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육철학: 교육학에 대한 학(學)

        강성훈 ( Seong Hun Ka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2 교육철학연구 Vol.34 No.1

        최근 교육철학 내에서 하나의 경향을 형성하고 있는 ``실천철학으로의 전환``의 흐름은 새로운 교육철학이 아니라 새로운 교육(과)학을 지향하는 것이다. 이는 교육철학 내에서 이 흐름을 주도해왔던 영국의 교육철학자 Carr의 연구를 통해 확인되고 있다. 이론철학의 영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여 교육적 실천에 대한 단일한 연구를 지향하는 이와 같은 아리스토텔레스적 기획은, 그것이 보증하는 교육학에 대한 긍부정을 떠나, ``교육학에 대한 학``으로서의 교육철학의 정체성을 명징하게 보여주고 있다. 국내에서 실천철학론을 주도하는 연구자들의 이와 같은 카의 연구에 대한 이해는 두 가지 측면에서 오류를 내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첫째, 카의 기획이 현존의 교육철학들을 실천철학으로 전환하려는 것이 아니라 현존의 교육과학을 실천철학으로 전환하려는 것임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있지 못하다. 둘째, 그로 인해 카의 작업이야말로 교육학에 대한 학으로서의 교육철학임을 또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카의 연구에 대한 평가와는 무관하게 국내에서 실천철학에 대한 논의를 주도하고 있는 연구자들이, 실천철학의 필요성을 현존하는 교육철학들이 교육적 실천을 연구하지 않음으로 인해 발생한 교육적 실천에 대한 영향력 상실에서 찾고 있는 것은, 자칫 이론의 진위를 실천으로 검증하려는 조야한 도구주의의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할 여지로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천철학을 주도하고 있는 연구자들의 위와 같은 문제점을 지적하는 동시에 교육철학은 교육학에 대한 학이 되어야 함을 논증하고자 한다. Nowadays ``a current of conversion to practical philosophy`` making a tendency in philosophy of education is not new philosophy of education, but aims at new science of education. It can be ascertained in the studies of British philosopher of education, Carr at the head of this tendency. This Aristotelian project, separating from the realm of theoretical philosophy and intending a sole study of educational practice, has showed the identity of philosophy of education as ``science of science of education``. Such understanding of Carr`s study that domestic scholars leading discussion of practical philosophy have showed seems implicit errors in two aspects. First, they could not understand the fact that Carr`s project was not converting existing philosophies of education to the practical philosophy but existing sciences of education to the practical philosophy. Second, they also could not know Carr`s work is truly the philosophy of education as science of science of education. In addition, domestic scholars who are leading discussion of practical philosophy criticize existing philosophies because they don`t study educational practices and result in loosing influence in educational practices. However, there is some possibility of doing that this approach reproduces vulgar instrumentalism which verifies the truth of theory through practice. This study attempts to point out the above stated problems of the domestic scholars leading practical philosophy and prove that philosophy of education should become science of educational science at the same time.

      • KCI등재

        "교육적 의사소통"의 의미와 성격

        전숙경 ( Suk Kyung Jeon ) 교육철학회 2009 교육철학연구 Vol.45 No.-

        교육이 교육으로 살아있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의 과정 또한 교육적 특징을 지녀야 한다. `교육적 의사소통`은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성과 인격성을 전제로 한 구두적, 비구두적 소통을 의미한다. 그러나 교육적 의사소통의 본질적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성세대의 가치와 교사의 적극적 행위를 동반하는 `교육적`이라는 의미와 화자들이 상호 균형을 유지해야 하는 `의사소통`간의 의미의 충돌에 대한 해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의사소통을 통한 교육의 가능성, 교사와 학습자의 관계, 의사소통에서의 의도성이라는 교육의 특수성에 대한 탐색을 통해 교육적 의사소통이 가진 성격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교육적 의사소통에서 교사는 학습자를 대화적 관계로 끌어들이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학습자의 성장과 전환을 매개하는 화자의 역할을 맡는다는 것, 교육적 의사소통은 교육의 지향성을 가지되 대화의 흐름을 우선시하는 개방성과 학습자의 최종 결단을 기다리는 특성을 지닌다는 것을 중심된 성격으로 밝히고 있다.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within education should be rooted in an educational approach for it to be truly considered educational practice. If educators simply focus upon communicating the content of the educational material without utilizing education practices, then the power behind the process is lost. The term "educational communication" refers to the relationships and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eacher and learner via the process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However, the definitions between "education" and "communication" need to be differentiated in order to fully elucidate the essential meaning of "educational communication". "Education" is defined by reflecting upon the older generational point of view and the teachers` assertive behavior. "Communication" is defined as the need to keep a reciprocal balance between the speaker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communication. This study specifically discusses whether education is possible through communication, what role a pers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learner plays, and whether educational intention may damage communication in the educational setting. In this discussion, the distinctive features of educational communication are revealed. Educational intentions should include the intention to understand the student, and the teacher should actively accept the learner`s verbal and nonverbal participation.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educational communication are as follows. 1) The teacher and the learner should have a reciprocal and personal relationship. The teacher has the responsibility to bring the learner into a serious educational dialogue. 2) The teacher is a speaker who stimulates the learner`s growth and development. 3) The process of the dialogue is more important than intentions of the educator. 4) The learner is respected as the primary party who has the right to choose and decide.

