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노걸대 3종 판본 내 중국어 명사 접미사의 형태론적 생산성에 대한 통시적 연구

        ( Maeng¸ Junghwan ) 한국중국언어학회 2021 중국언어연구 Vol.- No.95

        본 논문은 원명청(元明清)대에 걸쳐 출판된 노걸대 3종 판본을 바탕으로 명사 접미사의 형태론적 생산성의 역사적 변천 과정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노걸대는 당시 구어체 북방 관화를 기록한 자료로써 원대부터 청대에 이르기까지의 언어적 변화를 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걸대 3종 판본을 코퍼스 자료로 사용하여 명사 접미사의 형태론적 생산성을 분석하였다. 형태론적 생산성은 각 명사 형태소가 생성해낼 수 있는 새로운 어휘의 종류의 수를 바탕으로 측정되었다. 분석 결과 -儿이 원대부터 청대에 걸쳐 가장 높은 생산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판명된 반면, 명사 접미사 -子와 -們의 경우 이 기간 동안 생산성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형태론적 생산성과 어휘화의 밀접한 관련성에 대한 실증적 근거를 제시함과 동시에 형태론적 법칙을 통해 생성된 어휘와 어휘 목록에 등록된 어휘가 서로 독립적인 영역에 속해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historical change in the productivity of Chinese nominal suffixes based on three versions of Laoqida (老乞大) published in the Yuan, Ming and Qing periods respectively. Because Laoqida transcribes spoken Chinese language at the time and also reflects language change over time spanning from the Yuan to Qing period, it serves as a corpus database that allows us to examine the premodern spoken Chinese language. Using Laoqida as a corpus database, this study used hapax-based analysis to examine morphological productivity of the nominal suffixes (-zi, -er, -men) under investigation based on the number of novel expressions created by each suffix. The findings of the study show that -er remains as the most productive suffix throughout the Yuan-Qing periods whereas the productivity of -zi and -men continues to decline over the same period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morphological productivity and the lexicalization of derived words are closely associated with each other. Furthermore, the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lexicon and morphology should be considered as two independent domains.

      • C-NMR Spectroscopy에 의한 Olefin-Vinylchloride 공중합체의 tacticity에 관한 연구

        맹기석,황택성 忠南大學校 産業技術硏究所 1990 산업기술연구논문집 Vol.5 No.1

        Homo PVC and olefin-vinylchloride copolymers have been prepared by free-radical copolymerization at 60℃. Molecular weights of PVC and copolymers have been caracterized by gel permeation chromatography (GPC) and C-NMR. We are used to calculate the tacticity shifts in the C-NMR spectra of PVC and copolymers by Bovey first order Markov statistics.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with isobutylene, propylene from 1.58 to 8.0mol% olefin, is found to random arrangment by ??C-NMR spectroscopy. The values of molecular weights of the copolymer ranged from 2.38 to 7.03×10⁴, measured by GPC. It was found that both the degree of conversion and molecular weight de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comonomer ratio in the copolymer.

      • KCI등재

        죽순의 화학적 특성 및 염장 죽순 제조과정 중 성분 변화

        유맹자,정희종 한국식품영양학회 1999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12 No.6

