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급성 화농성 천골장골관절염 1예

        문수연,신준범,김경엽,김석연,문수영,문송미,이미숙 대한감염학회 2007 감염과 화학요법 Vol.39 No.5

        저자들은 특별한 위험 인자 없이 심한 허리 및 왼쪽 둔부 통증으로 내원하여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이 진단된 젊은 여성에서 드문 감염질환인 화농성 천골장골관절염과 엉덩근 및 엉덩허리근 농양이 발생된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yogenic sacroiliits is a rare disease and the diagnosis is difficult because of unawareness of the disease and nonspecific symptoms and signs mimicking septic hip, iliopsoas muscle abscess and herniation of intervertebral disk. There are some predisposing factors related to the disease like trauma, pregnancy, intravenous drug abuse and infection of other systems such as skin, genitourinary system and heart. Staphylococcus aureus is the most common causative bacteria. Here we describe a case of 27-year-old woman presented with acute onset of back and left buttock pain. Bone scintigraphy revealed increased uptake at left sacroiliac joint and computed tomography of the pelvis showed left sacroiliitis with left iliacus and iliopsoas abscess. There was no history of usual predisposing conditions. S. aureus was grown from blood cultures and the patient improved with 2 weeks of intravenous cefazolin followed by 4 weeks of oral clindamycin treatment.

      • KCI등재
      • KCI등재

        Ⅱ급 부정교합자에서 액티베이터 사용에 따른 atlas의 위치 변화에 관한 연구

        조문기,이진우,차경석,정동화 대한치과교정학회 2007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37 No.1

        본 연구는 Ⅱ급 부정교합자에서 액티베이터 사용 후, 하악골의 변화에 따른 atlas의 위치 및 형태 변화를 조사하고, 그에 따른 치료 효과를 예측해 보고자 시행하였다. 실험군으로 Ⅱ급 부정교합자로써 액티베이터 치료를 시행한 경우 1군(총30명, 남자 15, 여자 15명), 대조군들로 Ⅱ급 부정교합자로 액티베이터 치료를 받지 않고, 교정치료를 받은 2군(총 22명, 남자 12, 여자 10)과 Ⅰ급 부정교합자로 치료를 받은 환자 3군(총 22명, 남자 12, 여자 10)으로 총 세 개의 군으로 나누었다. 치료 전(T1), 액티베이터 사용 중지 및 치료 중간시기(T2), 치료 종료(T3)시의 측모두부방사선사진을 통해서 골격 형태 계측 및 atlas 형태 계측을 시행하였다. Ⅱ급 액티베이터 사용 결과 액티베이터를 사용하지 않은 Ⅱ급 부정교합자 군에 비해 치료 종료 시 다음과 같은 계측치 들에서 골격적인 효과가 나타났다: ramal height, body length와 effective body length는 증가하였고, ANB는 감소하였다. Overjet은 두 군 사이에서 액티베이터 사용 후 유의한 감소가 일어났으나, 치료 종료 시에는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세 군 모두에서 FH에 대한 atlas의 시계방향 회전이 나타났으나, 실험군 1군에서 대조군 2, 3군에 비해 유의하게 atlas가 FH에 대해 시계방향 회전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1군이 3군에 비해서 atlas의 유의한 후방이동을 보인 것을 제외하고는 세 군 사이의 atlas의 전, 후방적 위치나, 형태의 크기 변화에 있어 유의한 차이점은 없었다. 위의 결과들을 고려해 볼 때 atlas의 장축의 시계방향 회전은 액티베이터의 사용 효과로 생각되며, 이는 차후 Ⅱ급 부정교합자에서 액티베이터 치료 효과를 판단하는 또 하나의 지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Objective: Previous studies have reported that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first cervical vertebra(atlas) have been associated with mandibular growth dire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the possible positional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the Atlas from activator treatment in Class Ⅱ malocclusion patients. Methods: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 tracings were made at initial, middle and final stages of treatment. Angular and linear measurements of skeletal and morphological features were measured on the anatomical landmarks and reference planes. Results: The skeletal effects of activator treatment on Class Ⅱ malocclusion patients were evident on ramal height, body length, effective body length, ANB, and overjet. Clockwise rotation of the long axis of the Atlas was found in Group 1, but there was no inclination change of the Atlas in groups 2 and 3.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nterior and posterior positions of the atlas or morphological change in all groups. - except for posterior movements of the Atlas found in group 1. Conclusion: Clockwise rotation of the atlas axis resulted from activator treatment in CI Ⅱ malocclusion patients. Change in atlas axis can be thought of as an indicator for success of activator treatment.

