형 당뇨병의 가족력이 있는 경우가 33명 중 24명(72.7%)이었다. 흑색극세포증은 6명(18.2%)에서 관찰되었다. 진단 당시 다음, 다뇨등의 증상을 보인 경우가 14명(42.4%)이었고, 요당이나 고혈당이 우연히 발견되어 진단된 경우가 19명(57.6%)이었다. 치료방법으로는 인슐린 단독치료가 25명(75.8%), 경구 혈당강하제 단독사용이 3명(9.1%)이었고, 두 가지를 같이 사용한 경우가 3명(9.1%), 운동과 식이요법 외에 약물치료를 하지 않은 경우가 2명(6%)이었다. 15명(45.5%)이 인슐린을 사용하지 않았거나 끊을 수 있었다. 진단 당시 다음, 다뇨와 같은 전형적인 당뇨병의 증상은 2년 이상 인슐린을 쓴 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5). 결 론: 소아, 청소년에서의 2형 당뇨병은 증상의 발현이 뚜렷하지 않으며 사춘기, 비만, 가족력과 관계가 깊었다. 소변과 혈청에서의 C-peptide 농도 측정에서 증가 또는 정상 소견이 보일 경우, 췌세포 자가 항체가 음성인 경우 2형 당뇨병으로 진단할 수 있으나 좀 더 나은 1형 당뇨병과의 감별방법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수의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초기에 인슐린 투여를 필요로 하였고 혈당 조절이 호전된 후 끊을 수 있었으나 진단 시 증상을 보이는 경우 인슐린을 지속적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 Purpose : The incidence of type 2 diabe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has been reported to increase recently.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features of type 2 diabetes developing during childhood and adolescent period. Methods : The medical records of 33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ere reviewed. We analysed clinical manifestations, demographic data, and modes and responses of treatment. Results : Age at diagnosis was $13.4{\pm}1.8$ years. Seventy percent of patients revealed pubertal signs at diagnosis. Half of the patients had BMI more than $25kg/m^2$. Seventy-three percent of patients had family history of type 2 diabetes. Acanthosis nigricans were found in 18% of patients. Nineteen(57.6%) patients were diagnosed incidentally by random urine or blood glucose test without any typical diabetic symptom or sign. The modes of therapy to control hyperglycemia were insulin alone(75.8%), oral hypoglycemic agents alone(9.1%), insulin and oral hypoglycemia agents(9.1%), and only diet with exercise(6%). At the time of investigation, 45.5% of patients were not using insulin. The typical diabetic symptoms at diagnosis were more prevalent in patients who required insulin for more than two years than patients who did not(P<0.05). Conclusion : The development of type 2 diabet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s possibly related to puberty, obesity, family history, and defects in insulin secretion rather than insulin resistance. Many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ype 2 diabetes required insulin initially and some of them could discontinue. More than half of the patients were diagnosed as diabetes without any typical symptom or sign, which might be one of the predictive factors of the prolonged insulin requirement.

      • KCI등재

        의약분업 후의 초등학교 아동들의 의료기관 이용양상 - 의약분업 전 조사와의 비교

        양은석,김미진,김은영,노영일,박상기,박영봉,문경래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9

