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SCIESCOPUSKCI등재
      • Aspergillus niger 글루코오스 산화효소의 유도 발현

        안소연,조현영,공광훈 中央大學校 基礎科學硏究所 2002 基礎科學硏究所 論文集 Vol.16 No.-

        Glucose oxidase catalyzes the oxidation of β-D-glucose to gluconic acid. It is necessary to be obtained maximum glucose oxidase activity because the enzyme is used commercially for various applications, in particular extracelluar glucose oxidase. For high activity of extracellular glucose oxidase, we used the enzyme from Aspergillus niger and YEP medium. Extracellular glucose oxidase activity as high as 7.5Uml^-1 was obtained with sucrose as carbon source and peptone as nitrogen source. The result of testing a various of medium condition was obtainable the highest enzyme activity in condition of culture medium of 1% sucrose(w/v), 2% peptone(w/v) and 1% yeast extract(w/v) at 25℃. Our work indicate an economically attractive process for enzyme production. In addition Aspergillus niger glucose oxidase was purified by DEAE-Sephacel chromatography. The activity of the enzyme proceeded at pH 5.5 and the effective substrate of the enzyme was only glucose.

      • KCI등재

        상악 유전치부의 치간공간과 인접면 우식에 관한 조사연구

        김진영,이광희,라지영,안소연,정승열,임경욱,반재혁 大韓小兒齒科學會 2009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6 No.3

        본 연구는 상악 유전치부의 치간공간과 인접면 우식의 상관관계를 평가해보고자 하였다. 익산에 거주하는 만3-7세의 어린이 55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탐침이 통과하는지 여부로 치간공간이 있음과 없음으로 분류하였고 와동이 형성되었거나 법랑질 표면이 연화되었을 경우 인접면 우식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상악 유전치부의 치간공간은 영장류 공간이 77.4%, 발육공간이 유측절치와 유중절치 사이에서 54.4%, 양유중절치 사이에서 39.0%로 나타났다. 2. 인접면 우식발생율은 우측유견치가 6.3%, 우측유측절치가 14.7%, 우측유중절치가 33.5%, 좌측유중절치가 33.7%, 좌측유측절치가 16.0%, 좌측유견치가 4.7%로 나타났다. 3. 치간공간의 수가 많을수록 상악 유전치의 우식발생율은 낮아졌으나 그 상관관계(r=0.024)는 미약하였다. 4. 상악 유전치부에 공간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 존재할 때 보다 평균 우식발생율이 높았으며, 치간공간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한 곳이라도 치간공간이 존재하는 경우보다 평균 우식발생율이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dental spaces and proximal caries in maxillary anterior primary teeth. 555 children aged 3-7 inhabit in Iksa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depending on the presence of interdental space which was detected by a dental explorer. They were determined to have proximal caries if cavity was formed or the enamel surface was soften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Regarding interdental spaces, 77.4% had primate spaces; 54.4% had developmental spaces between central and lateral incisor, and 39.0% between central incisors. 2. Interproximal caries incidences in right primary canine, lateral incisor, and central incisor were 6.3%, 14.7%, and 33.5%, respectively. Also interproximal caries incidences in left primary central incisor, lateral incisor, and canine were 33.7%, 16.0%, and 4.7%, respectively. 3. Children with more interdental spaces had less caries incidence, but the relationship was weak(r=-0.024). 4. The mean caries incidence was higher in absence of interdental space of maxillary primary incisors than in presence of space. The mean caries incidence with no interdental space was twice as high as that with presence of interdental space.

      • 멸치액젓의 휘발성 향기성분에 관한 연구

        차용준,박지영,장성민,김훈,김소정 창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1998 생활과학연구 Vol.- No.2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salt-fermented anchovy sauce were analyzed by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solvent extraction/gas chromatography/mass spectormetry. Ninety-eight compounds were detected in sample. These compounds were composed mainly of aldehydes(13). ketones(6), alcohols(16), aromatic compounds(21), N-containing compounds(7), esters(5), S-containing compounds(5) and miscellaneous compounds(25). Among these, 3-(methythio)propanal, 2-ethyl-3.5-dimethylpyrazine, dimethyl disulfide and dimethyl trisulfide having high odor values were supposed to be playing to be a major role in the overall aroma of salt-fermented anchovy sauce.