      • SCOPUSKCI등재

        디지털공제방사선촬영술을 이용한 치근단 흡수의 평가

        허민석,이삼선,이경희,최항문,최순철,박태원 대한구강악안면방사선학회 2001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Vol.31 No.1

        Purpose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agnostic ability of conventional intraoral radiographs with that of digital subtraction image and to assess the quantifying ability of digital subtraction image for simulated apical root resorption Materials and Methods : Conventional intraoral radiographs and digital images of ten sound maxillary central incisors and those with simulated apical root resorption were taken with varying horizontal and vertical angulations of the x-ray beam. The diagnostic accuracy to detect the lesion was evaluated on conventional intraoral radiographs and digital subtraction images by ROC analysis. The amount of simulated apical root resorption was also estimated on the reconstruction images by Emago□ and compared with actual amount of tooth loss using paired t-test. Results : The diagnostic accuracy of conventional intraoral radiographs to detect the apical root resorption was low(ROC area = 0.6446), and the sensitivity and the specificity of digital subtraction images were 100%, respectively. The calculated amounts of apical root resorption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the actual amounts of the lesion (p 〉 0.05). Conclusion :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 is powerful tool to detect the small apical root resorption, and quantitative analysis of small amounts of the lesion can be evaluated by digital subtraction radiography.(Korean J Oral Maxillofac Radiol 2001;31:51-5)

      • KCI등재

        한국산 긴몰개(Squalidus gracilis majime, Cyprinidae)의 난발생

        박경서,홍영표,문운기,최신석,안광국 한국육수학회 2005 생태와 환경 Vol.38 No.1

        한국산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의 난발생 과정을 연구하기 위하여, 긴몰개의 친어와 생태적 조사는 충청남도 보령시에 위치한 보령댐과 웅천천에서 실시하였다. 자연 산란에 의해 수정된 난과 배 발생의 형태학적 설명은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수정란의 형태는 둥글고, 점착성이 있으며 투명하였고, 수정란의 평균직경은 2.9±0.3 ㎜ (n = 30)였고, 유구가 존재하지 않았으며, 수정란의 발생은 수온 26±1.5℃에서 관찰되었다. 수정 후 20분에 배반이 형성되었으며,48분 뒤 2세포로 나뉘어졌고, 포배기는 수정 후 5시간 40분에 나타났으며, 낭배기는 수정 후 6시간 55분에 관찰되었다. 배체의 형성은 수정 후 12시간 58분부터 시작되었고, 안포와 9개의 체절이 수정 후 17시간 05분에 발견되었다. 수정 후 23시간 30분에 이포가 생겼으며, 25~26개의 체절과 함께 안포안의 렌즈가 수정 후 32시간 35분에 발견되었다. 수정 후 37시간 27분에 뇌의 분화와 함께 배체가 꿈틀거리기 시작했으며, 심장박동과 안포내의 흑색소포가 수정 후 44시간 46분에 발견되었다. 수정 후 50시간 36분 가슴지느러미의 형성과 함께 몸 부분의 흑색소포가 형성되는 것을 끝으로하여 수정 후 57시간 49분에 수정란은 부화되었다. 이때 갓 부화된 자어는 전장이 3.3±0.2 ㎜(n= 120)이었다. 본 연구 결과는 최근 수질오염 및 종 다양성 감소가 시급한 상황에서 종 및 개체군 보존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the field survey and laboratory observations, to elucidate egg developmental processe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slender gudgeon, Squalidus gracilis majimae. For the experiments, the mature adults were collected at the Woongcheon-Cheon Stream and Boreung Reservoir located in Boreung City, Chungnam Province and eggs were obtained from the natural spawning area.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egg and embryonic development were su㎜arized as follows: The shape of the fertilized egg was spherical, adhesive and transparent. The fertilized egg was 2.9±0.3 ㎜ (n = 30) in mean diameter under water temperature of 26 ± 1.5℃, light white in color and had no oil droplets. After 20 minutes from the time of fertilization, a blastodisc was formed and divided into two cells at 48 minutes after fertilization. The blastular stage occurred at 5 hours 40 minutes after fertilization and the gastrular stage was detected at 8 hours 41 minutes after fertilization. The beginning of embryo formation was observed at 12 hours 58 minutes after fertilization and optic vesicles and 9 somites were discovered at 17 hours 05 minutes after fertilization. Differentiation of brains and embryo wiggling were observed at 37 hours 27 minutes after fertilization. Heart beating and the formation of melanophores in optic vesicles were detected at 44 hours 46 minutes after fertilization. The formation of pectoral fins and melanophores in the body were discovered at 50 hours 36 minutes after fertilization. Hatching occurred at 57 hours 49 minutes after fertilization. The newly hatched larvae were 3.3 ±0.2 ㎜ (n = 120) in total length. We believe that these results may contribute the species and population conservations under the situation of accelerated water pollution and the decreases of its diversity.

