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노동과 인간의 미래 ―인간의미의 원천으로서 노동의 미래에 대한 신학적 전망

        이상은 ( Lee¸ Sangeun ) 서울신학대학교 기독교신학연구소 2020 神學과 宣敎 Vol.59 No.-

        본문은 기술혁명시대에 제기되고 있는 일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을 모색하고자 하고 있다. 본문은 첫째, ‘일’로부터의 방면이 본질적으로 목표가 될 수 있는 주제인가라는 질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둘째, ‘일’이 인간의 본질적 부분을 구성하는 주제이며, 변화된 환경 속에서도 이러한 주제에 대한 고찰이 주어져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한다. 셋째, 미래시대를 위해 바람직한 기독교 노동관을 구성하기 위한 단상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주제를 다루기 위해 본문은 특히 몰트만(J. Moltmann)과 볼프(M. Volf)가 전개했던 노동에 대한 단상을 중심으로 하는 신학적 대화를 전개해 나가고 있다. 본문은 기독교적 관점에서 노동은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에 대해 다루고 있다. 노동을 인간의 형벌로 보는 부정적 관점과 인간의 자기실현이라고 하는 차원에서 노동을 관찰하는 긍정적 관점 사이의 양가감정 사이에서 기독교적 노동관에 대해 고찰하고 있으며, 몰트만의 관점과 함께 역사적 고찰을 통해 이 문제를 다루고 있다. 본문은 또한 인간의 미래를 위해 노동개념 자체에 대한 고찰 속에 성서적, 신학적 노동관을 수립하고자 시도하고 있다. 하나님의 창조를 반영하는 것으로서의 노동, 산출과 안식을 포괄하는 관계적 개념으로서의 노동, 그리고 개인이 아니라 공동체를 지향하는 것으로서의 노동을 구현하면서 인간의 미래를 위한 노동개념을 구사해나가고자 하고 있다. 본래의 창조적 기쁨을 누리는 인간으로서의 호모 루덴스를 지향하는 노동개념을 생각하고자 하고 있으며, 인간상호간의 결핍과 보완을 통한 통전적 장을 지향하고자 하고 있다. This text deals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work and human being itself in the era of technological revolution. It raises at first a question whether it is proper to seek emancipation from the work, especially from a christian point of view. Second, it expresses the position that ‘work’ constitutes the essential part of human being and that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is subject, even in the changed environment. Third, it tries to provide a thought for constructing the concept for the Christian ethics of labour for the future age. In order to deal with this subject, this study is centering on the theological work of J. Moltmann and M. Volf. Based on i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Christian ethics could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labour, between the negative viewpoint of labor as a punishment for human being and the positive viewpoint of observing labor on the level of human self-achievement. Simultaneously, this text is also attempting to establish a biblical and theological work in consideration of the concept of labor itself for the future of mankind. It suggests that the concept of labour is to be understood in the light of God’s creation, and labour as a community-oriented performance. Furthermore, it considers the concept of homo ludens whether it could reflect on the concept of labour as creative joy and complement of human mutuality in the field of labour.

      • KCI등재
      • KCI등재

        Clinical Experiences of Amplitude-integrated Electroencephalographic Monitoring in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 Sangeun Lee ),( Sujin Choi ),( Yun Jeong Lee ),( Jisook Kim ),( Sook-hyun Park ),( Eun Joo Lee ) 대한주산의학회 2020 Perinatology Vol.31 No.4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linical experience of amplitude-integrated electroencephalogram (aEEG)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and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aEEG and to determine whether an EEG could help to identify high risk infants with later epilepsy. Methods: Clinical data of 200 newborn infants admitted to the NICU and monitored with aEEG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A single- or two-channel aEEG (electrode placement P3-P4 for single, C3-C4 and P3-P4 for two) was recorded continuously by using gold cups. Background activity was assessed based on voltage and pattern recognition methods. To assess for differences in later epilepsy among infants with abnormal versus normal results, chi-square test was employed with odd ratio. Results: Overall, 200 newborn infants were included. About half showed abnormal findings on aEEG monitoring with 34.5% abnormal background activity, 30.0% abnormal cyclicity, and 30.0% with seizures. The odd ratio for an abnormal trace on aEEG to predict later epilepsy was 7.9 (95% confidence interval; 2.8-22.0; P<0.001). Conclusion: aEEG monitoring is useful for cerebral monitoring in NICU. aEEG monitoring enabled to assess the cerebral integrity of infants by measuring background activities and detecting seizures and help to identify high-risk infant for later epilepsy.

      • KCI등재

        Effect of Working Memory and Exposure to the Symbols on Sentence Construction using AAC Graphic Symbols

