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치아우식경험자와 치주질환자의 면역세포분포와 구강내 상재세균항원(常在細菌抗原)에 대한 임파구 Blast 반응성에 관한 연구
정인환,최유진 대한구강보건학회 1982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6 No.1
著者는 1981年 4月 1日부터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上水道水의 弗素化가 實施된 慶南 鎭海市 住民의 向后 치아우식증 및 其他 口腔保健狀態 變化를 追跡比較할 資料를 마련하고져 飮料水의 弗素化가 始作되기 以前인 1979年 5月부터 1980年 12月까지 基礎調査 및 分析을 實施하였으며 向後의 對照地域으로서 上水道水中의 弗素濃度가 1979年 現在 鎭海市와 類似한 水原市를 選定하고 同一時點에서 同一基準으로 口腔保健狀態에 對한 疫學調査를 實施하였다. 水原市와 鎭海市에 位置하는 모든 國民學校 및 中學校生을 對象으로 層別多段 推出法을 適用한 無作爲 抽出을 通하여 都合 16個 學校, 1個 市當 8個 學校, 6歲부터 14歲까지의 9個 年齡層 男女 各各 100名씩 2個市 都合 3,600名에 對한 疫學調査를 實施한 結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上水道水中 弗素濃渡는 水原市에서 0.05ppm, 鎭海市에서 0.05∼0.06ppm이었다. 2. 應急齒科醫療需要者率은 水原市 學童이 11.44%, 鎭海市 學童이 16.83%였다. 3. 班狀齒出現率은 水原市 學童에서 經度 1.72%, 中等度 0.44%, 高度 0.33%였으며 鎭海市 學童에서 經度 2.61%, 中等度 1.17%, 高度 0.39%였다. 4. 乳齒 平均 우식 經驗者率은 水原市에서 6歲가 91.50%, 9個年齡層 平均 54.72%였고 鎭海市에서 6歲가 92.50%, 9個年齡層 平均 56.50%였다. 5. 永久齒 平均 우식 經驗者率은 水原市에서 6歲 34.50%, 14歲 86.50%, 9個 年齡層 平均 71,22%였고, 鎭海市에서 6歲 35.00%, 14歲 93.00%, 9個 年齡層 平均 74.11%였다. 6. 一人當 平均 우식경험 乳齒數는 水原市에서 6歲 5.04個, 9個 年齡層 平均 2.30個였고, 鎭海市에서 6歲 5.61個, 9個年齡層 平均 2.42個였다. 7. 一人當 平均 우식경험 永久齒數는 水原市에서 6歲 0.67個, 14歲 3.70個, 9個 年齡層 平均 2.32個였고, 鎭海市에서 6歲 0.78個, 14歲 4.87個, 9個 年齡層 平均 2.55個였다. 8. 乳齒의 平均 우식경험치율은 水原市 36.71% 鎭海市 38.27%였다. 9. 永久齒의 平均 우식경험치율은 水原市 12.54%, 鎭海市 14.10%였다. 10. 水原市와 鎭海市의 被檢者에 있어서 치아우식 經驗度는 대체로 類似하였으나 鎭海市 被檢者에서 微少하게 높았다.
서창환,최유진 대한구강보건학회 1982 大韓口腔保健學會誌 Vol.6 No.1
産業이 高度로 發達되고 職域이 細分化됨에 따라 特殊環境에서 長時間 從事하는 人力의 健康管理가 問題點으로 擡頭되고 있다. 特히 口腔疾患의 境遇 口腔保健敎育의 重要性이 指摘되고 있으며 産業 勞動者를 爲한 齒科 診療室이 設置됨으로써 점차 齒科醫師들의 役割이 强調되고 있고, 이러한 包括的인 産業口腔保健管理는 勞動者뿐만 아니라 産業 그 自體의 發展에도 有益하다는 것이 立證되고 있다. 그러므로 産業健康管理에 있어서 口腔疾患에 對한 豫防 및 措置가 繼續的으로 遂行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著者는 우리나라에서 海外로 派遣되는 8個 職種의 勞動者 中 各 職種의 經歷이 5年以上인 男子 675名을 對象으로 職種別로 齒牙우蝕經驗度, 口腔衛生狀態 및 齒周組織狀態를 調査하여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1. 産業體 海外就業豫定 勞動者의 永久齒우蝕 經驗者率은 平均 96.89%였다. 2. 産業體 海外就業豫定 勞動者의 1人當 平均우蝕 經驗永久齒 保有數는 9.21個였으며, 우蝕 永久齒保有數는 平均 6.28個, 喪失永久齒保有數는 平均 1.94個, 處置永久齒保有數는 平均 1.01個였다. 職種別로는 運轉士에서 우蝕 經驗永久齒保有數가 1人當 平均 10.07個로 가장 높았고 配管工에서 平均 6.44個로 가장 낮았다. 3. 口腔衛生狀態는 簡易口腔衛生指數가 平均 1.27로 優秀하였으며, 職種別로는 配管工이 平均 0.96으로 가장 좋았고 시멘트 取扱者가 平均 1.50으로 가장 不良했다. 4. 齒周組織狀態는 職種中 配管工이 가장 良好하였고, 熔接工이 가장 不良했다. 5. 海外就業豫定 勞動者의 치아우식증 經驗率과 齒周組織狀態는 우리나라 正常人 男子에 比해 不良하였다. 6. 産業體 海外就業豫定 勞動者에 對한 口腔保健敎育의 必要性과 海外派遣前 治療 및 現地에서의 充分한 齒科診療가 切實히 要求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