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양주 노고산(老姑山) 독재동(篤才洞)의 장소성과 역사문화경관 해석

        노재현 ( Jae Hyun Rho ),김화옥 ( Hwa Ok Kim ),이정한 ( Jung Han Lee ),박주성 ( Joo Sung Park ) 한국전통조경학회 2015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3 No.1

        본 연구는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삼하리 독재동 바위글씨와 노고산의 장소성에 주목하여, 이곳의 경관 및 장소특질을 고찰하고 바위글씨에 담긴 경관의미를 추론함으로써 노고산과 독재동 계곡의 역사문화경관적 함의를 밝히고자 한 것으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삼각산은 조선왕조 6백년 도읍지의 주산(主山)이며 오악(五嶽)을 이루는 중앙의 성산(聖山)으로, 노고산은 삼봉산(三峰山)즉 삼각산의 우람한 세봉우리를 향배하는 의미공간으로서 그 장소성이 획득된다. 더불어 노고산은 조선의 정기를 상징하는 삼각산을 가장 완벽하게 조망할 수 있는 ‘망삼각산(望三角山)’의 절대 시점장이다. 독재동 계곡에 산포(散布)된 다수의 바위글씨는 미수 허목의『고양산수기』의 내용을 현현(顯現)하기 위한 행위이자 경물로 재생산된 산물이다. 그리고 추사 필적의 몽재(夢齋)는 중의적(衆意的) 표현이 읽혀지는 바위글씨로, 먼저 글자 그대로의 뜻인 ‘꿈꾸는 집’ 이지만 내면적 의미는 “한낮 몽상(夢想)도 바탕을 깊이 헤아려 보면 정당성이 확보된다.”는 의미로 ‘몽재거사’로 알려진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몽재집(夢齋集)』서(序)의 내용으로 보아 성재의 독재동 거주와 관련된 징표로 추정된다. 또한 몽재라 쓴 바위 하단의 갑자(甲子)·경오(庚午)·무술(戊戌)·갑인(甲寅) 등의 간지(干支)는 추사와의 교유관계가 있는 1804년 5월생 유생(儒生)의 사주팔자로 판단된다. 노고산과 독재동 계곡은 삼각산을 조망하는 장소일 뿐 아니라 송월재·성재 등 미수의 학통을 계승한 기호지역의 남인학자의 공통된 장구지소로써의 응집력을 보여준다. 또한 이곳에 각자(刻字)된 추사체와 미수체(전서체) 바위글씨는 우리나라 서예사의 큰 흐름을 함축적으로 보여준다는 측면에서도 매우 의미 깊은 역사문화경관이다.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placeness of Nogosan Dokjae-dong and rock inscription located in Jangheung-myeon, Yangju-si, Gyeonggi-do. The purpose was to reveal the implication of Nogosan and Dokjae-dong Valley in terms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b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and its landscape, and inferring the significance of the letters engraved on the rock. The result is as follows.10)Samgaksan is one of the five famous mountains in Korea. It is the sacred mountain that stands behind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that lasted for 600 years. On the other hand, the placeness of Nogosan is significant since it was the place where people used to bow low to the three great summits of Samgaksan. Furthermore, Nogosan was the perfect place to view Samgaksan that represented the Joseon spirit.Many letters were engraved on the rocks around Dokjae-dong Valley by Misu(眉수) Heo Mok(許穆) as part of his memories to describe his experience in the mountain and became a scenery. Chusa(秋史) Kim Jung-Hee(金正喜) also engraved letters of ``Mongjae`` on the rock that contains a double meaning. Literally, it means ‘a dreaming house’ However, it also implies that even just a daydream is significant in a way. These letters are presumed to be the signs that are related to Sung-Jae(性齋) Heo Jeon(許傳)’s experience in Dokjae-dong since the letters were part of his famous book title. Below these two letters, Chusa also engraved letters that describe the sexagenary cycle including the year of the rat, horse, dog, and tiger. They are regarded as the letters that describe the fate of Chusa’s friend, a scholar born in May 1804. Nogosan and Dongjae-dong Valley are very significant in terms of historic cultural landscape as a viewpoint to see Samgaksan; and a place that cherishes the traces of Misu and shows common values and cohesiveness of well-know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including Song Wol-Jae(松月齋) and Sung-Jae as a of Gihonamin(畿湖南人). The engraved letters of Chusa and Misu also implicitly demonstrates the major trends of Korea’s calligraphy history.