      • KCI등재

        하악 제1대구치 이소맹출의 치험례

        소정원,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반재혁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7 No.1

        Ectopic eruption is caused by an abnormal direction of eruptive path, most common in maxillary first molar, mandibular lateral incisor, and maxillary canine, and sometimes mandibular first molar. Ectopic eruption of first molar leads to abnormal root resorption of second deciduous molar, which, if left untreated, could cause premature loss of second deciduous molar; mesial tilting and rotation of first permanent molar; lack of space for eruption of second premolar; and occlusal problems. Therefore early treatment is advised when diagnosed as ectopic eruption. Treatment of ectopic eruption in the first permanent molar involves providing proper guidance for the direction of eruption using interproximal wedging and distal tipping methods while preserving second deciduous molar. This case report shows satisfactory results of the ectopic eruption of mandibular first molars in young patients who were treated with Humphrey appliance and Halterman appliance. 이소맹출은 치아가 비정상적인 위치로 맹출하는 경우를 말하며, 주로 상악 제1대구치, 하악 측절치, 상악 견치에서 발생하며 하악 제1대구치에서는 드물게 발생한다.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은 흔히 제2유구치의 비정상적인 치근흡수를 야기하며, 이를 방치하게 되면 제2유구치의 조기상실, 제1대구치의 근심경사 및 회전, 제2소구치의 맹출 공간 부족 및 교합문제 등을 야기하게 되므로 이소맹출로 진단될 경우 조기 치료가 추천된다. 이소맹출은 대개 통상적인 방사선검사를 통해 발견되나, 간혹 제2유구치의 치근흡수가 심할 경우 치수가 감염되어 동통을 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이소맹출의 치료는 제2유구치를 보존하면서 제1대구치의 맹출 방향을 바로 잡아 주는 것으로 크게 치간이개(interproximal wedging)와 원심경사이동(distal tipping)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한다. 본 증례들은 하악 제1대구치의 이소맹출을 보이는 환아들로, Humphrey appliance와 Halterman appliance를 이용하여 양호한 치료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섬유강화형 포스트를 이용한 치관-치근 파절의 치료: 증례 보고

        임화신,라지영,이광희,안소연,김윤희,금기석,이상봉 大韓小兒齒科學會 2012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9 No.1

        The crown-root fracture is defined as a fracture of tooth that contains enamel, dentin and cementum with or without pulp exposure. Generally the fracture lines place obliquely from labial surface, between incisal edge of the crown and marginal gingiva, to palatal surface subgingivally. If the fracture line is located supragingivally, the removal of tooth fragment and supragingival restoration can be performed. In subgingival fracture line, the surgical exposure, orthodontic eruption or surgical eruption can be considered. If the fracture line is too deep to restorate, extraction or decoronation can be selected. In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extraction should be the last option. Another option to select before extraction is the restoration using fiber-reinforced post and the reattachment of tooth fragment. The fiber-rainforced post enhances the retention and the durability of tooth fragment. The reattachment of crown fragment using resin adhesive system is considered minimal invasive treatment biologically. This case reports the treatment of crown-root fracture using the reattachment of crown fragment and the insertion of fiber-reinforced post. 치관-치근 파절은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이 모두 포함된 치아의 파절로, 파절선이 대부분 절단연이나 순측의 변연부 치은 에서 구개측 치은열구 하방으로 사선으로 진행된다. 파절선의 위치가 치은 연상이라면 파절편의 제거 및 치은연상 수복을 시 행하고, 치은 연하라면 파절면의 외과적 노출술, 교정적 정출술, 외과적 정출술을 이용한 치아의 수복이 이루어진다. 그 외에 섬유 강화형 포스트를 삽입하여 치관 수복물의 유지력을 높이고, 레진 접착 시스템을 사용하여 치관 파절편을 재부착함으로 써 생물학적으로 최소한으로 침습적인 치료를 하는 방법도 있다. 만약 파절의 정도가 치은 연하로 깊은 경우 발치나 치관절제 술을 이용한 치근의 유지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증례는 치관-치근파절로 내원한 12세 환아로 섬유강화형 포스트를 사용하여 치관 파절편 재부착을 시행하였으며 양호 한 경과를 보여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 KCI등재