        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attern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and factors which determine medical care utiliza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medical reform. Methods:We performed the questionnaires on 1,031 children from two elementary schools in Gwangju city from June 1 to 30 June, 2001. These data were compared with data from a previous study in 1988 to evaluate the changes in medical care utilizatio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medical reform. Results:The prevalence rate of illness was 52.2%. The rate of persons who received medical treatment when they were sick, was 53.6%. The reasons for not treating illness were mild symptoms (84.7%), no time and too busy(4.3%), and economic causes(9.3%). The selection distribution among various medical facilities was pediatric hospital(47.2%), otolaryngologic hospital(25.8%), internal medicine(11.2%), family medicine(4.9%) and pharmacy(4.6%). The most frequently utilized medical facility for respiratory and gastrointestinal symptoms was a pediatric hospital.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a medical facility were geographic accessibility and good results. The most common reason for the first visit to pediatric hospital, otolaryngologic hospital or internal medicine department was geographic accessibility. Conclusion:Compared with a previous study in 1998, this data showed a decreased treatment rate in spite of an increased prevalence rate. The useage of pharmacies markedly decreased but visits to pediatric hospitals did not increase. 목 적 : 의약분업 후 소아의 의료 기관 이용형태와 진료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하였다.방 법 : 2001년 6월 1일부터 30일까지 광주 시내 2개 초등학교 1학년에서 6학년까지 1,031명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하여 조사하고 의약분업 전인 1998년의 조사와 비교 분석하였다.결 과 : 총 응답자는 1,031명으로 연령 분포는 8살에서 13세이며, 남자 598명, 여자 703명이었다. 질병의 유병률은 52.2%이고 치료율은 53.6%였으며 치료를 받지 않은 이유로는 증상이 경미하여, 시간적 여유가 없어서, 경제적 부담 순이었다. 의약분업 전보다 증가된 유병률에 비해 치료율은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치료를 받지 않는 이유에서도 증상이 경미한 경우가 두드러졌다. 질환에 이환된 경우 선택한 의료 기관은 소아과, 이비인후과, 내과, 가정의학과, 약국 순이었다. 의약분업 전보다 약국 이용의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호흡기 증상의 의료기관 이용도를 보면 기침의 경우 소아과, 이비인후과, 내과, 약국 순이었고, 콧물의 경우 소아과, 이비인후과, 내과, 약국 순이었고, 열이 있는 경우 소아과, 내과, 이비인후과, 약국 순이었다. 의약분업 전과 비교하면 모든 호흡기 증상에서 약국의 현저한 감소를 보이나 콧물의 경우 이비인후과가 24.3%에서 37.1%로 증가되었다. 소화기 증상의 의료기관 이용도를 보면 설사의 경우 소아과, 내과, 약국 순이었고, 변비의 경우 소아과, 내과, 약국 순이었고 복통이 있는 경우에는 소아과, 내과, 약국 순이었다. 의약분업 전과 비교하면 약국의 현저한 감소를 보이고 호흡기 증상보다는 소아과의 이용 증가가 현저하였다. 예방접종의 경우 의료기관 이용도는 소아과, 보건소, 내과 순이었고 피부증상이 있는 경우 소아과, 피부과, 약국, 내과 순이었다. 의약분업 전과 비교하면 예방접종은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피부증상의 경우 소아과 이용이 41.1 %에서 62.1%로 현저하게 증가되고 피부과의 이용은 29.8%에서 10.3%로 많은 감소를 보였다. 의료기관별 선택 이유로는 소아과의 경우 거리의 근접성, 의사의 평판, 교통의 편리성, 치료 효과 순이었고, 이비인후과의 경우 거리의 근접성, 의사의 평판, 치료 효과, 교통의 편리성 순이었고, 내과의 경우 거리의 근접성, 의사의 평판, 치료 효과, 교통의 편리성 순이었다. 의약분업 전보다 소아과의 경우 여전히 거리의 근접성이 우선적 의료기관 선택 기준이였으나 이비인후과와 내과는 치료효과, 의사의 평판에서 거리의 근접성으로 우선적 의료기관 선택 기준이 달라졌다.