        죽순의 가공 식품으로서의 적합성을 규명하고 염장죽순에 대한 과학적 자료를 마련하기 위차여 왕죽, 분죽, 맹종죽 죽순의 화학적 특성과 염장 죽순 제조 과정에서의 화학적 성분변화를 검토하였다. 수분. 조지방 함량은 염장기간에 따라 서서히 감소하였고 조단백. 회분의 함량은 증가하였으며 pH는 염장 80일째까지 감소하였다가 80일 이후부터는 다시 증가하였고 염 농도는 맹종죽 죽순이 가강 높은 염 농도를 보였으며 숙성이 진행되는 60일째 최고 염 농도를 보였다가 그 이후는 조금씩 감소하였다. 탄닌과 아스코르브산 함량은 염장 중에 계속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유리 아미노산의 조성은 세린 아르기닌. 알라닌. 로이신. 티로신이 주요 아미노산으로 분석되었고,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총 유리아미노산 함량은 염장 120일째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다 특히 아르기닌이 가장 빠른 감소 폭을 보였으며 세린. 알라닌. 로이신 등은 서서히 감소하였다 총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원료 죽순 중 왕죽 죽순이 1.060.18㎎/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맹종죽 죽순이 612.29㎎/100g. 분죽 죽순이 539.76㎎/100g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염장 죽순은 맹종죽 죽순이 76.60㎎/100g으로 가장 높았고 분죽 죽순이 44.43㎎/100g.왕죽 죽순이 43.70㎎/100g 나타나 염장 중 유리 아미노산의 감소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무기성분의 경우 Mg, Ca. Na을 제외한 대두분이 원료 죽순에서 높은 함량이 분석되었는데 윈료 죽순은 K>P>Na>Ca>Mg>Fe>)Zn>Mn>Ge>Gu의 순으로 K의 함량이 가장 높았으나 숙성이 진행됨에 따라 P. Fe. Zn. Mn, Ge, Gu의 함량은 서서히 감소하고 K, Mg. Na. Ca의 함량은 증가하여 염장 l20일째에」Na>K>Ca>P>Fe>Ge>Mn>Zn의 순으로 Na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In result of chemical properties of bamboo shoots and changes of chemical components of salted bamboo shoots during 120 days salting,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fat, tannin and ascorbic acid were decreased but those of crude protein, crude ash and salt concentration were increased during salting. The pH was decreased in 80days-past of salting and after that, gradually increased. The main free amino acids of bamboo shoots were serine, arginine, alanine, leucine, and tyrosine. The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 was rapidly decreased in 80days-past of salting and after that, slowly decreased. Wang bamboo shoots was the highest as 1060.18㎎/l00g in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 The main mineral elements were K, P, Na, and Mg. The contents of Fe and K were the highest among them. The contents of P, Fe, Zn, Mn, Ge and Cu were decreased but K, Mg, Na and Ca were increased during salting. When fresh bamboo shoots were compared with salted bamboo shoots, fresh bamboo shoots contained the contents of moisture, crude protein, crude fat, tannin and ascorbic acid more than salted bamboo shoots did, but the less the contents of ash, fiber and salt concentration.

      • KCI등재

        金井山 (釜山) 東斜面溪谷 植生의 生態學的 硏究

        김맹기,이학영,김종원 한국환경과학회 1993 한국환경과학회지 Vol.2 No.1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species pairs in the vegetation of eastern valley vegetation in Mt. KumJung from September 20, 1991 to October 15, 1992. Eight sites were selected, each being divided into 5 quadrats, and thus 40 quadrats were in total. To know the correlation among plant species the x^2 values were calculated by using the method of Yate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cluster analysis according to Sneath and Sokal,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The species examined can be subdivided into five groups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s. However, the relationships are not correlated with pH, water-content, maximum water holding capacity and mineral content of soil probably due to the environmental discontinuity.

      • KCI등재

        19세기 말 동아시아 전쟁에 대한 일본인의 '왜곡된' 기억 :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을 중심으로 the Donghak Peasant War and the Ching-Japanese War

        박맹수 한국역사연구회 2004 역사와 현실 Vol.- No.51

        In this research, the Japanese people's memory of the 19th century wars, such as the Donghak(東學) Peasant war or the war between the Chinese Ching dynasty and the Imperial Japan, which were all triggered by the blatant invasion of the Japanese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will be examined. In chapter 1, the fact that there are some twisted perception of certain historical events like the aforementioned warfare which was clearly triggered by the Imperial Japan's invasive actions, will be pointed out. The ever-increasing comments representing the voices of the Right-wing arguments, including ones voiced by figures such as Ishihara Shintaro(石原愼太郞), clearly demonstrate that kind of distorted perception. In Chapter 2, the 'New History Textbook', and certain sections inside it dealing with the aforementioned warfare will be examined. The contents of that textbook definitively represents the Japanese people's new attempt, which continued during the year 2001, at promoting distorted historical understanding. Japan is continuously reproducing distorted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the process should be studied. In Chapter 3, in order to paint out that the history of the Japanese people's attempt for distorted historical understanding is indeed a long one, several sources such as the 'Propaganda Terms(宣戰詔勅)' declared in 1894, the first National History textbook, official War history and other academical researches will all be consulted. These sources are the basis for such distorted historical understanding which is being spreaded even now. In Chapter 4, the fact "that the true source of such distorted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aforementioned warfare was actually some distorted official or military records regarding the first use of armed forces in that war, namely the incident at the Chosun royal palace, will be examined. In Chapter 5, how the public viewed the said incident will be reviewed through various sources that had been created by the Peasant militia members(including Jeon Bong Jun), Euibyeong militia members(including Seo Sang Cheol) and other local Confucian scholars(like Hwang Hyeon). They all viewed the situation as a distinct demonstration of the Japanese invasive intentions, revealing a significantly different view from that of the Japanese. In conclusion, it will be pointed out that as long as the Japanese people continue to reproduce and spread distorted historical understanding and try to embellish their past deeds, it would he fairly difficult to form a truly sincer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countries.