      • KCI등재후보

        2003년 국내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진료 현황 및 문제점 분석

        이진수,김은실,정문현,백제중,정선화,안주희,최영화,이선희,고철우,김성범,김민자,박승철,기현균,송재훈,최상호,김양수,이상오,조용균,박영훈,정숙인,김연숙,이흥범,손창희,장성희,정희진,김우주 대한감염학회 2004 감염과 화학요법 Vol.36 No.3

        목적 : 2002년 말 중국에서 SARS가 발생한 이후 국내에서도 2003년 10월까지 총 3명의 추정환자, 17명의 의심환자가 보고되었다. 향후 추가적인 SARS의 유행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그간의 SARS 환자 진료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준비사항, 진료 현황 등에 대한 조사를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여, 향후 더 나은 대비가 될 수 있도록 개선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 SARS로 의심되는 환자를 진료 경험이 있는 병원의료진을 대상으로 2003년 10월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에는 SARS 환자 진료 시의 실질적인 조치, 진료 현황, 병실, 응급실 및 외래에서의 격리 시설과 준비사항, 보건당국의 관리와 지원에 관한 사항을 포함하였다. 결과 : 대상이 되는 22개 병원 중 17개(17/22, 77.2%) 병원이 설문에 응하였다. SARS 환자를 위한 격리실은 응급실, 외래, 일반병실 및 중환자실에서 각각 9개(9/17, 52.9%), 5개(5/17, 29.4%), 15개(15/16, 93.7%), 4개(4/16, 25%) 병원에서 음압처리가 되어있지 않은 일인실 혹은 다인실이 사용되었고, 1개(1/16, 6.3%) 병원에서만 일반병실에서 음압격리실이 운영되었다. 입원환자의 진찰 시 개인보호구의 착용은 거의 모든 의료기관에서 이루어졌다. 보건당국에서 SARS지정병원의 시설 등을 사전에 확인한 곳은 1곳(1/12, 8.3%)이였고, 14개 병원(14/15, 93.3%)에서는 보건당국에 의뢰한 검사결과를 통하 받지 못하였다. 결론 : 의료기관에서 SARS 환자용 격리실뿐만 아니라 기존의 격리실 설비 등이 미흡하였으며, 특히 중환자실 및 외래의 준비가 더욱 부족하였다. 보건당국의 의료기관에 대한 종합적인 지원이 부족하였고, 병원과의 원활한 연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SARS 만이 아닌 격리를 필요로 하는 질환의 적절한 진료를 위해 향후 병원 시설의 정비와 정부차원에서의 보다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Background : There was an worldwide outbreak of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originated from China in late 2002. During that period three cases of suspected SARS and 17 cases of probable SARS were reported in Korea. With the concerns about the reemergence of SARS-coV transmission, it is important to be prepared for any possibility. So,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is the past measures in managing SARS and propose the amendatory plans to improve the preparedness. Materials & Methods :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clinicians with any experience in managing the probable or suspected SARS cases in Oct. 2003. 17 out of 22 hospital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The contents in the questionnaire were practical activities, personal equipments, response plans, isolation facilitie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and relationship with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sults : The dedicated isolation rooms in emergency centers, outpatient clinics, general wards, and intensive care units were prepared in 9 (9/17, 52.9%), 5 (5/17, 29.4%), 15 (15/16, 93.7%), and 4 (4/16, 25.0%) hospitals, respectively. Except for one hospital that newly made negative pressure room for SARS, single or multi-bed rooms without airborne infection control were used in all the other hospitals. The personal precaution principles were kept quite well in general wards. Before the designation of SARS hospital by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prior evalution to see if the hospital was suitable for managing SARS was conducted in only 1 (1/12, 8.3%) hospital. The results of laboratory diagnosis were reported back in 1 (1/15, 6.6%) hospital. Conclusions : The isolation facilities which can control airborne infection were almost deficient not only for SARS but also for other respiratory transmissible diseases. For the infection control of transmissible diseases including SARS, more investment is needed on medical facilities and comprehensive support from the public health department required.