        2.9%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부착형 미백제의 임상적 효능과 안정성에 관한 연구

        박은숙,성소래,홍성태,김지은,이소영,황수연,이신재,진보형,손호현,조병훈 大韓齒科保存學會 2006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31 No.4

        2.9%의 과산화수소를 함유한 시험용 부착형 미백제(Medison dental whitening strip, Samsung medical Co.,Anyang,Korea)를 실험군 피험자 23명, 시험용 미백제에서 과산화수소를 제외한 동일한 제재를 대조약으로 대조군 피험자 24명에게 매일 1시간 30분씩, 2주간 적용하여 임상적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미백 효과는 Shade Vision, Chroma Mete 및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를 이용하여 색변화를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실험군에서의 전체 치아의 색변화량(ΔE^(*))은 세 가지 측정법에서 모두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p < 0.05).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도였다. 2. 색변화는 색좌표 상에서 명도의 증가와 녹색조 및 청색조로의 변화에 의해 얻어졌다. 3. 치아별로는 어두운 견치의 색변화량이 가장 컸고, 측절치, 중절치 순으로 감소하였다. 4. 47명의 피험자 중 5명이 경도의 과민증을 경험하였으나 곧 완화되었다, 치은염증지수와 전기치수검사 결과 시험 전후에 차이가 없어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an experimental bleaching strip (Medison dental whitening strip, Samsung medical Co., Anyang, Korea) containing 2.9% hydrogen peroxide. Twenty-three volunteers used the bleaching strips for one and a half hour daily for 2 weeks. As control group, the same strips in which hydrogen peroxide was not included were used by 24 volunteers with the same protocol. The shade chang (ΔE^(*), color differnce) of twelve anterior teeth was measured using Shade Vision (X-Rite Inc., S. W. Grandville, MI, USA), Chroma Meter (Minota Co., Ltd. Osaka, Japan) and Vitapan classical shade guide (Vita Zahnfabrik, Germany). The shade change of overall teeth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p < 0.05) and was easily perceivable. The change resulted from the increase of lightness (CIE L^(*) value) and the decrease of redness (CIE a^(*) value) and yellowness (CIE b^(*) value). The shade change of individual tooth was greatest in canine, can smallest in central incisor. The safety of the bleaching strip was also confirmed. 〔J Kor Acad Cons Dent 31(4):269-281, 2006〕