      • KCI등재

        소아청소년 실신 환자에서 기립 경사 검사의 유용성

        유가영,최지혜,유춘자,이경석,주찬웅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2 No.7

        Purpose : We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head-up tilt test (HUT) for the diagnosis of syncope or presyncope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HUT results and clinical features of 160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yncope or presyncope were studied from May 2003 through March 2008 at th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children and adolescents were subjected to 70° HUT for 45 minutes. The testees were divided into 2 groups: group I (children) comprising 39 children in the age range 7-12 years (mean, 10.59±1.60 years) and group II (adolescents) comprising 121 adolescents in the age range 13-20 years (mean, 15.93±2.28 years). Positive result rates of the HUT and types of hemodynamic response to the test in the 2 groups were compared. Results : Of the 160 testees, 92 (57.5%) showed positive HUT results; they showed 3 patterns of response to tilting. Twelve patients showed a predominantly vasodepressor response; 10 patients showed a cardioinhibitory response; and 70 patients showed a mixed response. The positive result rates were 43.6% (17/39) and 62.0% (75/121) in groups I and II, respectively. Mixed response was the predominant positive hemodynamic response in both the groups. Conclusion : The HUT is a useful diagnostic tool for evaluating the condition of pediatric patients, including adolescents, with syncope. Further, it may be considered as the first step for evaluating the condition of such patients. 목 적 : 실신은 소아와 청소년들에게 흔히 발생되는 증상으로 혈관 미주신경성 실신이 가장 흔한 형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원인불명의 실신 및 그와 유사한 증상으로 내원한 소아청소년기 환자들에게 기립 경사 검사(head-up tilt test, HUT)의 반응과 진단적 가치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5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전북대학교병원에 실신 및 실신 전 증상을 주소로 HUT를 하고 임상적으로 혈관 미주신경성 실신이 의심되는 160명(남 82명, 여 78명, 7-20세)을 대상으로 임상 양상 및 HUT 결과와 그 반응에 대해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HUT는 70도 경사에서 45분간 시행하였으며 일부는 isoproterenol 0.5-1.0 ug/min 주사를 이용하였으며 이 환아들을 소아군(7-12세, 39명, 10.59±1.60세), 청소년군(13-20세, 121명, 15.93±2.28세)으로 분류하여 두 군 간의 HUT 양성률과 그 반응유형을 비교해 보았다. 결 과 : 대상 환아 160명 중에서 양성반응인 환아는 92명(57.5 %)이었고, 남녀 비는 차이가 없었다. 양성 반응은 혼합형이 70례로 제일 흔한 반응이었고, 혈관억제형이 12례, 무수축을 동반하지 않은 심장억제형이 6례, 무수축을 동반한 심장억제형이 4례이었다. 실신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HUT를 비롯하여 혈액흉부 방사선 촬영, 심전도와 24시간 holter 검사 및 운동부하검사, 뇌파 검사, 뇌 단층촬영과 뇌 자기공명검사, 심초음파 검사 등이 시행되었다. 또한 연령대에 따른 HUT의 양성 반응률 비교는 소아군 43.6% (17/39), 청소년군 62% (75/121)이었고, 혼합형 반응이 소아 군에서 15명(38.4%)에서 청소년군 55명(45.0%)으로 청소년군이 더 높은 양성률을 보였으나 두 그룹간의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HUT는 혈관 미주신경성 실신이 의심되는 병력과 진찰 소견이 정상인 소아에서 여러 다른 검사 방법에 우선하여 시행함으로써 실신의 원인을 규명하는데 유용하다.

      • KCI등재

        소아청소년기 성장호르몬결핍증의 성인기 지속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영아,정혜림,이세민,김재현,김지현,이선희,양세원,신충호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2 No.2

