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염도와 발효온도를 달리하여 제조한 단기 숙성 묵은 김치의 품질특성

        고명신,허성원,김미란,정서진,이혜란,조미숙,Ko, Myeong-Sin,Hur, Sung-Won,Kim, Mi-Ran,Jung, Seo-Jin,Lee, Hyeran,Cho, Mi-Sook 한국식품영양학회 2015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28 No.3

        묵은 김치의 높은 염도와 장기간 저장에 따른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염도와 발효온도를 다르게 하여 제조한 김치를 단기간 숙성하여 묵은 김치의 독특한 풍미와 조직감을 유지하는 묵은 김치 숙성방법의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묵은 김치의 염도 변화는 발효 후 저장 0주차에 증가하였다가 이후 저장기간 동안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p<0.05), 시료의 초기염도에 따라 저장기간 중 염도 변화가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발효온도에 따른 차이는 저장 6주차까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저장 12주차에는 1.6% 염도의 경우 $12^{\circ}C$에서 발효한 시료가 $18^{\circ}C$의 시료보다 높은 염도를 나타냈고, 2.4% 염도의 시료와 3.2% 염도의 시료에서는 발효온도가 낮을수록 염도의 감소 속도가 빨랐다. pH는 발효 후 저장 0주차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염도가 높을수록 pH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저장기간이 늘어남에 따라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pH의 값이 높게 나타났다. 산도는 발효 후 저장 0주차에 유의적으로 증가한 뒤 염도와 발효온도에 따라 변화하였다. 산도는 염도가 낮을수록 유의적으로 높은 산도를 나타냈고, 발효온도에 따른 산도의 변화는 발효 후 저장 0주차 때 발효온도가 높을수록 산도가 높게 나타났지만, 저장기간 중 발효온도에 따른 산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01). 경도는 발효 후 저장 0주차에 감소한 뒤 염도와 발효온도에 따라 변화하였고(p<0.05), 저장 6주차까지 3.2% 염도의 시료에서 경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두께의 변화는 저장기간과 염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발효온도에 따라 $12^{\circ}C$에서 발효한 시료보다 $18^{\circ}C$에서 발효한 시료에서 두께의 값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총균수는 발효 후 저장 0주차에 유의적으로 증가하여 7.18~8.89 logCFU/mL 사이의 높은 값을 나타냈고, 이후 저장기간에 따라 감소하였다(p<0.001). 염도에 따른 총균수는 H시료에서 가장 높았고, 발효온도에 따른 총균수의 차이는 발효 후 저장 0주차에 $12^{\circ}C$에서 발효한 시료가 높은 값을 나타냈지만, 이후 저장 기간 동안 $18^{\circ}C$에서 발효한 시료에서 높은 값을 보였다. We conducted a study on mukeun (long-term fermented) kimchi ripened over one year in an attempt to develop an alternative sal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ow-salt kimchi. However, few studies have focused on mukeun kimchi that has been fermented for a short time in different salinity conditions. Therefor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that occur during the fermentation of mukeun kimchi samples produced with different conditions of salinity and fermentation temperature. Kimchi samples were produced at 3 different salinity levels: 1.6%, 2.4%, and 3.2%. Previous studies revealed that the optimum fermentation time at pH 4.1 was 128 hours at $18^{\circ}C$ and 417 hours at $12^{\circ}C$; furthermore, the samples were stored for 12 weeks under the condition of $-1^{\circ}C$ after fermentation. Total cell increased on week 0 of storage and decreased according to the storage period. Total cell was the highest at 3.2% salinity and had a high value at $18^{\circ}C$ temperature during the storage period. Based on the physiochemical results, mukeun kimchi at a salinity of 3.2% can be fermented for a short time, and low-salt kimchi at a salinity of 1.6% and fermented at $18^{\circ}C$, is similar to mukeun kimchi at 2.4% salinity.

      • KCI등재

        스포츠 클라이밍의 횡이동 시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관련 근육 활성도 비교 분석

        이은영(Eun-Young Lee),차경식(Kyungsik Cha),허명현(Myeong-Hyeon Heo),정다니엘(Daniel Chung),김정후(Junghu Kim),김동호(Dongho Kim),고일주(Il-Ju Ko),김유신(Kim, You-Sin) 한국웰니스학회 2016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스포츠 클라이밍의 횡이동 시 숙련자와 비숙련자 사이의 근활성도를 비교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는 스포츠 클라이밍 선수 5명과 비숙련자 6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무선 근전도 센서를 이용하여 광배근, 상완이두근, 요골수근신근, 외측광근, 전경골근, 내비복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숙련자와 비숙련자의 측정된 근육의 구간 별 근활성도를 비교하기 위하여 독립 표본 t-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제1국면의 광배근(p=.003), 상완이두근(p=.006)과 요골수근신근(p=.009), 제2국면의 광배근(p=.004)과 요골수근신근(p=.039), 제3국면의 요골수근신근(p=.020)과 내비복근(p=.018), 제4국면의 상완이두근(p=.003)과 요골수근신근(p=.043)에서는 비숙련자의 평균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반면에 제2국면의 외측광근(p=.033)과 제3국면의 전경골근(p=.030)에서는 숙련자의 평균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포츠 클라이밍 훈련의 기초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muscular activities using electromyography (EMG) during a sport climbing lateral move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on five sport climbing athletes and six novice climbers. EMG was recorded from Latissimus dorsi(LD), Biceps brachii(BB), Extensor carpi radialis(ER), Vastus lateralis(VL), Tibialis anterior(TA), and Medial gastrocnemius(MG) with wireless EMG sensor. An independent sample t-test determined differences between elite and novice groups. Results show that EMG activity of LD at phase1(p=.003) and phase2(p=.004), BB at phase1(p=.006) and phase4(p=.003), ER(p<.05) at phase1(p=.009), phase2(p=.039), phase3(p=.020), and phase4(p=.043), and MG at phase3(p=.018) during a lateral climb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elite group. However, the elite climbers" EMG activity of VL at phase2(p=.033) and EMG activity of TA at phase3(p=.030)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ovice group. These results would be expected to be a scientific evidence in the training field of sport climb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