      • KCI등재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법으로 본 유치열의 우식패턴

        정승열,이광희,라지영,안소연,김윤희 大韓小兒齒科學會 2010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atterns of caries in the dentition of preschool children using cluster analysis and multidimensional scaling. 815 preschool children aged 36-71 months old were examined for caries experience. The first four clusters in the cluster analysis were (1) molars, (2) upper incisors, (3) lower 1st molars, and (4) upper 1st molars in teeth, (1) occlusal surfaces of lower molars and upper 2nd molars, (2) mesial surfaces of upper central incisors, (3) occlusal surfaces of lower 1st molars, and (4) separation between occlusal surfaces of upper and lower 2nd molars in tooth surfaces, and (1) proximal surfaces of upper anterior teeth, (2) occlusal surfaces of lower molars, (3) buccolingual surfaces of upper anterior teeth and (4) buccolingual, proximal, and occlusal surfaces of upper molars and buccolingual and proximal surfaces of lower molars in tooth surfaces groups. In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teeth could be divided into lower 1st molars, upper 1st molars, upper central incisors, upper lateral incisors, lower 2nd molars, upper 2nd molars, and the rest(canines, lower incisors), tooth surfaces could be divided into occlusal surfaces of lower molars, mesial surfaces of upper central incisors, occlusal surfaces of upper molars, and the rest, and tooth surface groups could be divided into proximal surfaces of upper anterior teeth, buccolingual surfaces of upper anteiror teeth, occlusal surfaces of lower molars, and the rest in the order of the distance from others. In the cluster analysis and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 caries pattern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age. 유치열에 존재하는 우식패턴을 연구하기 위하여 유치열을 가진 유아들을 대상으로 치면별 우식경험도 조사를 실시하고 군집분석과 다차원척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367H 월 이상 71 개 월 이하의 어린이 815명 이 었다. 군집분석에서 먼저 분리된 네 개의 군집은, 유치는 (l) 유구치, (2) 상악 유절치, (3) 하악 제1유구치, (4) 상악 제1유구치, 유치면은 (1) 하악 유구치 교합면과 상악 제 2유구치 교합면, (2) 상악 유중절치 근심면, (3) 하악 제1유구치 교합면, (4) 상하악 제2유구치 교합면의 분리, 유치면군은 (l) 상악 유전치 인접면, (2) 하악 유구치 교합면, (3) 상악 유전치 협설면, (4) 상악 유구치 협설면, 인접면, 교합면 및 하악 유구치 협설면과 인접면이었다. 다차원척도분석에서 상호간에 가장 멀리 떨어진 순서로 보았을 때, 유치는 하악 제 1유구치 , 상악 제 1유구치 , 상악 유중절치, 상악 유측절치, 하악 제 2유구치, 상악 제 2유구치, 기타 유치(유견치, 하악 유절치)로 나눌 수 있었고, 유치면은 하악 유구치 교합면, 상악 유중절치 근심면, 상악 유구치 교합면, 기타 유치면으로 나눌 수 있었으며, 유치면군은 상악 유전치 인접면, 상악 유전치 협설면, 하악 유구치 교합면, 기타 유치면군으로 나눌 수 있었다.

      • KCI등재

        취학전 어린이의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 관련 요인

        정승열,이광희,라지영,이동진,안소연,김지영,송지현,김윤희 大韓小兒齒科學會 2008 대한소아치과학회지 Vol.35 No.4

        연구 목적은 상악 유전치 우식증의 발생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었다. 연구대상은 익산시 어린이집 중에서 무작위로 추출 한 7개 어린이집의 36개월 이상 71개월 미만의 남아 214명, 여아 187명, 모두 401명이었다. 연구방법은 상악 유전치 우식 증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성별, 연령, 모유 수유 또는 인공 수유, 수유 기간, 감미 간식 섭취 빈도, 칫솔질 시작 시기, 1일 칫솔질 횟수 등을 조사하여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보면, 상악 유전치 우식증의 유병률은 남아에서 43.0%, 여아에서 26.7%로서 남아가 여아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1), 수유 기간 2년 이하 군에서 31.0%. 2-3 년 군에서 43.2%, 3년 이상 군에서 63.2%로서 수유 기간이 길어질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P<0.01), 감미 간식을 매일 섭취하는 군에서 44.2%,2-3일에 한 번 섭취하는 군에서 31.47%, 자주 섭취하지 않는 군에서 32.4%로서, 매일 섭취하는 경우에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의 유의한 연관성이 있었다(P<0.05). 연령, 모유 수유 또는 인공 수유, 칫솔질 시작 시기, 1일 칫솔질 횟수에서는 상악 유전치 우식증과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0.05). The purpose of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tiologic factors of maxillary primary anterior caries. The subjects of study were 401 preschool children, 214 boys and 187 girls, from 36 to 71 months old of randomly selected seven nurseries in Iksan city. The prevalence of maxillary primary anterior teeth was cross-analyzed with gender, age, breast feeding or bottle feeding, length of feeding, sweet snack intake frequency, beginning of tooth-brushing, and toothbrushing frequency per day. The prevalence was 43.0% in boys and 26.7% in girls, and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prevalence and gender in cross analysis(P<0.01). The prevalences of the shorter than 2 years of feeding group, the from 2 to 3 years group, and the longer than 3 years group were 31.0%, 43.2%, and 63,2%, respectively, and there was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prevalence and the length of feeding (P<0.01). Daily intake of sweet snacks ha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the prevalence(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the prevalence and the variables of age, breast feeding or bottle feeding, beginning of toothbrushing, and toothbrushing frequency per day(P>0.05).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