      • KCI등재

        아렌트(H. Arendt) "탄생성"의 교육학적 수용 -마스켈라인(J. Masschelein)의 논의를 중심으로

        우정길 ( Jeong Gil Woo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13 교육철학연구 Vol.35 No.3

        본고는 한나 아렌트의 ``탄생성’이 교육학과 맺는 관련을 마스켈라인의 교육학적 수용의 예를 통해 고찰하고 있다. "인간은 탄생적 존재"라는 실존적.사회적 사실성에 근거하여 아렌트는 인간의 탄생을 생물학적 탄생(제 1의 탄생)과 사회적 탄생(제 2의 탄생)으로 구분하는데, 그 의미를 마스켈라인은 교육학적 시각에서 해석해 내고 있다. 우리가 마스켈라인에게서 발견하게 되는 탄생성의 교육학적 범주들은 가) 행위의 전제로서 개별자의 유일성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세계의 역설적 다원성, 나) 행위의 구조로서 대화적 관계성 및 이로부터 도출되는 책임성, 다) 기존성의 반복이 아닌 새로움의 생성기제로서 우연성, 라) 교육의 재개념화와 새로운 교육인간학적 규정등이다. 특히 "아동의 실재는 아직-말할수-행위할수-없음이 아니라 새로운-행위함과-새로운-말함이다"라는 교육인간학적 발견에 근거하여 그가 제안하는 교육적 인간의 새로운 규정, 즉 "인간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태어나는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라 "교육은 만듦.생산이 아니라 탄생에 대한 대답"이라는 새로운 교육 정의는 전통적 교육학의 그것과 유의미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현대 교육학은 진지한 고려의 대상으로 삼을 필요가 있다. 아울러 본고에서는 아렌트가 교육의 역할로 제안하고 있는 "새로움의 보전"이 갖는 역설적 성격에 관하여도 간략히 언급되고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show an example of pedagogical reception of `Natality` by Hannah Arendt according to the approach by Jan Masschelein. Based on the existential and social factuality that human being is a being of Natality, Arendt differntiates Natality into the biological one (the first birth) and the social one (the second birth), the meaning of which is the object of interpretation for Masschelein from the pedagogical perspective. Pedagogical categories of Natality seen in the works by Masschelein are A) singularity of an individual and the "paradoxical plurality" as premises of action, B) dialogical relationship as a structure of action and the responsibility which comes from the dialogical relationship (Verantwortung from Antwort, namely, responsibility from the answer), C) contingency as a critical moment for a genealogy of the new, D) revision of the concept of education and redefinition of the pedagogical anthropology. The argument of Masschelein that "education is answer to the factuality of Natality" and "human being is born, but is not made or produced" needs to be taken more seriously into consideration in that it shows a meaningful contrast to the traditional concepts of modern pedagogy. Additionally,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pedagogical-practical implication of the so called "preserving newness" as suggested in the "Crisis of Education" by Arendt based on the "paradox of the Natality", though it has not been mentioned in the works by Masschelein.