      • 전립선 기질세포의 증식과 COX-2 발현에 대한 프로게스테론의 영향

        정수련,김성한,최이화,박지은,전은미,강영진,이광윤,최형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2006 Yeungnam University Journal of Medicine Vol.23 No.1

        전립선비대증은 노인 남성에서 흔히 유발되는 질환이며, 노화가 진행될 수록 빈도가 높아지는 특징을 가진다. 이 질환의 원인은 전립선기질세표의 과도한 증식으로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지만 그 자세한 기전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전립선비대증에서 progesterone 수용체 양성 세포가 다른 전립선 종양에 비해서 많고, progesterone은 testosterone에서 DHT로 전환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가진다고 알려졋다. 또한 남성 전립선 평활근의 과증식에 의한 질환이므로 평활근 세포의 증식과 관련성이 있다고 보고된 COX-2의 전립선비대증에 대한 영향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전립선 기질세포에 progesterone을 3일간 투여하여 배양한 경우 기질세포 증식은 차이가 없었다. Progesterone을 단독 또는 DHT와 같이 투여한 기질세포에서 남성호르몬 수용체 mRNA 발현은 비처리군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progesterone과 DHT 동시 투여에 의한 COX-2 mRNA 발현에도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progesterone에 의한 남성 호르몬 수용체와 COX-2 단백 발현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이상의 결과는 progesterone은 남성호르몬 수용체에 대해 전사 후 반응 (post-transcriptional response)에 효과를 나타내어 남성호르몬 수용체 발현을 감소시키는 작용은 가지며, COX-2 발현 억제효과를 나타내므로 전립선비대증의 치료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BPH) is the most common benign tumor in older men; the etiology of this disease remains poorly understood. Testosterone and dihydrotestosterone (DHT) both act as androgen via a single androgen receptor. Testosterone is converted to DHT by 5α-reductase in prostatic stromal cells. Progesterone has been reported to inhibit DHT conversion; howevwe, its effect on prostatic stromal cells remains to be elucidated.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experiment,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progesterone on androgen receptor expression induced by DHT. We also tested the effect of progesterone on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as well as prostate stromal cell proliferation using the cell count kit-8. Results: Progesterone did not cause an increase of prostate stromal cell proliferation. The mRNA expression of the androgen receptor and COX-2 were not changed by progesterone; the expressions of androgen receptor and COX-2 proteins were decreased by progesterone in prostate stromal cell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 prostate stromal cells, progesterone decreases androgen receptor protein expression, which results in decrement of COX-2 protein expression. This effect might be mediated by post-transcriptional regulation.

      • 압저항형 스마트 실리콘 압력 센서의 설계

        정후민,신윤권,조상복,이종화 울산대학교 2001 공학연구논문집 Vol.32 No.2

        압저항형 스마트 실리콘 압력 센서를 0.6 ㎛ 이중 폴리 실리콘 이중 금속 CMOS 공정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설계하였다. 이 스마트 실리콘 압력 센서는 압저항형 저항기들로 된 휘스톤 브리지를 갖는 다이아프램과 op-amp, A/D 변환기, 및 UART 회로 등의 주변회로 들로 구성되어 있다. 브리지 회로의 출력 전압과 압력에 의한 기계적 응력 사이의 관계를 COSMOS-M 상용프로그램으로 다이아프램의 응력 분포를 모의실험하여, 압저항기의 최적의 위치와 크기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CMOS op-amp 회로는 규정된 출력 특성을 얻기 위하여 크기가 다른 트랜지스터들로 설계하여 HSPICE로 모의실험하여 최적화 시켰다. A/D 변화기 회로는 가능한 칩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서브 레인징 기법과 신경 MOSFET 구조를 이용하여 설계하였다. UART회로는 VHDL 소스 코드와 셀 라이브러리를 이용하고 Synopsys로 합성하여 설계하였다. 회로의 물리적 레이아우트 설계는 Mentor 틀로 설계하였다. 그러나 온도보상회로와 출력오프셋 문제는 아직 해결하지 못하고 다음에 연구할 예정이다. A piezoresistive smart silicon pressure sensor is designed to implement with 0.6 ㎛ double-polysilicon double-metal CMOS precess. This smart pressure sensor is composed of a diaphragm with piezoresistive resistors' Wheatstone bridge and the peripheral circuitry of op-amp, A/D converter and UAR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voltage of the bridge circuit and the mechanical stress by applied pressure was studied by simulating the stress distribution on the diaphragm with COSMOS-M package program to optimize the size and position of piezoresistors. The CMOS op-amp circuit was designed with different CMOS transistor sizes to obtain the defined op-amp output characteristics and simulated with HSPICE. The A/D converter was designed using neuron MOSFET structure and sub-ranging method to minimize the chip area. The UART circuit was designed by using VHDL source code and cell library and by synthesizing with Synopses and the physical layout of the circuit was designed with Mentor tools. The problems for temperature compensation and the output voltage offset were not yet considered.