      • SCOPUSKCI등재

        당뇨병 환자에서 혈장 Thrombin-Antithrombin Ⅲ 및 Plasmin-α_2-Plasmin Inhibitor 복합체의 임상적 의의

        김경욱,김은숙,정상수,윤수지,박우일,이준희,남수연,안철우,문병수,김경래,차봉수,송영득,임승길,이현철,허갑범 대한당뇨병학회 2002 Diabetes and Metabolism Journal Vol.25 No.5

        연구배경:당뇨병 환자에서 혈액응고 및 섬유소용해 체계의 이상경향이 있어 그 결과로 여러 혈관합병증의 발생위험이 높다는 사실은 널리 알려져 있다. 그 기전은 아직 확실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고혈당으로 인한 혈장 단백질들의 비효소성 당화작용이나 산화성 스트레스로 인한 유리 라티칼 작용으로 응고항진이나 섬유소용해 활성의 저하를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최근 응고 및 용해인자와 그 억제자의 복합체들의 증가가 이 상태를 비교적 예민하게 반영한다고 알려져 있다. 방법: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환자 101명과 정상 대조군 20명에서 혈장내 thrombin­antithrombin complex(TAT)와 plasmin­α₂­plasmin inhibitor complex(PIC)를 측정하여 비교하고, 당뇨병 환자에서 미세혈관 합병증과 대혈관합병증의 유무에 따른 차이와, 이미 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는 인자들간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결과:1. 환자의 분포를 살펴보면 혈관합병증이 있는 군은 85명, 혈관합병증이 없는 군은 16명이었고, 평균연령은 각각 57.9±14.1세, 49.9±16.6세로 혈관 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더 나이가 많았고, 체질량지수는 23.2±3.4㎏/㎡, 24.1±3.4㎏/㎡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또 두 군간의 혈압 및 HbA1c, 공복혈당 및 인슐린과 C­peptide,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콜레스테롤, Lp⒜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미세혈관합병증이 있는 군에서 당뇨병의 유병기간이 길었다. 2. TAT 및 PIC의 농도는 정상 대조군에서는 2.8±1.2 ng/mL, 240.4±69.7 ng/mL이었고,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9.5±22.6 ng/mL, 472.2±258.7 ng/mL이었다. TAT와 PIC 모두 당뇨병 환자군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고(p<0.001), TAT/PIC ratio는 두 군간 차이가 없었다. 3. 당뇨병 환자의 혈관합병증에 따른 TAT 및 PIC, fibrinogen 농도는 합병증이 없는 군은 각각 4.1±2.4ng/mL, 362.2±272.0ng/mL, 322.7±102.4mg/mL으로 PIC와 fibrinogen의 증가를 보였으나, 연령을 보정한 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또 대혈관 합병증군에서는 각각 6.0±4.9 ng/mL, 507.4±321.6 ng/mL, 427.1±194.7 mg/dL이었으며 미세·대혈관 합병증군에서는 10.4±6.4 ng/mL, 484.8±269.7 ng/mL, 388.4±132.4 mg/dL으로 TAT의 증가를 보였으나 역시 연령을 보정한 후에는 통계학적 유의성은 없었다. 4. 미세혈관합병증군에서 HbA1c(>8%)가 높은 군의 PIC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고(p=0.049), 대혈관합병증군에서 HbA1c(>8%)가 높은 군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42). 5. 총 당뇨병 환자군에서 PIC는 fibrinogen과 HbA1c와 양의 상관관계를, BMI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r=0.47, 0.31,-0.25), 혈관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군에서만 TAT는 HbA1c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r=0.67). 결론:이상의 결과에서 혈장 TAT 및 PIC 농도는 당뇨병 환자에서 정상 대조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고, 당뇨병 환자군에서는 연령의 증가와 유병기간이 혈액응고항진 및 용해의 장애에 큰 역할을 함을 알 수 있었으며, 총 당뇨병 환자군에 PIC와 HbA1c와 양의 상관관계를, BMI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혈관 합병증이 없는 당뇨병 환자군에서만 TAT는 HbA1c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당뇨병 환자에서 혈액응고 및 용해의 장애가 동반되어 있다고 볼 수 있으며, 혈장 TAT 및 PIC는 혈관합병증으로의 진행을 예측하는 지표로서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또 혈당조절정도와 상관성이 있으므로 혈당조절후에 추적검사를 시행하여 합병증의 예방이 가능한지 추후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 Abnormality of coagulation and fibrinolystic system is known as a predisposing factor of vascular complication in diabetes. Although the pathogenesis is not well known, non-enzymatic glycation reaction and the increase in production of free radicals due to an increased oxidative stress may be linked to the hypercoagulibility and hypofibrinolytic activity. As indices of abnormality in coagulation and firinolysis in peripheral blood, plasma thrombin-antithrombin Ⅲ complex (TAT) and plasmin-α_2-plasmin inhibitor