      • KCI등재

        기획논문 : 미국교육의 미래: 경향, 전략 그리고 현실

        피터가자리안 ( G Ghazarian Peter ),권성호 ( Sung Ho Kwon ) 한국교육철학회 2015 교육철학 Vol.56 No.-

        새로운 테크놀로지의 발달과 사회로의 통합은 인간의 삶과 일 그리고 학습 양상을 바꾸고 있다. 이러한 변환의 흐름 속에서 산업사회에 적합한 낡은 교육모형은 학생들이 현대사회의 새로운 실재에 제대로 대비할 수 있도록 돕지 못한다. 본 연구는 미국의 공교육 체계가 어떻게 지속적 사회변화에 더 잘 대처할 수 있는 방향으로 개혁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분석단위를 가장 보편적인 세가지 교육접근법으로 삼아, 경향분석 및 순환패턴분석을 실시하여 미국 교육의 현재와 미래를 짚어본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현재의 권력균형이 유지되든 전환되든, 미래미국교육에 있어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중앙 집권화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정책적 전개방향이 어느 정도 미국교육을 고도로 계층화, 시장화, 다양화된 공교육체계를 이끌지, 아니면 개별화, 전체주의적인, 대중화된 공교육체계로 향할지는 계속 지켜보아야 할 것이다. The development and integration of new technologies into society are changing the way we live, work, and learn. In the face of this transformation, the old industrial model for education has failed to effectively prepare students for the realities of contemporary life. This study considers how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reforming public education to better prepare itself for further social change. Using the three most prevalent approaches to education as the unit of analysis, the study considers the present and future for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via a trends analysis and cyclical pattern analysis. The study finds that regardless of whether the current balance of power persists or shifts, further data-driven decision making, centralization, and an emphasis on skills over knowledge are likely for the future of education in the United States. To what degree that political developments lead the US towards a highly stratified, marketized and diverse system of public education or an individualized, holistic, and populist public education system remains to be seen.

      • KCI등재

        교육대학원에서 "교육철학하기"

        김현주 ( Hyun Joo Kim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7 No.-

        이 연구는 교육대학원의 교육철학강좌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하나의 `교육철학하기`를 통하여 `교육을 철학한다`는 것이 무엇이며, 그것이 그들의 실제와 어떻게 관련을 맺을 수 있는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이 연구는 교육철학의 학문적 정체성을 교육실천가의 입장에서 이해하고 파악하려는 시도로서 내러티브적 탐구 방식을 채택하였다. 수업에 참여한 교육실천가들은 교육의 실제에서 자신과 타인의 판단은 물론, 그 결과로서 그들 행동의 원인, 과정, 결과, 문제점 분석, 문제 해결책 수립, 해결책 시행, 결과 분석 등을 포함하는 특정한 실천을 자세하게 이야기한 내러티브를 가지고 철학적 성찰을 하였다. 이 과정을 통하여 교육실천가로서 수강자들은 교육에 관한 순수한 철학적 이해의 지평을 넘어, 교육적 실제의 개선과 관련된 `실행연구`의 철학적 방법을 획득하는데 도움을 얻은 것으로 보였다. 지금까지 교육대학원의 교육철학 강좌가 주로 교육철학자들의 교육철학을 `듣는` 것이었다면, 이 연구가 보여주고 있는 교육철학은 교육실천가들이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가지고 철학적 성찰을 하도록 함으로써 교육철학을 `하는` 교육철학으로 새롭게 인식하도록 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educational practitioners have reflected philosophically on their practice. This study is carried out by analysing educational practitioners`s narratives on their experiences of philosophical reflection. Though the need for teaching philosophy of education for educational practice is urged from many aspects, there have been few concern about how educational practitioners actually `do` philosophy of education. This study, firstly, shows a particular way in which educational practitioners philosophize `on` and `in` their particular practices. Through the way, it seems that educational practitioners can acquire newly reflected educational notions and principles with which they will be engaged in their practices and testify those notions and principles they acquired. Secondly, this study reveals the distinctive philosophical concerns of educational practitioners which are raised from their practices. The concerns are distinguished in five aspects; the meaning of education and its auxiliary concepts, problems of knowledge, ethical issues, human relationship, conflicts between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meaning of education. Thirdly, this study finds that philosophy of education at the level of graduate school has been most often viewed in the traditional way that professional philosophers of education at universities have carried out. However, this study also finds that by participating in philosophical reflection, educational practitioners can be introduced to think of themselves as philosophers. Furthermore the practitioners recognize their way of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The way of doing philosophy of education by educational practitioners shows the internal relationship between philosophy of education and educational practice. In this respect, philosophy of education can be considered as a form of practical philosophy. Finally, this study offers two implications for further examination; how professional philosophers of education can use practitioners` narratives in order to understand what kind of philosophical problems are actually raised in educational practice, and how professional philosophers of education can help practitioners make their reflection on the problems both `educationally relevant` and `philosophically rigid`.