      •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co-γ-methacryloxypropyl triethyl silane) 및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co-γ-methacryloxypropylmethyl bistrimethyl siloxysilane)의 반응성과 열적 성질

        성용길,정태화,이상영 동국대학교 1986 論文集 Vol.25 No.-

        Hydrophilic poly(2-hydroxyethyl methacrylate) has been accepted as biocompatible material for medical applications. Some of its relatively poor physical property are still remained as problems to be improved. In order to improve its physical property, new copolymers of 2-nhydroxyethyl methacrylate(HEMA) with silane monomers have been developed and synthesized. The silane monomers are γ-methacryloxypropyl triethyl silane(MPTS) and γ-methacryloxypropyl methyl bistrimethyl siloxysilane(MPMBSS). The compositions of unreacted monomers in the copolymers were separated and determined by the intensity of each peak by gas chromatographic analysis. The monomer reactivity ratios determined by the Kelen-Tu¨dos method are as follows; r_1=0.80 and r_2=0.71 for poly(HEMA-co-MPTS), r_1=1.22 and r_2=0.21 for poly(HEMA=co-MPMBSS). The tendency of alternating copolymerization and the relative reactivty of MPTS and MPMBSS with HEMA were investigated. The Q and e values were also calculated by the Alfrey-Price equation. The synthesized monomers and copolymers were identified by infrared spectroscopy and nuclear magnetic resonance spectroscopy.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copolymers were also measured by thermogravimetry and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 SELDI-TOF MS를 이용한 탄저 치사독소 처리에 의한 생쥐 재식세포주의 단백질체 분석

        정경화,서귀문,김성주,김지천,채영규 한양대학교 이학기술연구소 2007 이학기술논문지 Vol.10 No.-

        탄저는 탄저균이 동물에 감염되어 발병하는 인수 공통 질병이다. 탄저균의 아포가 감염되면 식균작용에 의해 대식세포 내로 들어가게 된다. 대식세포 내에서 아포는 발아하며 대식세포에서 숙주의 체내로 들어가게 된다. 치사독소는 방어항원과 치사요소로 구성되어있다. 방어항원은 세포의 탄저독소 수용체에 결합하여 방어항원에 결합한 치사요소를 세포내로 운반한다. 운반된 치사요소는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 (MAPKK)의 N-말단 부위를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기작은 세포 사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탄저 치사독소에 의한 세포 사멸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그 기전이 아직까지 명확하게 규명이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탄저 치사독소 처리에 의한 생쥐 대식세포주 (RAW 264.7)의 단백질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여 탄저 치사독소의 세포내 작용기작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단백질 발현 양상을 SELDI-TOF M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치사독소를 처리한 대식세포주에서 3,973 Da 단백질의 발현은 90분과 180분에 2배 정도 증가하였다. 단백질 6,066 Da의 발현은 60분에 두 배 증가하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증가하였다. 단백질7,520 Da은 발현이 감소하고, 단백질 8,375 Da과 16,769 Da의 발현은 점점 감소하여 180분에는 절반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MAPKKs가 절단되는 60분이 기준으로 점차 변화가 일어나는 이들 단백질은 치사독소의 절단된 MAPKKs에 의해 발현이 변화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Anthrax is an infectious disease caused by Bacillus anthracis. The spores of B. anthracis are accessed into the body and germinated in macrophages. B. anthracis secretes three virulence factors (such as, protective antigen : PA, lethal factor : LF, and edema factor : EF), and escapes destruction and lyse the macrophages by an unknown mechanism. Anthrax toxins play a central role in pathogenesis of anthrax. Lethal toxin (LeTx) is a mixture of PA and LF. LF is a zinc-dependent endoproteinase that cleaves the amino terminu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 kinases (MAPKKs). The role of LeTx in mediating these effects is unknown, largely due to the difficulty in identifying and assigning function to individual proteins. To analyze the cytosolic protein profile of murine macrophages treated with LeTx, we have performed surface enhanced laser desorption/ionization time-of-flight mass spectrometer. The protein peak of 3,973 Da was increased 2 fold at 90 min and 180 min in murine macrophages treated with the LeTx. The protein peak of 6,066 Da was increased 2 fold at 60 min and gradually increased at 90 min and 180min. Protein peak 8,973 Da and 16,769 Da was decreased 2 fold in 180 min. Our results suggest that these proteomic approaches are a useful tool to study gene and protein expression in intoxicated macrophages.

