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축에서 수직 이동수단의 반복과 공간 연속성의 관계에 관한 연구-게슈탈트 지각이론을 중심으로-

        신승수 ( Shin¸ Seungsu ),김철수 ( Kim¸ Chulso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오래전부터 인간은 공간의 내부와 외부 사이에서 미시감, 기시감 등의 추상적인 감각들로 인한 경계의 모호함을 체험해왔다. 이러한 체험의 원인은 다양한 방향에서 제기되어져 왔다. 여러 원인 중에서도 특히 인간의 지각에서 전달된 시각 정보를 자신의 경험을 토대로 해석함으로써 발생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는 것을 선행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맥락에서 인간이 감각 기관을 통해 공간 내외부에서 물리적인 형태의 중복 등에 의해 착시를 경험하거나 같은 움직임이 반복될 때 느끼는 기시감을 연속성이라는 단어로 표현하고자 한다. 또한, 이러한 성질을 구체적 데이터로 명시 및 정리하여 향후 보다 발전된 연구의 지표로 사용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논문을 위한 이론적 연구는 공간의 연속성 체험이라는 추상적인 개념을 보다 명확하고 객관적 치수로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것을 중심으로 한다. 치수의 척도로써 공간에서 시각적으로 가장 가시적인 형태 중심의 건축적 구성 요소를 게슈탈트 지각이론의 대표적인 원리들에 대입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의 주축이 될 건축 구성 요소는 수직 이동수단이다. 이는 공간 내부와 외부의 경계에 위치하고 공간들을 이으며 층 간 특성을 전달하는 전이성이 있다. 즉, 공간 사이에서 일종의 중간적 다리의 역할을 한다. 또한, 미리 인간의 다음 움직임을 예측할 수 있고 조형미의 정도에 의해 건물의 상징이 되기도 하는 대표적인 구조체이므로 선정하게 되었다. 그러나 수직 이동수단이라는 매개체를 단편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주관성이 개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인간의 시각, 지각에 형태학적으로 밀접한 연관이 있는 학문인 게슈탈트 지각이론의 원리를 중심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앞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네 가지 기준을 선정하고, 게슈탈트 원리 여섯 가지를 더해 총 열 가지를 분석요소로 규정지어 분석모델을 제안한다. 이 분석모델에 네 가지 사례를 적용하여 종합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분석요소들과 공간 연속성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도록 한다. (결과) 위 연구의 방법을 통해 수직 이동수단의 배열이나 형태 등이 공간 내부와 외부에서 인간의 지각에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종합적인 결과에서 수직 동선 계획과 공간 구조 설계를 통해 공간 구성 시 연속성을 의도적으로 기획하는 것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시대의 흐름과 인간의 요구에 따라 공간의 형태는 점점 다변화되고 있다. 이에 특정 목적을 중심으로 한 전에 없던 공간들이 연출되어 부상하고 있고 그 다양한 목적을 충족하기 위해 인간의 심리는 공간 기획에 있어서 늘 첫 번째 잣대가 되어야 한다. 따라서 인간의 시각과 지각, 움직임의 상관성을 유념에 둔 공간 설계의 체계화된 연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Many people have experienced the blurring of the boundary between the internal and external space due to abstract sensations such as Jamais vu and D□j€ vu. Previous studies have found that one of the many causes of such experiences is the interpretation of visual information transmitted through the eyes based on one's own experiences within perception. In the above context, humans can feel the optical illusion produced by the overlapping of physical forms inside and outside the space through the sense organs including the eyes, or the paramnesia when the same movement is repeated in space. In this study, we intend to express such situations and emotions in the word continuity.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designating and organizing these properties as specific data and using them as indicators for more advanced research in the future. (Method) The theoretical study for this paper prioritizes the method of expressing the abstract concept of spatial continuity in precise and objective dimensions. As a measure of dimensions, this study will analyze one of the most visible architectural components, “vertical movement ways,” in space by applying representative principles of Gestalt Perception theory, especially centering on their forms. It is located at the boundary between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of the space, connects the spaces, and transmits the characteristics between the floors. In addition, it was selected because it is a representative structure that can predict the next human movement in advance through them and becomes a symbol of a building by its formative beauty. Therefore, first, four qualitative criteria are selected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 addition, six principles of Gestalt Perception theory, a discipline closely related morphologically to human vision and perception, are selected as quantitative criteria. An analysis model is proposed with a total of ten analysis elements, and results are obtained by applying four cases to the model. (Results) Through the method of the abov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arrangement and shape of vertical movement ways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perception inside and outside the space. In addition, from the comprehensiv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intentionally plan continuity when constructing a space through vertical movement plan and spatial structure design. (Conclusions) The form of space is gradually diversifying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and human needs. Accordingly, spaces centered on a specific purpose that have not been created previously are being created and emerging, and in order to meet the various purposes, human psychology must always be the first criterion in spatial planning.

      • LTE-Advanced 시스템에 릴레이 기법 도입 시 동적 자원 할당 방법

        김승수(SeungSu Kim),김현성(HyunSung Kim),신봉걸(BongKeol Shin),김영일(YoungYil Kim),장주욱(JuWook Jang) 한국정보과학회 201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8 No.1D

        최근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는 4G 이동 통신 시스템의 하나인 LTE-Advanced 시스템에서 릴레이 기법은 주요 기술로써 고려되고 있다. 릴레이 기법은 도입함으로써 LTE-Advanced 시스템은 셀 가장자리 유저들에게 좋은 성능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셀 커버리지를 늘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LTE-Advanced 시스템에 릴레이 기술을 도입하는 구체적인 기법은 아직 연구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우리는 기존의 직교 할당 방식과 중첩 할당 방식을 이용하여 릴레이 기법을 도입 시 새로운 자원 할당 방법을 제안할 것이다. 제안 기법의 기본 아이디어는 서비스 지역에 진입한 단말이 채널 정보를 이용하여 eNB(eNodeB)로 접속할지 RS(Relay Station)로 접속할지를 결정한다. 기존의 직교 할당 방식과 중첩 할당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우리가 새로 제안하는 자원 할당 기법은 전송률뿐만 아니라 공정성 측면에서도 우수한 성능을 나타낸다.

