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ral health status of residents in Jeollabuk-do : related to traumatic injury, temporo-mandibular disease, and dental care by one who has no dental license 외상, 악관절 질환, 부정의료업자 이용 경험을 중심으로

        Jeon, Jae-Gyu,Kim, Young-Sam,Lee, Chun-Wha,Lee, Young-Soo,Chang, Kee-Wan 대한구강보건학회 2003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27 No.4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외상, 악관절 및 부정의료업자가 제작한 보철물 등과 관련되 전라북도 도민의 구강건강 실태를 파악함과 동시에 전라북도 도민의 구강부건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재료 및 방법 : 본 연구는 2000년도에 실시된 전국구강건강실태조사에서 얻어진 전라북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2000년 전국구강건강 실태조사시, 전라북도 지역에서는 11개의 표본지역이 추출되었으며, 이중 도시지역이 5곳이었으며 비도시 지역이 6곳이었다. 피검자는 18세 이상 성인 676명 이었다. 구강역학조사 방법은 세계보건기구의 구강건강 조사법을 기본으로 한 대한구강보건학회의 구강 역학조사기준을 활용하였으며, 개별 가정을 방문하여 구강검사 및 면접을 시행하였다. 구강검사 및 면접 내용에는 치아우식증 유병률, 지역사회 치주지소, 현존치아수, 보철물의 상태, 악관절의 상태, 치아외상 경험, 부정의료업자에 의한 치과치료경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내용중 치아외상 경험, 부정의료업자에 의한 치과치료경험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들 내용중 치아외상 경험, 악관절 상태, 부정의료업자에 의한 치과치료경험과 관련된 내용을 발췌하여 SPSS/P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성적 : 표본조사 된 전라북도 도민의 경우, 남성은(28.4%) 여성보다(11.5%) 치아외상 경험이 많았으며 치아외상 원인은 '넘어져서'가 가장 높은 비율(46.8%)을 차지하였다. 악관절질환의 경우엔 악관절동통을 경험한 사람은 3.4%이었지만 악관절질환을 치료해본 경험이 있는 사람은 불과 0.9%이었으며, 전체적으로 악관절문제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많이 나타났다. 치과의사면허가 없는 부정의료업자에게서 보철치료를 받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22.6%이었고, 많은 수의 사람이 만족하거나(19.0%) 비교적 만족하였지만(36.6%), 검사자의 판단으로는 전체 90%이상에서 불량함을 관찰할 수 있었다. 결론 : 2000년도에 실시된 전국구강건강실태조사에서 얻어진 전국적인 결과와 전라북도의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전국에 비하여 전라북도는 치아외상의 경험과 악관절증상 및 부정의료업자에게서 보철치료를 받은 경험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전라북도 도민을 위한 자체적인 공중구강보건사업의 개발이 시급히 필요하다고 사료되었다.

      • KCI등재

        편지 : 국가차원의 구강건강조사체계 비교: 미국과 한국

        최연희 ( Youn Hee Choi ),진혜정 ( Hye Jung Jin ),김은경 ( Eun Kyong Kim ),김백일 ( Baek Il Kim ),김동기 ( Dong Kie Kim ),박덕영 ( Deok Young Park ) 대한구강보건학회 2013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37 No.3

        건강검진이란 건강상태 확인과 질병의 예방 및 조기발견을 목적으로 건강검진기본법8)을 시행하여 국가건강검진기관평가 실시 근거가 법적9)으로 마련되어 있으며, 구강보건법10)은 정부차원의 체계적인 구강건강사업의 기획과 시행 평가를 할 수 있는 최소한의 법적 근거와 체계를 보장하고 있다. 구강보건법은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국민의 구강건강증진을 위하여 필요한 계획을 수립·시행하고, 구강보건사업과 관련된 자료의 조사·연구, 인력의 양성 등 그 사업시행에 필요한 기술적·재정적 지원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민간차원에서 산발적으로 이루어지던 구강검사가 구강보건법의 제정과 함께 국가차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다. 국가 단위의 구강검사를 통하여 국민의 구강건강상태에 대해 국제적, 시기적으로 비교를 하여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 위한 중요성과 시급성을 파악할 수 있으며, 국민의 구강건강을 증진시키기위해 필요한 구강보건사업의 우선순위를 설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국가단위의 구강검사는 국민의 구강건강상태를 측정하는 대표적인 검사이자, 국가구강보건목표의 달성여부를 판단하게 하는 중요자료이므로, 타당하고 신뢰성이 높은 자료를 획득하기 위하여 질관리가 중요하다. 따라서 구강검사의 수행과 관련하여 구강검사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을 시행하여 검진기준을 일치시키고, 현장지도를 통한 조사의 신뢰도를 확보하여야 하겠다. 뿐만 아니라 교육훈련 결과 평가에 근거한 향후 질관리 근거 자료 및 교육훈련 개선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우리나라 국가구강검진체계는 미국의 국건영을 벤치마킹하여 상당부분 유사한 특징을 갖지만, 중앙정부나 국가조사 관련 기관이나 연구소에 구강보건을 전담하는 부서 등이 없어서 정부차원의 독자적 In Korea, two kinds of National oral health surveys have been conducted to develop various oral health indices during the past decade. The system still needs to be improved further in terms of quality control for the examination system, data management, personnel empowerment, etc. Therefore, this study compares the National Oral Health Survey system of the United States (US) with that of South Korea. The US national surveys related to oral health were set from the 1970s, whereas Korea`s national surveys have been initiated only recently; consequently, the US system is well organized and systematically managed by the professional personnel in governmental institutes, such as the Division of Oral Health i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Furthermore, this study examines the scope of the examiner training program, and the methods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standardized examination environment, data quality control, a data input system with automatic error checking, and data back up in the US. Considering the various factors involved in conducting nationwide epidemiological surveys as mentioned above, the structure and implementation methods of oral surveys in Korea clearly need to be improved.

