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하이브리드 스토리지 기반의 데이터 패턴을 고려한 적응적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 관리 기법
정상원(Sangwon Jung),이태훈(TaeHoon Lee),정기동(kidong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7 No.1B
기존의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와 플래시 메모리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스토리지는 고정적인 공간의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를 사용하여서 I/O 패턴에 따라 공간적인 비효율성을 보여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데이터 패턴과, 데이터 접근 지역성에 따라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의 영역들이 적응적으로 변화하는 스토리지를 제시하고 있다. 시뮬레이션 결과 적응적 스토리지 클래스는 고정적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와 비교하여 iozone같은 경우 15.3%, postmark의 경우 13.1%의 공간 절감 효과를 보였다.
Fair Feature Distillation Using Teacher Models of Larger Architecture
Sangwon Jung(정상원),Taesup Moon(문태섭)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 2021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8 No.11
Achieving algorithmic fairness is becoming increasingly essential for various vision applications. Although a state-of-the-art fairness method, dubbed as MMD-based Fair feature Distillation (MFD), significantly improved accuracy and fairness via feature distillation based on Maximum Mean Discrepancy (MMD) compared to previous works, MFD could be limitedly applied into when a teacher model has the same architecture as a student model. In this paper, based on MFD, we propose a systematic approach that mitigates unfair biases via feature distillation of a teacher model of larger architecture, dubbed as MMD-based Fair feature Distillation with a regressor (MFD-R). Throughout the extensive experiments, we showed that our MFD-R benefits from the use of the larger teacher compared to MFD as well as other baseline methods.
하이브리드 스토리지 기반의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 관리 기법
정상원(Sangwon Jung),이태훈(Taehoon Lee),정기동(kidong Chung) 한국정보과학회 201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7 No.2B
플래시 메모리는 무게가 가볍고, 비휘발성이고, 하드 디스크에 비해 읽기 속도가 빠르며, 내구성이 강하다는 장점 때문에 새로운 스토리지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플래시 메모리는 "erase-before-write" 문제와 각 블록들의 삭제 횟수의 제한 때문에 성능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플래시 메모리와 더블어 새로운 저장장치로 각광받고 있는 것은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이다.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비휘발성 속성을 가지면서, 고속의 바이트 단위의 접근이 가능하다. 플래시 메모리가 가지는 단점에서 자유로우며 고속의 접근이 가능하므로, 플래시 메모리와 하드 디스크를 대체할 스토리지로 떠오르고 있다. 그렇지만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는 아직 저용량 스토리지이기 때문에 개인용 컴퓨터나 대용량의 서버를 커버할만한 수준은 되지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버퍼정책 및 버퍼를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에 저장 하여 안정된 속도 및 완벽한 신뢰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속도 향상을 위해 휘발성 메모리를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와 함께 사용하여 보다 빠른 속도를 제공한다. 또한, 기존 버퍼 관리정책을 보완하여 다이렉트한 버퍼 접근 방법을 제시한다.
언어 철학적으로 살펴본 시적 언어의 존재론적 위상과 언어 예술로서 시의 교육적 가치 - 하이데거와 가다머의 사유를 중심으로
정상원 ( Jung Sangwon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6 No.-
This article reveals the ontological status of poetic language in accordance with Heidegger and Gadamer's linguistic philosophy and explores the educational value of poetry as a form of linguistic art. For this, we discussed the three ways of Existenz for Dasein and the nature of their respective languages―geisteswissenschaftlicher, naturwissenschaftlicher, and the poetic one. Dasein as Möglichsein exists as alltäglich and szientische. However, it can exist as ontologisch by raising questions about die eigentliche Existenz and heading to Sein, not das Seiende. According to Heideger, the exceptional possibility of ontologisch Existenz can be obtained through poetry, a form of linguistic art. This is because art illuminates the open chapter of Sein of das Seiende, which never depletes, and poetic language is the language of Sein that is the basis for Sein of das Seiende. In such cases, the nature of language is fully embodied in poetry. And language is not originally just a means of communication or a tool for szientische explanation. Only through poetry, which is a form of linguistic art, can Existenz exist as the eigentliche and ontologisch. Furthermore, at an ontological level, this is the point where the educational value of poetry can be 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