        Sangeun Shin(신상은),Heeyoung Park(박희영)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AAC 그림상징의 배열조건에 따라 언어적/비언어적 작업기억능력과 상징에 대한 노출횟수가 문장구성 과제의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총 32명의 정상성인을 대상으로 고정과 비고정배열조건에서 자극문장(명사-부사-동사)에 대한 목표 상징들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도록 하였고, 피험자들의 정반응수와 반응속도를 측정하였다. 작업기억능력은 숫자와 공간의 역순 기억과제를 통해 평가하였다. 결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언어적/비언어적 작업기억능력은 반응속도에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상징배열의 고정성 여부에 따라 서로 다른 작업기억의 유형이 더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비고정배열에서는 언어적 작업기억이, 고정배열에서는 비언어적 작업기억이 더 높은 예측설명력을 보여주었다. 반응속도에 대한 노출횟수의 효과는 두 배열조건 모두에서 유의하였으나 고정배열이 비고정배열보다 노출에 따른 반응속도의 감소율이 3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상징 위치를 고정시켰을 때 비언어적 작업기억이 작용하여 효과적인 상징선택을 가능하도록 하며, 상징과 그 위치에 대한 학습효과를 통해 반응시간의 단축이 도모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AAC 사용자들이 상징을 선택하는 속도의 향상을 통해 원활한 쌍방향의 의사소통을 개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아울러 효과적인 상징배치에 대한 경험적 근거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에 임상적인 의의를 갖는다. 추후연구에서는 상징의 배열조건에 따라 중증장애인들의 AAC 수행이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 이를 정상인의 자료와 비교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verbal/non-verbal working memory skills and the exposure to graphic symbols of the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 the context of a sentence construction task with a fixed/ non-fixed array of AAC symbols. Methods: Thirty-two healthy young adults (26.75±7.05 yea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They were asked to locate the target symbols in a given order (noun-adverb-action verb) for the sentence stimuli which were presented visually with written words on the computer screen. The symbols were presented in two conditions: a fixed array and a non-fixed array. The working memory skills were evaluated by using the verbal (backward digit span) and visuospatial (backward matrix) working memory tasks. The participants’ performance was analyzed using accuracy and response times. Results: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verbal and non-verbal working memory only affects response time. Moreover, working memory contributed differently to the task depending on the array type: the non-verbal working memory primarily predicted the response times in the fixed array condition, which was not the case in the non-fixed array condition. Conclusion: The exposure to the symbols significantly reduced the response time and the reduction rate was three times higher in the fixed condition compared to the non-fixed condition. Implications for AAC intervention by using a fixed array of symbols are discussed.

      • KCI등재

        Consumer Preferences and Purchase Perceptions by the Picture Image Types of Floral Products - Focused on Image-Based SNS (Instagram)

        Sangeun Seo,Jong Won Hong,Jongyun Kim 한국화훼학회 2019 화훼연구 Vol.27 No.4

        본 연구는 SNS(social network service)를 통한 화훼상품 구매인식과 화훼상품 이미지 선호도를 알아보고자 국내 성인남녀 311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소비자들이 SNS를 통해 화훼상품을 구매하는 가장 큰 이유로는 트렌드에 맞는 디자인을 판매하기 때문이며, 해당 항목에 대하여 20대가 가장 높은 평균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 20대와 30대의 응답자는 40대에 비해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가격이 덜 합리적이라고 생각하였으며, 50대 이상의 연령에서는 SNS를 통해 판매하는 화훼상품의 품질과 꽃의 신선도에 대해 낮게 신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SNS에 게시된 화훼 상품의 이미지가 구매할 상품 선택에 많은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였으며, SNS상의 화훼상품 이미지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화훼상품의 이미지가 보정효과로 다듬어진 것이라고 인식하였으나, 실제 상품과 비슷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 화훼상품 구매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이미지 특성으로는 전체적인 분위기가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절화 화훼상품 이미지에서 꽃다발과 꽃바구니 화훼상품에 따라 선호하는 배경에 약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구도에 따른 선호도는 꽃다발과 꽃바구니 모두 정면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였으며, 이미지 보정에 대한 선호도에서는 밝은 느낌의 채도가 높은 이미지를 가장 선호하는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 보정효과에 대한 감성인식을 의미변별척도법(semantic differential scale)에 따라 조사한 결과, 채도에 상관없이 밝은 느낌의 이미지는 ‘풍부한’, ‘세련된’, ‘고급스러운’, ‘기품 있는’과 같이 긍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어두운 느낌의 이미지는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감성어휘 쪽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화훼상품 이미지의 배경, 구도, 보정효과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와 감성반응에 차이가 나타났으나, 소비자의 성별, 연령 및 직업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가 선호하는 이미지를 구축하여 SNS를 통한 화훼상품을 판매하는 것이 소비자들의 구매상품 선택에 도움이 될 것으로 확인되었다. This study surveyed 311 adult consumers in Korea to investigate their preferences and purchase perceptions of floral products through the social network services (SNS) market. The consumers responded that they favored purchasing a floral product via SNS mainly because the products were trendy in design, with a significantly high score among those in t heir 20s. Among the a ge g roups, the consumers in their 20s and 30s found the prices of floral products sold via SNS less reasonable than the consumers in their 40s. Those who were in their 50s or older showed lower confidence in the quality of floral products and freshness of flowers sold via SNS. The consumers said that the picture images of the floral products posted on SNS helped guide their choices, illustrating consumers’ positive views of the images of f loral products on SNS. Although the consumers were aware that the floral product images were retouched, they tended to assume that the actual products would be s imilar to the posted p icture images. As for the impact of image characteristics on the consumers’ purchase decisions of floral products, it was discovered that the respondents attached considerable importance to the overall atmosphere. The preferred backgrounds of the f loral product images slightly varied between floral bouquets and floral basket products. As for the composition preferences of images, most consumers preferred images that were taken from the front, for both floral bouquets and floral baskets. The consumers preferred bright images, with high chroma in color, whereas they disliked images with low brightness. Based on the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he consumers used favorable terms, such as abundant, refined, high-class, and elegant, to describe bright images, regardless of color saturation. In contrast, dark images were generally perceived more negatively. Although the consumers’ preferences and emotional responses to picture images of floral products varied according to the background, composition, and retouching effects of the image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responses among different genders, age brackets, and vocational g roups. Overall, w hen marketing floral products through SNS, product information with images appealing to consumers’ preferences would support their purchase decis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