      • 중위도 겨울철에서 구름의 고도와 중첩이 대기가열 및 냉각율에 미치는 영향

        김맹기,곽종흠,서명석 공주대학교 기초과학연구소 2000 自然科學硏究 Vol.9 No.-

        이 연구에서는 장파 (Chou et al., 1994) 및 단파(Chou, 1992)복사 모델을 이용하여 중위도 겨울철 조건하에서 구름의 고도, 구름의 중첩이 대기 가열 및 냉각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모델의 입력자료로 사용한 중위도 평균적인 기온, 비습, 오존의 구조는 McClatchey et al.(1972)로부터 얻었다. Based on the longwave and shortwave radiation model, the effects of cloud height and overlapping on the atmospheric heating and cooling rate was studied in midlatitude winter condition. The vertical profiles of air temperature, specific humidity, and ozones was obtained from McClatchey et al.(1972).

      • KCI등재

        일 장기 수용시설 노인들의 인지기능장애와 우울증상의 유병율

        조맹제,함봉진,이부영,김성윤,신영민,이창인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8 신경정신의학 Vol.37 No.5

        목 적 : 본 연구는 수용시설의 노인들에서 인지기능장애와 우울증상의 유병율을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방 법 : 한국의 한 수용시설인 꽃동네에 거주하는 60세 이상 노인 169명을 대상으로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 Short Portable Mental State Questionnaire(SPMSQ), 축약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 그리고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CES-D)을 적용하였다. 결 과 : 전체 169명중 153명(남자=72명, 여자=79명, 그리고 누락=2명)이 검사를 완성하였다. 연령의 범위는 60에서 102세였고, 평균연령은 74.17±8.27(남자71.76±8.14. 여자76.14±7.78)세였다. 교육기간의 범위는 무학에서 16년이었고, 평균교육기간은 3.04±3.93(남자 4.13±4.23, 여자 2.01±3.38)년이었다. 인지기능장애의 유병율은 MMSE-K≤23의 기준으로 56.2%, SPMSQ≤6의 기준으로 26.1% 로 평가되었다. 비교적 분명한 인지기능장애의 기준으로 MMSE-K≤19를 적용하였을 경우 유병율은 25.5%로 이는 SPMSQ≤6을 기준으로 하여 얻은 결과와 유사한 수준이었다. 우울증상의 유병율은 SGDS≥10의 기준으로 19%, CES-D≥25의 기준으로 23.5%로 평가되었다. 비교적 가벼운 우울증상까지 선별하기 위하여 SGDS≥8을 기준으로 할 경우 유병율은 39.2%로 이는 CES-D≥20을 기준으로 하여 얻은 결과와 일치하는 수준이었다. MMSE-K와 SPMSQ, SGDS와 CES-D, MMES-K와CES-D, MMES-K와 SGDS, 그리 고·SPMSQ와 SGDS 사이에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결 론 : 수용시설 노인들에서 인지기능장애와 우울증상의 유병율은 매우 높은 수준이며, 이러한 결과는 수용시설 노인들에 대한 보다 집중적의 의료서비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among the long-term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Methods : Mini-Mental State Examination-Korean version(MMSE-K), Short Portable Mental State Questionnaire(SPMSQ), Short vers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SGDS),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CES-D) were administerd to 169 elderly residents in an institution, 'Got Dong Rae'. Results : One hundred fifty-three(males=72, females=79, and missing=2) completed the entire examination. Age ranged from 60 to 102 years and the mean of age was 74.17±8.27(males 71.76±8.14, females 76.14±7.78) years. Duration of education ranged from 0 to 16 years and the mean of duration of education was 3.04±3.93(males 4.13±4.23, females 2.01±3.38) years. The prevalence of cognitive impairment was estimated as 56.2% by MMSE-K≤23 and 26.1% by SPMSQ≤6. The prevalence of relatively definite cognitive impairment defined by MMSE-K≤19 was 25.5%, which was similar to the result achieved by using SPMSQ≤6. The prevalence of depressive symptomatology was estimated as 19% by SGDS≥10 and 23.5% by CES-D≥25. In the case of using SGDS≥8 as cutoff-point to screen mild as well as severe depressive symptomatology, the prevalence was 39.2%. It was identical to the result achieved by using CES-D≥20.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observed between MMSE-K and SPMSQ, between SGDS and CES-D, between MMSE-K and CES-D, between MMSE-K and SGDS, and between SPMSQ and SGDS. Conclusion : The prevalencies of cognitive impairment and depressive symptomatology were high in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This results suggests that more intensive mental health care is needed for long-term institutionalized elderly people.