complex (PIC) were measu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whether hypercoagulability exists in diabetic patients with or without vascular complication. Methods : In our study, we measured plasma thrombin-antithrombin Ⅲ compelx (TAT) and plasmin-α_2-plasmin inhibit or complex (PIC) in 101 diabetic subjects and 20 controls. Comparing TAT and PIC levels in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 group, diabetic macrovascular complication group and controls, we examined correlation between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iabetic vascular complication. Results : 1. The group with diabetic vascular complication was older than group without complica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BMI, blood pressure, HbA_ic, blood sugar level, insulin, C-peptide, serum creatinine,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p (a) between two groups. The group with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 had longer duration of diabetes. 2. Concentration of TAT and PIC were 2.8±1.2 ng/ mL, 240.4±69.7 ng/ mL in controls and 9.5±22.6 ng/ mL, 472.2±258.7 ng/ mL in diabetic patients, respectively. TAT and PIC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diabetic patients than in control (p<0.001). But TAT/PIC ratio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3. In diabetic patients, concentration of TAT and PIC and fibrinogen were respectively 4.1±2.4 ng/ mL, 362.2±272.0 ng/ mL, 322.7±102.4 mg/ dL in group without vascular complication and 5.3±4.1 ng/ mL, 529.5±258.7 ng/ mL, 374.9±106.2 mg/ dL in group with microvascular complication, which group had increase in PIC and Fibrinogen but no significance after correction of age. Concentration of TAT and PIC and Fibrinogen were 60.±4.9 ng/ mL, 507.4±321.6 ng/ mL, 427.1±194.7 mg/ dL in macrovascular complication, and 10.4±6.7 mg/ mL, 484.8±269.7 ng/ mL, 388.4±132.4 mg/ dL in combined vascular complication which group showed increase of TAT but also had no significant increase after correction of age. 4. In diabetic microvascular complication patients, group of high HbA_1c (>8%) (p=0.049) had significant high PIC concentration. In diabetic macrovascular complication patients, group of high HbA_1c (>8%) (p=0.042) had significant high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 5. In all diabetic patients, PIC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brinogen and HbA_1c and negatively correlated BMI (r=0.47, 0.31, -0.25). Only in daibetic patients without angiopathy, TA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HbA_1c (r=0.67). Conclusion : In this study, plasma TAT and PIC concentration significantly increased in diabetic patients compared with controls, and PIC was increased in group with microvascular complication, TAT were increased in group with combined micro macrovascular complic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ce relationship existed when correctinf for age. PIC was correlated with HbA_1c. TAT was correlated with HbA_1c only in the group without angiopathy. Abnormality of coagulation and fibrinolysis were combined in diabetes, plasma TAT and PIC can be used as an index of vascular complication. Also we found the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the blood glucose control. Therefore we need follow up study for the possibility of prevention of vascular complication after controlling the blood glucose to age-matched patients (J Kor Diaabetes Asso 25:354~363, 2001).