      • KCI등재

        기획논문 : 중국의 미래 교육 발전전략 연구

        임효례 ( Ren Xiao Li ),최원평(번역) 한국교육철학회 2015 교육철학 Vol.56 No.-

        교육은 사회발전의 원동력이다. 특히 지식과 인재를 핵심으로 삼는 지식경제 사회에서 교육의 역할과 기능은 날로 커지고 있다. 일부 주요국가들은 국가 발전 전략의 시각으로 교육을 재조명하고 교육의 발전을 국가 발전의 주요한 초석으로 삼아 자국의 실정에 부합한 교육 발전 전략을 잇달아 연구, 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교육 전략’의 붐이 일어났다. 개혁개방 이래 중국정부에서는 교육 자체가 지닌 특징과 각 시대 사회 발전의 수요에 따라 교육의 개혁과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일련의 정책과 법규를 실시함으로써 일정한 역사 시기에 중국의 교육발전의 중점이나 전략적 사상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중국정부에서 교육정책과 법규문서의 형식으로 확립 한 소질교육 발전전략, 교육공평 발전전략, 직업교육 발전전략의 형성 배경과 전략적 목표, 확립 과정 및 미래 발전추세에 대해 전면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아울러 ‘사회발전의 수요’, ‘선진국들의 경험과 시사점’, ‘학계의 연구와 인식’ 등 세 가지 기준에 의해 ‘정보화교육 발전전략’과 ‘평생교육 발전전략’을 중국의 미래교육 발전전략으로 설정하고, 이들 전략들의 특징과 의의를 탐구하였다. 이로써 독자들이 중국 교육의 현주소를 이해하며, 중국 교육의 발전 맥락이나 발전 방향을 인식하고 파악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Education is a driving force of social development. Knowledge and talents play a key role especially in today``s knowledge-based economy society. The role of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order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 heated international competitions, some of the major countries are reviewing the educ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formulating the education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their national conditions, and launching an ``Education Strategies``. The Government of China pushing reform and opening up since 1990s, meeting the needs in various period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coming up to the educational expectations, issued a series of policies and regulations to promote educational reform and development, which reflects China``s educational development and strategic thinking in certain historical period. The paper has carried out a more comprehensive research and analysis on ``Development Strategy of Quality Education``, ``Development Strategy of Education Fairness``, and ``Development Strategy of Vocational Education`` established by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contain the historical background, strategic targets,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the future tendencies of development. Under three big criteria, namely ``the need of social development``, ``the experiences of advanced nations, and ``the research and awareness of the academic scholars``, the paper predicts that ``Information Education Development Strategy`` and ``Lifelong Education Development Strategy will be the future education trend in China. Educ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of China mentioned in this essay can allow us to make better sense to what the Chinese education do.

      • KCI등재

        중국의 미래 교육 발전전략 연구

        임효례(任晓,,) 한국교육철학회 2015 교육철학 Vol.56 No.-

        교육은 사회발전의 원동력이다. 특히 지식과 인재를 핵심으로 삼는 지식경제 사회에서 교육의 역할과 기능은 날로 커지고 있다. 일부 주요 국가들은 국가 발전 전략의 시각으로 교육을 재조명하고 교육의 발전을 국가 발전의 주요한 초석으로 삼아 자국의 실정에 부합한 교육 발전 전략을 잇달아 연구, 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세계적으로 ‘교육 전략’의 붐이 일어났다. 개혁개방 이래 중국정부에서는 교육 자체가 지닌 특징과 각 시대 사회 발전의 수요에 따라 교육의 개혁과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일련의 정책과 법규를 실시함으로써 일정한 역사 시기에 중국의 교육발전의 중점이나 전략적 사상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주로 중국정부에서 교육정책과 법규문서의 형식으로 확립한 소질교육 발전전략, 교육공평 발전전략, 직업교육 발전전략의 형성배경과 전략적 목표, 확립 과정 및 미래 발전추세에 대해 전면적으로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아울러 ‘사회발전의 수요’, ‘선진국들의 경험과 시사점’, ‘학계의 연구와 인식’ 등 세 가지 기준에 의해 ‘정보화교육 발전전략’과 ‘평생교육 발전전략’을 중국의 미래교육 발전전략으로 설정하고, 이들 전략들의 특징과 의의를 탐구하였다. 이로써 독자들이 중국 교육의 현주소를 이해하며, 중국 교육의 발전 맥락이나 발전 방향을 인식하고 파악하는 데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Education is a driving force of social development. Knowledge and talents play a key role especially in today's knowledge-based economy society. The role of education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In order to take the initiative in the heated international competitions, some of the major countries are reviewing the educ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formulating the education development strategies based on their national conditions, and launching an 'Education Strategies'. The Government of China pushing reform and opening up since 1990s, meeting the needs in various periods of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coming up to the educational expectations, issued a series of policies and regulations to promote educational reform and development, which reflects China's educational development and strategic thinking in certain historical period. The paper has carried out a more comprehensive research and analysis on 'Development Strategy of Quality Education', 'Development Strategy of Education Fairness', and 'Development Strategy of Vocational Education' established by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contain the historical background, strategic targets,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and the future tendencies of development. Under three big criteria, namely 'the need of social development', 'the experiences of advanced nations, and 'the research and awareness of the academic scholars', the paper predicts that 'Information Education Development Strategy' and 'Lifelong Education Development Strategy will be the future education trend in China. Educational development strategies of China mentioned in this essay can allow us to make better sense to what the Chinese education do.