        Purpose : Growth hormone (GH) replacement after retesting is necessary because impairment of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health has been more severe in adult patients with persistent GH deficiency (GHD) from childhood to adulthood.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actors for persistent GHD and define a highly probable group of persistent GHD in young adults with childhood-onset GHD. Methods : GHD was reassessed by insulin tolerance test (ITT) in 55 adult patients (39 males, 16 females) with childhood- onset GHD. Twelve patients presented with idiopathic GHD and 43 patients presented with organic GHD caused by tumors involving the hypothalamus-pituitary (H-P) region (n=33), other brain tumors (n=3), meningitis (n=3), leukemia (n=2) and others (n=2). Results : Forty-nine (89.1%) of 55 patients had persistent GHD. IGF-I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log of peak GH (r=0.57, P<0.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proportion of persistent GHD between idiopathic and organic GHD. The percentage of patients with persistent GHD was 40%, 80%, and 95.6% for patients with zero, one, two or more additional pituitary hormone deficiencies (PHDs), respectively (P=0.002). The probability of persistent GHD was higher in patients with diseases involving the H-P region (P=0.003). GHD persisted in 15 of 18 patients treated with cranial irradiation. Conclusion : We suggest that the probability of persistent GHD in adulthood was high in patients with 2 or more additional PHDs, and diseases involving the H-P region. 목 적 : 소아청소년기 GHD 환자들은 성인기에 진단된 환자보다 체성분과 심혈관계의 변화가 심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면 성장호르몬 치료를 꼭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소아청소년기에 GHD로 진단 받은 성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ITT를 시행하여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는 요인을 살펴보고,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대상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성인키에 도달한 55명(남 39명, 여 16명)을 대상으로 ITT의 최대 성장호르몬 값이 3 µg/L 미만이면 성인기 GHD로 진단하였다. 특발성 GHD 환자(n=12)는 뇌하수체 구조적인 이상이 있는 2명과 둔위 분만 또는 가사의 병력이 있는 10명이었으며, 기질성 GHD 환자(n=43)는 시상하부-뇌하수체를 침범하는 뇌종양(n=33), 그 외의 뇌종양(n=3), 뇌수막염(n=3), 백혈병(n= 2), 지주막낭종(n=1), 뇌하수체염(n=1)에 해당하였다. 결 과 :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된 환자는 49명(89.1%)이었다. 최대 성장호르몬 값의 log값은 기저 IGF-I 농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57, P<0.001). 특발성 GHD 환자의 91.7%가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어, 성인기 GHD 여부는 소아청소년기 특발성, 기질성 GHD 여부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동반된 뇌하수체호르몬 결핍 개수가 많을수록(단독 GHD 40%, 1개의 결핍 동반 80%, 2개 이상 동반 95.6%, P=0.002), 기질성 GHD 환자 중에서 병변이 시상하부-뇌하수체를 일차적으로 침범하는 경우(P=0.003)에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았다. 두개 내 방사선 치료를 받은 18명 중에서 15명이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었는데, 시상하부-뇌하수체를 침범하는 종양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들 14명은 모두 방사선조사량에 관계없이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었다. 동반된 뇌하수체호르몬 결핍이 있는 경우(P=0.005), 소아청소년기 완전 GHD인 경우(P=0.005)에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되는 비율이 높았다. 결 론 : 소아청소년기에 GHD로 진단 받은 환자들 중에서 동반 뇌하수체호르몬 결핍이 2개 이상이거나, 기저 질환의 병변이 시상하부-뇌하수체를 포함하면 성인기에도 GHD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 KCI등재