      • KCI등재

        낮병원 치료 : 2년간 추적연구

        조맹제,이부영,신동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4 신경정신의학 Vol.33 No.1

        저자들은 1989년 1월 1일부터 1990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 낮병원에서 퇴원한 만성정신분열병 환자 30명을 같은 기간 보호병동에서 퇴원한 정신분열병 환자 30명과 성별, 연령, 주치의의 예후에 대한 평가등을 1:1로 짝지워 총30쌍, 60명을 대상으로 낮병원 입원이 환자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을 기준 퇴원후 2년간을 후향적 추적방법으로 비교 연구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추적기간동안 양군의 사회인구학적인 변인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사회인구학적 변인 중 기준 퇴원시 학력과 이전 입원횟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 재입원율, 재입원횟수, 재입원환자수, 누적재입원횟수, 누적재입원환자수 등의 일반 예후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단지 낮병원군에서 기준 퇴원후 1년간의 재입원율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컸는데, 2년후 전체 재입원율에 있어서는 양군이 유사하였다. 3) 사회적응도에 있어 양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할 수 없었다. 단지 낮병원군에서 재입원한 환자들 (n=6)의 경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회적응정도가 향상하는 양상을 보였다. 또한 기존의 연구들에서 퇴원후 주로 6개월 내지 1년 이내에 입원에 의한 사회적응효과가 나타난다고 했으나 본 연구에서는 오히려 추적 기간의 후반부에 사회적응도가 향상하는 경향을 보여 저자들은 이점에 대해 낮병원에서의 사회적응훈련이 '후기 효과'를 보일 가능성에 대해서 토론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낮병원 치료가 정신분열병환자의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확실한 결론은 얻을 수 없었다. 그러나 유병기간이 더 길고 사회적응이 어렵다고 판단된 낮병원 환자들과 보호병동군을 비교한 결과 기준퇴원후 2년간 각 예후변인들이 유의한 차이가 없었던 것은 낮병원 치료가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재적응에 장기적으로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라고 추론할 후 있다. 향후 본 연구에서는 고려되지 못한 정신분열병의 예후에 관련이 있는 좀더 많은 변수들을 충분히 고려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A two year retrospective follow up analysis of outcome was done comparing 30 chronic schizophrenic patients discharged from standard in-patient hospital to day hospital treatment with 30 matched patients discharged directly to the community. The authors developed an 80 item interview questionnaire for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social functioning, family functioning, psychopathology and rehospitalization. Index numbers of rehospitalization within two years were six in day hospital group, and eight in the comparative group respectively. When the duration was divided into three month intervals, cumulative percentage of number of patients rehospitalized was lower in the day hospital group. Readmission rate calculated by rehospitalization days divided by total follow-up days was, however, higher significantly in the day hospital group within one year. It seemed that this result within one year was due to the bias of selection of day hospital patient. That is, the poorer prediction of community adjustment by the psychiatrist was related with the day hospital treatment. Social functioning score checked on the rehospitalized patients showed litt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