      • KCI등재

        정인보의 교육사상과 민족교육

        김윤경 ( Kim Yun Kyeong ) 한국교육철학학회(구 교육철학회) 2020 교육철학연구 Vol.42 No.1

        근대기 민족의 구세와 계몽을 염원했던 정인보는 본심의 회복, 즉 조금의 거짓도 없는 진실성과 주체성, 감응성을 온전히 회복하는 것을 교육의 목표로 삼았다. 그가 말한 본심은 강조점에 따라 실심(實心), 양지(良知), 얼 등 여러 개념으로 표현되지만 모두 동일한 함의를 지닌다. 정인보는 과거의 학문·문화 풍토가 본심회복을 목표로 하면서도 마음 상의 성찰보다 외면적 궁리에 힘쓴 허학(虛學)을 비판하고 주체성을 되찾는 ‘실심의 환기’를 교육 방향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를 위한 교육방법은 주체적 성찰과 자득, 도덕적 감수성의 강화, 의기(意氣)의 자유로운 발산으로 요약된다. 정인보는 이를 민족적 차원으로 확장하여 우리 민족부터 바로 알고 민족의 주체성인 얼을 확립할 것을 주장하고, 우리 역사에서 ‘얼’이 바로 선 사례를 찾아 본받는 것으로서 국학연구와 교육에 매진했다. 그는 민족 ‘얼’의 원류가 생명을 살리는 의식에 바탕한 인(仁) 사상이고 이것이 홍익인간(弘益人間)정신으로 이어지며, 과거의 풍류도(風流道), 불교, 조선의 실학(實學)이 모두 이를 계승한 것이라고 하였다. 정인보의 민족 교육은 해방이후 미군정기에 ‘홍익인간’이 실제 교육이념으로 설정됨으로써 현실화되었다. 현대에 교육이념으로서의 홍익인간이념은 타인에 대한 배려만을 의미한다는 비판에 직면해있다. 그러나 본래 그가 말한 ‘홍익인간’의 이타성은 반드시 자기 자신에 의존하는 주체성의 확립에 의해서만 성립될 수 있는 것이었다. 정인보의 교육사상과 민족교육은 개인과 민족의 철저한 주체성 확립에 기반한 것이었으며, 이 점은 현대에도 유의미하다. Jeong In-bo, like many other traditional Confucian scholars of his time, sought after national salvation and enlightenment in the modern age. To do so, he defines the restoration of conscience as the ultimate goal of education. However, his understanding and methods for this aim is differentiated from the neo-Confucianism of his day. He emphasizes independence and susceptibility towards the people along with the complete recovery of truthfulness without a shred of falsehood. For this, bonsim(本心) is discussed in Jeong, which appears at times as ‘silsim(實心)’, ‘yangji(良知)’, ‘eol(얼)’ but all of which underlies the same point of bonsim. Jeong finds that the academic and cultural atmosphere in the past is vain and futile as it tends to focus on outward success than self-reflection whilst claiming ‘the recovery of bonsim(本心)’. He diagnoses that such a trend is rooted in falsehood and hypocrisy. Jeong then attempts to re-set the direction of education towards the recovery of bonsim(本心). For this he suggests educational methodology strengthening the competence of a sound subject with self-reflection, self-reliance, moral sensibility and free spirits. Jeong furthers his claim to the national level to establish the Korean identity embraced with eol, the ethnic subjectivity. He focuses on Korean studies and education as a way to examines the cases of eol in the history of Korea. Jeong then claims that the origin of eol of Korean people is based on reverence for life which appears into the idea of Hongik-Ingan(弘益人間). Eol has passed on through Korean folklore, Buddhism, and the Realist School of Confucianism in Choseon. Jeong’s educational philosophy with its project of Ethnic Education was widely accepted during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after the national independence from Japan. The idea of ‘Hongik-Ingan(弘益人間)’, since then, has been respected as the most fundamental concept of education in Korea. In modern times, however, the idea of ‘Hongik-Ingan(弘益人間)’ as the educational aim meets some criticisms for its one-sided emphasis on considerations for others only. This paper argues that the inherent altruism of the ‘Hongik-Ingan(弘益人間)’ can only be expressed when the independent, self-reliant identity of a subject is first established. Jeong In-bo's educational philosophy and Ethnic Education are based on thorough establishment of this independent, self-reliant identity for individuals as well as for the nation as a whole. The importance of its meaning is still valid in our times today.