        소아청소년에서 short-lasting headaches

        노영일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2 No.8

        Purpose : Short attacks of headache are present in the pediatric age group. Short-lasting headaches (SLH) have been infrequently reporte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is study aims to assess the prevalence, clinical characteristics, treatment, and prognosis of short-lasting headache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One hundred twenty-three consecutive patients attended the Chosun University Hospital Headache Center between March 2006 and July 2007. Among 123 headache patients, 44 patients with one key criterion, namely, recurrent headaches episodes of a few seconds to less than 30 minutes, were selected. Results : Of the 123 headache patients, 44 (35.8%, males 18, females 26) had SLH. The mean age was 9.24 years (range 2.3-14.2). The mean headache frequency was 11.50±10.30 per month, mean severity was 4.86±1.36 out of 10, and the mean PedMIDAS score was 7.97±17.51. SLH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children <6 years old (10/22, 45.5%) than in ≥6 years old (34/101, 33.7%) (P=0.015). The nature of pain was pressure in 30.2%, stabbing in 27.9%, throbbing in 18.6%, and dull in 11.7%. In 52.4% patients, the pain occurred in the front, one side of the temple in 28.5%, both sides of the temple in 7.1%, and back in 4.8% patients. The duration of attacks was <6 minutes in 38% and ≥6 minutes in 61.4%. The intensity of the pain was 4-6 out of 10 in 75.0%, in 13.6% 1-3, and in 11.4% 7-10. Treatment was significantly effective in reducing the frequency, duration, and severity of headaches and the PedMIDAS score after 3 months (P<0.05). Conclusion : Short attacks of headache are common (35.8%)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se are difficult to classify according to International Headache Society criteria. The outcome, after a period of 3 months to 2 years, was favorable in most patients.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gather more data and to obtain a better description of these forms of headache in the pediatric group. 목 적 : 소아와 청소년에서 반복적이고 수초에서 수분 지속되는 short lasting headaches (SLH)에 대해서 드물게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두통은 성인 일차성 두통 진단 기준에 부합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저자는 소아청소년에서 반복되고 짧게 지속되는 두통의 빈도와 임상적 특징, 치료와 예후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조선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 외래를 2006년 4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방문한 두통환자 123명중 수초에서 30분 지속되는 두통을 반복해서 경험한 4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특성과 두통의 빈도, 지속시간, 심한정도, 두통에 의한 장애, 두통의 양상, 발생 장소 등에 대해서 알아보고, 치료와 예후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 과 : SLH은 44명(35.8%)이었고, 남자 18명, 여자 26명이었다. 6세 미만에서는 45.5%, 6세 이상은 33.7%이었으며,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6세 미만에서 더 높게 발생하였다(P=0.015). 나이는 평균 9.24±3.13세, 한 달 동안 두통의 빈도 11.5±10.30, 심한정도 4.86±1.36, PedMIDAS 7.97±17.51이었으며, 방문 전 두통을 앓았던 기간은 7.99±8.84개월이었다. 일차성 자두통의 진단 기준에 적합한 경우는 8명(18.2%)이었다. SLH 환자의 나이, 두통의 빈도, 지속시간, 심한정도, PedMIDAS, 발생 전 기간과 가족력에서 남녀의 차이는 통계학적으로 의미 없었다. 양상은 누르는 듯한 두통이 30.2%로 가장 많았으며, 찌르는 듯한 27.9%, 박동성 18.6%, 둔한 11.6%, 쥐어짜듯이 7.0% 순이었다. 통증 위치는 이마가 52.4%로 가장 많았으며, 한쪽 옆이 28.6%, 양쪽 옆 7.1%, 뒤 머리 4.8% 순이었다. 지속시간은 6-15분이 36.4%로 가장 많았고, 1-5분이 27.3%, 16-30분 미만 25.0%, 1분 이하가 11.3%이었다. 심한 정도는 1-3점이 13.6%, 4-6점 75.0%, 7-10점 11.4%이었다. 치료로 비약물적 치료로 상담과 생활 방식의 교육만 한경우가 36.4%, 급성기 약물 치료 34.1%, 교육과 예방적 약물치료 18.2%, 급성기 약물 치료와 예방적 약물치료를 같이 한 경우 9.1%이었다. 3개월 뒤 방문시 초기 방분보다 두통의 빈도, 심한정도, 지속시간, 두통에 의한 장애 모두에서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는 호전을 보였다(P<0.05). 결 론 : 소아청소년에서 SLH은 35.8%로 흔하나, 성인의 일차성 두통 진단기준에 합당한 경우는 일차성 자두통이 18.2%로 대부분 성인의 진단기준에 맞지 않아서 소아와 청소년에서 짧게 지속되는 두통의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치료 후 예후는 대부분에서 좋았다. 이러한 두통의 임상적 특징과 두통 분류와의 관계를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자료에 의한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소아의 임상 검체 및 건강한 소아의 비인두에서 분리된 폐구균의 혈청형 및 페니실린 감수성

        이진아,김남희,김동호,박기원,김윤경,김경효,박진영,최은화,이환종,Lee, Jin-A,Kim, Nam-Hee,Kim, Dong-Ho,Park, Ki-Won,Kim, Yun-Kyung,Kim, Kyoung-Hyo,Park, Jin-Young,Choi, Eun-Hwa,Lee, Hoan-Jo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3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6 No.9