      • 韓國産 표고버섯 飮料의 品質에 關한 硏究

        鄭永化,趙德鳳,崔春淳,馬相朝 광주보건대학 1984 論文集 Vol.9 No.-

        To develop a beverage indigenous to Korea, Extracts from the mushroom were investigated for their chemical composition, extraction conditions and processing methods. Mushroom, Lentinus edodes which had been dried at 50℃ for 20 hours were extracted with hot water for 5 minutes, respectively. Fructose(10%, w/w) and licorice extracts(4 %, v/v) were added in the extracts. In an attemt to evalluate the quality of food by sensory testing, the difference testing for samples was conducted by selected members of a sensory panel.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Amino acids of the final products were mostly composed of threonine and prolamine, glutamic acid, arginine, alanine, phenylalanine, etc. 2. GMP content of the final products was 2.09%(w/v). 3. It was concluded that extracts from the mushroom processes sufficiently acceptable qualities as a favorite beverage.

      • 수열반응을 이용한 다공성 감마 알루미나의 제조

        정승화,문종수,강종봉 경남대학교 신소재연구소 2003 신소재연구 Vol.15 No.2

        비정질 알루미나를 기지재료로 이용하고 기공형성제로 활성탄, 무기염 및 폴리머를 첨가하였다. 성형된 담체를 200℃에서 24시간 수열반응을 한 다음 650℃에서 5시간 열처리 또는 80℃에서 24시간 수세를 하였다. PSA, XRD, FEG-SEM, TG/DTA, Porosimeter, Gas Pyconometer, instron을 사용하여 원료 및 세라믹 담체의 특성을 조사하였다. 수열반응 후 활성탄을 첨가한 시편은 boehmite으로 결정 상전이가 일어났으나, 폴리머 및 무기염이 첨가된 시편은 비정질 알루미나로부터 aquohydroxy complex gel의 형성이 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boehmite로의 상전이가 일어나지 못하였다. 활성탄을 첨가한 경우 70% 이상의 기공률과 20㎏f/㎠ 이상의 강도를 가지며 v-Alumina 상으로 이루어진 담체를 제조할 수 있었다. Matrix materials for carriers were amorphous alumina, and pore forming agents such as activated carbon, inorganic salt and polymer were added. Formed camers were hydrothermally reacted at 200℃ for 24 hours, heat-treated at 650 C or washed out at 80℃ for 24 hours. PSA, XRD, FEG-SEM, TGDTA, Porosimeter, Gas Pycnometer and Instron were used for the characterization of raw materials and ceramic carriers. After hydrothermal reaction, the specimen with activated carbons shaved boehmite phase, but the specimen with inorganic salts and polymers inhibited the boehmite crystalline formation because inorganic salt and polymers hindered the aquohydroxycomplex gels. The specimen with activated carbons showed high porosity of 70 % and above and high strength of 20㎏f/㎠, of which crystalline phase was γ-alumin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