      • KCI등재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

        방진하 ( Jin A Bhang ) 교육철학회 2010 교육철학연구 Vol.48 No.-

        이 연구는 오우크쇼트의 자유교육론에서 `자유`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의 이상이나 목적이 인간의 자유에 있다는 생각은 교육의 역사만큼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지만, 자유교육론은 교육내용으로서의 지식을 정당화하는 논의로 간주될 뿐, 교육이 가정하고 있는 자유의 의미에 관해서는 본격적인 논의가 없었다. 오우크쇼트 후기 저술의 `대화` 개념은 교육에서 자유의 의미를 교육내용의 선험적 가치에 의존하여 얻어지는 추상적 결과가 아닌, 교육활동이라는 `실제`에 구현되어 있는 조건적 특성으로 해석할 단서를 제공해 준다. 전통적 자유교육론자들이 인간 본질에 대한 규정이나 실재론을 바탕으로 하여 인간의 자유와 지식의 추구를 연결했다면, 오우크쇼트는 `자기이해`라는 지식의 본질을 통하여 인간의 자유와 지식의 추구를 연결한다. 그가 말하는 `자기이해`로서의 지식이란, 서로 다른 목소리들이 만나는 `대화`를 통하여 자신이 명확하게 `사실`로 알고 있는 것을 `가능성`으로 환원시키는 과정을 통해서 얻어진다. 근래의 자유교육론자들이 공적 개념 체계 아래에서 구조화된 경험을 갖는 것으로서 마음의 발달을 설명했다면, 오우크쇼트는 실제적 필요나 과학적 권위라는 목적으로부터 해방된 인간이 관조의 어법으로 `이미지-만들기`를 향유하는 것에서 학습의 의미를 찾는다. 교육은 인간으로 하여금 자신이 `사실`이라고 여기는 것에 대하여 계속해서 질문하는 자유, 아무런 부담 없이 `이미지-만들기`를 향유하는 자유를 누리게 해 주는 `놀이의 장`이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meaning of freedom in Oakeshot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Freedom is usually regarded as an `ideal` or `purpose` of education. But nowadays there are few people who ask what a freedom means as a principle of education. In this study, the meaning of freedom in Oakeshott`s theory of liberal education is regarded not as results of educational management, but as conditions of educational `Practice`. This interpretation depends on the concept of `conversation` in his later works. By Oakeshott, education is an initiation into the skill and partnership of conversation. The classical type of justification of liberal education consists of a number of mutually-related philosophical doctrines concerning the nature of knowledge, the mind, the reality,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m. But the freedom of education in view of conversation is related with knowledge as `self-understanding`. In conversation, one who seeks knowledge as `self-understanding` always invites another voices` responses. In conversation, the `facts` appear only to be resolved into the possibilities from which they were made. The modern type of argument for liberal education finds its ground on the nature of knowledge itself. To acquire knowledge is to become aware of experience as structured, organized and made meaningful by means of symbolic systems that have publically shared among human beings. But Oakeshott`s freedom of education comes from the idiom of contemplation which belongs to `voice of poetry`. Poetic imagination is not a preliminary to doing something, it is an end in itself. In poetic conversation, students have opportunities to make their own images of human inheritances. Education is a place for `play` which provides the freedom of examining one`s own voice and of enjoying images of human inheritance and of making images of one`s 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