      • KCI등재후보

        솔잎추출유의 산화 안정성 및 추출유를 이용한 맛김의 관능적 평가

        정혜경,최창숙,이지현,장문정,강명화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03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Vol.18 No.2

        생·찐솔잎에 콩기름과 올리브유를 첨가하여 추출한 솔잎추출유의 저장기간에 따른 산패도를 측정하였고 솔잎추출물을 김에 발라 제조한 맛김에 대한 관능검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저장기간에 따른 중량변화 특정 결과, 콩기름은 14일째 생·찐 솔잎추출유는 21일째 생·찐 올리브유 솔잎추출유는 14일부터 중량이 서서히 증가하여 28일에 중량이 가장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TVARS 생성량도 저장기간 14일째 콩기름에 비해 콩기름에 생·찐 솔잎을 첨가할 경우 TBARS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고, 28일째 올리브유도 생·찐 솔잎을 첨가할 경우 TBARS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3.시방산 산화의 2차 생성률은 aqueous layer에서 저장기간에 다라 감소하였고 특히 14일째에 다른 추출유에 비해 콩기름이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organic layer는 저장기간 14일째 콩기름에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솔잎을 첨가할 경우 유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리브유의 경우도 솔잎을 첨가한 올리브 솔잎 추출유에서 2차 생성률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4.제조된 생·찐 솔잎 추출유를 김에 발라 7점 기호척도법을 이용하여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향, 맛 전반적인 기호도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솔잎추출유를 김에다 바를 경우 거부감을 주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경우 솔잎에 콩기름과 올리브유를 첨가하여 추출한 솔잎추출유는 원유보다 산화에 대해 안정한 것으로 나타났고, 이를 이용한 맛김도 좋은 것으로 평가되어 솔잎추출유의 식품에 이용 가능성이 시사되었다. In order to evaluate the oxidative stability and sensory evaluation for the pine needle extracted oils, we prepared the pine needle extracted oils by the autoclave method with soybean and/or olive oils. The lipid peroxidation was monitored by measuring the formation of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TBARS). In addition, the secondary reaction products of lipid oxidation were measured by fluorescence spectroscopy. A weight changing was decreased in oils added pine needle during storage periods. The formation of TBARS was the lowest in olive pine needle oils after 14 days storage, whereas it was the highest in soybean oil. The levels of fluorescent products in extracted oils added pine needle were also decreased in organic layers. According to the sensory evaluation, the scores of fragrance, taste and overall preference in savored laver using an pine needle extracted oils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verall results suggest that the pine needle extracted oils can be developed to functional oil resources.

      • KCI등재

        원전 사고를 대비한 장거리 대기 확산모델 개발

        서경석,김은한,한문희 대한방사선 방어학회 2002 방사선방어학회지 Vol.27 No.3

        대기 중으로 방출된 방사성물질의 이동·확산 현상을 이해하기 위하여 3차원 장거리 확산 모델이 개발되었다. 모델은 수평방향으로 방출점으로부터 수천 키로 미터의 거리까지 공기중 농도와 지표면 침적을 계산하도록 설계되었다. 수직 난류운동은 혼합층 내와 혼합층 위로 분리하도록 고려하였다. 시험계산은 동북 아시아권의 영역을 고려하였고, 방출점은 중국의 동쪽 지점을 가정하였다. 계산된 농도분포는 바람장에 의해 방출점의 남동방향을 향해 주로 이동되었다. 개발된 모델은 완전 사고시 방사선 피해를 추정하기 위하여 이용될 것이며, 모델은 장거리 야외 확산실험의 자료를 이용하여 비교·검증 연구를 통하여 보완될 것이다. The three-dimensional long-range dispersion model has been develop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port and diffusion of radioactive materials released into atmosphere. The model is designed to compute air concentration and ground deposition at distances up to some thousands of kilometers from the source point in horizontal direction The vertical turbulent motion is considered separately within the mixing layer and above the mixing layer. The test simulation was performed in the area of Northeast Asia. The release point was assumed in the east part of China. The calculated concentration distributions are mainly advected toward the southeast part of release point by the wind fields. The developed model will be used to estimate the radiological consequences against a nuclear accident. The model will be supplemented by the comparative study using the data of the long-range field experiments.

      • 백삼에 있어 수침처리가 원형복원에 미치는 영향

        한윤경,이이,이문순,권숙희,정찬문 충북대학교 연초연구소 2009 煙草硏究 Vol.22 No.-

        본 연구는 시중에서 거래되고 있는 백삼을 구입하여 수침 처리가 백삼의 원형복원 및 사포닌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판백삼은 같은 등급 및 편급의 제품이었으나 뇌두, 근장, 근직경 등 조사 형질에서 제품간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수침처리에 의해 근중, 동체, 근직경, 근장 등은 증가하여 원료삼으로서 수삼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백삼은 온도가 증가할수록 체적이 빨리 증가하여 온도에 의한 영향을 크게 받았으며 다시 건조하여 본래 백삼의 상태로 환원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그리고 수침에 의한 근중의 변화는 2배 이상 증가하였는데 근중이 최고도에 달하는 시간은 대략 24시간 후 이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aking treatment in white ginseng and evaluated white ginseng on the restoration to the original shape and the quality of raw ginseng. KW-1 white ginseng had longer rhizome length and main root length. KW-2 had larger rhizome diameter, main root diameter and root weight. KW-3 showed lower quality than the other two white ginseng products. Soaking treatment made the root weight, main root diameter and main root length of raw ginseng increased. The decrease of root weight was significant by drying. The effects of soaking and drying treatment on the characters investigated of the raw ginseng and white ginseng showed same tendency. The higher the soaking temperature was, the faster the increasing rate was. The increasing of white ginseng stopped after around 12 hours from soaking at any soaking temp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