      • KCI등재

        구강보건과 치과의료산업

        최충호 ( Choong-ho Choi ) 대한구강보건학회 2016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40 No.3

        2016년 10월 29일과 30일에 서울에서 개최되는 대한예방치과·구강보건학회 종합학술대회의 주제는 ‘구강보건과 치과의료 산업’이다. 그동안 구강보건의 발전은 치면세균막을 제거하기 위한 칫솔과 치약을 비롯한 다양한 구강위생용품의 개발, 초기치 아우식증을 재광화시킬 수 있는 불소와 같은 재광화 물질의 개발, 치아 표면의 열구를 미리 차단하여 치아우식증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재료의 개발, 초기우식증 진단장비의 개발 등 치과용품과 치과재료의 개발과 발전에 큰 영향을 받아왔다. 최근 국가적으로 의료의 산업화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이러한 치과용품 및 치과재료의 개발과 산업화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다. 이번 학술대회는 이러한 상황에서 구강보건과 관련된 치과의료산업의 동향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구강보건과 관련한 치과의료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개발되는 치과용품 및 치과재료에 대한 품질, 효과 및 안전성 등에 대한 다양한 기초 및 임상적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를 담당하는 연구자들의 역할은 치과의료산업에 있어 중요한 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다고 볼 수 있 으며 이러한 연구자들은 치과용품 및 치과재료와 관련된 많은 연구결과들을 학회지를 통해 보고하고 있는 상황이다. 앞으로 국내에서 치과의료산업의 비중은 점점 더 확대될 것이고 더불어 이와 관련한 다양한 연구도 함께 활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이번 학술대회를 통해 많은 연구자들이 치과의료산업에 대해 더 많은 관심을 갖게 되기를 바라고 치과의료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 더 활성화되어 좋은 연구결과들이 본 학회지를 통해 많이 보고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topic of the Korean Academy of Preventive Dentistry and Oral Health Symposium 2016, held in Seoul on October 29 and 30, is “Oral Health and Dental Industry”. Until now, advances in oral health have largely been influenced by the development of dental products and devices. Examples of such products and devices include oral hygiene products such as toothbrushes and toothpastes for the removal of the Oral biofilm on the dental surface, remineralizing agents such as fluoride that can induce remineralization of incipient dental caries, pit and fissure sealants, and diagnostic devices for the early detection of dental caries. Interest in the industrialization of healthcare has been increasing nationwide, and the development of dental products and devices is attracting increasing attention as well. This upcoming symposium will provide an excellent opportunity to examine the direction of the dental health industry. The advancement of the oral and dental health industry requires diverse basic and clinical research on the quality, efficacy, and safety of the dental care materials and products being developed. Naturally, researchers play a crucial role in the dental health industry by reporting their research results on dental products and materials in peer-reviewed journals. Considering the continuing growth of the dental health industry,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dental research is evident. It is our hope that this symposium will stimulate interest in research pertaining to the dental health industry and promote active publication of quality data.