        목 적 : 폐구균은 건강한 소아의 비인두에서 분리될 수 있는 정상 균총이지만, 다양한 종류의 침습성 감염과 국소 감염을 일으킨다. 최근에 영아 및 어린 소아에서도 침습성 감염에 대한 예방 효과가 우수한 7가의 단백 결합 백신이 개발되었다. 백신의 적절한 사용을 위해서는 백신을 사용하고자 하는 지역에서 분리되는 폐구균의 혈청형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방 법 : 2000년 3월부터 2002년 2월까지 2년간 서울대학교 어린이병원, 이화여자대학교 동대문병원, 성균관대학교 강북삼성병원에 내원한 15세 미만의 환아의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폐구균 127 균주와 1997년 11월부터 1998년 10월까지 1-5세 사이의 건강한 소아의 인후 도찰 검체에서 분리된 폐구균 72균주를 대상으로 Quellung reaction을 이용하여 혈청형을 결정하였으며, oxacillin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penicillin에 대한 감수성을 검사하였다. 결 과 : 임상 검체에서 폐구균이 분리된 소아의 연령은 2세 미만이 43%, 2-5세가 35%, 5-15세가 21%였다. 균혈증, 뇌수막염, 복막염 등의 침습성 감염은 전체 감염의 24%를 차지하였으며 이러한 경우 폐구균의 페니실린 내성률은 90%였다. 2세 미만의 경우는 전체 폐구균 감염의 22%가 침습적 감염이었고 호흡기계 검체 및 중이염은 각각 46%, 26%를 차지하였다. 폐구균의 혈청형 분포는 19F(24%), 19A(17%), 23F(15%), 6A(11%), 6B(7%), 9V (6%)의 순이었으며, 페니실린 내성빈도는 94%였다. 임상 검체에서 분리된 폐구균 중 56%(교차반응 혈청형 포함시 84%), 침습성 감염과 중이염의 경우 각각 57%(80%), 48%(88%)가 7가 백신에 포함되었다. 건강한 소아의 인후두 도찰 검사의 폐구균 혈청형은 19F(31%), 14(21%), 11A(13%), 23F(11%), 18C(6%), 19A(4%)의 순으로 이 6가지 혈청형이 전체의 86%를 차지하였고 페니실린 내성률은 86%였으며 7가 백신에 71%(78%)가 포함되었다. 임상 검체 및 건강한 소아에서 분리된 폐구균 중 페니실린 내성균의 60%(90%)가 7가 백신에 포함되었다. 결 론 : 우리나라 소아의 임상 검체 및 건강한 소아의 비인두에서 분리되는 폐구균의 혈청형은 6A, 6B, 14, 19A, 19F, 23F 등이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분리된 균주의 56-84%가 7가 단백 결합 백신에 포함되었다. Purpose : Pneumoccocu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auses of invasive infection through the childhood period and the prevelance of antibiotics resistance of pneumococcus is increasing worldwide. A 7-valent conjugate vaccine has been developed. It is important to know the prevalence of each serotype of pneumococci in the countries where the vaccine is used to estimate the coverage rate by the vaccine. Methods : One hundred and twenty seven strains of clinical isolates and 72 strains from healthy carriers recovered from Korean children during the period from 1997 to 2002 were subjected to determination of serotype by Quellung reaction and penicillin susceptibility with oxacillin disc diffusion test. Results : Forty-three per cent of clinical isolates were obtained from children under two years of age. Thirty strains(24%) were isolated from normally sterile body fluids. The frequent serotypes were 19F, 19A, 23F, 6A, 6B and 9V. Fifty-six per cent of the clinical isolates were represented in the current 7-valent protein conjugate pneumococccal vaccine, and 84% when the cross-reactive serotypes were included. Frequent serotypes of strains isolated from one to five year-old healthy children were 19F, 14, 11A, 23F, 18C, and 19A. Seventy-one per cent of the carrier strains were included in the 7-valent vaccine. Ninety-three per cent of the clinical isolates and 86% of carrier strains were not susceptible to penicilline. Conclusion : Fifty-six to 84% of pneumococci recovered from Korean children are covered by the current 7-valent protein conjugate pneumococcal vaccine and the prevalence of penicillin resistance was very hig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