      • 모듈형 로켓 신기전K22의 개념설계

        김화영(Hwayoung Kim),김형민(Hyungmin Kim),송민수(Minsu Song),안지훈(Jihun An),김강현(Ganghyun Kim),김선민(Sunmin Kim),김찬현(Chanhyun Kim),박성우(Seoungwoo Park),이준우(Junu Lee),이준기(Joonki Rhee),임재혁(Jaehyuk Im),정승수(Seungsu Jeo 한국추진공학회 2022 한국추진공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2 No.5

        본 논문은 경기대학교 KURBC 팀이 설계한 모듈형 신기전K22에 대한 설계과정과 그 근거를 서술하였다. 로켓의 임무는 ‘로켓 발사 후 낙하 시 낙하산 사출 및 안전한 회수’이다. 목표 고도는 400m, 연료는 질산칼륨-소르비톨(KNSB)이다. 낙하산 사출 방법은 동체와 낙하산이 안전하게 보호되는 용수철 사출을 선택했다. 본 팀은 이번 대회에서 CFRP 카본으로 로켓의 동체를 만들고, 내부를 모듈로 구성함으로써 차별점을 두었다. 또한 RF 장거리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발사 전후의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기록하여 후속 연구에 참고할 예정이다. This paper describes the design process and basis for the modular Shinkijeon-K22 designed by the KURBC team of Kyonggi University. The rockets mission is devising a method for parachute injection and safe recovery when falling after launching the rocket. The target altitude is 400 m and the fuel is potassium nitrate-solvitol (KNSB). The spring injection method was used for the parachute injection, in which the fuselage and parachute are safely protected. We made a difference by making the rockets fuselage with CFRP carbon and configuring the interior as a module. In addition, RF long-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will be used to systematically record data before and after launch and refer it to subsequent studies.

      • KCI등재

        Translation, Cultural Adaptation, and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formation Needs in Cardiac Rehabilitation Scale

        Jeong Seungsu,Kim Heeju,Kim Won-Seok,Chang Won Kee,Cha Seungwoo,Choi Eunjeong,Kim Chul,Grace Sherry L.,Baek Sora 대한재활의학회 2023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Vol.47 No.5

        Objective: To translate and culturally adapt the Information Needs in Cardiac Rehabilitation (INCR) questionnaire into Korean and perform psychometric validation.Methods: The original English version of the INCR, in which patients are asked to rate the importance of 55 topics, was translated into Korean (INCR-K) and culturally adapted. The INCR-K was tested on 101 cardiac rehabilitation (CR) participants at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in Korea. Structural validity was assessed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of the areas was computed. Criterion validity was assessed by comparing information needs according to CR duration and knowledge sufficiency according to receipt of education. Half of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selected for 1 month of re-testing to assess their responsiveness.Results: Following cognitive debriefing, the number of items was reduced to 41 and ratings were added to assess participants’ sufficient knowledge of each item. The INCR-K structure comprised eight areas, each with sufficient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alpha>0.7). Criterion validity was supported by significant differences in mean INCR-K scores based on CR duration and knowledge sufficiency ratings according to receipt of education (p<0.05). Information needs and knowledge sufficiency ratings increased after 1 month of CR, thus supporting responsiveness (p<0.05). Conclusion: The INCR-K demonstrated adequate face, content, cross-cultural, structural, and criterion validities, internal consistency, and responsiveness. Information needs changed with CR, such that multiple assessments of information needs may be warranted as rehabilitation progresses to facilitate patient-centered education.

      • 모션캡쳐 DB를 이용한 휴먼노이드 로봇의 상체 동작 재생성

        김승수(Seungsu Kim),김창환(ChangHwan Kim),박종현(Jong Hyeon Park),유범재(Bumjae You) 대한전기학회 2006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6 No.7

        인간과 의사소통 및 상호작용함에 있어 휴머노이드 로봇은 그 외형이 인간에게 친숙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행동역시 인간과 유사해야 한다. 인간의 상체 동작과 유사한 동작은 인간과의 의사소통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인간의 동작과 유사한 동작을 수학적인 식을 통하여 생성해 내기는 매우 힘들다. 수학적 모델을 개발하려는 노력과는 달리 최근에는 모션캡쳐 장비로부터 동작데이터를 획득하고, 그 데이터를 휴머노이드 로봇에 입력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왔다. 하지만, 로봇과 인간이 의사소통함에 있어서 필요한 모든 데이터를 모션캡쳐 장비로 획득하여 저장해 놓기는 불가능 하다. 또한, 동작을 통하여 의미를 전달하는 의사소통의 경우에 상대방과 분위기에 따라 동작의 방향이나 크기를 달리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의미가 있는 동작을 모션캡쳐 장비로부터 획득하고, 휴머노이드 로봇에 맞게 변환한 다음, 그 데이터를 상황에 맞게 실시간으로 변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을 몇가지 동작에 적용하여 그 실효성을 검정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