      • KCI등재후보

        학교구강보건실 운영 평가에 관한 연구

        민희홍,신승철,서현석,김은주,김호선 대한구강보건학회 2003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27 No.2

        School dental clinic programs is the most active and effective programs to prevent the oral disease for school-children and it is one of the recommended programs by the advanced and welfare countries. In Korea, 15 primary schools have been established the school dental clinics in 1999 as one of the public oral health program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s, and expanded more every year. 11 school dental clinics among 15 were participated for 2-years evaluation project. Such items as the structure, the process, the supply of dental services, the promotion of the health level and the community supports were evaluated through the standardization by governmental suggestions. Average score for 2-years evaluation was estimated as 81.35% as considerably good remark. In detail, score 4.74 for the structure, 22.10 for the process, 19.77 for supply of dental services, 26.22 for promotion of the oral health level and 8.53 for the community supports were calculated. In conclusion, school dental clinic programs in Korea were evaluated considerably good and they should be extended to all primary schools as possibl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치아우식경험자와 치주질환자의 면역세포분포와 구강내 상재세균항원(常在細菌抗原)에 대한 임파구 Blast 반응성에 관한 연구

        정인환,최유진 대한구강보건학회 1982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6 No.1

        著者는 1981年 4月 1日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上水道水의 弗素化가 實施된 慶南 鎭海市 住民의 向后 치아우식증 및 其他 口腔保健狀態 變化를 追跡比較할 資料를 마련하고져 飮料水의 弗素化가 始作되기 以前인 1979年 5月부터 1980年 12月까지 基礎調査 및 分析을 實施하였으며 向後의 對照地域으로서 上水道水中의 弗素濃度가 1979年 現在 鎭海市와 類似한 水原市를 選定하고 同一時點에서 同一基準으로 口腔保健狀態에 對한 疫學調査를 實施하였다. 水原市와 鎭海市에 位置하는 모든 國民學校 및 中學校生을 對象으로 層別多段 推出法을 適用한 無作爲 抽出을 通하여 都合 16個 學校, 1個 市當 8個 學校, 6歲부터 14歲까지의 9個 年齡層 男女 各各 100名씩 2個市 都合 3,600名에 對한 疫學調査를 實施한 結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上水道水中 弗素濃渡는 水原市에서 0.05ppm, 鎭海市에서 0.05∼0.06ppm이었다. 2. 應急齒科醫療需要者率은 水原市 學童이 11.44%, 鎭海市 學童이 16.83%였다. 3. 班狀齒出現率은 水原市 學童에서 經度 1.72%, 中等度 0.44%, 高度 0.33%였으며 鎭海市 學童에서 經度 2.61%, 中等度 1.17%, 高度 0.39%였다. 4. 乳齒 平均 우식 經驗者率은 水原市에서 6歲가 91.50%, 9個年齡層 平均 54.72%였고 鎭海市에서 6歲가 92.50%, 9個年齡層 平均 56.50%였다. 5. 永久齒 平均 우식 經驗者率은 水原市에서 6歲 34.50%, 14歲 86.50%, 9個 年齡層 平均 71,22%였고, 鎭海市에서 6歲 35.00%, 14歲 93.00%, 9個 年齡層 平均 74.11%였다. 6. 一人當 平均 우식경험 乳齒數는 水原市에서 6歲 5.04個, 9個 年齡層 平均 2.30個였고, 鎭海市에서 6歲 5.61個, 9個年齡層 平均 2.42個였다. 7. 一人當 平均 우식경험 永久齒數는 水原市에서 6歲 0.67個, 14歲 3.70個, 9個 年齡層 平均 2.32個였고, 鎭海市에서 6歲 0.78個, 14歲 4.87個, 9個 年齡層 平均 2.55個였다. 8. 乳齒의 平均 우식경험치율은 水原市 36.71% 鎭海市 38.27%였다. 9. 永久齒의 平均 우식경험치율은 水原市 12.54%, 鎭海市 14.10%였다. 10. 水原市와 鎭海市의 被檢者에 있어서 치아우식 經驗度는 대체로 類似하였으나 鎭海市 被檢者에서 微少하게 높았다.

      • KCI등재후보

        우리 나라 보건소 구강보건실의 구강보건교육자료 이용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진보형,김영수 대한구강보건학회 2002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26 No.3

        Oral health education, which is very important to oral health promotion, is concerned with the healthrelated behaviors of people. The facilitation of beneficial and willful changes in people's behavior,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al materials based on the oral health promotion is requi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effectiveness of the oral health educational materials at health centers in Korea. 97 oral health educators who worked at health centers were surveyed by postal questionnaire. Questionnaires included utilization of oral health educational materials, frequency of oral health education, effects of oral health education, requirement and kinds for additional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al materials. The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1. Overheads and video films were more frequently used than projected slides and charts at health centers in Korea. 2. Preschool, elementary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children showed more interested in overheads and video films(p<0.05). 3.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al materials for preschool children, 0-3 year-old children's parents, elementary school children were required. 4. There was a great demand for programmed and computer-assisted instructions in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educational materi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